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678A - 직물 접촉 디바이스, 시스템,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 접촉 디바이스, 시스템,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678A
KR20210043678A KR1020217008149A KR20217008149A KR20210043678A KR 20210043678 A KR20210043678 A KR 20210043678A KR 1020217008149 A KR1020217008149 A KR 1020217008149A KR 20217008149 A KR20217008149 A KR 20217008149A KR 20210043678 A KR20210043678 A KR 2021004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tact
fabric
retaining element
contac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934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무트
우베 블뤼멜
마르셀 발테스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4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flat conductive elements, e.g.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5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knitted fab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ven Fabr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 접촉 디바이스, 이러한 직물 접촉 디바이스를 갖는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물 접촉 디바이스는 제1 접촉 섹션, 제2 접촉 섹션 및 리테이닝 수단을 가지며, 제1 접촉 섹션은 제2 접촉 섹션을 향하는 제1 상부 측에 제1 접촉면을 갖고, 제2 접촉 섹션은 제1 접촉 섹션을 향하는 하부측에 제2 접촉면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실을 갖는 직물은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제1 및/또는 제2 접촉면은 전기 전도성 실과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제1 접촉 섹션은 제1 측 상의 제2 접촉 섹션에 연결되고, 리테이닝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테이닝 요소를 가지며, 제1 리테이닝 요소는 제1 고정 단부에서 제1 접촉 섹션의 제2 측에 연결되고, 제1 리테이닝 요소는 제1 고정 단부와 경계를 이루는 제1 섹션에 의해 제2 접촉 섹션을 지나 측방향으로 안내되고, 제1 고정 단부 반대편의 제1 리테이닝 요소의 측에서 제1 섹션과 경계를 이루는 제2 섹션은, 제2 접촉 섹션 뒤에 맞물리고 제1 접촉 섹션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직물 접촉 디바이스, 시스템,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직물 접촉 디바이스, 시스템,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항에 따른 직물 접촉 디바이스, 시스템, 특히 제11 항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및 제13 항에 따른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난방 시스템들은 2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직물을 갖는다. 접촉을 위한 전기 케이블이 전극들에 납땜된다. 납땜 작업은 복잡하고 그리고 프로세스 안전 측면에서 높은 요구사항들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문제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 개선된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제1 항에 따른 직물 접촉 디바이스에 의해, 시스템에 의해, 특히 제11 항에 따른 난방 시스템에 의해 그리고 또한 제13 항에 따른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특정된다.
개선된 직물 접촉 디바이스가, 제1 접촉 섹션, 제2 접촉 섹션 및 리테이닝 수단을 갖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제1 접촉 섹션은 제2 접촉 섹션을 향하는 제1 상부 측 상에 제1 접촉면을 갖고, 제2 접촉 섹션은 제1 접촉 섹션을 향하는 하부측 상에 제2 접촉면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실을 갖는 직물이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접촉면은 전기 전도성 실(yarn)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제1 접촉 섹션은 제1 측에서 제2 접촉 섹션에 연결된다. 리테이닝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테이닝 요소를 가지며, 제1 리테이닝 요소는 제1 고정 단부에서 제1 접촉 섹션의 제2 측에 연결된다. 제1 리테이닝 요소는 제1 고정 단부와 경계를 이루는 제1 섹션에 의해 제2 접촉 섹션을 지나 측방향으로(laterally) 안내되고, 제1 고정 단부 반대편의 제1 리테이닝 요소의 측에서 제1 섹션과 경계를 이루는 제2 섹션은, 제2 접촉 섹션 뒤에 맞물리고 제1 접촉 섹션에 연결된다.
이 구성은, 직물 접촉 디바이스가 완전히 자동화된 방식으로 직물에 연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직물 접촉 디바이스를 직물의 전극에 연결하기 위한 고가의 납땜이 생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직물 접촉 디바이스 및 직물으로부터 시스템을 제조하는데 탁월한 프로세스 안전성이 보장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힌지가 제1 접촉 섹션과 제2 접촉 섹션 사이에 배열된다. 힌지는 제1 접촉 섹션을 제2 접촉 섹션에 연결한다. 제2 접촉 섹션은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제1 포지션에서, 제2 접촉 섹션은 제1 접촉 섹션에 대해 접힌다. 제2 포지션에서, 제2 접촉 섹션은 제1 접촉 섹션으로부터 멀리 접힌다. 제2 접촉 섹션으로부터 제1 접촉 섹션을 멀리 접음으로써, 직물은 시스템의 제조시에 제1 접촉 섹션과 제2 접촉 섹션 사이에 특히 양호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직물 접촉 디바이스는 스탬핑 및 벤딩 방법에 의해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1 리테이닝 요소는 제1 리테이닝 요소의 제1 고정 단부로부터 팁까지 테이퍼진다. 이 구성은 리테이닝 요소가 특히 직물의 노치를 통해 간단하게 안내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이것은 직물의 실이 리테이닝 요소에 걸리지 않고 결과적으로 시스템을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2 접촉면은 파형상(wave-shaped) 방식으로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접촉 섹션은 판형상 방식으로 형성되고, 제1 접촉면은 실질적으로 평면 방식으로 형성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수단은 제2 리테이닝 요소를 가지며, 제2 리테이닝 요소는 제2 고정 단부에 의해 제1 접촉 섹션의 제3 측에 연결된다. 제2 리테이닝 요소는, 제2 고정 단부와 경계를 이루는 제3 섹션에 의해 제2 접촉 섹션을 지나 측방향으로 안내된다. 제2 고정 단부 반대편의 제2 리테이닝 요소의 측에서 제3 섹션과 경계를 이루는 제4 섹션은 제2 접촉 섹션 뒤에 맞물리고 제1 접촉 섹션을 제2 접촉 섹션에 연결한다. 제1 리테이닝 요소 및 제2 리테이닝 요소의 대향 배열에 의해, 제1 접촉 섹션에 대한 제2 접촉 섹션의 측방 굽힘(lateral bending-up)이 방지되어, 실질적으로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진다. 결과적으로, 양측의 직물에 대한 접촉면들의 평탄한 베어링이 보장될 수 있다. 더욱이, 리테이닝 요소들의 후방 맞물림에 의한 접촉면들의 굽힘이 신뢰가능하게 회피되기 때문에, 직물 상의 접촉면의 양호한 클램핑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2 측은 제3 측의 반대편에 배열된다. 제1 측은 제2 측과 제3 측 사이에 배열된다. 제2 섹션은 적어도 섹션들에서 제2 리테이닝 요소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섹션은 적어도 섹션들에서 제1 리테이닝 요소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2 접촉 섹션은 제2 상부 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만입부 및 제1 만입부에 대해 오프셋 배열된 하나의 제2 만입부를 갖는다. 제1 만입부 및 제2 만입부는, 제2 측을 향하는 제2 접촉 섹션의 제4 측과 제3 측을 향하는 제2 접촉 섹션의 제5 측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및 제2 만입부들은 세장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2 만입부는 제1 만입부와 평행하게 이어진다. 제1 리테이닝 요소의 제2 섹션은 제1 만입부와 맞물리고 제4 섹션은 제2 만입부와 맞물린다. 이 구성은 길이 방향으로의 제2 접촉 섹션의 미끄러짐이 회피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결과, 리테이닝 요소와 제2 접촉 섹션 사이에 특히 양호한 형태 끼워맞춤 연결(form-fitting connection)이 보장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2 접촉 섹션은 하부측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2 개의 벌지들(bulges)을 갖는다.
벌지들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진다.
직물의 제2 실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 만입부가 벌지들 사이에 배열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직물 접촉 디바이스는 인접한 섹션(adjoining section)을 갖는다. 인접한 섹션은 제1 접촉 섹션의 제1 측에 연결된다. 인접한 섹션은 전기 케이블의 전기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인접한 섹션은 원주 방향으로 오목부의 범위를 정한다.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인접 섹션의 프레임 폭은,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에서 오목부의 최대 범위보다 작다.
시스템,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은 직물과 직물 접촉 디바이스를 갖는다. 직물 접촉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직물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접촉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을 갖는다. 제1 전극의 접촉 영역은 제1 접촉 섹션과 제2 접촉 섹션 사이에 배열된다. 2 개의 접촉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섹션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갖는다. 제1 섹션은 직물을 통해 맞물리고 직물을 직물 접촉 디바이스에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직물은 제1 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실을 갖는다. 더욱이, 직물은 제1 직물 섹션, 제2 직물 섹션, 및 제3 직물 섹션을 갖는다. 제1 실은 전기 전도성 물질을 갖는다. 제2 실은 전기 절연 물질을 갖는다. 제1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실 및 제2 실은 직물의 제1 직물 섹션에서 인터위빙된다(interwoven). 제2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실 및 제2 실은 제1 직물 섹션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 제3 직물 섹션에서 인터위빙된다. 단지 제2 실만이 제1 직물 섹션과 제3 직물 섹션 사이에 배열된 제2 직물 섹션에서 인터위빙된다. 제2 직물 섹션은 제3 직물 섹션으로부터 제1 직물 섹션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직물 접촉 디바이스는 제2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제2 직물 섹션에 도입된다. 제1 섹션은 노치를 통해 맞물린다.
이 시스템은 제공되는 직물 및 직물 접촉 디바이스에 의해 특히 보다 양호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제2 접촉 섹션은 제2 포지션에 위치된다. 제1 전극의 접촉 영역은 제1 접촉 섹션 위에 위치결정된다. 제1 리테이닝 요소는, 제1 섹션이 직물을 통해 맞물리는 그러한 방식으로 직물을 통해 밀어넣어진다. 제2 접촉 섹션은 제2 포지션으로부터 제1 포지션 내로 선회된다. 제2 접촉 섹션은 제1 접촉 영역 상에서, 제2 접촉면에 놓여 있고 이 제1 접촉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접촉 영역은 제1 접촉 섹션의 제1 접촉면 상에 놓여 있고 이 제1 접촉 섹션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제1 리테이닝 요소의 제2 섹션은 성형되고, 바람직하게는 크림핑결합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직물 접촉 디바이스는 제2 물질의 용융 온도 및/또는 유리 전이 온도를 초과하여 가열된다. 제2 실은 제1 접촉 섹션과 제2 접촉 섹션 사이에서 융합되고, 용융된 제2 물질은 벌지에 의해 변위되고 유지력이 접촉 섹션에 작용한다. 제2 물질이 추가 만입부에 유입된다. 제2 물질은 추가 만입부에서 경화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시스템의 사시도의 컷아웃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직물 접촉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직물 접촉 디바이스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단면(A-A)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직물 접촉 디바이스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단면(B-B)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장착된 상태의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제1 방법 단계 동안의 직물 접촉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2 방법 단계 이후의 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3 방법 단계 동안의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4 방법 단계 동안의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5 방법 단계 동안의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6 방법 단계 동안의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7 방법 단계 동안의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8 방법 단계 동안의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8 방법 단계 이후의 시스템의 정면도의 컷아웃을 도시한다.
도 18은 제8 방법 단계 이후의 시스템 변형의 정면도의 컷아웃을 도시한다.
도 19는 제9 방법 단계 동안의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하기 도면들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좌표계를 참조한다. 이 경우에, 좌표계는 x 축(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y 축(횡단 방향(transverse direction)) 및 z 축(수직 방향(vertical direction))을 포함한다. 좌표계는 예로써, 오른손 좌표계로 형성된다.
도 1은 시스템(10)의 사시도의 컷아웃을 도시한다.
시스템(10)은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특히 시트 난방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직물(15) 및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를 갖는다. 직물(15)은 직물(15)의 범위를 정하는 에지(25)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에지(25)는 예로서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직물(15)은 또한 제1 직물 섹션(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직물 섹션(35)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1 직물 섹션(30) 및 제2 직물 섹션(35)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고, 그리고 실시예에서, 예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직물 섹션(30)은 횡단 방향으로 제2 직물 섹션(35)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 경우에, 제2 직물 섹션(35)은 횡단 방향으로 제1 직물 섹션(30)과 직접적으로 경계를 이루며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제1 직물 섹션(30)에서, 직물(15)은 제1 실(40) 및 제2 실(45)을 갖는다. 제1 실(40)은 전기 전도성 물질을 갖는다. 제1 실(4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와이어는 작은 직경을 갖는데, 예를 들어, 직경은 0.02mm 내지 0.08mm 범위이다. 실시예에서, 제1 실(40)은 0.05 mm의 직경을 갖는다. 제2 실(45)은 전기 절연 물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갖는다.
제1 직물 섹션(30)에서, 제1 실(40)은 제2 실(45)과 인터위빙되어(interwoven) 제1 전극(50)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제1 실(40)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인터위빙될 수 있는 한편, 제2 실(45)은 횡단 방향으로 인터위빙된다. 제1 실(40)과 제2 실(45)의 상이한 인터위빙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전극(50)은 직물(15)의 에지(25)까지 연장된다. 에지(25)에 인접하여, 제1 전극(50)은 제1 직물 접촉 영역(51)을 갖는다.
직물(15)은 또한 제1 보조 전극(55),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제1 보조 전극들(55)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보조 전극(55)은 y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보조 전극(55)은 제1 전극(50)과 교차하며 그리고 제1 전극(50)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제1 보조 전극(55)은 마찬가지로 제1 실(40)로부터 제2 실(45)로 직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보조 전극(55)은 제1 전극(50)이 횡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길이 방향으로 상당히 좁게 형성된다. 제1 보조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1 실(40)은 횡단 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수 개의 제1 보조 전극들(55)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제1 보조 전극들(55)은 제2 실(45)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제1 전극(50)에 의해서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제1 접촉 섹션(60) 및 제2 접촉 섹션(65)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제1 접촉 섹션(60)은 제1 전극(50)의 직물 접촉 영역(51) 아래에 배열되고, 상기 직물 접촉 영역(51)은 에지(25)와 경계를 이룬다.
제2 접촉 섹션(65)은 힌지(70)에 의해 제1 접촉 섹션(60)에 연결된다. 제2 접촉 섹션(65)은 도 1에 묘사된 바와 같이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선회 축(75)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선회 축(75)은 에지(25)에 평행하게 이어지고, 그리고 실시예에서, 예로서 y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의 직물(15)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직물(15)은 제1 직물 섹션(30) 및 제2 직물 섹션(35)뿐만 아니라 제3 직물 섹션(80)을 갖는다. 제3 직물 섹션(80)은 제1 직물 섹션(30)과 이격되어 배열된다. 제2 직물 섹션(35)은 제1 직물 섹션(30)과 제3 직물 섹션(80) 사이에 배열된다.
제2 전극(85)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실(40)은 제3 직물 섹션(80)에서 제2 실(45)과 함께 인터위빙된다. 이 경우에, 제3 직물 섹션(80)의 제1 실(40)은 제1 직물 섹션(30)의 제1 실(40)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되고 그리고 제2 직물 섹션(35)에 의해 제1 직물 섹션(3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2 전극(85)은 에지(25)와 경계를 이루는 제2 직물 접촉 영역(86)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직물(15)은 제2 보조 전극(90)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보조 전극(90)은 제1 보조 전극(55)과 평행하게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보조 전극들(55, 90)은 y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제2 보조 전극(90)은 각각의 경우에, 2 개의 제1 보조 전극(55)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평면도에서, 제1 보조 전극(55)은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85)과 교차한다. 이 경우에, 제1 보조 전극(55), 보다 정확하게는 제1 보조 전극(55)의 제1 실(40)은, 제1 보조 전극(55)이 제2 전극(85)과 전기적 접촉을 갖지 않고 특히 제1 보조 전극(55) 사이의 교차 영역에서 제2 실(4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제2 실(45)과 인터위빙된다.
제2 보조 전극(90)은 마찬가지로 교차 방식으로 제2 전극(85)에 의해 안내되고 그리고 제2 전극(8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보조 전극(90)과 제1 전극(50)의 평면도의 본 교차 영역에서, 제1 전극(50)과 제2 보조 전극(9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 실(40)과 제2 실(45)은, 제2 보조 전극(90)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실(40)이 제1 실(4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제1 전극(50)을 형성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인터위빙된다.
게다가, 직물(15)은 예로서, 규칙적인 간격들로 제2 실(45)로 직조된 저항 전극들(95)을 가지며, 저항 전극들(95)은 예를 들어, 탄소에 의해 봉입된 플라스틱 코어를 갖는다. 개별 저항 전극들(95)은 각각의 경우에, 횡단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에, 저항 전극들(95)은 제2 실(45)에 의해 지탱된다. 저항 전극들(95)은 보조 전극들(55, 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극(50)과 제2 전극(85)이 전기적으로 전원에 연결되면,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전극(50)과 제2 전극(85) 사이의 전류 회로가 제1 보조 전극(55), 제2 보조 전극(90)의 저항 전극(들)(95) 및 제2 전극(85)을 통해 폐쇄된다. 이 경우에, 저항 전극(95)이 가열되게 되어 직물(15)의 가열로 이어진다. 그 결과, 직물(15)은 특히 자동차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에서와 같이 좌석 영역들 또는 다른 표면들을 난방하기 위해 난방 시스템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치(100)가 제3 직물 섹션(80)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노치(100) 및 제2 노치(105)가 전극(50, 85)의 양 측들 상에 각각 배열된다. 노치(100, 105)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노치(100, 105)는 좁게 형성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시스템(10)의 제조시에 직물(15)을 절단함으로써 직물(15) 내로 도입된다. 그러나, 노치(100, 105)는 또한 스탬핑 방법에 의해 직물(15)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는 노치(100, 105)의 횡단 방향의 폭이 스탬핑 도구의 기하학적 구성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노치(100, 105)는 횡단 방향으로 전극(50, 85)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고 그리고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조 전극들(55, 90)을 통해 절단될 수 있다.
제1 접촉 영역(56) 및/또는 제2 접촉 영역(86)에서, 제2 실(45)은 납땜제(soldering agent)(도 2에 묘사되지 않음)에 의해 봉입될 수 있다. 납땜제는 예를 들어, 융제(fluxing agent) 및 솔더링 가능한 전기 전도성 제3 물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물질은 주석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직물 접촉 디바이스(2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2 접촉 섹션(65)이 도 3에서 제2 포지션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접촉 섹션(65)은 힌지(70)에 의해 제1 접촉 섹션(60)로부터 멀리 접혀진다. 그 결과, 제2 접촉 섹션(65)은 제1 접촉 섹션(60)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배열된다.
제1 접촉 섹션(60)은 판형상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도 3에서 xy 평면에서 연장된다. 제1 접촉 섹션(60)은 제1 상부 측(110) 상에 제1 접촉면(115)을 갖는다. 제1 접촉면(115)은 실질적으로 평면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직물 접촉 영역(51)에서 직물(15)의 하부측에 대해 지탱된다. 제1 접촉면(115)은 실질적으로 제1 상부 측(110)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이 경우에, 제1 접촉 섹션(60)은 평면도에서 직사각형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 제1 접촉 섹션(60)은 y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단부면으로 지칭될 수 있는 제1 측(120) 상에서 힌지(70)에 연결된다. 횡단 방향으로, 힌지(70)는 예를 들어, 제1 접촉 섹션(60)의 제1 최대 범위(b)보다 더 좁게 형성된다.
상부 측에서, 제1 접촉 섹션(60)은 제1 접촉면(115) 상에 하나 이상의 홈 형상의 제1 오목부들(125)을 가질 수 있다. 제1 오목부(125)는 슬림하게 형성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에, 제1 오목부(125)는 예로서, y 축에 대해 각도(α)로 그리고 이에 따라 선회 축(75)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된다. 각도(α)는, 바람직하게 20°내지 45°의 값을 갖는다. 도 3에서, 예로서, 수 개의 제1 오목부들(125)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제1 오목부들(125)은 이격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지게 배열된다. 물론, 제1 오목부들(125)이 서로 교차하거나 다른 구성을 갖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제1 오목부(125)는 하방 폐쇄 방식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1 오목부(125)는 관통 개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접촉 섹션(65)은 하부측(130) 상에 제2 접촉면(135)을 갖는다. 도 3에서, 제2 접촉 섹션(65)은 제2 포지션으로 묘사되어 있고, 선회 축(75)을 중심으로 제1 접촉 섹션(60)으로부터 멀리 접혀져 있다.
제2 접촉 섹션(65)은 적어도 섹션들에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제2 접촉 섹션(65)에는 파형 프로파일(wave profile)(106)이 제공된다. 파형 프로파일(106)은 선회 축(75)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파형 프로파일(106)은 연속적이며 그리고 이에 따라 제2 접촉 섹션(65)의 상부 측 및 하부측 둘 모두에 나타나 있다. 파형 프로파일(106)은 균일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에, 파형 프로파일(106)은 제2 접촉 섹션(65)이 제1 포지션에서 투영될 때 그리고 제1 접촉 섹션(60)이 xy 투영 평면에서 z 방향으로 투영될 때, 제1 오목부들(125) 및 파형 프로파일(106)이 xy 투영 평면에서 서로 교차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파형으로 되어 있다.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또한 리테이닝 수단(140)을 갖는다. 리테이닝 수단(140)은, 제2 접촉 섹션(65)의 제1 포지션에서, 제2 접촉 섹션(65)을 제1 접촉 섹션(60)에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하고 그리고 제2 접촉 섹션(65)이 제2 포지션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수단(140)은 예로서, 제1 리테이닝 요소(145), 제2 리테이닝 요소(150), 제3 리테이닝 요소(155), 및 제4 리테이닝 요소(160)를 갖는다.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의 수는 예시적이다. 물론, 상이한 수의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이 또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 중 단지 하나만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제1 접촉 섹션(60)의 제2 측(165) 상에, 제1 리테이닝 요소(145)가 제1 고정 단부(170)에 의해 제1 접촉 섹션(60)의 제2 측(165)에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예로서, 제2 측(165)은 제1 접촉 섹션(60)의 제1 측(120)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되고 그리고 실시예에서 x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물론, 제2 측(165)은 또한 제1 측(120)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향될 수 있다.
제2 리테이닝 요소(150)는 제1 접촉 섹션(60)의 제3 측(175) 상에 배열된다. 제3 측(175)은 제2 측(165) 반대편에 배열된다. 더욱이, 제1 측(120)이 횡단 방향으로 제2 측(165)과 제3 측(175) 사이에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제3 측(175) 및 제2 측(165)은 예로서 평행하게 이어진다. 이 경우에, 제2 리테이닝 요소(150)는 제2 고정 단부(180)에 의해 제1 접촉 섹션(60)의 제3 측(175)에 연결된다. 제2 리테이닝 요소(150)는 길이 방향으로 제1 리테이닝 요소(145)에 대해 오프셋 배열된다. 이 경우에,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제1 고정 단부(170)로부터 선회 축(75)까지의 제1 최소 간격(a1)은 제2 리테이닝 요소(150)의 제2 고정 단부(180)로부터 선회 축(75)까지의 제2 최소 간격(a2)보다 크다. 그러나, 제1 리테이닝 요소(145) 및 제2 리테이닝 요소(150)는, xz 투영 평면에서 y 방향으로 투영될 때, 제1 리테이닝 요소(145) 및 제2 리테이닝 요소(150)가 xz 투영 평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를 덮는 그러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다.
예로서, 제2 측(165)에서, 제3 리테이닝 요소(155)는 또한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배열되고 그리고 제1 리테이닝 요소(145)로부터 이격된다. 제3 리테이닝 요소(155)는 제3 고정 단부(185)에 의해 제2 측(165)에 연결된다.
제4 리테이닝 요소(160)는 제4 고정 단부(190)에 의해 제3 측(175)에 연결된다. 제4 리테이닝 요소(160)는 제2 리테이닝 요소(150)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배열된다. 이 경우에, 제3 리테이닝 요소(155) 및 제4 리테이닝 요소(160)는 각각의 경우에, 제1 측(1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리테이닝 요소(145) 및 제2 리테이닝 요소(150)의 측 상에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특히, 제1 리테이닝 요소(145) 및 제3 리테이닝 요소(155) 그리고 제2 리테이닝 요소(150) 및 제4 리테이닝 요소(160)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길이 방향으로, 제4 리테이닝 요소(160)는 xz 투영 평면에서 y 방향으로 투영될 때 제1 리테이닝 요소(145)와 제3 리테이닝 요소(155) 사이에 배열된다.
직물 접촉 디바이스(20)의 장착해제 상태에서,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은 제1 접촉면(115)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1 측(1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 상에서, 제1 접촉 섹션(60)은 연결 섹션(195)을 통해 이송 스트립(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횡단 방향으로 제1 및/또는 제2 접촉 섹션(60, 65)보다 상당히 좁게 형성된다. 이송 스트립(200)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제2 오목부들(205)을 가지며, 이와 함께, 이송 스트립(200)은 제조 기계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이 구성은 특히, 직물 접촉 디바이스(20)가 이송 스트립(200)을 통해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는 시스템(10)의 일련의 제조에 적합하다. 이 경우에, 다수의 직물 접촉 디바이스들(20)이 이송 스트립(200)에 부착될 수 있다. 연결 섹션(195)에서,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예를 들어, 스탬핑에 의해 이송 스트립(200)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 접촉 섹션(60)이 제1 측(120)과 경계를 이루는 인접 섹션(210)에 연결된다. 인접 섹션(210)은 전기 케이블(220)의 전기 전도체(215)와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인접 섹션(210)의 구성은 예시적이다.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전기 케이블(220)에 의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전도체(215)는 예를 들어, 크림프 연결 또는 솔더 연결에 의해 인접 섹션(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접 섹션(210)에 대한 전기 전도체(215)의 상이한 전기적 연결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인접 섹션(210)은 또한 접촉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 섹션(210)은 구성에서 접촉 요소, 예를 들어, 접촉 디바이스(도 3에 묘사되지 않음)로서 배열되어, 접촉 디바이스에 의해 전기 케이블(220)에 전기 연결을 제공한다.
따라서, 인접 섹션(210)은 도 3에 묘사된 바와 같이 프레임형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접 섹션(210)의 상이한 구성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인접 섹션(210)은 프레임형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제3 오목부(225)의 범위를 정하고, 제2 접촉 섹션(65)은 제3 오목부(225) 밖으로 구부러진다.
인접 섹션(210)은 프레임 폭(t)을 가지며, 프레임 폭(t)은 길이 방향 및/또는 횡단 방향으로 제2 오목부(225)의 제2 최대 범위(t)보다 작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단면(A-A)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직물 접촉 디바이스(20)의 재료 두께(d)는 (실시예에서 제1 오목부(125)와 함께) 직물 접촉 디바이스(20)의 모든 요소들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그 결과,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일체적이고 물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스탬핑 및 벤딩 방법에 의해 특히 저비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힌지(70)의 영역에서의 재료 두께(d)는 제1 접촉 섹션(60) 및 제2 접촉 섹션(65)에서의 재료 두께(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물론, 재료 두께(d)가 특히 힌지(70)의 영역에서 더 작아지도록 선택되어 힌지(70)가 필름 힌지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에,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는 고정 단부(170, 180, 185, 190)로부터 팁(230)까지 테이퍼진다. 테이퍼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 개의 스테이지들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부 영역(235)의 테이퍼는 먼저 고정 단부(170, 180, 185, 190)에 인접하며, 상부 영역(240)에서 보다 더 평탄하게 형성되며, 이는 하방 방식으로 팁(230)에 인접하다. 상부 영역(240)에서,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는 팁(230)에 대해 더 강하게 테이퍼진다. 팁(230)은 예로서, 둥글게되어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2 접촉 섹션(65)은 제1 상부 측(1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접촉 섹션(65)의 측에 배열된 제2 상부 측(245) 상에, 파형 프로파일(106)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만입부(250)를 갖는다. 제2 접촉 섹션(65)은 바람직하게는, 제2 상부 측(245) 상에, 적어도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의 수에 대응하는 예상 수의 만입부들(250, 255, 260, 265)을 갖는다. 만입부들(250, 255, 260, 265)은 제2 접촉 섹션(65)의 파형 프로파일(106)에 의해 형성된다. 물론, 만입부들(250, 255, 260, 265)의 수는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의 수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만입부들(250, 255, 260, 265)의 수는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의 수보다 많을 수 있다.
만입부들(250, 255, 260, 265)은 y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장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만입부들은 선회 축(75) 및 제1 측(120)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제1 내지 제4 만입부(250, 255, 260, 265)는 각각의 경우에, 제2 접촉면(135) 상에 벌지(270)를 성형한다. 추가 만입부(275)는 각각의 경우에, 제2 접촉면(135) 상의 벌지들(270) 사이에 배열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단면(B-B)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는 하부측 상에서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의 팁(230)에 인접한 추가 영역(280)에 베벨(bevel)(285)을 가질 수 있다. 베벨(285)은 팁(230)에 대해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를 횡단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한다. 추가 영역(280)은 수직 방향으로 상부 영역(240)보다 짧게 형성된다. 베벨(285)은 예로서, 도 5의 제2 리테이닝 요소(150)에 묘사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면(115)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면(lateral face)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베벨(285)은 또한 생략될 수 있거나 제1 접촉면(115)을 향하는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의 측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제2 및 제4 리테이닝 요소들(150, 160)에 대한 제1 및 제3 리테이닝 요소들(145, 155) 사이의 횡단 방향의 간격은, 제2 접촉 섹션(65)이 제1 접촉 섹션(60)에 대해 접히기 전에, 제2 접촉 섹션(65)의 제3 최대 범위(b1)보다 크다. 제1 최대 범위(b)는 제3 최대 범위(b1)와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접촉 섹션(65)이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에 대한 이러한 맞닿음 없이 제2 포지션으로부터 제1 포지션으로 선회될 수 있음이 보장된다.
도 6은 장착된 상태의 시스템(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연결 섹션(195)에서 이송 스트립(200)으로부터 분리된다.
직물(15)은 제1 접촉면(115)과 제2 접촉면(135) 사이에 배열된다. 이 경우에, 직물(15)은 제2 접촉면(135) 상에서 직물 상부측(290) 및 제1 접촉면(115) 상에서 직물 하부측(295)에 놓여 있다. 이 경우에, 제1 실(40)은 직물 상부측(290) 및/또는 직물 하부측(295) 상에서 개개의 접촉면(115, 135)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직물(15)과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사이의 접촉 저항을 특히 낮게 유지하기 위해, 제1 실(40)이 직물 상부측(290) 상의 제2 접촉면(135)과의 전기 접촉 및 직물 하부측(295) 상의 제1 접촉면(115)과의 전기 접촉 양자 모두를 갖는다면, 편리하다.
제1 포지션에서, 제2 접촉 섹션(65)은 제1 접촉 섹션(60)에 대해 접히고, 제2 접촉 섹션(65)은 제1 접촉 섹션(60)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리테이닝 수단(140)은 후방 측의 제2 접촉 섹션(65) 뒤에 맞물리고 그리고 제2 접촉 섹션(65)을 제1 접촉 섹션(60)에 고정하고 제2 접촉 섹션(65)이 직물(15)의 삽입 후에 선회 축(75) 주위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시스템(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직물(15)에 직물 접촉 디바이스(20)가 부착된 상태에서,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제1 고정 단부(170)에 인접하는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제1 섹션(300)은 제2 측(165)을 향하는 제2 접촉 섹션(65)의 제4 측(305)을 지나 측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에, 제2 접촉 섹션(65)의 제4 측(305)과 제1 리테이닝 요소(145) 사이에 갭(31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섹션(300)은 제4 측(305)에 대해 지탱할 수 있다. 제2 측(165) 및 제4 측(305)은 평행하게 이어지고 서로 위에 배열된다. 그 결과, 제1 접촉 섹션(60) 및 제2 접촉 섹션(65)은 횡단 방향으로 동일한 최대 범위를 갖는다.
제1 만입부(250) 및 적어도 제2 만입부(255)(바람직하게는, 모든 만입부들(250, 255, 260, 265))는 제2 접촉 섹션(65)의 제4 측(305)과 제3 측(175)을 향하는 제2 접촉 섹션(65)의 제5 측(325) 사이에서 연장되며, 세장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2 섹션(315)이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팁(230)까지 연장되는 상부 측의 제1 섹션(300)에 인접한 제2 섹션(315)은, 제2 접촉 섹션(65)의 상부 측에 배열되고 제2 접촉 섹션(65) 뒤에 맞물린다. 이 경우에, 제2 섹션(315)은 적어도 섹션들에서 제1 만입부(250)와 맞물린다. 제2 섹션(315)은 예를 들어, 크림퍼에 의한 크림핑 작동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섹션(315)은 제3 측(175)의 방향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이에 따라 또한 제2 리테이닝 요소(150) 및 제4 리테이닝 요소(160)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제1 섹션(300) 및 제2 섹션(315)은 곡선 방식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1 섹션(300)이 제1 접촉면(115)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어지고 제2 섹션(315)이 제1 접촉면(11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열체는 예를 들어, 크림핑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은, 제1 섹션(300) 및 제2 섹션(315), 특히 실질적으로 360°까지 안내되는 제2 섹션(315)의 곡선형 구성이 일종의 나선형 스프링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제2 접촉 섹션(65)이 제1 접촉 섹션(60)의 방향으로 밀어넣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구성은 한편으로, 제1 실(40)과 접촉면들(115, 135) 사이에 낮은 접촉 저항이 있음을 보장한다. 게다가, 결과적으로, 직물(15)에 대한 접촉면들(115, 135)의 클램핑 작동이 또한 보장될 수 있어, 제1 및 제2 접촉면들(115, 135) 사이의 클램핑 영역에서 직물(15)의 의도하지 않은 미끄러짐이 확실하게 회피될 수 있다.
제1 접촉 섹션(60)으로의 제2 접촉 섹션(65)의 특히 양호한 부착을 보장하기 위해, 제2 리테이닝 요소(150)는 또한 제2 리테이닝 요소(150)의 제3 섹션(320)에 의해 제2 접촉 섹션(65)의 제5 측(325)을 지나 측방향으로 안내된다. 제5 측(325)은 제4 측(305)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5 측(325)은 제3 측(175)을 향하는 제2 접촉 섹션(65)의 일 측에 배열된다. 제5 측(325)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제3 측(175) 위에 배열된다. 이 경우에, 제3 섹션(320)은 제2 리테이닝 요소(150)의 제2 고정 단부(180)와 경계를 이룬다.
제2 고정 단부(180)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배열된 제2 리테이닝 요소(150)의 제4 섹션(330)은 곡선 방식으로 형성되고 360°까지 롤링된다. 이 경우에, 제4 섹션(330)은 제2 접촉 섹션(65)의 제2 만입부(255)와 맞물린다. 제4 섹션(330)은 제4 측(305) 및 제1 및 제3 리테이닝 요소들(145, 155)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리테이닝 요소들(155, 160)은 제2 접촉 섹션(65) 주위에 맞물리고 그리고 각각 할당된 제3 및 제4 만입부들(260, 265)과 맞물린다. 각각의 경우에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배열된 만입부들(250, 255, 260, 265, 275)과 리테이닝 요소들(145, 150, 155, 160)의 오프셋 맞물림에 의해, 제1 접촉 섹션(60)에 대한 신뢰성있는 연결이 제2 접촉 섹션(65)의 양측들 상에서 보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섹션(300)(및 제3 리테이닝 요소(155))은 제1 노치(100)를 통해 맞물리고 그리고 제3 섹션(320)(및 제4 리테이닝 요소(160))은 직물(15)의 제2 노치(105)를 통해 맞물린다. 그 결과, 직물(15)은 추가적으로 형태-끼워맞춤 방식으로 직물 접촉 디바이스(20)에 연결된다. 더욱이, 그 결과,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와 제2 전극(85) 및/또는 제2 보조 전극(9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회피된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시스템(1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제1 방법 단계(405) 동안의 직물 접촉 디바이스(2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2 방법 단계(410) 이후의 직물(15)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3 방법 단계(415) 동안의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4 방법 단계(420) 동안의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5방법 단계(425) 동안의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6 방법 단계(430) 동안의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7 방법 단계(435) 동안의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8 방법 단계(440) 동안의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8 방법 단계(440) 이후의 시스템(10)의 정면도의 컷아웃을 도시한다. 도 18은 제8 방법 단계(440) 이후의 시스템(10)의 변형의 정면도의 컷아웃을 도시한다. 도 19는 제9 방법 단계(445) 동안의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1 방법 단계(405)(도 9 참조)에서,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제조 기계의 앤빌(335) 상에 위치결정된다. 이 경우에, 제2 접촉 섹션(65)은 제2 포지션에 위치된다.
제2 방법 단계(410)(도 10 참조)에서, 노치(들)(100, 105)가 예를 들어, 스탬핑 작동에 의해 제1 및/또는 제2 직물 접촉 영역(51, 86)에 대해 측방향으로 직물(15)에 도입된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보조 전극들(55, 90)은 노치(100, 105)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따라서 개개의 보조 전극은 비활성화된다. 노치(100, 105)는 예를 들어, 횡단 방향으로 3mm의 폭 및 15mm의 길이 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2 방법 단계(410) 이후의 제3 방법 단계(415)(도 11 참조)에서, 직물(15)은, 직물 접촉 디바이스(20)와 관련하여 제1 노치(100)가 제1 및 제3 리테이닝 요소들(145, 155) 위에 위치결정되고 제2 노치(105)가 제2 및 제4 리테이닝 요소들(150, 160) 위에 위치결정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위치결정된다.
제3 방법 단계(415) 이후의 제4 방법 단계(420)(도 12 참조)에서, 직물(15)은 예를 들어, 제1 도구(340)에 의해 제1 접촉 섹션(60) 상으로 밀어넣어져 직물(15)이 제1 접촉면(115)의 하부측 상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에,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는 각각 할당된 노치(100, 105)를 통해 맞물린다.
제4 방법 단계(420) 이후의 제5 방법 단계(425)(도 13 참조)에서,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예를 들어, 스탬핑에 의해 연결 섹션(195)에서 이송 스트립(200)으로부터 분리된다.
제5 방법 단계(425)에 후속하는 제6 방법 단계(430)(도 14 참조)에서, 제2 접촉 섹션(65)은 제2 도구(345)에 의해 제2 포지션로부터 제1 포지션으로 구부러진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접촉 섹션(60, 65)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직물(15)은 2 개의 접촉 섹션들(60, 65) 사이에 배열된다.
제6 방법 단계(430) 이후의 제7 방법 단계(435)(도 15 참조)에서, 앤빌(340)은 묘사되지 않은 가열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아래의 서브영역(350)에서 미리 규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미리 규정된 온도는 제2 실(45)의 용융 온도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납땜제의 용융 온도보다 높다. 이와 관련하여, 서브영역(35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2 ℃보다 높은 대략 250 ℃의 온도로 가열된다. 그 결과, 제2 실(45)의 제2 물질과 납땜제의 제3 물질이 융합된다. 접촉면(115, 135)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유지력(F)에 의해, 제2 접촉 섹션(65)은 제1 접촉 섹션(60)의 방향으로 뒤로 밀리고 제2 물질은 벌지(270)와 제1 접촉면(115)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되며, 이에 따라 제2 접촉면(135) 및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면(115)이 제1 실(40)에 직접 접촉하도록 된다. 제1 접촉면(115)과 제1 실(40) 사이의 접촉 그리고 또한 제1 실(40)과 제2 접촉면(120) 사이의 접촉시, 제3 물질은 재료 연결, 특히 납땜 연결을 형성한다. 더욱이, 제2 물질은 추가 만입부(275) 및 제1 접촉면(115)의 제1 오목부(들)(125)로 상방으로 유동한다.
제7 방법 단계(435)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대순으로 병행하여 수행되는 제8 방법 단계(440)(도 16 참조)에서,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는, 리테이닝 요소(145, 150, 155, 160)가 상부 측에서 제2 접촉 섹션(65) 뒤에 맞물리는 그러한 방식으로 스탬프(355)에 의해 다시 크림핑결합된다. 유지력(F)은 제2 도구(345)보다는 스탬프(35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섹션(315)은 제4 측(305)과 직접 경계를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제4 섹션(330)은 제5 측(325)과 직접 경계를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고 또는 도 18에 묘사된 바와 같이, 제2 섹션(315) 및/또는 제4 섹션(330)(도 17과 관련하여 추가로)은 개개의 제4 및 제5 측들(305, 330)에 대해 내측방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9 방법 단계(445)에서, 서브영역(350)은 냉각되어, 시스템(10), 특히 융합된 제2 및/또는 제3 물질이 서브영역(350)에 의해 능동적으로 냉각되고 특히 빠르게 응고된다. 유지력(F)이 더 유지된다.
제9 방법 단계(445) 이후의 제10 방법 단계(450)에서, 유지력(F)이 철회되고 완전히 접촉된 시스템(10)이 제조 기계로부터 제거된다.
2 개의 직물 접촉 디바이스들(20)은, 하나의 직물 접촉 디바이스(20)가 제1 직물 접촉 영역(51)과 접촉하고 다른 직물 접촉 디바이스(20)가 제2 직물 접촉 영역(86)과 접촉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조 기계에 동시에 위치결정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그 결과, 도 8에 설명된 방법은 시스템(10)을 제조하기 위해 특히 단순하고 저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방법 단계들(405 내지 450)은 또한 전술한 것과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서브영역(350)의 냉각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
10 : 시스템, 난방 시스템
15 : 직물
20 : 직물 접촉 디바이스
25 : 에지
30 : 제1 직물 섹션
35 : 제2 직물 섹션
40 : 제1 실
45 : 제2 실
50 : 제1 전극
51 : 제1 직물 접촉 영역
55 : 제1 보조 전극
60 : 제1 접촉 섹션
65 : 제2 접촉 섹션
70 : 힌지
75 : 선회 축
80 : 제3 직물 섹션
85 : 제2 전극
86 : 제2 직물 접촉 영역
90 : 제2 보조 전극
95 : 저항 전극
100 : 제1 노치
105 : 제2 노치
106 : 파형 프로파일
110 : 제1 상부 측
115 : 제1 접촉면
120 :(제1 접촉 섹션의) 제1 측
125 : 제1 오목부
130 : 하부측
135 : 제2 접촉면
140 : 리테이닝 수단
145 : 제1 리테이닝 요소
150 : 제2 리테이닝 요소
155 : 제3 리테이닝 요소
160 : 제4 리테이닝 요소
165 :(제1 접촉 섹션의) 제2 측
170 :(제1 리테이닝 요소의) 제1 고정 단부
175 :(제1 접촉 섹션의) 제3 측
180 :(제2 리테이닝 요소의) 제2 고정 단부
185 :(제3 리테이닝 요소의) 제3 고정 단부
190 :(제4 리테이닝 요소의) 제4 고정 단부
195 : 연결 섹션
200 : 이송 스트립
a1 : 제1 최소 간격
a2 : 제2 최소 간격
205 : 제2 오목부
210 : 인접 섹션
215 : 전기 전도체
220 : 전기 케이블
225 : 제3 오목부
230 :(리테이닝 요소의) 팁
235 : 하부 영역
240 : 상부 영역
245 : 제2 상부 측
250 : 제1 만입부
255 : 제2 만입부
260 : 제3 만입부
265 : 제4 만입부
270 : 벌지
275 : 추가 만입부
280 : 추가 영역
285 : 베벨
290 : 직물 상부 측
295 : 직물 하부측
300 :(제1 리테이닝 요소의) 제1 섹션
305 : 제4 측
310 : 갭
315 :(제1 리테이닝 요소의) 제2 섹션
320 :(제2 리테이닝 요소의) 제3 섹션
325 : 제5 측
330 :(제2 리테이닝 요소의) 제4 섹션
335 : 앤빌
340 : 제1 도구
345 : 제2 도구
350 : 서브영역
355 : 스탬프
405 : 제1 방법 단계
410 : 제2 방법 단계
415 : 제3 방법 단계
420 : 제4 방법 단계
425 : 제5 방법 단계
430 : 제6 방법 단계
435 : 제7 방법 단계
440 : 제8 방법 단계
445 : 제9 방법 단계
450 : 제10 방법 단계
b : 제1 최대 범위
t : 제2 최대 범위
b1 : 제3 최대 범위
α : 각도
d : 재료 두께

Claims (14)

  1. 직물 접촉 디바이스(fabric-contact device)(20)로서,
    제1 접촉 섹션(60), 제2 접촉 섹션(65), 및 리테이닝 수단(140)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촉 섹션(60)은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을 향하는 제1 상부 측(110)에 제1 접촉면(115)을 갖고,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은 상기 제1 접촉 섹션(60)을 향하는 하부측(130)에 제2 접촉면(135)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실(electrically conductive yarn)(40)을 갖는 직물(15)이 상기 제1 접촉면(115)과 상기 제2 접촉면(135)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면(115) 및/또는 상기 제2 접촉면(135)은 상기 전기 전도성 실(40)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 섹션(60)은 제1 측(120) 상의 제2 접촉 섹션(65)에 연결되고,
    상기 리테이닝 수단(14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테이닝 요소(145)를 가지며,
    상기 제1 리테이닝 요소(145)는 제1 고정 단부(170)에서 제1 접촉 섹션(60)의 제2 측(165)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리테이닝 요소(145)는 상기 제1 고정 단부(170)와 경계를 이루는 제1 섹션(300)에 의해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을 지나 측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제1 고정 단부(170) 반대편의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측에서 제1 섹션(300)과 경계를 이루는 제2 섹션(315)은, 상기 제2 접촉 섹션(65) 뒤에 맞물리고 그리고 상기 제1 접촉 섹션(60)에 연결되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2. 제1 항에 있어서,
    힌지(hinge)(70)가 상기 제1 접촉 섹션(60)과 상기 제2 접촉 섹션(65)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힌지(70)는 상기 제1 접촉 섹션(60)을 상기 제2 접촉 섹션(65)에 연결하며,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은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고,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은 상기 제1 접촉 섹션(60)에 대해 접혀지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은 상기 제1 접촉 섹션(60)으로부터 멀리 접혀지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닝 요소(145)는 상기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제1 고정 단부(170)로부터 팁(230)까지 테이퍼지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면(135)은 파형상 방식(wave-shaped manner)으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1 접촉 섹션(60)은 판형상 방식(plate-shaped manner)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면(115)은 실질적으로 평면 방식으로 형성되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수단(140)은 제2 리테이닝 요소(150)를 가지고,
    상기 제2 리테이닝 요소(150)는 상기 제2 고정 단부(180)에 의해 상기 제1 접촉 섹션(60)의 제3 측(175)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리테이닝 요소(150)는 상기 제2 고정 단부(180)와 경계를 이루는 제3 섹션(320)에 의해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을 지나 측방향으로 안내되고,
    상기 제2 고정 단부(180) 반대편의 제2 리테이닝 요소(150)의 측에서 제3 섹션(320)과 경계를 이루는 제4 섹션(330)은, 상기 제2 접촉 섹션(65) 뒤에 맞물리고 그리고 상기 제1 접촉 섹션(60)을 상기 제2 접촉 섹션(65)에 연결하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165)은 제3 측(175)의 반대편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측(120)은 상기 제2 측(165)과 상기 제3 측(175)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제2 섹션(315)은 적어도 섹션에서 상기 제2 리테이닝 요소(150)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4 섹션(330)은 적어도 섹션에서 상기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7. 제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은 제2 상부 측(245)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만입부(indentation)(250) 및 상기 제1 만입부(250)에 대해 오프셋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만입부(255)를 가지며,
    상기 제1 만입부(250) 및 상기 제2 만입부(255)는 상기 제2 측(165)을 향하는 제2 접촉 섹션(65)의 제4 측(305)과 상기 제3 측(175)을 향하는 제2 접촉 섹션(65)의 제5 측(325) 사이에서 연장되며, 세장형(elongate)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만입부(255)는 상기 제1 만입부(250)에 평행하게 이어지며,
    상기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제2 섹션(315)은 상기 제1 만입부(250)와 맞물리고 그리고 상기 제4 섹션(330)은 상기 제2 만입부(255)와 맞물리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섹션(65)은 하부측(130)에,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적어도 2 개의 벌지들(bulges)(270)을 가지며,
    상기 벌지들(270)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고,
    상기 직물(15)의 제2 실(45)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 만입부(275)가 상기 벌지들(270) 사이에 배열되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 섹션(adjoining section)(210)을 가지며,
    상기 인접 섹션(210)은 상기 제1 접촉 섹션(60)의 제1 측(120)에 연결되고,
    상기 인접 섹션(210)은 전기 케이블(220)의 전기 전도체(2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섹션(210)은 원주 방향으로 오목부(recess)(225)의 범위를 정하고,
    상기 오목부(225)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접 섹션(210)의 프레임 폭은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225)의 최대 범위보다 작은,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11. 시스템(10),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으로서,
    직물(15) 및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를 가지며,
    상기 접촉 디바이스(20)는 제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직물(15)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접촉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50)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50)의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접촉 섹션(60)과 상기 제2 접촉 섹션(65)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2 개의 접촉면들(115, 135)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촉 섹션들(60, 65)에 대한 전기적 접촉(electrical contact)을 가지며,
    상기 제1 섹션(300)은 상기 직물(15)을 통해 맞물리고 그리고 상기 직물(15)을 상기 직물 접촉 디바이스(20)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시스템(10),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12. 시스템(10)으로서,
    직물(15)은 제1 실(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실(45)을 가지며,
    상기 직물(15)은 제1 직물 섹션(30), 제2 직물 섹션(35) 및 제3 직물 섹션(80)을 가지며,
    상기 제1 실(40)은 전기 전도성 물질을 갖고 그리고 상기 제2 실(45)은 전기 절연 물질을 가지고,
    제1 전극(5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실(40) 및 상기 제2 실(45)은 직물(15)의 제1 직물 섹션(30)에서 인터위빙되며(interwoven),
    제2 전극(85)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실(40) 및 상기 제2 실(45)은 제1 직물 섹션(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 제3 직물 섹션(80)에서 인터위빙되고,
    단지 제2 실(45)만이 상기 제1 직물 섹션(30)과 상기 제3 직물 섹션(80) 사이에 배열된 제2 직물 섹션(35)에서 인터위빙되며,
    상기 제2 직물 섹션(35)은 상기 제3 직물 섹션(80)으로부터 상기 제1 직물 섹션(3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상기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상기 제2 전극(85)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노치(notch)(100)가 상기 제2 직물 섹션(35)에 도입되고,
    상기 제1 섹션(300)은 상기 노치(100)를 통해 맞물리는,
    시스템(10).
  13. 제11 항 또는 제12 항에 따른 시스템(1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직물 접촉 디바이스(20) 및 직물(15)이 제공되고,
    제2 접촉 섹션(65)은 제2 포지션에 위치되며,
    제1 전극(50)의 접촉 영역은 제1 접촉 섹션(60) 위에 위치결정되고,
    제1 리테이닝 요소(145)는, 제1 섹션(300)이 직물(15)을 통해 맞물리는 그러한 방식으로 직물(15)을 통해 밀어넣어지며,
    제2 접촉 섹션(65)은 제2 포지션으로부터 제1 포지션으로 선회되고,
    제2 접촉 섹션(65)은 제2 접촉면(135)과 함께 놓여 있고, 그리고 제1 접촉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그리고/또는
    제1 접촉 영역은 제1 접촉 섹션(60)의 제1 접촉면(115) 상에 놓여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제1 리테이닝 요소(145)의 제2 섹션(315)이 성형되고, 바람직하게는 크림핑결합되는,
    시스템(1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접촉 디바이스(20)는 제2 물질의 용융 온도 및/또는 유리 전이 온도를 초과하여 가열되고,
    제2 실(45)은 제1 접촉 섹션(60)과 제2 접촉 섹션(65) 사이에서 융합되며,
    용융된 제2 물질이 벌지(270) 및 접촉 섹션(60, 65)에 작용하는 유지력에 의해 변위되고,
    제2 물질은 추가 만입부(275)로 유입되며,
    제2 물질은 추가 만입부(275)에서 경화되는,
    시스템(1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217008149A 2018-08-22 2019-08-16 직물 접촉 디바이스, 시스템,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650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0473.6 2018-08-22
DE102018120473.6A DE102018120473B4 (de) 2018-08-22 2018-08-22 Gewebekontakteinrichtung, System, insbesondere Hei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 eines Systems
PCT/EP2019/072027 WO2020038842A1 (en) 2018-08-22 2019-08-16 Fabric-contact device, system, in particular he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678A true KR20210043678A (ko) 2021-04-21
KR102650934B1 KR102650934B1 (ko) 2024-03-22

Family

ID=6766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149A KR102650934B1 (ko) 2018-08-22 2019-08-16 직물 접촉 디바이스, 시스템,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75641A1 (ko)
EP (1) EP3841841B1 (ko)
JP (1) JP7109651B2 (ko)
KR (1) KR102650934B1 (ko)
CN (1) CN112602375B (ko)
DE (1) DE102018120473B4 (ko)
WO (1) WO2020038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5994A1 (de) 2020-03-05 2021-09-0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Robustes, hochfrequenz-geeignetes elektrisches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1536A (ja) * 2000-04-10 2001-10-19 Nec Corp 導電布と電線との接続端子
JP2012169051A (ja) * 2011-02-10 2012-09-06 Toyota Boshoku Corp コネクタ
JP2013157307A (ja) * 2012-01-06 2013-08-15 Toyota Boshoku Corp コネクタ
WO2018055777A1 (ja) * 2016-09-26 2018-03-29 有限会社コスモポリタン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5155A (en) * 1983-11-28 1985-11-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ioelectrode connector
US4764665A (en) 1985-07-02 1988-08-16 Material Concepts, Inc. Electrically heated gloves
WO1999043257A1 (fr) * 1998-02-24 1999-09-02 Sekisui Plastics Co., Ltd Pince d'electrode feuille
DE10016214A1 (de) 2000-03-31 2001-10-04 Htt High Tech Textilien Gmbh Elektrische Kontaktierung von Material aus Kohlefasern
US6933445B1 (en) * 2004-02-12 2005-08-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KR101006159B1 (ko) 2009-01-30 2011-01-07 제이씨텍(주) 나노카본히터 고정단자
DE102009026216A1 (de) 2009-07-21 2011-01-27 Benecke-Kaliko Ag Flexibles Flächengebilde
US8274019B2 (en) 2010-04-16 2012-09-25 Carbon Fibers Heating Technologies, LLC High temperatur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2012127265A1 (en) * 2011-03-22 2012-09-27 Fci Crimp connector and assembly
JP6518207B2 (ja) * 2016-03-17 2019-05-22 タツタ電線株式会社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付き絶縁電線
KR101790882B1 (ko) * 2016-06-29 2017-10-26 이미애 면상 발열체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1536A (ja) * 2000-04-10 2001-10-19 Nec Corp 導電布と電線との接続端子
JP2012169051A (ja) * 2011-02-10 2012-09-06 Toyota Boshoku Corp コネクタ
JP2013157307A (ja) * 2012-01-06 2013-08-15 Toyota Boshoku Corp コネクタ
WO2018055777A1 (ja) * 2016-09-26 2018-03-29 有限会社コスモポリタン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20473A1 (de) 2020-02-27
US20210175641A1 (en) 2021-06-10
EP3841841B1 (en) 2023-04-05
DE102018120473B4 (de) 2020-06-18
EP3841841A1 (en) 2021-06-30
JP7109651B2 (ja) 2022-07-29
KR102650934B1 (ko) 2024-03-22
CN112602375A (zh) 2021-04-02
JP2021535550A (ja) 2021-12-16
WO2020038842A1 (en) 2020-02-27
CN112602375B (zh)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976B1 (ko) 배터리 커넥터 시스템의 버스 바
US7192300B2 (en) Cable with a meandering portion and a ground portion sandwiched between retaining elements
CN102143823B (zh) 用于加强焊接的设备和方法
EP3433900B1 (en) Terminal assembly with a multi-wire planar cable
US9601854B2 (en) Female terminal
US8011932B2 (en) Method for contacting partially conductive textile materials
JP5221313B2 (ja) 端子金具
EP0703117A2 (en) Electric connection casing
CN107453182B (zh) 具有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
JP2007018949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50934B1 (ko) 직물 접촉 디바이스, 시스템, 특히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90138749A (ko)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
KR102107968B1 (ko) 전기 커넥터
KR20060060622A (ko) 전기 커넥터
CN110481009B (zh) 制造具有嵌入在基板内的分离导体的组件的设备和方法
US10819055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provided with same
CN109285634B (zh) 扁平电缆的金属芯线一体化连接方法以及扁平电缆
US20220263256A1 (en) Metal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electrically conductive strip and related conductive strip connector assembly
KR101158519B1 (ko) 전기 가열 장치 제조 방법 및 전기 가열 장치
EP2591873B1 (de) Verfahren zum Verschweiß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mit einem Kontaktelement
US20210123955A1 (en) Current detec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3018357A (ja) メス型端子、コネクタ、端子付き電線、コネクタ付き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23019665A (ja) メス型端子、コネクタ、端子付き電線、コネクタ付き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2019030543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GB1569733A (en) Electrical soc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