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884B1 -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 Google Patents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884B1
KR102454884B1 KR1020210062454A KR20210062454A KR102454884B1 KR 102454884 B1 KR102454884 B1 KR 102454884B1 KR 1020210062454 A KR1020210062454 A KR 1020210062454A KR 20210062454 A KR20210062454 A KR 20210062454A KR 102454884 B1 KR102454884 B1 KR 10245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pad
weight
parts
manufactur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Original Assignee
이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영 filed Critical 이미영
Priority to KR102021006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그립패드는 모바일기기의 파지용 그립패드의 표면에 미술치료 기법, 특히 플루이드 기법으로 제조된 배경부재를 부착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 수지로 상기 배경부재를 감싸도록 경화함으로써 심리 치료와 함께 그립패드 자체에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패드는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의 황변과 투명성, 내구성을 강화하여 시간 경과에도 크게 변조되지 않고 보존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manufacturing method of grip pad and grip pad using mobile device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태블릿, 스마트폰, 게임기 등의 모바일기기를 양손으로 붙잡지 않고 한 손에 의해 지지 되도록 하되, 내부에 유동성을 가지는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무늬를 포함하는 장식부재가 구비된 장식층이 형성됨으로써 심리 치료와 함께 그립패드 자체에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으로 진입할수록 건강에 관심이 더욱 높아지므로 건강 관리 서비스는 유망 산업분야 중 하나이다. 특히 건강과 행복을 의미하는 웰니스는 웰니스 투어리즘이나 웰니스 의료 관광 등 새로운 산업 분야의 핵심 가치로 관심받기 시작했다.
또한 직장인들에게도 웰니스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이 속속 도입되는 등 기업의 개인이나 조직성과 제고에도 웰니스 관리는 점점 중요 해지고 있다.
더욱이 건강 관리는 기존 치료 분야의 서비스에서 더 나아가 예방 의학 분야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물리적 치료 분야에서 더 나아가 심리적 치료분야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심리적 치료분야로는 전통적인 정신상담뿐 아니라, 음악치료, 미술치료, 조명 치료, 인지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미술치료는 심리적, 정신적 상태의 진단과 치료에 널리 사용되며, 주로 색을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작업자의 정신을 집중하게 함으로써 자기를 돌아보며, 내면의 질서를 세우고 조화롭게 하며, 고유한 자신을 찾아나가는 도구로 알려져 왔다. 미술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작업자의 내면이 표현된다는 사실만으로도 내면의 긴장이 완화되고 따라서 치유된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미술치료는 불안, 죄책감, 무기력, 변덕, 악몽, 무관심, 그리고 여러 종류의 사회적 기피증 치료 및 심리 치료에 유용하며,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환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을 억제 시키는 효과가 있다.
미술치료에 사용되는 기법에는 여러 다양한 표현이 있으며, 이중 플루이드 아트(fluid art)는 물감이나 염료가 유동적으로 흐르는 성질을 이용해 캔퍼스 등에 물감 등을 도포하고 이를 감상하는 기법이다. 플루이드 아트는 작업을 할 때마다 똑같은 작품이 나올 수 없으며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따라할 수 있고, 결과물에 대한 성취감이 높다. 또한 심리적인 안정과 이완의 효과가 높아 미술심리 교육으로 인기가 많다.
한편 태블릿, 스마트폰, 게임기 등의 모바일기기를 양손으로 붙잡지 않고 한 손에 의해 지지 되도록 상기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흡착판식 거치대를 부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그립패드(grip pad) 또는 그립톡(griptok)이라고 한다.
그립톡은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쉽게 파지하여 사용 중 모바일기기를 낙하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톡은 간단하게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상기와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특히 손으로 직접 잡는 부분(파지부)은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어 심미적인 감성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립톡은 제작이 간단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심리치료, 특히 미술치료에 쉽게 접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이 현재까지 소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7071호 (2020년 07월 2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기기의 파지용 그립패드의 표면에 미술치료 기법, 특히 플루이드 기법으로 제조된 배경부재를 부착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 수지로 상기 배경부재를 감싸도록 경화함으로써 심리 치료와 함께 그립패드 자체에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시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의 투과율이나 광 굴절률을 변화시켜 시간 경과에도 크게 변조되지 않고 보존성을 높인 모바일기기의 파지용 그립패드의 제조방법 제공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의 제공이다.
본 발명은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그립패드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착층 표면에 제단된 배경부재를 접착한 후,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제1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립패드 제조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c) 상기 제1장식층 표면에 악세서리, 유화, 압화, 스티커, 필름지, 비즈, 펄, 모래 및 조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장식부재를 도포한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제2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경부재는,
ⅰ) 유포지, 아트지, PVC 박막, PET 박막 및 홀로그램 박막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표면지에 잉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ⅱ) 상기 잉크가 건조되기 전에 희석제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ⅰ) 및 ⅱ) 단계의 진행을 1 사이클로 하여 1 내지 10 사이클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이때 상기 잉크 조성물은 안료 100 중량부 대비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에탄올의 중량비가 2:8 내지 8:2인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 1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잉크 조성물은 분산제, 소포제, 광안정제, 바인더, pH 조절제 및 건조 속도 조절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며,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벤젠,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디알리 말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보네이트), 디알릴 디클리콜레이트, 디메탈릴 말레이트, 알릴 벤조에이트 및 디알릴 아디페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나, 경화 촉진제, 용매,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논슬립제, 염료 및 안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그립패드는 모바일기기의 파지용 그립패드의 표면에 미술치료 기법, 특히 플루이드 기법으로 제조된 배경부재를 부착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 수지로 상기 배경부재를 감싸도록 경화함으로써 심리 치료와 함께 그립패드 자체에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패드는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의 황변과 투명성, 내구성을 강화하여 시간 경과에도 크게 변조되지 않고 보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그립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장식층이 형성되지 않은 그립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플루이드 기법으로 제조된 배경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적인 예들은 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고 한다)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적인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적인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인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립패드 제조방법은 모바일기기의 파지, 또는 거치 용도로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립패드에서 일부 면에 미술치료 기법, 특히 플루이드 기법으로 제조된 배경부재를 부착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 수지로 상기 배경부재를 감싸도록 경화함으로써, 심리 치료와 함께 그립패드 자체에 심미감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립패드 제조방법은,
a) 그립패드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착층 표면에 제단 된 배경부재를 접착한 후,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제1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c) 상기 제1장식층 표면에 악세서리, 유화, 압화, 스티커, 필름지, 비즈, 펄, 모래 및 조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장식부재를 도포한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제2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립패드(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이나 배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형태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상면부(110)와, 상기 상면부의 부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용자가 직접 잡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하면부(120)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바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10)는 원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모바일기기의 후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상면부와 모바일기기를 접합하기 위한 접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120)는 상기 상면부와 동일한 원판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상면부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 좋으며, 사용자의 손바닥과 직접 접하는 부분에 후술할 장식층이 형성될 수 있는 일종의 수용부(12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130)는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원통 형태의 구조를 갖되, 상기 하면부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외면에 요철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패드는 재질 또한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일정 이상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그립감이나 거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상면부에 형성되는 접착부와는 상이하며, 구체적으로 상술한 하면부에 장식층이나 배경부재를 접착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배경부재나 장식층의 재질에 따라 고정방법을 달리 정할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글루건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아교, 어교, 송진 등의 천연 접착제나 폴리우레탄계, 폴리스티렌계, 에폭시계 접착제 등의 합성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1분자 중에 복수개 갖는 지방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레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올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다가알코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올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내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 예를 들면, 알코올 및 카르본산을 배합하여 축중합반응을 행함에 의해 얻어진다. 즉,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알코올 성분과 카르본산 성분의 중축합반응체이다. 예를 들면, 다가알코올 및 디카르본산을 배합하여 축중합반응을 210℃에서 20시간 행함에 의해,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코올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 에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본산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지방족 디카르본산, 방향족 디카르본산 등의 디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본산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아디핀산, 호박산, 아디핀산, 스베린산, 세바신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방향족 디카르본산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무수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형태 및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후술할 배경부재와 동일한 형태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 후 두께가 1 내지 10㎛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접착층이 형성된 후에는 상기 접착층이 완전히 경화하기 전에 배경부재를 접착할 수 있다. 이때 배경부재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먼저 제단된 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경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술을 통한 심리치료의 일원으로, 이러한 배경부재의 제작을 통해 제작자는 불안감, 죄책감, 무기력, 변덕, 악몽, 무관심, 그리고 여러 종류의 사회적 기피증 치료 및 심리 치료에 유용하며, 어린이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환자의 주의력을 향상 시키고 충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배경부재의 제조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플루이드 기법(fluid art)은 붓을 사용하지 않고 물감이나 색소 등의 재료가 가지는 유동성을 이용하여 이러한 재료를 붓거나, 한 방울씩 떨어뜨리거나 쓸어내리는 등의 다양한 기법으로 흐름을 만들어 조형하는 방식이다. 알코올잉크나 아크릴물감, 착색한 레진 등 컬러풀한 재료가 다양한 재질의 바탕재에서 퍼져나가며 패턴을 이루는 다이내믹한 작업과정과 예측할 수 없는 형태에서 예술적 가치를 포착하는 즐거움으로 인해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별한 미술적인 표현기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으며 심리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플루이드 기법은 물감이나 잉크가 마르기 전에 다시 그 표면에 잉크 등을 덧대어 표현하는 것으로, 잉크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경부재는,
ⅰ) 유포지, 아트지, PVC 박막, PET 박막 및 홀로그램 박막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표면지에 잉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ⅱ) 상기 잉크가 건조되기 전에 희석제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ⅰ) 및 ⅱ) 단계의 진행을 1 사이클로 하여 1 내지 10 사이클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ⅰ) 단계는 표면지와 잉크를 준비하고, 상기 표면지에 잉크를 도포하여 잉크의 흐름을 유도하여 자연스러운 잉크의 번짐 등을 표현하는 단계로, 용매에 희석된 잉크를 표면지에 분무하거나 분무 후 기울여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면지는 표면에 잉크가 분무되어 플루이드 기법이 표현되는 일종의 기재로, 일반 종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액상의 잉크 특징 상 내습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필요에 따라 광택을 가져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면지로 예를 들면 유포지, 아트지, PVC(Poly Vinyl Chloride) 박막,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박막, 홀로그램(hologram) 박막 등이 있다.
상기 유포지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합성 재질로 만든 종이 형태의 박막이며, 아트지는 지면이 매우 평활하고 강한 광택이 있는 양지일 수 있다. 아트지는 상질지 등 쇄목펄프를 섞지 않은 것, 또는 중질지와 같이 쇄목펄프를 섞어서 뜬 종이를 원지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원지의 표면에 백토, 새틴 화이트, 황산 바륨 등 광물석 백색 안료와 카세인, 젤라틴, 아교 등의 접착제를 혼합한 것을 기계적으로 칠하여 건조 시킨 다음 슈퍼 캘린더에 걸어서 강한 광택을 낸 것일 수 있다. 또한 PVC 박막이나 PET 박막은 각각 PVC이나 PET가 종이 형태의 박막으로 형성된 것이며, 홀로그램 박막은 유포지, 아트지, PVC 박막, PET 박막 상에 빛의 각도에 따라서 문양의 색상이 변화되는 후가공 기법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표면지는 형태 및 두께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형태의 경우 수용되는 그립패드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상이하여도 무방하며, 두께 또한 후술할 수지 조성물의 경화 등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정도로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염료나 안료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상기와 같이 유동성을 가져 시전자의 표현 방법에 따라 무작위적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안료, 또는 염료에 용매와 첨가제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조성물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표면지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분자 수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염료나 안료는 조성물에 색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용매나 기타 첨가제와의 혼화성이 높아 분산이 잘 이루어지고 장식층 내부에 있어도 선명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본적으로는 염료보다는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높은 내화학성, 내광성,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플루이드 기법의 특성상 잉크 조성물이 마르기 전에 희석제나 다른 잉크 조성물을 덧대어 표현(wet-on-wet)할 때 선명한 색 표현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안료는 통상적으로 잉크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는 적색 안료, 백색 안료, 녹색 안료, 청색 안료, 황색 안료, 보라색 안료 및 흑색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적색안료, 백색 안료, 녹색 안료, 청색 안료, 황색 안료, 보라색 안료 및 흑색 안료로는 공지된 모든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잉크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혼용성을 유지시키면서도 잉크 조성물의 점성 및 건조 속도를 조절하며, 동시에 잉크 조성물의 부착력이나 발색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아세트산이나 아세트산프로필, 이소프로필알콜 및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이소프로필알콜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에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되는바, 이러한 용매는 환경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다량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 Volatile Organic Compoudsd)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 아세테이트가 적용된 잉크의 제조, 사용 및 폐기 과정에서 발생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또는 잉크가 적용된 제품으로부터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사람의 호흡기, 피부 등으로 스며들어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며, 동시에 안료 등과의 혼화성이 떨어지며 희석 시 불순물이 포함되어 배경부재의 선명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소프로필알콜의 경우 안료의 분산성을 높여 선명한 색 표현이 가능하나 상기와 같은 용매들과 마찬가지로 피부에 자극성이 높기 때문에 에탄올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에탄올의 중량비가 2 내지 8 : 2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 6 내지 8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잉크 조성물의 피막 성능을 부여하면서도 점도 및 표면지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테르모노알코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화합물,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화합물, 글리세린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은 곧은사슬 및 분기사슬 또는 2급의 1가 알코올의 폴리에테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곧은사슬 및 분기사슬 또는 2급의 1가 알코올의 폴리에테르는 곧은사슬 및 분기사슬 또는 2급의 1가 알코올에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알킬렌 옥사이드 등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내지 6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 저하로 인해 표면지와의 부착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의 지나친 증가로 인해 플루이드 기법 표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는 잉크 조성물의 선명성이나 색표현 정도, 내후성, 내광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이들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분산제, 소포제, 광안정제, 바인더, pH 조절제 및 건조 속도 조절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안료 100 중량부 대비 혼합 용매 1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고분자 수지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고분자 수지 10 내지 100 중량부 및 첨가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조성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발색력이 저하되거나 안료의 분산성이 떨어져 발색력과 표면지와의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ⅰ) 단계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잉크를 상기 표면지에 도포하여 잉크의 흐름을 유도하여 자연스러운 잉크의 번짐 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 잉크 조성물의 스포이드, 붓 등을 이용하여 용매에 희석된 잉크를 표면지에 액적 형태로 분무하거나 분무 후 조성물이 마르기 전에 기울여서 잉크 조성물이 흐르게 하는 식 등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ⅱ) 단계와 같이 상기 잉크가 건조되기 전에 희석제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희석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루이드 기법의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되지 않은 잉크 조성물이 마르기 전에 희석제를 도포함으로써 먼저 도포된 잉크 조성물이 희석제에 의해 희석됨으로써 희석제가 도포된 부분이 주변에 비해 자연스럽고 비규칙적으로 색이 연해지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희석제는 기본적으로 상기 잉크 조성물에 사용된 용매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소프로필 알콜이나 에탄올을 베이스로 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되 혼합 시 비율은 한정하지 않으나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에탄올의 중량비가 2:8 내지 8:2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ⅰ) 및 ⅱ) 단계의 진행을 1 사이클로 하여 이를 수회 반복하여 진행함으로써 배경부재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클의 반복 회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1 내지 10 사이클 반복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들, 특히 ⅱ) 및 ⅲ) 단계에서 잉크 조성물의 건조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전자가 원하는 정도로 잉크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는 잉크 조성물이 완전히 건조될 수 있도록 상온(20℃) 내지 50℃의 온도를 가하여 용매를 신속하게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표면부재나 후술할 장식부재를 보호하거나 상기 그립패드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주쇄 중 일부의 탄소가 인접 탄소와 이중 결합을 한 형태를 가지는 고분자로써, 내열성,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대표적인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의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투명한 열경화성 수지를 통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으며, 다가산과 다가알콜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서 상기 다가산 및/또는 다가알콜 화합물은 불포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가산으로는 폴리카르복실산,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카르복실산 할라이드, 폴리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로는 말레익산, 무수말레산, 푸마르산, 클로로말레익산, 에틸말레익산, 이타코닉산, 시트라코닉산, 제로닉산, 메사코닉산, 아코닉산, 아세틸렌 다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숙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가 알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등의 2가 알콜, 글리세린 등의 3가 알콜, 펜타에리쓰리톨 등의 4가 알콜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포화 다가 알콜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텐디올, 펜텐디올, 알릴 또는 비닐 글리세롤 에테르, 알릴 또는 비닐 펜타에리쓰리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 더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표면 연마 등의 후공정에서 평활성 및 샌딩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특히,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g/mol 미만인 경우 제조되는 장식층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200,000 g/mol 초과인 경우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크게 상승하여 성형 가공성이 크게 떨어지며, 경화반응을 제어하기 어렵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반응하여 열경화반응을 진행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예를 들면,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 벤조에이트, 비스(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디부틸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8 내지 1.2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경화 시 발생할 수 있는 경화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성 및 기계적 물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가 0.1 중량부 미만 첨가되는 경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경화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며, 부분 경화 또는 부분 겔화가 발생하여 기계적 물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2.0 중량부 초과 첨가하는 경우 경화반응이 급격히 진행되어 발열 및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화 촉진제는 상기 경화제를 보조하여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경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은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경화 촉진제는 주로 코발트, 구리, 백금, 바륨, 바나듐, 망간 등의 금속염으로, 예를 들어 나프텐산 코발트, 나프텐산 구리, 나프텐산 바륨 등의 나프텐산염; 옥텐산 코발트, 옥텐산 망간, 옥텐산 아연, 옥텐산 바나듐 등의 옥텐산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발트계 경화 촉진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반응이 급격히 진행되어 균일한 경화가 되지 않고 기계적 물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염료 또는 안료는 수지층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첨가되는 색소의 양에 따라 장식층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피보관체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더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물질들 이외에 황변을 억제하고 장식층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간 경과에도 장식층의 광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는 구체적으로 빛의 조사에 의해 굴절률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장식층의 투명도와 광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는 기본적으로 아크릴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 열경화성 중합체를 상기 아크릴 비닐 단량체의 중합체와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크릴 비닐 단량체의 예를 들면 비닐메타크릴레이트, 비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옥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헥실메타크릴레이트, 비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아크릴레이트 및 비닐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아크릴 비닐 단량체의 중합체는 중합 정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중량평균분자량을 기준으로 10,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중합되는 경우 장식층의 투명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크게 상승시켜 성형성을 해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중합체는 상기 아크릴 비닐 단량체의 기계적 물성이나 화학적 물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투명성을 가지고 있어 굴절률에 영향을 최대한 적게 주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열경화성 중합체로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스티렌 수지, 알릴 수지, 우레탄-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및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또한 하나 또는 복수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는 상술한 아크릴 비닐 단량체의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열경화성 중합체 5 내지 5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 조성물 중에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굴절률이 저하되거나 조성물의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경화 후 기계적인 물성, 특히 스크래치에 대한 저항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의 혼화성이 높으면서도 알릴기에 의한 고결정성으로 인해 고경도를 발현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에 비해 30% 이상의 높은 강성과 우수한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로 예를 들면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벤젠,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디알리 말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보네이트), 디알릴 디클리콜레이트, 디메탈릴 말레이트, 알릴 벤조에이트 및 디알릴 아디페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복수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상술한 내스크래치성 등이 발현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경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취성(Brittle)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장식품의 용도나 작업 정도 등에 따라 경화 상태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며, 경화 조건 또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는 -20 내지 25℃ 및 상대습도 30 내지 70%의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이 좋다. 이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화 속도를 조절하여 균일한 경화 반응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경화제 또는 경화 촉진제의 양을 조절하여 발열을 억제하기 어려울 경우에 경화 분위기 자체를 조절함으로써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장식층을 형성하기 위채 수지 조성물의 주입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배경부재가 수지 조성물에 완전히 잠길 정도까지만 수지 조성물을 그립패드 일면에 형성된 홈에 주입하고, 상기 홈에 후술할 제2장식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장식층 표면에 제2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장식층 표면에 악세서리, 유화, 압화, 스티커, 필름지, 비즈, 펄, 모래 및 조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장식부재를 도포한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제2장식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배경부재를 꾸며주거나 상기 장식부재와는 별개로 더 추가되어 심미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악세서리, 유화, 압화, 스티커, 필름지, 비즈, 펄, 모래 및 조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제2장식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으?? 경화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경화 조건 또한 상기 제1장식층과 유사하게 -20 내지 25℃ 및 상대습도 30 내지 70%의 환경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과 사용한 재료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제원)
시편 제조에 사용된 재료의 제원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물질명 특징
A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량평균분자량 50,000
B 경화제 벤조일 퍼옥사이드
C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아크릴 비닐 중합체 폴리비닐헥실메타크릴레이트
중량평균분자량 20,000
열경화성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중량평균분자량 10,000)
아크릴 비닐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25 중량부 첨가
D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선명도)
광투과율과 황색지수를 측정하여 선명도를 판단하였다. 구체적으로 광투과율의 경우 ASTM D-01003에 의거하여 시편의 전광선 투과율(light transmittance)를 측정하였으며, 황색지수(Y1)는 Color Quest Ⅱ 기계를 이용하여 시편의 YI 값(b값)을 측정하였다. 참고로, YI값이 높을수록 노란색에 가깝고, YI값이 0에 가까울수록 자연 색상에 가까운 것이다
(스크래치 저항성)
시편에 대한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쇼어경도와 내스래치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먼저 쇼어경도는 ASTM D-2240에 의거하여 쇼어(shore)경도측정기에서 측정하였으며, 평가 기준은 90A 이상은 ◎; 90A 이상, 95A 미만은 ○; 95A 이상, 100A 미만은 △; 100A 이상은 ×로 하였다.
또한 내스크래치성은 3Φ 사파이어 팁(tip)이 부착된 스크래치시험기(HEIDON사 제품)에서 각 시편을 장착하고 500g 하중을 가하였을 때 스크래치의 발생 개수를 측정하였으며, 평가 기준은 1개 미만은 ◎; 2 내지 5개는 ○; 5 내지 10개는 △; 10개 이상은 ×로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실시예 별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존의 그립패널 표면에 직경 5㎝, 높이(두께) 1㎝ 크기의 원형 장식층을 형성하였으며, 이때 장식층의 높이는 제1장식층과 제2장식층을 합한 크기이다. 상기 조성물을 그립패널 표면에 도포한 후에는 25℃, 40% 상대습도 환경에서 1시간 경화하여 시편 제조를 완성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첨가량
(A 100 중량부 기준)
A 100 100 100 100 100 100
B 1 1 1 1 1 1
C - 2.5 - 2.5 7 2.5
D - - 0.5 0.5 0.5 2
광투과율 91.0 93.5 91.1 93.6 93.6 93.5
황색도 2.4 0.6 2.3 0.6 0.6 0.6
쇼어경도 × ×
내스크래치성 × × ×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그립패드는 장식층의 성형성을 유지하면서도 투명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만을 첨가한 실시예 1에 비해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를 더 첨가한 실시예 2나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를 더 첨가한 실시예 3은 각각 투명성과 표면의 경도,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들을 모두 첨가한 실시예 4는 가장 우수한 물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다만 각각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나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의 첨가량이 기준치 이상인 실시예 5, 6은 투명성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형성의 하락으로 인해 기계적 물성이 크게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6은 취성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내스크래치성 시험 시 장식층이 쉽게 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그립패드
110 : 상면부
120 : 하면부
121 : 수용부
130 : 바디부

Claims (9)

  1. a) 그립패드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착층 표면에 제단 된 배경부재를 접착한 후,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제1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벤젠,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디알리 말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보네이트), 디알릴 디클리콜레이트, 디메탈릴 말레이트, 알릴 벤조에이트 및 디알릴 아디페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알릴 에스테르 단량체 0.1 내지 1 중량부; 및 아크릴 비닐 단량체의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열경화성 중합체 5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패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c) 상기 제1장식층 표면에 악세서리, 유화, 압화, 스티커, 필름지, 비즈, 펄, 모래 및 조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장식부재를 도포한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제2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패드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부재는,
    ⅰ) 유포지, 아트지, PVC 박막, PET 박막 및 홀로그램 박막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표면지에 잉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ⅱ) 상기 잉크가 건조되기 전에 희석제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ⅰ) 및 ⅱ) 단계의 진행을 1 사이클로 하여 1 내지 10 사이클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패드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안료 100 중량부 대비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에탄올의 중량비가 2:8 내지 8:2인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 1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패드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분산제, 소포제, 광안정제, 바인더, pH 조절제 및 건조 속도 조절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패드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경화 촉진제, 용매,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논슬립제, 염료 및 안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패드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5항 및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립패드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KR1020210062454A 2021-05-14 2021-05-14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KR10245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54A KR102454884B1 (ko) 2021-05-14 2021-05-14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54A KR102454884B1 (ko) 2021-05-14 2021-05-14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884B1 true KR102454884B1 (ko) 2022-10-13

Family

ID=8359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454A KR102454884B1 (ko) 2021-05-14 2021-05-14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852B1 (ko) * 2023-07-21 2024-06-14 박명희 백모를 이용한 동백꽃 그립톡의 제조방법
KR102676609B1 (ko) * 2023-07-21 2024-06-20 박명희 백모를 이용한 카네이션 그립톡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97Y1 (ko) * 2002-05-31 2002-08-30 동아연필 주식회사 소거성 잉크가 내장된 스프레이
KR100968198B1 (ko) * 2009-04-10 2010-07-05 (주)엘지하우시스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KR20170114177A (ko) * 2016-04-05 2017-10-13 정민호 투명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7071B1 (ko) 2019-04-09 2020-07-23 권기주 만다라 기법을 이용한 심리 테라피용 diy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만다라 미술작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97Y1 (ko) * 2002-05-31 2002-08-30 동아연필 주식회사 소거성 잉크가 내장된 스프레이
KR100968198B1 (ko) * 2009-04-10 2010-07-05 (주)엘지하우시스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KR20170114177A (ko) * 2016-04-05 2017-10-13 정민호 투명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7071B1 (ko) 2019-04-09 2020-07-23 권기주 만다라 기법을 이용한 심리 테라피용 diy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만다라 미술작품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852B1 (ko) * 2023-07-21 2024-06-14 박명희 백모를 이용한 동백꽃 그립톡의 제조방법
KR102676609B1 (ko) * 2023-07-21 2024-06-20 박명희 백모를 이용한 카네이션 그립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9400B2 (en) Image making medium
KR102454884B1 (ko) 그립패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모바일기기용 그립패드
CN102863829B (zh) 潮气、紫外光双重固化的聚氨酯木器涂料及其制备方法
WO2013099829A1 (ja) 加飾成形用積層フィルム、ポリウレタン樹脂および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KR20200018444A (ko) 광학 물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적층체
JP2011073373A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CN111133065B (zh) 哑光高尔夫球涂料组合物、哑光高尔夫球及制造方法
CN110325592A (zh) 水性树脂组合物、使用了其的层叠体、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JP6064495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型品
CN106519950A (zh) 风挡橡胶漆及其制备方法
JP5732984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5471719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成形品
JP5359753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CN103003370A (zh) 颜料分散体、相关涂料组合物和经涂覆的基材
JP2008155560A (ja) 化粧シート並びにそれを形成するためのポリカーボネート系ポリウレタン樹脂及びその樹脂を含む水性インキ
CN104371536B (zh) 一种硬化涂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petg复合膜及其制备方法
JP2006297225A (ja) 陶磁器調色調塗膜形成方法および陶磁器調色調塗装物
JP6020642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2001232285A (ja) 光輝性複層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12218276A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2001232284A (ja) 光輝性複層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KR20170132555A (ko) 크롬 코팅 표면에 적용되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30461B (zh) 装饰片材及使用其而成的装饰树脂成形品
KR100796350B1 (ko) 코팅조성물, 상기 코팅조성물로 코팅하는 방법 및 상기코팅조성물로 코팅된 제품
JP5736923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