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805A -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805A
KR20210042805A KR1020200114032A KR20200114032A KR20210042805A KR 20210042805 A KR20210042805 A KR 20210042805A KR 1020200114032 A KR1020200114032 A KR 1020200114032A KR 20200114032 A KR20200114032 A KR 20200114032A KR 20210042805 A KR20210042805 A KR 2021004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terminal
pair
side wal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117B1 (ko
Inventor
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Abstract

(과제) 일체 성형으로 전기 커넥터를 제조할 때, 단자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가동 하우징(20)은, 상대측 커넥터(2)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끼워맞춤하기 위한 끼워맞춤 오목부(21)를 갖고, 끼워맞춤 오목부(21)는, 대향한 한 쌍의 측벽부(22)와, 한 쌍의 측벽부(22)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벽부(23)와, 한 쌍의 측벽부(22) 및 한 쌍의 연결 벽부(23)를 연결하는 저벽부(24)를 갖고, 복수의 단자(30)는, 측벽부(22) 및 저벽부(24)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단자(30)의 제2 고정부는, 저벽부(24)의 내측 표면을 따라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43)와, 측벽부의 내측 측면을 따라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45)와, 직선 형상부(43) 및 직선 형상부(45)를 연결하는 절곡부(44)를 갖고, 저벽부의 내측 벽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부(43)의 적어도 일부가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可動) 하우징을 구비하는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조립·실장 시, 회로 기판이나 케이스체의 위치 어긋남(오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가 있으면 편리하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상대측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가동(可動)인, 소위 플로팅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플로팅 커넥터는, 단자의 일단측을 보유지지(保持)하고, 그 단자가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에 대하여 고정 위치를 이루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과는 별개체로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으로 상대측 커넥터와 접촉 접속되는 단자의 타단측을 보유지지하는 가동 하우징을 갖고 있다. 단자는,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에 의한 피보유지지부끼리 사이에, 하등 지지되어 있지 않은 탄성부를 갖고, 그 탄성부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이 되어, 소위 플로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 등을 들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8-113163호
상기와 같은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우징과 단자를 일체 성형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를 일체 성형으로 제조하면, 몰드 공정에 있어서, 각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버려, 단자의 위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플로팅 커넥터와 같이, 단자에 탄성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이 문제는 현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일체 성형으로 전기 커넥터를 제조할 때, 단자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그 외의 목적과 신규의 특징은, 본 명세서의 서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실시예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 및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의 사이의 탄성부를 갖고,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끼워맞춤하기 위한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는, 대향한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벽부를 연결하는 저벽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저벽부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저벽부의 내측 표면을 따라 신장하는 제1 직선 형상부와, 상기 측벽부의 내측 측면을 따라 신장하는 제2 직선 형상부와, 상기 제1 직선 형상부 및 상기 제2 직선 형상부를 연결하는 제1 절곡부를 갖고,
상기 저벽부의 내측 벽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동 하우징으로부터 노정(露呈)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상기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단자의 상기 제1 직선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금형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고정 하우징, 상기 가동 하우징 및 상기 단자를 일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실시예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일체 성형으로 전기 커넥터를 제조할 때, 단자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에 있어서의 플로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편의상 그의 필요가 있을 때는, 복수의 섹션 또는 실시 형태로 분할하여 설명하지만, 특별히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그들은 서로 무관계한 것이 아니라, 한쪽은 다른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의 변형예, 상세, 보충 설명 등의 관계에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요소의 수 등(개수, 수치, 양, 범위 등을 포함함)으로 언급하는 경우, 특별히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분명하게 특정의 수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특정의 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수 이상이라도 이하라도 좋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전기 커넥터의 긴 쪽 방향(단자의 배열 방향)을 X(X1X2) 방향으로 하고, 짧은 쪽 방향(단자의 대향 방향)을 Y(Y1Y2) 방향으로 하고, 높이 방향(끼워맞춤·발거(拔去) 방향)을 Z(Z1Z2) 방향으로 한다. 또한, 각 방향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도 2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하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에 있어서의 플로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도 2의 A-A 절단면에 상당).
우선, 도 1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회로 기판(3)에 실장되는 플러그 커넥터이고, 회로 기판(3)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10)과, 고정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어,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20)과,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단자(30)와, 고정 하우징(1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금구(6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는, 회로 기판이나 케이스체의 위치 어긋남(오차)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위치 어긋남을 XYZ 방향에 있어서 흡수할 수 있는, 소위 플로팅 커넥터이다. 즉, 복수의 단자(30)가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가동 하우징(20)이 XYZ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커넥터끼리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난 경우라도, 일정한 허용 범위 내에서, 커넥터끼리의 정상적인 끼워맞춤이 가능하게 된다. 한 쌍의 지지 금구(60)는, 가동 하우징(20)의 Z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는, 회로 기판(4)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하우징(70)과, 복수의 단자(80)와, 하우징(7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금구(90)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가 끼워맞춤함으로써, 각각 대응하는 단자(30) 및 단자(80)가 접촉하여, 양 커넥터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1) 및 상대측 커넥터(2)는, X 방향 및 Y 방향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대칭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 및 상대측 커넥터(2)의 복수의 단자는, 각각, 10개 배열된 단자가 대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합계 20개의 단자를 갖는다. 단, 단자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 하우징(10), 가동 하우징(20) 및 하우징(70)은, 수지나 플라스틱재, 탄소 섬유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30, 80)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금구(60, 90)는, 금속 등의 절곡 가공이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단, 전기 커넥터(1) 및 상대측 커넥터(2)의 구성 부재 및 각 구성 부재의 재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 금구(60)는, 고정 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해도 좋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고정 하우징(10)은,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한 쌍의 측벽부(11)로 구성되고, 한 쌍의 측벽부(11)는 X 방향으로 신장하고, 한 쌍의 측벽부(11)의 양단부는, 한 쌍의 지지 금구(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부(11) 및 한 쌍의 지지 금구(60)에 의해, 고정 하우징(10)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구성하고, 그의 내부에 개구부를 갖는다. 고정 하우징(10)은, 복수의 단자(30)의 제1 고정부(32∼34, 35의 일부)를 보유지지하고, 고정 하우징(10)의 하방(Z2측)으로부터 단자(30)의 기판 접속부(31) 및 지지 금구(60)의 기판 접속부(61)가 노출되고, 기판 접속부(31) 및 기판 접속부(61)가 회로 기판(3)에 납땜됨으로써, 고정 하우징(10)이 회로 기판(3)에 고정된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20)은, 고정 하우징(10)의 상방(Z1측)으로 돌출된 끼워맞춤 오목부(21)를 갖고, 커넥터 끼워맞춤 시에, 상대측 커넥터(2)의 끼워맞춤 볼록부(71)가 끼워맞춤 오목부(21)에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21)는,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한 쌍의 측벽부(22)와, 한 쌍의 측벽부(22)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벽부(23)와, 한 쌍의 측벽부(22)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벽부(23)를 연결하는 저벽부(24)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부(22)는 X 방향으로 신장하고, 한 쌍의 연결 벽부(23)는 Y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저벽부(24)는, 측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저부에 있어서 XY 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20)은, 복수의 단자(30)의 제2 고정부(42∼51)를 보유지지하고, 측벽부(22)의 양측 측면 및 상면을 따라 복수의 단자(30)가 노정되어 있다. 저벽부(24)에는, 단자(30)의 배열 방향(X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 간의 위치로서, 한 쌍의 측벽부(22)의 하부(Z2 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에 두께부(54)가 구성되어 있다. 이 두께부(54)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제2 고정부(42∼51)에서의 복수의 단자(30)의 보유지지를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가동 하우징(20)은, 저벽부(24)의 하방에 있어서 X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규제 볼록부(25)와, 한 쌍의 규제 볼록부(25)를 연결하는 연결 볼록부(26)를 구비한다. 규제 볼록부(25)는, 고정 하우징(10)에 대한 가동 하우징(20)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고, 그의 일부는, 지지 금구(60)의 하부(Z2 방향)에 위치하고, 또한 고정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부(11)의 사이에 위치한다. 연결 볼록부(26)는, 가동 하우징(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고, X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또한, 연결 볼록부(26)의 폭(Y 방향의 길이)은, 단자(30)의 탄성 변형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규제 볼록부(25)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지지 금구(60)의 내측의 측면(62)과, 가동 하우징(20)의 연결 벽부(23)의 외측의 측면(27)이 맞닿음으로써, X 방향의 이동 범위가 규제된다. 또한, 고정 하우징(10)의 측벽부(11)의 내측의 측면(12)과, 가동 하우징(20)의 규제 볼록부(25)의 측면(28)이 맞닿음으로써, Y 방향의 이동 범위가 규제된다. 또한, 지지 금구(60)의 저면(63) 및 회로 기판(3)의 표면(실장면)과, 가동 하우징(20)의 규제 볼록부(25)의 상면(29) 및 하면(55)이 맞닿음으로써, Z 방향의 이동 범위가 규제된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30)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고, 가동 하우징(20)의 측벽부(22) 및 고정 하우징(10)의 측벽부(11)를 따라, 복수의 단자가 X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고, 각 열의 대향하는 단자는, Y 방향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30)의 각각은, 회로 기판(3)에 납땜되는 기판 접속부(31), 끼워맞춤 방향(Z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33), 기판 접속부(31)와 직선 형상부(33)를 연결하는 절곡부(32), 끼워맞춤 방향(Z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35)(제5 직선 형상부), 직선 형상부(33)와 직선 형상부(35)를 연결하는 절곡부(34), Z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37)(제6 직선 형상부), 직선 형상부(35)와 직선 형상부(37)를 연결하는 절곡부(36)(제5 절곡부), Y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39)(제7 직선 형상부), 직선 형상부(37)와 직선 형상부(39)를 연결하는 절곡부(38)(제6 절곡부), Z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41)(제8 직선 형상부), 직선 형상부(39)와 직선 형상부(41)를 연결하는 절곡부(40)(제7 절곡부), Y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43)(제1 직선 형상부), 직선 형상부(41)와 직선 형상부(43)를 연결하는 절곡부(42), Z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45)(제2 직선 형상부), 직선 형상부(43)와 직선 형상부(45)를 연결하는 절곡부(44)(제1 절곡부), Y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47)(제3 직선 형상부), 직선 형상부(45)와 직선 형상부(47)를 연결하는 절곡부(46)(제2 절곡부), Z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직선 형상부(49)(제4 직선 형상부), 직선 형상부(47)와 직선 형상부(49)를 연결하는 절곡부(48)(제3 절곡부), 측벽부(22)에 매몰된 매입부(51) 및, 직선 형상부(49)와 매입부(51)를 연결하는 절곡부(50)(제4 절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30)는, 크게 나누어, 회로 기판(3)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31)와, 고정 하우징(1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제1 고정부(32∼34 및, 35의 일부)와, 가동 하우징(2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제2 고정부(42∼51)와,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의 사이의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35의 일부 및, 36∼41)로 구성된다. 플로팅 기능에 기여하는 부분은, 탄성부(35의 일부 및, 36∼41)이고, 제1 고정부(32∼34 및, 35의 일부) 및 제2 고정부(42∼51)는 플로팅 기능에 기여하지 않는다. 또한, 직선 형상부(45, 49)는, 커넥터 끼워맞춤 시에, 상대측 커넥터(2)의 단자(80)와 접촉하여 전기 접속되는 부분이다. 또한, 탄성부(35의 일부 및, 36∼41)의 폭은, 제2 고정부(42∼51)의 폭보다 작아지고 있다. 또한, 탄성부 중, 직선 형상부(37, 39, 41)의 중앙 부근의 폭이, 더욱 작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변형하기 쉬워져, 탄성이 증가한다. 또한, 제1 고정부 중, 직선 형상부(33)의 중앙 부근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하우징(10)으로부터 단자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도 7은, 도 2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도 2의 A-A 절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하방으로부터 본 도면).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단자(30)는, 중심에서 절단되어 절반의 폭으로 나타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42∼51)에 있어서, 절곡부(44), 직선 형상부(45), 절곡부(46), 직선 형상부(47), 절곡부(48), 직선 형상부(49) 및, 절곡부(50)는, 가동 하우징(20)의 측벽부(22)의 표면을 따라 신장하고, 단자(30)의 자유단은, 측벽부(22)에 매몰되어 매입부(5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절곡부(42)는, 가동 하우징(20)의 저벽부(24)에 매몰되어 있다. 직선 형상부(43)(제1 직선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저벽부(24)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직선 노정부(52)를 형성하고 있다. 즉, 직선 노정부(52)는, 끼워맞춤 오목부에 노정되어 있고, Z 방향을 따라 전기 커넥터를 보았을 때에, 시인 가능하다(도 4 참조). 또한, 절곡부(44)는, 측벽부(22)의 표면 및 저벽부(24)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반대측의 면(Z2 방향)의 부분도 저벽부(24)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곡선 노정부(53)를 형성하고 있다. 즉, 곡선 노정부(53)는, Y 방향을 따라 전기 커넥터를 보았을 때에, 시인 가능하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가동 하우징(20)의 저벽부(24) 또는 측벽부(22)로부터 노정된 직선 노정부(52) 및 곡선 노정부(53)를 형성함으로써, 단자(30)와의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을 몰드 성형할 때에, 직선 노정부(52) 및 곡선 노정부(53)를 금형에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단자를 금형으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에 의해 단자가 어긋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일체 성형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한다. 즉, 직선 노정부(52)에 금형을 맞닿게 함으로써, 단자의 Z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고, 또한, 곡선 노정부(53)에 금형을 맞닿게 함으로써, 단자의 Z 방향 및 Y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직선 형상부(47)는, 측벽부(22)의 표면으로부터 노정되어 있고, Z 방향을 따라 전기 커넥터를 보았을 때에, 시인 가능하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측벽부(22)의 표면으로부터 노정된 직선 형상부(47)를 형성함으로써, 단자(30)와의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을 몰드 성형할 때에, 직선 형상부(47)를 금형에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단자를 금형으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에 의해 단자가 어긋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일체 성형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한다. 직선 노정부(52) 및 직선 형상부(47)의 2개소에 금형을 맞닿게 함으로써, 단자의 Z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직선 형상부(45) 및 직선 형상부(49)는, 측벽부(22)의 표면으로부터 노정되어 있고, Y 방향을 따라 전기 커넥터를 보았을 때에, 시인 가능하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측벽부(22)의 표면으로부터 노정된 직선 형상부(45) 및 직선 형상부(49)를 형성함으로써, 단자(30)와의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을 몰드 성형할 때에, 직선 형상부(45) 및 직선 형상부(49)를 금형에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단자를 금형으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에 의해 단자가 어긋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일체 성형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한다. 직선 형상부(45) 및 직선 형상부(49)의 2개소에 금형을 맞닿게 함으로써, 단자의 Y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플로팅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고정 하우징(10)에 대한 가동 하우징(20)의 XYZ 방향의 이동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대측 커넥터와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지만, 상대측 커넥터(2)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하여 Y2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의 단자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때, 단자(30)의 탄성부의 절곡부(36), 직선 형상부(37), 절곡부(38), 직선 형상부(39), 절곡부(40) 및 직선 형상부(41)가 변형하여, 커넥터 간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고 있다. 또한, 탄성부의 절곡부가 3개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이 용이하다. Y 방향의 가동 범위는, 고정 하우징(10)의 측벽부(11)의 내측의 측면(12)과, 가동 하우징(20)의 규제 볼록부(25)의 측면(28)이 맞닿음으로써, Y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한 쌍의 지지 금구(60) 및 복수의 단자(30)는, 1장의 금속판을 펀칭하고, 절곡 가공되어 제조된다. 이 상태로, 한 쌍의 지지 금구(60) 및 복수의 단자(30)는, 캐리어를 개재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어,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된다. 지지 금구(60)의 캐리어는, 기판 접속부(61)의 단부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단자(30)의 캐리어는, 기판 접속부(31)의 단부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단자(30)에 대해서는, 고정 하우징측은 캐리어에 의해 직접적으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일체화된 한 쌍의 지지 금구(60), 복수의 단자(30) 및 캐리어에 금형을 세트한다. 이때, 단자(30)의 적어도 직선 노정부(52) 및 곡선 노정부(53)가 금형에 맞닿도록 하여 위치 결정을 행한다. 직선 노정부(52) 또는 곡선 노정부(53)의 어느 한쪽만이 금형에 맞닿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금형 내에 수지 등을 주입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여,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을 성형한다. 그 후, 금형을 떼어내어, 한 쌍의 지지 금구(60) 및 복수의 단자(30)의 단부를 캐리어로부터 절단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단자의 일부가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노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체 성형 시, 그 노정 부분에 금형을 맞닿게 하여 단자의 위치 맞춤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단자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그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가 플로팅 기능을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로팅 기능을 갖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판에 실장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 등에 접속되는 커넥터에 적용해도 좋다.
1 : 전기 커넥터
2 : 상대측 커넥터
3 : 회로 기판
4 : 회로 기판
10 : 고정 하우징
11 : 측벽부
12 : 측면
20 : 가동 하우징
21 : 끼워맞춤 오목부
22 : 측벽부
23 : 연결 벽부
24 : 저벽부
25 : 규제 볼록부
26 : 연결 볼록부
27 : 측면
28 : 측면
29 : 상면
30 : 단자
31 : 기판 접속부
32 : 절곡부
33 : 직선 형상부
34 : 절곡부
35 : 직선 형상부(제5 직선 형상부)
36 : 절곡부(제5 절곡부)
37 : 직선 형상부(제6 직선 형상부)
38 : 절곡부(제6 절곡부)
39 : 직선 형상부(제7 직선 형상부)
40 : 절곡부(제7 절곡부)
41 : 직선 형상부(제8 직선 형상부)
42 : 절곡부
43 : 직선 형상부(제1 직선 형상부)
44 : 절곡부(제1 절곡부)
45 : 직선 형상부(제2 직선 형상부)
46 : 절곡부(제2 절곡부)
47 : 직선 형상부(제3 직선 형상부)
48 : 절곡부(제3 절곡부)
49 : 직선 형상부(제4 직선 형상부)
50 : 절곡부(제4 절곡부)
51 : 매입부
52 : 직선 노정부
53 : 곡선 노정부
54 : 두께부
55 : 하면
60 : 지지 금구
61 : 기판 접속부
62 : 측면
63 : 저면
70 : 하우징
71 : 끼워맞춤 볼록부
80 : 단자
90 : 지지 금구

Claims (9)

  1.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可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 및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保持)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의 사이의 탄성부를 갖고,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끼워맞춤하기 위한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는, 대향한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벽부를 연결하는 저벽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저벽부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저벽부의 내측 표면을 따라 신장하는 제1 직선 형상부와, 상기 측벽부의 내측 측면을 따라 신장하는 제2 직선 형상부와, 상기 제1 직선 형상부 및 상기 제2 직선 형상부를 연결하는 제1 절곡부를 갖고,
    상기 저벽부의 내측 벽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동 하우징으로부터 노정(露呈)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부의 외측 저면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제1 절곡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동 하우징으로부터 노정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면을 따라 신장하는 제3 직선 형상부와, 상기 제2 직선 형상부 및 상기 제3 직선 형상부를 연결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측벽부의 외측 측면을 따라 신장하는 제4 직선 형상부와, 상기 제3 직선 형상부 및 상기 제4 직선 형상부를 연결하는 제3 절곡부와, 상기 측벽부의 외측 벽부에 매입된 매입부와, 상기 제4 직선 형상부 및 상기 매입부를 연결하는 제4 절곡부를 갖고,
    상기 제1 절곡부, 상기 제2 직선 형상부, 상기 제2 절곡부, 상기 제3 직선 형상부, 상기 제3 절곡부 및, 상기 제4 직선 형상부는, 상기 가동 하우징으로부터 노정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탄성부는,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신장하는 제5 직선 형상부와, 상기 제5 직선 형상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6 직선 형상부와, 상기 제5 직선 형상부 및 상기 제6 직선 형상부를 연결하는 제5 절곡부와, 상기 제6 직선 형상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7 직선 형상부와, 상기 제6 직선 형상부 및 상기 제7 직선 형상부를 연결하는 제6 절곡부와,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신장하는 제8 직선 형상부와, 제7 직선 형상부 및 상기 제8 직선 형상부를 연결하는 제7 절곡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금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금구는, 상기 가동 하우징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고정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금속판을 펀칭하고, 절곡 가공되어 제조된 것인, 전기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제1 직선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금형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고정 하우징, 상기 가동 하우징 및 상기 단자를 일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 상기 가동 하우징 및 상기 단자를 일체 성형하는 공정은, 상기 단자의 상기 제1 절곡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금형과 맞닿은 상태로 일체 성형되는, 방법.
KR1020200114032A 2019-10-10 2020-09-07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85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86755A JP7161463B2 (ja) 2019-10-10 2019-10-10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9-186755 2019-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805A true KR20210042805A (ko) 2021-04-20
KR102585117B1 KR102585117B1 (ko) 2023-10-04

Family

ID=7534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032A KR102585117B1 (ko) 2019-10-10 2020-09-07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17924B2 (ko)
JP (2) JP7161463B2 (ko)
KR (1) KR102585117B1 (ko)
CN (1) CN112652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0500S1 (en) * 2018-12-17 2022-05-03 Samtec, Inc. Connector
JP7282464B2 (ja) * 2019-05-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687790B1 (ja) * 2019-07-26 2020-04-2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297622B2 (ja) * 2019-09-20 2023-06-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113270756B (zh) * 2020-02-14 2023-05-23 山一电机株式会社 高速传输用连接器的壳体以及高速传输用连接器
JP2022046932A (ja) * 2020-09-11 2022-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コネクタ
US11831093B2 (en) * 2021-03-30 2023-11-28 Cisco Technology, Inc. Socket locator
JP2023092647A (ja) * 2021-12-22 2023-07-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コネクタ及び基板対基板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8246A (ja) * 2016-04-04 2017-10-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8078079A (ja) * 2016-11-11 2018-05-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198234A1 (en) * 2017-01-11 2018-07-12 Iriso Electronics Co., Ltd. Mov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044B2 (ja) 1999-06-02 2005-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KR20060039930A (ko) 2003-08-01 2006-05-09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커넥터
JP6116056B2 (ja) * 2013-08-07 2017-04-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41000B2 (ja) 2017-08-09 2021-09-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74034A (ja) 2019-04-10 2020-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8246A (ja) * 2016-04-04 2017-10-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8078079A (ja) * 2016-11-11 2018-05-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198234A1 (en) * 2017-01-11 2018-07-12 Iriso Electronics Co., Ltd. Movable Connector
JP2018113163A (ja) 2017-01-11 2018-07-1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79771A (ja) 2022-12-02
JP7400051B2 (ja) 2023-12-18
CN112652900B (zh) 2023-03-17
JP2021064443A (ja) 2021-04-22
CN112652900A (zh) 2021-04-13
US20210111504A1 (en) 2021-04-15
KR102585117B1 (ko) 2023-10-04
US11217924B2 (en) 2022-01-04
JP7161463B2 (ja)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2805A (ko)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84193B1 (ko) 커넥터
US1091687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2685566B1 (en) Electrical terminal pin
KR101364231B1 (ko) 커넥터
CN111934110B (zh) 连接器
KR101851491B1 (ko) 커넥터 및 접속 구조
US11605911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JP5166931B2 (ja) 電気コネクタ
US11223148B2 (en) Floating connector
JP736983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652383B1 (ko) 커넥터
CN116613567A (zh) 连接器
KR20040080996A (ko) 전기 커넥터
JP7377781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792899A (zh) 具备嵌件成型的端子的连接器
JP2011048982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6814051B2 (ja) コネクタ
JP4326871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0518380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7360813B2 (ja) 可動コネクタ
CN116137397A (zh) 电端子、端子组件、连接器组件和制造该端子组件的方法
CN115207666A (zh) 插头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2021064535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8130409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