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648A -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648A
KR20210032648A KR1020190113929A KR20190113929A KR20210032648A KR 20210032648 A KR20210032648 A KR 20210032648A KR 1020190113929 A KR1020190113929 A KR 1020190113929A KR 20190113929 A KR20190113929 A KR 20190113929A KR 20210032648 A KR20210032648 A KR 20210032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tablet
solom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분자
Original Assignee
(주) 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호 filed Critical (주) 일호
Priority to KR102019011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648A/ko
Publication of KR2021003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둥굴레차의 풍부한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도 휴대 간편성과 1회 사용량을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a) 둥굴레를 세척 후 건조시키는 제1공정; b) 상기 제1공정을 거친 둥굴레를 분쇄하여 둥굴레 분말을 수득하는 제2공정; c) 상기 제2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에 90 - 100℃의 증기를 가하여 2 - 3시간 숙성시키는 제3공정; d) 상기 제3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인 둥굴레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4공정; e) 상기 제4공정을 거친 둥굴레 추출액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5 - 10중량부 및 부원료 10 -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제5공정; f) 상기 제5공정을 거친 혼합물을 1회 사용 가능한 형상과 크기로 성형하여 정제 형태의 둥굴레차를 형성하는 제6공정; 및 e) 상기 제6공정을 거친 정제 형태의 둥굴레차에 수용성 폴리머를 코팅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Tablet solomon seal tea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둥굴레차의 풍부한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도 휴대 간편성과 1회 사용량을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둥굴레는 백합과의 다년초로서, 전국 각지의 들이나 산에서 자생한다. 그 뿌리를 가을에서 봄 사이에 채취하여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한 후, 음지에서 말리거나 수증기로 찐 후 햇볕에 말려 기호차로서 음용하여 왔으며, 한방에서는 과혈당에 대한 억제작용, 혈압강하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생약제로 이용되고 있다.
주성분으로는 알카로이드, 나무진, 스테로이드 물질, 당분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유의 구수한 맛과 향으로 인해 기호성 차로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둥굴레차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996438호에 '향미가 개선된 둥굴레차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1) 당귀 및 황기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둥굴레 및 현미와 혼합하고 100 - 150℃의 온도로 1 - 2㎏/㎠의 압력에서 스티밍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결과물을 진공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둥굴레와 한약재를 동시에 섭취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술로 제조된 둥굴레차는, 분말로서 음용수에 풀어 마시는 것이 일반적인 섭취방법인데, 분말 형태의 둥굴레차는 가령 온도가 낮은 음용수에 풀 때 엉기어 음용이 쉽지 않고, 또 풍부한 맛을 내기에는 부족하였다. 게다가 1회 섭취 분량의 양을 정량하기가 쉽지 않아 자칫 음용수에 분말을 과다하게 첨가하거나 또는 부족하게 첨가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96438호(향미가 개선된 둥굴레차의 제조방법, 2010.11.18.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014555호(둥굴레를 첨가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2011.02.08.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0513758호(기호성이 우수한 둥굴레차의 제조방법, 2005.09.01.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간편성과 1회 사용량을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고온 수는 물론 저온 수에서도 용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허브 추출액을 첨가하여 심신 안정, 졸음 방지 등의 기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하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포성 물질을 첨가하여 차가운 정제수에 용해시켜 음용시 시원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a) 둥굴레를 세척 후 건조시키는 제1공정;
b) 상기 제1공정을 거친 둥굴레를 분쇄하여 둥굴레 분말을 수득하는 제2공정;
c) 상기 제2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에 90 - 100℃의 증기를 가하여 2 - 3시간 숙성시키는 제3공정;
d) 상기 제3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인 둥굴레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4공정;
e) 상기 제4공정을 거친 둥굴레 추출액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5 - 10중량부 및 부원료 10 -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제5공정;
f) 상기 제5공정을 거친 혼합물을 1회 사용 가능한 형상과 크기로 성형하여 정제 형태의 둥굴레차를 형성하는 제6공정; 및
g) 상기 제6공정을 거친 정제 형태의 둥굴레차에 수용성 폴리머를 코팅하는 제7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ridone), 카보폴(carbopol),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및 프로필렌글리콜 알기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상기 제5공정의 부원료는, 허브 추출액 90 - 95중량%, 구연산 5 - 10중량%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허브 추출액은 달맞이꽃 추출액, 캐모마일꽃 추출액, 두송열매 추출액, 라벤더꽃 추출액, 오렌지껍질 추출액, 티트리잎 추출액 및 마조람꽃 추출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상기 제5공정의 혼합물은, 혼합물 100중량부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탄산수소암모늄(NH4HCO3), 탄산수소칼륨(KHCO3) 및 탄산철(FeCO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제 0.5 - 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정제형 둥굴레차는,
첫째, 둥굴레차의 풍부한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도 휴대 간편성과 1회 사용량을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둘째, 고온 수는 물론 저온 수에도 용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셋째, 각종 허브 추출액을 첨가하여 심신 안정, 졸음 방지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넷째, 발포성 물질을 첨가하여 차가운 정제수에 용해시켜 음용시 시원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에서는 둥굴레차의 유효성분을 그대로 간직하면서 정제수의 온도에 관계없이 고온 수나 저온 수에서도 쉽게 용해되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은,
a) 둥굴레를 세척 후 건조시키는 제1공정;
b) 상기 제1공정을 거친 둥굴레를 분쇄하여 둥굴레 분말을 수득하는 제2공정;
c) 상기 제2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에 90 - 100℃의 증기를 가하여 2 - 3시간 숙성시키는 제3공정;
d) 상기 제3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인 둥굴레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4공정;
e) 상기 제4공정을 거친 둥굴레 추출액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5 - 10중량부 및 부원료 10 -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제5공정;
f) 상기 제5공정을 거친 혼합물을 1회 사용 가능한 형상과 크기로 성형하여 정제 형태의 둥굴레차를 형성하는 제6공정; 및
g) 상기 제6공정을 거친 정제 형태의 둥굴레차에 수용성 폴리머를 코팅하는 제7공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공정별로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제1공정
여름, 가을철에 수확한 둥굴레는 봄철에 수확한 둥굴레에 비해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다. 이는 밤 보다는 낮 시간이 긴 여름과 가을철에 일광량이 증가하여 카테킨(catechin)과 같은 유효성분의 함량도 그 만큼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주요 원재료인 둥굴레는 여름, 가을철에 수확한 것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공정에 의하면, 수확하여 얻은 둥굴레는 비가식 부위이면서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줄기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세척을 통해 이물 등을 제거한다. 그리고 세척 후 잔류된 물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음지에서 건조시킨다. 음지에서 건조시키는 이유는, 직사광선에 의한 유효성분의 소실 내지는 파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b) 제2공정
제1공정에서 세척과 건조를 통해 전처리된 둥굴레는, 수용성 기질로 치환됨과 동시에 다른 원료와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가공 후 사용된다.
이때, 분쇄된 분말의 입경은 1㎜ 미만이 바람직하다. 가령 분쇄된 둥굴레 분말의 입경이 1㎜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음 공정에서 추출액을 추출시 분말 간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추출효율이 낮아짐은 물론 둥굴레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용출작용이 미미하여 최종 제조된 정제형 둥굴레차의 기능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c) 제3공정
제2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은 90 내지 100℃의 온도로 2 내지 3시간 증기를 가하여 숙성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둥굴레 분말을 숙성시키는 것은 이화학적 품질(관능적 품질)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즉, 둥굴레 분말을 부원료 등과 혼합하기 전, 이른바 예비숙성 과정을 거침으로써 둥굴레가 가진 고유의 맛과 풍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극성용매의 일종인 물에 대한 용해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3공정에서 둥굴레 분말을 증기를 가하여 숙성시킬 때, 상기한 온도범위 또는 시간범위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제형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상기한 온도범위 또는 시간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숙성과정에서 갈라짐이 발생해 쉽게 부서질 수 있다.
d) 제4공정
제3공정을 통해 숙성이 완료된 둥굴레 분말은 그 둥굴레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인 둥굴레 추출액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제4공정에서 둥굴레 분말로부터의 추출은 추출효율이 가장 우수한 열수추출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추출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감압추출법이나 용매추출법, 또는 초임계추출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추출물에 대해 감압농축을 더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감압농축의 실시는 체적에 비하여 유효성분의 함유량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일환이다.
한편, 둥굴레 분말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은 여과기를 통과시켜 액상과 고상을 분리시킨다. 고상은 대부분 영양분이 함유되지 않은 불필요한 찌꺼기이므로 액상의 여액만을 수득한다.
e) 제5공정
본 발명의 제5공정에서는 제4공정을 통한 둥굴레 추출액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5 내지 10중량부 및 부원료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숙성시킨다.
상기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백색의 가벼운 분말로서,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물을 고형화시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제로서의 역할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한편, 상기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이 둥굴레 추출액 100중량부에 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결합력이 부족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결합력이 과다해져 정제수에 용해시 분말 입자의 분산이 어렵고 쉽게 침전될 수 있다.
상기 부원료는 허브 추출액 90 내지 95중량%와 구연산 5 내지 10중량%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허브 추출액으로는 달맞이꽃 추출액, 캐모마일꽃 추출액, 두송열매 추출액, 라벤더꽃 추출액, 오렌지껍질 추출액, 티트리잎 추출액, 마조람꽃 추출액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기호도나 기능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허브 추출액이 부원료 전체중량에 대해 9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허브 추출액이 지닌 기능성이 발휘되지 않으며, 9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성형이 어려울뿐더러 고온의 정제수에 용해시킬 때 수용성의 정제형 둥굴레차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각 허브 추출액에 대한 기능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아 래 -
1) 달맞이꽃 추출액은 달맞이꽃의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식물성 추출액으로, 여성의 월경 전 증후군, 월경통, 갱년기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2) 캐모마일꽃 추출액은 심신을 안정시키며 불면증에 효과적이다. 또한, 두통, 편두통, 신경통, 치통 완화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두송열매 추출액은 신진대사의 활동을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하거나 졸음을 쫓는데 효과적이다.
4) 라벤더꽃 추출액은 스트레스 완화나 숙면에 효과적이며, 가벼운 통증 완화에도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5) 오렌지껍질 추출액은 긴장을 완화시켜주고 우울증 개선과 스트레스 해소에도 효과가 있다.
6) 티트리잎 추출액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감기 예방에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백혈구를 활성화시키며 항균, 항진균에도 효과가 있다.
7) 마조람꽃 추출액은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시력 보호, 야맹증 개선, 감기 예방, 피로 해소에 효과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적 특성을 갖는 허브 추출액은 사용자의 기호도나 기능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원료 중, 구연산은 산미료의 일종으로 둥굴레차의 맛과 향이 더욱 풍부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연산은 부원료 전체중량에 대해 5 내지 10중량%로 첨가되고, 가령 5중량% 미만으로 첨가되게 되면 산미의 특성이 미미하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게 되면 강한 산미로 인해 둥굴레차의 맛과 향이 오히려 저하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감미가 필요한 제품을 구성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혼합물에 자일리톨(xylitol), 이소말트(isomalt), 말티톨(maltitol), 솔비톨(sorb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만니톨(mannitol), 락티톨(lactitol) 및 마나톨(mana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알코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서, 본 발명의 정제형 둥굴레차를 차가운 정제수에 용해시켜 음용시 시원한 청량감에 더해 거품이 생성될 수 있도록, 혼합물 100중량부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탄산수소암모늄(NH4HCO3), 탄산수소칼륨(KHCO3) 및 탄산철(FeCO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제 0.5 - 5.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원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은, 성형공정에서 성형 용이성을 위해 숙성과정을 수행한다. 이를테면 상기 숙성과정을 거침으로써, 굳어진 고체상의 둥굴레차를 원하는 형상과 크기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f) 제6공정
본 발명의 제6공정에서는 휴대 편의성과 1회 사용량을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수용성의 정제형 둥굴레차를 소정 형상과 크기로 성형한다. 예컨대 1회 사용 가능한 크기로,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하트, 별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g) 제7공정
본 발명의 제7공정에서는 정제수에서 더욱더 용해가 잘 이루어지도록, 정제형 둥굴레차에 수용성 폴리머를 코팅한다.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첨가되는 성분에 대해 안정성을 부여하고,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액체나 고체를 액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용성 폴리머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ridone), 카보폴(carbopol),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및 프로필렌글리콜 알기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1. 둥굴레를 채취하여 줄기와 잔뿌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취하여 세척하였고, 잔존하는 물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그늘진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2. 건조된 둥굴레를 분쇄기에 넣어 고른 미세 입자로 분쇄하였다.
3. 미세 입자로 분쇄된 둥굴레 분말을 온도가 100℃인 증기를 가하여 150분간 숙성시켰다.
4. 숙성이 완료된 둥굴레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법을 적용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으며, 상기 추출물은 다시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여과하여 찌꺼기인 고상을 제외한 액상만을 수득하였다.
5. 둥굴레 분말에서 추출한 추출액 1㎏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80g, 달맞이꽃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허브 추출액 92중량%와 구연산 8중량%로 구성된 부원료 200g을 첨가 후 혼합하였고, 20시간 숙성시켰다.
6. 숙성이 완료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혼합물을 지름이 10㎜ 정도인 알약 형태로 성형하여 정제형의 둥굴레차를 제조하였다.
7. 정제형 둥굴레차의 표면에 수용성 폴리머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코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제형 둥굴레차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1. 둥굴레를 채취하여 줄기와 잔뿌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취하여 세척하였고, 잔존하는 물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그늘진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2. 건조된 둥굴레를 분쇄기에 넣어 고른 미세 입자로 분쇄하였다.
3. 미세 입자로 분쇄된 둥굴레 분말을 온도가 100℃인 증기를 가하여 150분간 숙성시켰다.
4. 숙성이 완료된 둥굴레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법을 적용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으며, 상기 추출물은 다시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여과하여 찌꺼기인 고상을 제외한 액상만을 수득하였다.
5. 둥굴레 분말에서 추출한 추출액 1㎏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80g, 달맞이꽃 추출액과 캐모마일꽃 추출액이 동일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허브 추출액 92중량%와 구연산 8중량%로 구성된 부원료 200g을 첨가 후 혼합하였고, 20시간 숙성시켰다.
6. 숙성이 완료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혼합물을 지름이 10㎜ 정도인 알약 형태로 성형하여 정제형의 둥굴레차를 제조하였다.
7. 정제형 둥굴레차 표면에 수용성 폴리머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코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제형 둥굴레차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3]
1. 둥굴레를 채취하여 줄기와 잔뿌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취하여 세척하였고, 잔존하는 물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그늘진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2. 건조된 둥굴레를 분쇄기에 넣어 고른 미세 입자로 분쇄하였다.
3. 미세 입자로 분쇄된 둥굴레 분말을 온도가 100℃인 증기를 가하여 150분간 숙성시켰다.
4. 숙성이 완료된 둥굴레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법을 적용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으며, 상기 추출물은 다시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여과하여 찌꺼기인 고상을 제외한 액상만을 수득하였다.
5. 둥굴레 분말에서 추출한 추출액 1㎏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80g, 달맞이꽃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허브 추출액 92중량%와 구연산 8중량%로 구성된 부원료 200g을 첨가 후 혼합하였고, 여기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 5g을 더 첨가한 후 20시간 숙성시켰다.
6. 숙성이 완료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혼합물을 지름이 10㎜ 정도인 알약 형태로 성형하여 정제형의 둥굴레차를 제조하였다.
7. 정제형 둥굴레차 표면에 수용성 폴리머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코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제형 둥굴레차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4]
1. 둥굴레를 채취하여 줄기와 잔뿌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취하여 세척하였고, 잔존하는 물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그늘진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2. 건조된 둥굴레를 분쇄기에 넣어 고른 미세 입자로 분쇄하였다.
3. 미세 입자로 분쇄된 둥굴레 분말을 온도가 100℃인 증기를 가하여 150분간 숙성시켰다.
4. 숙성이 완료된 둥굴레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법을 적용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으며, 상기 추출물은 다시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여과하여 찌꺼기인 고상을 제외한 액상만을 수득하였다.
5. 둥굴레 분말에서 추출한 추출액 1㎏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80g, 달맞이꽃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허브 추출액 92중량%와 구연산 8중량%로 구성된 부원료 200g을 첨가 후 혼합하였고, 20시간 숙성시켰다.
6. 숙성이 완료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혼합물을 지름이 10㎜ 정도인 알약 형태로 성형하여 정제형 둥굴레차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5]
1. 둥굴레를 채취하여 줄기와 잔뿌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취하여 세척하였고, 잔존하는 물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그늘진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2. 건조된 둥굴레를 분쇄기에 넣어 고른 미세 입자로 분쇄하였다.
3. 미세 입자로 분쇄된 둥굴레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법을 적용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으며, 상기 추출물은 다시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여과하여 찌꺼기인 고상을 제외한 액상만을 수득하였다.
4. 둥굴레 분말에서 추출한 추출액 1㎏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80g, 달맞이꽃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허브 추출액 92중량%와 구연산 8중량%로 구성된 부원료 200g을 첨가 후 혼합하였고, 20시간 숙성시켰다.
5. 숙성이 완료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혼합물을 지름이 10㎜ 정도인 알약 형태로 성형하여 정제형의 둥굴레차를 제조하였다.
6. 정제형 둥굴레차 표면에 수용성 폴리머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코팅하여 정제형 둥굴레차를 완성하였다.
[실험예]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각각의 둥굴레차에 대해 용해가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해완료시간의 측정은 정제형 둥굴레차를 정제수에 투입 후 침전물 없이 물에 완전히 용해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100℃와 5℃(정제수 온도), 이 2가지 온도조건하에서 총 5회를 반복하며 진행하였다.
결과 값은 5회에 걸쳐 측정한 값을 평균 값으로 나누어 산출하였고, 하기 표 1에 그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sample 온도
(℃)
용해완료시간
(sec)
실시예 1 80 118
5 135
실시예 2 80 132
5 150
실시예 3 80 138
5 151
실시예 4 80 223
5 침전물 잔존
실시예 5 80 190
5 207
실험결과,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은 용해완료시간이 80℃에서는 각각 118sec, 132sec, 138sec로 측정되었으며, 5℃에서는 각각 135sec, 150sec, 151sec로 측정되어, 실시예 4 및 5에서 측정한 결과 값에 비하면 짧은 시간에 용해가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 1에 나타난 실험결과에서 주목할 점은 수용성 폴리머를 코팅한 실시예 1 내지 3, 5는 5℃에서 모두 용해되었으나, 수용성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4는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침전물이 남아 있어, 수용성 폴리머가 용해 작용에 유의한 기능을 발휘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허브 추출액을 부가한 실시예 2, 발포제를 부가한 실시예 3에서도 실시예 4 및 5에 비하여 짧은 시간에 용해되어, 허브 추출액과 발포제를 부가하더라도 용해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Claims (5)

  1. a) 둥굴레를 세척 후 건조시키는 제1공정;
    b) 상기 제1공정을 거친 둥굴레를 분쇄하여 둥굴레 분말을 수득하는 제2공정;
    c) 상기 제2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에 90 - 100℃의 증기를 가하여 2 - 3시간 숙성시키는 제3공정;
    d) 상기 제3공정을 거친 둥굴레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인 둥굴레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4공정;
    e) 상기 제4공정을 거친 둥굴레 추출액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5 - 10중량부 및 부원료 10 -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제5공정;
    f) 상기 제5공정을 거친 혼합물을 1회 사용 가능한 형상과 크기로 성형하여 정제 형태의 둥굴레차를 형성하는 제6공정; 및
    g) 상기 제6공정을 거친 정제 형태의 둥굴레차에 수용성 폴리머를 코팅하는 제7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구검(guar gum),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ridone), 카보폴(carbopol),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및 프로필렌글리콜 알기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공정의 부원료는,
    허브 추출액 90 - 95중량%, 구연산 5 - 10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추출액은,
    달맞이꽃 추출액, 캐모마일꽃 추출액, 두송열매 추출액, 라벤더꽃 추출액, 오렌지껍질 추출액, 티트리잎 추출액 및 마조람꽃 추출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공정의 혼합물은,
    혼합물 100중량부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탄산수소암모늄(NH4HCO3), 탄산수소칼륨(KHCO3) 및 탄산철(FeCO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제 0.5 - 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KR1020190113929A 2019-09-17 2019-09-17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KR20210032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929A KR20210032648A (ko) 2019-09-17 2019-09-17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929A KR20210032648A (ko) 2019-09-17 2019-09-17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648A true KR20210032648A (ko) 2021-03-25

Family

ID=7522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929A KR20210032648A (ko) 2019-09-17 2019-09-17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64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758B1 (ko) 1998-08-24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기호성이우수한둥굴레차의제조방법
KR100996438B1 (ko) 2010-06-07 2010-11-24 주식회사 태경식품 향미가 개선된 둥굴레차의 제조방법
KR101014555B1 (ko) 2008-05-29 2011-02-16 동우당제약(주) 둥굴레를 첨가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758B1 (ko) 1998-08-24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기호성이우수한둥굴레차의제조방법
KR101014555B1 (ko) 2008-05-29 2011-02-16 동우당제약(주) 둥굴레를 첨가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KR100996438B1 (ko) 2010-06-07 2010-11-24 주식회사 태경식품 향미가 개선된 둥굴레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3052B (zh) 一种养生补肾黄秋葵酒及其制备方法
CN107303303B (zh) 制备东革阿里有效成分及组合应用
CN111714425A (zh) 用于改善头皮及头发状态的洗发剂组合物
CN105125689B (zh) 一种含有妇科千金片药渣的足浴粉及其制备方法
KR20150037109A (ko)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CN104621659A (zh) 玫瑰花超微粉饮料的制备方法
KR101281059B1 (ko) 삼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3493943A (zh) 一种中药炭炒蓝莓茶及其制备方法
CN107136256A (zh) 速溶菊花绿茶及其制备方法
CN106962530A (zh) 一种黄栀子叶黑茶及其加工方法
KR102490852B1 (ko) 숙지황 제조방법
KR20210032648A (ko) 정제형 둥굴레차 제조방법
Shaw et al. Functional drinks containing herbal extracts
CN104705456A (zh) 一种植物复合凉茶及其制备方法
CN108029805A (zh) 一种杀菌降火复配丁香绿茶茶饼的制备方法
CN108813001A (zh) 一种防治高血压的功能茶
CN104256026A (zh) 一种降血压咖啡
CN103704409A (zh) 一种凉茶及其制备方法
CN103719502B (zh) 一种梁王茶制备茶叶的方法
KR102404179B1 (ko) 대추차 제조방법
KR102644972B1 (ko) 고형차의 제조 방법
KR10249407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감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81443A (zh) 一种颗粒固体饮料及制备方法
CN103815089A (zh) 一种不老草保健茶的制备方法
CN108065154A (zh) 一种营养保健五味子饮品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