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972B1 - 고형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형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972B1
KR102644972B1 KR1020210064185A KR20210064185A KR102644972B1 KR 102644972 B1 KR102644972 B1 KR 102644972B1 KR 1020210064185 A KR1020210064185 A KR 1020210064185A KR 20210064185 A KR20210064185 A KR 20210064185A KR 102644972 B1 KR102644972 B1 KR 10264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weight
red ginseng
parts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702A (ko
Inventor
김신애
권오택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9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86Xanth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08Cellulose
    • A23V2250/51086Hydroxyalkyl 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08Cellulose
    • A23V2250/51088Other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 홍삼 분말, 꿀, 및 잎차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로 환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환의 표면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형차는, 잎차의 부드럽고 고소한 맛과 향에 의해 홍삼 특유의 쓴맛과 향이 경감되므로 기호도가 향상되고, 1회 섭취시 한 알을 물에 우려내면 홍삼 농축액의 성분과 잎차의 우림물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으므로 건강기능성이 향상되며, 보관 및 섭취 편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형차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Solid Tea}
본 발명은 고형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방차는 한방 생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차로서 인삼차, 구기자차, 오가피차, 결명자차 등의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고,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한방차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한방차는 생약재가 지닌 약리작용 및 그에 대한 기대감으로 음용되기는 하나, 기호성 면에서 커피나 녹차 등에 비해 대중적이지 못하고, 인삼차와 같은 경우 인삼 특유의 쓴맛과 향으로 인해 기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으로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초본식물로서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었다. 인삼의 사포닌은 항암 작용, 항산화 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 예방, 간기능 개선, 항피로, 항스트레스 작용, 노화 방지, 두뇌 활동 촉진, 항염 활성,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 및 단백질 합성 능력의 촉진 등의 생리 활성이 있으며, 고려 홍삼은 항산화, 혈압 강하, 알코올성 고지혈증 개선, 혈당 강하 작용 등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일반적으로 가공 방법에 따라 백삼과 홍삼으로 구분되며, 백삼은 밭에서 채굴한 가공되지 아니한 인삼 즉, 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것을 지칭하며 홍삼은 수삼을 증숙하여 건조 가공한 것으로 제조과정에서 사포닌 변형과 아미노산 변화 등 여러 화학적인 변화가 수반된다. 홍삼은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Rh2 등의 사포닌 성분이 생성되며, 홍삼 특유의 유효 성분은 암 예방 작용, 암세포 성장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뇌신경세포 보호 및 학습 능력 개선 작용, 항혈전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우수하여 탁월한 약리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홍삼 특유의 쓴맛이 경감되어 기호도가 향상되고 섭취가 용이한 홍삼차에 대해 연구를 계속하던 중에, 홍삼 농축액, 홍삼 분말, 꿀 및 잎차를 함께 혼합한 후 모양을 빚어 환형의 고형차를 제조하면, 홍삼 특유의 쓴맛과 향이 부드러워져 기호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티백 차(특허문헌 1)와 달리, 개별 포장이 필요없이 다회용 용기에 보관이 가능해 포장재의 사용을 대폭 줄이면서도 보관 및 섭취 편의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8160호 (2014년 2월 12일)
본 발명은 기호도 및 건강기능성이 향상된 고형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홍삼 농축액, 홍삼 분말, 꿀, 및 잎차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로 환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환의 표면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형차는, 잎차의 부드럽고 고소한 맛과 향에 의해 홍삼 특유의 쓴맛과 향이 경감되므로 기호도가 향상되고, 1회 섭취시 한 알을 물에 우려내면 홍삼 농축액의 성분과 잎차의 우림물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으므로 건강기능성이 향상되며, 보관 및 섭취 편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고형차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홍삼 농축액, 홍삼 분말, 꿀, 및 잎차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로 환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환의 표면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 과정에서 갈변 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인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홍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도 포함한다.
상기 홍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물, 유기용매,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C4의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홍삼 추출물 제조시, 추출은 5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또는 9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1회 내지 8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6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4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홍삼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감압농축은 통상의 방식에 의한다. 감압농축은 홍삼 농축액의 농도가 8~20 brix, 또는 8~15 brix, 또는 9~13 brix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농축액의 농도가 8 brix 미만이면 농축액의 보관 또는 운반 공정에서 변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brix를 초과하면 농축 공정에서 온도 조절이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삼 분말은 홍삼을 분쇄하거나, 홍삼 추출물이나 농축물을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거쳐 분말화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평균입경이 50~550㎛, 또는 70~450㎛, 또는 80~350㎛, 또는 100~250㎛인 것일 수 있다. 평균입경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분말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가공 처리 공정에서 유실되는 양이 많아질 수 있고,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섭취시 입 안에서 이물감이 느껴지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분말과 함께 혼합되는 잎차는 홍삼 특유의 쓴 맛과 향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맛 또는 향을 지닌 잎차이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잎차는 뽕잎차, 감잎차, 솔잎차, 이슬차, 녹차, 홍차, 호지차, 보이차, 루이보스, 우롱차, 히비스커스차, 국화차, 마테차, 및 페퍼민트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꿀은 통상의 시판되는 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채꿀, 아카시아꿀, 밤꿀, 잡화꿀, 또는 싸리꿀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홍삼 농축액, 홍삼 분말, 꿀, 및 잎차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홍삼 농축액을 10~30중량부, 또는 15~25중량부, 또는 17~23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홍삼 분말을 10~40중량부, 또는 15~35중량부, 또는 20~3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꿀을 10~30중량부, 또는 12~25중량부, 또는 13~22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잎차를 10~40중량부, 또는 15~35중량부, 또는 20~3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이 조화롭게 되어 홍삼 특유의 쓴 맛과 향이 부드러워지면서도 홍삼 및 잎차 우림물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분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탄수화물, 결합제, 활택제, 및 방향제(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는 상기 혼합물에 3~30중량부, 또는 5~25중량부 또는 10~20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수화물은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자일리톨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락토 올리고당, 덱스트린, 또는 포도당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락토올리고당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전분 페이스트, 설탕 시럽, 젤라틴, 씨엠씨 나트륨(CMC-Na), 셀룰로오스 유도체류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아라비아검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베하네이트, 경화된 식물성 기름(hydrogenated vegetable oil),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차를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홍삼 농축액 및 꿀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제1 혼합물에 분말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홍삼 분말 및 잎차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수분을 첨가하지 않고 건조 상태에서 혼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통상의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버티컬 믹서, 스파이럴 믹서 등의 혼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한 후 모양을 빚어 환을 만든다. 환을 만들 때 제환기, 반죽기와 같은 통상의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형차는 중량이 1~8g, 또는 2~7g, 또는 2~6g, 또는 2~4g일 수 있고, 평균 입경이 1~3cm, 또는 1.5~2.5cm일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고형차를 통해 섭취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분이 양호하고,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고형차는 종래의 기호식품으로서 대중적으로 이용되어 온 티백 차 또는 캡슐 커피와 같이 달리, 개별 포장이 필요 없고, 다회용 케이스에 보관하고 1회 섭취시 한 알을 물에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재 등의 사용을 크게 줄여 친환경적이며, 보관 및 섭취 편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형차 제조시, 홍삼 성분 및 잎차가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즉 방습을 위해 상기 환의 표면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코팅제는 옥수수단백 추출물, 키틴, 갈락토올리고당, 백당, 히드록시 메틸 셀룰로오스(HPMC), 대두단백, 잔탄검, 및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20분 내지 50분, 또는 30분 내지 4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고형차의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제의 함량이 고형차 총 중량 대비 0.01~7중량부, 또는 0.05~5중량부, 또는 0.1~3중량부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코팅제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코팅제가 흡습을 방지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홍삼 및 잎차 성분의 변질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온수에 담갔을 때에는 고형차가 잘 풀어져 편하게 음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형차는, 고형차 총 중량 대비, 홍삼 농축액을 10~30중량부, 또는 15~25중량부, 또는 17~23중량부 포함하고; 홍삼 분말을 10~40중량부, 또는 15~35중량부, 또는 20~30중량부 포함하고; 꿀을 10~30중량부, 또는 12~25중량부, 또는 13~22중량부 포함하고; 잎차를 10~40중량부, 또는 15~35중량부, 또는 20~30중량부 포함하고; 첨가제를 3~30중량부, 또는 5~25중량부 또는 10~20중량부 포함하고; 및/또는 코팅제를 0.01~7중량부, 또는 0.05~5중량부, 또는 0.1~3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이 조화롭게 되어 홍삼 특유의 쓴 맛과 향이 부드러워지고 홍삼 및 잎차 우림물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분이 증대되며, 방습 코팅에 의해 고형차의 맛과 향이 잘 유지되며, 온수에서 고형차가 잘 풀어져 편하게 음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형차는 홍삼 성분 및 잎차를 혼합하여 환 모양으로 만든 후 방습 코팅제를 코팅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흡습 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개별 포장할 필요없이 다회용 용기에 보관이 가능하므로 포장재의 사용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고형차 한 알을 물에 우려내면 홍삼 농축액은 물에 모두 용해되고 홍삼 분말은 물에 분산되며, 잎차에서 우림물이 나와 홍삼 특유의 쓴 맛과 향을 부드럽게 보완해주어 기호도 및 건강기능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형차에 포함되는 잎차는 물에 용해되는 성분은 아니므로 차 우리는 도구를 적절히 함께 사용하면 더욱 편하게 음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험예,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고형차의 제조
1-1. 홍삼 농축액의 제조
한국인삼공사의 6년근 홍삼에 물을 가하고 80~95℃에서 12시간씩 4~6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15℃ 이하로 냉각시키고, 원심분리한 뒤 감압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30~40%인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1-2. 홍삼 분말의 제조
한국 인삼공사의 6년근 홍삼을 100~130℃에서 습열 처리 후 50~70℃에서 열풍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쇄하여, 평균 입경이 100~250㎛인 홍삼 분말을 수득하였다.
1-3. 고형차의 제조
제조예 1-1의 홍삼 농축액 20g, 꿀(㈜허니스티, 프리미엄 아카시아꿀) 14.5g, 분말 프락토올리고당(CJ 제일제당) 20g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2의 홍삼 분말 20g, 홍차(티젠) 25g을 드라이 믹싱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반죽기를 이용하여 섞어서 반죽하였다. 반죽물을 한 알 당 대략 2g씩 제환기를 이용하여 구슬 형태로 빚어서 건조 오븐에서 6℃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환과 옥수수단백 추출물 분말(FLO CHEMICAL CORPORATION, 상품명: Zein)을 용기에 넣고 5~10rpm으로 회전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코팅을 대략 40분 동안 수행했을 때, 한 알당 옥수수단백 추출물 분말의 함량이 대략 0.5g이 되었다.
실험예 1 - 고형차의 붕해도 및 강도
상기 제조예 1의 고형차에 대해 붕해도 및 강도를 평가하였고, 하기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붕해 시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 제4. 건강기능식품 시험법, 2. 일반시험법, 2-1 붕해시험법에 따라 평균 붕해시간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물을 시험액으로 하고 붕해도 측정 시험기에 보조판을 넣어 상하운동을 시킨 다음 관찰하였으며, 시료의 잔류물이 유리관 내에 없거나 있더라도 해면상의 물질이든가 또는 연질의 물질 또는 니상의 물질이 약간 있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강도는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8. 일반시험법, 1.5.1. 젤리의 물성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물성측정기(Texture Analyzer, TAXT PLUS 장비)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조건 하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판 위에 고형차를 올리고, 프로브가 샘플을 관통하면서 일정한 힘으로 압착하였을 때의 깨짐성을 측정하였다.
설명
시험 모드 압착(compression)
시험-전 속도 1.0mm/sec
시험 속도 1.0mm/sec
시험-후 속도 10.0mm/sec
표적 모드 디스턴스(Distance)
트리거력 10.0g
샘플 제조예 1
붕해시험
(분)
25분
강도(force, g) 10086.765
상기 결과로부터, 제조예 1의 고형차는 붕해시간이 25분 내지 35분 정도로 붕해되는 속도가 양호하므로, 음용시에 홍삼 성분 등이 체내 섭취 효율이 우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강도는 10000 이상으로 양호한 편으로 일정한 충격에도 고형차의 형태가 잘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2 - 고형차의 보존성 및 관능성
본 발명의 코팅제(옥수수단백 추출물 분말)의 함량에 따른 흡습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코팅 시간을 0분, 10분, 20분, 30분으로 각각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고형차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샘플을 40℃, 75% 습도의 가혹조건에서 1일 동안 보관한 후 수분함량을 적외선 수분측정기로 측정함으로써 흡습 정도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샘플 흡습처리 전 (대조군) 코팅 시간(분)
0분 10분 20분 30분 40분
(제조예 1)
홍삼잎차 총 중량 대비
코팅제 함량(wt%)
0 0 0.125 0.25 0.375 0.5
수분 양
(%)
6.16 9.24 9.06 8.68 8.45 7.85
상기 표 3에서, 코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고형차의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제 함량이 증가되고, 코팅을 40분 수행한 제조예 1의 경우 고형차 한 알당 대략 0.5g의 코팅제가 코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코팅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혹조건에서 1일 보관 후의 고형차 내 수분 양은 감소되므로, 고형차의 보존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제(옥수수단백 추출물 분말)의 함량에 따른 표면 코팅된 고형차의 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온수(90℃)에서 180rpm 교반하면서 고형의 고형차의 환 형태가 사라지고 완전히 풀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샘플 코팅 시간(분)
0분 10분 20분 30분 40분
(제조예 1)
붕해시간 3분 30초 3분 4분 4분 30초 4분 40초
상기 표 4에서, 코팅을 30분 내지 40분(홍삼잎차 총 중량 대비 코팅제 함량은 대략 0.4~0.5중량%) 수행한 경우 온수에서 고형차가 풀어지는 시간이 대략 4분 내지 5분으로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고형차는 보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온수에서 풀어지는 시간이 적당하여 잎차로서 관능성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홍삼 농축액, 홍삼 분말, 꿀, 및 잎차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로 환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환의 표면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차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홍삼 분말은 평균 입경이 50~550㎛인 것인, 고형차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옥수수단백 추출물, 키틴, 갈락토올리고당, 백당, 히드록시 메틸 셀룰로오스(HPMC), 대두단백, 잔탄검, 및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형차는:
    홍삼 농축액 10~30중량부;
    홍삼 분말 10~40중량부;
    꿀 10~30중량부;
    잎차 10~40중량부; 및
    코팅제 0.01~7중량부;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형차는 평균 입경이 1~3cm인 것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프락토 올리고당, 덱스트린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분말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형차는:
    홍삼 농축액 15~25중량부;
    홍삼 분말 15~35중량부;
    꿀 12~25중량부;
    잎차 15~35중량부;
    분말당 5~25중량부; 및
    코팅제 0.05~5중량부;를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잎차는 뽕잎차, 감잎차, 솔잎차, 이슬차, 녹차, 홍차, 호지차, 보이차, 루이보스, 우롱차, 히비스커스차, 국화차, 마테차, 및 페퍼민트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형차.
KR1020210064185A 2021-05-18 2021-05-18 고형차의 제조 방법 KR10264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85A KR102644972B1 (ko) 2021-05-18 2021-05-18 고형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85A KR102644972B1 (ko) 2021-05-18 2021-05-18 고형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702A KR20220156702A (ko) 2022-11-28
KR102644972B1 true KR102644972B1 (ko) 2024-03-11

Family

ID=8423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185A KR102644972B1 (ko) 2021-05-18 2021-05-18 고형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9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382B1 (ko) * 1999-08-09 2001-03-15 전원찬 가압 전이에 의한 무가당 홍삼 침출차의 제조방법
KR101311743B1 (ko) * 2006-07-31 2013-09-26 (주)아모레퍼시픽 타블릿형의 녹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464731B1 (ko) * 2012-06-08 2014-11-28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기호도 및 기능성이 향상된 홍삼환
KR20140018160A (ko) 2012-08-03 2014-02-12 김재경 생약제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차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702A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272B1 (ko) 인삼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KR101862834B1 (ko) 인삼 열매를 이용한 기능성 및 기호성이 개선된 팽화 인삼의 제조 방법
KR102644972B1 (ko) 고형차의 제조 방법
CN107927263A (zh) 一种三叶青罗汉果茶的制备方法
KR102490852B1 (ko) 숙지황 제조방법
CN105343141A (zh) 一种菱角壳提取物的咀嚼片的制备方法
CN105147747A (zh) 一种菱角壳提取物的颗粒剂的制备方法
KR102604237B1 (ko)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강화용 조성물
KR10100346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능을 갖는 청국장 환(丸)의 제조방법
KR102255977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환제의 제조방법
KR102006335B1 (ko) 목질진흙버섯과 노루궁뎅이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이 강화된 과립차의 제조방법
KR102446852B1 (ko) 초미세 인삼분말 함유 정제의 제조 방법
KR102515460B1 (ko) 아르기닌 및 인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방법
CN104645335B (zh) 一种含异麦芽酮糖醇和甘露醇中药丸剂及制备方法
KR101526876B1 (ko) 오가피 잎 추출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잎 추출물
KR20230080173A (ko) 식감 및 관능성이 개선된 홍삼 환의 제조 방법
KR20140063042A (ko) 소화흡수력이 높은 팽화홍삼을 이용한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8165B1 (ko) 맛과 향이 증가된 오가피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잎 추출물
KR102477274B1 (ko) 천연소재 기능성분의 열손실 저감화 기술
KR20230115788A (ko) 인삼 함유 유동식 분말의 제조 방법
KR102290553B1 (ko) 커큐민 홍삼 발포정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045972A (ko) 특정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홍삼 환제의 제조 방법
KR101889168B1 (ko) 쓴맛 차폐용 조성물
KR20230110971A (ko) 기능성 대추 추출액, 및 이를 활용한 가공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