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198B1 -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198B1
KR100968198B1 KR1020090087264A KR20090087264A KR100968198B1 KR 100968198 B1 KR100968198 B1 KR 100968198B1 KR 1020090087264 A KR1020090087264 A KR 1020090087264A KR 20090087264 A KR20090087264 A KR 20090087264A KR 100968198 B1 KR100968198 B1 KR 10096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ttern
photoinitiator
projection pattern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철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배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배동기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4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combined with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23Digital print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ink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흡수 파장이 250nm 내지 350nm인 제1광개시제; 및 흡수 파장이 400nm 이상인 제2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UV 경화형 잉크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시각적 및 촉각적 효과가 우수한 입체적인 돌출 무늬 패턴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외관 무늬가 형성된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UV 경화형 잉크, 돌출 무늬, 창호 프로파일, 도어, 인조대리석, 유리, 인테리어 필름

Description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Ink composition for projection pattern printing, interior sheet, interior product and projection pattern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가구, 가전제품, 창호 프로파일 및 도어 등과 같은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에 인쇄되는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창호 프로파일, 도어 등과 같은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의 피착면을 보호하고,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주로 합성 수지 필름과 같은 기재 상에 그라비어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과 같은 인쇄공법으로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품 상에 구현된 무늬는 대부분 평면 형상으로 구현되었는바, 보다 고급스럽고 화려한 장식적 효과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 상에 입체적 무늬를 구현할 수 있도록 다른 인쇄 공법을 이용하여 인쇄층을 형성하거나 발포제 등을 사용하여 발포 무늬층을 형성하는 등 제품 외관에 보다 미려한 장식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기술들은 모두 입체감 부여 효과가 미미하거나, 부자연스러워 장식적 효과가 오히려 저하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입체감을 조성할 수 있지만, 그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생산 단가가 높아서 제품의 가격이 지나치게 고가가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어 오던 잉크 조성물은 경도가 미약하여, 가구나 창호 프로파일 등의 인테리어 제품에 인쇄하는 경우, 입체적인 무늬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면서도, 다양한 장식 제품에 내구성이 우수하며 고급스러운 입체적인 돌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및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 상에 상기 돌출 무늬 인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재 상에 돌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한 돌출 무늬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흡수 파장이 250nm 내지 350nm인 제1광개시제; 및 흡수 파장이 400nm 이상인 제2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피인쇄체상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돌출 무늬 패턴을 예비 건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예비 건조된 돌출 무늬 패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친환경적이면서도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하기에 적합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고급스러운 입체적 무늬를 구현할 수 있어, 인테리어 필름으로 사용되거나, 가구, 가전제품, 창호 프로파일, 도어, 유리 제품 및 인조대리석 등과 같은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에 돌출 무늬를 구현하여 시각적 및 촉각적 장식 효과가 뛰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의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방법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돌출 무늬가 보다 잘 인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흡수 파장이 250nm 내지 350nm인 제1광개시제; 및 흡수 파장이 400nm 이상인 제2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흡수 파장이 250nm 내지 350nm인 제1광개시제; 및 흡수 파장이 400nm 이상인 제2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UV 경화형 잉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UV 경화형 잉크란, 자외선 조사로 인하여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액상으로부터 고상으로 경화될 수 있는 잉크를 의미하며,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및 광개시제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UV 경화형 잉크는, 인쇄 공정에서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점도의 제어가 용이하여 효율적인 입체 효과(돌출무늬)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건조 등의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입체적 장식효과를 구 현하는 돌출 무늬 인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UV 경화형 잉크를 포함함에 따라 휘발성 유기 용제가 사용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며, 짧은 경화시간으로 인하여 순간 건조 및 저온 고속의 생산성을 나타낼 수 있어, 대량 생산 또는 자동화 공정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돌출 무늬』라 함은 피인쇄체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이 일정한 입체 무늬 패턴에 따라 인쇄됨으로써 나타나는 3차원적인 입체 무늬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피인쇄체 상에 특정 패턴의 무늬로 형성되어, 잉크가 인쇄된 부분과 인쇄되지 않은 주변부, 또는 잉크가 인쇄된 부분 내에서도 높이 편차를 유발하여 시각적인 입체 효과는 물론 특유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인테리어 필름이나 각종 인테리어 제품, 예를 들면, 도어, 서랍장, 의자 및 테이블 등과 같은 가구, 가전제품, 창호 프로파일, 유리 제품 및 인조대리석 등과 같은 제품에 인쇄되어 입체적인 돌출 무늬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광중합성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UV 경화형 잉크의 기본물성을 지배하는 수지로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황변 타입으로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기에 적합하고, 내후성 등이 우수한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1차 합성반응을 통하여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형성된 반응물에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올의 경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이서 폴리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신율, 저온 충격성 및 인장 강도 등의 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폴리올과 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의 예를 들면, 저온 충격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2 관능의 유연성과 다 관능의 우수한 경도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3 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경우,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여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가 예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한 폴리올 구조 내에서는 폴리올의 분자량이 증가하면 인장 강도, 영율, 광경화 속도는 감소하고 연신율은 증가할 수 있고,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관능기 숫자가 증가하면 인장 강도, 영율, 광경화 속도는 증가하고 반 대로 연신율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용도에 적합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반응성 희석제는 상기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저점도화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거나 경화 시에 가교 또는 부가중합에 의하여 경화 구조물의 일부가 되는 물질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모노머가 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반응성 희석제의 예로 광중합성 아크릴계 모노머, 유기 용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인 측면에서 광중합성 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희석제의 종류로는 단관능 또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클로로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브로모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 하이드로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에톡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프로판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 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광개시제는 흡수 파장이 250nm 내지 350nm인 광개시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260nm 내지 330nm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광개시제일 수 있다.
상기 제1광개시제로는 황변 현상이 상대적으로 덜 일어나는 무황변 타입의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단 파장을 흡수하여 자외선 조사에 따른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형성하는 입체 무늬 잉크 조성물의 표면을 경화시킬 수 있는 광개시제는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 면, 제1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케탈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 알킬페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벤조페논, 디에틸아미노 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 아미노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 벤조페논 및 3,3',4,4'-테트라-(t-부틸 퍼옥실 카르보닐)벤조페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케탈계 화합물로는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및 벤질 디메틸 케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는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디메톡시 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및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 알킬페놀계 화합물로는,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및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예시된 것들 외에도, 제1광개시제로서, 250nm 내지 350nm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광개시제로서, 2-하이드록시 1,2-디페닐 에타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2-에톡시 1,2-디페닐 에타논, 2-부톡시 1,2-디페닐 에타논, 2,2-디부톡시 1-페닐 에타논 등과 같은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광개시제는 흡수 파장이 400nm 이상인 광개시제를 의미하며,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형성하는 입체 무늬의 내부가 잘 경화될 수 있도록 400nm 이상의 장 파장에서 광 경화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광개시제는 모두 포 함할 수 있으며, 400nm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것이라면, 흡수 파장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2광개시제는 장기 내후성 및 후 도막에 따른 경화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물 등이 함유되는 경우에도 잉크 조성물의 내부를 경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광개시제의 종류도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제2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 프로판-1-온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내에 함유된 구성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제1광개시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제2광개시제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내에 30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작업성 및 부착력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90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반응성 희석제가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내에 1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희석효과가 저하되어 고점도의 문제가 야 기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기재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제1광개시제가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내에 0.5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미 경화로 인한 부착 불량 및 물성 저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과 경화로 인한 수축 발생으로 인하여 부착 및 물성 저하 현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악취 발생 및 내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2광개시제가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내에 0.1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내부 미 경화로 인하여 부착력 및 내후성 저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3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가격 상승 및 내후성 저하로 인하여 황변 현상이 촉진될 우려가 있으며, 내부 경화와 표면 경화 간 균형이 깨져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부착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광개시제와 병용하여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광중합 촉진제 또는 증감제, 예를 들면 p-디메틸 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 에스테르 및 2-디메틸 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실리콘 첨가제, 무기 충전제, 안료, 펄, 홀로그램 칩, 점도 저하제, 산화 방지제, 습윤 조절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광의 흡수에 의하여 들뜬 전자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 분산시키는 물질로서, 자외선을 차단하여 황변 현상을 방지하고 내후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 피페리딘일)에스테르, 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터셔리-펜틸페놀(2-(2H-benzotriazol-2yl)-4,6-di-tert-pentylphenol) 및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펜틸에틸)페놀(2-(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entylethyl)phen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내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첨가제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물질로서, 구체적으로, 스크린(screen) 인쇄 시에 잉크 조성물이 망을 통과하면서 망에 들러붙는 현상 등을 방지하고 인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이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와 함께 망 통과 시에 야기될 수 있는 기포 발생을 억제하여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첨가제도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 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 에스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아릴알킬 변성 폴리메틸알킬 실록산, 폴리 에스테르 변성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 에테르 변성 실록산 및 폴리 에스테르 변성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첨가제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무기 충전제의 경우, 점도 및 칙소성을 향상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무기물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점토, 운모,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료는 조성물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다양한 색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착색 안료, 체질 안료, 방청 안료, 발광 안료, 금속분 안료 및 지당과 같은 백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 중 착색 안료의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아연화, 티타늄(루틸형 또는 아나타제형), 카본 블랙, 철흑, 황연, 카드뮴 옐로우, 크롬 바아미라온, 한사 옐로우, 그린 골드, 퍼머넨트 레드, 파라 레드, 토루이딘 레드, 카드뮴 레드, 산화철적, 프탈로시아닌 블루, 코발트 블루, 감청, 군청, 인단스텐 블루, 산화 크롬, 프탈로시아닌 그린, 징크 그린, 크롬 그린, 금분, 알루미늄분, 탄산칼슘 및 황산 바륨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펄 또는 홀로그램 칩과 같은 장식효과 부여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반짝임 효과 등 추가적인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도 저하제는 작업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점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와 같은 점도 저하제를 첨가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000 cps 내지 7000 cps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가 2000 cps 미만인 경우, 피 인쇄물 상에 돌출 무늬를 형성하기 어려워질 수 있고, 7000 cps를 초과하는 경우, 로터리 스크린 인쇄에 적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재필름은 각종 인테리어 제품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인테리어 필름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필름을 의미하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기재필름으로서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등을 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테리어 필름으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기재필름이 모두 이에 포함될 수 있고, 그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상기 기재필름 상에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함으로써 돌출 무늬 인쇄층을 형성한 것으로서, 입체적 외관을 구현하는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하므로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은 물론, 시각적 및 촉각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인테리어 필름으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예를 들면, 건축 내외장재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무늬 인쇄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려한 외관과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2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돌출 무늬 인쇄층의 두께가 0.2mm 미만인 경우, 입체적 장식미를 구현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며, 2.0mm를 초과하는 경우,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상기 돌출 무늬 인쇄층 상에 투명 필름층, 유광 처리층, 무광 처리층 및 멀티 처리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층이 추가됨으로써 인테리어 필름의 오염 및 스크래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택 부여 등을 통하여 추가적인 장식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층에 사용되는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기재필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인쇄하여 돌출 무늬 인쇄층을 형성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피착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우수한 외관 장식효과를 구현하는 방법 외에도,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기재(피인쇄체) 상에 직접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하여 기재 및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제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각종 가구, 가전제품, 유리 제품 및 인조대리석 등과 같이 인테리어 장식이 필요한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창호 프로파일 또는 도어 등일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제품이 창호 프로파일인 경우의 예를 들면, 상기 창호 프로파일은 피인쇄체로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프레임』은 창호의 윤곽을 형성하는 틀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인쇄되는 피인쇄체로 사용되어, 시각적 및 촉 각적 효과가 향상됨에 따라 프레임의 표면에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입체적 돌출 무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무늬 인쇄층은 창호 프로파일의 프레임 상에 다른 기재필름 또는 무늬목 등을 래핑하지 않은 상태에서 직접 인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기재필름 또는 무늬목 형성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창호 프로파일의 프레임 상에 인쇄하여 돌출 무늬 패턴을 형성할 경우, 표면경도가 우수할 뿐 아니라 접착력이 우수하여 기재필름이나 무늬목 등과 같은 다른 층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프레임 상에 직접적으로 잘 접착될 수 있어, 별도의 기재필름 또는 무늬목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로파일은 프레임의 재질에 따라 알루미늄 윈도우, PVC 윈도우, 철재 윈도우, 목재 윈도우 및 복합재질 윈도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로파일은 이와 같은 다양한 재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호 프로파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특유의 입체적인 돌출 무늬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고급스럽고 화려한 장식효과를 가지는 인테리어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돌출 무늬 인쇄층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0.2mm 내지 2.0mm의 두께로 사 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프레임은 다른 장식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기재필름 또는 무늬목이 래핑된 것일 수도 있다. 즉, 다른 장식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프레임 상에 기재필름 또는 무늬목을 래핑한 후, 이와 같이 기재필름 또는 무늬목이 래핑된 프레임 상에 상기 돌출 무늬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프레임 상에 직접 돌출 무늬 인쇄층을 형성한 경우와는 또 다른 미감을 가지는 장식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로파일은 사용 용도에 따라 프레임 상에 직접 돌출 무늬 인쇄층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프레임 상에 기재필름 또는 무늬목이 래핑된 후, 상기 기재필름 또는 무늬목이 래핑된 프레임 상에 돌출 무늬 인쇄층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테리어 제품이 도어인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도어는 도어의 형틀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는 여러 가지 다양한 무늬가 구현될 수 있는 도어의 형틀을 구성하는 도어 그 자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도어에 있어서, 개방된 공간을 차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본 골격을 구성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서, 도어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가 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본체의 재질에 따라, 예를 들면, 유리 도어, 알루미늄 도어, 플라스틱 도어, 철재 도어, 목재 도어 및 복합재질 도어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도어도 돌출 무늬 인쇄층 상에 투명 필름층, 유광 처리층, 무광 처리층 및 멀티 처리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층이 추가됨으로써 도어의 오염 및 스크래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택 부여 등을 통하여 추가적인 장식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층에 사용되는 소재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는 소재로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피인쇄체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돌출 무늬 패턴을 예비 건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예비 건조된 돌출 무늬 패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인쇄체 상에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인쇄되는 피인쇄체는 합성 수지 필름 등과 같은 기재필름은 물론, 창호, 창호 프로파일, 도어, 인조대리석, 유리 제품, 각종 가구 및 가전제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입체적 외관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이 인쇄될 수 있는 피인쇄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는 한, 그 구체적인 인쇄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실크)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또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방법 등과 같은 인쇄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실크 스크린 인쇄공법 또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공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량 생산의 측면에서 유리한 로터리 스크린 인쇄공법을 이용하여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 스크린 인쇄공법은 원통형의 스크린 망 내부에 잉크 원료를 투입하고, 원통형의 스크린 망의 회전에 의하여 원심력이 발생하면, 상기 스크린 망의 내부에 장착된 나이프로 원료를 스크린 망의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인쇄면에 원료를 코팅하는 인쇄공법으로서, 타공법에 비하여 후막 인쇄가 유리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여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로터리 스크린 인쇄공법의 구체적인 예로는 라커(lacquer)법, 갈바노(galvano)법, 에칭(etching)법 및 메쉬롤(mesh roll)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예시된 각각의 인쇄 공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나, 보 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린 망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할 수 있어 입체적인 외관을 구현하는 돌출 무늬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갈바노 인쇄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피인쇄체 상에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한 후, 열풍, 적외선, 원적외선 등과 같은 공지된 건조방법을 이용하여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돌출 무늬 패턴을 예비 건조하는 단계이다. 제 2 단계를 수행함에 따라, 피인쇄체에 대한 돌출 무늬 인쇄층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UV 경화형 잉크의 경우, 생산 공정의 고속화가 가능하고, 두꺼운 돌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용제형으로 구성되고 경화 시에 체적 수축이 크게 일어나므로 여타의 잉크에 비하여 피인쇄체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예비 건조 단계를 거쳐 제 1 단계에서 인쇄된 조성물이 피인쇄체 상에 보다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경화 공정을 거쳐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에서, 예비 건조 조건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약 10℃ 내지 90℃,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70℃, 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약 1분 내지 9분, 구체적으로는 약 3분 내지 7분,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4분 내지 6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예비 건조 온도가 10℃ 미만이거나, 건조 시간이 1분 미만이면, 예비 건조 공정에 따른 밀착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고, 건조 온 도가 90℃를 초과하거나, 건조 시간이 9분을 초과하면, 패턴에 바람직하지 못한 변색이 유발되거나, 돌출 무늬의 형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 단계는, 제 2 단계의 예비 건조 공정에 따라 예비 건조된 돌출 무늬 패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돌출 무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3 단계는, 파장이 250nm 내지 350nm인 자외선을 조사하여 예비 건조된 돌출 무늬 패턴을 1차 경화시키는 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1차 경화된 돌출 무늬 패턴에 파장이 400nm 이상인 빛을 추가로 조사하여 2차 경화시키는 단계 (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체적인 돌출 무늬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내부에 안료 등과 같은 첨가제가 첨가되거나, 인쇄층의 두께가 두꺼운 내부 잉크 조성물이 250nm 내지 35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에 의하여 완전히 경화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250nm 내지 35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의 조사를 통하여 1차 경화시킨 후, 400nm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추가로 조사하여 제2광개시제의 광경화 반응을 개시함으로써 1차 경화 시에 미처 경화되지 못한 내부 잉크 조성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경화를 수행하는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고압수은등, 초고압수은등, 무전극 램프 또는 금속할라이드 램프 등과 같은 통상의 자외선 조사기 및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광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경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조도는 5 mW/cm2 내지 200 mW/cm2일 수 있고, 경화 시간은 약 1초 내지 20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광량은 500 mJ/cm2 내지 2,000 mJ/cm2의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자외선 조사 조건은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는 피인쇄체의 크기, 사용된 조성물의 양 또는 목적하는 패턴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 조건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관능의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B9260, SK 싸이텍) 70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4 중량부,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5 중량부,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 프로판-1-온 0.5 중량부,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세바케이트 0.3 중량부, 폴리 실록산(BYK 020) 0.5 중량부 및 실리카 11.7 중량부를 10분 동안 혼합하여 약 3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UV 경화형 잉크 원료를 제조하였 다.
이어서,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된 나이프를 구비하는 롤(스크린 망)에 상기 UV 경화형 잉크 원료를 투입하고, 상기 롤을 회전시키면서 나이프로 상기 UV 경화형 잉크 원료를 밀어내어 창호 프로파일의 프레임 상에 직접 돌출 무늬 인쇄층을 0.8mm의 두께가 되도록 인쇄하고, 50℃의 온도에서 5분 동안 예비 건조한 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인쇄층에 80 mW/cm2 출력의 고압수은등 4개로 구성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15초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여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창호 프로파일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UV 경화형 잉크 원료를 인쇄하기에 앞서, 프레임에 데코시트(엘지화학)를 래핑한 후, UV 경화형 잉크 원료를 인쇄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돌출 무늬 인쇄층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창호 프로파일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표면에 돌출 무늬 인쇄층이 형성된 창호 프로파일을 찍은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표면에 데코시트를 래핑한 후, 돌출 무늬 인쇄층을 인쇄하여 제조된 창호 프로파일을 찍은 사진이다.

Claims (17)

  1.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흡수 파장이 250nm 내지 350nm인 제1광개시제; 및 흡수 파장이 400nm 이상인 제2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 cps 내지 7,000 cps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인쇄체상에 두께가 0.2 mm 내지 2.0 mm인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돌출 무늬 패턴을 10℃ 내지 9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9분 동안 예비 건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예비 건조된 돌출 무늬 패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인쇄체가 인테리어 필름용 기재 필름 또는 인테리어 제품용 기재인 돌출 무늬 인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돌출 무늬 인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는 단관능 또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케탈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 알킬페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2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 프로판-1-온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이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제1광개시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제2광개시제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이 자외선 흡수제, 실리콘 첨가제, 무기 충전제, 안료, 펄, 홀로그램 칩, 점도 저하제, 산화 방지제, 습윤 조절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는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 피페리딘일)에스테르, 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터셔리-펜틸페놀 및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펜틸에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실리콘 첨가제는 폴리 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 에스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아릴알킬 변성 폴리메틸알킬 실록산, 폴리 에스테르 변성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 에테르 변성 실록산 및 폴리 에스테르 변성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인테리어 제품용 기재가 창호 프로파일, 도어, 가구, 가전 제품, 유리 제품 또는 인조대리석인 돌출 무늬 인쇄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인쇄는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또는 로타리 스크린 인쇄공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돌출 무늬 인쇄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로타리 스크린 인쇄공법은 갈바노 인쇄공법인 돌출 무늬 인쇄방법.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파장이 250nm 내지 350nm인 자외선을 조사하여 예비 건조된 돌출 무늬 패턴을 1차 경화시키는 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1차 경화된 돌출 무늬 패턴에 파장이 400nm 이상인 빛을 추가로 조사하여 2차 경화시키는 단계 (2)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방법.
KR1020090087264A 2009-04-10 2009-09-15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KR100968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1319 2009-04-10
KR1020090031319 2009-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198B1 true KR100968198B1 (ko) 2010-07-05

Family

ID=4264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264A KR100968198B1 (ko) 2009-04-10 2009-09-15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19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41B1 (ko) 2010-11-03 2011-03-22 (주)에스비신소재 자외선 경화를 이용한 인조 자개 무늬 형성 코팅물 제조방법
KR101021635B1 (ko) 2010-09-17 2011-03-22 (주)에스비신소재 자외선 경화형 자가 홀로그램 형성 코팅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코팅물 제조 방법
KR20140052888A (ko) * 2012-10-24 2014-05-07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잉크젯 인쇄용 잉크 및 인쇄방법
KR20160049168A (ko) * 2014-10-24 2016-05-09 (주)엘지하우시스 Uv 경화형 무광 도료 조성물, 이를 적용한 데코시트 및 데코시트 제조방법
KR20170024972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5664A (ko) * 2016-03-09 2017-09-20 (주)엘지하우시스 내황변성이 우수한 uv 경화성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9971253A (zh) * 2019-02-26 2019-07-05 传美讯电子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快干不黏uv喷墨墨水及其制备方法
KR20200044188A (ko) * 2018-10-08 2020-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KR102140327B1 (ko) 2019-06-21 2020-07-31 이민세 인테리어 시트용 무광보호필름
KR20200124561A (ko) 2019-04-24 2020-11-03 조정래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JP2020203387A (ja) * 2019-06-14 2020-12-24 トクラス株式会社 塗装物
CN114231081A (zh) * 2022-01-19 2022-03-25 深圳市丽冠卓宏科技有限公司 一种超高耐老化uv油墨及其制备方法
CN114502667A (zh) * 2019-10-04 2022-05-13 株式会社东进世美肯 涂层组合物及包括涂层的层叠体
KR102454884B1 (ko) * 2021-05-14 2022-10-13 이미영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KR20220147890A (ko) * 2021-04-28 2022-11-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비산방지 데코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715A (ja) * 2001-05-11 2003-01-29 Shin Etsu Polymer Co Ltd 紫外線硬化型成形用材料、耐候性付与紫外線硬化型成形用材料、それらの硬化方法及びそれらから製造される成形品
KR20050071649A (ko) * 2002-10-31 2005-07-07 교에이샤 케미칼 주식회사 수지조성물, 전사재 및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070041670A (ko) * 2004-03-15 2007-04-1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경화성 액체 수지 조성물
JP2008133367A (ja) * 2006-11-28 2008-06-12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組成物、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715A (ja) * 2001-05-11 2003-01-29 Shin Etsu Polymer Co Ltd 紫外線硬化型成形用材料、耐候性付与紫外線硬化型成形用材料、それらの硬化方法及びそれらから製造される成形品
KR20050071649A (ko) * 2002-10-31 2005-07-07 교에이샤 케미칼 주식회사 수지조성물, 전사재 및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070041670A (ko) * 2004-03-15 2007-04-1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경화성 액체 수지 조성물
JP2008133367A (ja) * 2006-11-28 2008-06-12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組成物、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35B1 (ko) 2010-09-17 2011-03-22 (주)에스비신소재 자외선 경화형 자가 홀로그램 형성 코팅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코팅물 제조 방법
KR101021641B1 (ko) 2010-11-03 2011-03-22 (주)에스비신소재 자외선 경화를 이용한 인조 자개 무늬 형성 코팅물 제조방법
KR20140052888A (ko) * 2012-10-24 2014-05-07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잉크젯 인쇄용 잉크 및 인쇄방법
KR101636433B1 (ko) * 2012-10-24 2016-07-05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잉크젯 인쇄용 잉크 및 인쇄방법
KR20160049168A (ko) * 2014-10-24 2016-05-09 (주)엘지하우시스 Uv 경화형 무광 도료 조성물, 이를 적용한 데코시트 및 데코시트 제조방법
KR102016954B1 (ko) * 2014-10-24 2019-09-03 (주)엘지하우시스 Uv 경화형 무광 도료 조성물, 이를 적용한 데코시트 및 데코시트 제조방법
KR20170024972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5611B1 (ko) * 2015-08-27 2020-03-31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5664A (ko) * 2016-03-09 2017-09-20 (주)엘지하우시스 내황변성이 우수한 uv 경화성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9955B1 (ko) 2016-03-09 2020-09-01 (주)엘지하우시스 내황변성이 우수한 uv 경화성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44188A (ko) * 2018-10-08 2020-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KR102499067B1 (ko) * 2018-10-08 2023-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CN109971253A (zh) * 2019-02-26 2019-07-05 传美讯电子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快干不黏uv喷墨墨水及其制备方法
KR20200124561A (ko) 2019-04-24 2020-11-03 조정래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JP2020203387A (ja) * 2019-06-14 2020-12-24 トクラス株式会社 塗装物
KR102140327B1 (ko) 2019-06-21 2020-07-31 이민세 인테리어 시트용 무광보호필름
CN114502667A (zh) * 2019-10-04 2022-05-13 株式会社东进世美肯 涂层组合物及包括涂层的层叠体
KR20220147890A (ko) * 2021-04-28 2022-11-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비산방지 데코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102576244B1 (ko) 2021-04-28 2023-09-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비산방지 데코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102454884B1 (ko) * 2021-05-14 2022-10-13 이미영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CN114231081A (zh) * 2022-01-19 2022-03-25 深圳市丽冠卓宏科技有限公司 一种超高耐老化uv油墨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198B1 (ko)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JP5747626B2 (ja) 加飾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樹脂成形品
EP1728839B1 (en) Actinic radi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JP5476903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KR101045282B1 (ko) 하드코팅층을 구비하는 장식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5708157B2 (ja) 三次元成形用加飾シート、該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加飾樹脂成形品及び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5732984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CN106459323A (zh) 活化能射线固化型树脂组合物、树脂成形品及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
JP5359753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2011207187A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成形品
JP5962814B2 (ja) 加飾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樹脂成形品
JP5240012B2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2019123253A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6039885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6020642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6822280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5736923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5975118B2 (ja) 三次元成形用加飾シート、該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加飾樹脂成形品及び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9064261A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7361962B1 (ja) 成形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並びに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5733439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2001288230A (ja) ゲルコートシート製造用硬化性樹脂組成物
CN104530461A (zh) 装饰片材及使用其而成的装饰树脂成形品
JP6041012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成形品
JP5923123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