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536A -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 Google Patents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536A
KR20210040536A KR1020190122854A KR20190122854A KR20210040536A KR 20210040536 A KR20210040536 A KR 20210040536A KR 1020190122854 A KR1020190122854 A KR 1020190122854A KR 20190122854 A KR20190122854 A KR 20190122854A KR 20210040536 A KR20210040536 A KR 2021004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mposition
photocurable
acrylate
initiato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유찬
윤정현
한재영
최규범
배유진
신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19012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0536A/ko
Priority to PCT/KR2020/013514 priority patent/WO2021066628A1/ko
Priority to CN202080069962.6A priority patent/CN114502667A/zh
Publication of KR2021004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23Digital print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inks u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젯 공정에 적합한 점도를 가지며 우수한 접착력, 절연 특성, 시인성 등이 우수한 인쇄공정용 광경화형 코팅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기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적층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COATING COMPOSITION AND LAMINATES COMPRISING A COATING LAYER}
본 발명은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에는 절연 특성 소재가 사용되는데, 주로 부착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 등의 금속 케이스에 실장된 구리 배선 등의 회로부 또는 전극부를 절연시키기 위해, 지금까지는 오버코트 필름과 같은 절연소재를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부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투명 또는 반투명 계열의 절연 필름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또한 절연 필름은 작업자가 상대적으로 거친 대상면을 가지는 금속 케이스의 대상면에 수작업으로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저하되고 세트 제품의 최종 단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절연 필름을 기재에 부착할 경우 품질관리(QC, Quality Control)시 양품 상태의 점검 또한 용이하지가 않다.
따라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절연 소재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잉크젯 방식과 같은 인쇄 공정에 적합한 점도를 가지며, 경화특성 및 접착력과 시인성이 모두 우수한 코팅층을 포함한 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종래의 부착 방식이 아니라 간단한 인쇄 공정으로 자동화된 방식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여, 전자기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에 대한 접착력과 절연특성이 우수하며 미세 패턴 구현이 가능한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층을 형성할 때 품질관리에 필요한 시인성을 나타낼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인쇄공정에 의해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반응수지;
광경화형 개시제; 및
접착력 증진제를 포함하며,
상기 광경화형 개시제는 a) 제1 광경화형 개시제와 제2 광경화형 개시제가 1:2 내지 1:6의 중량비율 혹은 b) 1:2 내지 1:1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인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소정 영역에 상기 코팅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코팅층;
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잉크젯 공정에 쉽게 적용 가능한 점도와 광경화성 특성을 가져 잉크젯 인쇄 공정으로 정밀 패턴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코팅 조성물은 기재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고, 실시예들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코팅층 형성 시 절연 특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특정 파장의 검사 광원에서 유색을 나타내어 품질 관리가 용이하다.
부가하여, 상기 코팅 조성물은 구성요소들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무용제형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코팅층 형성 시 건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건조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 장비가 전체적으로 간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재 상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적층체와 이를 포함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형광체가 포함된 실시예 1의 코팅 조성물(a)과 형광체가 없는 참고예 1의 코팅 조성물(b)을 검출용 광원 하에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는 형광체가 포함된 실시예 1의 코팅 조성물(a)과 형광체가 없는 참고예 1의 코팅 조성물(b)을 기재에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후, 각 코팅층에 대하여 검출용 광원 하에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반응수지; 광경화형 개시제; 및 접착력 증진제를 포함하며, 상기 광경화형 개시제는 a) 제1 광경화형 개시제와 제2 광경화형 개시제가 1:2 내지 1:6의 중량비율 혹은 b) 1:2 내지 1:1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및/또는 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는 개질제 등과 같은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각 성분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응수지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반응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반응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meth)acrylic acid ester), 메타아크릴로일((meth)acryloyl),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monofuctional (meth)acrylate),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multifuctional (meth)acryl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 변형된 메타아크릴레이트(urethane-modified methacrylate)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응수지는 한가지만을 사용하기보다는 코팅 조성물에 요청되는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반응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수지는 점도, 굴절율, 가교특성, 접착력 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지 간의 혼화성이 우수해서 잉크젯 공정시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무용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응수지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수지 (A), (B) 및 (C)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응수지는 다관능성을 가지는 우레탄 변형된 메타아크릴레이트인 반응수지(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응수지 (A), (B), (C) 및 (D)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수지(A)로는 에틸3-(2-푸릴) 아크릴레이트(ethyl 3-(2-furyl)acrylate), 이소프로필3-(2-푸릴) 아크릴레이트(isopropyl 3-(2-furyl)acrylate), 에틸 (E)-3-(2-푸릴) 아크릴레이트(ethyl (E)-3--(2-furyl) acrylate), 메틸 B-푸릴 아크릴레이트(methyl B-(2-furyl) acrylate), 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furfuryl methacrylate), 2-퍼푸릴메틸 메타크릴레이트(2-Furylmethyl methacrylate),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테트라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furfuryl methacryl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또는 테트라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furfuryl methacrylate)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수지(A)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30 내지 50 wt% 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wt% 내지 50wt%로 포함할 수 있다. 반응수지(A)는 점도 또는 굴절율을 조절하기 위해서 포함할 수 있다.
반응수지(B)로는 페닐기를 가지는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수지(B)로는 페닐 또는 바이페닐계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반응수지(B)는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2-Phenoxyethyl acrylate), 바이페닐 메틸 아크릴레이트(biphenyl methyl acrylate), O-페닐페놀 에틸 아크릴레이트(O-phenylphenol ethyl acrylate)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바이페닐 메틸 아크릴레이트(biphenyl methyl acrylate) 또는 O-페닐페놀 에틸 아크릴레이트(O-phenylphenol ethyl acrylate)가 사용될 수 있다. 반응수지(B)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5wt% 내지 55wt%로 포함할 수 있다. 반응수지(B)는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포함할 수 있다.
반응수지(C)로는 글리콜(glycol)계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또는 글리콜계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반응수지(C)는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phenyl ether acrylate), 하이드록시 히드록시 피발산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아클릴레이트 (hydroxy 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acrylate)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응수지(C)는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rylate) 또는 하이드록시 히드록시 피발산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아클릴레이트 (hydroxy 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acrylate)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수지(C)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wt% 내지 20wt%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반응수지(C)는 가교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포함할 수 있다.
반응수지(D)로는 다관능성을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관능성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반응수지(D)는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nthylol propane triacrylate), 다이펜태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Multifunctional Urethane Acryl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관능성을 가지는 우레탄 변형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수지(D)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wt% 내지 10wt%로 포함될 수 있다. 반응수지(D)는 가교특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형 개시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반응수지 간의 가교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광경화형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형 개시제는 반응수지간의 가교반응을 효과적으로 해 줄 수 있는 광경화형 라디칼 개시제일 수 있다. 광경화형 라디칼 개시제는 UV 파장(365㎚, 385㎚, 395nm, 또는 405nm 파장의 LED 램프를 단일 또는 병렬로 사용하는 광원 또는 300 내지 400nm의 광범위 파장대(broadband)를 조사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는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파장)에 의해 광경화반응을 개시하는 라디칼 개시제이면 적합하다.
광경화형 라디칼 개시제는 아세토페논(acetophenone)계,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티오크산톤(thioxanthone)계, 및 벤조인(benzoin)계 로부터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a) 제1 광경화형 개시제와 제2 광경화형 개시제가 1:2 내지 1:6의 중량비율 혹은 b) 1:2 내지 1:1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광경화형 개시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혼합비율은 전체 코팅 조성물 중의 광경화형 개시제의 총 사용량을 기준으로 환산한 2종 광 개시제의 중량비율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상기 a)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광경화형 개시제는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glyoxylate)계 및 다이페닐 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phosphine oxide)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경화형 개시제((P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경화형 개시제는 아세토페논(Acetonphenone)계 및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경화형 개시제(P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b)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광경화형 개시제는 알킬 아릴 케톤(Akyl Aryl Ketone)계 광경화형 개시제(P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경화형 개시제는 벤조일 포스핀 산화물 (benzoyl phenyl phosphine oxide)계 광경화형 개시제(P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경화형 라디칼 개시제는 아세토페논(acetophenone), 하이드록시 디메틸 아세토페논(hydroxy dimethyl acetophenone), 디메틸아미노 아세토페논(dimethylamino acetophenone), 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dimethoxy-2-phenyl acetophenone), 3-메틸아세토페논(3-methyl-acetophenone),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methoxy-2-phenyl acetophenone), 2,2-에톡시-2-페닐 아세토페논(2,2-ethoxy-2-phenyl acetophenone), 4-크로만 놀로 세토 벤조페논(4-chroman nolro Seto benzophenone),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4,4-dimethoxy-acetophenone),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4-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2-메틸-1-[4-(메틸티오) 페닐]-2-모르포리노-프로판-1-온(2-methyl-1-[4-(methylthio) phenyl]-2-morpholino-propan-1-one),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4-(2-hydroxyethoxy)phenyl-2-(hydroxy-2-propyl)ketone), 벤조페논(benzophenone), p-페닐 벤조페논(p-phenyl benzophenone), 4,4-디아미노 벤조페논(4,4-diamino benzophenone), 4-4'-디에틸아미노 벤조페논(4,4'-diethylamino benzophenone), 디클로로 벤조페논(dichloro-benzophenone),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2-메틸안트라퀴논(2-methyl anthraquinone), 2-에틸안트라퀴논(2-ethylanthraquinone), 2-t-부틸-안트라퀴논(2-t-butyl-anthraquinone), 2-아미노-안트라퀴논(2-amino-anthraquinone), 2-메틸 티오크산톤(2-methyl thioxanthone), 2-에틸 티오크산톤(2-ethyl thioxanthone), 2-클로로 티오크산톤(2-chloro thioxanthone), 2,4-디메틸 T 티오크산톤(2,4-dimethyl T thioxanthone), 2,4-디에틸 티오크산톤(2,4-diethyl thioxanthone), 벤조인(benzoin), 벤조인 메틸 에테르(benzoin methyl ether), 벤조인 에틸 에테르(benzoin ethyl ether),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benzoin isopropyl ether), 벤조인-n-부틸 에테르(benzoin -n- butyl ether),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benzoin isobutyl ether), 벤질 디메틸 케탈(benzyl dimethyl ketal), 디페닐 케톤(diphenyl ketone), 벤질 디메틸 케탈(benzyl dimethyl ketal), 아세토페논 디메틸 케탈(acetophenone dimethyl ketal),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에스테르(p- dimethylaminobenzoic acid ester), 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산화물(4,6-trimethylbenzoyl diphenylphosphine oxide), 플루오렌(fluorene), 트리페닐아민(triphenylamine), 카바졸(carbazol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할 수 있는 광경화형 개시제의 상품명으로는 IGM 레진(Resin)사의 darocur 1173, darocur 4265, darocur BP, darocur TPO, darocur MBF,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2959, irgacure 754, irgacure 651, irgacure 369, irgacure 907, irgacure 1300, irgacure 819, irgacure 2022, irgacure 2959, irgacure 2100, irgacure 784, irgacure 250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광경화형 개시제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이 40㎛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 경화와 함께 심부 경화가 동시에 잘 진행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제1광경화형 개시제(P1, P3)와 제1 광경화형 개시제(P1, P3)보다 코팅막의 심부에서 경화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심부 경화를 위한 제2 광경화형 개시제(P2, P4)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1 내지 P4는 300 내지 400nm의 광범위 파장대(broadband)를 조사하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는 광원이 조사되는 경우 이외에도 365㎚, 385㎚, 395nm 또는 405nm 파장의 LED 램프를 단일 또는 병렬로 사용하는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파장에 대해서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물질들의 조합으로 선택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광경화형 개시제(P1)가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glyoxylate)계 및 다이페닐 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phosphine oxide)계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제2광경화형 개시제(P2)는 아세토폐논(Acetonphenone)계,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광경화형 개시제(P1)는 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산화물(trimethyl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또는 2,5-디히이드록시페닐 디페닐 포스핀 산화물(2,5-dihydroxyphenyl(diphenylphosphine oxide))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2광경화형 개시제(P2)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또는 벤질 페닐 케톤(benzyl phenyl ketone)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1 : P2는 1:2 내지 1:6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표면 또는 심부 경화가 불충분하여 신뢰성 시험 이후의 접착력 저하 문제가 있다.
또한, 제1광경화형 개시제(P3)가 Akyl Aryl Ketone계 물질, 구체적으로 알킬 크잔톤 (Alkyl thioxantone) 계의 물질들을 사용하는 경우, 제2광경화형 개시제(P4)는 벤조일 포스핀 산화물 (benzoyl phenyl phosphine oxide)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광경화형 개시제(P3)는 2-이소프로필 싸이오크잔톤(2-Isopropylthioxanthone) 또는 싸이오크잔톤-4-카르복실레이트(thioxanthone-4-carboxylate) 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광경화형 개시제(P4)는 Bis(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eoxide 또는 다이페닐(2,4,6-트리메틸 벤조일) 포스핀 산화물 (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P3 : P4는 1:2 내지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표면 또는 심부 경화가 불충분하여 신뢰성 시험 이후의 접착력 저하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광경화형 개시제와 제2 광경화형 개시제가 혼합된 광경화형 개시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wt%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경화형 개시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wt% 내지 6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개시제가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wt%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경화가 부족하여 젤 형태 또는 액상 잔존물이 남아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6wt% 이상 포함될 경우, 수축율이 심해지거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접착력 증진제 (Adhesion promoter)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기재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력 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력 증진제는 기재, 예를 들면 일반적인 유리(bare glass) 기재, 무기 또는 무기 증착 유리 기재, 플라스틱 기재, 금속 기재 또는 필름 기재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력 증진제는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3-(trimethoxysilyl)propyl acrylate), 3-[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diethoxy(methyl)silyl]propyl methacrylate),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3-[트리스(트리메틸실릴옥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tris(trimethylsilyloxy)silyl]propyl methacrylate), 3-[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Dimethoxy(methyl)silyl]propyl Methacrylate), 3-(트리알릴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3-(triallylsilyl)propyl acryl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접착력 증진제로는 아미노기 또는 인산염(phosphate)기를 가지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접착력 증진제는 비스[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인산염 (bis[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력 증진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wt% 내지 3 wt% 혹은 0.7 내지 1.5 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력 증진제가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wt% 이하로 포함될 경우에는 접착력이 부족하여 코팅층과의 박리현상 등을 동반하고, 장기 신뢰성 측면에서는 계면을 통한 수분 흡습 등으로 본 재료의 주요특성(절연효과 등)이 저감 현상 등을 동반할 수 있다. 상기 접착력 증진제가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3 wt% 이상 포함될 경우에는 경화 시, 수축율이 심하여 코팅층의 경화 후 표면이 불균일하고, 첨가제의 함량이 과하여 장기 신뢰성 측면에서 오히려 접착력에 악 영향을 줄 수 있다.
계면 활성제 (Surfactant)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계면 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단독 또는 서로 다른 2종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계면 활성제는 플루오로(Fluoro)기와 친유성(lipophilic)기를 가지는 올리고머형의 계면활성제, 폴리플루오르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polyfluoroalkyl acrylate copolymer)를 단독 또는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좋게는, 퍼짐(Spreading)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로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를 2종 이상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플루오로(Fluoro)기와 친유성(lipophilic)기를 가지는 올리고머형의 계면활성제를 80% 이상 포함하도록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0.5wt%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0.5wt% 포함함에 따라, 각 성분의 적절한 퍼짐성을 나타내어 코팅조성물의 코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가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wt% 미만 포함될 경우, 퍼짐성 또는 레벨링이 원활하지 않아 코팅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가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 wt% 이상 포함될 경우, 퍼짐성이 지나치게 높아 원하는 면적 외에 코팅되거나, 일정 두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형광체 (Phosphor)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코팅층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서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체는 코팅 조성물이 저점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성물 내에서 침전 등의 변이가 없는 안정성이 있는 물질이어야 한다. 또한, 형광체는 반응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물질이어야 한다. 그리고, 형광체는 시인성 확보를 위해서 가시광 하에서는 투명이고 검사광에서는 유색을 나타내는 물질일 수 있다. 상세하게, N-(9,9-디메틸-9H-플루오렌-2-일)-9,9-디페닐-N-(4-비닐페닐)-9H-플루오렌-2-아민(N-9,9-dimethyl-9H-fluoren-2-yl)-9,9-diphenyl-N-(4-vinylphenyl)-9H-fluoren-2-amine)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본 형광체의 경우 가시광 하에서는 투명하며 검사광인 UV 파장의 광원 하에서는 청색일 수 있다.
형광체(Ph.; Phosphor)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wt% 내지 0.5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의 함량이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wt%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시인성이 부족하여 품질 검사 또는 인쇄된 부위에 대한 식별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의 함량이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 wt%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시인성은 우수하나 형광체의 가격적인 측면에서 조성물 전체의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 (개질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가요성부여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윤활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무기이온교환체, 소포제, 광확산제 등의 첨가제를 얻어지는 경화체의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로서, 페놀(phenol)계, 유황계,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트리페닐 인산염(triphenyl phosphate), 디페닐 데실 인산염(diphenyl decyl phosph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공되는 코팅 조성물은 8 내지 17 cPs 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코팅 조성물은 상기 점도 범위를 만족하여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고 인쇄 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적층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소정 영역에, 상기 코팅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기재의 소정 영역(즉, 일정 영역) 상에 코팅된 후, 경화 공정을 거쳐 절연을 위한 일정한 형태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일반적인 유리(bare glass), 무기 또는 무기 증착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 공지된 재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기재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경우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또, 상기 코팅층은 소정의 간격으로 기재 상에 형성된 미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휴대용 기기 또는 유기발광 소자와 같은 이 분야에 잘 알려진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코팅층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한 뒤 경화하여 형성한다. 상기 코팅 방법은 스핀 코팅, 딥 코팅, 바 코팅, 스크린 프린팅, 슬라이드 코팅, 롤 코팅, 슬릿 코팅, 스프레이 코팅, 딥 펜(dip-pen), 나노 디스펜싱 또는 잉크젯 인쇄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코팅 가능하다.
코팅층은 절연성을 높이기 위해 40μm 이상 형성된다.
코팅층은 상기 기재에 대한 박리력 테스트 시 박리율 1% 이하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상기 기재에 대한 높은 접착력을 발휘하는 이유는 1차적으로는 Resin과 접착력 증진제에서의 hydroxyl 그룹과 기재에 대한 Anchoring 효과에 기인하며, 부수적으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광경화형 공정 중 후막 경화 시에 심부와 표면의 고른 경화도를 가질 수 있는 흡광 개시제들 간의 적절한 비율과 단파장 외에도 장파장에서도 흡광이 가능하게 하는 Bathochromic Effect에 기인한다.
상기 코팅층은 가시광 하에서는 투명이고 검출광 하에서는 유색일 수 있다.
즉, 코팅층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팅층이 형광체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가시광 하에서는 투명이고 365nm 내지 385nm인 UV 파장의 광원으로 관찰 시 유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품질 관리(QC)가 매우 용이하다. 이는 코팅층이 UV 형광체를 포함하기 때문이며, 유색은 청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팅층의 저항값은 4 GigaΩ@1kV 이상을 나타내어 우수한 절연특성을 나타내어 기재에 실장되는 다른 전자부품들과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코팅층은 인쇄공정, 특히 잉크젯 인쇄공정을 채용한 광경화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공정 자동화를 이루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잉크젯 공정에 적용가능한 저점도형의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5 내지 20cPs 일 수 있으며, 코팅층이 미세 패턴의 구현을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팅 조성물이 8 내지 17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더 좋다. 이러한 경우, 잉크젯 프린팅시 젯팅 관련 공정에 적합하고, 코팅 조성물이 패턴이 형성되어야 할 영역 이외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7, 참고예]
코팅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1에 기재된 조건으로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코팅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각 코팅 조성물 제조시, 반응기(reactor)의 온도는 상온(23 내지 25℃)으로 유지하였으며, 아래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를 기준으로 정량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wt%)
먼저 250mL 반응기에 반응수지 D에서 A순으로 차례로 정량 후,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형광체를 정량하여 투입 후, 추가로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계면활성제 2종과 접착력 첨가제를 순차적으로 정량하여 투입한 후 30분간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시제(Photoinitiators) 2 종을 최종 투입 후, 약 2시간 교반하여 코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
1 2 3 4 1 2 3 1
반응
수지
A 45 45 44 44 42 42 42 41.2
B 42.14 42 42 41 37 36.4 36.4 36.6
C 6.7 6.24 6.24 6.24 13.85 14.20 13.30 10.60
D 0.6 0.6 0.6 0.6 5.5 6 5.9 3.5
광경화
개시제
P1 1 1 1 1 1 0 1 1
P2 3 4 5 6 0 1 1 7
계면
활성제
S1 0.05 0.05 0.05 0.05 0.05 0.01 0 0
S2 0.01 0.01 0.01 0.01 0.01 0 0.01 0.01
접착력
증진제
AP 1 0.8 0.8 0.8 0.09 0.09 0.09 0.09
형광체 Ph. 0.5 0.3 0.3 0.3 0.5 0.3 0.3 0
주) ※ 표 1에서, 각 성분의 명칭
A: Tetrafurfuryl methacrylate
B: O-Phenylphenol Ethyl Acrylate
C: Hydroxy 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acrylate
D: Urethane-Modified Methacrylate (상품명: 미원상사 MU9500)
P1: Trimethyl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P2: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S1: Fluoro기와 lipophilic기를 가지는 Oligomer 타입 Surfactant
S2: Polyfluoroalkyl acrylate copolymer 타입 Surfactant
AP: Bis[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Ph(Phosphor): N-(9,9-dimethyl-9H-fluoren-2-yl)-9,9-diphenyl-N-(4-vinylphenyl)-9H-fluoren-2-amine
성분 실시예 비교예
5 6 7 8 4 5 6 7
반응
수지
A 47 45.9 43.16 44 43 43 45 40
B 41.2 42.2 43 42 41.24 42.8 39.8 36.8
C 5.64 5.84 6.7 6.75 7.7 6.80 6.60 7.29
D 0.6 0.4 0.7 0.5 5.5 6 6.2 3.5
광경화
개시제
P3 0.5 0.5 0.5 0.5 1 0 1 1
P4 3.5 4.0 4.5 5.0 0 1 1 11
계면
활성제
S1 0.05 0.05 0.04 0.05 0.05 0.01 0 0.01
S2 0.01 0.01 0 0 0.01 0 0.01 0.01
접착력
증진제
AP 1 0.8 0.9 0.9 1 0.09 0.09 0.09
형광체 Ph. 0.5 0.3 0.5 0.3 0.5 0.3 0.3 0.3
주) ※ 표 2에서, 각 성분의 명칭
A: Tetrafurfuryl methacrylate
B: O-Phenylphenol Ethyl Acrylate
C: Hydroxy 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acrylate
D: Urethane-Modified Methacrylate (상품명: 미원상사 MU9500)
P3: 2-Isopropyl-9H-thioxanthen-9-one
P4: 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S1: Fluoro기와 lipophilic기를 가지는 Oligomer 타입 Surfactant
S2: Polyfluoroalkyl acrylate copolymer 타입 Surfactant
AP: Bis[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Phosphor:N-(9,9-dimethyl-9H-fluoren-2-yl)-9,9-diphenyl-N-(4-vinylphenyl)-9H-fluoren-2-amine
[실험예]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의 물성 측정
다음 방법으로, 상기에서 제조된 코팅 조성물의 점도, 인쇄성, 경화특성, 접착력 및 시인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1) 점도
점도는 캐논(Cannon)사의 점도계(Viscometer) 또는 브룩필드(Brookfiled) 사의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항온조의 온도는 상온(25℃)를 유지한 상태에서 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캐논사의 점도계의 경우에는 표준 규격 ASTM D 445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브룩필드사의 점도계의 경우에는 스핀들(spindle) 4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코팅 조성물의 잉크젯 프린팅은 유니젯 사의 장비(OmniJet 200)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잉크젯 헤드(head)는 후지필름 디마틱스(Dimatix)사의 SG1024를 사용하였다.
2) 인쇄성
인쇄성은 직진성과 코팅성의 양호 여부에 따라 Good과 Not Good(NG)로 표기하였다. 직진성은 점도 및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을 참고로 하여 파형(waveform) 및 주파수(frequency)를 조정하여 최적화했을 경우, 최상의 결과를 기준으로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drop)이 수직 선상으로 세터라이트(satellite) 현상 없이 직진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코팅성은 양극 산화(anodizing) 처리 후 흑색 안료(black pigment)로 표면 처리된 알루미늄계 금속 케이스 기판을 대상으로 50mm×50mm에 40㎛두께로 코팅하였으며, 목표한 면적을 기준으로 인쇄 후, 약 1분내 경화 완료 이후, 외곽부로의 퍼짐성이나 내부로의 수축률이 없는 정도를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경화특성
광원별 경화특성은 인쇄 완료된 시편에 MS Tech 사의 MTL UV 램프(3KW)-UV 경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광범위 파장대에 걸쳐 4J의 광량을 조사하거나, 포세온(Phoseon)사의 FJ200 장비를 사용하여 385nm 파장에서 4J의 광량을 조사하여 경화를 진행한 후, 경화를 마친 시편의 표면 특성을 점검하여 점착(Tacky) 특성이 없고 매끄러운 경화막을 형성했는지 정도를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노광량은 EIT 사의 UV Puck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는 점착 특성이 없이 도막이 매끄럽고 경화 특성이 양호한 경우를 나타낸다. "△"는 점착 특성이 일부 잔류하고 수축률이 일부 생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는 점착 특성과 수축률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이다.
4) 접착력
신뢰성 시험, 즉 접착력 테스트는 고온고습 조건과 염수 분무 조건으로 각각 실시하였다. 고온고습 평가의 경우에는 경화를 마친 평판형 금속 케이스 시편을 습도가 85% 로 유지되는 고온고습 챔버(JEIO Tech사 TH-DG-150)에 투입하여 72시간 동안 놓아둔 후, 이를 꺼내어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접착력 평가(cross-cut test)를 진행하였다. 염수분무 평가의 경우에는 경화를 마친 평판형 금속 케이스 시편을 5% 농도의 NaCl을 분무하는 염수 분무 테스트 장비(VISIONTEC사 Salt Water Spray Tester)에 투입하여 72시간 동안 놓아둔 후, 이를 꺼내어 탈이온수로 세정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상온(23 내지 25℃)에서 약 4시간 방치 후, 접착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접착력 평가는 고온고습 신뢰성 평가 및 염수분무 신뢰성 평가 전, 후로 실시하였다. 표준규격 ASTM D3359에 준하여 크로스 컷(cross-cut)을 진행한 다음, 테이프(혜성, KSA-1514)으로 박리 평가를 진행하였다. ASTM 클래스(Class)를 '물성 평가 기준'에 준하여 그 결과를 구분하였다. ASTM 클래스 물성 평가 기준은 박리율(%)에 따라 구분되면, 5B (박리율 0%), 4B (5% 미만 박리), 3B (5 내지 15% 박리), 2B (15 내지 35% 박리), 1B (35 내지 65% 박리), 0B (65% 이상 박리)로 구분된다.
5) 시인성
시인성 평가는 인쇄 및 경화를 마친 평판형 시편에 365nm 광원의 검출용 램프(VILBER Lourmat사 UV 램프)를 사용하여, 광원 조사시에 청색 발광 정도 또는 색감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는 청색 발광 정도가 우수한 경우를 나타낸다. "○"는 청색 발광 또는 색감이 양호한 경우를 나타낸다. "×"는 청색 발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평가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
1 2 3 4 1 2 3 1
점도(cPs) 13.5 13.8 13.7 14 21 23 23 21
인쇄성 직진성
(Inkjet)
Good Good Good Good Good Good NG Good
코팅성 Good Good Good Good NG NG NG NG
광원별
경화특성
× × ×
신뢰성
시험
고온고습 (72hrs@85℃, 85%RH)
초기
접착력
5B 5B 5B 5B 3B 2B 2B 2B
신뢰성 후,
접착력
5B 5B 5B 5B 2B 1B 1B 1B
신뢰성
시험
염수분무 (72hrs@5% NaCl)
초기
접착력
5B 5B 5B 5B 3B 2B 2B 2B
신뢰성 후,
접착력
5B 5B 4B 4B 1B 0B 0B 0B
시인성 ×
실시예 비교예
5 6 7 8 4 5 6 7
점도(cPs) 12 12.7 14.5 13.5 21 23 23 21
인쇄성 직진성
(Inkjet)
Good Good Good Good Good Good Good Good
코팅성 Good Good Good Good Good NG NG NG
광원별
경화특성
×
신뢰성
시험
고온고습 (72hrs@85℃, 85%RH)
초기
접착력
5B 5B 5B 5B 5B 2B 2B 2B
신뢰성 후,
접착력
5B 5B 5B 5B 4B 1B 1B 1B
신뢰성
시험
염수분무 (72hrs@5% NaCl)
초기
접착력
5B 5B 5B 5B 4B 3B 3B 3B
신뢰성 후,
접착력
4B 4B 5B 5B 3B 1B 1B 1B
시인성
상기 표 3 내지 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8에 따른 코팅 조성물의 경우 12 내지 14.5cPs의 점도를 나타내는 반면, 비교예 1 내지 7 및 참고예 1에 따른 코팅 조성물의 경우 점도가 17 cPs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인쇄성 평가에서도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에는 직진성과 코팅성이 모두 Good 으로 평가된 반면, 비교예 4를 제외한 비교예와 참고예 1은 직진성과 코팅성이 모두 좋은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원별 경화 특성의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3, 5 내지 8의 경우에는 경화특성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4의 경우에는 점착 특성이 일부 잔류하고 수축률이 일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체적인 물성이 우수하였다.
접착력 테스트 결과 실시예 1, 2, 7, 8의 경우에는 모두 5B 클래스로 평가되고 실시예 3 내지 6의 경우에는 염수분무 테스트에서만 4B 클래스로 측정되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 및 5 내지 7의 경우에는 모두 3B 클래스 이하로 접착력 특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접착력 증진제는 적어도 0.1wt% 이상 포함되어야 하며, 0.7wt% 이상일 경우 접착 특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4는 접착력 증진제가 1wt% 포함되지만, 광경화 개시제가 1종만 사용되었기에, 직진성과 코팅성이 Good로 평가되었더라도, 광원별 경화특성이 불량하고, 접착력이 실시예보다 저하되었다.
시인성 평가에서 보면, 실시예 1 내지 8은 상술한 우수한 물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반적으로 우수하거나 양호한 시인성을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 1 내지 7은 참고예 1보다는 시인성이 좋고 본원과 유사한 시인성을 나타내었지만, 상술한 바대로 시인성을 제외하고 인쇄성, 광원별 경화특성 및 신뢰성이 불량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참고예 1 경우, 광경화 개시제를 2종 포함하더라도, 1종의 계면활성제만 포함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P1: P2가 1:2 내지 1:5의 중량비율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여, 직진성이 양호하더라도, 코팅성, 광원별 경화특성, 접착력이 모두 불량하였다. 또, 참고예 1은 형광체가 포함되지 않아, 시인성이 불량하였다.
한편, 도 1은 형광체가 포함된 실시예 1의 코팅 조성물(a) 및 형광체가 없는 참고예 1의 코팅 조성물(b)을 인쇄하기 전에 365nm 광원의 검출용 램프로 관찰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 1 및 참고예 1의 코팅 조성물을 기재 상에 인쇄하고 경화하여 일부 영역의 코팅층을 각각 형성한 후, 실시예 1의 코팅층(a) 및 참고예 1의 코팅층(b)에 대하여 365nm 광원의 검출용 램프로 관찰한 경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면, 좌측의 실시예 1(a) 및 우측의 참고예 1(b)의 각 코팅 조성물은 가시광 하에서는 투명이었다. 이후, 도 2를 보면,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층에서, 본 발명의 좌측의 실시예 1의 코팅층(a)의 경우 참고예 1의 코팅층(b)에 비해 형광체가 포함되어 검출광(UV 광) 하에서는 청색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현되는 형태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5)

  1. 반응수지;
    광경화형 개시제; 및
    접착력 증진제를 포함하며,
    상기 광경화형 개시제는 a) 제1 광경화형 개시제와 제2 광경화형 개시제가 1:2 내지 1:6의 중량비율 혹은 b) 1:2 내지 1:1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인 코팅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광경화형 개시제에서,
    상기 제1 광경화형 개시제는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glyoxylate)계 및 다이페닐 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phosphine oxide)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경화형 개시제((P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경화형 개시제는 아세토페논(Acetonphenone)계 및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경화형 개시제(P2)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광경화형 개시제에서,
    상기 제1 광경화형 개시제는 알킬 아릴 케톤(Akyl Aryl Ketone)계 광경화형 개시제(P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경화형 개시제는 벤조일 포스핀 산화물 (benzoyl phenyl phosphine oxide)계 광경화형 개시제(P4)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증진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wt% 내지 3 wt%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지는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수지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지는
    에틸3-(2-푸릴)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3-(2-푸릴) 아크릴레이트, 에틸 (E)-3-(2-푸릴) 아크릴레이트, 메틸 B-푸릴 아크릴레이트, 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2-퍼푸릴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반응수지(A);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반응수지(B); 및
    글리콜계 모노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콜계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반응수지(C)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지는 다관능성을 가지는 우레탄 변형된 메타아크릴레이트인 반응수지(D)를 더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0.5wt%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형광체 또는 UV형광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8 내지 17 cPs 의 점도를 갖는 코팅 조성물.
  12.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소정 영역에,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코팅층;
    을 포함하는 적층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저항값은 4 GigaΩ@1kV 이상인 적층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가시광 하에서는 투명이고 검출광 하에서는 유색인 적층체.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90122854A 2019-10-04 2019-10-04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KR20210040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54A KR20210040536A (ko) 2019-10-04 2019-10-04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PCT/KR2020/013514 WO2021066628A1 (ko) 2019-10-04 2020-10-05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CN202080069962.6A CN114502667A (zh) 2019-10-04 2020-10-05 涂层组合物及包括涂层的层叠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54A KR20210040536A (ko) 2019-10-04 2019-10-04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536A true KR20210040536A (ko) 2021-04-14

Family

ID=7533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54A KR20210040536A (ko) 2019-10-04 2019-10-04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040536A (ko)
CN (1) CN114502667A (ko)
WO (1) WO20210666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16B1 (ko) * 2006-12-14 2012-01-16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광섬유에 대한 d1365 bj 선 경화성 1차 코팅
KR100968198B1 (ko) * 2009-04-10 2010-07-05 (주)엘지하우시스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JP5675817B2 (ja) * 2009-09-08 2015-02-25 サン ケミカル ビー.ブイ. 光開始剤組成物
JPWO2014080942A1 (ja) * 2012-11-20 2017-01-05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光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組成物及び印刷物
KR101340457B1 (ko) * 2013-06-28 2013-12-11 (주)세풍폴리머 자외선 경화 프리프레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42057B1 (ko) * 2016-03-02 2019-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시트
WO2018168733A1 (ja) * 2017-03-14 2018-09-2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印刷方法及び印刷物
JP6510113B2 (ja) * 2017-05-09 2019-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組成物、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948098B1 (ko) * 2017-06-20 2019-02-14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광학 부재
KR102050135B1 (ko) * 2017-07-03 2020-01-22 주식회사 광은전자 무용제형 잉크젯 전용 백색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573444B (zh) * 2017-10-27 2019-12-24 天津久日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用于uv-led光源的光引发剂组合物
JP2019163398A (ja) * 2018-03-20 2019-09-26 東亞合成株式会社 硬化型組成物
JP7206055B2 (ja) * 2018-03-29 2023-01-17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光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628A1 (ko) 2021-04-08
CN114502667A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8063406B4 (de) Kunststoffteil, umfassend zwei harte Überzugsschichten, sowie Verwendung des Kunststoffteils
CN104974594B (zh) 一种水溶性溶剂的油墨组合物、其应用及印刷电路板
DE112018002915B4 (de) Harzzusammensetzung zum Tintenstrahldrucken und unter Verwendung derselben hergestellte Leiterplatt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Leiterplatte
JP6904634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523985B2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3189532A (ja) 絶縁膜形成用透明樹脂組成物
CN102604455A (zh) 抗静电涂料、抗静电薄膜及其制造方法
KR101975885B1 (ko) 도료 조성물
DE112017003006T5 (de) Epoxy (meth)acrylatharz und resistelement
CN107206756A (zh) 硬涂膜
JP6893580B2 (ja) 転写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静電容量型入力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TW201443522A (zh) 光學層板
JP6880342B2 (ja) 黒色感光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硬化物からなる隠蔽層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10040536A (ko) 코팅 조성물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CN105086605B (zh) 一种光固化热固化组合物油墨、用途及含有其的线路板
KR20080081829A (ko) 경화성 조성물, 경화막, 반사 방지막, 및 경화막의 제조방법
KR20130035411A (ko) Pdlc형 조광체 제조용 고분자 분산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dlc형 조광체
KR102380913B1 (ko)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제
KR20080055682A (ko) 무기 입자 함유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필름, 패턴형성 방법, 및 평판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KR20220086524A (ko) 백색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드라이 필름, 인쇄 배선 기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851364B1 (ko)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2018070844A (ja) エネルギー線硬化型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TWI440905B (zh) 偏光片及其製造方法
KR20140147060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디스플레이 소자
KR101186265B1 (ko)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시에 경화 전후 색상의 변화를 통해 광경화성 조성물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