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090A -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090A
KR20210019090A KR1020217000983A KR20217000983A KR20210019090A KR 20210019090 A KR20210019090 A KR 20210019090A KR 1020217000983 A KR1020217000983 A KR 1020217000983A KR 20217000983 A KR20217000983 A KR 20217000983A KR 20210019090 A KR20210019090 A KR 20210019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rope
insert
terminal structure
inser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074B1 (ko
Inventor
리키오 곤도
마사요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6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laterally-arranged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에서는, 편평 형상의 단면을 갖는 엘리베이터 로프에 삽입체가 접촉하고 있다. 삽입체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부는 엘리베이터 로프에 삽입체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엘리베이터 로프 및 삽입체는 하우징의 관통 구멍 내에 보지되어 있다. 관통 구멍의 내면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두께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받이면 및 제 2 받이면을 갖고 있다. 제 1 받이면과 제 2 받이면 사이의 거리는 관통 구멍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작아지고 있다. 삽입체는 엘리베이터 로프와 제 1 받이면 사이에 배치된 제 1 삽입 부재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로프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로프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웨지 요소를 웨지 하우징 내에 보지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를 웨지 하우징 내에 보지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로프 종단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로프 종단 조립체에서는, 엘리베이터 로프가 한 쌍의 웨지 요소 사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에 로프 단부 블록이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14-129182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로프 종단 조립체에서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장력이 없어지면, 웨지(wedge)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웨지 요소가 이동하는 일이 있다. 한 쌍의 웨지 요소가 웨지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면, 각 웨지 요소와 엘리베이터 로프 사이의 간극이 넓어져 버려서, 각 웨지 요소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기 어려워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삽입체가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보다 확실히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는, 편평 형상의 단면을 갖는 엘리베이터 로프에 접촉하는 삽입체, 삽입체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로프에 삽입체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부, 및 로프 통과구를 갖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로프 및 삽입체가 관통 구멍 내에 보지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로프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로프 통과구를 통해서 관통 구멍 내에 도달하여 있고, 관통 구멍의 내면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두께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받이면 및 제 2 받이면을 갖고 있고, 제 1 받이면과 제 2 받이면 사이의 거리는,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작아지고 있고, 삽입체는 엘리베이터 로프와 제 1 받이면 사이에 배치된 제 1 삽입 부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에 의하면, 삽입체가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보다 확실히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XXI-X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XXII-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3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XXX-X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XXXI-XX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6의 XXXII-X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좌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35의 우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제 1 단말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0은 도 33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4의 제 1 단말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39의 XXXXII-XX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39의 XXXXIII-XXXX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카(3) 및 균형추(4)가 마련되어 있다. 카(3) 및 균형추(4)는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체이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6)와,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7)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6)는 카(3) 및 균형추(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장치이다. 또한, 권상기(6)는, 권상기(6)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 쉬브(5)를 갖고 있다. 디플렉팅 쉬브(7)는 구동 쉬브(5)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5) 및 디플렉팅 쉬브(7)에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로프(8)가 감겨질 수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8)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섬유를 꼬아 합쳐서 구성된 장척물(長尺物), 복수의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켜서 성형된 장척물을 들 수 있다. 각 엘리베이터 로프(8)의 단면 형상은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각 엘리베이터 로프(8)는 편평 형상의 단면을 갖는 벨트이다. 카(3) 및 균형추(4)는 각 엘리베이터 로프(8)에 의해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카(3) 및 균형추(4)는 구동 쉬브(5)의 회전을 따라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각 엘리베이터 로프(8)의 제 1 단부의 각각은,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9)가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로프(8)의 제 2 단부의 각각에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2 단말 구조체(20)가 마련되어 있다. 각 제 1 단말 구조체(9)는 카(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 2 단말 구조체(20)는 균형추(4)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예에서는, 카(3) 및 균형추(4)가 1:1 로핑(roping)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제 2 단말 구조체(20)의 구성은 제 1 단말 구조체(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 1 단말 구조체(9)는 엘리베이터 로프(8)에 접촉하는 삽입체(15)와, 삽입체(15)를 엘리베이터 로프(8)에 보지하는 가압부인 복수의 나사(13)와,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수용하는 하우징(10)을 갖고 있다.
하우징(1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평행판(101)과, 한 쌍의 평행판(101) 사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을 갖고 있다. 제 1 받침판(102)은 한 쌍의 평행판(101)의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받침판(103)도, 한 쌍의 평행판(101)의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즉, 하우징(10)은 한 쌍의 평행판(101),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을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에는, 한 쌍의 평행판(101),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으로 둘러싸인 관통 구멍(104)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104)은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104)은 제 1 개구부로서의 로프 통과구와, 제 2 개구부로서의 삽입체구를 갖고 있다.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04)의 삽입체구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104)에는,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가 보지되어 있다.
관통 구멍(104)의 내면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받침판(102)에 의해서 형성된 제 1 받이면(102a)과, 제 2 받침판(103)에 의해서 형성된 제 2 받이면(103a)을 갖고 있다. 제 1 받이면(102a)과 제 2 받이면(103a)은 관통 구멍(104)의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있다. 제 1 받이면(102a)과 제 2 받이면(103a) 사이의 거리는 관통 구멍(104)의 삽입체구로부터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제 1 받이면(102a) 및 제 2 받이면(103a)의 각각이 하우징(10)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각 평행판(101)에는, 복수의 긴 구멍(105)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긴 구멍(105)은 제 1 받침판(102)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열된 위치와, 제 2 받침판(103)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열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의 각각은, 각 긴 구멍(105)에 통과된 복수의 고정 나사(106)에 의해서 각 평행판(101)에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평행판(101)에 대한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의 각각의 위치는, 각 긴 구멍(105)에 있어서의 고정 나사(106)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평행판(101)에는, 장착 구멍(107)이 마련되어 있다. 각 장착 구멍(107)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후단부에 위치하여 있다. 제 1 단말 구조체(9)는, 제 1 단말 구조체(9)의 각 장착 구멍(107)에 통과된 장착 부재를 거쳐서 카(3)에 접속된다. 한편, 제 2 단말 구조체(20)는 제 2 단말 구조체(20)의 각 장착 구멍에 통과된 장착 부재를 거쳐서 균형추(4)에 접속된다.
엘리베이터 로프(8)는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통해서 관통 구멍(104) 내에 도달하여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8)에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을 따른 제 1 로프면 및 제 2 로프면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로프면 및 제 2 로프면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8)는 제 1 로프면을 제 1 받이면(102a)을 향한, 또한 제 2 로프면을 제 2 받이면(103a)을 향한 상태로, 관통 구멍(104)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받이면(102a) 및 제 2 받이면(103a)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있다.
삽입체(15)는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를 갖고 있다. 제 1 삽입 부재(11)는 엘리베이터 로프(8)와 제 1 받이면(10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삽입 부재(12)는 엘리베이터 로프(8)와 제 2 받이면(103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로프(8)를 사이에 두고 있다.
제 1 삽입 부재(11)는, 제 1 삽입 부재(11)의 길이 방향을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키고, 또한 제 1 삽입 부재(11)의 폭방향을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과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삽입 부재(11)의 두께 방향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여 있다.
제 2 삽입 부재(12)는, 제 2 삽입 부재(12)의 길이 방향을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키고, 또한 제 2 삽입 부재(12)의 폭방향을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과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삽입 부재(12)의 두께 방향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여 있다. 본 예에서는,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의 폭방향 치수가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제 1 삽입 부재(11)에는, 제 1 로프측 대향면(111)과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은 제 1 삽입 부재(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로프측 대향면(111)과 대향하고 있다. 제 1 로프측 대향면(111)과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 사이의 거리는, 관통 구멍(104)의 삽입체구로부터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이에 의해, 제 1 삽입 부재(11)의 형상은 웨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삽입 부재(11)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한 쌍의 제 1 단차부(113)가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단차부(113)는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있다. 각 제 1 단차부(113)는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측으로부터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을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부이다.
또한, 제 1 삽입 부재(11)에는, 한 쌍의 제 1 단차부(113)의 각각의 바닥면이 제 1 가압면(114)으로서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제 1 가압면(114)의 위치는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의 위치보다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 있다. 각 제 1 가압면(114)은 제 1 로프측 대향면(111)과 평행이다.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제 1 로프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은 제 1 받이면(102a)에 접촉하고 있다. 각 제 1 가압면(114)은 관통 구멍(104)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제 1 가압면(114)과 관통 구멍(104)의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고 있다.
제 2 삽입 부재(12)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은 제 2 삽입 부재(1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대향하여 있다.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 사이의 거리는, 관통 구멍(104)의 삽입체구로부터 로프 통과구를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이에 의해, 제 2 삽입 부재(12)의 형상은 웨지 형상이 되어 있다.
제 2 삽입 부재(12)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한 쌍의 제 2 단차부(123)가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단차부(123)는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있다. 각 제 2 단차부(123)는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측으로부터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을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부이다.
또한, 제 2 삽입 부재(12)에는, 한 쌍의 제 2 단차부(123)의 각각의 바닥면이 제 2 가압면(124)으로서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제 2 가압면(124)의 위치는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의 위치보다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 있다. 각 제 2 가압면(124)은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평행이다.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제 2 로프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은 제 2 받이면(103a)에 접촉하고 있다. 각 제 2 가압면(124)은 관통 구멍(104)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제 2 가압면(124)과 관통 구멍(104)의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고 있다.
제 1 삽입 부재(11)에는, 각 제 1 가압면(114)으로부터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에 도달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통과 구멍은 제 1 삽입 부재(1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제 2 삽입 부재(12)에는, 각 제 2 가압면(124)으로부터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에 도달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나사 구멍은 제 2 삽입 부재(1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각 나사(13)는 삽입체(15)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제 1 삽입 부재(11)의 통과 구멍에 통과된 상태로,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각 나사(13)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의 설정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나사(13)가 배치되는 설정 범위가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로부터 삽입체(15)의 중앙 위치보다 길이 방향 선단부에 가까운 위치까지의 범위가 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엘리베이터 로프(8)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를 관통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각 나사(13)는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있다. 각 나사(13)는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체결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하고 있다.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엘리베이터 로프(8)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삽입체(15)에 가압력을 가하고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삽입체(15)를 가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8)는 각 나사(13)의 체결에 의해서 삽입체(15)에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에 파지되어 있다.
각 나사(13)의 머리부는 관통 구멍(104)의 내면과 제 1 가압면(11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13)의 머리부는, 나사(13)가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 1 가압면(114)에 가하고 있다.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한 상태를 보지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삽입체(15)는 엘리베이터 로프(8)와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 내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삽입체(15)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유지된 상태가 보지된다.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는 제 1 받이면(102a)과 제 2 받이면(103a) 사이에 보지되어 있다. 삽입체(15)에서는, 제 1 삽입 부재(11)가 제 2 삽입 부재(12)에 고정되지 않고,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로프(8)가 인장되어서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이동할수록, 제 1 받이면(102a) 및 제 2 받이면(103a)의 안내에 의해서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가 인장되어서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이동할수록, 삽입체(15)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가압되는 가압력의 크기가 커진다.
이러한 제 1 단말 구조체(9) 및 제 2 단말 구조체(20)에서는, 편평 형상의 단면을 갖는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복수의 나사(13)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10)의 유무와 관계없이, 삽입체(15)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보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로프(8)를 취급하는 경우, 카(3)의 비상 정지시에 카(3)가 충격을 받아서 엘리베이터 로프(8)가 흔들렸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장력이 없어지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의 삽입체구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체(15)가 하우징(10)으로부터 벗어났을 경우에서도, 삽입체(15)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보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0)의 관통 구멍(104)에 삽입체(15)를 삽입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체(15)가 하우징(10)의 관통 구멍(104)에 삽입된 상태를 보다 확실히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15)는 엘리베이터 로프(8)와 제 1 받이면(102a) 사이에 배치된 제 1 삽입 부재(11)와, 엘리베이터 로프(8)와 제 2 받이면(103a) 사이에 배치된 제 2 삽입 부재(12)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8)를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에서 파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체(15)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보지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15)가 하우징(10)으로부터 벗어나도, 엘리베이터 로프(8)를 삽입체(15)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삽입 부재(11)에서는,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과 제 1 로프측 대향면(111) 사이의 거리가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104)에 제 1 삽입 부재(11)를 삽입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제 1 받이면(102a)의 각각에 대한 제 1 삽입 부재(11)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 내에 보지된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삽입 부재(12)에서는,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과 제 2 로프측 대향면(121) 사이의 거리가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104)에 제 2 삽입 부재(12)를 삽입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제 2 받이면(103a)의 각각에 대한 제 2 삽입 부재(12)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 내에 보지된 상태를 더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의 형상을 웨지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의 형상을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품의 형상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고, 부품의 종류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104) 내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로프(8)의 위치를 관통 구멍(104)의 축선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의해서 인장되었 때의 하우징(10)에 가해지는 힘의 편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삽입체(15)에 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8)를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에서 파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체(15)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보지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15)에는, 관통 구멍(104)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제 1 가압면(114)이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각 나사(13)의 머리부는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 1 가압면(114)에 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104)의 내면과 제 1 가압면(114) 사이에 생기고 있는 공간에 각 나사(13)의 머리부를 배치할 수 있고, 각 나사(13)가 관통 구멍(104)의 내면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면(114)은 삽입체(15)에 마련된 오목부로서의 제 1 단차부(113)의 바닥면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104)의 내면과 제 1 가압면(114) 사이에 공간을 보다 확실히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차부(113)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삽입체(15)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더 확실히 보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엘리베이터 로프(8)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삽입체(15)에 가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8)에 각 나사(13)를 관통시키지 않고 삽입체(15)에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나사(13)를 통하는 구멍을 엘리베이터 로프(8)에 형성하는 작업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삽입체(15)의 폭방향 치수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치수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삽입체(15)에 대한 엘리베이터 로프(8)의 위치가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으로 벗어났을 경우에서도,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더 확실히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간단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한 쌍의 평행판(101),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을 고정 나사(106)에 의해서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범용의 판 부재 및 범용의 나사를 이용하여 하우징(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을 제조할 때의 주조 작업 및 용접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하우징(10)의 제조를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양산되지 않는 특별 사양의 하우징(10)의 제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하우징(10)은 단일 부재이다. 즉, 하우징(10)의 한 쌍의 평행판(101),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은 일체 성형에 의해서 분해 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하우징(10)이 주조 성형 부재로 되어 있다. 각 평행판(101)에 대한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의 각각의 경계는 하우징(10)의 4개의 각부로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4개의 각부에는, 곡면부(R)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인 각 나사(13)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의 설정 범위 내에만 배치되어 있다. 각 나사(13)가 배치되는 설정 범위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보다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측의 범위로 되어 있다. 즉, 각 나사(13)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의 범위를 절반으로 분할한 2개의 범위 중,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로부터 이격된 측의 범위 내에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로부터 이격된 설정 범위에서 제 1 가압면(114)에 가해져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2 단말 구조체(20)의 구성은 제 1 단말 구조체(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제 1 단말 구조체(9) 및 제 2 단말 구조체(20)에서는, 하우징(10)이 단일 부재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1보다 하우징(1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하우징(10)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나사(13)가 배치되는 설정 범위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보다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측의 범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나사(13)의 머리부를 배치하는 공간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즉, 제 1 가압면(114)과 제 1 받이면(102a) 사이의 공간, 및 제 2 가압면(124)과 제 2 받이면(103a) 사이의 공간은,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에 가까워질수록 넓어진다. 이에 의해, 각 나사(13)의 위치를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측으로 집중시키는 것에 의해, 각 나사(13)의 머리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나사(13)의 머리부가 관통 구멍(104)의 내면에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 중 어느 일방에, 나사(13)가 통과되는 통과 구멍을 마련하고,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 중 어느 타방에, 나사(13)가 장착되는 나사 구멍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너트를 없앨 수도 있다.
또한,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에 대한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의 각도를 제 1 삽입 부재(11)의 길이 방향 선단부의 각도로 하고,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에 대한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의 각도를 제 2 삽입 부재(12)의 길이 방향 선단부의 각도로 한다. 이 경우, 각 나사(13)가 배치되는 설정 범위를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측으로 집중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의 길이 방향 선단부의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제 1 받이면(102a)과 제 2 받이면(103a) 사이에 삽입체(15)를 보다 깊게 인입시킬 수 있고,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크기의 분포가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선단부를 향해서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체(15)가 가압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부분과, 삽입체(15)로부터 나와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부분의 경계에서 엘리베이터 로프(8)에 힘이 집중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선단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로프(8)가 파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선단부의 위치는, 삽입체(15)에 의해서 파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부분과, 삽입체(15)에 의해서 파지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부분의 경계 위치가 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로프(8)가 흔들리거나 엘리베이터 로프(8)가 당겨지는 각도가 바뀌거나 함으로써,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선단부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로프(8)의 피로가 진행되어, 엘리베이터 로프(8)가 파단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크기의 분포가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선단부를 향해서 작아지므로,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선단부의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 로프(8)의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제 1 삽입 부재(11)의 통과 구멍에 통과된 나사(13)가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각 제 1 가압면(114)으로부터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에 도달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을 제 1 삽입 부재(11)에 마련하고, 각 제 2 가압면(124)으로부터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에 도달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을 제 2 삽입 부재(12)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각 나사(13)는 제 2 삽입 부재(12)의 통과 구멍에 통과된 상태로, 제 1 삽입 부재(11)의 나사 구멍에 장착된다. 또한, 이 경우, 각 나사(13)의 머리부는 관통 구멍(104)의 내면과 제 2 가압면(12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각 나사(13)의 머리부는, 나사(13)가 제 1 삽입 부재(11)의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 2 가압면(124)에 가한다.
또한,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오목부인 제 1 단차부(113)의 바닥면이 제 1 가압면(114)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삽입 부재(11)에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제 1 로프측 대향면(111)과 평행한 평면을 제 1 가압면으로서 제 1 삽입 부재(11)의 길이 방향 후단부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제 1 가압면은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으로부터 연속하는 평면이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제 1 가압면과 제 1 받이면(102a) 사이에 공간을 생기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가압부에 의해서 제 1 가압면에 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오목부인 제 2 단차부(123)의 바닥면이 제 2 가압면(124)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삽입 부재(11)에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평행한 평면을 제 2 가압면으로서 제 2 삽입 부재(12)의 길이 방향 후단부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제 2 가압면은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으로부터 연속하는 평면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제 2 가압면과 제 2 받이면(103a) 사이에 공간을 생기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가압부에 의해서 제 2 가압면에 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XXI-X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XXII-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하우징(10)은 단일 부재이다. 즉, 하우징(10)의 한 쌍의 평행판(101), 제 1 받침판(102) 및 제 2 받침판(103)은 일체 성형에 의해서 분해 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하우징(10)이 주조 성형 부재로 되어 있다.
제 1 받이면(102a)은 관통 구멍(104)의 삽입체구로부터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하우징(10)의 축선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받이면(103a)은 하우징(10)의 축선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의 형상은 한쪽으로 장출(張出)된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삽입 부재(11)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단면 원형의 복수의 카운터싱크 구멍(115)이 마련되어 있다. 각 카운터싱크 구멍(115)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카운터싱크 구멍(115)은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측으로부터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을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부이다. 각 카운터싱크 구멍(115)의 깊이 방향은 제 1 삽입 부재(11)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여 있다.
또한, 제 1 삽입 부재(11)에는, 각 카운터싱크 구멍(115)의 각각의 바닥면이 가압면(116)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압면(116)의 위치는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의 위치보다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에 가까운 위치가 되어 있다. 각 가압면(116)은 제 1 로프측 대향면(111)과 평행하다. 각 가압면(116)은 관통 구멍(104)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압면(116)과 관통 구멍(104)의 내면 사이에는, 카운터싱크 구멍(115) 내의 공간이 생기고 있다.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은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 삽입 부재(12)의 형상은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제 2 삽입 부재(12)의 두께가 제 1 삽입 부재(11)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제 2 로프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은 제 2 받이면(103a)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104) 내에 삽입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8)는 제 1 받이면(102a)에 대해서 경사지고, 또한 제 2 받이면(103a)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1 삽입 부재(11)에는, 각 가압면(116)으로부터 제 1 로프측 대향면(111)에 도달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각 통과 구멍의 내경은 각 카운터싱크 구멍(115)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제 2 삽입 부재(12)에는,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으로부터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에 도달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각 나사(13)는 제 1 삽입 부재(11)의 통과 구멍에 통과된 상태로,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각 나사(13)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의 설정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나사(13)가 배치되는 설정 범위가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로부터 삽입체(15)의 중앙 위치보다 길이 방향 선단부에 가까운 위치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엘리베이터 로프(8)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를 관통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각 나사(13)는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있다. 각 나사(13)는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체결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하고 있다.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나사(13)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엘리베이터 로프(8)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삽입체(15)에 가압력을 가하고 있다. 또한, 각 나사(13)는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삽입체(15)에 가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8)는 각 나사(13)의 체결에 의해서 삽입체(15)에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에 파지되어 있다.
각 나사(13)의 머리부는 카운터싱크 구멍(115) 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13)의 머리부는, 나사(13)가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가압면(116)에 가하고 있다. 제 1 단말 구조체(9)의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에서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2 단말 구조체(20)의 구성은 제 1 단말 구조체(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제 1 단말 구조체(9) 및 제 2 단말 구조체(20)에서는,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이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삽입 부재(12)의 형상을 평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삽입 부재(12)의 두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하우징(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형상을 비대칭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장출이 없는 방향을 선택하여 하우징(10)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10)과 다른 기기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삽입 부재(11)에는, 복수의 카운터싱크 구멍(115)의 바닥면이 가압면(116)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삽입 부재(11) 안에서 가압면(116)을 확보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하우징측 대향면(112)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운터싱크 구멍(115)은 제 1 삽입 부재(11)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싱크 구멍(115)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삽입 부재(11)의 형상이 웨지 형상이므로, 제 1 삽입 부재(11)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는 제 2 삽입 부재(12)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삽입 부재(11)의 두께의 큰 부분에 카운터싱크 구멍(115)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카운터싱크 구멍(115)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운터싱크 구멍(115) 내의 공간에 나사(13)의 머리부를 보다 확실히 배치할 수 있고, 나사(13)의 머리부와 관통 구멍(104)의 내면이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복수의 카운터싱크 구멍(115)이 제 1 삽입 부재(11)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카운터싱크 구멍(115)을 제 2 삽입 부재(12)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카운터싱크 구멍(115)의 바닥면인 가압면(116)은, 제 2 삽입 부재(12)에 마련된다. 또한, 이 경우, 나사(13)가 통과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이 제 2 삽입 부재(12)에 마련되고, 나사(13)가 장착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제 1 삽입 부재(11)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해도, 제 2 삽입 부재(12)의 통과 구멍에 통과된 나사(13)를 제 1 삽입 부재(11)의 나사 구멍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3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XXX-X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XXXI-XX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6의 XXXII-X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삽입체(15)의 폭방향 치수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치수와 동일하다. 또한,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의 폭방향 양단면은, 도 3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4)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의 폭방향 양단면과 관통 구멍(104)의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고 있다.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의 폭방향 양단면과 관통 구멍(104)의 내면 사이에 생기고 있는 공간에는, 가압부로서의 복수의 클립(130)이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삽입체(15)의 폭방향 양측에 클립(130)이 2개씩 배치되어 있다. 각 클립(130)은 삽입체(15)에 마련되어 있다.
각 클립(130)은 제 1 삽입 부재(11)의 폭방향 단면에 고정된 클립 본체(131)와, 제 2 삽입 부재(12)의 폭방향 단면에 고정된 고정 후크(132)를 갖고 있다.
클립 본체(131)는 고정 후크(132)에 걸리는 것이 가능한 가동 후크와, 제 1 삽입 부재(11)에 대해서 가동 후크를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갖고 있다. 각 클립(130)은 가동 후크가 걸린 고정 후크(132)를 클립 본체(131)가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각 클립(130)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엘리베이터 로프(8)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삽입체(15)에 가압력을 가하고 있다. 또한, 각 클립(130)은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삽입체(15)에 가하여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로프(8)는 각 클립(130)의 가압력에 의해서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에 파지되어 있다.
각 클립(130)은 가동 후크가 걸린 고정 후크(132)를 클립 본체(131)에 끌어당긴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삽입체(15)가 관통 구멍(104) 내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삽입체(15)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보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 1 단말 구조체(9)의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3에서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2 단말 구조체(20)의 구성은 제 1 단말 구조체(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제 1 단말 구조체(9) 및 제 2 단말 구조체(20)에서는, 클립 본체(131)와 고정 후크(132)를 갖는 복수의 클립(130)이 가압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 후크(132)에 걸린 클립 본체(131)가 고정 후크(132)를 끌어당기는 것만으로,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클립(130)이 배치되는 설정 범위를, 삽입체(15)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보다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후단부측에 설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삽입체(15)의 길이 방향 선단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로프(8)가 파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클립(130)이 배치되는 공간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삽입체(15)의 폭방향 치수가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치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삽입체(15)의 폭방향 치수를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치수보다 크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삽입체(15)의 위치가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으로 벗어났을 경우에서도,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보다 확실히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클립 본체(131)가 제 1 삽입 부재(11)에 마련되고, 고정 후크(132)가 제 2 삽입 부재(12)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 후크(132)를 제 1 삽입 부재(11)에 마련하고, 클립 본체(131)를 제 2 삽입 부재(12)에 마련해도 좋다.
실시형태 5.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다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35의 우측에서 보았을 때의 제 1 단말 구조체(9)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0은 도 33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4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39의 XXXXII-XX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39의 XXXXIII-XXXX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삽입체(15)는 제 1 삽입 부재(11)와, 한 쌍의 제 2 삽입 부재(12)를 갖고 있다. 제 1 삽입 부재(11)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한 쌍의 제 2 삽입 부재(12)는 엘리베이터 로프(8)와 제 2 받이면(103a) 사이에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2 삽입 부재(12)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일단부는 제 1 삽입 부재(11)의 폭방향 일단부와 일방의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타단부는 제 1 삽입 부재(11)의 폭방향 타단부와 타방의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각 제 2 삽입 부재(12)에는, 도 4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은 제 2 삽입 부재(1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대향하여 있다.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은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평행하다. 이에 의해, 제 2 삽입 부재(12)의 형상은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제 2 삽입 부재(12)에는,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으로부터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에 도달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각 제 2 삽입 부재(12)에서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제 2 삽입 부재(1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가압부로서의 각 나사(13)는 제 1 삽입 부재(11)의 통과 구멍에 통과된 상태로, 각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각 나사(13)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각 제 2 삽입 부재(12)의 나사 구멍에 체결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양단부는 각 나사(13)의 체결에 의해서 삽입체(15)에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제 1 삽입 부재(11)와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에 파지되어 있다.
제 2 받이면(103a)은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삽입체 접촉면부(21)와, 한 쌍의 삽입체 접촉면부(21) 사이에 위치하는 로프 접촉면부(22)를 갖고 있다. 로프 접촉면부(22) 및 한 쌍의 삽입체 접촉면부(21)의 각각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프 접촉면부(22)는 한 쌍의 삽입체 접촉면부(21)의 위치보다 제 1 받이면(102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삽입 부재(12)의 제 2 로프측 대향면(121)은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양단부의 제 2 로프면에 접촉하고 있다. 각 제 2 삽입 부재(12)의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은 제 2 받이면(103a)의 한 쌍의 삽입체 접촉면부(21)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제 2 받이면(103a)의 로프 접촉면부(22)는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중간부의 제 2 로프면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로프(8)의 제 2 로프면에는, 각 제 2 삽입 부재(12)의 제 2 로프측 대향면(121)과, 제 2 받이면(103a)의 로프 접촉면부(22)가 접촉하고 있다. 제 1 단말 구조체(9)의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3에서의 제 1 단말 구조체(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인 제 2 단말 구조체(20)의 구성은, 제 1 단말 구조체(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제 1 단말 구조체(9) 및 제 2 단말 구조체(20)에서는, 제 2 받이면(103a)의 로프 접촉면부(22)가 엘리베이터 로프(8)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10)과 각 제 2 삽입 부재(12) 사이의 마찰력뿐만 아니라, 하우징(10)과 엘리베이터 로프(8) 사이의 마찰력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관통 구멍(104) 내에 보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에 대한 하우징(10)의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관통 구멍(104) 내에 보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마찰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2 받이면(103a)의 한 쌍의 삽입체 접촉면부(21)가 제 2 삽입 부재(12)에 접촉하여 있다. 그러나, 각 제 2 삽입 부재(12)는 없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삽입 부재(11)만이 엘리베이터 로프(8)에 복수의 나사(13)에 의해서 체결된다. 또한, 이 경우, 각 나사(13)의 머리부와 제 1 삽입 부재(11) 사이에 제 1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양단부를 개재한 상태로 각 나사(13)가 제 1 삽입 부재(11)의 나사 구멍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제 1 삽입 부재(11)가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해도, 하우징(10)의 유무와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보지할 수 있고, 제 1 받이면(102a)과 로프 접촉면부(22) 사이에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나사(13)가 통과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이 제 1 삽입 부재(11)에 마련되고, 나사(13)가 장착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각 제 2 삽입 부재(12)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나사(13)가 통과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을 각 제 2 삽입 부재(12)에 마련하고, 나사(13)가 장착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을 제 1 삽입 부재(11)에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제 2 삽입 부재(12)의 통과 구멍에 통과된 나사(13)를 제 1 삽입 부재(11)의 나사 구멍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3 및 5에서는,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나사(13)로 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나사 및 너트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에 복수의 통과 구멍이 마련된다. 또한, 이 경우, 제 1 삽입 부재(11) 및 제 2 삽입 부재(12)의 각각의 통과 구멍에 순차대로 통과된 가압부의 나사에, 가압부의 너트가 장착된다. 제 1 삽입 부재(11), 제 2 삽입 부재(12) 및 엘리베이터 로프(8)는 너트가 나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나사의 머리부와 너트 사이에서 체결된다. 나사 및 너트는 제 1 삽입 부재(11), 제 2 삽입 부재(12) 및 엘리베이터 로프(8)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해도,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시키고 있는 상태를 간단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가압부가 나사 및 너트를 갖는 경우, 나사의 머리부와 삽입체(15) 사이와, 너트와 삽입체(15)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탄성 부재인 스프링 와셔를 개재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하는 나사 및 너트를 느슨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더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3 및 5에서는, 각 나사(13)의 머리부가 삽입체(15)에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각 나사(13)의 머리부와 삽입체(15) 사이에 탄성 부재인 스프링 와셔를 개재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로프(8) 및 삽입체(15)를 체결하는 각 나사(13)를 느슨하게 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로프(8)에 삽입체(15)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더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3 및 5에서는, 각 나사(13)가 엘리베이터 로프(8)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각 나사(13)가 엘리베이터 로프(8)를 관통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3 내지 5에서는, 제 2 삽입 부재(12)의 형상이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삽입 부재(12)의 형상을 웨지 형상으로 해도 좋다. 즉, 제 2 삽입 부재(12)에 있어서, 제 2 하우징측 대향면(122)과 제 2 로프측 대향면(121) 사이의 거리가 관통 구멍(104)의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3) 및 균형추(4)가 1: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그러나, 카(3)에 마련된 카 서스펜션 쉬브와, 균형추(4)에 마련된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엘리베이터 로프(8)를 감고, 제 1 단말 구조체(9) 및 제 2 단말 구조체(20)의 각각을 승강로(1)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카(3) 및 균형추(4)를 2:1 로핑 방식으로 매달아도 좋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기계실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에 제 1 단말 구조체(9) 및 제 2 단말 구조체(20)가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기계실이 마련되어 않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에 제 1 단말 구조체(9) 및 제 2 단말 구조체(20)를 적용해도 좋다.
8 : 엘리베이터 로프, 9 : 제 1 단말 구조체(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0 : 하우징, 11 : 제 1 삽입 부재, 12 : 제 2 삽입 부재, 13 : 나사(가압부), 15 : 삽입체, 20 : 제 2 단말 구조체(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02a : 제 1 받이면, 103a : 제 2 받이면, 104 : 관통 구멍, 111 : 제 1 로프측 대향면, 112 : 제 1 하우징측 대향면, 113 : 제 1 단차부(오목부), 114 : 제 1 가압면(가압면), 115 : 카운터싱크 구멍(오목부), 116 : 가압면, 121 : 제 2 로프측 대향면, 122 : 제 2 하우징측 대향면, 123 : 제 2 단차부(오목부), 124 : 제 2 가압면(가압면), 130 : 클립(가압부), 131 : 클립 본체, 132 : 고정 후크

Claims (17)

  1. 편평 형상의 단면을 갖는 엘리베이터 로프에 접촉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보지하는 가압부, 및
    로프 통과구를 갖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 및 상기 삽입체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보지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로프 통과구를 통과하여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도달하고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은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두께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받이면 및 제 2 받이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받이면과 상기 제 2 받이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작아지고 있고,
    상기 삽입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와 상기 제 1 받이면 사이에 배치된 제 1 삽입 부재를 갖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받이면은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접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와 상기 제 2 받이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삽입 부재를 갖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 부재에는, 제 1 로프측 대향면과, 제 1 하우징측 대향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로프측 대향면은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접촉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측 대향면은 상기 제 1 받이면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측 대향면과 상기 제 1 로프측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작아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삽입 부재에는, 제 2 로프측 대향면과, 제 2 하우징측 대향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로프측 대향면은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측 대향면은 상기 제 2 받이면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측 대향면과 상기 제 2 로프측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로프 통과구를 향해서 작아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삽입 부재에는, 제 2 로프측 대향면과, 제 2 하우징측 대향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로프측 대향면은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측 대향면은 상기 제 2 받이면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측 대향면은 상기 제 2 로프측 대향면과 평행인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 1 삽입 부재와 상기 제 2 삽입 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상기 삽입체에 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 1 삽입 부재 및 상기 제 2 삽입 부재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클립 본체와, 상기 제 1 삽입 부재 및 상기 제 2 삽입 부재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된 고정 후크를 갖는 클립이며,
    상기 클립은 상기 고정 후크에 걸린 상기 클립 본체가 상기 고정 후크를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가압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상기 가압면에 가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인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삽입체에 가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의 폭방향 치수는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폭방향 치수보다 넓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나사를 갖고,
    상기 나사는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 및 상기 삽입체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나사와, 상기 나사에 장착되는 너트를 갖고,
    상기 나사 및 상기 너트는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 및 상기 삽입체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에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와 상기 삽입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머리부와 상기 삽입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KR1020217000983A 2018-07-20 2018-07-20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KR102513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7285 WO2020017025A1 (ja) 2018-07-20 2018-07-20 エレベータロープ端末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090A true KR20210019090A (ko) 2021-02-19
KR102513074B1 KR102513074B1 (ko) 2023-03-22

Family

ID=6665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983A KR102513074B1 (ko) 2018-07-20 2018-07-20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45996A1 (ko)
JP (1) JP6522268B1 (ko)
KR (1) KR102513074B1 (ko)
CN (1) CN112424104A (ko)
DE (1) DE112018007842T5 (ko)
WO (1) WO2020017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7608A1 (en) * 2018-09-04 2021-11-11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Elevator tension member end termination
CN114650960B (zh) * 2019-11-20 2024-06-04 三菱电机株式会社 带把持用具
JP6756420B1 (ja) * 2019-12-13 2020-09-16 三菱電機株式会社 懸架体、懸架体の製造方法、エレベーターの組立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CN114761346A (zh) * 2019-12-20 2022-07-1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主绳索末端结构体、电梯装置和电梯装置的组装方法
CN113883227B (zh) * 2021-10-09 2023-03-24 中电科芜湖钻石飞机制造有限公司 一种将钢索安全绳连接至飞行器发动机机架的方法
CN115321320B (zh) * 2022-07-22 2023-07-18 重庆立诚重工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曳引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9182A (ja) 2012-12-30 2014-07-10 Kone Corp ロープ終端組立体およびエレベータ
US20180155156A1 (en) * 2016-12-02 2018-06-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with improved pressure distribu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08665A1 (de) * 1977-02-28 1978-08-31 American Hoist & Derrick Co Kupplung zwischen kette und drahtseil
DE2750496A1 (de) * 1977-11-11 1979-05-17 Weserhuette Ag Eisenwerk Seilklemme
DE3625108C1 (en) * 1986-07-24 1988-01-21 Heuer Hammer Gmbh & Co Kg Clamping head for a cable-end connection
JPH0821414A (ja) * 1994-07-05 1996-01-2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制御ケーブル支持具
EP2116501A1 (en) * 2007-02-26 2009-11-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rope end device and rope device
JP5448374B2 (ja) * 2008-06-11 2014-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プ端末固定装置
CN101746652B (zh) * 2008-12-01 2012-09-1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CN102923549A (zh) * 2012-10-30 2013-02-13 陕西高新能源发展有限公司 卡绳装置
EP3040301B1 (en) * 2014-12-30 2017-07-05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 hoisting apparatus
EP3070042A1 (en) * 2015-03-16 2016-09-21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EP3103754A1 (en) * 2015-06-08 2016-12-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EP3127850A1 (en) * 2015-08-07 2017-02-08 Kone Corporation A method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CN205026011U (zh) * 2015-09-14 2016-02-10 山河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钢丝绳扣压结构
EP3187451A1 (en) * 2016-01-04 2017-07-05 KONE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pe terminal equip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elevator
CN106492369B (zh) * 2016-10-25 2019-09-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蓬莱市供电公司 一种电缆登杆防坠装置
US10183841B2 (en) * 2016-12-12 2019-01-22 Thyssenkrup Elevator Ag Multi-wedge end termination for an elevator system
CN108217384B (zh) * 2016-12-14 2021-07-06 奥的斯电梯公司 具有约束的电梯系统悬挂构件端接
US11111105B2 (en) * 2017-01-26 2021-09-07 Otis Elevator Company Compliant shear layer for elevator termination
US10562740B2 (en) * 2017-09-15 2020-02-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for carbon fiber bel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9182A (ja) 2012-12-30 2014-07-10 Kone Corp ロープ終端組立体およびエレベータ
US20180155156A1 (en) * 2016-12-02 2018-06-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with improved pressure distrib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17025A1 (ja) 2020-07-30
WO2020017025A1 (ja) 2020-01-23
JP6522268B1 (ja) 2019-05-29
DE112018007842T5 (de) 2021-04-01
US20210245996A1 (en) 2021-08-12
CN112424104A (zh) 2021-02-26
KR102513074B1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9090A (ko)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US20170036891A1 (en) Method,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PT1789356E (pt) Dispositivo de ligação de extremidade de correia para a fixação de uma extremidade de uma correia de suporte numa instalação de elevador e processo para a fixação de uma extremidade de uma correia de suporte numa instalação de elevador
KR102612840B1 (ko) 탄소 섬유 벨트를 위한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종단 어셈블리
US20160355378A1 (en)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US9447843B2 (en) Belt or belt segment having an open end and attachment device therefor
US10870557B2 (en) Compact belt termination assembly
EP3551566B1 (en) Multi-wedge end termination for an elevator system
EP1487731A2 (en) Elevator and guide fixing bracket for an elevator
CN105800420A (zh) 绳索提升工具和绳索提升配置件
US20120318614A1 (en)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decker
ES2341930A1 (es) Elemento de fijacion compacto para cables de elevadores y aparato elevador que incorpora dichos elementos de fijacion.
JP4285834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US5771544A (en) Belt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afety belt system
JP2017137154A (ja) エレベーター
CN114650960B (zh) 带把持用具
CN114867675B (zh) 电梯的绳索的止转件以及电梯的绳索的张力调整方法
CN114450242B (zh) 电梯的对重装置
TWI500461B (zh) 倒圓裝置之預倒圓元件
JP544788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7226622B1 (ja) ワイヤロープ固定装置
EP1935826B1 (de) Aufzugssystem
JP7207572B2 (ja) エレベータ主索端末構造体、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組立方法
KR101085965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가이드 앵커
KR20210056640A (ko) 볼트 조립형 벨트 종단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