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088A -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088A
KR20210041088A KR1020217008719A KR20217008719A KR20210041088A KR 20210041088 A KR20210041088 A KR 20210041088A KR 1020217008719 A KR1020217008719 A KR 1020217008719A KR 20217008719 A KR20217008719 A KR 20217008719A KR 20210041088 A KR20210041088 A KR 20210041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powder
mass
bonded magnets
bond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582B1 (ko
Inventor
도모야 야마다
사토루 츠보이
가즈유키 우에무라
다쿠유키 바바
야스노부 미시마
Original Assignee
도와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에프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와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에프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와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3393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45573A1/ja
Publication of KR2021004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5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s
    • H01F41/0266Moulding; Pr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18Mixed oxides or hydroxides
    • C01G49/0036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one alkaline earth metal, magnesium or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1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 H01F1/1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in the form of particles
    • H01F1/11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in the form of particles in a bo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4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aspect ratio, i.e. the ratio of sizes in the longest to the shortest dim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2Magnetic properties

Landscapes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자장 배향에 의해 높은 잔류 자화 Br을 갖는 본드 자석을 얻을 수 있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철과 스트론튬과 란탄과 코발트의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을 혼합하여 조립한 후, 소성하고, 이 소성에 의해 얻어진 소성물을 조분쇄하여 얻어진 조분쇄분을 분쇄한 후, 어닐함으로써, (Sr1-xLax)·(Fe1-yCoy)nO19-z(단, 0<x≤0.5, 0<y≤0.04, 10.0≤n≤12.5, -1.0≤z≤3.5)의 조성을 갖고, 평균 입경이 1.3 내지 2.5㎛인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제조한다.

Description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페라이트의 조립과 미립을 포함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AV 기기, OA 기기, 자동차 전장 부품 등에 사용되는 소형 모터나, 복사기의 마그네트 롤 등에 사용되는 자석과 같은 고자력의 자석으로서, 페라이트계 소결 자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페라이트계 소결 자석은, 절결 균열이 발생하거나, 연마가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복잡한 형상으로의 가공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근년에는 AV 기기, OA 기기, 자동차 전장 부품 등에 사용되는 소형 모터 등의 고자력의 자석으로서, 희토류 자석의 본드 자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희토류 자석은 페라이트계 소결 자석의 약 20배의 비용이 들고, 또한 녹슬기 쉽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페라이트계 소결 자석 대신에 페라이트계 본드 자석을 사용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로서, 조성이 (Sr1-xAx)O·n[(Fe1-y-zCoyZnz)2O3](단, A는 La, La-Nd, La-Pr 또는 La-Nd-Pr, n=5.80 내지 6.10, x=0.1 내지 0.5, y=0.0083 내지 0.042, 0≤z<0.0168)이며, 포화 자화값 σs가 73Am2/kg(73emu/g) 이상인 평균 입경이 1.0 내지 3.0㎛인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 스트론튬 페라이트 입자 분말이며, 또한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 스트론튬 페라이트 입자 분말 중에 판상 입자를 개수 비율로 60% 이상 포함하고 있는, 본드 자석용 스트론튬 페라이트 입자 분말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5907호 공보(단락 번호 0025)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본드 자석용 스트론튬 페라이트 입자 분말은, 판상 입자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자장 배향에 의해 입자 분말을 자장 방향으로 정렬시키려고 하면, 판상 입자끼리가 서로 배향을 저해하기 때문에, 높은 배향성을 갖는 본드 자석을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장 배향에 의해 높은 잔류 자화 Br을 갖는 본드 자석을 얻을 수 있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철과 스트론튬과 란탄과 코발트의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을 혼합하여 조립한 후, 소성함으로써, 자장 배향에 의해 높은 잔류 자화 Br을 갖는 본드 자석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은, 철과 스트론튬과 란탄과 코발트의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을 혼합하여 조립한 후,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성에 의해 얻어진 소성물을 조분쇄하여 얻어진 조분쇄분을 분쇄한 후, 어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 산화물의 분말이, 탄산스트론튬과 산화란탄과 산화철과 산화코발트를 혼합하여 조립한 후, 1000 내지 1250℃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을 혼합하여 조립한 후의 소성이 1100 내지 1400℃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을 혼합할 때, Sr과 La의 합계에 대한 산화철 중의 Fe의 몰비 Fe/(Sr+La)가 4.5 내지 11.7이 되도록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은, (Sr1-xLax)·(Fe1-yCoy)nO19-z(단, 0<x≤0.5, 0<y≤0.04, 10.0≤n≤12.5, -1.0≤z≤3.5의 조성을 갖고, 평균 입경이 1.3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은, 비표면적이 1.0 내지 2.1m2/g인 것이 바람직하고, 장축 길이가 1.0㎛ 이상인 입자의 단축 길이에 대한 장축 길이의 비(장축 길이/단축 길이)의 평균값이 1.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90.0질량부와, 실란 커플링제 0.8질량부와, 활제 0.8질량부와, 분말상의 폴리아미드 수지 8.4질량부를 믹서에 충전하고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230℃에서 혼련하여, 평균 직경 2mm의 혼련 펠릿을 제작하고, 이 혼련 펠릿을 9.7kOe의 자장 중에 있어서 온도 300℃, 성형 압력 8.5N/mm2로 사출 형성하여, 직경 15mm×높이 8mm의 원주형(자장의 배향 방향은 원주의 중심축에 따른 방향)의 본드 자석을 제작하고, 이 본드 자석의 잔류 자화 Br을 측정 자장 10kOe에서 측정하였을 때, 잔류 자화 Br이 295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드 자석의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 자장 10kOe에서 측정하였을 때, 최대 에너지적 BHmax가 2.15MGOe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본드 자석은, 상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과 바인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장 배향에 의해 높은 잔류 자화 Br을 갖는 본드 자석을 얻을 수 있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관한 분말 X선 회절법(XRD)에 의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본드 자석의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본드 자석의 단면의 SEM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에서는, 철과 스트론튬과 란탄과 코발트의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바람직하게는 헤마타이트(α-Fe2O3))을 (Sr과 La의 합계에 대한 산화철 중의 Fe/(Sr+La)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1.7,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이 되도록) 혼합하여 조립한 후,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1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13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0 내지 1250℃에서) 소성하고, 이 소성에 의해 얻어진 소성물을 조분쇄하여 얻어진 조분쇄분을 분쇄한 후, (바람직하게는 950 내지 1000℃에서) 어닐한다.
상기 철과 스트론튬과 란탄과 코발트의 복합 산화물의 분말은, 탄산스트론튬과 산화란탄과 산화철과 산화코발트를 혼합하여 조립한 후,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 내지 1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0 내지 1150℃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조분쇄분을 습식의 아트라이터 등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분간) 분쇄 처리(습식 분쇄 처리)하고,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여 얻어진 고형물을 건조시키고, 얻어진 건조 케이크를 믹서로 해쇄하여 얻어진 해쇄물을 진동 볼 밀 등에 의해 해쇄한 후, 어닐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Sr1-xLax)·(Fe1-yCoy)nO19-z(단, 0<x≤0.5, 0<y≤0.04, 10.0≤n≤12.5, -1.0≤z≤3.5)로 나타나는 조성의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실시 형태는, (Sr1-xLax)·(Fe1-yCoy)nO19-z(단, 0<x≤0.5(바람직하게는 0.03≤x≤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x≤0.5), 0<y≤0.04(바람직하게는 0.004≤y≤0.04), 10.0≤n≤12.5(바람직하게는 10.0≤n≤12.0), -1.0≤z≤3.5(바람직하게는 -0.5≤z≤3.5))의 조성을 갖고, 평균 입경이 1.3 내지 2.5㎛(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0㎛)이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비표면적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1m2/g,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m2/g이다.
또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10g을 내경 2.54cmφ의 원통형의 금형에 충전한 후에 1톤/cm2의 압력으로 압축하였을 때의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밀도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압축 밀도(CD)로서 측정하면, 압축 밀도(CD)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6g/cm3이다.
또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8g과 폴리에스테르 수지 0.4cc를 유발 중에서 혼련하고, 얻어진 혼련물 7g을 내경 15mmφ의 금형에 충전하고, 2톤/cm2의 압력으로 60초간 압축하여 얻어진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발취하고, 150℃에서 30분간 건조시켜 압분체를 제작하고, 이 압분체의 자기 특성으로서, BH 트레이서를 사용하여, 측정 자장 10kOe에서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면, 보자력 iHc는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Oe, 더욱 바람직하게는 2300 내지 3500Oe이며, 잔류 자화 Br은 바람직하게는 1700 내지 20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0 내지 1950G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의 결정 구조를 갖는 페라이트 자성 재료는, 잔류 자화 Br이 부(負)의 온도 계수이며 보자력 Hc가 정(正)의 온도 계수이며,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가 0.2 내지 0.3%/℃ 정도인 것이 알려져 있다. 즉,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의 결정 구조를 갖는 페라이트 자성 재료는, 저온이 될수록, 보자력 Hc가 저하되기 때문에, 본드 자석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자력 Hc가 필요 이상으로 높은 페라이트 자성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저온으로부터 고온의 온도 사이클에 의해 불가역적인 감자(저온 감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페라이트 자성 재료의 저온 감자는, 옥외에서 기온의 변동을 크게 받는 에어컨용 실외기나 자동차 등의 모터에 사용하는 본드 자석의 재료로서 페라이트 자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20mg과 파라핀10mg을 측정용 셀에 채워, 60℃에서 10분간 유지한 후에 냉각시킴으로써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측정용 셀 중에 고정시키고,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을 5T(10,000Oe)까지 자장을 인가한 풀 루프(소인 가속도 200Oe/초)에 의해 -25℃와 0℃와 25℃의 3점에서 측정하고, 그 보자력 Hc의 변화율로부터 산출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90.0질량부와, 실란 커플링제 0.8질량부와, 활제 0.8질량부와, 분말상의 폴리아미드 수지 8.4질량부를 믹서에 충전하고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230℃에서 혼련하여, 평균 직경 2mm의 혼련 펠릿을 제작하고, 이 혼련 펠릿을 9.7kOe의 자장 중에 있어서 온도 300℃, 성형 압력 8.5N/mm2로 사출 형성하여, 직경 15mm×높이 8mm의 원주형(자장의 배향 방향은 원주의 중심축에 따른 방향)의 본드 자석을 제작하고, 이 본드 자석의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 자장 10kOe에서 측정하면, 보자력 iHc는 2200 내지 3700Oe,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3500Oe이며, 잔류 자화 Br은 바람직하게는 2950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970G 이상이며,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바람직하게는 2.15MGOe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5MGOe이다.
또한, 상기 본드 자석을 인가 자장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절단하고, 전자 현미경에 의해 입자의 형상을 2000배로 관찰하고, 얻어진 전자 현미경 사진을 2치화함으로써, 입자의 형상 지수로서, 장축 길이(1 입자를 평행한 2개의 직선 사이에 끼워 넣었을 때의 직선간 거리(평행한 2개의 직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은 선분의 길이)의 최댓값)가 1.0㎛ 이상인 입자의 단축 길이(1 입자를 평행한 2개의 직선 사이에 끼워 넣었을 때의 직선간 거리의 최솟값)에 대한 장축 길이의 비(장축 길이/단축 길이)(애스펙트비)를 구하면(각 입자를 판상의 입자라고 가정하고, 체적을 장축 길이×장축 길이×단축 길이로 하여, 체적으로 가중한 체적 평균 애스펙트비를 산출하면), 애스펙트비는 1.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애스펙트비가 1.55 이하이면, 자장 배향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입자를 자장 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쉬워져서, 입자의 배향성이 높으며 잔류 자화 Br이나 최대 에너지적 BHmax가 높은 본드 자석을 제작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조분쇄분의 제조)
탄산스트론튬(SrCO3, 비표면적 5.8m2/g)과 산화란탄(La2O3, 비표면적 3.8m2/g)과 (산화철로서의) 헤마타이트(α-Fe2O3, 비표면적 5.3m2/g)와 산화코발트(Co3O4, 비표면적 3.3m2/g)를 몰비 Sr:La:Fe:Co=0.70:0.30:0.70:0.30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팬 펠리타이저 중에서 물을 첨가하면서 조립하고, 얻어진 직경 3 내지 10mm의 구상의 조립물을 내연식의 로터리 킬른에 투입하고, 대기 분위기 중에 있어서 1100℃에서 20분간 소성(1차 소성)하여 소성물을 얻었다. 이 소성물을 롤러 밀에서 분쇄하여, 철과 스트론튬과 란탄과 코발트의 복합 산화물의 분말을 얻었다. 이 복합 산화물의 분말 비표면적을 비표면적 측정 장치(콴타크롬사제의 모노소브)를 사용하여 BET 1점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비표면적은 3.5m2/g이었다.
이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로서의) 헤마타이트(α-Fe2O3, 비표면적 5.3m2/g)를, Sr과 La의 합계에 대한 산화물 중의 몰비 (Fe/(Sr+La))=10.0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대하여 (첨가제로서) 0.17질량%의 붕산과 2.3질량%의 염화칼륨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조립하고, 얻어진 직경 3 내지 10mm의 구상의 조립물을 내연식의 로터리 킬른에 투입하고, 대기 중에 있어서 1250℃(소성 온도)에서 20분간 소성(2차 소성)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롤러 밀에서 분쇄하여, 조분쇄분을 얻었다.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얻어진 조분쇄분 100질량부와 물 150질량부를 습식의 아트라이터에 투입하고, 20분간 분쇄 처리를 행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이 슬러리를 여과하여 얻어진 고형물을 대기 중에 있어서 150℃에서 10시간 건조시켜, 건조 케이크를 얻었다. 이 건조 케이크를 믹서에서 해쇄하여 얻어진 해쇄물을, 진동 볼 밀(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세이키 고사쿠쇼제의 Uras Vibrator KEC-8-YH)에 의해, 매체로서 직경 12mm의 스틸제 볼을 사용하여, 회전수 1800rpm, 진폭 8mm에서 20분간 분쇄 처리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분쇄물을 전기로에 의해 대기 중에 있어서 985℃에서 30분간 어닐(어닐링)하여,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형광 X선 분석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리가쿠제의 ZSX100e)를 사용하여, 펀더멘탈·파라미터법(FP법)에 의해 각 원소의 성분량을 산출함으로써, 조성 분석을 하였다. 이 조성 분석에서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측정용 셀에 채워, 10톤/cm2의 압력을 20초간 가하여 성형하고, 측정 모드를 EZ 스캔 모드, 측정 직경을 30mm, 시료 형태를 산화물, 측정 시간을 표준 시간으로 하고, 진공 분위기 중에 있어서 정성 분석을 행한 후에, 검출된 구성 원소에 대하여 정량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3질량%의 MnO와, 85.3질량%의 Fe2O3과, 2.4질량%의 Co2O3과, 6.8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4.9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3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2, y=0.026, n=11.5, z=0.79였다. 또한, z는 Sr의 가수를 +2, La의 가수를 +3, Fe의 가수를 +3, Co의 가수를 +2, O의 가수를 -2로 하여, 화학식의 가수의 합계가 0(제로)이 되도록 산출하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분말 X선 회절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리가쿠제의 Miniflex600)를 사용하여, 관 전압을 40kV, 관 전류를 15mA, 측정 범위를 15° 내지 60°, 스캔 속도를 1°/분, 스캔 폭을 0.02°로 하여, 분말 X선 회절법(XRD)에 의한 측정을 행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또한, 도 1의 하측에는, 일반적인 M형 페라이트 구조를 갖는 SrFe12O19의 피크 위치가 기재되어 있다. 도 1로부터, 모든 피크가 SrFe12O19와 동일한 위치에 관측되어, 본 실시예의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이 M형 페라이트 구조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또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평균 입경(APD)을 비표면적 측정 장치(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제의 SS-100)를 사용하여 공기 침투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평균 입경은 1.72㎛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비표면적을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비표면적은 1.47m2/g이었다.
또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10g을 내경 2.54cmφ의 원통형의 금형에 충전한 후에 1톤/cm2의 압력으로 압축하였을 때의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밀도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압축 밀도(CD)로서 측정한 결과, 3.45g/cm3였다.
또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8g과 폴리에스테르 수지(닛본 지가가쿠사제의 P-레진) 0.4cc를 유발 중에서 혼련하고, 얻어진 혼련물 7g을 내경 15mmφ의 금형에 충전하고, 2톤/cm2의 압력으로 60초간 압축하여 얻어진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발취하고, 150℃에서 30분간 건조시켜 압분체를 얻었다. 이 압분체의 자기 특성으로서, BH 트레이서(도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TRF-5BH)를 사용하여, 측정 자장 10kOe에서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한 결과, 보자력 iHc는 3060Oe이며, 잔류 자화 Br은 1870G였다.
또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20mg과 파라핀 10mg을 측정용 셀에 채워, 60℃에서 10분간 유지한 후에 냉각시킴으로써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측정용 셀 중에 고정시키고, 진동 시료형 자력계(도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VSM-5HSC)를 사용하여,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을 5T(10,000Oe)까지 자장을 인가한 풀 루프(소인 가속도 200Oe/초)에 의해 -25℃와 0℃와 25℃의 3점에서 측정하고, 그 보자력 Hc의 변화율로부터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는 -0.024%/℃였다. 또한, 이 온도 계수는, 보자력 Hc를 y라 하고, 온도를 x라 하고, y와 x의 관계식을 최소 제곱법에 의해 구하여, 그 관계식의 기울기로서 산출하였다.
(본드 자석의 제조)
얻어진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90.0질량부와, 실란 커플링제(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의 Z-6094N) 0.8질량부와, 활제(헨켈사제의 VPN-212P) 0.8질량부와, 분말상의 폴리아미드 수지(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제의 P-1011F) 8.4질량부를 칭량하고, 믹서에 충전하고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230℃에서 혼련하여, 평균 직경 2mm의 혼련 펠릿을 얻었다. 이 혼련 펠릿을 사출 성형기(스미또모 주기까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장전하고, 9.7kOe의 자장 중에 있어서 온도 300℃, 성형 압력 8.5N/mm2로 사출 형성하여, 직경 15mm×높이 8mm의 원주형(자장의 배향 방향은 원주의 중심축에 따른 방향)의 본드 자석(F.C. 90.0질량%, 9.7kOe)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의 자기 특성으로서, BH 트레이서(도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TRF-5BH)를 사용하여, 측정 자장 10kOe에서 본드 자석의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한 결과, 보자력 iHc는 3017Oe, 잔류 자화 Br은 3069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33MGOe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을 인가 자장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절단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에 의해 입자의 형상을 2000배로 관찰하고, 얻어진 SEM 사진을 2치화함으로써, 입자의 형상 지수로서, SEM 사진 중의 200개 이상의 입자(SEM 사진의 1 이상의 시야 내에 외연부 전체가 관찰되는 장축 길이(1 입자를 평행한 2개의 직선 사이에 끼워 넣었을 때의 직선간 거리의 최댓값)가 1.0㎛ 이상인 200개 이상의 입자)에 대하여, 단축 길이(1 입자를 평행한 2개의 직선 사이에 끼워 넣었을 때의 직선간 거리의 최솟값)에 대한 장축 길이의 비(장축 길이/단축 길이)의 평균값(애스펙트비)을 구한 바, 1.43이었다. 또한, 이 애스펙트비로서, 각 입자를 판상의 입자로 가정하고, 체적을 장축 길이×장축 길이×단축 길이로 하여, 체적으로 가중한 평균 애스펙트비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2]
습식의 아트라이터에 의한 분쇄 처리 시간을 40분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5.1질량%의 Fe2O3과, 2.5질량%의 Co2O3과, 0.1질량%의 ZnO와, 6.7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4.9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Z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4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2, y=0.028, n=11.6, z=0.64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62㎛, 비표면적은 1.62m2/g, 압축 밀도(CD)는 3.40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3130Oe, 잔류 자화 Br은 187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3052Oe, 잔류 자화 Br은 3038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8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4였다.
[실시예 3]
습식의 아트라이터에 의한 분쇄 처리 시간을 80분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5.0질량%의 Fe2O3과, 2.5질량%의 Co2O3과, 0.1질량%의 ZnO와, 6.7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5.0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Z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4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2, y=0.028, n=11.5, z=0.79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42㎛, 비표면적은 1.96m2/g, 압축 밀도(CD)는 3.42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3310Oe, 잔류 자화 Br은 187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3193Oe, 잔류 자화 Br은 3036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8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0이었다.
[실시예 4]
2차 소성의 온도를 11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5.0질량%의 Fe2O3과, 2.6질량%의 Co2O3과, 6.8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4.9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4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1, y=0.029, n=11.5, z=0.83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53㎛, 비표면적은 1.65m2/g, 압축 밀도(CD)는 3.29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3410Oe, 잔류 자화 Br은 182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3407Oe, 잔류 자화 Br은 2985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1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4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로서의) 헤마타이트(α-Fe2O3, 비표면적 5.3m2/g)를, Sr과 La의 합계에 대한 산화철 중의 Fe의 몰비 (Fe/(Sr+La))=10.4가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4질량%의 MnO와, 85.7질량%의 Fe2O3과, 2.4질량%의 Co2O3과, 0.1질량%의 ZnO와, 6.5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4.7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Mn, Z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4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1, y=0.026, n=12.0, z=-0.04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70㎛, 비표면적은 1.56m2/g, 압축 밀도(CD)는 3.40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780Oe, 잔류 자화 Br은 189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546Oe, 잔류 자화 Br은 3009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3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3이었다.
[실시예 6]
탄산스트론튬(SrCO3, 비표면적 5.8m2/g)과 산화란탄(La2O3, 비표면적 3.8m2/g)과 헤마타이트(α-Fe2O3, 비표면적 5.3m2/g)와 산화코발트(Co3O4, 비표면적 3.3m2/g)를 몰비 Sr:La:Fe:Co=0.70:0.30:0.85:0.15가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3질량%의 MnO와, 86.4질량%의 Fe2O3과, 1.2질량%의 Co2O3과, 6.7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5.0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3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2, y=0.014, n=11.5, z=0.73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87㎛, 비표면적은 1.27m2/g, 압축 밀도(CD)는 3.43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650Oe, 잔류 자화 Br은 1880G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 Hc를 측정하고, 그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를 산출한 바, -0.063%/℃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724Oe, 잔류 자화 Br은 3038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9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2였다.
[실시예 7]
2차 소성의 온도를 13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3질량%의 MnO와, 86.5질량%의 Fe2O3과, 1.2질량%의 Co2O3과, 6.7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5.0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3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2, y=0.013, n=11.5, z=0.61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84㎛, 비표면적은 1.36m2/g, 압축 밀도(CD)는 3.49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390Oe, 잔류 자화 Br은 191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473Oe, 잔류 자화 Br은 3043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9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49였다.
[실시예 8]
2차 소성의 온도를 12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3질량%의 MnO와, 86.2질량%의 Fe2O3과, 1.3질량%의 Co2O3과, 0.2질량%의 ZnO와, 6.8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5.0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Mn, Z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3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2, y=0.014, n=11.4, z=0.85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71㎛, 비표면적은 1.49m2/g, 압축 밀도(CD)는 3.40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870Oe, 잔류 자화 Br은 187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865Oe, 잔류 자화 Br은 3061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32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47이었다.
[실시예 9]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로서의) 헤마타이트를, Sr과 La의 합계에 대한 산화물 중의 몰비 (Fe/(Sr+La))=9.8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5.7질량%의 Fe2O3과, 1.3질량%의 Co2O3과, 6.9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5.3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Mn, Z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3, y=0.015, n=11.0, z=1.46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90㎛, 비표면적은 1.32m2/g, 압축 밀도(CD)는 3.41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840Oe, 잔류 자화 Br은 184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3038Oe, 잔류 자화 Br은 3004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3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0이었다.
[실시예 10]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로서의) 헤마타이트를, Sr과 La의 합계에 대한 산화물 중의 몰비 (Fe/(Sr+La))=10.4가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4질량%의 MnO와, 86.5질량%의 Fe2O3과, 1.2질량%의 Co2O3과, 0.2질량%의 ZnO와, 6.7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4.8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Mn, Z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1, y=0.014, n=11.7, z=0.41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97㎛, 비표면적은 1.21m2/g, 압축 밀도(CD)는 3.39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540Oe, 잔류 자화 Br은 187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564Oe, 잔류 자화 Br은 3013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4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1이었다.
[실시예 11]
탄산스트론튬(SrCO3, 비표면적 5.8m2/g)과 산화란탄(La2O3, 비표면적 3.8m2/g)과 헤마타이트(α-Fe2O3, 비표면적 5.3m2/g)와 산화코발트(Co3O4, 비표면적 3.3m2/g)를 몰비 Sr:La:Fe:Co=0.80:0.20:0.80:0.20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6.5질량%의 Fe2O3과, 1.6질량%의 Co2O3과, 7.7질량%의 SrO와, 0.2질량%의 BaO와, 3.5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22, y=0.018, n=11.5, z=0.67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98㎛, 비표면적은 1.20m2/g, 압축 밀도(CD)는 3.40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600Oe, 잔류 자화 Br은 1870G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 Hc를 측정하고, 그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를 산출한 바, 0.020%/℃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748Oe, 잔류 자화 Br은 3031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6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49였다.
[실시예 12]
탄산스트론튬(SrCO3, 비표면적 5.8m2/g)과 산화란탄(La2O3, 비표면적 3.8m2/g)과 헤마타이트(α-Fe2O3, 비표면적 5.3m2/g)와 산화코발트(Co3O4, 비표면적 3.3m2/g)를 몰비 Sr:La:Fe:Co=0.80:0.20:0.90:0.10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7.2질량%의 Fe2O3과, 0.9질량%의 Co2O3과, 7.9질량%의 SrO와, 0.2질량%의 BaO와, 3.2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20, y=0.010, n=11.5, z=0.74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2.11㎛, 비표면적은 1.11m2/g, 압축 밀도(CD)는 3.45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340Oe, 잔류 자화 Br은 1890G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 Hc를 측정하고, 그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를 산출한 바, 0.052%/℃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371Oe, 잔류 자화 Br은 3064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31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43이었다.
[실시예 13]
탄산스트론튬(SrCO3, 비표면적 5.8m2/g)과 산화란탄(La2O3, 비표면적 3.8m2/g)과 헤마타이트(α-Fe2O3, 비표면적 5.3m2/g)와 산화코발트(Co3O4, 비표면적 3.3m2/g)를 몰비 Sr:La:Fe:Co=0.90:0.10:0.90:0.10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7.6질량%의 Fe2O3과, 0.9질량%의 Co2O3과, 8.3질량%의 SrO와, 0.2질량%의 BaO와, 2.4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15, y=0.010, n=11.6, z=0.53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2.01㎛, 비표면적은 1.09m2/g, 압축 밀도(CD)는 3.39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290Oe, 잔류 자화 Br은 1920G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 Hc를 측정하고, 그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를 산출한 바, 0.056%/℃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414Oe, 잔류 자화 Br은 3038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7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44였다.
[실시예 14]
1차 소성의 온도를 12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6.2질량%의 Fe2O3과, 1.3질량%의 Co2O3과, 6.8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5.0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2, y=0.014, n=11.3, z=0.90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62㎛, 비표면적은 1.53m2/g, 압축 밀도(CD)는 3.40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3010Oe, 잔류 자화 Br은 157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3298Oe, 잔류 자화 Br은 2999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4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49였다.
[실시예 15]
1차 소성의 온도를 10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4질량%의 MnO와, 86.4질량%의 Fe2O3과, 1.3질량%의 Co2O3과, 6.5질량%의 SrO와, 0.1질량%의 BaO와, 5.1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Ba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4, y=0.014, n=11.7, z=0.40이었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88㎛, 비표면적은 1.21m2/g, 압축 밀도(CD)는 3.41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2950Oe, 잔류 자화 Br은 185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880Oe, 잔류 자화 Br은 2998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23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3이었다.
[비교예 1]
탄산스트론튬(SrCO3, 비표면적 5.8m2/g)과 산화란탄(La2O3, 비표면적 3.8m2/g)과 헤마타이트(α-Fe2O3, 비표면적 5.3m2/g)와 산화코발트(Co3O4, 비표면적 3.3m2/g)를 몰비 Sr:La:Fe:Co=0.70:0.30:11.70:0.30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하고, 1차 소성의 온도를 1100℃로부터 1250℃로 변경하고, 2차 소성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3질량%의 MnO와, 85.3질량%의 Fe2O3과, 2.4질량%의 Co2O3과, 7.0질량%의 SrO와, 4.9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3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1, y=0.026, n=11.3, z=1.12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26㎛, 비표면적은 2.19m2/g, 압축 밀도(CD)는 3.34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3590Oe, 잔류 자화 Br은 183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3332Oe, 잔류 자화 Br은 2882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04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6이었다.
[비교예 2]
1차 소성의 온도를 1200℃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3질량%의 MnO와, 85.3질량%의 Fe2O3과, 2.4질량%의 Co2O3과, 7.1질량%의 SrO와, 4.7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3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0, y=0.026, n=11.3, z=1.09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25㎛, 비표면적은 2.21m2/g, 압축 밀도(CD)는 3.26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3950Oe, 잔류 자화 Br은 179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3609Oe, 잔류 자화 Br은 2867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02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62였다.
[비교예 3]
1차 소성의 온도를 1300℃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중에는, 0.1질량%의 Cr2O3과, 0.3질량%의 MnO와, 85.4질량%의 Fe2O3과, 2.4질량%의 Co2O3과, 7.0질량%의 SrO와, 4.7질량%의 La2O3이 포함되어 있고,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주성분인 Sr, La, Fe, Co가 검출되었다. 또한, 원료 중의 불순물 유래라고 생각되는 Cr, Mn 등의 원소도 검출되었지만, 모두 산화물 환산 0.3질량%로 미량이었다. 이들 미량(산화물 환산으로 1.0질량% 이하)의 원소를 불순물로 간주하고, 주성분인 Sr, La, Fe, Co의 분석값으로부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화학식을 (Sr1-xLax)·(Fe1-yCoy)nO19-z라고 표기한 경우의 x, y, n, z를 산출하면, x=0.30, y=0.026, n=11.4, z=0.95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비표면적, 압축 밀도(CD), 압분체의 보자력 iHc 및 잔류 자화 B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입경은 1.22㎛, 비표면적은 2.41m2/g, 압축 밀도(CD)는 3.42g/cm3, 압분체의 보자력 iHc는 3140Oe, 잔류 자화 Br은 1800G였다.
또한, 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본드 자석을 얻었다. 이 본드 자석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보자력 iHc, 잔류 자화 Br 및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하고, 애스펙트비를 산출한 바, 보자력 iHc는 2885Oe, 잔류 자화 Br은 2930G, 최대 에너지적 BHmax는 2.11MGOe이며, 애스펙트비는 1.58이었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본드 자석의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을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5에서는, 자장 배향에 의해 높은 잔류 자화 Br을 갖는 본드 자석을 얻을 수 있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1, 6 및 11 내지 13의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은,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가 0.1%/℃ 이하로 매우 낮아, 저온 감자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인 것을 알았다. 특히, 실시예 1 및 6의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은,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가 부의 온도 계수이며, 저온 감자의 영향을 매우 받기 어려운 우수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인 것을 알았다.

Claims (12)

  1. 철과 스트론튬과 란탄과 코발트의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산화철을 혼합하여 조립한 후,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에 의해 얻어진 소성물을 조분쇄하여 얻어진 조분쇄분을 분쇄한 후, 어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산화물의 분말이, 탄산스트론튬과 산화란탄과 산화철과 산화코발트를 혼합하여 조립한 후, 1000 내지 1250℃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상기 산화철을 혼합하여 조립한 후의 소성이 1100 내지 1400℃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상기 산화철을 혼합할 때, Sr과 La의 합계에 대한 상기 산화철 중의 Fe의 몰비 Fe/(Sr+La)가 4.5 내지 11.7이 되도록 상기 복합 산화물의 분말과 상기 산화철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
  6. (Sr1-xLax)·(Fe1-yCoy)nO19-z(단, 0<x≤0.5, 0<y≤0.04, 10.0≤n≤12.5, -1.0≤z≤3.5)의 조성을 갖고, 평균 입경이 1.3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비표면적이 1.0 내지 2.1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장축 길이가 1.0㎛ 이상인 입자의 단축 길이에 대한 장축 길이의 비(장축 길이/단축 길이)의 평균값이 1.5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90.0질량부와, 실란 커플링제 0.8질량부와, 활제 0.8질량부와, 분말상의 폴리아미드 수지 8.4질량부를 믹서에 충전하고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230℃에서 혼련하여, 평균 직경 2mm의 혼련 펠릿을 제작하고, 이 혼련 펠릿을 9.7kOe의 자장 중에 있어서 온도 300℃, 성형 압력 8.5N/mm2로 사출 형성하여, 직경 15mm×높이 8mm의 원주형(자장의 배향 방향은 원주의 중심축에 따른 방향)의 본드 자석을 제작하고, 이 본드 자석의 잔류 자화 Br을 측정 자장 10kOe에서 측정하였을 때, 잔류 자화 Br이 295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자석의 최대 에너지적 BHmax를 측정 자장 10kOe에서 측정하였을 때, 최대 에너지적 BHmax가 2.15MGOe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의 보자력 Hc의 온도 계수가 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12. 제6항에 기재된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과, 바인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자석.
KR1020217008719A 2018-08-31 2019-08-29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32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3374 2018-08-31
JP2018163374 2018-08-31
JP2019153865A JP2020038963A (ja) 2018-08-31 2019-08-26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9-153865 2019-08-26
PCT/JP2019/033932 WO2020045573A1 (ja) 2018-08-31 2019-08-29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088A true KR20210041088A (ko) 2021-04-14
KR102532582B1 KR102532582B1 (ko) 2023-05-12

Family

ID=6973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719A KR102532582B1 (ko) 2018-08-31 2019-08-29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0038963A (ko)
KR (1) KR102532582B1 (ko)
CN (1) CN112585706B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4411A1 (en) * 1997-12-25 1999-12-15 Hitachi Metals, Ltd. Ferrite magn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175907A (ja) 2000-12-07 2002-06-21 Toda Kogyo Corp ボンド磁石用ストロンチウムフェライト粒子粉末及び該ストロンチウムフェライト粒子粉末を用いたボンド磁石
JP2007297233A (ja) * 2006-04-28 2007-11-15 Tdk Corp フェライト磁性材料
WO2011004791A1 (ja) * 2009-07-08 2011-01-13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磁性材料
JP2016157939A (ja) * 2015-02-23 2016-09-01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ェライト系ボンド磁石
CN107337447A (zh) * 2017-07-06 2017-11-10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永磁铁氧体及其制备方法
WO2017200091A1 (ja) * 2016-05-20 2017-11-23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磁石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4411A1 (en) * 1997-12-25 1999-12-15 Hitachi Metals, Ltd. Ferrite magn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9188420A (ja) * 1997-12-25 2009-08-20 Hitachi Metals Ltd フェライト焼結磁石の製造方法
JP2002175907A (ja) 2000-12-07 2002-06-21 Toda Kogyo Corp ボンド磁石用ストロンチウムフェライト粒子粉末及び該ストロンチウムフェライト粒子粉末を用いたボンド磁石
JP2007297233A (ja) * 2006-04-28 2007-11-15 Tdk Corp フェライト磁性材料
WO2011004791A1 (ja) * 2009-07-08 2011-01-13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磁性材料
JP2016157939A (ja) * 2015-02-23 2016-09-01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ェライト系ボンド磁石
WO2017200091A1 (ja) * 2016-05-20 2017-11-23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磁石
CN107337447A (zh) * 2017-07-06 2017-11-10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永磁铁氧体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85706A (zh) 2021-03-30
JP2020038963A (ja) 2020-03-12
CN112585706B (zh) 2024-02-23
KR102532582B1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251B1 (ko)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본드 자석
JP4367649B2 (ja) フェライト焼結磁石
EP3364426A1 (en) Ferrite magnetic material and ferrite sintered magnet
KR101082389B1 (ko)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이로부터 유도된 세그멘트형 영구자석
EP2892058A1 (en) Ferrite calcined body, method for producing ferrite sintered magnet, and ferrite sintered magnet
JP7405648B2 (ja)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97735B2 (ja)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82033B2 (ja)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470912A (zh) 铁氧体烧结磁铁及旋转电机
JP7111150B2 (ja) フェライト仮焼体、フェライト焼結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045573A1 (ja)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32582B1 (ko) 본드 자석용 페라이트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1052912A (ja) フェライト磁石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焼結磁石ならびにボンド磁石
JP3835729B2 (ja) フェライト焼結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US11476023B2 (en) Ferrite sintered magnet
US20210296030A1 (en) Ferrite sintered magnet
JP2023014477A (ja)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093508A1 (ja) ボンド磁石用フェライ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134239A (ja) ボンド磁石用六方晶フェライト磁性粉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ボンド磁石とその製造方法
JP2012004406A (ja) フェライト焼結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56380A (ja) ボンド磁石用六方晶フェライト磁性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ボンド磁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84472A (ja) ボンド磁石用六方晶フェライト磁性粉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ボンド磁石とその製造方法
JP2001068320A (ja) フェライト磁石
JP2023041550A (ja) ボンド磁石用六方晶フェライト磁性粉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ボンド磁石とその製造方法
CN113470913A (zh) 铁氧体烧结磁铁及旋转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