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957A - 열교환기,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957A
KR20210015957A KR1020207037959A KR20207037959A KR20210015957A KR 20210015957 A KR20210015957 A KR 20210015957A KR 1020207037959 A KR1020207037959 A KR 1020207037959A KR 20207037959 A KR20207037959 A KR 20207037959A KR 20210015957 A KR20210015957 A KR 20210015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der
heat transfer
pi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390B1 (ko
Inventor
아키라 야츠야나기
아키라 이시바시
츠요시 마에다
신 나카무라
류이치 나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28F1/2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2009/0285Other particular headers or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5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copper or copper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헤더의 상면에 서리의 융해수가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열교환 성능 및 신뢰성이 향상된 열교환기,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전열관과, 복수의 전열관 중 적어도 1개의 전열관에 접속된 핀과, 복수의 전열관의 한쪽의 단부에 접속되며, 복수의 전열관이 병렬되는 방향을 따른 면인 헤더 단면을 갖는 헤더를 구비한다. 핀은 헤더측의 단연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을 제외한 제 2 부분을 가지며, 복수의 전열관의 관축에 대하여 직교방향이며 복수의 전열관이 병렬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1 방향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부분의 선단부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헤더 단면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부분의 선단부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헤더 단면보다 복수의 전열관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
본 발명은 열교환기, 열교환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열관에 장착된 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면이 편평 다공 형상(flat shape and a plurality of hole)의 전열관인 편평관을 구비한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다. 편평관의 관축을 중력방향과 일치시켜 복수 병렬 배치한 열교환기는, 편평관의 중력방향의 하단부에 피열교환 유체를 분배 또는 집합시키는 헤더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편평관 또는 핀의 표면에 생긴 서리의 융해수가 편평관 또는 핀을 따라서 중력방향으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헤더의 상면, 특히 헤더와 편평관의 접속부, 및 헤더의 상면과 핀 사이에 물이 체류되기 쉽다. 그래서, 서리의 융해수를 헤더의 상면으로부터 배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헤더의 상면을 중력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국제 공개 제 2015/189990 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열교환기에서는, 편평관과 헤더의 접속부에 존재하는 물이나, 핀과 헤더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물은, 표면 장력에 의해 체류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특히 열교환기가 저온 공기에 노출되는 조건하에서는, 헤더의 상면에 체류된 물은 동결되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상방으로부터 배수되고 헤더의 상면에 도달한 물의 배출이 저해되어, 더욱 동결부의 확대를 초래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동결부의 확대에 의해, 열교환기는 열교환 성능의 저하, 및 편평관, 핀, 또는 헤더 탱크의 파손에 의해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더의 상면에 서리의 융해수가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열교환 성능 및 신뢰성이 향상된 열교환기,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전열관과, 상기 복수의 전열관 중 적어도 1개의 전열관에 접속된 핀과, 상기 복수의 전열관의 한쪽의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전열관이 병렬되는 방향을 따른 면인 헤더 단면(header end surface)을 갖는 헤더를 구비하고, 상기 핀은, 상기 헤더측의 단연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을 제외한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열관의 관축에 대해 직교방향이며 상기 복수의 전열관이 병렬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 1 방향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헤더 단면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헤더 단면보다 상기 복수의 전열관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상기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더의 상면으로의 물이 유하하는 양을 억제하고, 동결부의 확대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 향상과 신뢰성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 사이클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열교환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의 비교예로서의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열교환기의 변형예인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의 하단 헤더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의 변형예의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이하에,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 유닛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형태는 일 예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 또는 이것에 상당하는 것이며, 이것은 명세서의 전문에 있어서 공통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크기의 관계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열교환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가 적용된 냉동 사이클 장치(1)의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열교환기(100)는 공기 조화 장치 또는 냉장고 등의 냉동 사이클 장치(1)에 탑재되는 것이다. 냉동 사이클 장치(1)는 압축기(3), 사방 밸브(4), 실외 열교환기(5), 팽창 장치(6), 및 실내 열교환기(7)를 냉매 배관(90)에 의해 접속하여,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냉동 사이클 장치(1)가 공기 조화 장치인 경우에는, 냉매 배관(90) 내에는 냉매가 유통하며, 사방 밸브(4)에 의해 냉매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난방 운전, 냉동 운전, 또는 제상 운전(defrosting operation)으로 전환할 수 있다.
실외기(8)에 탑재된 실외 열교환기(5)및 실내기(9)에 탑재된 실내 열교환기(7)는 근방에 송풍 팬(2)을 구비한다. 실외기(8)에 있어서 송풍 팬(2)은 실외 열교환기(5)에 외기를 송입하여, 외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실행한다. 또한, 실내기(9)에 있어서 송풍 팬(2)은 실내 열교환기(7)에 실내의 공기를 송입하여, 실내의 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실행하고, 실내의 공기의 온도를 조화한다. 또한, 열교환기(100)는 냉동 사이클 장치(1)에 있어서 실외기(8)에 탑재된 실외 열교환기(5) 및 실내기(9)에 탑재된 실내 열교환기(7)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열교환기(100)가 탑재된 실외기(8) 및 실내기(9) 등의 기기를 특히 열교환기 유닛이라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열교환기(100)는 열교환부(10)와, 열교환부(10)의 한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하단 헤더(50)와, 열교환부(10)의 다른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단 헤더(60)를 구비한다. 하단 헤더(50)및 상단 헤더(60)는 도 2에 도시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기기를 접속하는 냉매 배관(9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상단 헤더(60)에 냉매가 유입되고, 상단 헤더(60)로부터 열교환부(10)를 구성하는 각 전열관(21)에 냉매가 분배되며, 각 전열관(21)을 거친 냉매가 다시 하단 헤더(50)에서 집합되고, 냉매 배관(90)에 유출된다.
도 3은 도 1의 열교환기(100)의 열교환부(1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열교환기(100)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y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단면 A에 있어서의 구조를 위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내는 x, y, z의 각 방향은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열교환부(10)는 관축을 y방향을 향하게 한 복수의 전열관(21)이 z방향으로 병렬로 나열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전열관(21)은 특히 편평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열관(21)의 관축에 수직인 단면형상의 길이방향을 장축이라 하고, 장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단축이라 하며, 전열관(21)은 장축이 x방향을 향하고 있다. 열교환기(100)는 편평관에 의해 구성된 전열관(21)의 장축을 평행하게 하고 복수 병렬로 나열되어서 구성되는 열교환기이다. 그리고, 전열관(21)의 일단에는 하단 헤더(50)가 접속되고, 타단에는 상단 헤더(60)가 접속되어 있다. 하단 헤더(50)와 상단 헤더(60)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냉동 사이클 장치(1)를 구성하는 실외기(8)와 같은 열교환기 유닛에 탑재될 때에는, 열교환기(100)는 상단 헤더(60)가 하단 헤더(5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점선은 하단 헤더(50)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단 헤더(50)는 헤더 단면(51)을 제 1 방향 D를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열교환기(100)는 전열관(21)의 관축을 중력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열관(21)의 관축은 중력방향을 따른 형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단 헤더(50)가 상단 헤더(60)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 유닛에 있어서, 열교환기(100)를 전열관(21)의 관축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전열관(21)은 관축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장축 및 단축을 가지는 편평형상이며, 내부에 냉매가 유통하는 냉매 유로(22)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냉매 유로(22)는 전열관(21)의 장축의 한쪽의 단부(23)로부터 다른쪽의 단부(24)를 향하여 나열되어 있다. 또한, 전열관(21)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전열관(21)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이용되고 있다. 전열관(21)은 가열한 재료를 다이스의 구멍으로부터 입출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단면을 성형하는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전열관(21)은 다이스의 구멍으로부터 재료를 인발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단면을 성형하는 인발 가공에 의해 제조되어도 좋다. 전열관(21)의 제조 방법은 전열관(21)의 단면형상을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전열관(21)에는 핀(30) 및 핀(40)이 접속되어 있다. 핀(30)은 편평관인 전열관(21)의 장축의 한쪽의 단부(23)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즉, 전열관(21)의 관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며 전열관(21)의 병렬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핀(30)이 전열관(21)의 단부(23)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있는 방향을 제 1 방향 D라 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핀(30)은 편평관인 전열관(21)의 단면형상의 장축을 따라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핀(40)은 편평관인 전열관(21)의 다른쪽의 단부(24)로부터, 핀(30)과 반대방향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핀(30)및 핀(40)이 연장 설치되는 방향은 도 3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x방향으로만 경사져 있어도 좋다. 즉, 전열관(21)의 단면형상의 장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30) 및 핀(40)은 일체의 판형상 부재(80)가 절곡되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판형상 부재(80)는 전열관(21)의 단면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열관(21)이 그 형상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형상 부재(80)는 전열관(21)이 끼워지는 오목형상의 단부로부터 x방향으로 핀(30) 및 핀(40)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부(10)는 단면형상의 판형상 부재(80)을 전열관(21)에 장착하고, 경납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판형상 부재(80)의 형상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단순한 평판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전열관(21)과 핀(30, 40)(판형상 부재(80))에 의해 전열관 유닛(20)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열관 유닛(20)이 z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웃하는 전열관 유닛(20)끼리는, 하단 헤더(50) 및 상단 헤더(60)로만 접속되어 있다. 즉, 열교환부(10)는 하단 헤더(50)의 상면(53)으로부터 상단 헤더(60)의 하면(63)까지의 사이에서 전열관 유닛(20)끼리를 접속하는 부재를 갖지 않는다. 또한, 전열관 유닛(20)은 전열관(21)과 핀(30)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전열관 유닛(20)은 핀(40)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열교환부(10)에 있어서의 전체 전열관(21)에 핀(30, 40)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열교환부(10)는 적어도 1개의 전열관 유닛(20)을 갖고 있으면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30)은 하단 헤더(50)의 한쪽의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선단이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헤더 단면(51)은 하단 헤더(50)의 x방향을 향한 단면이며, 복수의 전열관(21)이 병렬되는 z방향을 따른 단면이다. 핀(30)은 핀(30)의 하단 헤더(50)측의 단연(34)을 포함하는 핀(30)의 일부인 제 1 부분의 선단부가,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특히, 제 1 방향에 있어서 핀(30)의 선단에 위치하는 선단 단연(32)은, 하단 헤더(50)측에 위치하는 선단(31)이 하단 헤더(50)의 한쪽의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상단 헤더(60)측에 위치하는 선단(33)이 하단 헤더(50)의 한쪽의 헤더 단면(51)보다 전열관(21)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핀(30)의 선단(31)의 하방에는 헤더(50)가 존재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선단 단연(32)은 상단 헤더(60)측의 선단(33)으로부터 하단 헤더(50)측의 선단(31)을 향하여 전열관(21)의 관축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선단 단연(32)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g는 중력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핀(30)의 선단 단연(32)측이 바람이 불어 오는 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100)에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C의 방향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된다. 즉, 냉동 사이클 장치(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실외 열교환기(5)로서 열교환기(100)가 설치된 경우, 외기가 열교환기(100)의 핀(30)측으로부터 복수의 전열관 유닛(20)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을 통과하도록, 송풍 팬(2)이 동작한다.
<실시형태 1의 효과>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에 있어서의 배수 촉진 작용의 이해를 용이하게 위해, 이하에서는, 열교환기(100)가 저온 외기 조건으로 증발기로서 운전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그 후, 비교예의 열교환기(1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며,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배수 촉진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비교예를 나타낼 때, 비교예의 구성에는 상기 구성과 대응하는 실시형태 1의 구성의 부호에 "1000"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비교예의 열교환기는 열교환기(1100)과 같이 표시한다. 또한, 비교예의 열교환기(1100)에 있어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과 구성이 공통되는 것은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1)를 운전시켰을 때, 열교환기(100)가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전열관(21)의 냉매 유로(22)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통된다. 냉매의 온도가 0℃ 이하의 경우, 열교환기(100)에 이송된 공기 중의 수분은 전열관 유닛(20)의 표면에서 서리가 되어 부착된다. 이 때, 냉동 사이클 장치(1)는 일반적으로 통상 운전 후에 제상 운전을 실행하여 전열관 유닛(20)의 표면에 부착된 서리를 없앤다. 제상 운전은 냉매 유로(22)에 고온의 냉매를 유통시켜, 전열관 유닛(20)에 부착된 서리를 융해시키는 운전이다. 이에 의해, 전열관 유닛(20)의 표면에는 서리의 융해수가 생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비교예로서의 열교환기(1100)를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비교예로서의 열교환기(1100)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와 상이하게, 핀(1030)의 선단 단연(1032)이 x방향에 있어서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전열관(21)측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공기와 전열관(21)의 내부를 유통하는 냉매와의 온도 차이가 큰 바람이 불어 오는 측에서의 착상량이 많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핀(30)과 마찬가지로, 비교예의 열교환기(1100)는 바람이 불어 오는 측을 향하게 하여 핀(1030)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핀(1030)에는 착상이 많이 발생하며, 비교예의 열교환기(1100)에 있어서는, 서리의 융해수가 중력을 받아 하방으로 배수되면, 그 전량이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도달하고, 그 일부는 전열관(21) 및 핀(1030)의 근방에서 체류된다. 특히, 전열관(21)과 하단 헤더(50)의 상면의 경계부 및 핀(1030)과 하단 헤더(50)의 상면의 간극에 있어서, 융해수의 표면 장력에 의해 융해수가 체류된 그대로가 된다. 하단 헤더(50)의 상면에 체류된 융해수는, 저온 외기 조건하에서 동결되기 때문에, 그 동결된 융해수를 기점으로 하여 동결 부분이 확대된다. 그 때문에, 비교예의 열교환기(1100)는 핀(1030)끼리의 간극 및 전열관(21)끼리의 간극이 폐쇄되고, 열교환 성능의 저하 및 전열관(21), 핀(1030), 및 하단 헤더(50)가 파손되어 신뢰성이 저하된다.
한편,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착상이 집중되는 바람이 불어 오는 측에 있어서, 핀(30)의 하단 헤더(50)측의 선단(31)이,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바람이 불어 오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핀(30)의 헤더측의 단연(34)을 포함하는 부분의 선단부가, x방향에 있어서, 헤더 단면(51)보다 돌출되어 있다. 핀(30)의 헤더측의 단연(34)을 포함하는 일부분을 특히 제 1 부분이라 한다. 제 1 부분의 선단부가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해수 중 대부분은 하단 헤더(50)에 도달하지 않고 열교환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착상은 바람이 불어 오는 측에 위치하는 핀(30)에 집중되어 발생한다. 따라서, 핀(30)의 하단 헤더(50)측의 선단(31)이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핀(30)에 발생한 착상의 융해수는 핀(30)을 타고 핀(30)의 헤더측의 단연(34)으로부터 낙하한다. 그 때문에, 핀(30)과 헤더측의 단연(34)의 간극에 체류되는 융해수 및 전열관(21)을 타고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도달하는 융해수가 감소한다. 따라서,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있어서의 동결의 진행 및 확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신뢰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도 6 내지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도 도 4와 동일하게, 도 1의 z방향으로 열교환기(100)를 본 상태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형태 1의 열교환기(100)의 핀(30)의 형상은 도 4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핀(30)은 헤더측의 단연(34)을 포함하는 핀(30)의 일부분인 제 1 부분이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좋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00a)의 전열관(21)에는 핀(30a) 및 핀(40)이 접속되어 전열관 유닛(20a)을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기(100a)의 핀(30a)은 상단 헤더(60)측의 영역이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전열관(21)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단 헤더측의 선단(31a)을 포함하는 하단 헤더(50)측의 일부분만이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있다. 핀(30a)의 선단 단연(32a)은 상단 헤더(60)측이 전열관(21)의 관축과 평행한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중으로부터 하단 헤더(50)측의 선단(31a)에 걸쳐서 x방향으로 전열관(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100a)에 있어서는, 상단 헤더(60)측에서 발생한 착상의 융해수가 핀(30a)의 선단 단연(32a)을 따라서 흘러 떨어져, 하단 헤더(50)의 상면(53)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유도된다. 착상의 융해수가 핀(30a)의 상부로부터 흘러 떨어지기 때문에, 핀(30a)의 하단 헤더(50)측의 영역은, 핀(30a)에 부착되어 있는 물의 양이 많아진다. 그러나, 핀(30a)은 하단 헤더(50)측의 영역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핀(30a)으로부터 전열관(21)측에 물이 흐르는 것을 억제하고,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체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00b)의 전열관(21)에는 핀(30b) 및 핀(40)이 접속되어 전열관 유닛(20b)을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기(100b)의 핀(30b)은 하단 헤더(50)측의 선단(31b), 상단 헤더(60)측의 선단(33b), 및 핀(30b)의 선단 단연(32b)의 중앙부(35b)가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핀(30b)의 선단 단연(32b) 중 하단 헤더측의 선단(31b)과 중앙부(35b)의 중간, 및 상단 헤더측의 선단(33b)과 중앙부(35b)의 중간에 있어서, 선단 단연(32b)이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전열관(21)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핀(30b)의 착상량을 상단 헤더(60)측으로부터 하단 헤더(50)측에 도달할 때까지 평균화하면서, 하단 헤더(50)측의 선단(31b)으로부터 착상의 융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100b)가 열교환기 유닛에 설치되고, 열교환기(100b)에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 팬(2)이 프로펠러 송풍기(propeller fan)인 경우에, 열교환기(100b)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큰 부분은 핀(30b)의 전열관(21)으로부터 돌출되는 양을 크게 한다. 그리고, 열교환기(100b)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작은 부분은, 핀(30b)의 돌출되는 양을 비교적 작게 하고 있다. 핀(30b)의 전열관(21)으로부터 돌출되는 양이 큰 부분은, 돌출되는 양이 작은 부분과 비교하여 전열관(21)으로부터의 냉열의 전도가 나쁘기 때문에, 핀(30b)의 선단 단연(32)에서의 착상량이 억제된다. 따라서, 열교환기(100b)에 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은 부분, 즉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른 부분에 있어서는, 핀(30b)의 전열관(21)으로부터의 돌출량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핀(30b)의 착상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00c)의 전열관(21)에는 핀(30c) 및 핀(40)이 접속되어 전열관 유닛(20c)을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기(100c)의 핀(30c)은 상단 헤더(60)측의 영역이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전열관(21)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핀(30c)은 하단 헤더(50)측의 선단(31c)을 포함하는 하단 헤더(50)측의 일부분만이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열교환기(100a)와 상이하게, 핀(30c)의 하단 헤더(50)측은 선단 단연(32c)이 경사져 있지 않으며, 전열관(21)의 관축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착상의 융해수의 부착량이 많아지는 핀(30c)의 하단 헤더(50)측에 있어서 핀(30c)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관(21)측에 물이 흐르는 일이 없이, 융해수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00, 100a 내지 100c)의 핀(30, 30a 내지 30c)의 형상은 도 4, 도 6 내지 8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열교환기(100, 100a 내지 100c)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에 따라서 적절히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100, 100a 내지 100c)의 핀(30, 30a 내지 30c)의 형상은, 핀(30, 30a 내지 30c)의 하단 헤더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헤더측의 단연(34)을 포함하는 제 1 부분의 선단부가,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핀(30, 30a 내지 30c) 중 제 1 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제 2 부분은, 선단부가 헤더 단면(51)보다 전열관(21)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00d)의 전열관(21)에는 핀(30d) 및 핀(40)이 접속되어 전열관 유닛(20d)을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기(100d)는 전열관 유닛(20d)에 도수형상(water guide)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핀(30) 및 핀(40)을 형성하고 있는 판형상 부재(80)에 도수형상(70)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는, 전열관 유닛(20d)을 구성하는 전열관(21)에 도수형상(70)을 마련하여도 좋다. 도수형상(70)은 예를 들면, 평판형상의 판형상 부재(80)에 마련한 루버나, 판형상 부재(80)에 마련된 요철의 홈, 또는 딤플(dimple)이어도 좋다. 열교환기(100d)에 있어서는, 도수형상(70)은 핀(30)의 선단 단연(32)을 향함에 따라서 하단 헤더(50) 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서 마련되며, 전열관(21)측에 있는 물방울을 핀(30)의 선단 단연(32)측으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21)측에 부착된 물방울을 그대로 하단 헤더(50)의 상면에 흘리는 것이 아닌, 핀(30)의 선단 단연(32)측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하방으로 흘릴 수 있다. 또한, 도수형상(70)은 핀(30)의 선단 단연(32)을 향하여 하단 헤더(50)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배수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있어서의 동결의 진행 및 확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신뢰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전열관(21)은 편평관이지만, 단면이 원형의 전열관이어도 좋다. 단, 전열관(21)이 편평관인 경우는 편평관의 표면에 부착되는 물을 흘러 떨어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전열관(21)의 관축을 중력방향을 향하게 하는 일이 많아,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 100a 내지 100d)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유리하다.
또한, 핀(30)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판형상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핀(30)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이용되고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200)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에 대해, 핀(30)을 하단 헤더(50)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을 변경한 것이다. 환언하면, 열교환기 유닛에 있어서, 열교환기(100)와 송풍 팬(2)의 위치 관계가 실시형태 1과는 반대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200)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에 대한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200)의 각 부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실시형태 1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200)의 측면도이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200)가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과 상이한 점은 이하이다. 열교환기(200)의 전열관(21)에는 핀(230) 및 핀(240)이 접속되어 전열관 유닛(220)을 구성하고 있다. 바람이 불어 오는 측에 배치된 핀(230)이 전체 영역에 걸쳐서 헤더 단면(51)보다 전열관(21)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바람이 불어 가는 측에 배치된 핀(240)의 헤더측의 단연(244)을 포함하는 일부가, 선단(241)이 헤더 단면(52)보다 돌출되어 있다. 즉,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핀(30)의 선단 단연(32)을 바람이 불어 가는 측을 향하게 한 것과 마찬가지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열교환기(200)의 핀(230, 240)의 표면에는, 요철형상 또는 루버 등의 도수형상(270)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수형상(270)은 그 능선이 x방향을 따르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바람이 불어 오는 측의 핀(240)으로부터 바람이 불어 가는 측의 핀(240)을 향하여 중력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면 좋다.
<실시형태 2의 효과>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200)에 의하면, 열교환기(200)를 증발기로서 운용할 때에, 핀(230)의 바람이 불어 오는 측에서 집중적으로 생기는 서리의 융해수가 송풍 팬(2)에서 송풍된 공기에 의해, 도수형상(270)을 타고 핀의(240)의 선단 단연(242)측으로 도수된다. 도수형상(270)은 x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전열관(21)의 y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있다. 또한, 도수형상(270)은 그 단부와 선단 단연(242) 사이에 간격을 가지고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리의 융해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핀(240)측으로 이동하며, 핀(240)의 선단 단연(242) 부근에서 선단 단연(242)을 따라서 하방으로 흘러, 헤더측의 단연(244)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핀(230, 240)에 부착된 서리의 융해수는,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도달하는 일이 없이 열교환기(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200)에 의하면, 서리의 융해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핀(230, 240)의 전체 영역에서 생기는 결로수에 대해서도, 바람이 불어 가는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있어서의 동결의 진행 및 확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신뢰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 따른 열교환기(300)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에 대해, 핀(30)의 하단부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실시형태 3에 따른 열교환기(300)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에 대한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 따른 열교환기(300)의 각 부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실시형태 1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열교환기(300)의 측면도이다. 열교환기(300)의 전열관(21)에는 핀(330) 및 핀(340)이 접속되어 전열관 유닛(320)을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기(300)의 핀(330)은 헤더측의 단연(334)을 포함하는 일부가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와 동일하다. 그러나, 열교환기(300)는 핀(330)의 헤더측의 단연(334)이 하단 헤더(50)측을 향하게 하여 경사져 있으며, 선단(331)은 하단 헤더(50)의 상면(53)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헤더측의 단연(334)은 선단(331)이 전열관(21)측의 단부보다 헤더(50)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시형태 3의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300)는 전열관(21)과 하단 헤더(50)의 상면의 경계부 및 핀(330)과 하단 헤더(50)의 상면의 간극에 있어서 체류된 물이 헤더측의 단연(334)을 타고 선단(331)으로부터 낙하한다. 헤더측의 단연(334)은 전열관(21)측으로부터 선단(331)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단 헤더(50)의 상면(53)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상면(53)의 체류수는 모관현상에 의해 헤더측의 단연(334)의 경사를 따라서 흐른다. 따라서, 전열관(21) 및 핀(330)을 타고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체류된 물이 효율적으로 배출되고,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있어서의 동결의 진행 및 확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신뢰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 핀(330)의 헤더측의 단연(334)은 전열관(21)측으로부터 직선형상으로 하방으로 경사져 있지만, 선단(331)이 하단 헤더(50)의 상면(53)보다 하방에 있으면 그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헤더측의 단연(334)은 원호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하단 헤더(50)의 형상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열교환기(300)의 변형예인 열교환기(300a)의 측면도이다. 열교환기(300a)의 전열관(21)에는 핀(330a) 및 핀(340a)이 접속되어 전열관 유닛(320a)을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기(300a)는, 열교환기(300)의 핀(330)의 선단 단연(332)을 바람이 불어 가는 측을 향하게 한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헤더측의 단연(344a)은 선단(341a)이 전열관(21)측의 단부보다 헤더(50)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300a)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열교환기(200)에 대하여, 또한,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체류된 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쉽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400)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에 대해, 핀(30)을 코루게이티드 핀(corrugated fin)으로 변경한 것이다.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400)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에 대한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400)의 각 부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실시형태 1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13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400)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400)의 하단 헤더(50) 주변의 사시도이다. 열교환기(400)는 2개의 전열관(21)의 사이에 코루게이티드 핀(430)이 마련되어 있다. 도 14에 있어서는, 코루게이티드 핀(430)은 평판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접고 있지만, 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평판을 파형으로 굽혀서 구성할 수도 있다.
코루게이티드 핀(430)은 헤더측의 단연(434)을 포함하는 일부가 하단 헤더(50)의 헤더 단면(5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열교환기(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코루게이티드 핀(430)의 파형은 y방향을 향하여 나열되어 있으며, 열교환기(400)에 송입된 공기가 코루게이티드 핀(430)의 파형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루게이티드 핀(430)은 공기가 전열관(21) 사이를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코루게이티드 핀(430)의 파형의 동위상의 부분은 x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시점에서 코루게이티드 핀(430)의 표면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조(436) 및 오목조(437)가 형성되어 있다. 코루게이티드 핀(430)은 구멍 및 노치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으며, 구멍 및 노치를 타고 하방으로 착상의 융해수 및 결로수를 낙하시킬 수 있다.
코루게이티드 핀(430)은 2개의 전열관(21) 사이에 마련되며, 선단 단연(432)이 전열관(21)의 장축의 한쪽의 단부(23)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코루게이티드 핀(430)의 하단 헤더(50)측의 단연인 헤더측의 단연(434)을 포함하는 코루게이티드 핀(430)의 일부분인 제 1 부분은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헤더측의 단연(434)의 선단(431)은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선단(431)의 하방에는 하단 헤더(50)가 존재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코루게이티드 핀(430)의 선단 단연(432)은 하단 헤더(50)측에 위치하는 선단(431)이 하단 헤더(50)의 한쪽의 헤더 단면(51)보다 x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상단 헤더(60)측에 위치하는 선단(433)이 하단 헤더(50)의 한쪽의 헤더 단면(51)보다 전열관(21)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선단 단연(432)은 상단 헤더(60)측의 선단(433)으로부터 하단 헤더(50)측의 선단(431)을 향하여 전열관(21)의 관축에 대해 경사진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5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400)의 변형예의 열교환기(400a)의 측면도이다. 열교환기(400a)는 코루게이티드 핀(430a)이 파형을 경사지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코루게이티드 핀(430a)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시점에서,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436a) 및 오목조(437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436a) 및 오목조(437a)는 x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단 헤더(50)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400)의 코루게이티드 핀(430)의 하단 헤더(50)측의 선단(431a)이 상면(53)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루게이티드 핀(430, 430a)의 선단 단연(432, 432a)의 형상은,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 도시하는 핀(30a 내지 30c)의 선단 단연(32a 내지 32c)과 같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와 같이, 코루게이티드 핀(430, 430a)의 선단 단연(432, 432a)을 바람이 불어 가는 측을 향하게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4의 효과>
실시형태 4에 따른 열교환기(400, 400a)는 코루게이티드 핀(43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 성능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루게이티드 핀(430)은 착상의 융해수 및 결로수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하단 헤더(50)의 선단(431)으로부터 배출된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1 내지 3과 마찬가지로 열교환기(400, 400a)는 하단 헤더(50)의 상면(53)에 있어서의 동결의 진행 및 확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신뢰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400a)와 같이 코루게이티드 핀(430a)의 파형을 경사지게 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코루게이티드 핀(430a)에 부착된 물이 선단 단연(432)측으로 이동하기 쉽다. 선단 단연(432)으로 이동한 물은 선단 단연(432a)을 타고 선단(431a)에 도달하고, 하방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더욱 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선단(431a)은 하단 헤더(50)의 상면(53)보다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면(53)에 체류된 물도 모관 현상에 의해 헤더측의 단연(434a)을 타고 배출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1: 냉동 사이클 장치 2: 송풍 팬
3: 압축기 4: 사방 밸브
5: 실외 열교환기 6: 팽창 장치
7: 실내 열교환기 8: 실외기
9: 실내기 10: 열교환부
20: 전열관 유닛 21: 전열관
22: 냉매 유로 23: 단부
24: 단부 30: 핀
30a: 핀 30b: 핀
30c: 핀 31: 선단
31a: 선단 31b: 선단
31c: 선단 32: 선단 단연
32a: 선단 단연 32b: 선단 단연
32c: 선단 단연 33: 선단
33b: 선단 34: 헤더측의 단연
35b: 중앙부 40: 핀
50: 하단 헤더 51: 헤더 단면
52: 헤더 단면 53: 상면
60: 상단 헤더 70: 도수형상
80: 판 형상 부재 90: 냉매 배관
100: 열교환기 100a: 열교환기
100b: 열교환기 100c: 열교환기
100d: 열교환기 200: 열교환기
230: 핀 240: 핀
241: 선단 242: 선단 단연
244: 헤더측의 단연 270: 도수형상
300: 열교환기 300a: 열교환기
330: 핀 331: 선단
334: 헤더측의 단연 400: 열교환기
400a: 열교환기 430: 코루게이티드 핀
430a: 코루게이티드 핀 431: 선단
431a: 선단 432: 선단 단연
432a: 선단 단연 433: 선단
434: 헤더측의 단연 434a: 헤더측의 단연
436: 볼록조 436a: 볼록조
437: 오목조 437a: 오목조
1030: 핀 1032: 선단 단연
1100: 열교환기 A: 단면
B: 화살표 C: 화살표
D: 제 1 방향

Claims (14)

  1.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전열관과,
    상기 복수의 전열관의 적어도 1개의 전열관에 접속된 핀과,
    상기 복수의 전열관의 한쪽의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전열관이 병렬되는 방향을 따른 면인 헤더 단면(header end surface)을 갖는 헤더를 구비하고,
    상기 핀은, 상기 헤더측의 단연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을 제외하는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열관의 관축에 대해 직교방향이며 상기 복수의 전열관이 병렬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1 방향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헤더 단면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헤더 단면보다 상기 복수의 전열관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열관의 각각의 다른쪽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핀의 선단은, 상기 헤더 단면보다 상기 전열관측에 위치하며,
    상기 핀의 선단 단연은, 상기 헤더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열교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표면에 도수형상(water guide)이 형성되어 있는
    열교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수형상은,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기 헤더측으로 경사져 있는
    열교환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측의 상기 단연은, 선단이 상기 복수의 전열관측의 단부보다 상기 헤더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열관은 편평관이며, 단면형상의 장축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열교환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복수의 전열관에 접속된 판 형상 부재인
    열교환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복수의 전열관의 사이에 마련된 코루게이티드 핀(corrugated fin)인
    열교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루게이티드 핀은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기 헤더측으로 경사져 있는
    열교환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열교환기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 팬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핀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측을 바람이 불어 오는 측을 향하게 하여 설치되는
    열교환기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 팬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핀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측을 바람이 불어 가는 측을 향하게 하여 설치되는
    열교환기 유닛.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복수의 전열관의 다른쪽의 단부보다 하방에 상기 헤더를 위치시켜 설치되는
    열교환기 유닛.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교환기 유닛을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207037959A 2018-07-11 2018-07-11 열교환기,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505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6186 WO2020012577A1 (ja) 2018-07-11 2018-07-11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957A true KR20210015957A (ko) 2021-02-10
KR102505390B1 KR102505390B1 (ko) 2023-03-02

Family

ID=6914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959A KR102505390B1 (ko) 2018-07-11 2018-07-11 열교환기,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73056B2 (ko)
EP (1) EP3822570B1 (ko)
JP (1) JP6903237B2 (ko)
KR (1) KR102505390B1 (ko)
CN (1) CN112368536B (ko)
AU (1) AU2018431665B2 (ko)
WO (1) WO2020012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112A1 (ja) * 2022-04-07 2023-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熱交換器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WO2024089805A1 (ja) * 2022-10-26 2024-05-0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040A (ja) * 2002-11-28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用室外熱交換器
JP2004251554A (ja) * 2003-02-20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用室外熱交換器
JP2006046698A (ja) * 2004-07-30 2006-02-16 Daikin Ind Ltd 冷凍装置
US20130206376A1 (en) * 2012-02-14 2013-08-15 The University Of Tokyo Heat exchanger, refrigeration cycle device equipped with heat exchanger, or heat energy recovery device
WO2015189990A1 (ja) 2014-06-13 2015-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1794C1 (nl) * 2002-10-31 2004-05-06 Oxycell Holding Bv Warmtewisselaar.
CN201159610Y (zh) * 2007-11-29 2008-12-03 裴世成 冷库用铝合金翅片管
CN101298951A (zh) * 2008-06-20 2008-11-05 清华大学 一种带自分液结构的穿片式微通道换热器
JP2010025480A (ja) * 2008-07-22 2010-02-04 Daikin Ind Ltd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20100071868A1 (en) * 2008-09-19 2010-03-25 Nordyne Inc. Hvac units, heat exchangers, buildings, and methods having slanted fins to shed condensation or for improved air flow
CN101738009B (zh) * 2009-11-30 2011-11-23 江苏康泰热交换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利于冷凝水排出不积留的热交换器
JP2012017875A (ja) * 2010-07-06 2012-01-26 T Rad Co Ltd コルゲートフィン型蒸発器
JP5312413B2 (ja) * 2010-08-09 2013-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5569409B2 (ja) * 2011-01-21 2014-08-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EP2767790B1 (en) * 2011-10-14 2019-12-11 Panasonic Corporation Fin tube heat exchanger
WO2014155560A1 (ja) 2013-03-27 2014-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空調装置
JP6355915B2 (ja) * 2013-11-29 2018-07-11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構造体
JP2016170601A (ja) 2015-03-12 2016-09-23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リモートコピー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ピー方法
US20180100659A1 (en) 2015-03-30 2018-04-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WO2017017789A1 (ja) 2015-07-28 2018-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205332611U (zh) * 2015-12-29 2016-06-22 淄博代克环能空调有限公司 防堵式管翅式换热器
JP6563115B2 (ja) 2016-03-31 2019-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EP3480546B1 (en) * 2016-06-30 2021-03-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WO2018011888A1 (ja) * 2016-07-12 2018-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040A (ja) * 2002-11-28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用室外熱交換器
JP2004251554A (ja) * 2003-02-20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用室外熱交換器
JP2006046698A (ja) * 2004-07-30 2006-02-16 Daikin Ind Ltd 冷凍装置
US20130206376A1 (en) * 2012-02-14 2013-08-15 The University Of Tokyo Heat exchanger, refrigeration cycle device equipped with heat exchanger, or heat energy recovery device
WO2015189990A1 (ja) 2014-06-13 2015-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2577A1 (ja) 2020-01-16
EP3822570A1 (en) 2021-05-19
AU2018431665B2 (en) 2022-06-02
CN112368536B (zh) 2022-04-15
US20210108864A1 (en) 2021-04-15
JPWO2020012577A1 (ja) 2020-12-17
EP3822570A4 (en) 2021-07-28
CN112368536A (zh) 2021-02-12
AU2018431665A1 (en) 2021-01-07
EP3822570B1 (en) 2024-01-03
JP6903237B2 (ja) 2021-07-14
US11573056B2 (en) 2023-02-07
KR102505390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347B1 (ko)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JP6165360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6790077B2 (ja) 熱交換器
EP3156752B1 (en) Heat exchanger
JP4659863B2 (ja) 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これを使用する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10557652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WO2017104050A1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505390B1 (ko) 열교환기, 열교환기 유닛,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6584636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WO2020012549A1 (ja) 熱交換器、熱交換装置、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7112053B2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WO2018207321A1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932262B2 (ja)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7850358B (zh) 热交换器及制冷循环装置
WO2020012548A1 (ja)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921323B2 (ja)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545357B2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