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749A -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 - Google Patents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749A
KR20190138749A KR1020190066018A KR20190066018A KR20190138749A KR 20190138749 A KR20190138749 A KR 20190138749A KR 1020190066018 A KR1020190066018 A KR 1020190066018A KR 20190066018 A KR20190066018 A KR 20190066018A KR 20190138749 A KR20190138749 A KR 20190138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
wires
terminations
ram
shea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 리
커트 앨런 랜돌프
피.케이. 센틸 쿠마르
용지안 황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using a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cable-accommodating recesses or b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01R4/20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01R4/20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with transversal grooves or thr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95Insulation penetration combined with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contact member, e.g.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다중 스플라이스를 포함하는 다중 버스형 단자가 제공된다. 연결된 단자들의 그룹은 전기 리드들이 단자의 단일 배럴 내에 끼워질 수 있는 것보다 많은 와이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MULTIPLE BUSSED TERMINATIONS}
본 개시는 다중 버스형 전기 종단부들(multiple bussed electrical terminations)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전기 공학에서, 전류들, 전압들 및 주파수들 및/또는 데이터 속도들의 가능한 최대 범위를 갖는 전류들, 전압들 및/또는 전기 신호들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다수의 전기기계적 연결들(electromechanical connections)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연결들은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전력 또는 전기 신호들의 정확한 전송을 보장해야 한다. 따라서, 다수의 특수하게 구성된 전기기계적 접촉부들, 특히 크림프 접촉부들(crimp contacts)이 알려져 있다.
크림프 연결은 무납땜 연결(solderless connection)이다. 특히, 크림프 연결들은 와이어의 단부 상에의 단자의 수직 핀칭(normal pinching)보다 유리하다. 크림프의 형상 및 인가된 압력의 양은 연결의 원하는 성능 및 내구성을 얻기 위해 정확해야 한다. 부적절한 크림프 연결은 불량한 전기적 연결으로 인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재작업(rework), 스크랩(scrap) 증가, 및 극단적인 경우에는 치명적인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전기 단자들은 종종 와이어들의 단부들을 종단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한 전기 단자들은 전형적으로 전기 접촉부 및 크림프 배럴(crimp barrel)을 포함한다. 일부 단자들에서, 크림프 배럴은 내부에 와이어의 단부를 수용하는 개방 영역을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은 와이어의 단부 주위에 크림핑되어, 와이어의 전기 도체들과 단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확립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단부 상에 전기 단자를 기계적으로 유지한다. 와이어 단부 위에 크림핑될 때, 크림프 배럴은 와이어의 도체들과 전기 접촉부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확립한다.
영구적인 전기적 연결에 부가하여, 영구적인 기계적 연결이 또한 접촉부에 의해 케이블과 크림프 접촉부의 도체 크림프 영역 사이에 생성되어야 한다. 전기기계적 연결의 경우에, 크림프 접촉부는 도체 크림프 영역, 및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케이블을 위한 절연 크림프 영역을 갖는다. 소형화 및 비용 절감들은 제조업체들에게 접촉부들을 보다 작고 보다 얇게 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당분야에 알려진 크림프 연결들은 전기 접촉부를 확립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크림핑 기부(crimping base)와, 하나 이상의 개별 와이어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 사이에 기계적으로 탄성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크림프 배럴은, 와이어에 부착되기 전에, 통상적으로 U자형 또는 V자형 단면을 갖도록 구부리거나(bent), 편평한 기부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금속 플레이트(metal plate)로 구성된다. U자형 또는 V자형 형상의 밑면은 이하에서 크림프 기부로 지칭된다. U자형 또는 V자형 형상의 상향 포인팅 레그들(upwardly pointing legs)은 일반적으로 크림프 벽들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와이어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접촉 신뢰성이 감소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상호연결을 제공하는 다수의 개별 와이어들을 갖는 복수의 도체들을 스플라이싱(splicing)할 경우에는 번거로울 수 있다.
다수의 와이어들을 안전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허용하고, 동시에 강인하고 비용 효율적인 단자 장치(terminal device)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청구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청구대상이다.
일부의 커넥터 응용들에서, 예를 들어 3 개의 단자들과 같은 연결된 단자들의 그룹을 갖는 전기 단자 연결들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된 단자들의 그룹은 전기 리드들(electrical leads)이 단자의 단일 배럴 내에 끼워질 수 있는 것보다 많은 와이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단일의 단자가 3 개의 와이어들을 수용할 수 있다면, 3 개의 단자들의 그룹이 9 개의 와이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룹에서, 3 개의 단자들 사이의 캐리어 스트립(carrier strip)의 2 개의 브리지 세그먼트들(bridge segments)은 온전한 상태로 남겨져서, 단자들 사이에 도전성 경로를 제공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가 제공되며, 종단부는 2 개 이상의 스플라이스들(splices)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플라이스는 기부, 및 와이어들을 유지하기 위한 영역을 가지며, 스플라이스들은 제1 스플라이스의 기부로부터 나머지 스플라이스들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캐리어 스트립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플라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형 크림프(serrated crimp)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종단부의 톱니형 크림프는 전방 단부에서 단부 공급 캐리어(end feed carrier) 또는 측부 공급 캐리어(side feed carrier)를 포함하며, 와이어들을 유지하기 위한 영역은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내부 표면은 하나의 벽으로부터 대향 벽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형상부들(serrations)을 갖는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종단부는 3 개의 톱니형 크림프들을 포함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톱니형 크림프들의 대향 측벽들의 단부들은 완전하게 폐쇄된 시임(seam)을 따라 서로 맞물림(engage)하도록 적응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톱니형 크림프들의 대향 측벽들의 단부들은 크림프의 후방 단부가 후방 단부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테이퍼지도록 서로 맞물림하도록 적응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대향 측벽들의 단부들은 후방 단부가 벨 마우스 형상(bell mouth shape)을 갖도록 서로 맞물림하도록 적응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크림프 배럴 내의 톱니형상부들의 개수는 적어도 3 개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종단부의 크림프 배럴 내의 톱니형상부들의 개수는 9 개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플라이스들의 기부 재료는 구리와 강철의 합금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종단부는 도금되어 있거나 도금되어 있지 않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종단부에 사용되는 와이어들은 자기 및/또는 연선형 리드 와이어들(stranded lead wires)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이점들 및 장점들은 본 명세서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점들 및/또는 장점들은 본 명세서 및 도면들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특징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이점들 및/또는 장점들 중 하나 이상을 얻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들 및 특징들 모두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실시예들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동일하거나 일의적(univocal)이거나 유사한 구성 및/또는 기능을 갖는 요소들 또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도면들의 다양한 도면들에서 지칭된다. 도면들의 상세한 도면들에서:
도 1은 크림프 스플라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버스형 종단부의 개략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버스형 종단부의 개략도들이고;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버스형 종단부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전동식 종단 기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램의 크림프 단부에서 앤빌 및 크림프 툴링을 포함하는 종단 기계의 크림프 구역을 도시하는 하향식 도면이고;
도 7은 수축 위치에 있는 램 및 절단 위치에 있는 전단 조립체의 전단 아암을 도시하는 본 개시에 따른 종단 기계의 개략도이고;
도 8은 수축 위치에 있는 램 및 비절단 위치에 있는 전단 아암을 도시하는 본 개시에 따른 종단 기계의 개략도이고;
도 9는 연장 위치에 있는 램, 및 도 7에서와 같이 절단 위치에 있는 전단 아암을 도시하는 본 개시에 따른 종단 기계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연장 위치에 있는 램, 및 도 8에서와 같이 비절단 위치에 있는 전단 아암을 도시하는 본 개시에 따른 종단 기계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앞서, 본 개시의 기초를 형성하는 기본 지식이 설명된다. 전술한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본 개시의 하기의 양태들을 고안하였다.
본 개시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하기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과도하게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한 설명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것은 하기의 설명의 불필요한 중복들을 회피하고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 및 하기의 설명을 제공하고, 첨부된 도면들 및 하기의 설명은 청구범위에 인용된 청구대상들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부여된다.
크림핑은 도체와 크림프 와이어 배럴(crimp wire barrel) 양자 모두의 소성 변형을 수반하는 비선형 프로세스이다. 또한, 크림핑의 역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스트랜드들(wire strands)의 다중체들(multiple bodies), 크림프 배럴, 앤빌(anvil) 및 크림퍼(crimper)의 접촉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들의 크림프 세그먼트(crimp segment)가 크림핑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들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크림핑 장치는 크림핑 세그먼트를 와이어에 크림핑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와이어는 크림프 배럴 내에 수용되는 전기 도체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와이어의 단부 세그먼트는 크림프 배럴 내로 로딩되는(loaded) 노출된 도체들을 갖는다. 크림핑 동작 동안, 배럴은 도체들 주위로 크림핑되어 크림프 세그먼트와 전기 와이어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크림핑 동작은 크림프 세그먼트(10)를 형성하여 도체들을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도체들과 크림프 세그먼트 사이의 맞물림을 제공하는 것을 수반한다. 단자의 형성은 개방 단자에서와 같이 와이어 도체들 주위로 아암들(arms) 또는 탭들(tabs)을 구부리는 것(예를 들어, "F" 타입 크림프), 또는 폐쇄 단자에서와 같이 와이어 도체들 주위로 폐쇄된 배럴을 압축하는 것(예를 들어, "O" 타입 크림프)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가 크림핑 작용 동안에 와이어들 주위에 형성됨에 따라, 단자 및/또는 단자 내의 도체들의 금속이 압출될 수 있다. 단자와 전기 와이어 사이의 확실한 기계적 연결 및 양호한 품질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크림프 툴링(crimp tooling)의 실시예들의 사용은, 금속(들)의 압출로 인해 크림핑 동작 동안에 형성되는 단자 상에 형성된 특징부(formed feature)를 생성한다.
이러한 툴링에 따르면, 형성된 특징부는 다양한 단자 형상들 및 디자인들을 갖는 다양한 타입들의 단자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는 3 개의 단자들과 같은 연결된 단자들의 그룹을 갖는 전기 단자 연결들에 관한 것이다. 연결된 단자들의 그룹은 전기 리드들이 단자의 단일 배럴 내에 끼워질 수 있는 것보다 많은 와이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단일의 단자가 3 개의 와이어들을 수용할 수 있다면, 3 개의 단자들의 그룹이 9 개의 와이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룹에서, 3 개의 단자들 사이의 캐리어 스트립의 2 개의 브리지 세그먼트들은 온전한 상태로 남겨져서, 단자들 사이에 도전성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한 연결된 단자들의 유리한 효과는 최대 9 개의 와이어들의 크림핑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크림프 용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도 1에 따른 크림프 스플라이스의 사용 범위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중 버스형 단자들은 제조 동안에 고온 용융 프로세스(hot melting process) 및 보다 적은 스트리퍼 잔류물(lower stripper residue)을 가지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톱니형 크림프 스플라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톱니형 크림프 스플라이스(10)에는 다중 톱니형상부들(11) 및 단부 공급 캐리어(12)가 제공된다. 크림핑된 연결들의 주요 기능은 전류를 전도하는 것이며; 크림프 연결의 품질은 그 전기 저항에 의해 판단된다. 그러나, 수명 주기 전체에 걸쳐, 크림프들이 온도 변동들(temperature swings), 기계적 오용 및/또는 가혹한 환경들에 처할 수 있다는 간단한 사실 때문에, 초기 전기 저항은 향후의 크림프 신뢰성의 양호한 지표로서 거의 선택될 수 없다. 이러한 모든 요인들은 잠재적으로 접촉 열화 및 접촉 저항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톱니형상부들과 같은 내부 크림프 디자인들도 또한 크림핑 연결의 품질에 기여한다. 톱니형상부들은 크림프 배럴 내부 상의 재료를 제거하거나 변위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자국부들(impressions)이다. 크림프 단자 내의 톱니형상부들은 보다 양호한 접촉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크림핑 동안의 높은 압력은 도체를 변형시켜, 도체를 톱니형상부 공동들 내로 가압하고, 도체가 톱니형상부들의 에지 위를 지남에 따라, 와이어의 표면이 긁혀서 산화물들이나 유기막들(organic films)이 제거되고, 그에 따라 보다 양호한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톱니형상부들은 "냉간 용접(cold welding)"이 일어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깨끗한 금속 표면들을 결합시킴으로써 기계적 안정성에 기여한다. 또한, 톱니형상부들 내로의 도체의 변형은 기계적 "로크(lock)"를 제공하며, 이는 크림프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의 스플라이스는 400의 범위 내에서 총 합계 22,000 CMA(circular mil area)까지 와이어 크기들 및 조합부들을 허용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점들을 위해, 다중 버스형 단자들에는 톱니형상부들을 갖는 크림프가 바람직하다.
크림프 배럴(10)은 기부, 및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대향 측벽들을 가지며, 영역의 내부 표면은 하나의 벽으로부터 대향 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형상부들을 갖는다. 단부 공급 캐리어(12)는 크림프 배럴(10)의 기부에 배열된다. 또한, 복수의 크림프들(10)은 도전성 스트립(13)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개시에 따른 다중 버스형 종단부 옵션(option)이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다중 단자들 사이의 도전성 경로로서 캐리어 스트립을 제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도 1의 톱니형 스플라이스 부분의 기능 범위를 연장시킨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버스형 종단부의 개략도이며, 여기서 와이어를 갖지 않는 중간 크림프(10')가 와이어 패킹 상황들(wire packing situations)에 도전하기 위한 선택적인 해결책이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세트의 와이어들을 갖는 제1 도체(14)는 복수의 제2 세트의 와이어들을 갖는 제2 도체(15)와 스플라이싱된다. 특히, 스플라이스(10')는 어떠한 와이어들도 지지하지 않으며, 와이어 패킹 상황들에 도전하기 위한 간단한 상황을 제공하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또한, 도 2b에는,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 대한 대안으로서, 복수의 스플라이스들을 사용하지만 계단형의 수직으로 변위된 도전성 스트립을 갖는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버스형 종단부의 개략도들을 도시하며, 여기서 다중 버스형 종단부는 3 개의 스플라이스들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세트의 와이어들을 갖는 제1 도체(14)는 복수의 제2 세트의 와이어들을 갖는 제2 도체(15)와 스플라이싱된다. 이들 2 개의 도체들 사이에는 복수의 제3 세트의 와이어들을 갖는 제3 도체(16)가 샌드위칭(sandwiching)되어 있다. 약 4600 내지 5000 CMA에서, 0.050 인치 이상의 압출부가 있으며, 이 압출부는 모든 캐리어 공간을 차지하고, 이전 크림프로부터 브러시(brush) 상을 누르는 다음 세트의 와이어들로부터 캐리어 상에 응력을 야기한다. 크림프 배럴을 넘어서 약 0.29 인치에는, 크림프가 시작될 때의 와이어의 위치가 있다.
도 3d는 본 개시에 따른 크림프 연결을 특징화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 즉 크림프 폭(31), 크림프 높이(32) 및 와이어 배럴 플래시(wire barrel flash)(33)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에 대한 다양한 크림프 파라미터들의 개략도이다. 최적의 전기적 및 기계적 성능은 와이어들 및 스플라이스의 단면적을 사전결정된 백분율로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크림프 높이(32) 및 크림프 폭(31)은 적용 툴링에서 고정된다. 버스형 연결의 부분(YY')에 걸친 유효 크림프 길이는 총 크림프 길이의 최소 50%이어야 한다. 부정확한 설정 및/또는 마모되고 파손된 크림프 툴링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와이어 배럴 플래시(35)는 0.20 m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크림프 테이퍼들(crimp tapers)(36)은 크림프 유효성에 기여하고, 스플라이스의 단부들에서의 예리한 재료 에지들로 인해 도체 스트랜드들에 흠이 생기고(nicked) 그리고/또는 파손될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도체들(37)은 스플라이스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어야 한다. 과잉의 마그넷 와이어(magnet wire) 및 리드 와이어 스트랜드들은 적용 장비에 의해 잘려질(trimmed off) 것이다. 스플라이스 시임은 시임에서 보이는 느슨한 와이어 스트랜드들의 흔적없이 폐쇄되어야 한다. 단일의 와이어 스트랜드 노출은, 시임에서 유효한 크림프 길이를 넘어서 발생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버스형 연결의 개략도들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이러한 실시예의 다중 버스형 캐리어가 측부 공급 캐리어에 적합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다중 버스형 연결의 전방 단부에 있는 측부 공급 캐리어는,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표준의 단일 크림핑의 범위를 연장시키는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단부 공급 또는 측부 공급은 적용에 따라 바람직한 모드일 수 있다.
다양한 재료들 및 합금들이 전술한 다중 버스형 종단부에서 스플라이스의 기부 재료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부 재료의 선택은, 특정 응용 시나리오에 적응된 선택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이 제공하는 장점들 및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기부 재료는 황동, 인청동, 강철 구리 합금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중 버스형 종단부를 위한 바람직한 기부 재료들은 구리와 강철의 합금이다.
도금되거나 도금되지 않은 종단부들은 의도된 용도에 따라서, 본 개시에 따라 구상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은 구리 및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금속 와이어들에 적합하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다음에, 도 2 내지 도 4의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에 대한 툴링 적용 요건들에 대한 상세사항들이 논의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종단 기계(100)의 정면 사시도이다. 전동식 종단 기계(100)는 기계들, 가전제품들, 자동차들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들에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전기 리드들을 생성하기 위해 단자들(202)(도 6에 도시됨)을 대응 와이어들(204)(도 6) 상에 반복적으로 크림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 응용에서, 와이어들(204)은 유도 모터, 발전기, 변압기 등의 전기 권선들에 사용되는 마그넷 와이어들일 수 있다. 종단 기계(1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마그넷 와이어들(204)을 각 단자(202) 내로 크림핑하여 마그넷 와이어들(20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종단 기계(100)는, 이동 가능한 램(ram)(102), 고정형 앤빌(104), 램(102)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구동 조립체(106), 및 전단 조립체(108)를 포함한다. 종단 기계(100)는 또한 가상선으로 도시된 하우징(housing)(110) 또는 케이스(case)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종단 기계(100)의 다른 구성요소들(102, 104, 106, 10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작업자들에 대한 부상들을 방지하고, 종단 기계(100) 내로의 부스러기(debris) 및 오염물들의 진입을 차단하는 등등을 한다. 앤빌(104)은 하우징(110)에 대해 고정 위치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앤빌(104)은 하우징(110)에 직접 고정되거나 하우징(110) 내의 기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전단 조립체(108)는 램(102)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전단 조립체(108)는 캐리어 스트립(208) 상의 인접한 단자들(202)(도 6) 사이에서 캐리어 스트립(208)(도 6)의 브리지 세그먼트들(210)(도 6에 도시됨)을 선택적으로 파단 또는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램(102)은 앤빌(104)에 대해 연장 위치(extended position)와 수축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 램(102)은 수축 위치에서 앤빌(104)에 대해 램(102)이 근접하는 것보다 연장 위치에서 앤빌(104)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램(102)의 크림프 스트로크 동안, 램(102)은 수축 위치로부터 앤빌(104)을 향해 연장 위치로 이동하고, 이어서 앤빌(10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축 위치까지 후퇴하여 크림프 스트로크를 완료한다. 램(102)이 크림프 스트로크 동안에 앤빌(104)(및 연장 위치)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램(102)은 앤빌(104)에 대해 대응 단자(202)(도 6)를 크림핑한다. 예를 들어, 램(102)은 램(102)의 크림프 단부(114)로부터 연장되는 크림프 툴링(112)을 포함한다. 크림프 툴링(112)은 단자(202)와 맞물림하고, 크림프 툴링(112)과 앤빌(104) 사이에서 단자(202)를 압축하거나 샌드위칭시켜서, 단자(202) 내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204)(도 6) 상에 단자(202)를 크림핑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조립체(106)는 링크기구(linkage)(118)를 통해 램(10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액추에이터(actuator)(116)를 포함한다. 링크기구(118)는 벨 크랭크(bell crank) 또는 로커(rocker)(12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16)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선형 공압 실린더이지만, 대안 실시예에서는 전기 스텝 모터(electrical step motor), 유압 액추에이터, 자기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전동식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액추에이터(116)는 가압된 가스를 액추에이터(116)에 공급하여 동력원을 제공하는 공기 호스(air hose)에 커플링될 수 있다. 로커(120)는 램(102)의 장착 단부(124)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장착 단부(124)는 크림프 툴링(112)에 커플링되는 램(102)의 크림프 단부(114)에 대향한다. 램(102)은 액추에이터(116)의 수직 상방에 배치된다. 로커(120)의 기능으로 인해, 일 방향으로의 선형 액추에이터(116)의 이동은 램(102)을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16)는 로커(120)를 향해 제1 방향(127)으로 이동하여 램(102)을 크림프 스트로크를 따라 연장 위치 및 앤빌(104)을 향해 구동시키고, 액추에이터(116)는 로커(120)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방향(129)으로 이동하여 램(102)을 수축시킨다.
도 6은 앤빌(104), 및 램(102)의 크림프 단부(114)에 있는 크림프 툴링(112)을 포함하는 종단 기계(100)의 크림프 구역(201)을 도시하는 하향식 도면(top-down illustration)이다. 캐리어 스트립(208) 상의 일련의 단자들(202)이 크림프 구역(201)에 공급된다. 단자들(202)은 자동 공급기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크림프 구역(201)에 공급될 수 있다.
전단 조립체(108)는 램(102)에 장착된 전단 아암(shearing arm)(212)을 포함한다. 전단 아암(212)은 크림프 스트로크 동안에 램(102)의 이동에 따라 앤빌(104)을 향해 이동한다. 전단 아암(212)은 램(102)의 크림프 단부(114)를 넘어서 전단 아암(212)의 원위 단부(214)까지 돌출한다. 전단 아암(212)은 원위 단부(214)에 블레이드(blade)(216)를 갖는다. 전단 아암(212)은 램(102)에 대해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전단 아암(212)은 비절단 위치보다 절단 위치에서 앤빌(104)의 크림프 단부(114)로부터 더 멀리 돌출한다.
도 6에서, 램(102)은 연장 위치에 있고, 전단 아암(212)은 절단 위치에 있다. 각각의 크림프 스트로크 이전에, 캐리어 스트립(208)은 도 6에서 202A로서 식별되는 단자들(202) 중 하나가 앤빌(104)과 크림프 툴링(112) 사이에서 정렬되도록 전진된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204)은 단자(202A)의 배럴 내에 로딩된다. 램(102)이 크림프 스트로크 동안에 연장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크림프 툴링(112)은 단자(202A)를 앤빌(104)에 대해 압축하여 단자(202A)를 와이어들(204) 상에 크림핑한다. 단자(202A)가 크림핑되는 동안에, 전단 아암(212)의 블레이드(216)는 크림핑된 단자(202A)와, 도 6에서 202B로서 식별되는 인접한 크림핑되지 않은 단자(202) 사이에 있는 캐리어 스트립(208)의 브리지 세그먼트(210)를 가격한다. 블레이드(216)는 브리지 세그먼트(210)를 파괴(예를 들어, 절단)하여 크림핑된 단자(202A)를 크림핑되지 않은 단자(202B)(및 캐리어 스트립(208) 상의 다른 단자들(202))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아암(212)이 절단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크림프 스트로크 동안에, 블레이드(216)는 크림핑되는 단자(202)와 인접한 크림핑되지 않은 단자(202) 사이의 캐리어 스트립(208)의 브리지 세그먼트(210)를 절단한다. 본원에 도시 및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단 아암(212)이 비절단 위치에 있을 때, 블레이드(216)는 크림프 스트로크 동안에 브리지 세그먼트(210)를 절단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브리지 세그먼트(210)는 온전한 상태로 남겨지고, 크림핑된 단자(202)(예를 들어, 도 6의 단자(202A))는 인접한 크림핑되지 않은 단자(202)(예를 들어, 단자(202B))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채로 유지된다.
도 7은 수축 위치에 있는 램(102) 및 절단 위치에 있는 전단 조립체(108)의 전단 아암(212)을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 기계(100)의 개략도이다. 도 7뿐만 아니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종단 기계(100)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단순화되고 일반적인 형상들 및 크기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요소들은 종단 기계(100)의 연관된 물리적, 실제 구성요소들의 실제 형상들 및/또는 크기들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램(102)은 램 축(306)을 따라 장착 단부(124)로부터 크림프 단부(114)까지 연장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시 실시예에서, 전단 조립체(108)는 전단 아암(212), 블레이드 위치 토글 메커니즘(blade position toggle mechanism)(302)(본원에서는 토글 메커니즘(302)으로 지칭됨) 및 제어 유닛(control unit)(304)을 포함한다. 전단 아암(212)은 램 축(306)에 평행하게 기다랗게 되어 있다. 전단 아암(212)은 전단 아암(21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포스트(post)(308)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포스트(308)는 지면(page) 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포스트(308)는 전단 아암(212)으로부터 램(102)의 개구(708)(도 8에 도시됨)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토글 메커니즘(302)은 전단 아암(212)의 포스트(308)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토글 메커니즘(302)은 포스트(308)와의 맞물림을 통해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 사이에서 전단 아암(212)을 선택적으로 토글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304)은 토글 메커니즘(302)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304)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processors) 및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4)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에 저장되거나 제어 유닛(304) 내에 하드-와이어된(hard-wired) 프로그래밍된 명령들에 따라 토글 메커니즘(302)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4)은 작업자가 전단 아암(212)에 대한 지정된 토글 시퀀스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일단 시퀀스가 설정되면, 토글 메커니즘(302)은 지정된 토글 시퀀스에 따라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 사이에서 전단 아암(212)을 자동으로 토글할 수 있다.
토글 메커니즘(302)은 블레이드 스위치(blade switch)(310) 및 블레이드 스위치(310)에 연결된 전동식 액추에이터(312)를 포함한다. 토글 메커니즘(302)의 액추에이터(312)는 도 5에 도시된 종단 기계(100)의 액추에이터(116)와는 별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추에이터(312)는 액추에이터(116)에 연결되거나 액추에이터(116)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블레이드 스위치(310)는 램(102)에 장착되고, 크림프 스트로크를 따라 램(102)과 함께 이동한다. 블레이드 스위치(310)는 전단 아암(212)의 포스트(308)와 램(102)의 장착 단부(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스위치(310)는 포스트(308)와 맞물림하는 캠 백스톱 표면(cam backstop surface)(314)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전단 아암(212)은 램(102)의 장착 단부(124)를 향하는(그리고, 예를 들어 앤빌(104)로부터 멀어지는) 수축 방향(315)으로 램(102)에 대해 편향된다. 전단 아암(212)은 전단 아암(212)에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들, 중력, 장력 등을 통해 편향될 수 있다. 전단 아암(212) 상에 가해지는 편향력(biasing force)으로 인해, 전단 아암(212)의 포스트(308)는 블레이드 스위치(310)의 캠 백스톱 표면(314)에 맞닿아 가압된다. 캠 백스톱 표면(314)은 램(102)에 대해 수축 방향(315)으로 전단 아암(212)의 추가적인 이동을 차단하는 견고한 정지부(hard stop)를 제공한다. 포스트(308)는 크림프 스트로크의 적어도 일부 동안에 캠 백스톱 표면(314)과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캠 백스톱 표면(314)은 캠 백스톱 표면(314)을 따라 서로 인접한 높은 시트(high seat)(부분)(316) 및 낮은 시트(low seat)(부분)(318)를 포함한다. 높은 시트(316)는 낮은 시트(318)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단차식으로 되어있다(stepped). 높은 시트(316)는 램(102)의 크림프 단부(114)에 대해 낮은 시트(318)보다 근접하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높은 시트(316)는 램 축(306)을 따라 낮은 시트(318)와 크림프 단부(114) 사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스위치(310)가 램(102)에 장착되지만, 블레이드 스위치(310)는 램(102)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블레이드 스위치(310)의 이동은 전단 아암(212)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 사이에서 토글하게 한다. 액추에이터(312)는 블레이드 스위치(310)의 이동을 구동한다. 도 7에 도시된 블레이드 스위치(310)의 제1 위치에서, 전단 아암(212)의 포스트(308)는 높은 시트(316)와 정렬되어 맞물림한다. 포스트가 높은 시트(316)와 결합할 때, 전단 아암(212)은 절단 위치에 있다.
도 8은 수축 위치에 있는 램(102), 및 비절단 위치에 있는 전단 아암(212)을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 기계(100)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절단 위치로부터, 전단 아암(212)은 램(102)의 장착 단부(124)를 향하는 수축 방향(315)으로 램 축(306)에 평행하게 이동하여 비절단 위치에 이르게 된다. 전단 아암(212)의 블레이드(216)는 절단 위치에 비해 비절단 위치에서 램(102)의 크림프 단부(114)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전단 아암(212)을 절단 위치로부터 비절단 위치로 토글하기 위해, 전동식 액추에이터(312)는 선형으로 이동하여, 블레이드 스위치(310)를 램(102) 및 전단 아암(212) 양자 모두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된 제2 위치로 구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312)는 램 축(306)에 수직인 스위치 축(320)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레이드 스위치(310)를 이동시킨다. 스위치 축(320)을 따른 블레이드 스위치(310)의 이동은 전단 아암(212)이 스위치 축(320)에 대해 약 90도(예를 들어, ±5, 10, 15 도 이내)인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블레이드 스위치(31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전단 아암(212)의 포스트(308)는 낮은 시트(318)와 정렬되어 맞물림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312)가 연장되어서, 낮은 시트(318)가 포스트(308)와 정렬되도록 포스트(308)를 넘어서 높은 시트(316)를 가압한다. 포스트(308)가 낮은 시트(318)에 접할 때, 전단 아암(212)은 비절단 위치에 있다.
전동식 액추에이터(312)는 공압 액추에이터, 전기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모터), 유압 액추에이터, 자기 액추에이터 등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 아암(212)의 위치는 액추에이터(312)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높은 시트(316)가 블레이드 스위치(310)를 향해 편향된 포스트(308)와 정렬되어 맞물림하도록 액추에이터(312)가 블레이드 스위치(310)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전단 아암(212)은 절단 위치를 취한다. 또한, 낮은 시트(318)가 포스트(308)와 정렬되어 맞물림하도록 액추에이터(312)가 블레이드 스위치(31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전단 아암(212)은 비절단 위치를 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312)의 동작은, 지정된 시퀀스에 따라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 사이에서 전단 아암(212)을 토글하기 위해 제어 유닛(304)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시퀀스는 전단 아암(212)을 토글하기 전에 램(102)의 선택된 횟수의 크림프 스트로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시퀀스는, 캐리어 스트립(208)의 브리지 세그먼트(210)(도 6에 도시됨)를 절단하기 위해, 1 회의 크림프 스트로크 동안에 전단 아암(212)을 절단 위치에 설정한 후에, 시퀀스를 반복하기 전에 2 회의 후속 크림프 스트로크들 동안에 전단 아암(212)을 비절단 위치로 토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시퀀스는 3 개의 연결된 단자들(202)(도 6)을 각각 갖는 복수의 크림핑된 리드들을 생성한다. 비절단 위치에서의 전단 아암(212)에 의한 2 회의 크림프 스트로크들은 중간 단자(202)의 양측부들 상에 브리지 세그먼트(210)를 온전한 상태로 남겨둔다. 다른 지정된 시퀀스들은 3 개보다 많거나 적은 연결된 단자들(202)을 갖는 크림핑된 리드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시퀀스는 하나 초과의 타입의 리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시퀀스는 선택된 개수의 1-단자 리드들, 및 이어서 선택된 개수의 2-단자 리드들을 생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어 유닛(304)과 통신하는 터치패드(touchpad), 키보드(keyboard),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 등과 같은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지정된 시퀀스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4)은 유선 또는 무선 신호를 액추에이터(312)에 전송하여 지정된 시퀀스에 따라 액추에이터(312)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램(102)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수축 위치에 있는 동안, 토글 메커니즘(302)은 전단 아암(212)의 위치를 절단 위치로부터 비절단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1 회의 크림프 스트로크를 완료한 후에, 그리고 후속 크림프 스트로크를 시작하기 전에, 액추에이터(312)는 전단 아암(212)의 위치를 토글하기 위해 블레이드 스위치(310)를 이동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연장 위치에 있는 램(102), 및 도 7에서와 같이 절단 위치에 있는 전단 아암(212)을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 기계(100)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연장 위치에 있는 램(102), 및 도 8에서와 같이 비절단 위치에 있는 전단 아암(212)을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 기계(100)의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 양자 모두를 참조하면, 램(102)이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및 앤빌(104))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 스위치(310) 및 전단 아암(212)은 램(102)과 함께 이동한다. 전단 아암(212)의 포스트(308)는 이동 동안에 블레이드 스위치(310)의 캠 백스톱 표면(314)과 편향된 맞물림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액추에이터(312)는 크림프 스트로크를 따라 램(102)과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전단 아암(212)이 도 9에 도시된 절단 위치에 있을 때, 램(102)이 연장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전단 아암(212)의 블레이드(216)는 캐리어 스트립(208)의 브리지 세그먼트(210)와 결합하여 브리지 세그먼트(210)를 절단한다. 반대로, 전단 아암(212)이 도 10에 도시된 비절단 위치에 있을 때, 블레이드(216)는 램(102)의 연장 위치에서도, 브리지 세그먼트(210)와 결합하지 않고 브리지 세그먼트(2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음에, 외력들(external forces) 하에서의 크림프 연결의 역학 및 거동이 설명될 것이다.
크림프 연결에서 영구적인 접촉을 확립 및 유지하기 위한 2 개의 메커니즘들, 즉 냉간 용접 및 적절한 잔류력(residual force) 분포의 발생이 있다. 양자 모두의 메커니즘들은 영구적인 연결을 생성하는데 기여하며, 서로 독립적이다. 크림핑 동안에, 2 개의 금속 표면들에는, 인가된 힘 하에서, 슬라이딩(sliding) 또는 와이핑(wiping) 작용들, 그에 따라 냉간 용접으로도 알려진 냉간 버전(cold version)으로 금속들을 용접하게 한다. 적절한 잔류력 분포 하에서, 접촉 계면은 포지티브 힘(positive force)을 경험할 것이다. 크림핑 동안에, 크림프 툴링이 제거될 때 도체와 크림프 배럴 사이에 잔류력들이 생기고, 이는 상이한 탄성 회복을 나타낸다.
전기 도체가 크림프 배럴보다 많이 스프링백(spring back)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 배럴은 도체 상에 압축력을 가하고, 이는 접촉 계면의 무결성(integrity)을 유지한다. 크림핑된 연결의 전기적 및 기계적 성능은 도체들과 크림프 배럴들의 제어된 변형으로부터 기인하며, 이 변형은 도체들 사이, 및 도체들과 크림프 배럴 사이의 미세 냉간 용접된 접합부들(micro cold welded junctions)을 생성한다. 이러한 접합부들은 크림핑된 연결 내의 적절한 잔류 응력 분포에 의해 유지되며, 이는 잔류력들을 초래하고 이 잔류력들은 결국 접합부들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들(및/또는 그 양태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교시들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응시키도록 많은 변형예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치수들, 재료들의 타입들,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배향들, 및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개수 및 위치들은 특정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규정하도록 의도된 것이고, 결코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의 많은 다른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상기 설명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권리가 부여되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위와 함께, 그러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용어들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서(in which)"는 각각의 용어들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영어 등가물들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하기의 청구범위에서, 용어들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형용어구들(labels)로서 사용되며, 그 대상들에 대한 수치적 요건들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특히 그것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취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형태 및 상세사항들에 있어서의 다양한 변경들이 그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설명적 의미에서만 고려되어야 하고, 제한의 목적들로는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발명의 상기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규정되며, 범위 내의 모든 차이점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10, 10' : 크림프 세그먼트
11 : 톱니형상부
20, 20' : 단자 장치
12 : 단부 공급 캐리어
31 : 크림프 배럴
32 : 크림프 기부
33 : 엠보싱 영역들
35 : 깊어진 영역들
36 : 크림프 배럴의 내부 표면
37 : 톱니형상부들

Claims (12)

  1. 복수의 와이어들(wires)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termination)(20, 20')로서,
    상기 단자 장치는 2 개 이상의 스플라이스들(splices)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플라이스는 기부(base), 및 상기 와이어들을 유지하기 위한 영역을 가지며, 상기 스플라이스들은 제1 스플라이스의 기부로부터 나머지 스플라이스들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캐리어 스트립(conductive carrier strip)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형 크림프(serrated crimp)인,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크림프는 전방 단부에서 단부 공급 캐리어(end-feed carrier) 또는 측부 공급 캐리어(side-feed carrier)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들을 유지하기 위한 영역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내부 표면은 하나의 벽으로부터 대향 벽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형상부들(serrations)을 갖는,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4. 제2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톱니형 크림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크림프들의 대향 측벽들의 단부들은 완전하게 폐쇄된 시임(seam)을 따라 서로 맞물림하도록 적응되는,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크림프들의 대향 측벽들의 단부들은 상기 크림프의 후방 단부가 상기 후방 단부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테이퍼지도록 서로 맞물림하도록 적응되는,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크림프의 대향 측벽들의 단부들은 후방 단부가 벨 마우스 형상(bell mouth shape)을 갖도록 서로 맞물림하도록 적응되는,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배럴 내의 톱니형상부들의 개수는 적어도 3 개인,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배럴 내의 톱니형상부들의 개수는 9 개인,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들의 기부 재료는 구리와 강철의 합금인,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는 도금되어 있는,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은 자기(magnetic) 및/또는 연선형 리드 와이어들(stranded lead wires)인,
    복수의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단부(20, 20').
KR1020190066018A 2018-06-06 2019-06-04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 KR201901387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841021144 2018-06-06
IN201841021144 2018-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749A true KR20190138749A (ko) 2019-12-16

Family

ID=6677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018A KR20190138749A (ko) 2018-06-06 2019-06-04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11858B2 (ko)
EP (1) EP3579342A1 (ko)
KR (1) KR20190138749A (ko)
CN (1) CN1105715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973A1 (ko) 2019-11-01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편광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1858B2 (en) * 2018-06-06 2021-05-18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Multiple bussed terminations
US20230122329A1 (en) * 2021-10-18 2023-04-20 Abb Schweiz Ag Linearized magnet wir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6192A (en) * 1952-04-09 1957-03-19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NL102635C (ko) * 1954-07-06
US3437981A (en) * 1967-06-29 1969-04-08 Robert Joseph Keller Electrical wire joiner
US3739470A (en) * 1971-09-16 1973-06-19 Thomas & Betts Corp Connector
CA1012624A (en) * 1973-08-31 1977-06-21 Kenneth C. Allison Insulation piercing clamp type electrical connector
US3922480A (en) 1974-10-09 1975-11-25 Gen Motors Corp Electrical connection of conductor lead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43237A (en) * 1978-02-24 1979-03-06 Atkins Geoff C Electrical wire connector
DE9217344U1 (ko) 1992-12-18 1993-02-18 Mannesmann Kienzle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De
DE29621319U1 (de) 1996-12-07 1997-02-13 Volkswagen Ag Potentialverteiler
US6626711B2 (en) * 2000-06-12 2003-09-30 Yazaki Corporation Press-clamping terminal and method of examining press-clamped condition thereof
US7125295B2 (en) * 2004-10-07 2006-10-24 Alcon Fujikura Limited Interlocking ring terminals
US7601037B2 (en) * 2008-01-11 2009-10-1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erminal with multiple wire connection
JP5169502B2 (ja) 2008-06-03 2013-03-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プライス接続電線及びスプライス接続電線の製造方法
IT1392038B1 (it) * 2008-07-23 2012-02-09 Abb Spa Componente elettrico per dispositivi di commutazione di bassa tension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tale componente elettrico, e dispositivo di commutazione elettrica comprendente tale componente.
JP5441247B2 (ja) * 2009-04-27 2014-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タイプヒュージブルリンク用分配端子及び電線タイプヒュージブルリンク用分配端子を用いたヒューズ接続構造
EP2458685B1 (de) * 2010-11-26 2015-07-22 Delphi Technologies, Inc. Kabelverbinder
JP5699942B2 (ja) 2012-01-12 2015-04-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US8992251B2 (en) 2013-03-19 2015-03-31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splice assembly
JP2014199721A (ja) * 2013-03-29 2014-10-23 日本碍子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体及び圧着体の製造方法。
JP6130722B2 (ja) 2013-04-26 2017-05-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US10361527B2 (en) 2015-02-25 2019-07-2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nd device for forming a terminal
US11011858B2 (en) * 2018-06-06 2021-05-18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Multiple bussed termin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973A1 (ko) 2019-11-01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71541A (zh) 2019-12-13
US20190379143A1 (en) 2019-12-12
US11011858B2 (en) 2021-05-18
EP3579342A1 (en) 2019-12-11
CN110571541B (zh)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4891B2 (en) Wire crimping device
EP2169771B1 (en) A terminal fitting, a terminal fitting chain, a wire with a terminal fitting, a processing device therefor and a connecting method therefor
US2693216A (en) Tool for electrical connectors
KR20190138749A (ko) 다중 버스형 종단부들
CN107453182B (zh) 具有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
US3393438A (en) Crimping tool
US2015036483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ion structural body, connection structural body, wire harness, crimping member and crimping device
EP2309600A1 (en) Compression terminal, splicing terminal, and electric wire compressing structure
US4288141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6939625B2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JP2007280792A (ja) 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方法
EP2418737A1 (en) Crimping terminal, crimping structure of crimping terminal, and crimping terminal crimping method
KR20160007543A (ko) 전기 단자를 전기 와이어에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3932018A (en) Electrical connections for closely spaced conductors and apparatus for forming such connections
CN102204022B (zh) 连接装置及使用该连接装置的控制中心
JP2929416B2 (ja) 接続端子の切断・圧着装置
EP2500980A1 (en) Crimping terminal and method for crimping terminal
JP6786312B2 (ja) 圧着端子
US3443299A (en) Apparatus for trimming and connecting wires
US20230198172A1 (en) Terminal and wire with terminal
US3849860A (en) Apparatus for forming and applying a strain relief splice from a continuous supply strip
US20220239019A1 (en) Terminal and terminal wire assembly
US3541654A (en) Stripper-crimper device
US4007534A (en) Multi-conductor half tap
JP5607851B2 (ja) 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圧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