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700A - 전선 절분 공구 - Google Patents

전선 절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700A
KR20210002700A KR1020207034594A KR20207034594A KR20210002700A KR 20210002700 A KR20210002700 A KR 20210002700A KR 1020207034594 A KR1020207034594 A KR 1020207034594A KR 20207034594 A KR20207034594 A KR 20207034594A KR 20210002700 A KR20210002700 A KR 2021000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lock member
cutting tool
too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446B1 (ko
Inventor
히로타카 나카자와
아키히사 마쓰모토
다케시 가바사와
마사노리 고토
신야 이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21000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切分) 공사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절단해야 할 전선의 주위의 상황에 따라, 절연봉 방식(제1 공법)과 일괄 방식(제2 공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실행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선 절분 공구는,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로크 부재를 구비한다. 제1 전선 파지구는, 봉 부재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다. 로크 부재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의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금지하고, 비(非)로크 상태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의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전선 절분 공구
본 발명은, 전선 절분(切分) 공구에 관한 것이다.
전선의 절분 공법이 알려져 있다. 전선의 절분 공법에서는, 전선 절분 공구가 사용된다. 전선 절분 공구는,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에 배치된 신축 가능한 봉을 구비한다. 전선 절분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을 잘라 나눌 때에는, 첫째로, 전선의 제1 부분을 제1 전선 파지구로 파지하고, 전선의 제2 부분을 제2 전선 파지구로 파지한다. 둘째로,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신축 가능한 봉을 수축시킨다. 당해 수축의 결과,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이 느슨해진다. 셋째로,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위치(전선이 느슨해져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을 절단한다.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는, 활선 절분 공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활선 절분 공구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가, 신축 가능한 봉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활선 절분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절분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첫째로, 절연봉을 이용하여 제1 전선 파지구를 들어 올려, 제1 전선 파지구를 전선에 장착한다. 둘째로, 신축 가능한 봉을, 제1 전선 파지구에 대해서 요동시킨다. 셋째로,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전선을 전선 지지구에 의해서 지지시킨다. 넷째로, 제2 전선 파지구를 전선에 장착한다. 다섯째로, 제1 전선 파지구가 제2 전선 파지구에 가까워지도록 신축 가능한 봉을 수축시킴으로써, 전선을 느슨해지게 한다. 여섯째로,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위치(전선이 느슨해져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을 절단한다. 당해 공법은, 신축 가능한 봉을, 제1 전선 파지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요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당해 공법을, 「절연봉 방식」 또는 「제1 공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전선 절분 공사용 경간 고정 공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공구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와, 신축 가능한 봉과, 제2 전선 파지구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공구에서는, 신축 가능한 봉이, 제1 전선 파지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요동하지 못하고, 제2 전선 파지구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요동할 수 없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절분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첫째로, 집게 등을 이용하여 전선 절분 공구의 전체를 들어 올려,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전선을 전선 지지구에 의해서 지지시킨다. 둘째로, 제1 전선 파지구를 전선에 장착하고, 제2 전선 파지구를 전선에 장착한다. 셋째로, 제1 전선 파지구가 제2 전선 파지구에 가까워지도록 신축 가능한 봉을 수축시킴으로써, 전선을 느슨하게 한다. 넷째로,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위치(전선이 느슨해져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을 절단한다. 당해 공법은, 신축 가능한 봉을, 제1 전선 파지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요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다. 당해 공법을, 「일괄 방식」 또는 「제2 공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8825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5-70651호 공보
그런데, 절분 공사를 행하는 대상인 고압선은, 3개의 전선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많고, 그 하방에는 저압선이 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선에 전선 절분 공구를 장착할 때에는, 고소(高所) 작업차의 버킷을 고압선의 바로 아래에 가까운 위치에 대고, 1명의 작업자가 고소 작업차의 버킷으로부터 전선에 어프로치하고 있다. 작업자는, 그 때, 길고 중량이 큰 전선 절분 공구를, 절연봉이나 집게로 머리 위의 전선의 위치까지 들어 올려 작업을 행하고 있다. 작업자가 좁은 버킷 내로부터 손을 뻗어 머리 위에 위치하는 전선 절분 공구를 조작할 때에는, 밸런스를 무너뜨려 전선 절분 공구를 지상에 낙하시키거나, 스스로의 자세를 무너뜨려 부상을 입는 일이 없도록, 항상 신중한 작업이 요구되고 있었다.
절연봉 방식에서는, 작업자가 절연봉을 손으로 들고, 절연봉을 이용하여 제1 전선 파지구(제1 와이어 그립)를 들어 올려, 제1 전선 파지구(제1 와이어 그립)를 직접 전선에 장착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기설 저압선이 폭주하여 고압선의 바로 아래에 버킷이 들어갈 수 없는 경우여도, 작업자가 다소 무리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전선 절분 공구 선단부에 위치하는 제1 와이어 그립을, 전선에 확실히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절분 공사의 최초의 작업 공정에 있어서, 전선을 제1 와이어 그립으로 잡음으로써 전선 절분 공구의 장착 위치가 정해져 버린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약간 떨어진 위치로부터 자세를 무너뜨리면서 원하는 위치에 정밀도 높게 제1 와이어 그립을 장착하는 것은 용이한 작업은 아니었다. 또, 후의 작업 공정에 있어서 버킷 내로부터 작업자가 전선 절분 공구의 장착 위치를 재차 비키도록 조정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며, 효율이 좋은 작업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한편, 일괄 방식에서는, 전선 절분 공구를 집게로 파지한 상태인 그대로, 작업자가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집게를 손으로 들어 올려 전선 절분 공구를 전선에 장착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버킷과 절분 공사의 대상인 전선의 위치 관계에 따라, 작업자가 그 전선의 가장 장착하기 쉬운 위치에 전선 절분 공구를 가장착한다. 그리고, 전선 절분 공구의 가장착 후, 전선 절분 공구를 전선 절단 개소까지 전선 상을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고압선 3개를 동시에 절분 작업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전선끼리 각각 절단 개소를 비켜 놓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선 절분 공구의 수평 이동이 가능한 것은 유효하다. 그러나, 작업자는 최초의 작업 공정에서, 전선 절분 공구를 집게와 함께 머리 위로 들어 올릴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버킷과 절분 공사의 대상인 전선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은 큰 것이 되어 있었다. 또, 전선이 경사지게 가선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초의 작업 공정에서 전선 절분 공구를 전선에 장착한 후에, 전선 절분 공구가 중력에 의해 전선의 경사 방향을 따라서 흘러내려가 버리기 때문에, 전선 절분 공구를 가장착한 후에 가고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전선 절분 공구를 가장착한 후에 가고정하는 것은, 효율이 좋은 작업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종래의 전선 절분 공구에서는, 절연봉 방식에 적합한 공구밖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괄 방식이 적합한 상황 하에서, 절연봉 방식을 실시해야 한다. 또는, 절연봉 방식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괄 방식용의 전선 절분 공구를 가지러 돌아와야 한다. 한편, 일괄 방식에 적합한 공구밖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절연봉 방식이 적합한 상황 하에서, 일괄 방식을 실시해야 한다. 또는, 일괄 방식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절연봉 방식용의 전선 절분 공구를 가지러 돌아와야 한다. 물론, 공사 현장에, 절연봉 방식에 적합한 공구와, 일괄 방식에 적합한 공구 양쪽 모두를 가지고 가면, 보다 적합한 공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양쪽 모두의 공구를 준비하고, 양쪽 모두의 공구를 공사 현장에 가지고 갈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공사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절단해야 할 전선의 주위의 상황에 따라, 절연봉 방식(제1 공법)과 일괄 방식(제2 공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실행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전선 절분 공구에 관한 것이다.
(1)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에 배치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봉 부재의 길이 방향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전선 지지구와,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선 파지구는, 상기 봉 부재에 대해서,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요동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의 상기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금지하고, 비(非)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의 상기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허용하는 전선 절분 공구.
(2)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의 상기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금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의 상기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1)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3)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4)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봉 부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5)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요동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6) 상기 로크 부재를 조작하는 제1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부는, 원격 조작봉의 단부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7)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요동 중심축에 수직인 회전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기 (6)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8)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수용부의 면적은, 상기 제1 조작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를 회전함에 따라 변화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수용부의 면적은, 상기 로크 부재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상기 (7)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9) 상기 로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의 경외(俓外)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얕은 홈과,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깊은 홈을 구비하는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10) 상기 로크 부재의 측면을 덮는 가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측면을 덮는 제3 위치와,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측면을 노출시키는 제4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11)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전선 절분 공구.
본 발명에 의해, 절단해야 할 전선의 주위의 상황에 따라, 절연봉 방식(제1 공법)과 일괄 방식(제2 공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실행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공사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로크 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화살표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화살표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로크 부재의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화살표(C)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의 화살표(D)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E-E 방향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여진 부재에 대해서, 반복이 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방향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을 따르는 방향을 「X 방향」, 봉 부재(5)와 제1 전선 파지구(2) 사이의 요동 중심축(S1)을 따르는 방향을 「Y 방향」, X 방향과 Y 방향 양쪽 모두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정의한다.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1)의 개략 정면도이다. 또한, 도 1은, 제1 전선 파지구(2)가 봉 부재(5)에 대해서 요동 불능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제1 전선 파지구(2)가 봉 부재(5)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1)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로크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전선 절분 공구(1)는, 전선을 절단하고, 절단된 전선의 한쪽의 단부와 다른 쪽의 단부를 이격 배치하는 작업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공구이다. 전선 절분 공구 자체에는, 전선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선 절분 공구(1)는, 전선 절분 보조구로 불리어도 된다. 또한, 전선 절분 공구 자체에, 전선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선 절분 공구(1)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와,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에 배치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5)와, 봉 부재(5)에 접속된 전선 지지구(6)와, 로크 부재(7)를 구비한다.
제1 전선 파지구(2)는, 전선(W)의 제1 부분(P1)을 파지하는 기구이며, 제2 전선 파지구(3)는, 당해 전선(W)의 제1 부분(P1)과는 상이한 제2 부분(P2)을 파지하는 기구이다.
신축 가능한 봉 부재(5)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5)의 일단은, 제1 전선 파지구(2)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도록, 제1 전선 파지구(2)에 접속되어 있다. 즉, 봉 부재(5)는, 제1 전선 파지구(2)에 대해서, 요동 중심축(S1) 둘레로 요동 가능하다. 또,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5)의 타단은, 제2 전선 파지구(3)에 접속되어 있다.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접속은, 요동 불능인 접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5)는, 외측 부재(51)(예를 들면, 통 형상을 갖는 제1의 세장(細長) 부재)와, 내측 부재(52)(예를 들면, 통 형상 또는 기둥 형상을 갖는 제2의 세장 부재)를 구비한다. 내측 부재(52)의 일부는, 외측 부재(5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내측 부재(52)가, 외측 부재(51)에 대해서,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전선 지지구(6)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전선(W)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전선 지지구(6)는, 전선(W)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전선을 지지하는 부재여도 되고, 전선(W)의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전선(W)의 위치를 규정하는 부재여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W)의 부분이, 전선 지지구(6)의 수용 공간(SP)을 통과해 있다. 그 결과, 전선(W)의 위치는, 전선 지지구(6)에 의해서 규정된다. 또한, 수용 공간(SP)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전선 지지구(6)의 개수는 3개(제1의 전선 지지구(6a), 제2의 전선 지지구(6b), 제3의 전선 지지구(6c))이다. 대체적으로, 전선 지지구(6)의 수는, 1개여도 되고, 2개여도 되며, 4개 이상이어도 된다.
전선 지지구(6) 중 적어도 하나는,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의 전선 지지구(6a)가, 길이 방향 축(L1)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제1의 전선 지지구(6a)는, 전선(W)의 절단 후에, 전선(W)의 한쪽의 단부를 지지한다(또한, 「단부를 지지하는」 것에는, 「단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의 전선 지지구(6a)를 길이 방향 축(L1) 둘레로 회동시키면, 전선(W)의 한쪽의 단부의 위치는 변화한다. 예를 들면, 전선(W)을 화살표(H)로 나타내어지는 위치에서 절단하고, 또한, 도 1에 기재된 상태로부터, 제1의 전선 지지구(6a)를 길이 방향 축(L1) 둘레로 180도 회동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전선(W)의 한쪽의 단부의 위치는, 봉 부재(5)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봉 부재(5)의 하방의 위치로 변화한다. 이렇게 해서, 전선(W)의 한쪽의 단부를, 전선(W)의 다른 쪽의 단부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로크 부재(7)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는, 봉 부재(5)에 대해서, 봉 부재의 길이 방향 축(L1)에 수직인 요동 중심축(S1) 둘레로 요동 가능하다. 로크 부재(7)가 로크 상태에 있을 때,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상대적인 요동(요동 중심축(S1) 둘레의 요동)이 금지되고, 로크 부재(7)가 비로크 상태에 있을 때,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상대적인 요동(요동 중심축(S1) 둘레의 요동)이 허용된다.
로크 부재(7)가,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상대적인 요동을 금지하는 로크 기구로서는, 임의의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전선 파지구(2)에 형성된 구멍과, 봉 부재(5)에 형성된 구멍에 로크 부재(예를 들면, 락 핀)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상술한 상대적인 요동이 금지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전선 파지구(2)에 형성된 구멍과, 봉 부재(5)에 형성된 구멍 중 적어도 한쪽은, 오목부로 치환되어도 된다. 대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는, 로크 부재(7)인 후크 부재와 핀(8)의 결합/분리를 이용한 로크 기구여도 된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후크 부재가, 제1 전선 파지구(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핀(8)이 봉 부재(5)에 설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후크 부재가 봉 부재(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핀(8)이 제1 전선 파지구(2)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로크 부재(7)가, 비로크 상태일 때에, 전선 절분 공구(1)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상대적인 요동은 허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선의 절분 공사를 행할 때, 봉 부재(5)를, 제1 전선 파지구(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요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공법을 실행 가능하다(절연봉 방식 또는 제1 공법).
절연봉 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7개의 공정이 실행된다. 제1 공정에서는, 절연봉을 이용하여 제1 전선 파지구(2)를 들어 올리고, 제1 전선 파지구(2)를 전선(W)에 장착한다(환언하면, 제1 전선 파지구(2)를 전선 상에 배치한다). 제2 공정에서는, 신축 가능한 봉 부재(5)를, 제1 전선 파지구(2)에 대해서 요동한다. 제3 공정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전선(W)을 전선 지지구(6)에 의해서 지지한다(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선을 지지하는」 것에는, 「전선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4 공정에서는, 제2 전선 파지구(3)를 전선(W)에 장착한다(환언하면, 제2 전선 파지구(3)를 전선 상에 배치한다). 제5 공정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가 제2 전선 파지구(3)에 가까워지도록, 신축 가능한 봉 부재(5)를 수축시킨다. 제5 공정의 실행에 의해, 전선(W)이 느슨해진다. 제6 공정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위치(전선이 느슨해져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W)을 절단한다. 제7 공정에서는, 전선 지지구(6)를 봉 부재(5)의 둘레로 회동시킨다. 제7 공정의 실행에 의해, 절단된 전선의 한쪽의 단부의 위치가, 절단된 전선의 다른 쪽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이격된다.
다음으로, 로크 부재(7)가, 로크 상태일 때에, 전선 절분 공구(1)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상대적인 요동은 금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선의 절분 공사를 행할 때, 봉 부재(5)를, 제1 전선 파지구(2)에 대해서 요동 불가능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행하는 공법을 실행 가능하다(일괄 방식 또는 제2 공법).
일괄 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5개의 공정이 실행된다. 제1 공정에서는, 집게 등을 이용하여 전선 절분 공구(1)의 전체를 들어 올리고,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전선(W)을 전선 지지구(6)에 의해서 지지한다. 제2 공정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를 전선(W)에 장착하고(환언하면, 전선 상에 배치하고), 제2 전선 파지구(3)를 전선(W)에 장착한다(환언하면, 전선 상에 배치한다). 제3 공정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가 제2 전선 파지구(3)에 가까워지도록, 신축 가능한 봉 부재(5)를 수축시킨다. 제3 공정의 실행에 의해, 전선(W)이 느슨해진다. 제4 공정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위치(전선이 느슨해져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W)을 절단한다. 제5 공정에서는, 전선 지지구(6)를 봉 부재(5)의 둘레로 회동시킨다. 제5 공정의 실행에 의해, 절단된 전선의 한쪽의 단부의 위치가, 절단된 전선의 다른 쪽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이격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는, 로크 부재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를 이용하여, 절연봉 방식과 일괄 방식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절연봉 방식이 적합한 상황 하에서, 일괄 방식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며, 또, 일괄 방식이 적합한 상황 하에서, 절연봉 방식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또, 절연봉 방식에 적합한 전선 절분 공구와, 일괄 방식에 적합한 전선 절분 공구 양쪽 모두를 준비할 필요도 없다.
(임의 부가적인 구성예)
계속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구성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제1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화살표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화살표 B-B 방향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로크 부재(7)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로크 부재(7)가 비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부재(7)는, 제1 전선 파지구(2)의 봉 부재(5)에 대한 요동을 금지하는 제1 위치에 있다. 한편,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부재(7)는, 제1 전선 파지구(2)의 봉 부재(5)에 대한 요동을 허용하는 제2 위치에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7)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1 구성예에 있어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각각은, 로크 부재(7)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즉, 로크 부재(7)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부재(7)는, 제1 전선 파지구(2) 또는 봉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구멍(50a, 50b)에 삽입 가능한 핀 부재이다. 또한, 핀 부재의 단면 형상(요동 중심축(S1)에 수직인 단면 형상) 중, 구멍(50a, 50b)에 삽입되는 부분의 단면 형상은, 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핀 부재의 단면 형상은, 원 형상 이외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즉, 로크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7)는, 구멍(50a, 50b)에 삽입됨과 더불어, 제1 전선 파지구(2)의 하면(20a, 20b)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제1 전선 파지구(2)는, 봉 부재(5)에 대해서, 하방을 향하여 요동할 수 없다. 게다가,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의 단부는, 봉 부재(5)에 설치된 스토퍼(5a)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제1 전선 파지구(2)는, 봉 부재(5)에 대해서, 상방을 향하여 요동할 수 없다. 이렇게 해서, 제1 전선 파지구(2)의 봉 부재(5)에 대한 요동이 금지된다.
대체적으로, 제1 전선 파지구(2)에 구멍을 형성함과 더불어, 봉 부재(5)에 구멍(50b 등)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에 로크 부재(7)(예를 들면, 락 핀)를 삽입 통과시켜도 된다. 이 경우도, 로크 상태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는, 봉 부재(5)에 대해서, 하방을 향하여 요동하지 못 하고, 또한, 상방을 향하여 요동할 수 없다.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5)의 내측에 제1 전선 파지구(2)가 배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1 전선 파지구(2)의 내측에 봉 부재(5)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봉 부재(5)에 구멍(50a, 50b)을 형성하는 대신에, 제1 전선 파지구(2)에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로크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7)가, 제1 전선 파지구(2)의 구멍에 삽입됨과 더불어, 봉 부재(5)의 상면에 맞닿아도 된다.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전선 절분 공구(1)는, 로크 부재(7)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71)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71)의 형상은,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이어도 되고, 그 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 부재(71)는, 봉 부재(5)에 고정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1 전선 파지구(2)가 봉 부재(5)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지지 부재(71)는, 제1 전선 파지구(2)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대체적으로, 지지 부재(71)가 생략되어도 된다. 지지 부재(71)가 생략되는 경우, 비로크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7)는, 전선 절분 공구(1)로부터 분리 가능해진다.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 부재(71)는, 봉 부재(5)에 나사식 결합되고, 지지 부재(71)와 봉 부재(5) 사이에는, 와셔(72)가 배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지지 부재(71)의 봉 부재(5) 등에 대한 고정은, 나사식 결합 이외의 방법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제1 구성예에 있어서, 전선 절분 공구(1)는, 로크 부재(7)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76)(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 부재(71)의 내부에 탄성 가압 부재(76)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가압 부재(76)는, 지지 부재(71)의 받이부(71a)와, 로크 부재(7)의 받이부(7a)(도 6을 참조)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전선 절분 공구(1)가, 로크 부재(7)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76)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로크 부재(7)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로크 부재(7)에 계속해서 외력을 부여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로크 부재(7)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로크 부재(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로크 부재(7)는, 탄성 가압 부재(76)에 의해서 제1 위치에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로크 부재(7)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는 일이 없다. 예를 들면, 전선 절분 공구의 운반 시에, 의도하지 않게, 로크 부재(7)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1 전선 파지구(2)가 봉 부재(5)에 대해서 요동하여, 제1 전선 파지구(2)가, 봉 부재(5) 혹은 다른 공구 등에 충돌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봉 부재(5) 혹은 다른 공구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탄성 가압 부재(76)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게, 로크가 해제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전선 절분 공구의 운반 시에, 제1 전선 파지구(2)가 봉 부재(5)에 대해서 요동함으로써, 제1 전선 파지구(2)가, 봉 부재(5) 혹은 다른 공구 등에 충돌하는 일이 없다.
제1 구성예에 있어서, 로크 부재(7)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즉,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는, 일괄 방식이 실행 가능한 상태이다. 일괄 방식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일괄 방식의 계속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괄 방식에 있어서의 상술한 제1 공정(전선(W)을 전선 지지구(6)에 의해서 지지하는 공정)을 실행하고, 또한, 제1 전선 파지구(2)를 전선에 장착한 후, 제2 전선 파지구(3)를 전선에 장착하는 작업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크 부재(7)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상대적인 요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일괄 방식의 실행 중, 즉, 전선 절분 공구가 수중으로부터 떨어져 가공 전선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공중에 있는) 경우에도, 일괄 방식의 실행을 중단하고, 절연봉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전선 파지구(3)를 전선(W)에 장착하는 작업을 완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7)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경우, 일괄 방식의 실행 중에, 일괄 방식의 실행을 중단하고, 절연봉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 구성예에 있어서, 로크 부재(7)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의 상대적인 요동이 금지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전선 절분 공구(1)가 잘못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리스크가 없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어진 상태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도 6에 나타내어진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7)의 진퇴 경로에, 제1 전선 파지구(2)가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로크 부재(7)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없다. 한편, 도 5에 나타내어진 상태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이다. 도 5에 나타내어진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7)의 진퇴 경로에, 로크 부재(7)의 이동을 방해하는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로크 부재(7)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체적으로, 제1 전선 파지구(2) 및 봉 부재(5)의 각각에, 로크 부재(7)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제1 전선 파지구(2)의 구멍과, 봉 부재(5)의 구멍이 정합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3)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의 구멍과, 봉 부재(5)의 구멍이 정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로크 부재(7)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없다.
제1 구성예에 있어서, 로크 부재(7)는, 요동 중심축(S1)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 절분 공구(1)의 봉 부재(5)에는, 주로, 인장 장력이 작용한다. 로크 부재(7)가, 당해 인장 장력에 수직인 방향, 즉, 요동 중심축(S1)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당해 인장 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황 하에 있어서도, 로크 부재(7)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제2 구성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제2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로크 부재(7)의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후술하는 가드 부재(9)의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제2 구성예에 있어서, 전선 절분 공구(1)는, 로크 부재(7)를 조작하는 제1 조작부(7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조작부(74)는, 원격 조작봉의 단부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740)를 포함한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조작부(74)는, 로크 부재(7)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조작부(74)와 로크 부재(7)가 별체인데, 제1 조작부(74)와 로크 부재(7)는 일체로 성형된 하나의 부재여도 된다. 또,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조작부(74)와 로크 부재(7)가 직접적으로 접속(예를 들면, 나사식 결합)되어 있는데, 제1 조작부(74)와 로크 부재(7)는, 링크 부재 등의 하중 전달 기구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수용부(740)는, 원격 조작봉의 단부(예를 들면, 후크부)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수용부(740)는, 예를 들면, 링 형상(즉, 내측에 구멍이 형성된 폐형상), 또는, 후크 형상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조작부(74)가, 원격 조작봉의 단부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740)를 갖는 경우, 로크 부재(7)가, 작업자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여도, 작업자는, 원격 조작봉을 이용하여, 제1 조작부(74)를 조작하여, 로크 부재(7)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전선 절분 공구(1)가 가공 전선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여도, 작업자는, 고소 작업차의 작업대 혹은 지상으로부터, 원격 조작봉을 이용하여, 제1 조작부(74)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구성예에 있어서, 제1 조작부(74)(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740))는, 요동 중심축(S1)에 평행한 회전축(R1)의 둘레로 회전 가능해도 된다. 그리고, 제1 조작부(74)를 회전축(R1)의 둘레로 회전시키면(예를 들면, 90도 회전시킨다), 로크 부재(7)는, 로크 위치로부터, 비로크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구성예에 있어서, 로크 위치 및 비로크 위치의 각각은, 적어도, 로크 부재(7)의 회전축(R1) 둘레의 회전 위치를 의미한다.
전선 절분 공구(1)가 가공 전선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상태, 즉, 로크 부재(7)가,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수용부(740)는, 저면에서 볼 때 대체로 직선형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상태, 즉, 로크 부재(7)가, 비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수용부(740)는, 저면에서 볼 때 대체로 링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가공 전선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전선 절분 공구(1)의 로크 부재(7)가, 로크 위치에 있는지, 혹은, 비로크 위치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X 방향과 평행하고 Y 방향과 평행하는 평면을, 투영면으로 정의한다. 또, Z 방향과 평행하는 평행광선에 의해, 수용부(740)를 투영면에 투영하는 것을 상정한다. 제1 조작부(74)(수용부(740))를 회전축(R1) 둘레로 회전시키면, 수용부(740)가 투영면에 비추어지는 면적(투영 면적)은, 변화한다.
도 5에 기재된 예(로크 부재(7)가 로크 위치에 있는 예)에 있어서, Z 방향과 평행하는 평행광선에 의해, 수용부(740)를 투영면에 투영했을 경우, 수용부(740)의 투영 면적은 최소가 된다. 한편, 도 6에 기재된 예(로크 부재(7)가 비로크 위치에 있는 예)에 있어서, Z 방향과 평행하는 평행광선에 의해, 수용부(740)를 투영면에 투영했을 경우, 수용부(740)의 투영 면적은 최대가 된다. 이 때, 수용부(740)의 링 형상이, 저면에서 볼 때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수용부(740)가 후크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수용부(740)의 후크 형상이, 저면에서 볼 때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시인성의 관점에서는, 로크 부재(7)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수용부(740)의 투영 면적이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평면에서 볼 때의 수용부(740)의 면적은, 제1 조작부(74)가 회전축(R1) 둘레를 회전함에 따라 변화하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의 수용부(740)의 면적은, 로크 부재(7)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성예에 있어서,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전선 절분 공구(1)는, 로크 부재(7)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71)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 부재(71)의 단부에, 얕은 홈(712)과, 깊은 홈(7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크 부재(7)(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부재의 축부(7b))에는, 로크 부재의 경외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7c)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7)의 돌출부(7c)가, 얕은 홈(712)과 결합할 때, 로크 부재(7)는, 비로크 위치에 있다. 이 때, 봉 부재(5)는, 제1 전선 파지구(2)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다. 한편, 로크 부재(7)의 돌출부(7c)가, 깊은 홈(714)과 결합할 때, 로크 부재(7)는, 로크 위치에 있다. 이 때, 봉 부재(5)는, 제1 전선 파지구(2)에 대해서 요동 불가능하다.
로크 부재(7)를 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조작부(74)를, 탄성 가압 부재(76)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제1 조작부(74)를, 회전축(R1) 둘레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로크 부재(7)의 돌출부(7c)의 위치가, 깊은 홈(714)의 위치와 정합하면, 로크 부재(7)는, 탄성 가압 부재(76)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로크 위치(즉, 제1 위치)로 이동한다. 로크 부재(7)를, 로크 위치로부터 비로크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동작(로크 부재(7)를 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반대의 순서로, 제1 조작부(74)를 조작하면 된다.
지지 부재(71)가, 로크 부재(7)에 결합 가능한 얕은 홈(712)과, 로크 부재(7)에 결합 가능한 깊은 홈(714)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로크 부재(7)가, 로크 위치 또는 비로크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로크 부재(7)가, 로크 위치로부터 비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것, 혹은, 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얕은 홈(712)의 위치는, 깊은 홈(714) 위치에 대해서, 회전축(R1) 둘레로 90도 회전한 위치이다. 이 때문에, 제1 조작부(74)(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740))를 회전축(R1)의 둘레로 90도 회전시키면, 로크 부재(7)는, 로크 위치로부터 비로크 위치로(또는, 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71)에, 얕은 홈(712)이 2개 형성되고, 깊은 홈(714)이 2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2개의 얕은 홈(712)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2개의 얕은 홈(712)은, 회전축(R1)에 대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2개의 깊은 홈(714)도,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조작부(74)를 회전축(R1) 둘레로 90도 회전시킬 때마다, 로크 부재(7)는, 로크 위치와 비로크 위치에 교대로 배치되게 된다.
또,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부재(7)에, 돌출부(7c)가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돌출부(7c)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돌출부(7c)가, 2개의 얕은 홈(712) 또는 2개의 깊은 홈(714)과 결합함으로써, 로크 부재(7)가 지지 부재(71)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제3 구성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제3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 구성예에 있어서, 전선 절분 공구(1)는, 로크 부재(7)의 측면을 덮는 가드 부재(9)를 구비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드 부재(9)는, 로크 부재(7)의 축부(7b)의 측면을 덮고 있다. 또, 가드 부재(9)는, 로크 부재(7)의 측면을 덮는 제3 위치(도 6에 나타내어지는 위치)와, 로크 부재(7)의 측면을 노출시키는 제4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드 부재(9)는, Y 방향 및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지지 부재(71)의 외면에 수나사(71b)가 설치되고, 가드 부재(9)의 내면에 암나사(9b)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가드 부재(9)를, Y 방향과 평행하는 직선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드 부재(9)를,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7)(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부재의 축부(7b))는, 가드 부재(9)에 의해서 보호된다. 이 때문에, 전선 절분 공구(1)에 다른 부재가 충돌 등 했을 때에, 로크 부재(7)가 손상되는 리스크가 작다. 예를 들면, 전선 절분 공구(1)에 다른 부재가 충돌 등 했을 때에, 로크 부재(7)의 축부(7b)가 꺾이는 리스크가 작다.
제3 구성예에 있어서, 가드 부재(9)는, 로크 부재(7)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9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스토퍼(92)(예를 들면, 가드 부재(9)의 단면)가, 로크 부재(7) 또는 제1 조작부(74)의 일부와 맞닿고 있다. 이 때문에, 로크 부재(7)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크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없다.
절연봉 방식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드 부재(9)를 제3 위치(도 6에 나타내어지는 위치)에 이동시킨다. 이 경우, 로크 부재(7)가 가드 부재(9)에 의해서 보호된다. 또, 가드 부재(9)가 스토퍼(9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절연봉 방식의 실시 중에, 로크 부재(7)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해 버리는 리스크가 없다.
(제4 구성예)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제4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화살표(C)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의 화살표(D)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제4 구성예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연결부의 일례에 관한 것이다. 제4 구성예에 있어서, 전선 절분 공구(1)는, 요동 중심축(S1)을 따라서 배치된 핀 부재(40)를 구비한다. 핀 부재(40)는, 축부(40a)와, 머리부(40b)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축부(40a)는, 제1 전선 파지구(2)에 형성된 관통공(28)과, 봉 부재(5)에 형성된 관통공(58)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는, 핀 부재(40)의 축부(40a)의 둘레를,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다. 대체적으로, 핀 부재(40)는, 제1 전선 파지구(2) 및 봉 부재(5) 중 어느 한쪽과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연결부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는, 2개의 판부(27a, 27b)를 구비한다. 또, 봉 부재(5)는, 2개의 판부(57a, 57b)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전선 파지구의 2개의 판부(27a, 27b)가, 봉 부재의 2개의 판부(57a, 57b)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가, 핀 부재(40)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연결부의 구성은, 도 8 및 도 9에 기재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구성예 내지 제4 구성예 중 어느 하나의 구성예가 채용되어도 된다. 대체적으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구성예 내지 제4 구성예 중 2개의 구성예가 조합되어 채용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구성예 및 제2 구성예, 제1 구성예 및 제3 구성예, 제1 구성예 및 제4 구성예, 제2 구성예 및 제3 구성예, 제2 구성예 및 제4 구성예, 혹은, 제3 구성예 및 제4 구성예가 채용되어도 된다. 대체적으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구성예 내지 제4 구성예 중 3개의 구성예가 조합되어 채용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구성예 이외의 구성예, 제2 구성예 이외의 구성예, 제3 구성예 이외의 구성예, 혹은, 제4 구성예 이외의 구성예가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대체적으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구성예 내지 제4 구성예 전부가 채용되어도 된다.
(제1 전선 파지구와 봉 부재 사이의 접속부 이외의 구성)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1 전선 파지구(2)와 봉 부재(5) 사이의 접속부 이외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1)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공구(1)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E-E 방향도이다.
(제1 전선 파지구(2))
제1 전선 파지구(2)는, 전선 파지부(23)와, 평행 링크 기구(G1)와, 봉 부재(5)에 접속되는 부분인 파지구 측 접속부(G2)를 구비한다.
전선 파지부(23)는, 전선(W)을 파지하는 부분이다. 전선 파지부(23)는, 상측 파지편(23a)과 하측 파지편(23b)을 포함한다. 상측 파지편(23a)의 하면과 하측 파지편(23b)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평행 링크 기구(G1)의 작용에 의해 변화한다. 상측 파지편(23a)의 하면과 하측 파지편(23b)의 상면 사이의 거리가 작아짐으로써, 전선(W)은, 상측 파지편(23a)의 하면과 하측 파지편(23b)의 상면 사이에서 파지된다.
평행 링크 기구(G1)는, 상측 파지편(23a)과, 제1 요동 부재(24a)와, 제2 요동 부재(24b)와, 하측 지지 부재(25)를 포함한다. 상측 파지편(23a)과 하측 지지 부재(25)는, 서로 대향 배치되고, 제1 요동 부재(24a)와 제2 요동 부재(24b)는, 서로 대향 배치되며, 이들 4개의 부재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G1)가 구성된다. 상측 파지편(23a)과 제1 요동 부재(24a)는, 제1축(AX1)에 있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측 파지편(23a)과 제2 요동 부재(24b)는, 제2축(AX2)에 있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하측 지지 부재(25)와 제1 요동 부재(24a)는, 제3축(AX3)에 있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측 지지 부재(25)와 제2 요동 부재(24b)는, 제4축(AX4)에 있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요동 부재(24a)는, 제1축(AX1)보다 봉 부재(5)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240a)를 구비한다. 그리고, 당해 제1 연장부(240a)에 배치된 제5축(AX5)에 있어서, 제1 요동 부재(24a)는, 하측 파지편(23b)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요동 부재(24b)는, 제2축(AX2)보다 봉 부재(5)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240b)를 구비한다. 당해 제2 연장부(240b)에 배치된 제6축(AX6)에 있어서, 제2 요동 부재(24b)는, 하측 파지편(23b)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5)에 접속되는 파지구 측 접속부(G2)는, 하측 지지 부재(25)를 포함한다. 대체적으로, 파지구 측 접속부(G2)와 하측 지지 부재(25)는, 별체여도 된다. 파지구 측 접속부(G2)와 봉 부재(5)는, 상술한 핀 부재(4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선 파지구(2)가 전선(W)을 파지하는 메커니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전선 파지구(2)의 상측 파지편(23a)과 하측 파지편(23b) 사이에 전선(W)이 배치되고, 제2 전선 파지구(3)의 상측 파지편(33a)과 하측 파지편(33b) 사이에 전선(W)이 배치된다. 계속해서, 신축 가능한 봉 부재(5)를 수축시킨다. 신축 가능한 봉 부재(5)를 수축시키면, 하측 지지 부재(25)는, 봉 부재(5) 측으로 끌어당겨진다. 하측 지지 부재(25)가 봉 부재(5) 측으로 끌어당겨지면, 평행 링크 기구(G1)에 의해서, 제5축(AX5)은, 제1축(AX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제6축(AX6)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상측 파지편(23a)의 하면과 하측 파지편(23b)의 상면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고, 상측 파지편(23a)과 하측 파지편(23b) 사이에서, 전선(W)이 파지된다.
또한, 제1 전선 파지구(2)는, 파지구 로크 부재(29)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파지구 로크 부재(29)는, 상측 파지편(23a)과 하측 파지편(23b) 사이에서 전선(W)이 파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 환언하면, 상측 파지편(23a)과 하측 파지편(23b)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는 부재이다.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파지구 로크 부재(29)는, 하측 지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구 로크 부재(29)는, 조작부(29a)(예를 들면, 조작 고리)와, 평행 링크 기구(G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요동 부재(24a))에 대해서 근접 이격 가능한 진퇴봉을 구비한다. 그리고, 조작부(29a)(예를 들면, 조작 고리)를,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진퇴봉이, 제1 요동 부재(24a)와 접촉한다. 그 결과, 평행 링크 기구의 가동 범위가 제한된다. 이렇게 해서, 상측 파지편(23a)과 하측 파지편(23b)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으로 넓어질 수 없게 된다.
상측 파지편(23a)과 하측 파지편(23b) 사이에, 전선(W)이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구 로크 부재(29)를 조작함으로써, 상측 파지편(23a) 및 하측 파지편(23b)에 의한 전선(W)의 파지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1 전선 파지구(2)가 의도하지 않게, 전선(W)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파지구 로크 부재(29)는, 전선 절분 공구(1)를 이용한 전선 절분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때에, 적합하게 활용 가능하다.
(제2 전선 파지구(3))
제2 전선 파지구(3)의 구성은, 제2 전선 파지구(3)가 봉 부재(5)에 대해서 요동 불가능한 점을 제외하고, 제1 전선 파지구(2)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전선 파지구(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봉 부재(5))
봉 부재(5)는, 외측 부재(51)와, 내측 부재(52)와, 제2 조작부(53)를 포함한다. 제2 조작부(53)는, 내측 부재(52)의 외측 부재(51)에 대한 상대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2 조작부(53)는, 봉 부재(5)에 접속되어 있고, Z 방향과 평행하는 회전축(R2)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제2 조작부(53)는, 원격 조작 부재의 원위단(遠位端)이 결합하는 결합부(530)를 구비한다.
원격 조작 부재를 이용하여, 신축 가능한 봉 부재(5)를 수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서, (A) 제2 조작부(53)에는, 제2 조작부와 함께 회전축(R2) 둘레를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B) 외측 부재(51)에는, 제1 베벨기어와 하중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베벨기어가 배치되고, (C) 제2 베벨기어는, 외측 나사가 외주에 배치된 나사봉과 함께,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하고, (D) 내측 부재(52)가, 당해 나사봉에 나사식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원격 조작 부재에 의해서, 제2 조작부(53)를 회전축(R2) 둘레로 회전시키면, 제1 베벨기어가 회전축(R2) 둘레를 회전하고, 제2 베벨기어가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한다. 제2 베벨기어가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하면, 나사봉이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한다. 나사봉이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하면, 나사봉에 나사식 결합하는 내측 부재(52)가, 외측 부재(51)로 끌려드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봉 부재(5)가 수축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 부재를 수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상술한 메커니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선 지지구(6))
전선 지지구(6)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전선(W)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 10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전선 절분 공구(1)는, 제1의 전선 지지구(6a)와 제2의 전선 지지구(6b)를 포함한다. 제1의 전선 지지구(6a)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조작부(53) 사이에 배치되고, 제2의 전선 지지구(6b)는, 제2 조작부(53)와 제2 전선 파지구(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2의 전선 지지구(6b)는, 제1의 전선 지지구(6a)와 제2 조작부(53)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1의 전선 지지구(6a)는,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봉 부재(5)(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부재(52))에 장착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의 전선 지지구(6a)는, 전선(W)을 받아들이는 수용 공간(SP)을 구비한다.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의 전선 지지구(6a)는, 틀 부재(61a)와, 틀 부재(61a)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62a)를 구비한다. 그리고, 틀 부재(61a)와 개폐 부재(62a)에 의해서, 수용 공간(SP)이 규정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의 전선 지지구(6b)는, 봉 부재(5)(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부재(51))에 장착되어 있다. 제2의 전선 지지구(6b)는,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 불가능하다. 대체적으로, 제2의 전선 지지구(6b)를,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봉 부재(5)에 장착하고, 제1의 전선 지지구(6a)를,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 불가능하게 봉 부재(5)에 장착해도 된다. 또한 대체적으로, 제1의 전선 지지구(6a) 및 제2의 전선 지지구(6b) 양쪽 모두를,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봉 부재(5)에 장착해도 된다.
제2의 전선 지지구(6b)의 구조는, 제1의 전선 지지구(6a)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의 전선 지지구(6b)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의 전선 지지구(6a) 및 제2의 전선 지지구(6b)를 이용하여, 절단 후의 전선의 제1 단부와, 절단 후의 전선의 제2 단부를 이격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우선, 전선(W)이, 제1의 전선 지지구(6a)의 수용 공간(SP)과, 제2의 전선 지지구(6b)의 수용 공간을 통과하도록, 봉 부재(5)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당해 봉 부재(5)의 이동에 의해, 전선(W)은, 제1의 전선 지지구(6a)의 틀 부재(61a)의 개구부를 개재하여, 제1의 전선 지지구(6a)의 수용 공간(SP)에 받아들여진다. 마찬가지로, 봉 부재(5)의 이동에 의해, 전선(W)은, 제2의 전선 지지구(6b)의 틀 부재의 개구부를 개재하여, 제2의 전선 지지구(6b)의 수용 공간에 받아들여진다. 그 후, 제1의 전선 지지구(6a)와 제2의 전선 지지구(6b)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전선(W)이 절단된다. 계속해서, 제1의 전선 지지구(6a)를,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예를 들면,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절단 후의 전선의 제1 단부는, 봉 부재(5)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절단 후의 전선의 제1 단부와, 절단 후의 전선의 제2 단부가 이격된다.
도 10 및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전선 절분 공구(1)는, 제3의 전선 지지구(6c)를 구비한다. 제3의 전선 지지구(6c)는, 봉 부재(5)에 대해서, 제1의 전선 지지구(6a)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의 전선 지지구(6a)가 봉 부재(5)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3의 전선 지지구(6c)가 봉 부재(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즉, 제1의 전선 지지구(6a) 및 제3의 전선 지지구(6c)를,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을 따라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제1의 전선 지지구(6a)의 중심(C1)과, 제3의 전선 지지구(6c)의 중심(C2)은, Y 방향(즉, 요동 중심축(S1)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다. 또한, 제1의 전선 지지구(6a)의 중심(C1)이란, 틀 부재(61a)와 개폐 부재(62a)에 의해서 규정되는 수용 공간(SP)의 중심을 의미하며, 제3의 전선 지지구(6c)의 중심이란, 틀 부재(61c)와 개폐 부재(62c)에 의해서 규정되는 수용 공간(SP2)의 중심을 의미한다.
또,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틀 부재(61a)의 개구부와, 틀 부재(61c)의 개구부가 동일한 측(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5)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의 전선 지지구(6a)와, 제3의 전선 지지구(6c)는, 공통의 기부(64)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기부(64)가, 봉 부재(5)의 길이 방향 축(L1)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봉 부재(5)에 장착되어 있다.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전선 절분 공구(1)는, 제1의 전선 지지구(6a)와, 봉 부재(5)에 대해서 제1의 전선 지지구(6a)의 반대 측에 배치된 제3의 전선 지지구(6c)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절단 대상이 되는 전선의 굵기 혹은 배치 등에 의거하여, 전선 절분 작업에서 이용하는 전선 지지구를, 제1의 전선 지지구(6a) 또는 제3의 전선 지지구(6c)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선 절분 공구를 이용하면, 제1 공법(절연봉 방식) 또는 제2 공법(일괄 방식) 중 최적의 공법을 선택하여, 전선 절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절분 공구의 제조업자, 전선 절분 작업을 실시하는 업자에게 있어서 유용하다.
1: 전선 절분 공구 2: 제1 전선 파지구
3: 제2 전선 파지구 5: 봉 부재
5a: 스토퍼 6: 전선 지지구
6a: 제1의 전선 지지구 6b: 제2의 전선 지지구
6c: 제3의 전선 지지구 7: 로크 부재
7a: 받이부 7b: 축부
7c: 돌출부 8: 핀
9: 가드 부재 9b: 암나사
23: 전선 파지부 23a: 상측 파지편
23b: 하측 파지편 24a: 제1 요동 부재
24b: 제2 요동 부재 25: 하측 지지 부재
28: 관통공 29: 파지구 로크 부재
29a: 조작부 33a: 상측 파지편
33b: 하측 파지편 40: 핀 부재
40a: 축부 40b: 머리부
51: 외측 부재 52: 내측 부재
53: 제2 조작부 58: 관통공
61a, 61c: 틀 부재 62a, 62c: 개폐 부재
64: 기부 71: 지지 부재
71a: 받이부 71b: 수나사
72: 와셔 74: 제1 조작부
76: 탄성 가압 부재 92: 스토퍼
240a: 제1 연장부 240b: 제2 연장부
530: 결합부 712: 얕은 홈
714: 깊은 홈 740: 수용부
G1: 평행 링크 기구 G2: 파지구 측 접속부
S1: 요동 중심축 W: 전선

Claims (15)

  1.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에 배치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봉 부재의 길이 방향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전선 지지구와,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선 파지구는, 상기 봉 부재에 대해서,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요동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의 상기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금지하고, 비(非)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의 상기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허용하는 전선 절분(切分)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의 상기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금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의 상기 봉 부재에 대한 요동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전선 절분 공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봉 부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봉 부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요동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요동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요동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요동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를 조작하는 제1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부는, 원격 조작봉의 단부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선 절분 공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요동 중심축에 수직인 회전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수용부의 면적은, 상기 제1 조작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를 회전함에 따라 변화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수용부의 면적은, 상기 로크 부재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전선 절분 공구.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의 경외(俓外)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얕은 홈과,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깊은 홈을 구비하는, 전선 절분 공구.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의 측면을 덮는 가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측면을 덮는 제3 위치와,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측면을 노출시키는 제4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전선 절분 공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전선 절분 공구.
KR1020207034594A 2018-05-15 2018-05-15 전선 절분 공구 KR102543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8689 WO2019220524A1 (ja) 2018-05-15 2018-05-15 電線切分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00A true KR20210002700A (ko) 2021-01-08
KR102543446B1 KR102543446B1 (ko) 2023-06-14

Family

ID=6853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594A KR102543446B1 (ko) 2018-05-15 2018-05-15 전선 절분 공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43446B1 (ko)
CN (1) CN112154584B (ko)
WO (1) WO201922052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7A (ja) * 1990-04-13 1992-01-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ケーブル張線装置
JPH09298815A (ja) * 1996-05-01 1997-11-18 Toenec Corp ジャンパー線ホルダー
JP2002027624A (ja) * 2000-07-06 2002-01-25 Nagaki Seiki:Kk 被覆架線の切分け方法
JP2010088256A (ja) 2008-10-02 2010-04-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切分工具
JP2015070651A (ja)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関電工 電線切り分け工事用柱間引留工具及びその着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0103B2 (ja) * 1997-06-10 1999-12-13 関西電力株式会社 張線装置
JP2010051081A (ja) * 2008-08-20 2010-03-04 Nagaki Seiki Co Ltd 架線工事用補助具及び架線工事方法
JP5329278B2 (ja) * 2009-03-30 2013-10-30 株式会社中電工 絶縁カバ−用取付け工具
JP5876316B2 (ja) * 2012-02-07 2016-03-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携帯時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7A (ja) * 1990-04-13 1992-01-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ケーブル張線装置
JPH09298815A (ja) * 1996-05-01 1997-11-18 Toenec Corp ジャンパー線ホルダー
JP2002027624A (ja) * 2000-07-06 2002-01-25 Nagaki Seiki:Kk 被覆架線の切分け方法
JP2010088256A (ja) 2008-10-02 2010-04-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切分工具
JP2015070651A (ja)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関電工 電線切り分け工事用柱間引留工具及びその着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54584A (zh) 2020-12-29
KR102543446B1 (ko) 2023-06-14
WO2019220524A1 (ja) 2019-11-21
CN112154584B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5135B1 (en) Gripper with conformal spring fingers
JP5850800B2 (ja) 掴線器
JP6671656B2 (ja) 電線仮支持工具
WO2017119148A1 (ja) 掴線器
EP2169239A1 (en) Clamp
KR20210002700A (ko) 전선 절분 공구
JP6915799B2 (ja) 電線切分工具
TW202040899A (zh) 緊線器及線材切割工具
US20200316791A1 (en) Attachment System For Industrial Robot, Industrial Robot And Method
JP2016144863A5 (ja) エンドエフェクタ、着脱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着脱方法および制御方法
KR102328181B1 (ko)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
JP5524366B1 (ja) 間接活線工法用クリップ
TWI766996B (zh) 電線切割工具
JP6864454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5442817B2 (ja) 間接活線把持工具
TW202037024A (zh) 緊線器及線材切割工具
JP5836842B2 (ja) 電線収容具及びこれを備えた拡幅具
KR20120048026A (ko) 스위치-로킹 피팅 및 제어장치
JP2018201312A (ja) 先端工具支持具
JP6411155B2 (ja) 姿勢保持装置
KR102670262B1 (ko) 공구
JP6527654B2 (ja) アームの操作方法及び操作装置
JP5365156B2 (ja) ロボット装置
JP6735043B2 (ja) ロボット、対象物固定装置、および機械加工方法
KR20210105924A (ko)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