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021A -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021A
KR20210013021A KR1020207030380A KR20207030380A KR20210013021A KR 20210013021 A KR20210013021 A KR 20210013021A KR 1020207030380 A KR1020207030380 A KR 1020207030380A KR 20207030380 A KR20207030380 A KR 20207030380A KR 20210013021 A KR20210013021 A KR 2021001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estimated
timing
judgment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053B1 (ko
Inventor
유키 야노
타쿠야 토쿠오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결정한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와, 작업자가 처치를 행해야 할 타이밍인 처치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치 타이밍 결정부와, 처치 타이밍을 처치 내용과 함께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다. 처치 타이밍 결정부는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처치후 상정 수량과 계획 수량의 차로부터 산출되는 여유시간 내에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결정하고,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신속하게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은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19-21008호 공보)에는 제조물을 제조하는 제조 설비의 설비 요소의 보수의 필요 여부를 판정해서 보고하는 설비 요소 보수 분석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설비 요소 보수 분석 시스템은 설비 요소의 에러율을 산출하고, 에러율이 소정값 이상의 설비 요소를 보수 필요라고 판정하는 것이지만, 보수의 타이밍까지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소63-85862호 공보)에는 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계원 작업의 예정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갖는 스케줄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조정 수단은 계원 작업 시간대를 비켜 놓기 위해 각 장치의 동작 속도 제어를 행하는 것이지만, 그 때에 제조물의 계획 수량과 상정 수량의 관계에 의거한 여유시간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3(일본 특허공개 2011-39751호 공보)에는 생산 장치의 가동 부품의 소모량을 산출해서 메인터넌스의 필요한 유무와 메인터넌스의 소요시간을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메인터넌스 처리 중에 제1메인터넌스의 소요시간 이하의 소요시간의 제2메인터넌스 처리를 실시하도록 생산 장치를 제어하거나, 잡의 실행전에 가동 부품의 메인터넌스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결정하거나 하는 것이지만, 그 때에 제조물의 계획 수량과 상정 수량의 관계에 의거한 여유시간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4(일본 특허공개 2014-164322호 공보)에는 보수 대상 설비의 부품의 보수 작업 타이밍을 판정해서 출력하는 보수 작업 타이밍 판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보수 작업 타이밍 판정 장치는 부품의 누적 운전 시간과 보수 작업 실시율의 관계에 의거해서 보수 작업 타이밍을 판정하는 것이지만, 그 때에 제조물의 계획 수량과 상정 수량의 관계에 의거한 여유시간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5(일본 특허공개 2018-32206호 공보)에는 메인터넌스를 행한 경우의 비용에 의거해서 복수의 타이밍 조건 후보로부터 메인터넌스의 타이밍 조건을 선택하는 보수 지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비용이란 특허문헌 5의 단락 002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비용과 트러블 비용을 합계한 것이다. 이 보수 지원 장치는 보수의 대상을 물을 제조하는 설비로 특정한 것은 아니고, 따라서, 타이밍 조건을 선택할 때에, 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조물의 계획 수량과 상정 수량의 관계에 의거한 여유시간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6(일본 특허공개 2018-169684호 공보)에는 건설 기계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의 발생일을 예측하는 것 및 메인터넌스 작업 일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영업 지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영업 지원 장치는 공사 종료 예정일 등 여러가지 정보에 의거해서 메인터넌스 작업의 발생일을 산출하는 것이지만, 공사 종료 예정일까지의 공사의 진척의 여유시간을 고려해서 메인터넌스를 해야 할 날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이 영업 지원 장치는 건설 기계를 보수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물을 제조하는 설비를 보수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7(일본 특허공개 2014-21627호 공보)에는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의 제1유예 기간, 또는/및 고장이 발생하지 않고 예방 보수를 연기 가능한 제2유예 기간을 추정하는 유예 기간 추정부를 구비한 가동 기계의 보수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유예 기간은 요컨대, 과거의 사례 데이터에 의거해서 추정되는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조물의 계획 수량과 상정 수량의 관계에 의거해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8(일본 특허공개 2018-13842호 공보)에는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차량의 소모 열화품에 대해서 메인터넌스 시기를 특정해서 여유도를 판정하는 여유도 판정부를 구비하는 소모 열화품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8의 단락 0019에 의하면, 여유도는 주행 이력 데이터나 메인터넌스 실시 이력 데이터 등에 의거해서 결정하면 좋은 것으로서, 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조물의 계획 수량과 상정 수량의 관계에 의거해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이 소모 열화품 관리 장치는 차량을 보수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물을 제조하는 설비를 보수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 특허공개 2019-2100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소 63-8586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3975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16432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8-3220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8-16968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2162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8-13842호 공보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에 있어서는 설비의 가동 중에 작업자에 의한 처치를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발생 개소를 탐색하고, 원인을 조사하고, 대처를 행한다는 처치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처치를 할 때에는, 종종, 처치를 하는 동안 설비의 가동을 정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가동을 계속한 경우에 비해 상정 수량(즉, 추정되는 제조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설비의 이상에 의해 제조능력(즉, 시간당 제조 수량)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치를 함으로써 제조능력의 회복이 예상되어 상정 수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들은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처치를 행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정할 때에는, 처치에 요하는 시간의 견적이나 처치에 의한 제조능력의 회복량의 예상 등의 여러 조건을 고려해서 상정 수량에 대해서 어느 쪽의 경우가 보다 유리한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검토를 거듭했다.
또한, 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의뢰자와의 계약이나 자기의 사업목표 등에 의거해서 기한 및 계획 수량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들은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처치를 행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정할 때에는, 상술의 여러 조건에 추가해서 기한이나 계획 수량에 대해서도 고려에 넣은 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그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설비의 가동을 그대로 계속하고 있으면 기한까지 계획 수량을 달성할 수 있었는데도, 판단을 잘못해서 설비의 가동을 정지해서 처치를 했기 때문에 미달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설비의 이상을 해소하는 처치를 하면 제조능력이 회복되어 계획 수량을 달성할 수 있었는데도, 판단을 잘못해서 이상을 방치해서 가동을 계속했기 때문에 미달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발명자들은 설비의 이상에 대한 처치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한까지 계획 수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처치를 할 때까지 어느 만큼의 여유시간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때로는 중요하다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그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하나의 설비 A의 이상에 대해서 처치를 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설비 B에 대해서도 이상이 발생하여 같은 작업자가 처치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설비 A의 처치를 그대로 계속해야 하는지, 아니면 설비 A의 처치를 일시 중지하고 설비 B의 처치를 먼저 행해야 하는지는 각각의 처치의 여유시간을 알 수 있으면 적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부재가 되는 시간대에 설비에 이상이 일어난 경우에, 긴급하게 작업자를 호출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도 여유시간의 정보가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양태에 있어서,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설비에 관한 1개 이상의 상태지표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상태지표가 이상값을 나타내는 율인 이상 발생률이 상기 상태지표에 관련해서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이상 발생률 판정부를 갖는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또한, 이상 발생률 판정부에 있어서 이상 발생률이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내용인 처치 내용을 결정하는 처치 내용 결정부를 갖는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또한, 작업자가 처치 내용에 따라 즉시 처치를 개시했다고 가정한 경우에 소정의 기한까지 제조된다고 추정되는 물의 수량인 처치후 상정 수량이,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기한까지 제조된다고 추정되는 물의 수량인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를 갖는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또한,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처치후 상정 수량이 기한까지 제조하는 목표로서 설정된 물의 수량인 계획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를 갖는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또한,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할 타이밍인 처치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치 타이밍 결정부를 갖는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또한, 처치 타이밍을 처치 내용과 함께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다.
처치 타이밍 결정부는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처치후 상정 수량과 계획 수량의 차로부터 산출되는 여유시간 내에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처치 타이밍 결정부는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신속하게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를 더 갖는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은 제2처치후 상정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작업자가 처치 내용에 따라서 처치를 한 경우에 상정되는 이익인 처치후 상정 이익이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상정되는 이익인 미처치시 상정 이익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이익 비교부를 더 갖는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처치 타이밍 결정부는 또한,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이익 비교부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이익이 미처치시 상정 이익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신속하게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처치 내용 결정부는 상태지표마다 정해진 판단 근거를 요소로 하는 판단 근거 리스트 및 판단 근거에 대응된 작업 내용을 요소로 하는 작업 내용 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 기억부와, 판단 근거 리스트 내의 판단 근거로부터 현상황에 합치하는 것을 추출하는 판단 근거 대조부를 갖는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처치 내용 결정부는 판단 근거 대조부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할 때에는, 추출된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해서 우선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우선도에 의거해서 추출된 판단 근거 중에서 1개 이상의 판단 근거를 선택하고, 선택된 판단 근거에 대응하는 작업 내용을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처치 내용 결정부는 판단 근거 대조부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작업 내용 리스트 내의 모든 작업 내용을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처치 내용 결정부는 판단 근거 대조부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할 때에는, 추출된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판단 근거의 원인을 해소한 경우의 효과를 추정하고, 적어도 우선도 및 추정된 효과에 의거해서 추출된 판단 근거 중에서 1개 이상의 판단 근거를 선택하고, 선택된 판단 근거에 대응하는 작업 내용을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한다.
본 발명은 일양태에 있어서,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양태에 있어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의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필요 여부, 내용, 및 타이밍이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그 때, 설비의 상태로부터 결정되는 처치 내용에 따라 처치를 행함으로써 기한까지의 제조 수량의 개선이 예상되는지의 여부, 또한, 처치를 행한 경우에 기한까지 계획 수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라는 판단이 이루어지고, 그 판단의 결과에 의거해서 처치를 행해야 하는지의 여부, 무엇을 해야 할지, 기한까지 계획 수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처치를 개시할 때까지 어느 만큼의 여유시간이 있는 것인지, 또는 신속하게 처치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라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처치를 행한 경우에 이익의 개선이 예상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이 이루어져서 처치의 필요 여부의 결정에 반영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상의 원인을 해소하는 우선도 및 이상의 원인을 해소한 경우에 추정되는 효과에 의거해서 적절한 처치 내용이 결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상 대조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미처치시 상정 수량과 처치후 상정 수량과 계획 수량의 관계에 관한 4개의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은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고 또한 계획 수량을 달성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2)는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지만 계획 수량을 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3)은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만 계획 수량을 달성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4)는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고 또한 계획 수량을 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태지표마다 정해지는 예시적인 판단 근거 리스트 및 작업 내용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은 설비(P)에 관한 상태지표의 정보(151)에 의거해서 이상에의 처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 처치를 개시해야 할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를 출력부(13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은 이상 발생률 판정부(111)와, 처치 내용 결정부(112)와,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113)와,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114)와, 처치 타이밍 결정부(115)를 포함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처치 내용 결정부(112)는 판단 근거 리스트(122) 및 작업 내용 리스트(123)를 저장하는 리스트 기억부(121)와 판단 근거 대조부(118)를 포함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은 제2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116)와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이익 비교부(117)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은 중앙 처리 장치(CPU)와, 중앙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RAM, RO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기억 장치와, 이들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버스를 갖는 범용 컴퓨터를 사용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에는 필요에 따라서 CD-ROM 또는 DVD-ROM 등의 외부 기억 매체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드라이브 장치와,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와, CRT,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등의 출력 장치와, 다른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상을 처치해야 할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처리 플로우(300)를 나타낸다.
처리 플로우(300)는 스텝 301에 있어서 개시한다.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은 설비(P)로부터 상태지표의 정보(151)를 받을 때마다 플로우(300)를 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은 플로우(300)를 정기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실행되도록 반복하여 개시하도록 하고, 그 때마다, 설비(P)로부터 상태지표의 정보(151)를 취득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태지표는 설비(P)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설비(P)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히 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설비(P)가 RTP 장치인 경우에 있어서는 도 6의 제일 왼쪽의 열에 예시되듯이, 「첩부 정밀도」 「이물의 부착」 「기포의 발생」 「결락·갈라짐의 발생」을 각각 상태지표로 할 수 있다. RTP 방식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띠형상의 이형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개재해서 복수의 시트상 광학 필름이 지지된 띠형상 광학 필름 적층체로부터 결점이 존재하지 않는 정상인 시트상 광학 필름만을 점착제층과 함께 이형 필름으로부터 순차 박리하고, 점착제층을 개재해서 직사각형 패널과 접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실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연속 제조 시스템은 미리 잘라낸 광학 필름의 시트를 직사각형 패널에 접합하는 종래의 개별 접합 방식을 실현하는 장치와 구별해서 「연속 접합」 또는 「RTP(롤 투 패널))」장치라고 일컬어진다. 「RTP」 및 「롤 투 패널」은 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의 등록상표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첩부 정밀도」란 패널에 광학 필름을 접합했을 때의 패널 상의 목표위치에 대한 광학 필름의 실제의 위치의 오차를 나타내는 상태지표이며, 「이물의 부착」이란 광학 필름을 접합한 패널에 검출될 수 있는 이물의 부착에 관한 상태지표이며, 「기포의 발생」이란 패널에 접합한 광학 필름에 검출될 수 있는 기포에 관한 상태지표이며, 「결락·갈라짐」이란 패널에 검출될 수 있는 결락이나 갈라짐에 관한 상태지표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스텝 302에 있어서, 상태지표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상태지표가 이상값을 나타내는 율인 이상 발생률이 상기 상태지표에 관련해서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여기에서, 이상값이란 상태지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설비(P)의 상태가 제조능력(즉, 단위시간당 제조 수량)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TP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첩부 정밀도」가 이상값이다란 위치의 오차가 소정의 허용 오차의 범위를 초과한 값인 것으로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허용 오차의 범위를 초과한 위치에 광학 필름이 접합된 패널은 불합격품이 되고, 수율이 저하되므로 제조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물의 부착」이 이상값이다란 이물의 부착이 검출된 것으로 정할 수 있다. 이상 발생률은 설비(P)가 제조하고 있는 물이나, 상태지표의 성질에 의거해서 상기 상태지표가 이상값을 나타내는 횟수의 비율로 하는 것이나, 단위시간당 이상값의 발생 횟수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발생률이 상기 상태지표에 관련해서 정해진 임계값(예를 들면, 최근 100회 중 이상값이 5회)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303으로 진행한다. 한편, 이상 발생률이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현시점에서는 처치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해서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를 출력하지 않고 스텝 311로 진행한다.
스텝 303에 있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내용인 처치 내용이 결정된다. 여기에서, 도 4를 참조해서 처치 내용 결정의 처리의 일구체예를 설명한다. 처치 내용 결정의 처리의 플로우(400)는 스텝 401에서 개시한다. 스텝 402에 있어서, 리스트 기억부(121)에 저장된 판단 근거 리스트(122)내로부터 상태지표에 대응하고, 또한 현상황에 합치하는 판단 근거가 추출된다. 예를 들면, 설비(P)가 RTP 장치이며, 도 6에 예시된 판단 근거 리스트(6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상 발생률이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상태지표가 「첩부 정밀도」이면, 판단 근거 리스트(620)내에 있는 「최근에 파라미터를 변경했다」 「최근에 원반을 교환했다」 「피드 롤러의 교환 시기가 가깝거나 또는 지났다」 「첩부 롤러의 교환 시기가 가깝거나 또는 지났다」의 4개의 판단 근거 중 현상황에 합치하는 것이 추출된다. 현상황은 예를 들면, 작업자에 의해 입력되는 처치 및 처치 이외의 작업의 정보(153)나, 설비(P)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정보(154) 등에 의거해서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403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추출된 판단 근거가 1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404로 진행한다. 스텝 404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판단 근거의 원인을 해소한 경우의 효과가 추정된다. 또한, 스텝 405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해서 우선도가 결정된다. 그 후, 스텝 406에 있어서, 우선도 및 추정된 효과에 의거해서 추출된 판단 근거 중에서 1개 이상의 판단 근거가 선택되고, 그것에 대응하는 작업 내용 리스트 내의 작업 내용이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예시된 판단 근거 리스트(620) 및 작업 내용 리스트(6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첩부 정밀도」의 상태지표에 대해서 선택된 판단 근거가 「피드 롤러의 교환 시기가 가깝거나 또는 지났다」이면, 그것에 대응하는 작업 내용인 「피드 롤러 교환」이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된다.
한편, 스텝 403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409로 진행한다. 스텝 409에 있어서, 판단 근거 리스트(122)내로부터 상태지표에 대응하는 모든 판단 근거가 선택된다. 그리고,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한 효과의 추정 및 우선도의 결정은 행해지지 않고,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내용이 모두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된다. 예를 들면, 설비(P)가 RTP 장치이며, 도 6에 예시된 판단 근거 리스트(620) 및 작업 내용 리스트(6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첩부 정밀도」의 상태지표에 대해서 「최근에 파라미터를 변경했다」 「최근에 원반을 교환했다」 「피드 롤러의 교환 시기가 가깝거나 또는 지났다」 「첩부 롤러의 교환 시기가 가깝거나 또는 지났다」의 어느 것이나 현상황에 합치하지 않으면, 이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수정」 「파라미터 조정」 「피드 롤러 교환」 「첩부 롤러 교환」의 전체가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된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304에 있어서, 작업자가 스텝 303(즉, 처치 내용 결정의 처리의 플로우(400))에 있어서 결정된 처치 내용에 따라서 즉시 처치를 개시했다고 가정한 경우에 소정의 기한까지 제조된다고 추정되는 물의 수량인 처치후 상정 수량과,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기한까지 제조된다고 추정되는 물의 수량인 미처치시 상정 수량이 비교된다.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치를 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를 출력하지 않고 스텝 311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304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305로 진행한다. 스텝 305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과, 기한까지 제조하는 목표로서 설정된 물의 수량인 계획 수량이 비교된다.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단된 경우, 즉, 즉시 처치를 개시했다고 가정하면 계획 수량을 달성할 수 있다고 예상되는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306에 있어서, 처치 타이밍으로서 처치후 상정 수량과 계획 수량의 차로부터 산출되는 여유시간 내에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이 결정된다. 한편,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즉, 즉시 처치를 개시했다고 가정해도 계획 수량을 달성할 수 없다고 예상되어 시간적 여유가 전혀 없는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307에 있어서, 처치 타이밍으로서 신속하게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이 결정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스텝 310에 있어서,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가 출력되어 작업자에게 통지된다.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가 통지된 작업자는 설비(P)의 이상에 대한 처치를 행하고, 그 처치 및 처치 이외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다.
스텝 311에 있어서, 처리 플로우(300)는 종료한다.
도 5의 (1)∼(4)의 그래프는 미처치시 상정 수량과 처치후 상정 수량과 계획 수량의 관계에 관한 4개의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각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tc는 현시점, te는 기한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제조 수량을 나타내고, p는 계획 수량을 나타낸다. 현시점(tc)보다 좌측의 실선부(A)는 현시점까지의 실제의 제조 수량의 추이를 나타낸다. 현시점(tc)보다 우측의 실선부(B)는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추정되는 제조 수량의 추이를 나타낸다. 기한(te)에 있어서의 실선부(B)의 높이가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나타낸다. 파선부(C)는 즉시 처치를 개시했다고 가정한 경우에 추정되는 처치 중의 제조 수량의 추이를 나타낸다. 처치 중에는 설비(P)의 가동은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물의 제조는 행하지 않고, 따라서 파선부(C)는 수평한 선이 된다. 실선부(D)는 즉시 처치를 했다고 가정한 경우에 추정되는 처치후의 제조 수량의 추이를 나타낸다. 기한(te)에 있어서의 실선부(D)의 높이가 처치후 상정 수량을 나타낸다.
(1)의 패턴에 있어서는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고, 계획 수량(p)에도 도달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스텝 304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므로,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는 출력되지 않게 된다.
(2)의 패턴에 있어서는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지만, 계획 수량(p)에는 도달한다. 이 경우에도, (1)의 패턴과 마찬가지로, 스텝 304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므로,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는 출력되지 않게 된다. 또한, (1)의 패턴과 (2)의 패턴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별될 수 있다.
(3)의 패턴에 있어서는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만, 계획 수량(p)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스텝 304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단되고, 스텝 305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므로, 스텝 307에 있어서, 처치 타이밍으로서 신속하게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이 결정되게 된다.
(4)의 패턴에 있어서는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고, 또한 계획 수량(p)에 도달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 304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단되고, 스텝 305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므로, 스텝 306에 있어서, 처치 타이밍으로서 처치후 상정 수량과 계획 수량의 차로부터 산출되는 여유시간 내에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이 결정된다.
(4)의 패턴에 있어서, 일례로서, 여유시간을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실선부(B)의 기울기(즉,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추정되는 제조능력(즉, 단위시간당 제조 수량)) 및 실선부(D)의 기울기(즉, 처치를 한 경우에 추정되는 처치후의 제조능력)는 각각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실선부(B)의 기울기를 b, 실선부(D)의 기울기를 d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b는 이미 이상이 발생했다고 생각되는 과거 최근의 일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제조능력으로 할 수 있고, d는 이상이 생기기 전의, 예를 들면 제조 개시후 얼마 안 된 제조가 안정되어 있던 시기의 제조능력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처치는 제조능력을 회복하기 위해서 행할 수 있고, 따라서 d>b이다. 또한, 처치후 상정 수량과 계획 수량(p)의 차를 ε으로 한다. 이 때, 여유시간은 ε/(d-b)로 산출할 수 있다. 이 여유시간의 종료시에 처치를 개시했다고 가정한 경우, 기한(te)에서의 상정되는 제조 수량은 계획 수량(p)에 일치하는 것이 계산 상 확인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상을 처치해야 할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처리 플로우(700)를 나타낸다. 처리 플로우(700)의 각 스텝은 스텝 708 및 스텝 709를 제외하고는 이미 설명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플로우(300)의 각 스텝과 동일하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제1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스텝 704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이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예를 들면, 도 5의 (1) 및 (2)의 경우)에는 스텝 708에 있어서, 처치후 상정 수량과 계획 수량이 비교된다.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예를 들면, 도 5의 (1)의 경우)에는 처치를 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해서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를 출력하지 않고 스텝 711로 진행한다. 한편, 처치후 상정 수량이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된 경우(예를 들면, 도 5의 (2)의 경우)에는 스텝 709에 있어서, 작업자가 처치 내용에 따라서 처치를 한 경우에 상정되는 이익인 처치후 상정 이익과,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상정되는 이익인 미처치시 상정 이익이 비교된다. 여기에서, 이익이란, 예를 들면, 계획 수량을 기한보다 조기에 달성하는 것에 의한 이익, 또는 기한에 있어서 보다 많은 물을 제조하는 것에 의한 이익이나, 부품의 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부품의 조달 비용에 따른 마이너스의 이익 등, 상정 가능한 정부의 이익을, 예를 들면 금액 또는 점수로 환산해서 합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처치후 상정 이익이 미처치시 상정 이익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치를 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해서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를 출력하지 않고 스텝 711로 진행한다. 한편, 처치후 상정 이익이 미처치시 상정 이익을 상회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707로 진행하고, 그곳에서 스텝 307과 마찬가지로, 처치 타이밍으로서 신속하게 작업자가 처치를 행해야 하는 것이 결정되고, 그 후, 스텝 710에 있어서,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가 출력되어 작업자에게 통지된다.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가 통지된 작업자는 설비(P)의 이상에 대한 처치를 행하고, 그 처치 및 처치 이외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이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설비(P)의 작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100)이 출력하는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에 의거해서 설비(P)의 이상에 대해서 처치를 행할 수 있다. 처치 타이밍으로서 여유시간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계획 수량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 여유시간 내에 처치를 개시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다른 작업을 우선시키는 등의 판단을 할 수 있다. 한편, 처치 타이밍으로서 신속하게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계획 수량을 달성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는 없어 가능하면 즉시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처치의 준비를 하거나 현장으로 이동하거나 하기 위해서 처치의 개시까지 시간을 요하여 여유시간 내에 또는 즉시 처치를 개시할 수 없는 상황도 상정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 있어서, 작업자는 예를 들면, 준비나 이동을 서두르거나, 감독자에게 상황을 보고해서 지시를 바라거나 하는 등의, 적절한 행동을 취하기 위한 판단에도 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152)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100: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111:이상 발생률 판정부
112:처치 내용 결정부
113: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
114: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
115:처치 타이밍 결정부
116: 제2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
117:처치후 체 미처치시 상정 이익 비교부
118:판단 근거 대조부
121:리스트 기억부
122:판단 근거 리스트
123:작업 내용 리스트
130:출력부
151:상태지표의 정보
152:처치 타이밍 및 처치 내용의 정보
153:작업자에 의한 처치 및 작업의 정보
154:설비(P)로부터 취득 가능한 정보

Claims (9)

  1.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설비에 관한 1개 이상의 상태지표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상태지표가 이상값을 나타내는 율인 이상 발생률이 상기 상태지표에 관련해서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이상 발생률 판정부와,
    상기 이상 발생률 판정부에 있어서 상기 이상 발생률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내용인 처치 내용을 결정하는 처치 내용 결정부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처치 내용에 따라서 즉시 처치를 개시했다고 가정한 경우에 소정의 기한까지 제조된다고 추정되는 상기 물의 수량인 처치후 상정 수량이,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기한까지 제조된다고 추정되는 상기 물의 수량인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와,
    상기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기한까지 제조하는 목표로서 설정된 상기 물의 수량인 계획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와,
    상기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할 타이밍인 처치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치 타이밍 결정부와,
    상기 처치 타이밍을 상기 처치 내용과 함께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고,
    상기 처치 타이밍 결정부는,
    상기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과 상기 계획 수량의 차로부터 산출되는 여유시간 내에 상기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상기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계획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즉시 상기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상기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계획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와,
    상기 제2처치후 상정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처치 내용에 따라서 처치를 한 경우에 상정되는 이익인 처치후 상정 이익이,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상정되는 이익인 미처치시 상정 이익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이익 비교부를 더 갖고,
    상기 처치 타이밍 결정부는 또한, 상기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이익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이익이 상기 미처치시 상정 이익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즉시 상기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상기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내용 결정부는,
    상기 상태지표마다 정해진 판단 근거를 요소로 하는 판단 근거 리스트 및 상기 판단 근거에 대응된 작업 내용을 요소로 하는 작업 내용 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 기억부와,
    상기 판단 근거 리스트 내의 상기 판단 근거로부터 현상황에 합치하는 것을 추출하는 판단 근거 대조부를 갖고,
    상기 판단 근거 대조부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할 때에는, 상기 추출된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해서 우선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상기 우선도에 의거해서 상기 추출된 판단 근거 중에서 1개 이상의 판단 근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판단 근거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내용을 상기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판단 근거 대조부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작업 내용 리스트 내의 모든 상기 작업 내용을 상기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하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내용 결정부는 상기 판단 근거 대조부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할 때에는, 상기 추출된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판단 근거의 원인을 해소한 경우의 효과를 추정하고, 적어도 상기 우선도 및 추정된 상기 효과에 의거해서 상기 추출된 판단 근거 중에서 1개 이상의 판단 근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판단 근거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내용을 상기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하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5. 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이상에 대해서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설비에 관한 1개 이상의 상태지표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상태지표가 이상값을 나타내는 율인 이상 발생률이 상기 상태지표에 관련해서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이상 발생률 판정 공정과,
    상기 이상 발생률 판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이상 발생률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작업자가 행해야 할 처치의 내용인 처치 내용을 결정하는 처치 내용 결정 공정과,
    상기 작업자가 상기 처치 내용에 따라서 즉시 처치를 개시했다고 가정한 경우에 소정의 기한까지 제조된다고 추정되는 상기 물의 수량인 처치후 상정 수량이,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기한까지 제조된다고 추정되는 상기 물의 수량인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 공정과,
    상기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기한까지 제조하는 목표로서 설정된 상기 물의 수량인 계획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 공정과,
    상기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할 타이밍인 처치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치 타이밍 결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처치 타이밍 결정 공정은,
    상기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과 상기 계획 수량의 차로부터 산출되는 여유시간 내에 상기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상기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1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계획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즉시 상기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상기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수량 비교 공정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미처치시 상정 수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계획 수량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처치후 상정 수량 대 계획 비교 공정과,
    상기 제2처치후 상정 대 계획 비교 공정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수량이 상기 계획 수량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처치 내용에 따라서 처치를 한 경우에 상정되는 이익인 처치후 상정 이익이,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상정되는 이익인 미처치시 상정 이익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이익 비교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치 타이밍 결정 공정은 또한, 상기 처치후 대 미처치시 상정 이익 비교 공정에 있어서 상기 처치후 상정 이익이 상기 미처치시 상정 이익을 상회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즉시 상기 작업자가 처치를 개시해야 하는 것을 상기 처치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지표마다 정해진 판단 근거를 요소로 하는 판단 근거 리스트 및 상기 판단 근거에 대응된 작업 내용을 요소로 하는 작업 내용 리스트가 미리 준비되어 있고,
    상기 처치 내용 결정 공정은,
    상기 판단 근거 리스트 내의 상기 판단 근거로부터 현상황에 합치하는 것을 추출하는 판단 근거 대조 공정과,
    상기 판단 근거 대조 공정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할 때에는, 상기 추출된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해서 우선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상기 우선도에 의거해서 상기 추출된 판단 근거 중에서 1개 이상의 판단 근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판단 근거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내용을 상기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판단 근거 대조 공정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작업 내용 리스트 내의 모든 상기 작업 내용을 상기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내용 결정 공정은 상기 판단 근거 대조 공정에 있어서 추출된 판단 근거가 존재할 때에는, 상기 추출된 판단 근거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판단 근거의 원인을 해소한 경우의 효과를 추정하고, 적어도 상기 우선도 및 상기 효과에 의거해서 상기 추출된 판단 근거 중에서 1개 이상의 판단 근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판단 근거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내용을 상기 처치 내용으로서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9.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스텝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30380A 2019-07-22 2020-01-09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25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34339A JP6736733B1 (ja) 2019-07-22 2019-07-22 設備異常処置タイミング決定システム、設備異常処置タイミング決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JP-P-2019-134339 2019-07-22
PCT/JP2020/000456 WO2021014661A1 (ja) 2019-07-22 2020-01-09 設備異常処置タイミング決定システム、設備異常処置タイミング決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021A true KR20210013021A (ko) 2021-02-03
KR102225053B1 KR102225053B1 (ko) 2021-03-09

Family

ID=7189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380A KR102225053B1 (ko) 2019-07-22 2020-01-09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36733B1 (ko)
KR (1) KR102225053B1 (ko)
CN (1) CN112639848B (ko)
TW (1) TWI723742B (ko)
WO (1) WO20210146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66A1 (ko) 2021-01-29 2022-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4259B2 (ja) * 2020-11-17 2022-08-24 株式会社Plmレボリューション 複数の判断材料と要求の全てが反映された判断業務のit化
JP2022121329A (ja) 2021-02-08 2022-08-19 株式会社ミツトヨ 変位測定装置
JP2022162973A (ja) * 2021-04-13 2022-10-25 株式会社Sumco 保全管理装置、保全管理方法、及び保全管理プログラム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862A (ja) 1986-09-29 1988-04-16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スケジユ−ル制御システム
JP2011039751A (ja) 2009-08-10 2011-02-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21627A (ja) 2012-07-13 2014-0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稼働機械の保守管理装置
JP2014164322A (ja) 2013-02-21 2014-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保守作業タイミング判定装置、保守作業タイミング判定システム、保守作業タイミング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13842A (ja) 2016-07-19 2018-01-25 株式会社デンソー 消耗劣化品管理装置及び消耗劣化品管理プログラム
JP2018032206A (ja) 2016-08-24 2018-03-01 株式会社東芝 保守支援装置、保守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97768A (ko) * 2016-04-08 2018-08-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JP2018169684A (ja) 2017-03-29 2018-11-01 日立建機株式会社 営業支援装置
JP2019021008A (ja) 2017-07-18 2019-0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設備要素保守分析システムおよび設備要素保守分析方法
KR20190029751A (ko) * 2016-09-07 2019-03-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038623A (ko) * 2016-09-16 2019-04-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설비 상태 추정 장치, 설비 상태 추정 방법 및 설비 상태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0661B2 (ja) * 1996-11-26 2003-04-28 松下電工株式会社 生産管理方法
JP2000077289A (ja) * 1998-08-27 2000-03-14 Fujitsu Ltd 製造予測管理システム
CN100555567C (zh) * 2004-11-30 2009-10-28 尼康股份有限公司 组件处理系统、信息显示方法及其应用装置
JP4736689B2 (ja) * 2005-10-11 2011-07-27 オムロン株式会社 生産管理装置、生産管理方法、生産管理プログラム、生産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生産システム
TW201017447A (en) * 2008-10-31 2010-05-01 Tong Dean Tech Co Ltd An early stage abnormality prediction device for fabrication process and its prediction method
JP5439357B2 (ja) * 2010-12-28 2014-03-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工事時期選択装置及び工事時期選択方法
JP5627518B2 (ja) * 2011-03-16 2014-11-19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電源管理方法
JP6647934B2 (ja) * 2016-03-25 2020-02-14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東日本 生産計画改善支援システム
CN106570773A (zh) * 2016-10-27 2017-04-19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设备运行及维护信息收集处理方法
JP7056574B2 (ja) * 2016-10-31 2022-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生産管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CN107315396B (zh) * 2017-05-27 2019-06-1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六研究所 一种状态监测维修与预测维修混合维修规划方法及系统
CN108960773B (zh) * 2018-06-28 2021-12-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业务管理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9615115B (zh) * 2018-11-19 2022-09-06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面向任务可靠性的集成生产任务调度方法
CN109993327B (zh) * 2019-04-28 2020-05-05 秦皇岛智隆网络科技有限公司 设备维修保养系统及维修保养方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862A (ja) 1986-09-29 1988-04-16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スケジユ−ル制御システム
JP2011039751A (ja) 2009-08-10 2011-02-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21627A (ja) 2012-07-13 2014-0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稼働機械の保守管理装置
JP2014164322A (ja) 2013-02-21 2014-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保守作業タイミング判定装置、保守作業タイミング判定システム、保守作業タイミング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97768A (ko) * 2016-04-08 2018-08-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JP2018013842A (ja) 2016-07-19 2018-01-25 株式会社デンソー 消耗劣化品管理装置及び消耗劣化品管理プログラム
JP2018032206A (ja) 2016-08-24 2018-03-01 株式会社東芝 保守支援装置、保守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29751A (ko) * 2016-09-07 2019-03-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038623A (ko) * 2016-09-16 2019-04-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설비 상태 추정 장치, 설비 상태 추정 방법 및 설비 상태 관리 시스템
JP2018169684A (ja) 2017-03-29 2018-11-01 日立建機株式会社 営業支援装置
JP2019021008A (ja) 2017-07-18 2019-0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設備要素保守分析システムおよび設備要素保守分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66A1 (ko) 2021-01-29 2022-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5105A (zh) 2021-02-01
CN112639848A (zh) 2021-04-09
CN112639848B (zh) 2022-05-13
TWI723742B (zh) 2021-04-01
KR102225053B1 (ko) 2021-03-09
JP6736733B1 (ja) 2020-08-05
WO2021014661A1 (ja) 2021-01-28
JP2021018626A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053B1 (ko)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시스템, 설비 이상 처치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ieńkowski Waste measurement techniques for lean companies
US7558638B2 (en) Applying real-time control to a production system
US20150254908A1 (en) Maintenance planning optimization for repairable items based on prognostics and health monitoring data
CN105824304A (zh) 一种考虑机加工设备可用性的柔性作业车间动态调度方法
Pillay et al. A maintenance study of fishing vessel equipment using delay‐time analysis
EP2665030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an automatic recovery from a fault situation in a production plant
Puvanasvaran et al. Integration of poka yoke into process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A case study
CN103744778A (zh) 基于移动点的isq-fdefce软件可靠性增长模型
KR100453699B1 (ko) 생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제공방법 및 장치
CN106557839B (zh) 一种基于大数据的设备维修策略优化方法及系统
KR20210088560A (ko) 작업자 선정 시스템, 작업자 선정 방법 및 작업자 선정 컴퓨터 프로그램
US9063541B2 (en) Method and means for tracking corrosion-related plant operation costs
CN116384876A (zh) 基于维纳过程的备件动态库存-生产控制方法、系统及介质
KR102265559B1 (ko) 작업자 선정 시스템, 작업자 선정 방법 및 작업자 선정 컴퓨터 프로그램
JP2020135232A (ja) 故障リスク評価システム及び故障リスク評価方法
Abdelalim IRVQM;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tegrating Risk, Value and Quality Management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JP2015194805A (ja) 予測プログラム,予測装置及び予測方法
Mohapatra Improvised process for quality through quantitative project management: an experience from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EP3001361A1 (en) Collecting by a MES system time-stamps of working-statuses
JP2005071136A (ja) 納期管理支援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製品の納期管理方法
Gaber et al. Comparative Study for Software Project Management Approaches and Change Management in the Project Monitoring & Controlling
KR102606669B1 (ko) IoT를 이용한 소방차의 화재진화성능 향상 및 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37098B1 (ko) 운영시스템의 장애 발생 판단방법
JP2009003742A (ja) 業務遅延予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