KR102508332B1 -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8332B1 KR102508332B1 KR1020217008228A KR20217008228A KR102508332B1 KR 102508332 B1 KR102508332 B1 KR 102508332B1 KR 1020217008228 A KR1020217008228 A KR 1020217008228A KR 20217008228 A KR20217008228 A KR 20217008228A KR 102508332 B1 KR102508332 B1 KR 1025083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usage
- management
- tim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 시중 장치를 사용한 상기 피시중자의 식별에 이용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사용 기록 데이터 기억부와, 피시중자에 관한 정보로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변동할 수 있는 피시중자 관리 정보가,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기록한 일시에 관한 관리 시간 정보,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 지어 기록된 시중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중 기록 데이터 기억부와, 사용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시중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에 관한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사용 시간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정보와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대응 붙임을 행하는 대응 붙임부와, 대응 붙여진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하는 제시부를 구비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피시중자의 이승(移承)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시중 장치는, 이승 동작의 보조에 있어서, 좌위(座位) 자세의 피시중자의 엉덩이부를 좌면으로부터 상승시키는 기립 동작이 종료한 후에 방향 전환을 행하고, 피시중자의 엉덩이부를 하강시켜 착좌(着座)시키는 착좌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피시중자는, 예를 들면,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승된다.
시중 장치를 사용한 피시중자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에 대해서 파악하는 것은, 시중자에 있어서 어렵다. 이 점에 있어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과 이에 수반하는 피시중자의 변화의 관련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얻고 싶다는 요청이 있다.
본 명세서는, 피시중자에 의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과 이에 수반하는 피시중자의 변화의 관련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제시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상기 피시중자의 식별에 이용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사용 기록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피시중자에 관한 정보로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변동할 수 있는 피시중자 관리 정보가,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시간에 관한 관리 시간 정보 및 상기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시중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중 기록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사용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상기 시중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상기 피시중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 및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대응 붙임을 행하는 대응 붙임부와, 상기 대응 붙임부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사용정보 및 상기 피시중자 관리정보를 상기 피시중자에 의한 상기 시중 장치의 사용상황과 그에 따른 상기 피시중자의 변화와의 연관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가공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시용 데이터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제시하는 제시부를 구비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는, 제시된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피시중자에 의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과 이에 수반하는 피시중자의 변화의 관련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좌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기립 준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입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사용 기록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시중 기록 데이터인 신체 기록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시중 기록 데이터인 처치 기록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시중 기록 데이터인 행동 기록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사용 정보와 행동 기록 정보의 대응 붙임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특정의 피시중자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체중의 추이에 관한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특정의 피시중자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혈압값의 추이에 관한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특정의 피시중자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특정의 시중 처치의 횟수의 추이에 관한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특정의 피시중자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특정의 행동의 횟수의 추이에 관한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좌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기립 준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입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사용 기록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시중 기록 데이터인 신체 기록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시중 기록 데이터인 처치 기록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시중 기록 데이터인 행동 기록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사용 정보와 행동 기록 정보의 대응 붙임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특정의 피시중자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체중의 추이에 관한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특정의 피시중자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혈압값의 추이에 관한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특정의 피시중자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특정의 시중 처치의 횟수의 추이에 관한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특정의 피시중자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특정의 행동의 횟수의 추이에 관한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1.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로서 기록한다. 사용 기록 데이터에는, 사용한 피시중자를 식별 가능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가 사용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다. 이에 의해,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시중자별의 시중 장치의 사용 이력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 기록 데이터에는, 시중 장치를 사용한 시간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가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된다. 따라서,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가 시중 장치를 사용한 시간을 파악할 수가 있다.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또한, 피시중자에 관한 정보로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변화할 수 있는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시중 기록 데이터로서 기록한다. 시중 기록 데이터에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가 피시중자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다. 따라서,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시중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시중자마다의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파악할 수가 있다. 또, 시중 기록 데이터에는,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시간에 관한 관리 시간 정보가 피시중자 관리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된다. 따라서,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시중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의 피시중자 관리 정보에 관한 시간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대응 붙여진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한다. 이 때에, 시중 정보 시스템은, 사용 기록 데이터 및 시중 기록 데이터 중에서,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통해 연결된 특정의 피시중자에 관한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 시간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에 관한 사용 정보와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대응 붙임을 행하고, 대응 붙여진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제시한다. 이에 의해,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중자 등은, 제시된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피시중자에 의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과 이에 수반하는 피시중자의 변화의 관련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2.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개략 구성
이하,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최초에, 도 1을 참조하여,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주로, 1이상의 시중 장치(10)와 관리 서버(90)와 1이상의 관리 장치(100)에 의해 구성된다. 시중 장치(10)는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들 때에 이용된다.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모든 시중 장치(10) 및 관리 장치(100)는, 인터넷을 통해 관리 서버(9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관리 장치(100)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설치된 모든 시중 장치(10)를 통괄 관리한다.
시중 장치(10)는, 피시중자 H(도 2 참조)의 좌위(座位) 자세로부터 입위(立位) 자세로의 기립 동작의 보조 및 입위 자세로부터 좌위 자세로의 착좌(着座) 동작의 보조를 행한다. 또한, 피시중자 H의 「입위 자세」란, 피시중자 H의 하반신이 서 있을 자세를 의미하고, 상반신의 자세를 묻지 않는다. 즉, 피시중자 H의 기립 동작은 피시중자 H의 엉덩이부를 상승시키고 입위 자세로 하는 동작이다. 또, 피시중자 H의 착좌 동작이란, 피시중자 H의 엉덩이부를 하강시키고 좌위 자세로 하는 동작이다.
시중 장치(10)는, 예를 들면, 피시중자 H의 신체의 일부(예를 들면, 피시중자 H의 상반신)를 지지하여, 좌위 자세에 있는 피시중자 H의 기립 동작을 보조한 후에 방향 전환을 행하고, 다른 위치에 다시 착좌하도록 착좌 동작을 보조하는 이승 동작의 보조를 행한다. 이러한 이승 동작은, 예를 들면 거실 내에 있어서 침대와 휠체어의 사이의 이승이나, 거실의 침대로부터 화장실의 변기와의 사이의 이승 등을 목적으로 하여 실행된다.
또한, 시중 장치(10)는 당해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기억한다. 사용 정보는 시중 장치(10)가 사용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시중 장치(10)를 사용한 피시중자 H의 식별에 이용하는 정보 및 시중 장치(10)가 사용된 일시에 관한 정보가, 사용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다. 그리고, 시중 장치(10)는 기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관리 서버(90)에 업로드(up-load) 한다.
관리 서버(90)는 복수의 시중 장치(10)로부터 업로드 되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기억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90)는, 관리 장치(100)의 요구에 응하여,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관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또한, 관리 서버(90)는, 기억된 모든 사용 기록 데이터 M1 중, 요구에 응한 일부의 사용 기록 데이터 M1만을 관리 장치(100)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90)는 특정의 피시중자 H에 관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만을 관리 장치(100)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관리 장치(100)는 필요한 정보만을 관리 서버(90)로부터 적당히 다운로드(down-load) 할 수가 있다.
관리 장치(100)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설치된 모든 시중 장치(10)를 관리 대상으로 하고, 각각의 시중 장치(10)가 기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관리 서버(90)로부터 취득하여 기억한다. 또한, 관리 장치(100)는, 시중 장치(10)를 사용하는 피시중자 H에 관한 정보로서, 당해 피시중자 H를 시중드는 시중자 등에 의해 기록되는 시중 기록 데이터 M2를 기억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 및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 장치(100)로서는, 시중 장치(10)가 도입된 시설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단말(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등의 단말 장치가 예시된다. 또, 관리 장치(100)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대해, 시중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시중 장치(10)의 구성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시중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시중 장치(10)는, 기대(基臺)(20)와, 구동 장치(30)와, 지지 부재(40)와, 조작 장치(50)와, 제어 장치(60)와, 피시중자 정보 취득부(70)를 주로 구비한다.
기대(20)는 프레임(frame)(21)과, 지주(22)와, 발 재치대(23)와, 종아리 댐부(24)와, 6개의 차륜(25-27)을 주로 구비한다. 프레임(21)은 바닥면 F의 가까이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된다. 지주(22)는 프레임(21)의 앞쪽 가까이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신한 상태로 프레임(21)에 고정된다. 지주(22)는, 바닥면 F에 대해서 연직이 되도록 설치되어도 좋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발 재치대(23)는 수평으로 되도록 프레임(21)의 상면 후방에 고정된다. 종아리 댐부(24)는 발 재치대(23)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주(22)에 고정된다. 종아리 댐부(24)는 피시중자 H의 종아리가 접촉하는 부위에 쿠션(cushion) 부재를 가진다. 프레임(21)의 하측에는 좌우에 3개씩의 차륜(25-27)이 설치되어 있다. 각 차륜(25-27)은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전타(轉舵) 기능을 가진다. 시중 장치(10)는, 6개의 차륜(25-27)의 전타 기능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및 방향 전환뿐만이 아니라, 가로 이동(바로 옆으로의 이동)이나 스핀 턴(spin turn)(그 자리 선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 장치(30)는 피시중자 H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40)를 기대(20)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동 장치(30)는 승강부(31)와 요동부(32)를 구비한다. 구동 장치(30)는 제어 장치(60)에 의해 승강부(31) 및 요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 장치(30)는, 승강부(31)의 상하 운동 및 요동부(32)의 선회 운동을 협조시킴으로써, 지지 부재(40)를 소정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승강부(31)는 기대(2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직동(直動)한다. 승강부(31)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장척 모양으로 형성되고, 지주(22)의 후면의 가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안내된다. 승강부(31)는 직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지주(22)의 가이드를 따라 승강한다. 승강부(31)의 내부에는 요동부(32)를 선회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된다. 승강부(31)는 요동 지지부(311)를 가진다. 요동 지지부(311)는 요동부(32)를 중심축 A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요동부(32)는 승강부(31)에 설치된 중심축 A 주위를 선회하여 지지 부재(40)를 요동시킨다. 요동부(32)는 요동 본체(321)와, 암(arm)(322)과, 핸들(323)을 구비한다. 요동 본체(321)는 지지 부재(40)가 착탈되는 부착부이고, 암(322) 및 핸들(323)은 요동 본체(32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암(322)의 일단은 승강부(31)의 요동 지지부(311)의 중심축 A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323)은 대체로 사각형의 프레임(fram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322)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시중 장치(10)가 기립 동작의 보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암(322)은 후방으로 뻗은 상태로부터 주로 전(前)선회한다. 한편, 시중 장치(10)가 착좌 동작의 보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암(322)은 후방으로 뻗는 상태로 되도록 주로 후(後)선회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요동부(32)는, 기대(20)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수평축(중심축 A) 주위를 선회하여, 암(322)의 선단측의 요동 본체(321)에 부착된 지지 부재(40)를 요동시킨다.
핸들(323)은, 암(322)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앞 상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핸들(323)의 측방 부분은 피시중자 H의 양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핸들(323)의 측방 부분 및 전방 부분은 시중자에 의해 시중 장치(1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이용된다.
지지 부재(40)는 피시중자 H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 부재(40)는 동체 지지부(41)와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부(42)를 구비한다. 동체 지지부(41)는, 피시중자 H의 동체 형상에 가까운 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연한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체 지지부(41)의 지지면은 피시중자 H의 상반신 중 동체의 전면에 면접촉하여 동체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동체 지지부(41)의 지지면은 피시중자 H에 있어서의 흉부로부터 복부에 걸치는 범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 동체 지지부(41)는 요동 본체(321)에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부(42)는, 동체 지지부(41)에 지지되고, 피시중자 H의 겨드랑이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부(42)는, 동체 지지부(41)의 좌우 방향 양측에 있어서, 동체 지지부(41)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겨드랑이 지지부(42)는 봉상 부재에 의해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겨드랑이 지지부(42)의 표면은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재료에 의해 덮여 있다.
조작 장치(50)는 시중 장치(10)가 보조하는 각종 동작에 대응한 복수의 버튼을 가진다. 조작 장치(50)는 상승 동작에 대응하는 상승 버튼(51)과 하강 동작에 대응하는 하강 버튼(52)을 구비한다. 조작 장치(50)는, 예를 들면 신축 가능한 신호 케이블을 통해 제어 장치(60)에 접속된다. 조작 장치(50)는,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버튼의 종별에 따른 신호를 버튼이 눌러져 있는 기간, 제어 장치(60)에 송출한다.
제어 장치(60)는 구동장치(30)의 승강부(31) 및 요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60)는, 피시중자 H의 기립 동작이나 착좌 동작을 보조하는 동작 처리에 있어서, 조작 장치(50)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승강부(31) 및 요동부(32)를 동작시킨다. 제어 장치(60)는, 기립 동작 및 착좌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승강부(31)의 상하 운동 및 요동부(32)의 선회 운동을 협조시켜 지지 부재(40)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에 아울러, 제어 장치(60)는 시중 장치(10)가 사용된 것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를 기록한다. 이 때에, 제어 장치(60)는 시중 장치(10)가 사용된 일시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를 사용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60)는, 상승 버튼(51) 또는 하강 버튼(52)이 눌러진 경우에, 시중 장치(10)가 사용된 것으로 판정하고, 사용 정보를 기록함과 아울러, 상승 버튼(51) 또는 하강 버튼(52)이 눌러진 일시를 사용 시간 정보로서 기록한다.
피시중자 정보 취득부(70)는, 시중 장치(10)를 사용하는 피시중자 H를 식별 가능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제어 장치(60)에 보낸다. 제어 장치(70)는, 피시중자 정보 취득부(70)가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취득했을 때, 취득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기록함과 아울러, 당해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취득한 일시를 사용 시간 정보로서 기록한다. 또, 제어 장치(60)는, 예를 들면,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사용 정보가 기록되었을 때에, 당해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당해 사용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한다. 또한, 피시중자 정보 취득부(70)에 의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의 취득 방법은,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또, 피시중자 식별 정보는, 피시중자 H마다 할당된 ID 정보나, 피시중자의 목소리, 얼굴 화상 등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피시중자 H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로서의 ID 정보를 가지고, 피시중자 정보 취득부(70)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ID 정보를 취득한다. 또, 피시중자 정보 취득부(70)는, 사용자로서 미리 등록된 피시중자 H를 터치 패널 등에 표시하고, 표시된 피시중자 H 중에서 시중자 등이 선택한 하나의 피시중자 H의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시중자 정보 취득부(70)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취득한 피시중자 H의 목소리에 기초하는 음성 인증이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취득한 피시중자 H의 얼굴 화상에 기초하는 얼굴 인증 등의 생체 인증을 행하고, 특정된 피시중자 H의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시중 장치(10)에 의한 보조 동작
다음에, 시중 장치(10)의 기립 보조의 동작에 대해서, 도 2로부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중 장치(10)는, 기립 보조의 동작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기립 보조 동작의 개시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기립 준비 상태로 되고, 이 후에 도 4에 나타내는 기립 완료 상태로 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시중자는 좌위 자세의 피시중자 H의 가까이로 시중 장치(10)를 이동시킨다. 이 때에, 시중자는, 시중 장치(10)를 동작시키고, 좌위 자세의 피시중자 H가 올라탈 수가 있는 상태로 한다. 또, 시중자는 피시중자 H의 높이에 응하여 승강부(31)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어서, 피시중자 H는 양쪽 다리를 지지 부재(40)의 하측으로 비집고 들어가게 한다.
다음에, 피시중자 H는, 양쪽 발을 발 재치대(23) 위에 싣고, 종아리를 종아리 댐부(24)에 접촉시킨다. 또한, 피시중자 H는 동체를 동체 지지부(41)에 싣는다. 이 때에, 피시중자 H의 상반신은, 지지 부재(4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조금 앞으로 기운 자세로 된다. 아울러, 피시중자 H는 겨드랑이에 겨드랑이 지지부(42)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시중 장치(10)는 기립 보조 동작의 개시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시중자는, 피시중자 H에, 핸들(323)을 파지시킨다. 이 때의 피시중자 H의 당해 자세가 기립 보조 동작의 개시 자세이다. 이어서, 시중자는, 시중 장치(10)의 기립 보조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시중 장치(10)의 구동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승강부(31)의 승강과 요동부(32)의 전방으로의 경동(傾動)이 협조하여 행해진다.
기립 보조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시중 장치(10)는, 도 3에 나타내는 기립 준비 상태로 된다. 시중 장치(10)의 기립 준비 상태란, 좌위 자세의 피시중자 H를 의자 C로부터 들어 올리기 직전의 상태이다. 즉, 시중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내는 개시 상태로부터, 승강부(31)는 하강하고, 또한, 요동부(32)가 앞으로 기움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기립 준비 상태로 된다. 여기서, 시중 장치(10)가 기립 준비 상태로 되었을 때, 피시중자 H는, 엉덩이부를 의자 C의 좌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동체를 앞으로 기울고, 또한, 신장시킨 상태로 된다. 이 때의 피시중자 H의 당해 자세가 기립 준비 자세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기립 보조 프로그램이 더 계속되면, 승강부(31)가 상승하고, 또한, 요동부(32)가 더 앞으로 기운다. 그 결과, 피시중자 H는 기립 준비 자세로부터 입위 자세로 된다. 즉, 입위 자세의 피시중자 H의 상반신은, 크게 앞으로 기운 자세로 되고, 피시중자 H의 엉덩이부의 위치는 의자 C의 좌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피시중자 H의 다리부는 거의 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피시중자 H가 시중 장치(10)에 탑승한 상태로 동체 지지부(41)가 전방으로 경동함으로써, 피시중자 H는 좌위 자세에 있어서의 개시 자세로부터 기립 준비 자세를 통해 입위 자세로 이행한다. 또, 시중 장치(10)의 착좌 보조의 동작은 기립 보조의 동작에 대해서 거의 반대의 동작을 행하게 된다. 즉, 동체 지지부(41)가 후방으로 경동하면서, 승강부(31)가 하강함으로써, 피시중자 H를 입위 자세로부터 좌위 자세로 이행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좌위 자세의 피시중자 H는 용이하게 겨드랑이 지지부(42)를 겨드랑이로부터 뽑을 수가 있다.
또, 시중 장치(10)는, 제어 장치(60)가 기록한 사용 정보, 사용 시간 정보 및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서 관리 서버(90)에 업로드 한다. 이 때에,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사용 정보가 피시중자 식별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다.
5. 관리 장치(100)의 구성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관리 장치(100)는, 기억부(101)와, 입력부(102)와, 추출부(103)와, 횟수 산출부(104)와, 대응 붙임부(105)와, 제시부(106)와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를 주로 구비한다.
기억부(101)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장치 등의 광학 드라이브(optical drive) 장치, 또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01)는, 관리 서버(90)를 통해 시중 장치(10)로부터 취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이 기억되는 사용 기록 데이터 기억부(101a)와, 시중자 등에 의해 기록된 시중 기록 데이터 M2가 기억되는 시중 기록 데이터 기억부(101b)를 구비한다.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피시중자 H에 관한 피시중자 관리 정보가, 당해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시간에 관한 관리 시간 정보 및 피시중자 H가 가지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기록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포함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공통이지만,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포함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연결 가능한 정보이면,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포함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는 다른 정보이어도 좋다.
입력부(102)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을 사용하는 시중자 등이 조작 가능한 입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관리 장치(100)에 설치되는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이다. 시중자 등은, 예를 들면, 기억부(101)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 중에서 특정의 피시중자 H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때, 당해 피시중자 H가 가지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 장치는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새로운 시중 기록을 추가할 때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부(103)는, 입력부(102)가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받아들였을 때에, 당해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사용 기록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추출부(103)는, 당해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피시중자 관리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를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추출한다.
횟수 산출부(104)는, 추출부(103)가 추출한 사용 기록 및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 H가 소정 기간에 시중 장치(10)를 사용한 횟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추출부(103)가,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일주일간 분의 사용 기록을 추출했을 경우에, 횟수 산출부(104)는 당해 일주일간에 있어서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를 산출한다. 또, 횟수 산출부(104)는, 복수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시중 장치(10)가 사용된 횟수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추출부(103)가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4주간 분의 사용 기록을 추출했을 경우에, 횟수 산출부(104)는 당해 4주간에 있어서의 1주간마다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를 산출할 수가 있다.
또, 횟수 산출부(104)는, 추출부(103)가 추출한 피시중자 관리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 H에 대해서 시중자가 행한 특정의 시중 처치의 횟수 및 특정의 피시중자 H가 특정의 행동을 행한 횟수를 산출한다. 또한, 횟수 산출부(104)에 의한 횟수의 산출은, 정기적으로 행해도 좋고,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가 후술하는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밍(timing)으로 행해도 좋다.
대응 붙임부(105)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포함되는 사용 시간 정보 및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포함되는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부(103)가 추출한 특정의 피시중자에 관한 사용 정보와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대응 붙임을 행한다. 예를 들면, 대응 붙임부(105)는, 특정의 일시, 또는 특정의 기간에 있어서의 사용 정보와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대응 붙임을 행한다. 또한, 대응 붙임부(105)에 의한 대응 붙임 처리는, 정기적으로 행해도 좋고,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가 후술하는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밍으로 행해도 좋다. 또, 대응 붙임부(105)는, 대응 붙임 처리의 결과를 기억부(101)에 기억하고,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가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기억부(101)에 기억된 대응 붙임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제시부(106)는, 횟수 산출부(104)에 의한 각종 횟수의 산출 결과 및 대응 붙임부(105)에 의해 대응 붙여진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 장치(106a)(도 2 참조)에 제시한다. 또한, 제시부(106)는, 표시 장치(106a)에 표시하는 대신에, 소정의 용지에 인쇄함으로써, 각종 횟수의 산출 결과 및 대응 붙여진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사용 정보와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대응 붙인 데이터로서 제시부(106)가 제시하는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시용 데이터는, 피시중자 H에 의한 시중 장치(10)의 사용 상황과 이에 수반하는 피시중자 H의 변화의 관련성을 시중자 등이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가공된 데이터이다. 그리고, 시중자 등은, 제시용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시중 장치(10)의 사용에 의해 피시중자 H에게 준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제시용 데이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후술한다.
6. 사용 기록 데이터 M1의 구체적인 예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사용 기록 데이터 M1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사용 시간 정보와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사용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사용 정보가 사용 시간 정보 및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있어서, 일련의 사용 정보에 관련지어진 사용 시간 정보 및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파선으로 둘러싸고 있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피시중자 H의 각각에 할당된 ID 정보가 피시중자 식별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제어 장치(60)는, 상승 버튼(51)이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눌러진 경우에, 시중 장치(10)에 의한 기립 동작의 보조가 행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기록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60)는, 하강 버튼(52)이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눌러진 경우에, 시중 장치(10)에 의한 착좌 동작의 보조가 행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기록한다.
7. 시중 기록 데이터 M2의 구체적인 예
다음에, 도 7로부터 도 9를 참조하여, 시중 기록 데이터 M2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시중 기록 데이터에는, 피시중자 관리 정보로서 신체 기록 정보, 처치 기록 정보 및 행동 기록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신체 기록 정보, 처치 기록 정보 및 행동 기록 정보를 1개의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서 시중 기록 데이터 기억부(101b)에 기억해도 좋고, 신체 기록 정보, 처치 기록 정보 및 행동 기록 정보의 각각을 별개의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서 시중 기록 데이터 기억부(101b)에 기억해도 좋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신체 기록 정보, 처치 기록 정보 및 행동 기록 정보가 별개의 시중 기록 데이터 M2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듯이,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하나인 신체 기록 정보는, 시중 장치(10)의 사용자로서 등록된 피시중자 H의 신체에 관한 기록 정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신체 기록 정보로서 피시중자 H의 체중 및 혈압값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시중자 등은,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대해, 체중 및 혈압값 이외의 신체 기록 정보(예를 들면, 소정의 재활치료 운동을 행한 횟수 등)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피시중자 H의 체중 및 혈압값을 측정한 날짜가 관리 시간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신체 기록 정보에는, 관리 시간 정보로서 피시중자 H의 체중 및 혈압값을 측정한 시각을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시중자 등은, 피시중자 H의 체중 및 혈압값을 측정한 타이밍으로 신체 기록 정보를 기록하지 않고, 사후적으로 신체 기록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내듯이,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하나인 처치 기록 정보는, 피시중자 H에 대해서 시중자가 행한 특정의 시중 처치에 관한 기록 정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처치 기록 정보로서 피시중자 H에 대해서 기저귀 교환 및 하제의 투여가 행해진 것이 기록되어 있다. 또,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기저귀 교환 및 하제의 투여를 행했던 일시가 관리 시간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시중자 등은, 간호 기록 데이터 M2에 대해, 기저귀 교환 및 하제의 투여 이외의 처치 기록 정보(예를 들면, 하제 이외의 약의 투여 횟수 등)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피시중자 H에 대해서 시중자가 소정 기간 내에 특정의 시중 처치를 행했던 횟수에 관한 처치 횟수 정보가,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하나로서 기록되어 있다. 처치 횟수 정보는 소정 기간 내에 기록된 처치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횟수 산출부(104)가 산출한 처치 횟수에 관한 정보이다. 횟수 산출부(104)는, 소정 기간(예를 들면, 1주간, 1개월) 내에 특정의 시중 처치를 행한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처치 횟수 정보로서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기록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하나인 행동 기록 정보는, 피시중자 H가 행한 특정의 행동에 관한 기록 정보이다. 또한, 특정의 행동이란, 시중 장치(10)의 사용을 수반하는 행동이고, 도 9에 나타내는 시중 기록 데이터에 있어서, 특정의 행동이란, 화장실, 입욕 및 레크레이션(recreation)의 참가이고, 시중자 등은, 당해 특정의 행동이 행해진 경우에, 행동 기록 정보로서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기록한다. 또한,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상기 이외의 행동을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특정의 행동을 행한 일시가, 관리 시간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피시중자 H가 소정 기간 내에 특정의 행동을 행한 횟수에 관한 행동 횟수 정보가,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하나로서 기록되어 있다. 행동 횟수 정보는, 소정 기간 내에 기록된 행동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횟수 산출부(104)가 산출한 행동 횟수에 관한 정보이다. 횟수 산출부(104)는, 소정 기간 내에 피시중자 H가 특정의 행동을 행한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행동 횟수 정보로서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기록한다.
8. 추출부(103)에 의한 정보 추출 및 대응 붙임부(105)에 의한 대응 붙임
다음에, 추출부(103)에 의한 정보 추출의 일례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입력부(102)가 피시중자 식별 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면, 추출부(103)는 입력된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포함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조합한다. 그리고, 추출부(103)는, 해당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도 7로부터 도 9에 나타내듯이, 추출부(103)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포함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조합한다. 그리고, 추출부(103)는, 해당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피시중자 관리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를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추출한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대응 붙임부(105)에 의한 대응 붙임의 일례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한 사용 정보와, 도 9에 나타내는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추출한 행동 기록 정보의 대응 붙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사용 정보와 신체 기록 정보 또는 처치 기록 정보의 대응 붙임도, 이하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의 흐름으로 행해진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대응 붙임부(105)는, 사용 시간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한 특정의 피시중자 H에 관한 사용 정보 및 행동 기록 정보를 시계열로 나란히 한다. 다음에, 대응 붙임부(105)는,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 H가 특정의 행동을 행했던 시간대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대응 붙임부(105)는, 관리 시간 정보로서 기록된 일시의 전후 10분을, 특정의 피시중자 H가 특정의 행동을 행한 시간대인 것으로 추정한다.
다음에, 대응 붙임부(105)는, 특정의 피시중자 H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로서 기록된 시중 장치(10)의 사용 일시가, 당해 피시중자 H가 특정의 행동을 행한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에, 당해 피시중자 H가 당해 특정의 행동에 있어서 시중 장치(10)를 사용한 것을 특정한다.
9. 제시용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
다음에, 도 11로부터 도 14를 참조하여, 제시용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대응 붙임부(105)에 의해 대응 붙여진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가공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1로부터 도 14에는, 제시부(106)가 표시 장치(106a)에 제시하는 제시용 데이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제시용 데이터의 일례로서 특정의 피시중자 H에 관한 사용 정보의 추이 및 신체 기록 정보의 하나인 체중의 추이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107a)를 나타내고 있다. 제시용 데이터(107a)는, 1주간마다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추이와 1주간마다의 체중의 추이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107a)를 생성하는 데에 즈음하여, 추출부(103)는, 4주간 분의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함과 아울러, 당해 4주간 분의 신체 기록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를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추출한다. 다음에, 횟수 산출부(104)는, 추출된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 H에 의한 시중 장치(10)의 1주간마다의 사용 횟수를 산출한다. 이 후,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횟수 산출부(104)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를 시인에 의해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하기 위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대응 붙임부(105)는, 사용 시간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와 신체 기록 정보인 체중의 측정일의 대응 붙임을 1주간마다 행한다. 그리고,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체중의 측정값의 시계열 변화로서,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에 대응 붙여진 체중의 측정값의 시계열 변화를, 시인에 의해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하기 위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시부(106)는,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와 체중의 측정값의 시계열 변화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를, 대비 가능한 태양으로 나타낸 제시용 데이터(107a)를 표시 장치(106a)에 제시한다.
시중자 등은, 도 11에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107a)를 참조함으로써, 시중 장치(10)의 사용 상황과 체중의 추이의 관련성의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의 사용 상황과 체중의 추이의 사이에 관련성이 보여진 경우에, 시중 장치(10)의 사용이 체중의 증감(예를 들면, 근력의 상승에 수반하는 체중 증가 등)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아챌 수가 있다.
도 12에는, 제시용 데이터의 일례로서 특정의 피시중자 H에 관한 사용 정보의 추이 및 신체 기록 정보의 하나인 혈압값의 추이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107b)를 나타내고 있다. 제시용 데이터(107b)는, 특정의 기간에 있어서의 매일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추이와 당해 매일의 혈압값의 추이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한다. 또한, 제시용 데이터(107b)에 나타내는 2개의 꺾임선 그래프 중, 상측의 꺾임선 그래프는, 최고 혈압의 추이를 나타내고, 하측의 꺾임선 그래프는, 최저 혈압의 추이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107b)를 생성하는 데에 즈음하여, 추출부(103)는, 특정의 기간의 1주간 분의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함과 아울러, 당해 1주간 분의 신체 기록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에, 횟수 산출부(104)는, 추출된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 H에 의한 시중 장치(10)의 매일의 사용 횟수를 산출한다. 이 후,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횟수 산출부(104)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를 시인에 의해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하기 위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대응 붙임부(105)는, 사용 시간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와 신체 기록 정보로서의 혈압값의 측정일의 대응 붙임을 날마다 행한다. 그리고,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추출된 혈압값의 시계열 변화로서,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에 대응 붙여진 혈압값의 시계열 변화를 시인에 의해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하기 위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시부(106)는,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와 혈압값의 시계열 변화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를 대비 가능한 태양으로 나타낸 제시용 데이터(107b)를 표시 장치(106a)에 제시한다.
시중자 등은, 도 12에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107b)를 참조함으로써, 시중 장치(10)의 사용 상황과 혈압값의 추이의 관련성의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의 사용 상황과 혈압값의 추이의 관련성이 보여진 경우에, 시중 장치(10)의 사용이 혈압값의 변화(예를 들면, 사용 횟수의 증가에 수반하는 최고 혈압값이나 최저 혈압값의 저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아챌 수가 있다.
도 13에는, 제시용 데이터의 일례로서 특정의 피시중자 H에 관한 사용 정보 및 처치 기록 정보의 추이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107c)를 나타내고 있다. 제시용 데이터(107c)는, 1주간마다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추이와 1주간마다의 기저귀 교환 횟수 및 하제의 투여 횟수의 추이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2개의 막대 그래프 중, 좌측의 그래프는 기저귀의 교환 횟수를 나타내고, 우측의 그래프는 하제의 투여 횟수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 즈음하여, 추출부(103)는, 4주간 분의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함과 아울러, 당해 4주간 분의 처치 기록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횟수 산출부(104)는, 추출된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 H에 의한 시중 장치(10)의 1주간마다의 사용 횟수를 산출한다. 이 후,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횟수 산출부(104)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를 시인에 의해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하기 위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대응 붙임부(105)는, 사용 시간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와 처치 기록 정보의 기록일의 대응 붙임을 1주간마다 행한다. 그리고,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추출된 처치 기록 정보인 기저귀 교환 횟수 및 하제의 투여 횟수의 시계열 변화로서,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에 대응 붙여진 기저귀 교환 횟수 및 하제의 투여 횟수의 시계열 변화를 시인에 의해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하기 위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시부(106)는, 사용 횟수의 시계열 변화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와 기저귀 교환 횟수 및 하제의 투여 횟수의 시계열 변화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를 대비 가능한 태양으로 나타낸 제시용 데이터(107c)를 표시 장치(106a)에 제시한다.
시중자 등은, 도 13에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107c)를 참조함으로써, 시중 장치(10)의 사용 상황과 기저귀 교환 횟수 및 하제의 투여 횟수의 추이의 관련성의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의 사용 상황과 기저귀 교환 횟수 및 하제의 투여 횟수의 관련성이 보여진 경우에, 시중 장치(10)의 사용이 기저귀 교환 횟수 및 하제의 투여 횟수의 변화(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증가에 수반하는 기저귀 교환 횟수나 하제의 투여 횟수의 감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아챌 수가 있다.
도 14에는, 제시용 데이터의 일례로서 특정의 피시중자 H에 관한 사용 정보 및 행동 기록 정보의 추이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107d)를 나타내고 있다. 제시용 데이터(107d)는 특정의 날에 있어서 피시중자 H가 특정의 행동을 행한 시간대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한다. 또한, 제시용 데이터(107d)에는, 화장실에 간 시간대, 욕실에 간(입욕한) 시간대, 레크레이션에 참가한 시간대가, 특정의 행동을 행한 시간대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제시용 데이터(107d)로 든 특정의 날은, 어느 것이나 같은 시중 스케줄(입욕 및 레크레이션의 시간대가 같다)이 설정된 날이다. 또한, 제시용 데이터(107d)는, 2주간마다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및 화장실의 횟수, 입욕의 횟수, 레크레이션의 참가 횟수를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107d)를 생성하는 데에 즈음하여, 추출부(103)는, 2개월 분의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한다. 이어서, 횟수 산출부(104)는, 추출된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 H에 의한 시중 장치(10)의 2주간마다의 사용 횟수를 산출한다. 또, 추출부(103)는, 당해 2개월 분의 행동 기록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를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추출하고, 횟수 산출부(104)는, 추출된 행동 기록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피시중자 H에 의한 2주간마다의 특정 행동의 횟수를 산출한다. 이 후,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횟수 산출부(104)에 의한 산출 결과를 시인에 의해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하기 위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 추출부(103)는, 추출한 2개월 분의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로부터 특정의 날에 있어서의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당해 2개월 분의 행동 기록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로부터 당해 특정의 날에 있어서의 행동 기록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에, 대응 붙임부(105)는, 사용 시간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와 행동 기록 정보의 기록일의 대응 붙임을 날마다 행하고, 시중 장치(10)의 하나의 사용에 대응하는 행동을 특정한다. 그리고,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107)는 대응 붙임부가 특정한 행동을 시중 장치(10)의 사용 용도로서 제시하기 위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시부(106)는,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및 특정 행동의 횟수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와 시중 장치(10)의 사용 용도에 관한 제시용 데이터를 대비 가능한 태양으로 나타낸 제시용 데이터(107d)를 표시 장치(106a)에 제시한다.
시중자 등은, 도 14에 나타내는 제시용 데이터(107d)를 참조함으로써, 시중 장치(10)의 사용 상황 추이와 특정 행동을 행한 횟수의 추이의 관련성의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추이와 화장실의 횟수의 추이의 관련성이 보여진 경우에, 시중 장치(10)의 사용에 의한 화장실 횟수의 변화(시중자에의 부담이 경감됨으로써, 화장실에 스스럼없이 가기 쉬워지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아챌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피시중자 식별 정보, 사용 시간 정보 및 관리 시간 정보를 통해 대응 붙여진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시인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한다. 이에 의해,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을 사용하는 시중자 등은, 대응 붙여진 사용 정보 및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피시중자 H에 의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과 이에 수반하는 피시중자 H의 변화의 관련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피시중자 H에 가져오는 효과를 파악할 수가 있다.
또,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제시부(106)는, 복수의 소정 기간마다의 시중 장치(10)가 사용된 횟수의 시계열 변화와 당해 복수의 소정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대비 가능한 태양으로 제시한다. 이에 의해,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와 사용 횟수의 증감에 수반하는 피시중자 H의 관련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12. 실시 형태의 변형 태양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리 장치(100)는, 관리 서버(90)를 통해 시중 장치(10)가 기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취득했다. 이에 대해서, 관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LAN을 통해서 시중 장치(10)와 직접 통신함으로써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취득해도 좋다. 또한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관리 장치(100)의 구성의 일부를 시중 장치(10) 또는 관리 서버(90)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시중 장치(10) 또는 관리 서버(90)에 있어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시용 데이터를 관리 장치(100)의 기억부(101)에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10:시중 장치
101a:사용 기록 데이터 기억부
101b:시중 기록 데이터 기억부
103:추출부 104:횟수 산출부
105:대응 붙임부 106:제시부
H:피시중자 M1:사용 기록 데이터
M2:시중 기록 데이터
101a:사용 기록 데이터 기억부
101b:시중 기록 데이터 기억부
103:추출부 104:횟수 산출부
105:대응 붙임부 106:제시부
H:피시중자 M1:사용 기록 데이터
M2:시중 기록 데이터
Claims (9)
-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상기 피시중자의 식별에 이용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사용 기록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피시중자에 관한 정보로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변동할 수 있는 피시중자 관리 정보가,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시간에 관한 관리 시간 정보 및 상기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시중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중 기록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사용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상기 시중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상기 피시중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 및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대응 붙임을 행하는 대응 붙임부와,
상기 대응 붙임부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사용정보 및 상기 피시중자 관리정보를 상기 피시중자에 의한 상기 시중 장치의 사용상황과 그에 따른 상기 피시중자의 변화와의 연관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가공한 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제시용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시용 데이터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제시하는 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에 상기 시중 장치가 사용된 횟수를 복수의 상기 소정 기간에 대해서 산출하는 횟수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 붙임부는, 상기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중 장치가 사용된 횟수와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를 상기 소정 기간마다 대응 붙임을 하고,
상기 제시부는, 복수의 상기 소정 기간마다의 상기 시중 장치가 사용된 횟수의 시계열 변화와 복수의 상기 소정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대비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는, 상기 소정 기간 내에서의 상기 피시중자의 신체에 관한 신체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기록 정보는, 상기 피시중자의 체중 및 상기 피시중자의 혈압값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포함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는, 상기 피시중자에 대해, 상기 소정 기간 내에 특정의 시중 처치를 행한 횟수에 관한 처치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횟수 정보는, 기저귀의 교환 횟수 및 약의 투여 횟수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포함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중자 관리 정보는, 상기 피시중자가 상기 소정 기간 내에 특정의 행동을 행한 횟수에 관한 행동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횟수 정보는, 화장실의 횟수, 입욕의 횟수 및 레크레이션의 참가 횟수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붙임부는, 상기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관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중 장치의 하나의 사용에 대응하는 상기 행동을 특정하고,
상기 제시부는, 상기 대응 붙임부가 특정한 상기 행동을, 상기 시중 장치의 사용 용도로서 제시하는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9/008719 WO2020178993A1 (ja) | 2019-03-05 | 2019-03-05 | 介助情報管理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4861A KR20210044861A (ko) | 2021-04-23 |
KR102508332B1 true KR102508332B1 (ko) | 2023-03-08 |
Family
ID=7233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8228A KR102508332B1 (ko) | 2019-03-05 | 2019-03-05 |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175598A1 (ko) |
JP (1) | JP7105365B2 (ko) |
KR (1) | KR102508332B1 (ko) |
CN (1) | CN113508436B (ko) |
CA (1) | CA3131238C (ko) |
DE (1) | DE112019006983T5 (ko) |
WO (1) | WO20201789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8663B1 (ko) * | 2019-12-25 | 2023-09-13 | 가부시키가이샤 가마카츠 | 어시스턴스용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2085A1 (ja) * | 2013-05-28 | 2014-12-04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介助ロボット |
JP2015165879A (ja) * | 2014-03-04 | 2015-09-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介護システム |
WO2018047326A1 (ja) * | 2016-09-12 | 2018-03-15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介助装置 |
WO2018051405A1 (ja) * | 2016-09-13 | 2018-03-22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介助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26649B2 (en) * | 1999-11-18 | 2012-12-04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System for providing expert care to outpatients from a remote location |
JP2002063276A (ja) * | 2000-08-15 | 2002-02-28 | Soft Science:Kk | 介護サービス管理支援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
US20040030531A1 (en) * | 2002-03-28 | 2004-02-12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onitoring, recognizing, supporting, and responding to the behavior of an actor |
JP2005332324A (ja) * | 2004-05-21 | 2005-12-02 | Hitachi Software Eng Co Ltd | 介助支援システム |
JP2006048554A (ja) * | 2004-08-06 | 2006-02-16 | Biophilia Kenkyusho Kk | 遠隔コンピューター在宅健康認識システム |
JP2008073501A (ja) | 2006-08-21 | 2008-04-03 | Toshihiko Yasuda | 移乗介助ロボット |
CN101234224A (zh) * | 2008-01-29 | 2008-08-06 | 河海大学 | 一种利用虚拟现实技术帮助用户进行训练康复的方法 |
KR20120024997A (ko) * | 2008-02-29 | 2012-03-14 |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 운동 기기 시스템 |
JP5531711B2 (ja) * | 2010-03-29 | 2014-06-25 |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 健康管理支援装置、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健康管理支援プログラム |
US8844073B2 (en) * | 2010-06-07 | 2014-09-30 | Hill-Rom Services, Inc. |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monitoring a person |
US9295600B2 (en) * | 2011-04-08 | 2016-03-29 | Hill-Rom Services, Inc. | Person support apparatus with activity and mobility sensing |
US20120259245A1 (en) * | 2011-04-08 | 2012-10-11 | Receveur Timothy J | Person support apparatus with activity and mobility sensing |
WO2013028961A1 (en) * | 2011-08-24 | 2013-02-28 | Hill-Rom Services, Inc. | Patient stand assist, therapy devices, and methods |
JP5981158B2 (ja) * | 2012-02-10 | 2016-08-31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立ち座り動作支援ロボットおよび動作設定方法 |
US9501613B1 (en) * | 2012-04-24 | 2016-11-22 | Alarm.Com Incorporated | Health and wellness management technology |
EP2684549B1 (en) * | 2012-07-12 | 2019-09-11 |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 Monitor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atient lifts |
WO2014104360A1 (ja) * | 2012-12-28 | 2014-07-03 | 株式会社東芝 | 動作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
WO2014122751A1 (ja) * | 2013-02-07 | 2014-08-14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移動補助ロボット |
US10360343B2 (en) * | 2013-03-15 | 2019-07-23 | Adityo Prakash | Facilitating integrated behavioral support through personalized adaptive data collection |
CN103488880B (zh) * | 2013-09-09 | 2016-08-10 | 上海交通大学 | 智慧城市中的远程医疗康复系统 |
US11033238B2 (en) * | 2013-10-16 | 2021-06-15 | University of Central Oklahoma | Intelligent apparatus for guidance and data capture during physical repositioning of a patient on a sleep platform |
US10182766B2 (en) * | 2013-10-16 | 2019-01-22 | University of Central Oklahoma | Intelligent apparatus for patient guidance and data capture during physical therapy and wheelchair usage |
US10311694B2 (en) * | 2014-02-06 | 2019-06-04 | Empoweryu, Inc. |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indirect monitoring of subject for well-being in unattended setting |
TW201622677A (zh) * | 2014-09-19 | 2016-07-01 | Panasonic Ip Man Co Ltd | 起立動作支援系統、起立動作支援系統之控制部的控制方法、起立動作支援系統之控制部用程式、照護帶、機器人 |
US20180122209A1 (en) * | 2015-04-01 | 2018-05-03 | Smartcare Consultants, Llc | System for determining behavioral patterns and deviations from determined behavioral patterns |
WO2017060964A1 (ja) * | 2015-10-06 | 2017-04-13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介助ロボット |
DK3360525T3 (da) * | 2015-10-06 | 2021-04-06 | Fuji Corp | Assistanceindretning |
JP7007912B2 (ja) * | 2015-10-06 | 2022-01-25 | 株式会社Fuji | 介助装置 |
SG11201803863PA (en) * | 2015-12-01 | 2018-06-28 | Fuji Corp | Care device |
EP3412269B1 (en) * | 2016-02-05 | 2020-10-14 | Fuji Corporation | Assistance robot |
SG11201806621RA (en) * | 2016-02-15 | 2018-09-27 | Fuji Corp | Assistance robot |
CN109069334A (zh) * | 2016-05-17 | 2018-12-21 | 株式会社富士 | 介助装置 |
JP2017220147A (ja) * | 2016-06-10 | 2017-12-14 | 岩手インフォメ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給付金申請支援システム、申請者側装置、給付金申請支援方法、及び給付金申請支援プログラム |
CN105913357A (zh) * | 2016-07-05 | 2016-08-31 | 吴本刚 | 基于云计算的康复训练系统 |
JP6775151B2 (ja) * | 2016-09-02 | 2020-10-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起立動作支援装置、起立動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8074317A (ja) * | 2016-10-27 | 2018-05-10 | 株式会社セキュア | 人物特定支援装置 |
CN108399956A (zh) * | 2017-02-08 | 2018-08-14 | 上海跃扬医疗科技有限公司 | 养老院看护管理装置、养老院看护管理设备以及系统 |
CN110678895B (zh) * | 2017-05-18 | 2023-07-11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生活辅助系统、生活辅助方法及程序 |
US11094180B1 (en) * | 2018-04-09 | 2021-08-17 |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 Sensing peripheral heuristic evidence, reinforcement, and engagement system |
CN108986884A (zh) * | 2018-05-31 | 2018-12-11 | 杭州同绘科技有限公司 | 一种平衡康复与认知康复相融合的训练系统和方法 |
CN109346149B (zh) * | 2018-08-30 | 2020-09-04 | 合肥工业大学 | 一种用于认知康复训练的机械辅助训练设备及其训练方法 |
US11278786B2 (en) * | 2018-09-28 | 2022-03-22 | Hill-Rom Servic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and quantifying patient mobility |
-
2019
- 2019-03-05 US US17/436,066 patent/US20220175598A1/en active Pending
- 2019-03-05 CA CA3131238A patent/CA3131238C/en active Active
- 2019-03-05 CN CN201980093422.9A patent/CN113508436B/zh active Active
- 2019-03-05 JP JP2021503320A patent/JP7105365B2/ja active Active
- 2019-03-05 DE DE112019006983.7T patent/DE112019006983T5/de active Pending
- 2019-03-05 KR KR1020217008228A patent/KR1025083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3-05 WO PCT/JP2019/008719 patent/WO202017899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2085A1 (ja) * | 2013-05-28 | 2014-12-04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介助ロボット |
JP2015165879A (ja) * | 2014-03-04 | 2015-09-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介護システム |
WO2018047326A1 (ja) * | 2016-09-12 | 2018-03-15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介助装置 |
WO2018051405A1 (ja) * | 2016-09-13 | 2018-03-22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介助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9006983T5 (de) | 2021-12-09 |
JP7105365B2 (ja) | 2022-07-22 |
WO2020178993A1 (ja) | 2020-09-10 |
CN113508436A (zh) | 2021-10-15 |
CN113508436B (zh) | 2023-06-02 |
US20220175598A1 (en) | 2022-06-09 |
JPWO2020178993A1 (ja) | 2021-11-18 |
CA3131238A1 (en) | 2020-09-10 |
CA3131238C (en) | 2023-05-23 |
KR20210044861A (ko) | 2021-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90045B2 (en) |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 |
US20080132383A1 (en) | Device And Method For Training, Rehabilitation And/Or Support | |
CN106361551A (zh) | 一种具有多项健康指标检测功能的按摩椅 | |
JP6770831B2 (ja) | マッサージ機を備えた施療システム | |
CN114555026B (zh) | 倾斜/升降椅 | |
TW201808250A (zh) | 具備按摩機之施療系統 | |
JP6579351B2 (ja) | 生体状態推定システムおよび生体状態推定方法 | |
KR102508332B1 (ko) |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 |
KR101621683B1 (ko) |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동작 훈련용 재활치료기기 | |
KR101937352B1 (ko) | 하지 재활운동장치 | |
US6615432B1 (en) | Movable stand to assist a person from a lying or sitting position to a sitting and/or standing position | |
WO2017187671A1 (ja) | 支援方法、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KR100919838B1 (ko) | 건강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588081B1 (ko) | 시중 시스템 | |
US20220386776A1 (en) | Tilting/lifting chair | |
KR102284897B1 (ko) |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 |
KR20220055310A (ko) | 신체상태 측정 및 분석장치 | |
Oddy | Promoting mobility in patients with dementia: some suggested strategies for physiotherapists | |
Lu et al. | A survey on assistive chair and related integrated sensing techniques | |
JP2001129032A (ja) | 介護補助装置 | |
WO2015186709A1 (ja) | 体重測定装置、体重測定システム、および体重測定装置の制御方法 | |
Huang | Assistive Chair Design 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