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710A -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710A
KR20210006710A KR1020190082656A KR20190082656A KR20210006710A KR 20210006710 A KR20210006710 A KR 20210006710A KR 1020190082656 A KR1020190082656 A KR 1020190082656A KR 20190082656 A KR20190082656 A KR 20190082656A KR 20210006710 A KR20210006710 A KR 2021000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shooting
shooting condi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6710A/ko
Priority to US16/585,873 priority patent/US10965865B2/en
Priority to CN201910981618.3A priority patent/CN112217984B/zh
Priority to DE102019215974.5A priority patent/DE102019215974A1/de
Publication of KR2021000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06K9/0079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측정부와, 차량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지역 특성에 적합한 촬영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RIVE VIDEO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행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 주행 시 차량 주변 영상을 기록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에 장착되어 동영상, 이미지, 음성 등을 기록한다. 주행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의 변속기어가 P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차량이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촬영 조건으로 촬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주행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 지역을 주행 중인 경우에도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변경할 수 없어 기 설정된 촬영 조건으로 촬영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에 설정하여,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도록 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측정부, 차량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은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상기 카메라에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상기 카메라에 설정되면, 상기 차량 내 구비되는 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이전 촬영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한다.
상기 차량이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한다.
상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은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상기 카메라에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상기 카메라에 설정되면, 상기 차량 내 구비되는 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한다.
상기 차량이 상기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이전 촬영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에 설정하여,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지역 특성에 적합한 촬영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주행 경로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130), 센서(140), 내비게이션(160), 램프(170), 카메라(180), 저장부(19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 및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 및 촬영 제한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내 기 저장된 정보들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 및 촬영 제한 구역에 대한 정보는 소정 국가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통 법규 또는 개인 정보 보호 법규 등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법규를 기반으로 허용되는 촬영 조건 또는 촬영 제한 구역에서 허용되는 촬영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USB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조작, 동작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버튼(button), 노브(knob),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레버, 트랙 볼(track ball), 동작 센서 및 음성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입력부(12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160)으로부터 획득된 주행 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130)는 주행 경로 상에 주행 경로가 생성된 지역 또는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의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Thin Film Transistor-LCD)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10) 및 디스플레이부(30)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에 의해 일체로 구현된 것일 수 도 있다.
센서(14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40)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는 G 센서(Gravity Sensor) 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가속도, 각속도, 각도 등을 검출하여, 상하 충격량, 전후 충격량, 좌우 충격량을 획득할 수 있다.
위치측정부(150)는 복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측정부(150)는 내비게이션(160)에 포함되어 내비게이션(160)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160)은 사용자에게 특정 지역, 일 예로 복수의 국가 중 적어도 하나의 국가 정보를 지도, 문자 또는 각종 기호 등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제공 및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160)은 위치 측정부(150)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영역의 지도 영상 정보, 길 안내 영상 정보, 길 안내 음성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목적지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60)은 별도의 출력부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내비게이션(160)의 동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출력부는 표시부 및 사운드 출력부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도나 지도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표시부는 지도, 지도 위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경로 및 경로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발지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목적지까지의 경로나, 예상 대기 시간이나 총 소요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는 지도나 지도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나 경로 상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음성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는 스피커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램프(170)는 입력부(120) 또는 카메라(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 램프(INDICATOR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170)는 카메라(180)에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이나,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이 설정되면 점멸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180)는 차량의 룸미러 또는 대시보드에 구비되거나, 차량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180)는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여기서 차량의 주변 영역은 차량의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80)는 설정된 촬영 조건으로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출고 시에는 기본 촬영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촬영 조건은 실시간으로 카메라를 켜고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180)는 제어부(200)에서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된 촬영 조건으로 설정되는 경우, 기본 촬영 조건에서 판단된 촬영 조건으로 전환하여 차량의 주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차량 출고 시 특정 지역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촬영 조건, 촬영 제한 구역에 대한 정보 및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촬영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 촬영 제한 구역에 대한 정보 및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90)는 카메라(180)에 설정된 촬영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각종 명령의 연산이나 실행을 수행 가능한 반도체 칩 등을 내장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촬영하는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지역은 기본 촬영 조건(상시 카메라 ON)으로 촬영할 수 없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은 소정 국가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통 법규 또는 개인 정보 보호 법규 등을 기반으로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은 카메라의 해상도를 임계치보다 낮추어 촬영하는 조건,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 기간을 조정하는 조건, 충격 감지 시에만 촬영하는 조건, 영상 내 보행자 또는 일반 주행 차량의 번호판은 모자이크 처리하여 촬영하는 조건, 카메라를 오프하는 조건, 녹음 기능을 오프하는 촬영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고,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한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이 카메라(180)에 설정되면,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 내 구비되는 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에 포함되는 'A' 국가 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판단하고, 'A' 국가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 'A' 국가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고,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을 주행하는 경우, 특정 지역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카메라(180)에 기 설정된 기본 촬영 조건이 특정 지역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할 수 있고, 정보 출력 또는 램프 점멸을 통해 촬영 조건이 전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된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한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도록 하는 사용자의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에 포함되는 'A' 국가 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판단하고, 'A' 국가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가 있는 경우, 'A' 국가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200)는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가 있는 경우, 'A' 국가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고 기본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제한 구역은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군 시설 주변 및 주요 통신 시설 주변, 개인 사유지, 국기 기밀 지정 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은 촬영 제한 구역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카메라의 해상도를 임계치보다 낮추어 촬영하는 조건,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 기간을 조정하는 조건, 충격 감지 시에만 촬영하는 조건, 영상 내 보행자 또는 일반 주행 차량의 번호판은 모자이크 처리하여 촬영하는 조건, 카메라를 오프하는 조건, 녹음 기능을 오프하는 촬영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고,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한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이 카메라(180)에 설정되면, 설정된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 내 구비되는 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차량이 군 시설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서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고, 군 시설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 군 시설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고,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고,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카메라(180)에 기 설정된 기본 촬영 조건이 촬영 제한 구역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으로 촬영하는 조건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할 수 있고, 정보 출력 또는 램프 점멸을 통해 촬영 조건이 전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고,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도록 하는 사용자의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촬영 제한 국가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고, 촬영 제한 구역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가 있는 경우, 촬영 제한 구역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200)는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가 있는 경우, 이전 촬영 조건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전 촬영 조건은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기 이전에 카메라(180)에 설정된 촬영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기 이전에 특정 지역에 위치한 경우, 이전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이 특정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이전 촬영 조건을 기본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본 촬영 조건은 차량 출고 시 카메라에 설정된 촬영 조건(상시 카메라 ON)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다가 이동하여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벗어나 더 이상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이전 촬영 조건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목적지 설정에 따른 주행 경로가 생성되는 경우, 주행 경로가 특정 지역 및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특정 지역 및 촬영 제한 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행 경로 상에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발 전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내에서 카메라(180)가 어떠한 촬영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행 경로 상에 기본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영역 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행 경로가 위치하는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특정 지역에 위치한 경우, 주행 경로가 위치하는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이 특정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주행 경로가 위치하는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기본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본 촬영 조건은 차량 출고 시 카메라에 설정된 촬영 조건(상시 카메라 ON)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측정부(150)는 차량의 위치를 획득한다(S110). 제어부(200)는 S110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S120에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N),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기본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고, 카메라(180)에 설정한다(S130). 여기서, 기본 촬영 조건은 출고 시 카메라에 설정된 촬영 조건(상시 카메라 ON)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S120에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Y),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S140). S14O에서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은 소정 국가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통 법규 또는 개인 정보 보호 법규 등을 기반으로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은 카메라의 해상도를 임계치보다 낮추어 촬영하는 조건,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 기간을 조정하는 조건, 충격 감지 시에만 촬영하는 조건, 영상 내 보행자 또는 일반 주행 차량의 번호판은 모자이크 처리하여 촬영하는 조건, 카메라를 오프하는 조건, 녹음 기능을 오프하는 촬영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S150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N),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고,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160). S160에서 제어부(200)는 차량 내 구비되는 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150에서 제어부(200)는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Y),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는다(S170). S170에서 제어부(200)는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고 기본 촬영 조건으로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측정부(150)는 차량의 위치를 획득한다(S210). 제어부(200)는 S210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S220에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N), 이전 촬영 조건으로 촬영하는 조건으로 판단하고, 카메라(180)에 설정한다(S230). S230에서 이전 촬영 조건은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기 이전에 카메라(180)에 설정된 촬영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기 이전에 특정 지역에 위치한 경우, 이전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이 특정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이전 촬영 조건을 기본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본 촬영 조건은 차량 출고 시 카메라에 설정된 촬영 조건(상시 카메라 ON)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S220에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Y),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S240). S240에서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은 소정 국가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통 법규 또는 개인 정보 보호 법규 등을 기반으로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은 카메라의 해상도를 임계치보다 낮추어 촬영하는 조건,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 기간을 조정하는 조건, 충격 감지 시에만 촬영하는 조건, 영상 내 보행자 또는 일반 주행 차량의 번호판은 모자이크 처리하여 촬영하는 조건, 카메라를 오프하는 조건, 녹음 기능을 오프하는 촬영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S250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N),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고,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260). S260에서 제어부(200)는 차량 내 구비되는 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위치측정부(150)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이동하여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할 수 있다(S270). S270에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이동하여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Y),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이전 촬영 조건으로 설정한다(S280). S270에서 제어부(200)는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 S260을 수행한다.
한편, S250에서 제어부(200)는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Y),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는다(S290). S290에서 제어부(200)는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카메라(180)에 설정하지 않고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을 이전 촬영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60)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한다(S310). 제어부(200)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가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S320에서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N), 주행 경로 상에 기본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330). 한편, S320에서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Y), 주행 경로 상에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S34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60)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한다(S410). 제어부(200)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가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S420에서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N), 주행 경로가 위치하는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한다(S430). S430에서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특정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주행 경로가 위치하는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고, 주행 경로가 특정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주행 경로가 위치하는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을 기본 촬영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본 촬영 조건은 차량 출고 시 카메라에 설정된 촬영 조건(상시 카메라 ON)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S420에서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가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Y), 주행 경로 상에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의 정보를 출력한다(S440).
도 6은 주행 경로에 따른 촬영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출발지(D1)으로부터 목적지(D2)까지의 주행 경로(R)가 생성되는 경우, 주행 경로(R)가 특정 지역 내에 생성되는지 여부, 촬영 제한 구역에 생성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① 내지 ⑥)을 판단하고, 판단된 촬영 조건을 주행 경로(R)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주행 경로(R)의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된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① 내지 ⑥)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진 주행 경로(R)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카메라(180)의 촬영 조건의 내용도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발 전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내 어느 구간에서 카메라(180)가 어떠한 촬영 조건으로 촬영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100
통신부 110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 130
센서 140
위치측정부 150
램프 170
카메라 180
저장부 190
제어부 200

Claims (20)

  1.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측정부;
    차량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은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상기 카메라에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상기 카메라에 설정되면, 상기 차량 내 구비되는 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이전 촬영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11.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은
    국가 내에서 허용된 촬영 조건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상기 카메라에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상기 카메라에 설정되면, 상기 차량 내 구비되는 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판단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카메라에 설정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촬영 제한 구역에 상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촬영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이전 촬영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KR1020190082656A 2019-07-09 2019-07-09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KR20210006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656A KR20210006710A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US16/585,873 US10965865B2 (en) 2019-07-09 2019-09-27 Apparatus for recording drive video of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201910981618.3A CN112217984B (zh) 2019-07-09 2019-10-16 用于记录车辆的行驶视频的装置和方法
DE102019215974.5A DE102019215974A1 (de) 2019-07-09 2019-10-17 Vorrichtung zum aufzeichnen eines fahrvideos eines fahrzeugs und ein verfahren daf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656A KR20210006710A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10A true KR20210006710A (ko) 2021-01-19

Family

ID=7404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656A KR20210006710A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65865B2 (ko)
KR (1) KR20210006710A (ko)
CN (1) CN112217984B (ko)
DE (1) DE1020192159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460B1 (ko) * 2023-05-18 2024-01-04 (주)클라모스 차량의 위치정보 기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6741B (zh) * 2021-11-26 2022-09-01 荷蘭商荷蘭移動驅動器公司 車載相機之控制方法及車載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696A (ja) * 1999-01-18 2000-07-28 Sharp Corp 車載カメラ装置
WO2004105383A1 (ja) * 2003-05-20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撮像システム
JP2005323007A (ja) * 2004-05-06 2005-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08152736A (ja) * 2006-12-20 2008-07-03 Sony Corp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JP5029320B2 (ja) * 2007-11-26 2012-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カメラ撮影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撮影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5570064B2 (ja) * 2010-09-16 2014-08-13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車載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車載カメラ制御方法
US8843157B2 (en) * 2010-10-27 2014-09-23 Ntt Docomo, Inc. Dynamic travel behavior estimation in mobile network
US8504035B2 (en) * 2010-11-09 2013-08-06 Ntt Docomo, Inc. System and method for population tracking, counting, and movement estimation using mobile operational data and/or geographic information in mobile network
US9638537B2 (en) * 2012-06-21 2017-05-02 Cellepathy Inc. Interface selection in navigation guidance systems
US9344683B1 (en) * 2012-11-28 2016-05-17 Lytx, Inc. Capturing driving risk based on vehicle state and automatic detection of a state of a location
US20170279957A1 (en) * 2013-08-23 2017-09-28 Cellepathy Inc. Transportation-related mobile device context inferences
CN105049705B (zh) * 2015-06-19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模式切换方法及用户终端
KR20170011194A (ko) * 2015-07-21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6853494B2 (ja) * 2016-09-05 2021-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ドライブレコーダ
TWI654106B (zh) * 2017-06-12 2019-03-21 勝捷光電股份有限公司 利用數位錄影方式以記錄行車資訊與產生汽車履歷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460B1 (ko) * 2023-05-18 2024-01-04 (주)클라모스 차량의 위치정보 기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17984A (zh) 2021-01-12
US20210014409A1 (en) 2021-01-14
DE102019215974A1 (de) 2021-01-14
CN112217984B (zh) 2023-09-08
US10965865B2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7601B2 (en) Navigation device with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functionality
KR20210006710A (ko)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US11270136B2 (en) Driving support devic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driving support system, and driving support method
US1125625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to pass a high-pass lane of a toll booth
JP2009237945A (ja) 動画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車載機
US201601537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driving route using photographic image
WO2008047449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 procédé d'affichage d'image, programme d'affichage d'im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JP2020010123A (ja) 車載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方法
KR20000013568A (ko) 목표지점의 사진영상을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JP2009009225A (ja) 情報表示装置
JP6956687B2 (ja) 置き去り検知装置、置き去り検知方法および置き去り検知プログラム
JP6891752B2 (ja) 虚像表示装置、虚像表示方法および虚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318242A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撮影プログラム
JP2020085531A (ja) 自動運転装置
JP5029320B2 (ja) 車載カメラ撮影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撮影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
KR20070050157A (ko) 네비게이션 시가지 표시장치
WO2019053873A1 (ja) 後側方映像制御装置および後側方映像制御方法
KR102552489B1 (ko)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여정기록 장치 및 방법
KR102621708B1 (ko) 카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7343962B2 (ja) 車載装置、車載装置用制御プログラム、及び車載装置用制御方法
JP7159851B2 (ja) 運転支援装置、車両、情報提供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支援方法
JP2023167042A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JP201422840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09101679A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20200064544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