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685A -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685A
KR20210008685A KR1020190085134A KR20190085134A KR20210008685A KR 20210008685 A KR20210008685 A KR 20210008685A KR 1020190085134 A KR1020190085134 A KR 1020190085134A KR 20190085134 A KR20190085134 A KR 20190085134A KR 20210008685 A KR20210008685 A KR 2021000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ounterweight
sheave
suspension sheav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659B1 (ko
Inventor
정호민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659B1/ko
Priority to PCT/KR2019/008791 priority patent/WO2021010519A1/ko
Priority to CN201980098400.1A priority patent/CN114127004A/zh
Priority to JP2022502917A priority patent/JP2022544742A/ja
Priority to TW108131232A priority patent/TWI736963B/zh
Publication of KR2021000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은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가 상이한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에 있어서, 기설된 권상기를 철거하여 기계실 내에 형성된 공간에, 기계대를 설치하고 상기 기계대 상에 신설의 권상기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카에 카 서스펜션 시브를 설치하고, 균형추에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로 내에 카와 균형추를 배치하는 제2 단계와, 메인로프를, 카 서스펜션 시브와, 권상기에 구비된 메인시브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하고, 상기 메인로프의 양단부를 상기 기계대에 고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또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메인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도록 상기 권상기와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를 배치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ELEVATOR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로핑 방식에 따라 1:1 로핑 방식, 2:1 로핑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권상기의 종류에 따라 기어드 권상기 타입과 기어리스 권상기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개수공사는 운행중인 노후된 엘리베이터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부품의 교체를 통해,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개수 공사 시에는 기존의 로핑 방식과 권상기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교체하고 있다.
기존의 노후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대부분 기어드 권상기(Geared Traction Machine)를 이용한 1:1 로핑 방식이며, 기계실에 기어드 권상기를 설치하고 카와 균형추(Counterweight)에 현수시브(Suspension Sheave)가 없는 로핑 방식이다. 카와 균형추의 위치에 따라 메인시브 이외의 보조시브를 추가 설치하여 로프를 유격시켜 운행하고 있다.
기어드 권상기는 효율이 떨어지고 윤활유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최근에는 기어리스 권상기(Gearless Traction Machine)를 적용한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개수 공사 시에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개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이동하여야 하므로 공사일정 증가 및 비용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가 상이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경우에,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이동하여 재설치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고도 개수공사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공사 시에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를 전환하기 용이하며, 가이드 레일 교체 공사기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서 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 서스펜션 시브와, 승강로 내에서 균형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결합되는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와,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와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에 메인로프로 연결되는 메인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와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를 회전시켜서 상기 카와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권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권상기에 구비된 상기 메인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도록 상기 권상기와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를 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은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가 상이한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에 있어서, 기설된 권상기를 철거하여 기계실 내에 형성된 공간에, 기계대를 설치하고 상기 기계대 상에 신설의 권상기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카에 카 서스펜션 시브를 설치하고, 균형추에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로 내에 카와 균형추를 배치하는 제2 단계와, 메인로프를, 카 서스펜션 시브와, 권상기에 구비된 메인시브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하고, 상기 메인로프의 양단부를 상기 기계대에 고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또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메인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도록 상기 권상기와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를 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 또는 카 서스펜션 시브의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와 카 서스펜션 시브의 로핑 위치에 맞게, 메인시브,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 및 카 서스펜션 시브를 적절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하면,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가 상이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경우에,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이동하여 재설치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고도 개수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개수 공사 시에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를 전환하기 용이하며, 가이드 레일 교체 공사기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설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21)의 종류가 상이한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1 로핑 방식의 기어드 권상기(11)(Geared Traction Machine)를 적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도 2에 도시된 2:1 로핑 방식의 기어리스 권상기(21)(Gearless Traction Machine)를 적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개수하기 위한 것이다.
기어드 권상기(11)(Geared Traction Machine)는 감속기가 부착된 권상기이고, 기어리스 권상기(21)(Gearless Traction Machine)는 감속기를 사용하지 않고 전동기의 회전축에 직접 메인시브(22)(Main Sheave)를 결합한 권상기이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방식에서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전환하여 개수하기 위해서는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을 이동하여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기어드 권상기(11)를 이용한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카 서스펜션 시브(23)와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카(2)의 중심(C1)과 균형추(4)의 중심(C2)이 동일선 상에 놓일 수 있다. 기어드 권상기(11)의 구동시브(12)와 로핑된 보조시브(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로(1) 내의 카 가이드레일(3)은 승강로(1)의 내에 한 쌍이 수직으로 구비되고, 승강로(1) 내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카 가이드레일(3)을 서로 연결한 가상의 면을 기준면(RP)이라 하고, 카(2)의 중심(C1)을 기준면(RP)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면을 중심면(CP)이라 할 때, 균형추(4)의 중심(C2)이 중심면(CP) 상에 놓일 수 있다.
반면 도 2를 참조하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카 서스펜션 시브(23)와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를 사용하므로 카(2)의 중심(C1)과 균형추(4)의 중심(C2)이 동일선 상에 놓이지 않을 수 있다. 즉 균형추(4)의 중심(C2)이 중심면(CP) 상에 놓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종래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 2에 도시된 종래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기 위해서는 균형추(4)를 가이드하는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의 위치를 이동하여 재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개수 공사 시에 공사일정이 증가하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의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도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전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개수 공사 전의 권상기(11)를 기설된 권상기라 하고, 개수 공사 후의 권상기(21)를 신설된 권상기 또는 권상기라고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 내에서 카 가이드레일(3)을 따라 승강하는 카(2)와, 카(2)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 서스펜션 시브(23)와, 승강로(1) 내에서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4)와, 균형추(4)의 상부에 결합되는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 가이드레일(3)과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은 승강로(1) 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의 카 가이드레일(3)을 연결한 가상의 면을 기준면(RP)이라 하고, 카(2)의 중심(C1)을 기준면(RP)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면을 중심면(CP)이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21)를 더 포함한다. 권상기(21)는 카 서스펜션 시브(23)와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를 회전시켜서 카(2)와 균형추(4)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권상기(21)는 메인시브(22)를 더 포함하고, 메인시브(22)는 카 서스펜션 시브(23)와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에 메인로프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21)는 전동기의 구동축과 메인시브(22)의 회전축(R1)이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2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면 메인시브(22)의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권상기(21)에 구비된 메인시브(22)의 회전축(R1) 방향인 제1 방향과 카 서스펜션 시브(23)의 회전축(R2) 방향인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도록 권상기(21)와 카 서스펜션 시브(23)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21) 또는 카 서스펜션 시브(23)의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와 카 서스펜션 시브(23)의 로핑 위치에 맞게, 메인시브(22),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 및 카 서스펜션 시브(23)를 적절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하면,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가 상이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경우에,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의 위치를 이동하여 재설치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고도 개수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개수 공사 시에 로핑 방식과 권상기(21) 종류를 전환하기 용이하며, 가이드 레일 교체 공사기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권상기(21) 또는 카 서스펜션 시브(23)를 설치할 때, 제1 방향과 제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이 기준면(RP)에 경사지게 되도록, 메인시브(22)와 카 서스펜션 시브(23)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경사진 정도는 카(2)와 균형추(4)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카 서스펜션 시브(23)는, 제2 방향이 기준면(RP)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권상기(21)는, 메인시브(22)의 제1 방향이 기준면(RP)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권상기(21)가 비스듬히 설치됨으로써 균형추(4)의 중심(C2)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의 중심이, 중심면(CP)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즉 개수 전의 1:1 로핑 방식의 기어드 권상기(11)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와 배치와 같이, 본 발명의 균형추(4)의 중심(C2)이 중심면(CP)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이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권상기(21)는, 메인시브(22)의 제1 방향이 기준면(RP)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카 서스펜션 시브(23)는, 제2 방향이 기준면(RP)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 서스펜션 시브(23)를 카(2)의 상단면에 설치할 때 메인시브(22)와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의 로핑위치를 고려하여 제2 방향이 경사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 서스펜션 시브(23)가 비스듬히 설치됨으로써, 균형추(4)의 중심(C2)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의 중심이 중심면(CP)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균형추(4)의 중심(C2)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의 중심이 중심면(CP)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방식은 도 3 및 도 4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균형추(4)의 중심(C2)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의 중심이 중심면(CP) 상에 위치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방향과 제2 방향 모두가 기준면(RP)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메인시브(22)의 회전축(R1)과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의 회전축(R3)은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균형추(4) 서스펜션의 각도는 권상기(21)의 설치각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메인시브(22)의 회전축(R1)과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의 회전축(R3)이 이루는 각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카 서스펜션 시브(2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카 서스펜션 시브(23)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카 서스펜션 시브(23)의 회전축(R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은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10)를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은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가 상이한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에서,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1:1 로핑 방식으로 마련되며 기어드 권상기(11)를 포함할 수 있고(도 1 참조), 개수되어 신설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2:1 로핑 방식으로 마련되며 기어리스 권상기(21)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또는 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은 제1 단계, 제2 단계 및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는 기설된 권상기(11)를 철거하여 기계실 내에 형성된 공간에, 기계대(6)를 설치하고 기계대(6) 상에 신설의 권상기(21)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제1 단계 전에 기설된 권상기(11)와 메인로프와 카(2)와 균형추(4)를 해체하고, 기설된 권상기(11)를 기계실에서 제거할 수 있다. 기설된 권상기(11)를 제거한 공간에 기계받침(7)과 기계대(6)를 설치하고 그 위에 권상기(21)를 올려놓고 고정할 수 있다.
제2 단계는 카(2)에 카 서스펜션 시브(23)를 설치하고, 균형추(4)에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를 설치하고, 승강로(1) 내에 카(2)와 균형추(4)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제3 단계는 메인로프를, 카 서스펜션 시브(23)와, 권상기(21)에 구비된 메인시브(22)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에 권취하고, 메인로프의 양단부를 기계대(6)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3 단계에서, 메인로프를 카 서스펜션 시브(23)에서부터 권상기(21)의 메인시브(22)를 거쳐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에 감아 걸고, 양끝단을 기계대(6)의 히치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상기(21)의 메인시브(22)가 회전하면 메인로프가 움직이면서 카 서스펜션 시브(23),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카(2)와 균형추(4)는 각각 카 가이드레일(3)과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카(2)와 균형추(4)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운행될 수 있다.
제1 단계 또는 제2 단계에서, 메인시브(22)의 회전축(R1) 방향인 제1 방향과 카 서스펜션 시브(23)의 회전축(R2) 방향인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도록 권상기(21)와 카 서스펜션 시브(23)를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과 제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이 기준면(RP)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도록, 메인시브(22)와 카 서스펜션 시브(23)가 배치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와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균형추(4)를 기설된 균형추 가이드레일(25)에 의해 가이드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균형추(4)의 중심(C2)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25)의 중심이, 중심면(CP)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개수 공사 시에 기설된 균형추 가이드레일(25)을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 또는 카 서스펜션 시브의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와 카 서스펜션 시브의 로핑 위치에 맞게, 메인시브,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 및 카 서스펜션 시브를 적절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하면,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가 상이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경우에,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이동하여 재설치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고도 개수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개수 공사 시에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를 전환하기 용이하며, 가이드 레일 교체 공사기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승강로
2: 카
3: 카 가이드레일
4: 균형추
5: 균형추 가이드레일
6: 기계대
7: 기계받침
11: 기어드 권상기(기설된 권상기)
12: 구동시브
13: 보조시브(디플렉터 시브)
21: 기어리스 권상기(신설되는 권상기 또는 권상기)
22: 메인시브
23: 카 서스펜션 시브
25: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
C1: 카의 중심
C2: 균형추의 중심
RP: 기준면
CP: 중심면
R1: 메인시브의 회전축
R2: 카 서스펜션의 회전축
R3: 균형추 서스펜션의 회전축

Claims (10)

  1. 승강로 내에서 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카;
    상기 카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 서스펜션 시브;
    상기 승강로 내에서 균형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결합되는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 및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와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에 메인로프로 연결되는 메인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와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를 회전시켜서 상기 카와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권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권상기에 구비된 상기 메인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도록 상기 권상기와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를 배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가이드레일은 상기 승강로의 내에 한 쌍이 수직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카 가이드레일을 연결한 가상의 면을 기준면이라 할 때,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이 상기 기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도록, 상기 메인시브와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가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가이드레일은 상기 승강로의 내에 한 쌍이 수직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카 가이드레일을 연결한 가상의 면을 기준면이라 할 때,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는,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기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권상기는, 상기 메인시브의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기준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가이드레일은 상기 승강로의 내에 한 쌍이 수직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카 가이드레일을 연결한 가상의 면을 기준면이라 할 때,
    상기 권상기는, 상기 메인시브의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기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는,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기준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가이드레일은 상기 승강로의 내에 한 쌍이 수직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카 가이드레일을 연결한 가상의 면을 기준면이라 하고, 상기 카의 중심을 상기 기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면을 중심면이라 할 때,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균형추의 중심 및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의 중심이, 상기 중심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브의 회전축과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의 회전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는 일렬로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핑 방식과 권상기 종류가 상이한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엘리베이터 개수방법에 있어서,
    기설된 권상기를 철거하여 기계실 내에 형성된 공간에, 기계대를 설치하고 상기 기계대 상에 신설의 권상기를 설치하는 제1 단계;
    카에 카 서스펜션 시브를 설치하고, 균형추에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를 설치하고, 승강로 내에 카와 균형추를 배치하는 제2 단계; 및
    메인로프를, 카 서스펜션 시브와, 권상기에 구비된 메인시브 및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하고, 상기 메인로프의 양단부를 상기 기계대에 고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또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메인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의 회전축 방향인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도록 상기 권상기와 상기 카 서스펜션 시브를 배치하는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카 가이드레일을 서로 연결한 가상의 면을 기준면이라 하고, 상기 카의 중심을 상기 기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면을 중심면이라 할 때,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균형추를 기설된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균형추의 중심 및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시브의 중심이, 상기 중심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기설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1:1 로핑 방식으로 마련되며 기어드 권상기를 포함하고,
    개수되어 신설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2:1 로핑 방식으로 마련되며 기어리스 권상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KR1020190085134A 2019-07-15 2019-07-15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KR10223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134A KR102233659B1 (ko) 2019-07-15 2019-07-15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PCT/KR2019/008791 WO2021010519A1 (ko) 2019-07-15 2019-07-16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CN201980098400.1A CN114127004A (zh) 2019-07-15 2019-07-16 电梯设备及电梯改造方法
JP2022502917A JP2022544742A (ja) 2019-07-15 2019-07-16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TW108131232A TWI736963B (zh) 2019-07-15 2019-08-30 升降裝置及改造升降機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134A KR102233659B1 (ko) 2019-07-15 2019-07-15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685A true KR20210008685A (ko) 2021-01-25
KR102233659B1 KR102233659B1 (ko) 2021-03-31

Family

ID=7421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134A KR102233659B1 (ko) 2019-07-15 2019-07-15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2544742A (ko)
KR (1) KR102233659B1 (ko)
CN (1) CN114127004A (ko)
TW (1) TWI736963B (ko)
WO (1) WO202101051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777A (ja) * 2005-03-01 2006-09-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08044744A (ja) * 2006-08-18 2008-02-2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336B2 (ja) * 2000-02-04 2006-09-1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4229633B2 (ja) * 2002-04-26 2009-02-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US8448323B2 (en) * 2010-10-15 2013-05-28 Kone Corporation Method for modernizing an elevator
KR20160036787A (ko) * 2014-09-26 2016-04-0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JP2016079010A (ja) * 2014-10-21 2016-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US20160130115A1 (en) * 2014-11-07 2016-05-12 Richard C. BLASKA Retractable overhead access platform for machine room less elevator systems
CN207943716U (zh) * 2017-08-09 2018-10-09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一种直角贯通门电梯系统及其无机房电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777A (ja) * 2005-03-01 2006-09-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08044744A (ja) * 2006-08-18 2008-02-2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36963B (zh) 2021-08-21
CN114127004A (zh) 2022-03-01
JP2022544742A (ja) 2022-10-21
TW202104059A (zh) 2021-02-01
WO2021010519A1 (ko) 2021-01-21
KR102233659B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104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5538471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US7918319B2 (en) Elevator apparatus
KR10133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122135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能の最新化方法および最新化装置
JP2001220078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KR10223365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JP5050741B2 (ja)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5538470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CN100534887C (zh) 电梯装置
JP2013245033A (ja) 巻上機据付方法
JP200416851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23223554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JP5680198B2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5806166B2 (ja) エレベータ改修用機器設置方法
KR102322008B1 (ko) 무대장치용 테이퍼형 롤 활차
JPH04213581A (ja)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JP2000095456A (ja) エレベータの仮設運転装置
JP5718837B2 (ja) 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及びこの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へ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08030891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油圧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11207609A (ja) 主ロープ交換装置
WO2018179097A1 (ja) エレベータおよび油圧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15071482A (ja) 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1233565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13035684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及び据付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