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066A -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066A
KR20210024066A KR1020217002196A KR20217002196A KR20210024066A KR 20210024066 A KR20210024066 A KR 20210024066A KR 1020217002196 A KR1020217002196 A KR 1020217002196A KR 20217002196 A KR20217002196 A KR 20217002196A KR 20210024066 A KR20210024066 A KR 2021002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ouling coating
coating film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962B1 (ko
Inventor
쇼타로 하라다
준나이 이카다이
Original Assignee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7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05Repairing damage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4Preventing hull fouling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수중에 폭로되어 방오제 성분이 용출된 취약한 층을 포함하는 구 방오도막 상에 직접 도장하더라도, 도막에 요구되는 미관성을 유지하고, 장기 방오성능이 우수한 방오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 구 방오도막의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가지며, 고형분산가가 0.1∼10 ㎎KOH/g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와,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를 함유하는 방오도료 조성물로서, 그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의 함유량이,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00 질량부 이하이다.

Description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보수방법
본 발명은 방오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 폭로되는 기재 표면의 방오에 유효한 방오도료 조성물, 그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 그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구 방오도막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환경하에서 장기간 수중(해양, 하천, 늪과 호수 등)에 폭로되는 기재(선박, 어망, 그 밖의 수중 구조물 등)의 표면에는 다종다양한 수서생물(굴, 홍합, 따개비 등의 동물류, 김, 갈파래 등의 식물류, 및 박테리아 등)의 부착이 일어나기 쉽다. 수서생물이 기재 표면에 부착되면 외관이 손상되거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거나 한다. 예를 들면 기재가 선박인 경우, 수류에 의한 저항이 증대되는 것으로부터, 선박속도의 저하 및 연비의 확대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기재가 수중 구조물인 경우, 기재 표면에 도포된 방식용 도막이 손상되어, 강도 및 기능의 저하, 수명의 현저한 단축화라고 하는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기재가 양식망, 정치망 등의 어망인 경우, 수서생물에 의해 그물코가 폐색되어, 양식생물 및 어획생물의 산소결핍 치사 등의 중대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공장 및 화력, 원자력 발전소 등의 해수의 급배수관에 수서생물이 부착 및 번식하면, 급배수관의 폐색과 유속의 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는 수서생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그 기재의 표면에 방오도료를 도포하여 방오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방오도료 중에서, 우수한 방오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등의 이점으로부터 가수분해형 방오도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중 하나로서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방오도료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특허문헌 1에는 트리부틸실릴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및 그 밖의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중합체는 적당한 속도로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유기 주석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방오성이 우수한 방오코팅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트리이소프로필실릴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유기 실릴에스테르기 함유의 중합성 단량체, 메타크릴산 2-메톡시에틸, 및 아크릴산의 유기 실릴기 함유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중합체는 크랙, 박리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도막 소모성, 재도장성 및 의장기간(outfitting time) 대응 해양생물 부착 방지성능이 양호한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그 밖의 중합성 모노머로서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중합체는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여, 저장 후에도 도장한 도막이 가요성 및 장기 방오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메타)아크릴산 트리이소프로필실릴, 메타크릴산메틸, 및 그 밖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메타)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등의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방오도료 조성물은 해수 중에 있어서, 초기부터 안정한 용해성과 양호한 방오효과를 발휘하여, 내수성이 우수하고, 장기간에 걸쳐 방오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그 밖의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체와, 트리메틸이소부테닐시클로헥센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방오도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오도료 조성물은 장기 방오성, 장기 내수성 및 장기간 일광에 폭로되었을 때의 내크랙성이 우수한 방오도막을 제공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1-14680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0-3007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22644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1-2635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6-216651호 공보
수서생물 부착 방지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오도료는, 그 방오도료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 중에 함유되는 방오제 성분이 서서히 수중에 용출됨으로써 방오성능을 발현한다. 방오제 성분이 용출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방오도막은 미세한 공동이 있는 취약한 층(취약층)이 표면에 형성된 도막(구 방오도막)이 된다. 또한, 그 구 방오도막에 있어서의 방오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오도료를 재차 도료하여 방오제 성분을 포함하는 방오도막을 다시 형성할(보수 도장) 필요가 있다.
이 보수 도장 시에 사용되는 방오도료는 비용 및 시공 면의 문제로부터, 구 방오도막을 제거하거나, 하지(base)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도료를 도포하거나 하지 않고, 구 방오도막 상에 직접 새로운 방오도료를 도장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방오도료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방오도료가 저장 안정성, 장기 방오성, 장기 내수성 등이 우수한 방오도막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취약층을 표면에 갖는 구 방오도막 상에 상기 방오도료를 직접 도장하면, 상기 방오도료 중의 바인더 성분이 구 방오도막 중으로 이행(바인더 성분이 취약층에 흡수)되어, 방오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얻어지는 도막의 광택이 낮아 미관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장기간 수중에 폭로되어 방오제 성분이 용출된 취약한 층을 포함하는 구 방오도막 상에 직접 도장하더라도, 도막에 요구되는 미관성을 유지하고, 장기 방오성능이 우수한 방오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오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 구 방오도막의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진행한 바, 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스테르 구조를 갖고, 또한 특정 범위의 고형분산가를 갖는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방오도료 조성물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의 [1] 내지 [19]에 관한 것이다.
[1]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함유하는 방오도료 조성물로서,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가 0.1∼10 ㎎KOH/g이고,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방오도료 조성물.
[2]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이, 추가로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를 함유하고, 그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의 함유량이,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00 질량부 이하인, [1] 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3]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한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35∼75 질량부인, [1] 또는 [2] 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4]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가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5]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한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15∼35 질량부인, [4] 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6] 상기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가 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4] 또는 [5] 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7]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2,000 이상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8] 추가로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 유기 방오제(D), 기타 바인더 성분(E), 착색안료(F), 체질안료(G), 안료 분산제(H), 가소제(I), 새깅 방지제(J), 침강 방지제(K), 탈수제(L), 및 용제(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9] 방오도료 조성물이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를 함유하고, 또한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상기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인, [8] 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10] 방오도료 조성물이 탈수제(L)을 함유하고, 상기 탈수제(L)이 알콕시실란류인, [8] 또는 [9] 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11]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2,000 이상 25,000 이하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12] 구 방오도막을 보수하기 위한 구 방오도막 보수용 방오도료 조성물인,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
[13]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
[14] 구 방오도막 또는 에폭시 도막(X)와, 방오도료 조성물(y)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Y)가 적층된 적층 방오도막으로,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y)가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함유하고,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가 0.1∼10 ㎎KOH/g이며,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적층 방오도막.
[15]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에 설치된 [13] 에 기재된 방오도막 또는 [14] 에 기재된 적층 방오도막을 갖는, 방오도막 부착 기재.
[16] 상기 기재가 표면에 구 방오도막을 갖고, 그 구 방오도막 상에 상기 방오도막을 갖는, [15] 에 기재된 방오도막 부착 기재.
[17] 아래 (1-1) 및 (1-2), 또는 아래 (2-1) 및 (2-2)를 갖는, 방오도막 부착 기재의 제조방법.
(1-1) 기재의 표면에,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을 도포 또는 함침시켜,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얻는 공정
(1-2) 그 공정(1-1)에 의해 얻어진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2-1)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을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2-2) 그 공정(2-1)에서 얻어진 방오도막을 기재에 첩부하는 공정
[18] 상기 공정(1-1)이 표면에 구 방오도막을 갖는 기재에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을 도포 또는 함침시켜,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얻는 공정이고,
상기 공정(2-2)가 상기 공정(2-1)에서 얻어진 방오도막을, 표면에 구 방오도막을 갖는 기재에 첩부하는 공정인, [17] 에 기재된 방오도막 부착 기재의 제조방법.
[19] 구 방오도막 상에 [13] 에 기재된 방오도막을 형성함으로써 구 방오도막을 보수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수중에 폭로되어 방오제 성분이 용출된 취약한 층을 포함하는 구 방오도막 상에 직접 도장하더라도, 도막에 요구되는 미관성을 유지하고, 장기 방오성능이 우수한 방오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오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 구 방오도막의 보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보수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일」, 및 「(메타)아크릴산」은, 각각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 또는 메타크릴로일」,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수서생물 부착 방지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오도료는, 그 방오도막 중에 함유되는 방오제 성분이 수중에 용출됨으로써 방오성능을 발현한다. 기재 표면에 설치된 방오도막은 장기간 수중에 폭로되어 방오제 성분이 용출되면, 남겨진 방오도막은 미세한 공동이 있는 취약한 층(취약층)을 갖는 도막(구 방오도막)이 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구 방오도막 상에 직접 도장하더라도, 도료에 요구되는 미관성을 유지하고, 장기 방오성능이 우수한 방오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상세한 작용 메커니즘은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나, 일부는 아래와 같이 추정된다. 즉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가 특정 범위의 산가를 가짐으로써, 그 공중합체(A)가 구 방오도막 중으로 이행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을 구 방오도막 상에 직접 도장하더라도, 방오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얻어지는 방오도막의 광택이 높아 미관성이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방오도료 조성물]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하, 간단히 「도료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가지며, 또한 고형분산가가 0.1∼10 ㎎KOH/g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함유한다.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이하, 간단히 「공중합체(A)」라고도 한다.)는,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며, 또한 그의 고형분산가가 0.1∼10 ㎎KOH/g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X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란, 화합물 X가 중합반응 등에 의해 공중합체 중에 포함된 상태에 있어서, 공중합체 중에 화합물 X에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는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이하, 간단히 「(a1)」이라고도 한다.)에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다.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한 (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장기에 걸쳐 내수성 및 방오성이 양호한 방오도막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5∼7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45∼70 질량부이다. 특히 상기 (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45∼70 질량부이면, 얻어지는 방오도막의 내수성이 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 양호하다.
또한, 공중합체(A)는 그 말단에 중합개시제에 유래하는 부분을 갖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 (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중 (a1)의 첨가비(질량비)로 근사할 수 있고, 다른 구성단위의 함유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a1)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는 (a1)과 공중합하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로서, (a1)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것으로,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는 방오도막의 방오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2)(이하, 간단히 「(a2)」라고도 한다.)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2)란, 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 (a2)는 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중 한쪽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양쪽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한 (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안정한 소모성 및 방오성을 갖는 방오도막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3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 질량부이다. 특히 상기 (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20∼30 질량부이면, 얻어지는 방오도막이 적당한 친수성을 갖기 때문에, 방오성과 내크랙성의 양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점에서 (a2)로서는 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한 (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 및 (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총 함유량(합계 함유량)은 방오도막의 방오성과 물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99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8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75∼95 질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5∼90 질량부이다.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에 유래하는 구성단위)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는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이하, 간단히 「(a3)」라고도 한다.)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a3)는, 상기 (a1) 및 (a2)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의미하고,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 및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2)를 제외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후술하는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류는 제외하는 것으로 한다. (a3)는 1종으로도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a31),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a32), (메타)아크릴산 실릴에스테르류(a33), 비닐 화합물류(a34), 및 스티렌류(a35)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아래에 든다.
불포화 카르복실산류(a31);(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숙신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프탈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헥사히드로프탈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a32);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
(메타)아크릴산 실릴에스테르류(a33);트리메틸실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실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실릴아크릴레이트 등
비닐 화합물류(a34);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비닐설폰산, 비닐포스폰산 등
스티렌류(a35);스티렌, 스티렌설폰산 암모늄 등
이들 중에서, 불포화 카르복실산류(a3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 화합물류(a34) 등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설폰산 등이 보다 바람직하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및 비닐설폰산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한 (a3)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방오도막의 물성을 조정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4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 질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 질량부이다.
((a1), (a2) 및 (a3) 이외의 그 밖의 성분에 유래하는 구성단위)
공중합체(A)는 (a1), (a2) 및 (a3) 이외의 그 밖의 성분에 유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a1), (a2) 및 (a3) 이외의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자쇄의 말단에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고 있어 공중합체(A)의 구조 중에 포함되는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류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류로서는, 예를 들면 마크로모노머류, 실리콘류, 폴리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를 아래에 든다.
마크로모노머류;AA-6(상품명, 도아고세이(주) 제조, 말단 메타크릴로일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AS-6(상품명, 도아고세이(주) 제조, 말단 메타크릴로일기 폴리스티렌) 등
실리콘류;사일라플레인 FM-0711(상품명, JNC(주) 제조, 한쪽 말단 메타크릴옥시기 폴리디메틸 실리콘), KF-2012(상품명, 신에츠 화학공업(주) 제조, 한쪽 말단 메타크릴옥시기 폴리디메틸 실리콘) 등
폴리머류;불포화기를 갖는 알키드 수지 등
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류의 수 평균 분자량은 통상 500∼30,000, 바람직하게는 1,000∼20,000이다. 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류는 1종으로도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
공중합체(A)는 0.1∼10 ㎎KOH/g의 고형분산가를 갖는다. 「산가」란, 시료 1 g 중에 존재하는 유리산(free acid)을 중화하는 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 수로, 단위로서 「㎎KOH/g」으로 표시된다. 이 고형분산가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가 0.1 ㎎KOH/g 이상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가 10 ㎎KOH/g보다 크면,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방오도료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도장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점도 조정을 위해 용제가 대량으로 필요해져 환경 규제에 대한 대응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는 바람직하게는 1∼10 ㎎KOH/g,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KOH/g이다.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가 1 ㎎KOH/g 이상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중합체(A)에 산가를 부여하는 산기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카르복시기, 설폰산기 및 인산기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카르복시기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A)에 산가를 부여하는 산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하는 방법, 산기를 갖는 중합개시제 등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중합체(A)의 산가는, 예를 들면 공중합체(A)의 구조에 포함되는 산기를 갖는 성분의 종류나 양을 변경함으로써 목적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목적하는 산가를 갖는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관점에서, 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비닐설폰산 및 비닐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비닐설폰산이 바람직하며, (메타)아크릴산, 비닐설폰산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1종으로도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산기를 갖는 단량체의 함유량은 산가를 목적하는 값으로 조정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5 질량부이다.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6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 이하이다. Mw가 40,000 이하인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도막은 가수분해성이 양호하고, 도막의 자기 마모성(self-polishing)(도막 소모성)도 좋으며, 방오성이 한층 향상되어, 우수한 장기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방오도막의 강도, 장기 내구성 등이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0 이상이다.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도료 조성물의 저점도화, 도장 작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000 이상, 2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0 이상, 20,000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GPC에 의해 얻어지는 값은 폴리스티렌을 표준물질로서 작성된 검량선을 사용해서 구한 값(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공중합체(A)의 제조방법)
공중합체(A)는 (a1)과 (a1)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해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중합방법으로서는, 용액중합, 괴상중합, 현탁중합, 유화중합, 리빙중합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공중합체(A)의 생산성 및 제조 작업성을 고려하면,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사용한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방법에 있어서는 용제, 라디칼 중합개시제, 연쇄 이동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해도 된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크실렌, 메시틸렌 등), 에스테르계 용제(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등), 케톤계 용제(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밀케톤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에 대해서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공중합체(A)의 제조에 있어서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상기 (a1), (a2) 및 (a3)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150 질량부이다.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길초산 등의 아조계 화합물;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t-부틸퍼옥시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과황산암모늄, 과황산소다 등의 과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개시제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라디칼 중합개시제는 중합반응에 있어서의 반응개시 시에만 반응계 내에 첨가해도 되고, 또한 반응개시 시와 반응 도중의 양쪽에서 반응계 내에 첨가해도 된다.
공중합체(A)의 제조에 있어서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상기 (a1), (a2) 및 (a3)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20 질량부이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계 화합물(α-메틸스티렌 다이머 등)이나 유기황계 화합물(티오글리콜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2-에틸헥실, 티오페놀 등)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공중합체(A)의 제조에 있어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상기 (a1), (a2) 및 (a3)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부이다.
장기에 걸쳐 내수성 및 각종 물성(도막의 내크랙성, 방오성)이 양호한 방오도료 조성물을 얻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에 있어서의 공중합체(A)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의 함유량을 규정할 때의 기준이 되는 질량은, 성분이 희석용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휘발성 성분을 제외한 건조 도막을 구성할 수 있는 성분, 즉 「고형분」의 질량이다. 고형분이란, 용제 등의 휘발 성분이 포함된 성분 내지 조성물을, 105℃의 열풍건조기 중에서 3시간 건조하여 용제 등의 휘발 성분을 휘산시켰을 때의 잔분을 말한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추가로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 유기 방오제(D), 기타 바인더 성분(E), 착색안료(F), 체질안료(G), 안료 분산제(H), 가소제(I), 새깅 방지제(J), 침강 방지제(K), 탈수제(L), 및 용제(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아래에 이들 (B)∼(M)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방오도막의 방오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를 함유해도 된다.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는, 그것이 함유되는 방오도막의 수중에서의 표면으로부터의 갱신성을 촉진하고, 또한, 그 방오도막이 방오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방오제의 수중으로의 방출을 촉진함으로써 방오도막의 방오성을 높이는 것으로, 또한 방오도막에 적당한 내수성을 부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특히 정치 방오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원자수 10∼4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에 카르복시기가 하나 치환된 화합물, 또는 탄소원자수 3∼4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환식 탄화수소에 카르복시기가 하나 치환된 화합물,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의 변성물에 카르복시기가 하나 치환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데히드로아비에트산, 팔루스트르산, 이소피마르산, 피마르산, 트리메틸이소부테닐시클로헥센카르복실산, 버사트산, 스테아르산, 나프텐산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비에트산, 팔루스트르산, 이소피마르산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로진류도 바람직하다. 로진류로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오일 로진 등의 로진, 수소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로진 금속염 등의 로진 유도체, 파인타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리메틸이소부테닐시클로헥센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2,6-디메틸옥타-2,4,6-트리엔과 메타크릴산의 반응 생성물을 들 수 있고, 이는 1,2,3-트리메틸-5-(2-메틸프로프-1-엔-1-일)시클로헥사-3-엔-1-카르복실산, 및 1,4,5-트리메틸-2-(2-메틸프로프-1-엔-1-일)시클로헥사-3-엔-1-카르복실산을 주성분(85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 질량%이다. 또한, 형성되는 도막의 방오성과 물성이 양호한 관점에서,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15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0 질량부이다.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의 함유량이 과잉이면 내크랙성의 저하로 이어지고, 적으면 도막 광택(미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의 방오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단, 구리 피리티온을 제외함)를 함유해도 된다. 구리 화합물로서는, 유기계 또는 무기계 중 어느 구리 화합물이어도 되고,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로서는, 예를 들면 분말상의 구리(구리 분말), 아산화구리, 티오시안산 구리(로단구리), 큐프로니켈 등을 들 수 있다.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 중에서는, 형성되는 방오도막의 방오성, 특히 수서생물 중 동물류에 대한 방오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산화구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산화구리로서는, 평균 입자경이 1∼30 ㎛ 정도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형성되는 방오도막의 방오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10 ㎛의 것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산화구리로서는, 글리세린, 스테아르산, 라우르산, 수크로오스, 레시틴, 광물유 등에 의해 표면처리되어 있는 것이, 방오성과 저장 시의 장기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산화구리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엔씨·텍(주) 제조 「NC-301」(평균 입자경:2∼4 ㎛), 엔씨·텍(주) 제조 「NC-803」(평균 입자경:6∼10 ㎛), Nordox Industrier AS 제조 「NORDOX」, AMERICAN CHEMET Co. 제조 「Red Copp97N Premium」, AMERICAN CHEMET Co. 제조 「Purple Copp」, AMERICAN CHEMET Co. 제조 「LoLoTint97」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방오도막의 방오성능 및 내수성의 관점에서,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20∼8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65 질량%이다.
<유기 방오제(D)>
본 발명에 있어서 방오도막에 방오성을 부여할 목적에서,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상기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를 제외한 유기 방오제(D)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유기 방오제(D)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피리티온, 아연 피리티온, 4,5-디클로로-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별명:DCOIT), 4-브로모-2-(4-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3-카르보니트릴(별명:트랄로피릴), 4,5-디메틸-1H-이미다졸, (+/-)-4-[1-(2,3-디메틸페닐)에틸] -1H-이미다졸(별명:메데토미딘), 보란-질소계 염기 부가물(피리딘트리페닐보란, 4-이소프로필피리딘디페닐메틸보란 등), N,N-디메틸-N'-(3,4-디클로로페닐)요소, N-(2,4,6-트리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2-메틸티오-4-tert-부틸아미노-6-시클로프로필아미노-1,3,5-트리아진, 2,4,5,6-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비스디메틸디티오카르바모일징크에틸렌비스디티오카바메이트, 클로로메틸-n-옥틸디설피드, N',N'-디메틸-N-페닐-(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설파미드, 테트라알킬티우람디설피드, 디시클로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징크에틸렌비스디티오카바메이트, 2,3-디클로로-N-(2',6'-디에틸페닐)말레이미드, 및 2,3-디클로로-N-(2'-에틸-6'-메틸페닐)말레이미드를 들 수 있다. 유기 방오제(D)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유기 방오제(D) 중에서도, 구리 피리티온, 4,5-디클로로-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 (+/-)-4-[1-(2,3-디메틸페닐)에틸] -1H-이미다졸이 바람직하고, 구리 피리티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유기 방오제(D)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방오도료 조성물의 도장 작업성, 방오도막의 방오성능 및 내수성의 관점에서,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이다.
<기타 바인더 성분(E)>
본 발명에 있어서, 방오도막에 정치 방오성과 내수성, 내크랙성과 강도를 부여할 목적에서,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 이외의 기타 바인더 성분(E)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바인더 성분(E)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아크릴 수지), 비닐계 중합체, n-파라핀, 테르펜페놀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바인더 성분(E)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사용하면 되고, 정치 방오성의 관점에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a32), 및 금속 에스테르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e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에스테르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e1)이란, 금속과 카르복실산이 결합함으로써 생성된 금속 에스테르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가리킨다. 후술하는 다가 금속 에스테르기 또는 2가 금속 에스테르기란, 다가 금속 또는 2가 금속과 카르복실산이 결합함으로써 생성된 기를 가리킨다. 금속 에스테르기로서는 다가 금속 에스테르기가 바람직하고, 2가 금속 에스테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에스테르기를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그네슘, 칼슘, 네오디뮴, 티탄, 지르코늄, 철, 루테늄,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및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금속 중에서, 2가 금속을 적당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니켈, 구리 및 아연 등의 제10∼12족의 금속이 바람직하고, 구리 및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이 보다 바람직하며, 아연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타)아크릴산 아연, 디(메타)아크릴산 구리,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아연, 아크릴산(메타크릴산)구리, 디(3-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아연, 디(3-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구리, (메타)아크릴산(나프텐산)아연, (메타)아크릴산(나프텐산)구리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에스테르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e1)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기타 비닐 화합물(e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기타 비닐 화합물(e2)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초산비닐, 안식향산비닐,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비닐피리딘, 비닐피롤리돈,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비닐 화합물(e2)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기타 바인더 성분(E)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 「다이아날 BR-106」(아크릴계 중합체)을 들 수 있다.
기타 바인더 성분(E)로서는, 상기 외에,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4/01070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2 이상의 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와 상기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와 금속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산기 함유 중합체를 들 수 있다.
2 이상의 산기 함유 중합체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나 아크릴계 중합체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는, 고형분산가가 50∼250 ㎎KOH/g인 것이 바람직하고, 80∼200 ㎎KOH/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는 1 이상의 다가의 알코올과 1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의 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져, 임의의 종류를 임의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조합에 의해 산가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3가 이상의 알코올과, 이염기산 및/또는 그의 무수물과, 2가의 알코올을 반응시킨 후, 추가로 지환식 이염기산 및/또는 그의 무수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상의 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와 반응시키는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로서는, 전술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로진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상의 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와 반응시키는 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아연이나 아산화구리 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기타 바인더 성분(E)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1∼20 질량%이다.
<착색안료(F)>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방오도막의 색조를 조절하거나, 임의의 색조를 부여하거나 하기 위해, 착색안료(F)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착색안료(F)로서는, 공지의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각종 착색안료를 들 수 있다. 유기계의 착색안료로서는, Pigment Black 7(카본블랙), Pigment Red 170(나프톨레드), Pigment Blue 15(프탈로시아닌블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계의 착색안료로서는 적색 산화철(적색 벵갈라)(Fe2O3), 흑색 산화철(Fe3O4), 산화티탄(티탄백/TiO2), 황색 산화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에는, 착색안료(F)와 함께, 또는 착색안료(F) 대신에, 염료 등의 착색안료(F)를 제외한 착색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착색안료(F)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형성되는 방오도막에 요구되는 은폐성이나, 방오도료 조성물의 도포형태 등에 따른 목적하는 점도에 따라 바람직한 양이 결정되는데,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이다.
<체질안료(G)>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그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의 내크랙성 등의 도막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체질안료(G)를 함유해도 된다.
체질안료(G)로서는, 예를 들면 탈크, 산화아연, 실리카(규조토, 산성백토 등), 마이카, 클레이, 칼륨장석, 탄산칼슘, 카올린, 알루미나화이트, 화이트카본,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바륨, 황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탈크, 산화아연,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탄산칼슘, 카올린, 황산바륨, 칼륨장석이 바람직하다. 체질안료(G)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체질안료(G)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형성되는 방오도막에 요구되는 은폐성이나, 방오도료 조성물의 도포형태 등에 따른 목적하는 점도에 따라 바람직한 양이 결정되는데,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이다.
<안료 분산제(H)>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착색안료(F)나 체질안료(G)를 함유하는 경우, 착색안료(F)나 체질안료(G)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안료 분산제(H)를 함유해도 된다.
안료 분산제(H)로서는, 공지의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각종 안료 분산제를 들 수 있다. 안료 분산제로서는, 지방족 아민 또는 유기산류, BYK(주) 제조 「Disperbyk-101」을 들 수 있다.
<가소제(I)>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얻어지는 방오도막의 내크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소제(I)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가소제(I)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염화파라핀(염소화파라핀), 석유 수지류, 케톤 수지, 폴리비닐에틸에테르, 디알킬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I)로서는, 이들 중에서도,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의 도막 내수성, 도막 가수분해성(소모성)이라는 관점에서, 염화파라핀(염소화파라핀), 석유 수지류 및 케톤 수지가 바람직하다. 가소제(I)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염소화파라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소(주) 제조 「도요파락스 A-40/A-50/A-70/A-145/A-15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석유 수지류로서는, C5계, C9계, 스티렌계, 디클로로펜타디엔계, 및 이들의 수소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석유 수지류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일본 제온(주) 제조 「퀸톤 1500/170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가소제(I)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0.1∼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질량%이다. 가소제(I)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방오도막의 가소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새깅 방지제(J)>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방오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할 때, 그 도료 조성물에 의한 새깅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새깅 방지제(J)(흐름 방지제라고도 함)를 함유해도 된다.
새깅 방지제(J)로서는, 아마이드 왁스(지방산 아마이드 등), 수소첨가 피마자유 왁스나, 이들의 혼합물, 합성 미분 실리카(아에로질(등록상표) 등)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아마이드 왁스 또는 합성 미분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새깅 방지제(J)로서 아마이드 왁스 또는 또는 합성 미분 실리카를 사용하면, 방오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나, 방오도막을 형성한 후, 그 방오도막 상에 동종 도료 조성물(방오도료 조성물) 또는 이종 도료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막(상도 도막)을 형성한 경우, 그 방오도막과 상도 도막 사이의 밀착성(층간 밀착성, 재도장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새깅 방지제(J)의 시판품으로서는, 구스모토 화성(주) 제조 「디스파론 A630-20X」나 이토 제유(주) 제조 「A-S-A T-250F」를 들 수 있다. 새깅 방지제(J)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새깅 방지제(J)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 질량%이다.
<침강 방지제(K)>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저장 중의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침전물의 발생을 방지하고, 교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침강 방지제(K)를 함유해도 된다.
침강 방지제(K)로서는, Al, Ca, 또는 Zn의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왁스,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산화폴리에틸렌 왁스가 바람직하다. 산화폴리에틸렌 왁스의 시판품으로서는, 구스모토 화성(주) 제조 「디스파론 4200-20X」를 들 수 있다. 침강 방지제(K)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침강 방지제(K)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2 질량%이다.
<탈수제(L)>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저장 안정성이 양호한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갖는데, 필요에 따라 탈수제(L)을 첨가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장기 저장 안정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탈수제(L)로서는, 무기계 탈수제 및 유기계 탈수제를 들 수 있다.
무기계 탈수제로서는, 합성 제올라이트, 무수 석고 및 반수 석고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탈수제로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테트라부톡시실란, 테트라페녹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및 트리메틸에톡시실란 등의 알콕시실란류, 및 그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인 폴리알콕시실란류, 및 오르토포름산메틸 및 오르토포름산에틸 등의 오르토포름산알킬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콕시실란류의 테트라에톡시실란이다. 탈수제(L)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탈수제(L)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1 질량%이다. 탈수제(L)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방오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용제(M)>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 등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그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낮게 유지하며, 스프레이 무화성(spray atomization property)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용제(M)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제(M)은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조제할 때 사용한 용제여도 되고,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와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혼합할 때, 별도 첨가된 용제여도 된다.
용제(M)으로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지방족 탄화수소계, 지환족 탄화수소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알코올계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탄화수소계의 유기 용제이다.
방향족 탄화수소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탄화수소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탄화수소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케톤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아세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탄산디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용제(M)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용제(M)을 함유하는 경우, 방오도료 조성물 중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도료 조성물의 도포형태 등에 따른 목적하는 점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 질량%이다. 용제(M)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새깅 방지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방오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와,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한번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교반용기에 첨가하여, 공지의 교반 및 혼합 수단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성분을 혼합한 후, 마지막에 새깅 방지제(J)(예를 들면 아마이드 왁스(디스파론 A630-20X) 등)를 첨가하고, 예를 들면 혼합물을 10∼20분간 정도 교반함으로써 분산시켜서, 방오도료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제방법에 의해 얻어진 방오도료 조성물은 기재에 도포했을 때, 새깅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교반 및 혼합 수단으로서는, 하이스피드 디스퍼, 샌드 그라인드 밀, 바스켓 밀, 볼 밀, 쓰리롤 밀, 로스믹서, 플래니터리 믹서, 시나가와식 만능 혼합 교반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도료는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기 저장 후에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방오도막/방오도막 부착 기재]
본 발명의 방오도막은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막은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용제(M)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기재 상에 도포 또는 함침된 방오도료 조성물을, 예를 들면 자연 건조 또는 히터 등의 건조 수단을 사용하여 건조시키는(즉, 상기 용제(M)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방오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오도막 부착 기재는 적어도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방오도막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오도막 부착 기재는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을, 기재(목적물, 피도장물)에, 예를 들면 에어 스프레이, 에어리스 스프레이, 브러시, 롤러 등의 도장 수단을 사용하여 도포하거나, 또는 함침시켜서 기재에 도포 또는 함침된 도료 조성물을, 예를 들면 자연 건조(실온 정도의 온도) 또는 히터 등의 건조 수단을 사용하여 건조시켜서, 기재 상에 방오도막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오도막의 건조 후의 두께는 방오도막의 갱신속도나 사용되는 기간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는데, 예를 들면 30∼1,0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두께의 도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도료 조성물을 1회의 도포당, 바람직하게는 10∼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00 ㎛의 두께로, 1회∼복수 회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오도막 부착 기재는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으로 기재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 상기 방오도막을 기재 상에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오도막 부착 기재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기재 상에 상기 방오도막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오도막 부착 기재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 또는 함침하여,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얻는 공정(1-1), 및 상기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는 공정(1-2)를 갖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은 전술한 도포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함침시키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함침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도료 조성물 중에 기재를 담금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건조시키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방오도막을 제조할 때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오도막 부착 기재는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을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는 공정(2-1), 및 상기 공정(2-1)에서 얻어진 방오도막을 기재에 첩부하는 공정(2-2)를 갖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는 것도 가능하다.
공정(2-1)에 있어서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방오도막을 제조할 때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공정(2-2)에 있어서 도막을 기재에 첩부하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3-129724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첩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선박, 어업, 수중 구조물 등의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있어서, 기재의 방오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선박(컨테이너선, 탱커 등의 대형 강철선, 어선, FRP선, 목선, 요트 등의 선체 외판, 이들의 신조선 또는 수선선 등), 어업자재(로프, 어망, 어구, 부표, 부이 등), 석유 파이프라인, 도수배관, 순환수관, 다이버 슈트, 수중 안경, 산소 봄베, 수영복, 어뢰, 화력·원자력 발전소의 급배수구 등의 수중 구조물, 해저 케이블, 해수 이용기기류(해수 펌프 등), 메가 플로트, 만안도로, 해저 터널, 항만설비, 및 운하·수로 등에 있어서의 각종 해양 토목공사용 구조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는 선박, 수중 구조물 및 어업자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박 및 수중 구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선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방오도막을 표면에 형성하는 대상의 기재는 방청제 등의 기타 처리제에 의해 처리된 면이나, 표면에 이미 프라이머나 바인더 등의 방식도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 및/또는 본 발명 이외의 방오도료 조성물이 이미 도장되어, 그 방오도막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상도(overcoating)하는 것이어도 되며, 본 발명의 방오도막이 직접 접하는 도막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기재의 재질로서는, 특히 선박 외판의 경우는 스틸, 알루미늄, 목재, FRP 등을 들 수 있고, 어망 등의 경우는 천연 또는 합성 섬유를 들 수 있으며, 또한, 부표, 부이 등의 경우는 합성 수지제의 것을 들 수 있고, 수중에 있어 방오성 등이 요구되는 기재인 한,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기재의 표면에, 특히 기재가 선저 등인 경우에는, 통상 강제 기재의 표면에 방청도료 등의 프라이머를 하도(undercoating)한 후의 프라이머 처리 기재의 표면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1회 또는 복수 회,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방오도료)을 도포하고, 도포 또는 함침(특히, 기재가 어망 등인 경우)시킨 방오도료 조성물을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면, 갈파래, 따개비, 파래, 세르풀라, 굴, 큰다발이끼벌레 등의 수서생물의 부착을 장기간에 걸쳐 방지하는 특성(방오성, 특히 정치 방오성)이 우수하며, 특히 방오도막에 방오제 성분(예: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이 포함되는 경우, 장기에 걸쳐 방오제 성분을 서방할 수 있다.
상기 방청도료로서는, 징크계 숍프라이머, 에폭시 수지계 징크 리치 프라이머, 에폭시 수지계 방식도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계 방식도료에는, 통상 수지분의 에폭시계 수지, 에폭시 수지용 아민계 경화제가 포함되고, 그 밖에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예:비닐계 공중합체), 로진류, 가소제, 체질안료, 착색안료, 방청안료, 용제, 경화 촉진제, 커플링제, 새깅 방지제, 침강 방지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구 방오도막 보수용 방오도료 조성물/보수방법]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구 방오도막을 보수 도장하는 용도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구 방오도막을 보수하기 위한 구 방오도막 보수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방오도막의 보수 도장 용도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에 구 방오도막을 갖고, 그 구 방오도막 상에 본 발명의 방오도막을 갖는 방오도막 부착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오도막 부착 기재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방오도막 부착 기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공정(1-1) 또는 공정(2-2)에서 사용하는 기재로서, 표면에 구 방오도막을 갖는 기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당해 방법에 의해, 구 방오도막 상에 본 발명의 방오도막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방오도막 부착 기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 방오도막 상에,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방오도막을 형성함으로써, 구 방오도막을 보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구 방오도막의 보수 도장 시에 구 방오도막을 제거하거나, 하지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도료를 도포하거나 하지 않고, 구 방오도막 상에 직접 본 발명의 방오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구 방오도막>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 방오도막이란, 방오도료 조성물을 건조시켜서 얻어진 도막을 해수나 담수 등의 수중에 어느 소정 기간 폭로된 후의 도막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저부에 도장되는 방오도료는 각각의 운항형태에 걸맞은 내용기간(durable period)을 정해, 내용기간 경과 후에 다시 도장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내용기간으로서는, 어선이나 플레저보트 등으로 대표되는 소형 선박의 경우는 3개월 내지 6개월이다. 원유 탱커나 컨테이너선 등으로 대표되는 대형 선박의 경우는 12개월 내지 90개월이다. 이와 같이, 내용기간은 선박의 항로 등의 운항형태에 따라 다양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어느 일정 기간 수중에 폭로된 방오도막을 구 방오도막이라 한다. 또한 방오도료가 도장되어 있는 선박의 종류에 대해서도 일본 표준 상품분류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상선(분류번호 501), 특수용도 선박(분류번호 502), 어선(분류번호 503), 함정(분류번호 504)으로 분류되는 어느 선박의 종류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 방오도막을 형성하는 방오도료 조성물로서는, 본 발명의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함유하는 방오도료 조성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산가를 갖지 않는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 폴리실록산 블록 함유 가수분해성 공중합체, 기타 바인더 성분(E)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금속 에스테르기 함유 공중합체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가수분해형 방오도료 조성물이 사용되어도 된다. 다른 태양으로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아크릴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를 바인더 성분으로 하고,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를 함유하는 자기 붕괴형(수화형) 방오도료 조성물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폴리실록산 블록 함유 가수분해성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가수분해형 방오도료 조성물로서는, 국제공개 제2018/087846호가 참조된다.
구 방오도막의 두께는 사용되는 내용기간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산가를 갖지 않는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고형분산가는 0.1 ㎎KOH/g 미만이고, 예를 들면 0 ㎎KOH/g을 들 수 있다.
수중에 폭로된 구 방오도막의 표면은 방오제 성분이 수중에 용출되어, 미세한 공동이 있는 취약층이 형성된다. 이 취약층은 본 발명의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함유하는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방오도막에 한정되지 않고, 방오제를 함유하는 모든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방오도막에 있어서도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아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특별히 그 취지에 반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부의 의미이다. 후술하는 공중합체,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등의 평가는 아래와 같이 행하였다.
[공중합체의 분석방법]
<공중합체 용액 중의 고형분(가열잔분)의 함유율의 측정방법>
질량이 공지인 금속제 시험접시에 공중합체 용액을 칭량하여 덜고, 바닥면에 펼쳐서, 온도 105∼110℃로 유지한 항온조에 넣어 3시간 가열하고, 꺼내서 실온까지 냉각한 후, 재차 질량을 칭량하여, 금속제 시험접시 중의 잔량을 구하였다. 고형분의 함유율(질량%)은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고형분의 함유율(질량%)=금속제 시험접시 중의 잔량(g)×100/칭량하여 덜은 공중합체 용액의 질량(g)
<공중합체 용액 중의 수지(고형분) 산가의 측정방법>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산가의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시료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용액 2.0 g을 비커에 칭량하였다(칭량한 중량:p(g)). 다음으로, 이 비커에 아래에 나타낸 희석액 60 mL를 칭량하여 덜어,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용액을 희석하였다. 그 후, 아래에 나타낸 장치와 적정 용액(몰 농도:s(mol/L), 팩터:f)을 사용하여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 혼합용액의 전위차 적정을 행하여, 적정 곡선의 최대 경사점을 종점(적정량:q(mL))으로 하였다.
동일한 조작으로 블랭크의 측정을 행하여(적정량:r(mL)), 아래의 식에 따라 고형분산가를 산출하였다.
또한, 본 측정에 의해 얻어진 산가는 용액 산가이기 때문에,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으로 나눌 필요가 있다.
희석액 :톨루엔:에탄올:초순수=100:95:5(부피비)로 혼합한 용액
장치:「자동 적정장치 CPM-1750」(히라누마 산교(주) 제조)
적정 용액:에탄올성 수산화칼륨 용액(쥰세이 화학(주) 제조)(s=0.1 mol/L, f=1.001, 또는 s=0.01 mol/L, f=1.005)
측정 고형분산가(㎎KOH/g)={(q-r)×s×56.11×f}÷(p×공중합체 용액 중 고형분의 함유율÷100)
f:수산화칼륨 용액의 팩터
p: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 용액을 칭량한 중량(단위:g)
q:적정 곡선의 최대 경사점을 종점으로 한 적정량(단위:mL)
r:블랭크 측정의 적정량(단위:mL)
s:적정 용액의 몰 농도(단위:mol/L)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측정방법>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아래 조건에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GPC 측정 조건
장치:「HLC-8320GPC」(도소(주) 제조)
칼럼:「TSKgel guardcolumn SuperMP(HZ)-M+TSKgel SuperMultipore HZ-M+TSKgel SuperMultipore HZ-M」(도소(주) 제조)
용리액: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속:0.35 mL/min
검출기:RI
칼럼 항온조 온도:40℃
검량선:표준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 단량체
샘플 조제법:각 제조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에 THF를 첨가하여 희석한 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GPC 측정 샘플로 하였다.
<공중합체 용액의 점도의 측정방법>
공중합체 용액의 점도를 아래 조건에서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 조건
장치:「TVE-25형 점도계 TV-25」(도키 산교(주) 제조)
사용 로터:표준 로터(1°34´×R24)
측정 온도:25℃
[방오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평가]
<도막 시험판의 제작방법>
(구 방오도막 시험판의 제작방법)
샌드블라스트판(300 ㎜×100 ㎜×2.3 ㎜) 상에,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에폭시계 도료(에폭시 AC 도료, 상품명 「반노 500」 주고꾸 도료(주) 제조)를 건조 막두께로 150 ㎛가 되도록 도포하고, 23℃에서 1주일 건조시켜서 경화 도막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그 경화 도막 상에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비닐 바인더 도료(상품명 「실박스 SQ-K」, 주고꾸 도료(주) 제조)를 건조 막두께로 40 ㎛가 되도록 도포하고, 23℃에서 24시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비닐 바인더 도료로부터 형성된 건조 도막 표면에, 비교예 1에서 나타내어지는 방오도료 조성물을 건조 막두께로 2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23℃에서 1주일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여, 방오도막 시험판을 제작하였다.
이 방오도막 시험판을 히로시마현 하츠카이치시 바다의 세토나이카이에 수면 400 ㎜ 이하에, 정치 상태로 12개월 현수 침지하였다.
침지 개시로부터 12개월 후에, 상기 방오도막 시험판을 해수로부터 끌어올려, 고압 수세(압력 :6.9 ㎫)를 실시하고, 23℃에서 24시간 건조시킴으로써 구 방오도막 시험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구 방오도막을 「구 도막」이라고도 한다.
(방오도막 부착 시험판의 제작방법)
(1)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광택 평가 시험판의 제작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도료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건조 막두께로 150 ㎛가 되도록 구 도막 시험판의 구 방오도막의 표면에 도포하고, 23℃에서 72시간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여,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광택 평가 시험판을 제작하였다.
(2)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50℃ 촉진 열화 시험판의 제작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도료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건조 막두께로 300 ㎛가 되도록 구 도막 시험판의 구 도막의 표면에 도포하고, 23℃에서 7일간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여,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50℃ 열화 촉진 시험판을 제작하였다.
(3)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정치 방오성 시험판의 제작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도료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건조 막두께로 150 ㎛가 되도록 구 도막 시험판의 구 도막의 표면에 도포하고, 23℃에서 7일간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여,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정치 방오성 시험판을 제작하였다.
(4) 에폭시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정치 방오성 시험판의 제작방법
샌드블라스트판(300 ㎜×100 ㎜×2.3 ㎜) 상에,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에폭시계 도료(에폭시 AC 도료, 상품명 「반노 500」 주고꾸 도료(주) 제조)를 건조 막두께로 15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경화 도막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그 경화 도막 상에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에폭시계 바인더 도료(상품명 「반노 500N」, 주고꾸 도료(주) 제조)를 건조 막두께로 100 ㎛가 되도록 도포하여, 에폭시 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도료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건조 막두께로 150 ㎛가 되도록 상기 에폭시 도막의 표면에 도포하고, 23℃에서 7일간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여, 에폭시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정치 방오성 시험판을 제작하였다.
<방오도막의 광택 평가방법>
(1)에서 제작한 시험판의 구 도막 상에 형성된 방오도막의 경면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JIS Z 8741:1997을 토대로 실시하고, 아래와 같이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측정은 (주)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BYK 가드너·마이크로-트리-글로스를 사용해서 실시하였다.
측정한 85도 광택도의 수치를 아래와 같이 점수화를 행하였다.
(평가기준)
0:85도 광택도가 25 이상이다.
1:85도 광택도가 25 미만 20 이상이다.
2:85도 광택도가 20 미만 15 이상이다.
3:85도 광택도가 15 미만 10 이상이다.
4:85도 광택도가 10 미만이다.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50℃ 촉진 열화 시험판(도막 외관의 평가)>
(2)에서 제작한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시험판을, 50℃의 인공 해수에 침지하고, 침지 개시로부터 1개월마다 아래 평가기준을 토대로 도막 외관을 조사하였다.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시험판의 방오도막면을 육안으로 크랙 정도를 관찰하고, JIS K5600-8-4:1999에 준거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랙의 밀도 등급 매김을 행하였다. 상기 외관 평가에 의해, 방오도막 및 방오기재의 장기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다.
(평가기준)
평가점:크랙 밀도의 등급
0:크랙이 없다
1:밀도 1
2:밀도 2
3:밀도 3
<구 도막 시험판 상의 방오도막 정치 방오성 시험판 평가방법>
(3), (4)에서 제작한 구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정치 방오성 시험판과 에폭시 도막 상의 방오도막 부착 정치 방오성 시험판을, 히로시마현 하츠카이치시 바다의 세토나이카이에 수면 400 ㎜ 이하에, 현수 침지하여 정치 상태로 하고, 침지 개시로부터 1개월마다, 시험판의 해수 상시 몰수부의 방오도막의 전면적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방오도막 상의 수서생물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이하 「부착면적」이라고도 한다.)(%)에 대해서 측정하고, 아래 평가기준을 토대로 정치 방오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0 :부착면적이 1% 미만이다.
0.5 :부착면적이 1% 이상∼10% 미만이다.
1 :부착면적이 10% 이상∼20% 미만이다.
2 :부착면적이 20% 이상∼30% 미만이다.
3 :부착면적이 30% 이상∼40% 미만이다.
4 :부착면적이 40% 이상∼50% 미만이다.
5 :부착면적이 50% 이상∼100%이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평가>
(1)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질량 측정
아래의 도료 비중 및 질량 NV의 값을 사용해서 아래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VOC(g/L)=도료 비중×1000×(100-질량 NV)/100
(2) 비중
25℃에 있어서 내용적이 100 mL인 비중 컵에 가득 채운 방오도료 조성물의 질량을 칭량함으로써, 비중(도료 비중)을 측정하였다.
(3) 가열잔분(질량 NV)
방오도료 조성물 1 g을 바닥이 평평한 접시에 칭량하여 덜고, 질량 기지의 철사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펼치고, 125℃에서 1시간 건조 후, 잔사 및 철사의 질량을 칭량하여, 가열잔분(질량%)을 산출하였다.
<초기 점도(제조 후 1주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방오도료 조성물을 제조 직후에 25℃의 항온실 내에 1주일 방치하고, 25℃에 있어서 저장 후의 점도(단위:KU)를, JIS K 5600:2014를 토대로 스토머 점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스프레이 작업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방오도료 조성물을 23℃로 유지하고, 에어리스 스프레이로 분무함으로써, 스프레이 패턴의 확산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평가는 아래의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
A:방오도료 조성물을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기재에 도장했을 때, 방오도료 조성물이 미세한 입자로서 안개상으로 분무되고, 또한, 스프레이 패턴이 스트라이프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균일한 패턴으로, 무화성이 양호하다.
B:방오도료 조성물을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기재에 도장했을 때, 방오도료 조성물이 미세한 입자로서 안개상으로 분무되고, 스프레이 패턴은 확산되나, 조금 테일이 확인된다.
C:방오도료 조성물을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기재에 도장했을 때, 방오도료 조성물이 미세한 입자로서 안개상으로 분무되고, 스프레이 패턴은 확산되나, 테일이 확인된다.
D:방오도료 조성물을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기재에 도장했을 때, 방오도료 조성물이 미세한 입자로서 안개상으로 분무되고, 스프레이 패턴은 확산되나, 패턴 폭이 좁아, 무화성이 불량하다.
E:방오도료 조성물을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기재에 도장했을 때, 방오도료 조성물이 미세한 입자로서 안개상으로 분무되지 않고, 스프레이 패턴이 전혀 확산되지 않아 도장이 불가능하여, 무화되지 않는다.
또한, 「테일」이란, 스프레이 패턴의 양끝에 두꺼운 선이 생기는 현상이다.
<공중합체 용액의 합성:제조예 A1>
반응은 상압, 질소 분위기하에서 행하였다.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용기에, 크실렌 428.6부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TIPSMA) 100부를 넣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액온이 80℃가 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반응용기 내의 액온을 80±5℃로 유지하면서, TIPSMA 500부, 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MEMA) 25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8부, 부틸아크릴레이트(BA) 50부, 메타크릴산(MAAc) 2부,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13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적하 깔때기를 사용하여 2시간에 걸쳐 반응용기 내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80∼95℃에서 1시간 30분 교반하였다. 그 후, 95℃를 유지하면서 반응액에 AIBN 1부를 30분마다 4회 첨가하고, 105℃까지 액온을 상승시켜 중합반응을 완결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 내에 크실렌 238부를 첨가하고, 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공중합체 용액(A1)을 얻었다. 각종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낸다.
<공중합체 용액의 합성:제조예 A2∼A7, A10∼A17, A19∼A21 및 비교용 제조예 Z1, Z3∼Z6>
제조예 A1에 있어서 사용한 모노머 혼합물 대신에, 표 1, 2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하고, 적당히 반응온도, 적하시간, 개시제량 등을 조정하면서, 제조예 A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공중합체 용액(A2)∼(A7), (A10)∼(A17), (A19)∼(A21) 및 (Z1), (Z3)∼(Z6)를 얻었다. 각종 물성값을 표 1, 2에 나타낸다.
<공중합체 용액의 합성:제조예 A8>
반응은 상압, 질소 분위기하에서 행하였다.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용기에, 크실렌 428.6부와 TIPSMA 100부를 넣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액온이 80℃가 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반응용기 내의 액온을 80±5℃로 유지하면서, TIPSMA 500부, MEMA 250부, MMA 95부, BA 50부 및 AIBN 12.5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적하 깔때기를 사용하여 2시간에 걸쳐 반응용기 내에 적하하는 동시에, 4,4'-아조비스-4-시아노 길초산 0.5부를 10분마다 10회 반응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80∼95℃에서 1시간 30분 교반하였다. 그 후, 95℃를 유지하면서 반응액에 AIBN 1부를 30분마다 4회 첨가하고, 105℃까지 액온을 상승시켜 중합반응을 완결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 내에 크실렌 238부를 첨가하고, 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공중합체 용액(A8)을 얻었다. 각종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낸다.
<공중합체 용액의 합성:제조예 A9>
반응은 상압, 질소 분위기하에서 행하였다.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용기에, 크실렌 538.5부를 넣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액온이 80℃가 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반응용기 내의 액온을 80±5℃로 유지하면서, TIPSMA 500부, MEMA 300부, MMA 95부, BA 100부, MAAc 5부 및 AIBN 13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적하 깔때기를 사용하여 2시간에 걸쳐 반응용기 내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80∼95℃에서 1시간 30분 교반하였다. 그 후, 95℃를 유지하면서 반응액에 AIBN 1부를 30분마다 4회 첨가하고, 105℃까지 액온을 상승시켜 중합반응을 완결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 내에 크실렌 128.1부를 첨가하고, 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공중합체 용액(A9)을 얻었다. 각종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낸다.
<공중합체 용액의 합성:제조예 A18 및 비교용 제조예 Z2>
제조예 A9에 있어서 사용한 모노머 혼합물 대신에, 표 1, 2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하고, 적당히 반응온도, 적하시간, 개시제량 등의 반응조건을 조정하면서, 제조예 A9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공중합체 용액(A18) 및 (Z2)를 얻었다. 각종 물성값을 표 1,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또한, 표 1 및 표 2 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약칭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TIPSMA: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
MEMA: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MEA: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BA:n-부틸아크릴레이트
MAAc:메타크릴산
AAc:아크릴산
VSA-H:상품명, 아사히 가세이 파인켐(주) 제조, 비닐설폰산
TIPSA:트리이소프로필실릴아크릴레이트
아래의 방오도료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각 배합 성분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방오도료 조성물의 조제:실시예 1>
플라스틱 용기에 용제로서의 크실렌 8.5 질량부, 솔베쏘 No.100(방향족계 탄화수소 용제, 엑손 모빌사 제조) 1.0 질량부, 검 로진 2.5 질량부, 에틸실리케이트 28 0.5 질량부, 및 공중합체 용액(A1) 21 질량부를 첨가하고, 각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될 때까지 페인트 셰이커를 사용해서 혼합하였다. 그 후, 추가로 플라스틱 용기에 탈크 4 질량부, 산화아연 4 질량부, 아산화구리(NC-301) 50 질량부, 적색 벵갈라 1.5 질량부, 산화티탄 2.5 질량부, 구리 피리티온(Copper Omadine Powder) 2 질량부, 및 산화폴리에틸렌(디스파론 4200-20X) 1.0 질량부를 첨가하고, 1시간 페인트 셰이커를 사용해서 교반하여 이들 성분을 분산시켰다.
분산 후, 추가로 지방산 아마이드(디스파론 A630-20X) 1.5 질량부를 첨가하고, 20분간 페이트 셰이커를 사용하여 교반한 후, 혼합물을 여과망(구멍:80 메시)으로 여과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여액(도료 조성물 Aa1)을 얻었다. 얻어진 도료 조성물 Aa1의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방오도료 조성물의 조제:실시예 2∼28 및 비교예 1∼7, 10, 11>
배합 성분의 종류 및 양을 표 4, 표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방오도료 조성물을 조제해서,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 표 7에 나타낸다. 또한, 표 6, 표 7에서 나타내어지는 도료 조성물 Aa2∼Aa28 및 도료 조성물 Zz1∼Zz7은, 각각 실시예 2∼28 및 비교예 1∼7, 10, 11에서 얻어진 방오도료 조성물을 나타낸다.
<방오도료 조성물의 조제:비교예 8∼9>
배합 성분의 종류 및 양을 표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메타크릴산을 공중합체 용액과 동시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료 조성물을 조제해서,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또한, 표 7에서 나타내어지는 도료 조성물 Zz8∼Zz9은 비교예 8∼9에서 얻어진 도료 조성물을 나타낸다. 표 5 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약칭 MAAc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수중에 폭로되어 방오제 성분이 용출된 취약한 층을 포함하는 구 방오도막 상에 직접 도장하더라도, 도막에 요구되는 미관성을 유지하고, 장기 방오성능이 우수한 방오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미관성(광택)과 방오성을 발휘하는 방오도막 부착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와,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를 함유하는 방오도료 조성물로서,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가 0.1∼10 ㎎KOH/g이고,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가지며,
    그 로진류 및/또는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B)의 함유량이,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00 질량부 이하인, 방오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한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35∼75 질량부인, 방오도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가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방오도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단위 100 질량부에 대한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15∼35 질량부인, 방오도료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 밖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a3)가 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방오도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2,000 이상인, 방오도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오도료 조성물이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를 함유하고, 또한 방오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중 상기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C)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인, 방오도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오도료 조성물이 탈수제(L)을 함유하고, 상기 탈수제(L)이 알콕시실란류인, 방오도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2,000 이상 25,000 이하인, 방오도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 방오도막을 보수하기 위한 구 방오도막 보수용 방오도료 조성물인, 방오도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
  12. 구 방오도막 또는 에폭시 도막(X)와, 방오도료 조성물(y)로부터 형성된 방오도막(Y)가 적층된 적층 방오도막으로,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y)가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함유하고,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의 고형분산가가 0.1∼10 ㎎KOH/g이며,
    그 실릴에스테르계 공중합체(A)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a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트리이소프로필실릴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적층 방오도막.
  13.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에 설치된 제11항에 기재된 방오도막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적층 방오도막을 갖는, 방오도막 부착 기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표면에 구 방오도막을 갖고, 그 구 방오도막 상에 상기 방오도막을 갖는, 방오도막 부착 기재.
  15. 아래 (1-1) 및 (1-2), 또는 아래 (2-1) 및 (2-2)를 갖는, 방오도막 부착 기재의 제조방법.
    (1-1) 기재의 표면에,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을 도포 또는 함침시켜,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얻는 공정
    (1-2) 그 공정(1-1)에 의해 얻어진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오도료 조성물을 건조시켜서 방오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2-2) 그 공정 (2-1)에서 얻어진 방오도막을 기재에 첩부하는 공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1-1)이 표면에 구 방오도막을 갖는 기재에 상기 방오도료 조성물을 도포 또는 함침시켜, 도포체 또는 함침체를 얻는 공정이고,
    상기 공정(2-2)가 상기 공정(2-1)에서 얻어진 방오도막을, 표면에 구 방오도막을 갖는 기재에 첩부하는 공정인, 방오도막 부착 기재의 제조방법.
  17. 구 방오도막 상에 제11항에 기재된 방오도막을 형성함으로써, 구 방오도막을 보수하는 방법.
KR1020217002196A 2018-07-27 2019-07-25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보수방법 KR102656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1778 2018-07-27
JPJP-P-2018-141778 2018-07-27
PCT/JP2019/029220 WO2020022431A1 (ja) 2018-07-27 2019-07-25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防汚塗膜付き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補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066A true KR20210024066A (ko) 2021-03-04
KR102656962B1 KR102656962B1 (ko) 2024-04-11

Family

ID=6918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196A KR102656962B1 (ko) 2018-07-27 2019-07-25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보수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831898A4 (ko)
JP (1) JP7186777B2 (ko)
KR (1) KR102656962B1 (ko)
CN (1) CN112513207B (ko)
SG (1) SG11202100680WA (ko)
WO (1) WO2020022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1364B2 (ja) 2019-05-22 2022-08-02 日東化成株式会社 複層防汚塗膜、該塗膜を表面に有する塗装物
CN111171678A (zh) * 2020-02-24 2020-05-19 中环海化(厦门)船舶智能涂料有限公司 一种含铜及铜合金粉的铜粉基接触型防污涂料及制备方法
CN115298274B (zh) * 2020-03-13 2023-08-25 中国涂料株式会社 防污涂料组合物
JPWO2022102493A1 (ko) * 2020-11-10 2022-05-19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6808A (ja) 1987-12-04 1989-06-08 Toshiba Silicone Co Ltd 防汚コーティング材
JPH1030071A (ja) 1996-04-17 1998-02-03 Nof Corp 塗料組成物
JPH11263937A (ja) * 1998-03-19 1999-09-28 Nof Corp 複層塗膜および防汚方法
JP2001226440A (ja) 2000-02-17 2001-08-21 Nippon Paint Co Ltd 共重合体及び塗料組成物
JP2011026357A (ja) 2007-11-21 2011-02-10 Nitto Kasei Co Ltd 防汚塗料組成物、該組成物の製造方法、該組成物を用いて形成される防汚塗膜、該塗膜を表面に有する塗装物、及び該塗膜を形成する防汚処理方法
KR20160137382A (ko) * 2015-05-22 2016-11-30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기재 및 방오기재의 제조방법
KR20180035832A (ko) * 2015-07-31 2018-04-06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방오 도료 조성물, 방오 도막, 방오 기재, 방오 도료 조성물용의 로진 화합물 및 방오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83882A (ko) * 2015-11-30 2018-07-23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방오성 복합 도막, 방오기재 및 그 방오기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3337B2 (ja) * 1996-04-17 2010-11-04 Nkmコーティングス株式会社 塗料組成物の製造方法
JP3693501B2 (ja) * 1998-07-06 2005-09-07 日東化成株式会社 防汚塗料組成物
RU2261250C2 (ru) * 2000-05-12 2005-09-27 Солвей Фармасьютикалс Б.В. Соединения пиперазина и пиперидина
TW200540238A (en) * 2004-05-26 2005-12-16 Nippon Paint Co Ltd Coating composition, coating film, and method of reducing underwater friction
KR20100058458A (ko) * 2007-07-06 2010-06-03 요툰 에이/에스 분지된 폴리머 및 상기 폴리머를 포함하는 방오 코팅 조성물
JP4521589B2 (ja) * 2008-12-19 2010-08-11 日東化成株式会社 防汚塗料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て形成される防汚塗膜、該塗膜を表面に有する塗装物、及び該塗膜を形成する防汚処理方法
KR101406655B1 (ko) * 2009-10-13 2014-06-11 닛뽄 페인트 마린 가부시키가이샤 방오 도료 조성물, 및 방오 도막, 복합 도막 및 수중 구조물
CN103038293B (zh) * 2010-06-04 2016-03-30 佐敦集团 防污涂料
BR112014011527A2 (pt) * 2011-11-14 2017-05-16 Chugoku Marine Paints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anti-incrustante, filme de revestimento anti-incrustante e substrato anti-incrustante, e método para produzir substrato anti-incrustante
JP2013129724A (ja) 2011-12-21 2013-07-04 Nitto Denko Corp 防汚層付粘着テープ
US20150141562A1 (en) 2012-07-12 2015-05-21 Chugoku Marine Paints, Ltd. Polyester Resin for Antifouling Coating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Same, Antifouling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Antifouling Coating Film, and Antifouling Base
NO2975095T3 (ko) * 2013-03-15 2018-07-21
KR102470397B1 (ko) * 2014-04-10 2022-11-24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오염방지 도료조성물, 및 그것을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물품
JP2016089167A (ja) * 2014-10-31 2016-05-23 中国塗料株式会社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および防汚基材、ならびに防汚基材の製造方法
WO2017094768A1 (ja) * 2015-11-30 2017-06-08 中国塗料株式会社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防汚基材、および該防汚基材の製造方法
JP6689958B2 (ja) * 2016-03-25 2020-04-28 中国塗料株式会社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防汚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3540022A4 (en) 2016-11-09 2020-06-24 Chugoku Marine Paints, Ltd.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ANTI-FOULING COATING FILM, BASE MATERIAL WITH ANTI-FOULING COAT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TI-FOULING METHOD
JP6472562B1 (ja) * 2018-07-03 2019-02-20 日本ペイントマリン株式会社 防汚塗料組成物用ビヒクル樹脂及びそれを含む防汚塗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6808A (ja) 1987-12-04 1989-06-08 Toshiba Silicone Co Ltd 防汚コーティング材
JPH1030071A (ja) 1996-04-17 1998-02-03 Nof Corp 塗料組成物
JPH11263937A (ja) * 1998-03-19 1999-09-28 Nof Corp 複層塗膜および防汚方法
JP2001226440A (ja) 2000-02-17 2001-08-21 Nippon Paint Co Ltd 共重合体及び塗料組成物
JP2011026357A (ja) 2007-11-21 2011-02-10 Nitto Kasei Co Ltd 防汚塗料組成物、該組成物の製造方法、該組成物を用いて形成される防汚塗膜、該塗膜を表面に有する塗装物、及び該塗膜を形成する防汚処理方法
KR20160137382A (ko) * 2015-05-22 2016-11-30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기재 및 방오기재의 제조방법
JP2016216651A (ja) 2015-05-22 2016-12-22 中国塗料株式会社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防汚基材、および防汚基材の製造方法
KR20180035832A (ko) * 2015-07-31 2018-04-06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방오 도료 조성물, 방오 도막, 방오 기재, 방오 도료 조성물용의 로진 화합물 및 방오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83882A (ko) * 2015-11-30 2018-07-23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방오성 복합 도막, 방오기재 및 그 방오기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3207B (zh) 2022-06-17
JP7186777B2 (ja) 2022-12-09
CN112513207A (zh) 2021-03-16
WO2020022431A1 (ja) 2020-01-30
SG11202100680WA (en) 2021-02-25
KR102656962B1 (ko) 2024-04-11
EP3831898A4 (en) 2022-04-06
JPWO2020022431A1 (ja) 2021-07-01
EP3831898A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7596B1 (en) Method for forming antifouling coating film
JP4837668B2 (ja)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塗膜付き基材、防汚性基材、基材表面への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基材の防汚方法
KR101221685B1 (ko)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도막 부착 기재, 방오성 기재, 기재 표면으로의 도막의 형성방법 및 기재의 방오방법
JP5415551B2 (ja) 防汚塗料組成物、ならびに防汚塗膜、複合塗膜および水中構造物
KR102656962B1 (ko)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보수방법
KR101712761B1 (ko) 방오 도료 조성물, 방오 도막, 방오 기재 및 방오 기재의 제조방법
JP6638958B2 (ja)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防汚塗膜付き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CN107849391B (zh) 防污涂料组合物、防污涂膜、防污基材、防污涂料组合物用的松香化合物以及防污涂料组合物的制造方法
CN109415596B (zh) 防污涂料组合物、防污涂膜、带防污涂膜的基材及其制造方法、以及防污方法
JP6948391B2 (ja) 積層防汚塗膜、積層防汚塗膜付き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積層防汚塗膜形成用塗料キット、上層防汚塗料組成物、並びに防汚方法
KR102171055B1 (ko) 방오 도료 조성물, 방오 도막, 방오 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방오 방법
CN117070146A (zh) 涂料组合物及由此形成的涂膜
JP6948390B2 (ja) 積層防汚塗膜、積層防汚塗膜付き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積層防汚塗膜形成用塗料キット、上層防汚塗料組成物、並びに防汚方法
CN113444418A (zh) 防污涂料组合物
JP6737456B2 (ja) 防汚塗料組成物、塗膜、及び塗膜付き基材
JP2022065973A (ja) 防汚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