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188A -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4188A KR20200044188A KR1020180119812A KR20180119812A KR20200044188A KR 20200044188 A KR20200044188 A KR 20200044188A KR 1020180119812 A KR1020180119812 A KR 1020180119812A KR 20180119812 A KR20180119812 A KR 20180119812A KR 20200044188 A KR20200044188 A KR 202000441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composition
- inkjet printing
- weight
- composition
- photoiniti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방식 3D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특성이 상이한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3D 물체의 각 층의 경화도를 최적화하여 광경화후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갖는 물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잉크젯 방식 3D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성이 상이한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광경화후 고강도의 기계적 성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잉크젯 방식 3D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방식 3D 프린팅은 액상의 광경화성 재료를 제팅에 의해 토출시키고 자외선 등으로 경화시키기를 반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잉크젯 3D 프린팅이 가능하려면, 저점도(<100 cP @25℃)의 잉크 조성물이 필요하며, UV LED 광경화가 가능하려면 아크릴기나 에폭시기의 관능기를 함유해야 한다.
아크릴기의 광경화는 라디칼 경화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공기 중의 산소는 라디칼을 무력화시켜 경화 반응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3D 프린팅 물체를 적층 형성하기 위해 아크릴계 잉크를 도포하였을 때 공기와 접하는 표면은 경화가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자외선이 잉크의 표면을 통과하여 심부(深部)를 경화시킬 때는 잉크를 통과함에 따라 잉크에 광이 흡수되어 광량이 적어지는 효과가 발생하여 또한 광경화가 지연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조성물의 도포막의 심부와 표면의 광 경화 특성을 균일하게 구현하여 고강도의 3D 프린팅 물체를 제공할 수 있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종래 3D 프린팅 잉크의 기계적 물성과 관련해, 고무 중합체 입자 혹은 무기 나노 입자를 포함하거나 올리고머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심부(내부)와 표면의 광 경화 특성을 균일하게 구현하여 고강도의 3D 프린팅 물체를 제공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도포막의 표면과 내부 모두에서 광경화가 잘 이루어져 잉크젯 방식 3D 프린팅에서 ABS 플라스틱과 같은 높은 강도를 갖는 3D 프린팅 물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특성이 상이한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3D 물체의 각 층의 경화도를 최적화하여 광경화후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갖는 물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하이드록시케톤계 광개시제; 및 포스핀 옥사이드계 광개시제 또는 아미노케톤계 광개시제 또는 이들 둘 모두를 포함하며, 상기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량비율은 1:1 내지 10:1이고, 상기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유리전이온도(Tg)는 50 ℃ 이상이고,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사이의 탄소수는 9 이하이고, 상기 하이드록시케톤계 광개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빛의 파장에 대한 흡광도가 상이한 광개시제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잉크 도막의 심부와 표면의 광 경화 특성이 균일하게 우수한 조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3D 잉크젯 공정에서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3D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시편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응력 변형 곡선(S-S curve)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혼합 사용되는 각각의 광개시제에 대한 예상 경화 구배를 나타낸다.
도 2는 시편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응력 변형 곡선(S-S curve)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혼합 사용되는 각각의 광개시제에 대한 예상 경화 구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로서,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특성이 상이한 2가지 이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광경화를 위해 잉크에 일정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조사하는 경우 빛의 파장이 길 수록 잉크 내부로의 침투력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빛의 파장에 대한 흡광도가 다른 여러 종의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잉크 도막의 심부와 표면의 광 경화 특성이 균일하게 우수한 조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는 내부 경화는 우수하나 표면 경화 부족 현상으로 인해, 단독 사용으로는 고강도 성질을 달성하기 어렵다. 중간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는 단독 사용으로는 전체적으로 경화도 부족 현상을 가져 고강도 성질을 달성하기 어렵다. 단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는 표면 경화는 우수하나 내부 경화 부족 현상으로 인해 단독 사용으로는 고강도 성질을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특성을 갖는 개시제 중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표면과 내부 모두에서 광경화가 잘 일어나며, 이에 따라 3D 프린팅 물체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잉크 조성물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단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 및 중간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 또는 장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 또는 이들 둘 모두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단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 중간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 및 장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단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는 240 내지 270 nm의 파장 범위의 광을 흡수하는 하이드록시케톤계 광개시제이며, 그 예로는 2-하이드록시-2-메틸 프로피오페논(BASF사 Darocur 1173), 2-하이드록시-2-메틸-4'-tert-부틸-프로피오페논,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BASF사 Irgacure 184), 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톡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프로폭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BASF사 Irgacure 1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파장 흡수 개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또는 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또는 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파장 흡수 개시제가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단파장 흡수 개시제에 의한 표면 경화 효과가 없어 적층시 무너짐이 발생할 수 있고, 한편 그 함량이 2 중량%를 초과하면 표면에서 경화가 매우 빠르게 일어나 광이 내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내부 경화 부족으로 적층시 무너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는 270 내지 350 nm의 파장 범위의 광을 흡수하는 아미노케톤계 광개시제이며, 이는 2-메틸-4'-(메틸티오)-2-모르폴리노-프로피오페논(BASF사 Irgacure 907), 2-벤질-2-(디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부티로페논(BASF사 Irgacure 369), 2-(4-메틸벤질)-2-(디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부티로페논(BASF사 Irgacure 37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파장 흡수 개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또는 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또는 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파장 흡수 개시제가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전반적인 경화 부족으로 인해 적층 조형물의 형성이 어렵고, 한편 그 함량이 2 중량%를 초과하면 개시제가 과량으로 포함되어 경화도 향상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황변이 매우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장파장을 흡수하는 광개시제는 350 내지 420 nm의 파장 범위의 광을 흡수하는 포스핀 옥사이드계 광개시제이며, 그 예로는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BASF사 TPO),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BASF사 TPO-L),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BASF사 Irgacure 8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파장 흡수 개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상의 양으로, 또는 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파장 흡수 개시제가 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장파장 흡수 개시제에 의한 내부 경화 효과가 없어 적층시 무너짐이 발생할 수 있고, 한편 그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개시제가 과량으로 포함되어 경화도 향상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황변이 매우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라디칼 경화가능 모노머로서, 50 ℃ 이상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며, 그 예로는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 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4-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첨가는 저점도의 잉크 조성물을 구현하는데 기여한다.
상기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Tg 가 50 ℃ 미만일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사이의 탄소수가 9 이하인 것으로서, 그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Ethoxylated(3)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Propoxylated(3) 글리세린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Ethoxylated(3)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경화 반응에서 가교도를 높여 망상 구조 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관능, 예컨대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존재할 경우 3차원 망상 구조 형성이 가능하며, 나아가 최종 경화물의 강도에 기여한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관능기 사이의 탄소수가 9 초과일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대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비율은 1:1 내지 10:1, 상세하게는 2:1 내지 5:1일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모노머 대 다관능 모노머의 비율이 1:1 미만일 경우, 즉 다관능 모노머가 더 많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쉽게 깨지기 쉬운 경향을 나타내어, 만족스러운 강도(strength)를 달성할 수 없다. 한편, 상기 단관능 모노머 대 다관능 모노머의 비율이 10:1 초과일 경우, 즉 단관능 모노머가 다량 함유될 경우, 탄성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20000 이하이고 2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으며,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또는 2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또는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매우 잘 깨질 수 있으며 항복점 이전에서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올리고머의 함량이 5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탄성율이 크게 감소하고, 조성물의 점도가 매우 높아 잉크젯 공정에 적용하기 곤란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ACMO 25 중량%, IBOA 35 중량%, TMPTA 17 중량%, PU256 20 중량%, 및 광개시제로서 Irgacure 369 1 중량% 및 Irgacure 127 1 중량%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잉크 조성물을 약 4시간 동안 교반 혼합하여 3D 프린팅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3D 프린팅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3)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3D 프린팅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편 제작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잉크 조성물을 Dimatix사의 Sapphire QS-256/80 AAA를 이용하여 프린팅 해상도 600 dpi로 인쇄한 후, 365 nm UV LED (세기 1 J/cm2)로 광 조사하여 광 경화시키고, 적층 인쇄한 후, 다시 광 경화하여 총 적층 두께 약 3 mm 의 3D 조형물의 시편을 제작한다.
(실험예)
[경화 정도 평가]
조성물의 경화 정도는 IR 스펙트럼을 통해 아크릴레이트 관련 피크의 면적을 계산하여 비교하였으며, 잉크의 아크릴레이트 면적과 경화된 조성물의 아크릴레이트 면적을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조성물의 경화 정도를 분류하였다.
○ : 미경화된 모노머/올리고머가 남아 있지 않으며 손에 묻지 않음
△+ : 미경화된 모노머/올리고머가 10% 미만으로 남아 있으며 손에 묻음
△ : 미경화된 모노머/올리고머가 10% 이상 30% 미만 남아 있으며 손에 묻음
△- : 미경화된 모노머/올리고머가 30% 이상 남아 있으며 손에 묻음
[기계적 물성 측정]
상기 시편 제조예에 따라 제작된 시편을 ASTM D638(인장 시험) 규격에 따라 수행하여, S-S curve(응력 변형 곡선)을 얻을 수 있다[시험편: Type I, 시험 속도: 5 mm/min]. 상기 수득한 S-S curve로부터 강도, 탄성율, 연신율 및 에너지(인성)을 구할 수 있으며, 상기 곡선은 도 2에 나타낸다.
- 강도: 강도는 물질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말하며, 강도가 클수록 기계적 물성 높다.
- 탄성율: 탄성율은 탄성 구간에서 변형율에 대한 응력의 비(응력/변형율)를 말하며, 탄성율이 클수록 기계적 물성이 높다.
- 연신율: 연신율은 시편이 끊어지는 점에서의 인장 신율을 말하며, 시편이 끊어지는 지점이 항복점 이상에서 나타나야 쉽게 깨지지(brittle) 않는다.
- 에너지 (인성): 파괴가 일어나기까지의 에너지 흡수력을 말하며, 응력-변형률 곡선의 하부 면적에 해당한다.
강도 및 탄성율이 클수록 기계적 물성이 높다. 상기 실시예 3에서, 3D 시편은 강도 >60 MPa 및 탄성율 >2.0 GPa 을 가지며, 이 경우 최적화된 경화가 이루어져 시편은 최대 물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연신율은 시편이 끊어지는 지점이 항복점 이상에서 나타나는지 확인함으로써 재료의 특성(ductile, brittle)을 알기 위한 참고치이다. 상기 실시예 3에서, 항복점은 약 4 % 정도에서 나타나며, 신율이 4 % 이상이면 쉽게 깨지지(brittle) 않아 안정된 기계적 물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각 층 사이 미경화된 성분이 가소제 역할을 하면 신율이 10 % 이상 수준으로 높게 나올 수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표 1 및 2에서, 비교예 1 내지 7은 단독 광개시제를 사용하는 예이다. 특히, 비교예 1 내지 2에서와 같이, 장파장 흡수(λabs = 350 ~ 420)를 갖는 Darocure TPO의 적용시, 표면 경화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 내지 7에서와 같이, 단파장 흡수(λabs = 240 ~ 270)를 갖는 Irgacure 127 혹은 Irgacure 184의 적용시, 내부 경화 부족 현상이 나타날 있다. 비교예 3 및 4의 경우, 중간 파장 흡수(λabs = 270~350)를 갖는 Irgacure 369의 적용시, 전체적(표면 + 내부)인 경화 부족으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독 광개시제의 사용시, 내부 경화 부족 혹은 표면 경화 부족의 현상이 나타나, 적층이 불가능하거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8 및 9, 및 실시예 1은 중간파장 흡수 광개시제 및 단파장 흡수 광개시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경우, Irgacure 369 1 wt% 및 표면 경화에 유리한 Irgacure 127 1 wt%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표면 경화도가 향상되고 시편의 탄성율 및 강도가 증가하였다. 한편, 비교예 8은 Irgacure 369 1 wt% 및 Irgacure 127 0.1 wt%를 조합 사용하였으나, 미량이어서 경화도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9에서는 Irgacure 127 0.1 wt% 및 Irgacure 369 1 wt%를 조합 사용하였으나, 미량이어서 경화도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중간파장 흡수(λabs = 270 ~ 350) 개시제 0.2 내지 2 wt% 및 단파장 흡수(λabs = 240 ~ 270) 개시제 0.2 내지 2 wt%를 첨가할 경우 시편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0 및 11, 및 실시예 2는 장파장 흡수 광개시제 및 단파장 흡수 광개시제를 조합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2에서는 Darocure TPO 2 wt% 및 표면경화에 유리한 Irgacure 127 1 wt%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표면 경화도가 향상되고 시편의 탄성율 및 강도가 증가하였다. 한편, 비교예 10에서는 Darocure TPO 2 wt% 및 Irgacure 127 0.1 wt%를 조합 사용하였으나, 미량이어서 경화도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11에서는 Darocure TPO 1 wt% 및 Irgacure 127 1 wt%를 조합 사용하였으나, TPO에 의한 내부 경화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장파장 흡수(λabs = 350 내지 420) 개시제 2 wt% 이상 및 단파장 흡수(λabs = 240 내지 270) 개시제 0.2 내지 2 wt%를 첨가할 경우 시편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2 및 13, 및 실시예 3은 장파장 흡수 광개시제 및 중간파장 흡수 광개시제를 조합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3에서는 Irgacure 369 1 wt% 및 내부 경화에 유리한 Darocure TPO 2 wt%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내부 경화도가 향상되고 시편의 탄성율 및 강도가 증가하였다. 한편, 비교예 12에서는 Irgacure 369 0.1 wt% 및 Darocure TPO 2 wt%의 조합 사용시 Irgacure 369에 의한 경화도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13에서는 Irgacure 369 1 wt% 및 Darocure TPO 1 wt%의 조합 사용시 TPO에 의한 내부 경화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4는 장파장 흡수 광개시제, 중간파장 흡수 광개시제 및 단파장 흡수광개시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4에서는 Darocure TPO 2 wt%, Irgacure 369 1 wt% 및 Irgacure 127 1 wt%를 조합 사용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충분한 경화를 수득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경질 3D 프린팅 잉크로 적합한 것이 입증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하이드록시케톤계 광개시제; 및
포스핀 옥사이드계 광개시제 또는 아미노케톤계 광개시제 또는 이들 둘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량비율은 1:1 내지 10:1이고,
상기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유리전이온도(Tg)는 50 ℃ 이상이고,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사이의 탄소수는 9 이하이고,
상기 하이드록시케톤계 광개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케톤계 광개시제는 240 내지 270 nm의 파장 범위의 광을 흡수하는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케톤계 광개시제는 270 내지 350 nm의 파장 범위의 광을 흡수하는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핀 옥사이드계 광개시제는 350 내지 420 nm의 파장 범위의 광을 흡수하는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케톤계 광개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케톤계 광개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케톤계 광개시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인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핀 옥사이드계 광개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제1항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3D 잉크젯 프린팅하여 제조한 3D 적층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탄성율이 2 GPa 이상이고, 강도가 60 MPa 이상인 물성을 나타내는 것인, 3D 적층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9812A KR102499067B1 (ko) | 2018-10-08 | 2018-10-08 |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9812A KR102499067B1 (ko) | 2018-10-08 | 2018-10-08 |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4188A true KR20200044188A (ko) | 2020-04-29 |
KR102499067B1 KR102499067B1 (ko) | 2023-02-10 |
Family
ID=7046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9812A KR102499067B1 (ko) | 2018-10-08 | 2018-10-08 |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90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253965A (zh) * | 2023-02-14 | 2023-06-13 |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 一种环境适应性3d打印水凝胶墨水及其打印与应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95204A1 (de) * | 2021-05-28 | 2022-11-30 | Marabu GmbH & Co. KG | Strahlungshärtbare zusammensetzu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9384A (ja) | 2006-02-07 | 2007-08-23 | Gen Tec:Kk | 視線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同装置 |
KR100968198B1 (ko) * | 2009-04-10 | 2010-07-05 | (주)엘지하우시스 |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
JP2015533684A (ja) * | 2012-08-28 | 2015-11-26 | スリーデ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色安定性インクおよびその用途 |
JP6334000B2 (ja) * | 2014-12-16 | 2018-05-3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3d印刷用活性光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3次元造形方法、及び、3d印刷用活性光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セット |
-
2018
- 2018-10-08 KR KR1020180119812A patent/KR1024990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9384A (ja) | 2006-02-07 | 2007-08-23 | Gen Tec:Kk | 視線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同装置 |
KR100968198B1 (ko) * | 2009-04-10 | 2010-07-05 | (주)엘지하우시스 |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
JP2015533684A (ja) * | 2012-08-28 | 2015-11-26 | スリーデ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色安定性インクおよびその用途 |
JP6334000B2 (ja) * | 2014-12-16 | 2018-05-3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3d印刷用活性光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3次元造形方法、及び、3d印刷用活性光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セット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253965A (zh) * | 2023-02-14 | 2023-06-13 |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 一种环境适应性3d打印水凝胶墨水及其打印与应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9067B1 (ko) | 2023-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67405B1 (en) | Radiation curable ink compositions | |
EP3289029B1 (en) | Electrically-insulating energy curable ink or coating composition | |
JP2016117902A (ja) | ハイパーブランチポリエステルアクリレートをベースとした速硬性uv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 |
JP6900630B2 (ja)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組成物収容容器、2次元又は3次元の像の形成方法及び形成装置並びに成形加工品 | |
JP2010053239A (ja) | 光硬化型プライマー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プライマー層を備えた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5594506B2 (ja) | 光硬化型インク組成物、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 |
TWI685415B (zh) | 模型材用組成物 | |
CN110573582B (zh) | 光固化性油墨组合物及图像形成方法 | |
JP6669747B2 (ja) | 改良された耐日光性を有する紫外線硬化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 |
JP2014040017A (ja) | 樹脂フィルム、樹脂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1051340A (ja) | ハードコート形成用積層フィルム、ロール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形成用硬化性組成物 | |
KR102499067B1 (ko) | 고강도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
WO2018030027A1 (ja) | 光硬化型インキジェット印刷用クリアインキ組成物 | |
US11795334B2 (en) | Photo-curable ink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image | |
KR102602511B1 (ko) | 우수한 인성을 제공하는 3d 잉크젯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
US20100256254A1 (en) | Jettable ink composition | |
KR20060124431A (ko) | 우수한 내후성과 경화물성을 동시에 갖는 광경화 수지조성물 및 경화 방법 | |
KR20070115119A (ko) |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고내후성 광 경화형 하드코팅 수지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광 경화 방법 | |
KR20130018150A (ko) | 광변색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EP3815899B1 (en) | Polymer composition for stereolithography | |
CN117295797A (zh) | 用于构建材料和相关印刷3d制品的添加剂 | |
JP2005162882A (ja) | 紫外線硬化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 |
JP2019212399A (ja) | 有機el素子封止用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有機el発光装置の製造方法及び有機el発光装置 | |
JP2018199761A (ja) | 有機無機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15820015B (zh) | 一种空气中可uv固化组合物、oled光提取膜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