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353A -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353A
KR20210002353A KR1020200184458A KR20200184458A KR20210002353A KR 20210002353 A KR20210002353 A KR 20210002353A KR 1020200184458 A KR1020200184458 A KR 1020200184458A KR 20200184458 A KR20200184458 A KR 20200184458A KR 20210002353 A KR20210002353 A KR 20210002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ch
jelly
premix
juice
gel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294B1 (ko
Inventor
김경미
박가영
라하나
조용식
김하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6247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74378A/ko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18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2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5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8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eds, e.g. locust bean gum or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A23L29/273Dextran; Polysaccharides produced by leuconosto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복숭아를 장기간 저장 가능하도록 가공하여, 최근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복숭아의 활용도를 증진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본 발명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뜨거운 물을 부어 간단하게 젤리로 제조될 수 있어, 어른, 아이 등 모두가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제품 이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고, 나아가,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색도, 식감 등의 식품기호도가 우수한 바, 복숭아의 소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Peach jelly premix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숭아는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 식물로 여름 대표적 과일로 국내 5대 과일 중 하나이다. 복숭아는 독특한 향기와 감미를 가지며 과즙이 많아 부드러우며 식물성 식이섬유인 펙틴과 비타민 A, C가 풍부하여 변비 해소와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생체 내에서 니코틴 해독, 항암, 항노화 및 미백, 갈증 해소, 피로 회복, 숙취 해소 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복숭아는 특히 단맛이 강하여 여름철 생과용으로 소비자에게 가장 선호되는 식품 중 하나이다.
다만, 복숭아는 과육이 연약해 고온인 여름철에 쉽게 연화되기 때문에 저장성이 낮고, 유통과정에서 10~30%는 폐기되어지는 이유로 수확기에 일시출하가 불가피하므로 가격의 변동이 심하여 가격 안정화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다양한 가공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복숭아를 이용한 연구는 대부분 복숭아 생과의 성분 및 기능성 분석, 복숭아 생과의 저장성 향상 및 저장 중 변화 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일부 복숭아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대한 연구로는 복숭아 발효주, 복숭아 음료 등이 연구되고 있지만, 다른 과일류에 비하여 고부가가치 가공제품의 연구와 개발은 초보적인 단계에 있다.
최근, 복숭아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복숭아 과잉 생산이 예상되고 있으나, 오히려 복숭아 가공 비중은 200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고, 1% 이하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과잉생산이 예상되고, 가공 비중이 낮은 복숭아에 대한 활용도 증진 및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소비자 기호도에 부합하며, 제품의 이용도를 동반 상승시킬 수 있는 적합한 가공법과 제품이 시장에 공급되어야 한다.
한편, 젤리는 우리나라 식품공전 상 캔디류에 속하며, 당류 또는 당알코올 및 겔화제 등을 원료로 하여 이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가하여 농축, 성형한 것으로 유동성이 없는 고체상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젤리는 과채류의 즙에 당과 겔화제를 혼합하여 농축, 성형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수분함량은 20% 내외로 함유한 당류 기호식품이다. 젤리는 수분을 결합할 수 있는 겔화제 종류에 따라 다양한 조직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 복숭아의 과잉생산의 우려가 있는 점, 복숭아의 가공 비중이 낮은 점에 주목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숭아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본 발명에 따른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가, 장시간 보존 가능한 프리믹스의 형태로서, 가정에서 뜨거운 물만 준비하면 어른, 아이 모든 이용자가 쉽게 젤리를 만들어 이용할 수 있어, 복숭아 활용도 및 이용도를 높일 수 있어 유용하고, 나아가,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색도, 식감 등의 식품기호도 역시 우수한 가공식품임을 확인한 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96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용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프리믹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로부터 제조되는 복숭아 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 및
로커스트콩검, 카리기난, 및 잔탄검을 포함하는 겔화제;를 포함하는,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로커스트콩검, 카리기난, 및 잔탄검을 포함하는 겔화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포함하는 복숭아 젤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사용한, 상기 복숭아 젤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복숭아를 장기간 저장 가능하도록 가공하여, 최근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복숭아의 활용도를 증진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본 발명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뜨거운 물을 부어 간단하게 젤리로 제조될 수 있어, 어른, 아이 등 모두가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제품 이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고, 나아가,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색도, 식감 등의 식품기호도가 우수한 바, 복숭아의 소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6의 각각 다른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배합비를 갖는 분말상 프리믹스로부터 제조된 6개의 복숭아 젤리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제조예 1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조예 2의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6의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사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7-11의 혼합제제 프리믹스 및 복숭아 착즙액을 사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7-11의 각각 다른 겔화제 배합비를 갖는 분말상 프리믹스로부터 제조된 5개의 복숭아 젤리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설명으로부터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 및
로커스트콩검, 카리기난, 및 잔탄검을 포함하는 겔화제;를 포함하는,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가 제공된다.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에 있어서,
상기 프리믹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전적 의미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상기한 착즙액 또는 이의 분말과 겔화제를 사전에 혼합한 것, 또는 혼합하지 않고 착즙액 또는 이의 분말과 겔화제를 별도로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믹스는 액상, 또는 분말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프리믹스는 겔화제 각각의 성분은 혼합시키되, 상기 착즙액 및 착즙액 분말은 선택적으로 상기 겔화제와 혼합된 형태로 준비할 수 있고, 또는 혼합시키지 않고 준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겔화제와 착즙액 또는 착즙액 분말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준비되는 경우, 별도의 분획 공간에 준비되는 프리믹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착즙액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복숭아 열매 또는 과육으로부터 얻어지는 액상의 물질, 예를 들어 과즙(착즙액), 액기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숭아 착즙액은, 복숭아 열매 또는 과육을 일반적으로 알려진 착츱액 제조공정으로부터 제조되는 착즙액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만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복숭아 열매 또는 과육으로부터 얻어지는 액상의 물질, 예를 들어 과즙(착즙액), 액기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일반적인 분말화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조되는 분말로 이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은, 얻어진 복숭아 착즙액을 일반적으로 알려진 분말화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조되는 분말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 및 이의 분말을 제조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알려진 착즙액 제조 공정 및 분말화 공정이 본 발명에 제한 없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방법은, 과육 착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 방법은, 착즙 단계 이전에 선택적으로, 복숭아 수세 단계, 껍질 및 심지 제거 단계, 복숭아 분쇄 단계와 같은, 추가의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 방법은, 착즙 단계 이후에 선택적으로, 착즙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또는 착즙액을 여과, 농축, 원심분리 단계, 회수 단계 등과 같은 추가의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숭아 착즙액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식품 첨가제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향미제, 향료, 감미제, 산미제, 항산화제, 비타민류, 미네랄류, 유화제, 식용 색소,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즙액의 분말화는, 예를 들어, 얻어진 착즙액을 동결 건조한 후, 이를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선택적으로 추가의 겔화제,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추가의 겔화제는 덱스트린을 더 포함하는 겔화제일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식품 첨가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향미제, 향료, 감미제, 산미제, 항산화제, 비타민류, 미네랄류, 유화제, 식용 색소,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일 수 있다.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 : 상기 겔화제의 중량비는,
0.05 - 1 : 1, 0.07 - 1 : 1, 0.09 - 1 : 1, 0.1 - 1 : 1, 또는 0.05 - 0.8 : 1, 0.07 - 0.8 : 1, 0.09 - 0.8 : 1, 0.1 - 0.8 : 1, 또는 0.05 - 0.7 : 1, 0.07 - 0.7 : 1, 0.09 - 0.7 : 1, 0.1 - 0.7 : 1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3 - 0.6 : 1, 0.4 - 0.6 :1. 0.3 - 0.5 :1, 또는 0.4 - 0.5 : 1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 1일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복숭아 착즙액 분말 : 상기 겔화제의 중량비는 젤리의 제조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식감, 등의 식품 기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식품 외관, 색도, 등의 심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숭아 착즙액 : 상기 겔화제의 중량비는,
5 - 50 : 1, 5 - 40 : 1, 5 - 30 : 1, 또는 8 - 50 : 1, 8 - 40 : 1, 8 - 30 : 1, 또는 10 - 50 : 1, 10 - 40 : 1, 10 - 30 : 1, 바람직하게는, 12 - 20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 1일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복숭아 착즙액 : 상기 겔화제의 중량비는 젤리의 제조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식감, 등의 식품 기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식품 외관, 색도, 등의 심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복숭아 젤리 제조용 조성물(복숭아 착즙액 + 겔화제 + 정제수 + 기타 첨가제) : 상기 겔화제의 배합비를 1.0 내지 3.0%로 조절하여 젤리를 제조하였고, 각각 다른 배합비의 사용으로부터, 호적한 젤리의 외관, pH, 총산, 당도, 색도, 조직감, 씸힘성, 기호도 등의 식품으로서 소비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능과 효과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 100 : 1.0 - 3.0, 100 : 1.2 - 2.8, 100: 1.5 - 2.5, 또는 약 100: 2.0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특정 배합비의 젤리로부터 산업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유용함을 규명하였다.
나아가,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중량비는,
예를 들어, 100 : 0.5 - 7, 100 : 0.6 - 7, 100 : 0.7 - 7, 또는 100 : 0.8 - 7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100 : 0.5 - 6, 100 : 0.6 - 6, 100 : 0.7 - 6, 또는 100 : 0.8 - 6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100 : 0.5 - 5, 100 : 0.6 - 5, 100 : 0.7 - 5, 또는 100 : 0.8 - 5일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중량비는 젤리의 제조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식감, 등의 식품 기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식품 외관, 색도, 등의 심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 상기 복숭아 착즙액의 중량비는,
예를 들어, 100 : 70 - 90, 100 : 70 - 85, 100 : 75 - 90, 또는 100 : 75 - 85일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중량비는 젤리의 제조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식감, 등의 식품 기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식품 외관, 색도, 등의 심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복숭아 젤리 제조용 조성물(복숭아 착즙액 분말 + 겔화제 + 정제수 + 기타 첨가제) :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배합비를 0.2 내지 1.2%로 조절하여 젤리를 제조하였고, 각각 다른 배합비의 착즙액 분말의 사용으로부터, 호적한 젤리의 외관, pH, 총산, 당도, 색도, 조직감, 씸힘성, 기호도 등의 식품으로서 소비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능과 효과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 100 : 0.2 - 1.2, 100 : 0.4 - 1.2, 100 : 0.6 - 1.2, 100 : 0.8 - 1.2, 또는 100 : 0.8 - 1.0이 바람직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 1.0일 일 수 있고, 상기한 특정 배합비의 젤리로부터 산업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유용함을 규명하였다.
다른 한편,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의 로커스트콩검 : 카리기난 : 잔탄검의 중량비는, 1.5 - 3 : 0.7 - 1.2 : 0.7 - 1.2, 또는 1.8 - 2.5 : 0.8 - 1.1 : 0.8 - 1.1, 또는 1.9 - 2.1 : 0.9 - 1.1 : 0.9 - 1.1, 또는 약 2 : 1 : 1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겔화제의 로커스트콩검 : 카리기난 : 잔탄검의 중량비는 젤리의 제조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식감, 등의 식품 기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식품 외관, 색도, 등의 심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겔화제가 덱스트린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겔화제의 로커스트콩검 : 카리기난 : 잔탄검 : 덱스트린의 중량비는, 1.5 - 3 : 0.7 - 1.2 : 0.7 - 1.2 : 0.7 - 1.2, 또는 1.8 - 2.5 : 0.8 - 1.1 : 0.8 - 1.1 : 0.8 - 1.1, 또는 1.9 - 2.1 : 0.9 - 1.1 : 0.9 - 1.1 : 0.9 - 1.1, 또는 약 2 : 1 : 1 : 1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겔화제의 로커스트콩검 : 카리기난 : 잔탄검 : 덱스트린의 중량비는 젤리의 제조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맛, 향, 식감, 등의 식품 기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제조되는 젤리의 식품 외관, 색도, 등의 심미도에 호적한 배합비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식품에 첨가될 수 있는 첨가제를 제약 없이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첨가제는, 향미제, 향료, 감미제, 산미제, 항산화제, 비타민류, 미네랄류, 유화제, 식용 색소,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감미제로는 설탕, 유당, 포도당, 포도당시럽, 과당, 액상과당, 환원맥아당, 물엿, 덱스트린 등의 당류 또는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티톨 등의 당알콜이 사용될 수 있고, 감미제의 사용량은 상기 복숭아 젤리 제조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60 중량부, 또는 5 - 30 중량부, 또는 6 - 2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산미제로는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주석산, 젖산, 푸마르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상기 복숭아 젤리 제조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0.9, 또는 0.05 - 0.8, 또는 0.2 - 0.8, 또는 0.4 - 0.6 중량부이다.
향료로는 복숭아, 딸기, 포도, 사과, 바나나, 오렌지, 레몬, 수박, 바닐라, 버터, 스파이스, 민트 및 허브향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아스콜빈산, 초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로커스트콩검, 카리기난, 및 잔탄검을 포함하는 겔화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착즙액은, 복숭아 열매를 일반적으로 알려진 착츱액 제조공정으로 착즙액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은, 착즙액을 통상적인 분말화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조되는 분말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 및 이의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알려진 착즙액 제조 공정 및 분말화 공정이 본 발명에 제한 없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복숭아 착즙액은 통상적인 과육 착즙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 방법은, 선택적으로, 복숭아 수세 단계, 껍질 및 심지 제거 단계, 복숭아 분쇄 단계와 같이, 착즙 전에 하나 이상의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얻어진 착즙액에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또는 선택적으로 얻어진 착즙액을 여과, 농축, 원심분리와 같은 추가의 후속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식품 첨가제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향미제, 향료, 감미제, 산미제, 항산화제, 비타민류, 미네랄류, 유화제, 식용 색소,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 단계는, 바람직하게, 도 2 및 도 3과 같이, 복숭아 수세 단계, 복숭아 껍질 및 심지 제거 단계, 과육 착즙 단계, 착즙액의 1% 중량비로 비타민 C(아스콜빈산)의 첨가 단계, 원심분리 단계, 및 상등액만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제조 단계는, 상기한 착즙액 제조 단계 후, 후속적인 분말화 공정을 더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얻어진 착즙액은 분말화를 위하여, 잘 알려진 임의의 분말화 공정(방법) 등을 제한 없이 선택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얻어진 착즙액을 동결 건조한 후, 이를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복숭아 착즙액, 복숭아 착즙액 분말, 겔화제, 첨가제, 상기 겔화제의 개개의 구성 성분의 중량비는, 상기한 본 발명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사용한, 상기 복숭아 젤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복숭아 젤리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로부터 제조되는 것이되, 이 제조방법은 본 발명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사용하는 제조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숭아 젤리의 제조방법은,
물과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혼합하는 단계; 및
얻어진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일 수 있고, 또는
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가열된 물에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일 수 있다.
즉, 상기 복숭아 젤리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사용하되, 혼합 단계 및 가열 단계를 선택적으로 도치하여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먼저 물과 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혼합하여 이를 가열하고, 여기에 나머지 프리믹스 성분(겔화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젤리를 제조할 수 있고, 또는, 먼저 물만을 가열한 후, 여기에 본 발명 프리믹스(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 + 겔화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젤리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 단계의 가열 온도 및 시간은 젤리가 제조될 수 있는 조건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다른 한편, 상기 혼합되는 물은, 정제수, 이온수,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식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 프리믹스 1 중량부 대비 1 내지 4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전체 젤리 제조용 조성물(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 + 겔화제 + 기타 첨가제 + 물)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80 중량부, 또는 60 내지 8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포함하는 복숭아 젤리, 또는
상기 복숭아 젤리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복숭아 젤리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이 제공하는 복숭아 젤리는,
상기 본 발명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복숭아 젤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 상기 복숭아 젤리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복숭아 젤리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복숭아 젤리는, 상기 프리믹스의 특정한 배합비(중량비), 다르게는, 특정한 겔화제와 복숭아 착즙액 또는 복숭아 착즙액의 배합비(중량비), 또 다르게는, 특정한 겔화제 각각의 성분의 배합비(중량비)로부터, 외관, 명도, 색도, pH, 총산, 당도, 조직감, 맛, 향 등의 식품 기호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달성되어, 경제적, 산업적으로 유리한 식품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프리믹스는 보다 장시간 보존될 수 있는 가공제품으로, 최근 과잉생산의 우려가 있고 장기간 저장이 어려운 복숭아의 활용도를 증진할 수 있고, 소비확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본 발명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가정에서 간단한 조리법으로 젤리로 제조할 수 있는 바, 어른, 아이 모든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
복숭아 착즙액을 도 2와 같이, 복숭아 수세, 복숭아의 껍질 및 심지 제거, 과육 착즙, 착즙액의 1 중량%의 비타민 C 첨가, 원심분리(8,000rpm, 10분)의 각 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숭아 착즙액의 제조
복숭아 착즙액을 도 3과 같이, 복숭아 세척, 복숭아의 껍질 및 심지 제거, 분쇄, 갈변 억제제(비타민 C 0.1%) 첨가, 펙틴분해효소 첨가(pectinase 0.1%), 효소 반응(상온, 30분), 착즙의 각 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착즙액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분말상 프리믹스의 제조 1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복숭아 착즙액 분말 0.2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 구연산 0.6 중량부와, 겔화제로 로커스트공컴, 카리기난, 잔탄검 각각 1 중량부, 0.5 중량부, 0.5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분말상 프리믹스의 제조 2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0.4 중량부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수행하여,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분말상 프리믹스의 제조 3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0.6 중량부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수행하여,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분말상 프리믹스의 제조 4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0.8 중량부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수행하여,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분말상 프리믹스의 제조 5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1.0 중량부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수행하여,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분말상 프리믹스의 제조 6
복숭아 착즙액 분말을 1.2 중량부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수행하여,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분말상 프리믹스의 배합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복숭아 착즙액 분말
(제조예 3)
0.2 0.4 0.6 0.8 1.0 1.2
설탕 20 20 20 20 20 20
구연산 0.6 0.6 0.6 0.6 0.6 0.6
로커스트콩검 1 1 1 1 1 1
카리기난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5 0.5 0.5 0.5 0.5 0.5
정제수 77.2 77 76.8 76.6 76.4 76.2
100 100 100 100 100 100
(표 1의 정제수는, 실시예 1-6의 분말상 프리믹스와 합하여, 합계 100이 될 수 있도록 사용하였다.)
<실시예 7> 혼합제제 프리믹스의 제조 1
설탕 30 중량부, 구연산 2 중량부와, 겔화제로 로커스트공컴, 카리기난, 잔탄검, 덱스트린 각각 2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혼합제제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혼합제제 프리믹스의 제조 2
겔화제를 로커스트공컴, 카리기난, 잔탄검, 덱스트린 각각 3 중량부, 1.5 중량부, 1.5 중량부, 1.5 중량부의 배합비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같이 수행하여, 혼합제제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혼합제제 프리믹스의 제조 3
겔화제를 로커스트공컴, 카리기난, 잔탄검, 덱스트린 각각 4 중량부, 2 중량부, 2 중량부, 2 중량부의 배합비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같이 수행하여, 혼합제제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혼합제제 프리믹스의 제조 4
겔화제를 로커스트공컴, 카리기난, 잔탄검, 덱스트린 각각 5 중량부, 2.5 중량부, 2.5 중량부, 2.5 중량부의 배합비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같이 수행하여, 혼합제제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혼합제제 프리믹스의 제조 5
겔화제를 로커스트공컴, 카리기난, 잔탄검, 덱스트린 각각 6 중량부, 3 중량부, 3 중량부, 3 중량부의 배합비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같이 수행하여, 혼합제제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1 혼합제제 프리믹스의 배합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복숭아 착즙액
(제조예 2)
150 150 150 150 150
설탕 30 30 30 30 30
구연산 2 2 2 2 2
로커스트콩검 2 3 4 5 6
카리기난 1 1.5 2 2.5 3
덱스트린 1 1.5 2 2.5 3
잔탄검 1 1.5 2 2.5 3
정제수 313 310.5 308 305.5 303
500 500 500 500 500
(표 2의 복숭아 착즙액은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것을 150 중량부로 사용하였고, 정제수는, 복숭아 착즙액 및 실시예 7-11의 프리믹스와 합하여, 합계 500이 될 수 있도록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복숭아 착즙액 분말 배합비 변화에 따른 젤리 평가
상기 표 1에 나타낸 실시에 1-6의 다른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배합비를 갖는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복숭아 젤리를 제조하였고, 이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실시예 1-6의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사용한 젤리의 제조는, 도 4와 같이 물을 가열한 후(뜨거운 물 준비), 여기에 각 실시예 1-6의 분말상의 프리믹스를 첨가하여 70초 동안 교반하고, 얻어진 혼합액을 성형 틀에 부어 상온으로 식혀 15분 후, 4 ℃ 냉장고에 2시간 동안 굳혀, 각 6개의 젤리를 제조하였다.
<1-1> 외관 관찰
실시예 1-6의 다른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배합비를 갖는 분말상 프리믹스로부터 제조된 6개의 복숭아 젤리 외관을 관찰하여, 도 1에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1-2> 산도 및 당도 평가
얻어진 6개의 젤리 각각의 pH, 총산(%), 및 당도('Brix)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pH 총산(%) 당도('Brix)
실시예 1
(복숭아 착즙액 분말 0.2%)
3.23±0.01 0.31±0.00 15.7±0.6
실시예 2
(복숭아 착즙액 분말 0.4%)
3.21±0.00 0.32±0.00 16.3±0.6
실시예 3
(복숭아 착즙액 분말 0.6%)
3.22±0.01 0.34±0.00 16.3±0.6
실시예 4
(복숭아 착즙액 분말 0.8%)
3.15±0.01 0.35±0.00 16.7±0.6
실시예 5
(복숭아 착즙액 분말 1.0%)
3.13±0.01 0.36±0.01 17.0±0.0
실시예 6
(복숭아 착즙액 분말 1.2%)
3.11±0.01 0.40±0.00 17.3±0.6
표 3을 살펴보면, 복숭아 착즙액 분말 젤리의 pH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총산과 당도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1-3> 색도 평가
얻어진 6개의 젤리 각각의 색도(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실시예 1
(복숭아 착즙액 분말 0.2%)
45.07±1.18 0.14±0.02 3.10±0.04
실시예 2
(복숭아 착즙액 분말 0.4%)
44.58±0.03 0.16±0.01 3.18±0.01
실시예 3
(복숭아 착즙액 분말 0.6%)
43.84±0.24 0.19±0.01 3.28±0.03
실시예 4
(복숭아 착즙액 분말 0.8%)
43.70±0.86 0.26±0.01 3.94±0.09
실시예 5
(복숭아 착즙액 분말 1.0%)
43.43±0.36 0.27±0.04 4.00±0.04
실시예 6
(복숭아 착즙액 분말 1.2%)
43.08±0.47 0.47±0.05 5.11±0.14
표 4를 살펴보면,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이 선명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 조직감 평가
얻어진 6개의 젤리 각각의 조직감(경도, 검성, 씹힘성, 접착성, 탄력성, 응집성)를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경도(g) 접착성(g.s) 탄력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
실시예 1
(0.2%)
200.64±4.12 -13.18±1.89 0.90±0.01 0.51±0.01 104.24±1.87 87.31±9.84
실시예 2
(0.4%)
223.91±1.17 -13.70±2.14 0.88±0.01 0.50±0.02 112.42±5.21 99.16±5.58
실시예 3
(0.6%)
226.75±6.18 -15.76±0.72 0.83±0.05 0.51±0.01 115.86±4.31 95.50±3.14
실시예 4
(0.8%)
237.46±7.50 -17.26±1.46 0.85±0.02 0.50±0.00 118.63±3.83 100.95±2.61
실시예 5
(1.0%)
285.22±1.47 -16.58±0.90 0.86±0.02 0.51±0.02 144.67±6.66 124.68±6.37
실시예 6
(1.2%)
397.62±11.27 -24.40±2.13 0.84±0.03 0.61±0.03 242.47±8.93 203.53±14.73
표 5를 살펴보면,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젤리의 경도(Hardness), 검성(Gumminess) 및 씹힘성(Chewiness)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로부터 복숭아 착즙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젤리의 물성이 더욱 단단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착성(Adhesiveness)과 탄력성(Springness)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응집성(Cohesiveness)은 1.2% 첨가군(실시예 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5> 관능 평가
얻어진 6개의 젤리 각각을 관능 평가(색, 윤기, 향, 단맛, 신맛, 조직감, 기호도 평가)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윤기 단맛 신맛 조직감 기호도
실시예 1
(0.2%)
4.75±1.06 5.58±1.16 4.33±0.78 4.92±1.16 4.42±1.51 4.67±1.56 4.58±1.08
실시예 2
(0.4%)
4.83±0.83 6.00±0.74 5.08±0.79 5.08±1.68 5.25±1.60 4.75±1.22 5.08±1.16
실시예 3
(0.6%)
5.58±1.08 5.67±0.89 5.25±0.87 5.25±1.82 5.08±2.07 4.67±1.44 4.83±1.85
실시예 4
(0.8%)
5.50±1.24 5.33±0.98 5.33±1.07 5.42±1.08 5.67±1.67 6.58±1.16 5.75±1.71
실시예 5
(1.0%)
5.83±1.75 6.00±1.13 6.00±1.13 5.83±1.59 5.83±1.40 6.67±1.07 5.67±1.92
실시예 6
(1.2%)
3.92±1.44 3.50±1.17 3.25±1.14 3.33±1.23 3.67±1.07 3.42±1.00 3.67±1.50
표 6을 살펴보면, 관능평가 결과 색, 윤기, 단맛, 조직감, 그리고 전반적 기호도에서 복숭아 착즙액 분말 0.8% 첨가군(실시예 4)과 1.0% 첨가군(실시예 5)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향과 신맛에서 복숭아 착즙액 분말 1.0% 첨가군(실시예 5)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 바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 1.0% 첨가군(실시예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겔화제 배합비 변화에 따른 젤리 평가
상기 실시에 7-11의 혼합제제 프리믹스와 복숭아 착즙액 및 정제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복숭아 젤리를 제조하였고, 이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7-11의 프리믹스를 사용한 복숭아 젤리의 제조는, 도 5와 같이 수행하였다.
① 냉동 복숭아즙은 미리 해동하여 준비한다. 젤리 제조에 필요한 혼합제제도 미리 혼합하여 4인분씩 포장하여 둔다.
② 냉동 복숭아는 젤리컵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적당히 자른다. 이때 생복숭아를 이용해도 된다(소요시간 : 20분).
③ 복숭아즙 150 mL와 정수 308 mL을 냄비에 붓고 전기레인지에서 끓인다. 불세기는 가장 높은 단계로 설정하고 끓기 시작할 때 불을 끈다(소요시간 : 5분).
④ 혼합제제를 한꺼번에 넣지 않고 조금씩 넣어 주걱으로 저으면서 잔열로 녹인다(소요시간 : 5분).
※ 거품이 생기지 않으면서 혼합제제가 뭉치지 않고 잘 녹을 뿐 아니라 상온에서 젤화가 풀어지지 않는다.
⑤ 젤리컵에 ②의 복숭아 조각을 2~3조각 넣고 ④을 붓는다(소요시간 10분).
⑥ 한 김 나가도록 20분간 방치한다.
⑦ 냉장고에 ⑥을 넣고 1시간 동안 젤리화가 일어나도록 둔다(소요시간 : 1시간).
얻어진 5개의 젤리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2-1> 외관 관찰
실시예 7-11의 다른 겔화제 배합비를 갖는 프리믹스 및 동일 배합비의 복숭아 착즙액으로부터 제조된 5개의 복숭아 젤리 외관을 관찰하여, 도 6에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2-2> 산도 및 당도 평가
얻어진 5개의 젤리 각각의 pH, 총산(%), 및 당도('Brix)를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pH 총산(%) 당도('Brix)
실시예 7
(겔화제 1.0%)
3.36±0.02 0.70±0.00 13.4±0.1
실시예 8
(겔화제 1.5%)
3.45±0.01 0.66±0.01 14.9±0.1
실시예 9
(겔화제 2.0%)
3.42±0.04 0.57±0.06 14.3.±0.2
실시예 10
(겔화제 2.5%)
3.42±0.03 0.53±0.02 16.1±0.1
실시예 11
(겔화제 3.0%)
3.46±0.01 0.59±0.00 15.1±0.1
표 7을 살펴보면, pH 및 당도는 겔화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총산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2-3> 색도 평가
얻어진 5개의 젤리 각각의 색도(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실시예 7
(겔화제 1.0%)
45.18±0.01 0.89±0.02 9.03±0.02
실시예 8
(겔화제 1.5%)
41.06±0.01 0.83±0.02 7.72±0.02
실시예 9
(겔화제 2.0%)
39.19±0.10 0.54±0.02 6.34±0.04
실시예 10
(겔화제 2.5%)
39.59±0.17 0.26±0.02 6.04±0.13
실시예 11
(겔화제 3.0%)
38.61±0.01 0.02±0.01 5.75±0.01
표 8을 살펴보면, 겔화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겔화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도 6 사진과 같이 어두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4> 조직감 평가
얻어진 5개의 젤리 각각의 조직감(경도, 검성, 씹힘성, 접착성, 탄력성, 응집성)를 측정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깨짐성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실시예 7
(1.0%)
9484.05±3950.92 72.83±3.07 74.48±16.76 129.16±52.30
실시예 8
(1.5%)
19249.16±6041.34 98.78±0.77 115.09±12.68 194.86±61.01
실시예 9
(2.0%)
15310.55±2244.31 102.49±1.18 113.26±7.11 149.27±20.71
실시예 10
(2.5%)
18996.55±4860.47 104.19±3.55 122.93±16.67 182.27±46.28
실시예 11
(3.0%)
23341.56±4664.19 105.12±1.68 130.93±12.96 222.13±44.77
표 9를 살펴보면, 복숭아 착즙액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젤리의 깨짐성,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5> 관능 평가
얻어진 5개의 젤리 각각을 관능 평가(색, 질감, 향, 단맛, 기호도 평가)하여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질감 단맛 기호도
실시예 7
(1.0%)
5.4±1.81 5.9±2.1 5.2±1.3 3.6±1.3 5.0±1.6
실시예 8
(1.5%)
6.1±1.4 6.2±1.5 5.7±1.5 3.7±1.3 5.1±1.7
실시예 9
(2.0%)
6.0±1.2 6.2±1.4 5.8±1.7 4.5±1.4 5.8±1.0
실시예 10
(2.5%)
5.7±1.4 5.2±1.5 5.0±1.8 4.3±1.2 5.2±1.3
실시예 11
(3.0%)
5.4±1.4 4.6±1.2 5.2±1.8 4.4±1.8 5.0±1.2
각 다른 겔화제 배합비를 갖는 실시예 7-11의 혼합제제 프리믹스 및 동일 배합비의 제조예 2 복숭아 착즙액을 사용하여 제조된 젤리 5개를 평가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복숭아 젤리 제조시 겔화제의 바람직한 배합비는 2%인 것으로 확인된다.

Claims (12)

1) 복숭아 착즙액 분말; 및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및 잔탄검을 포함하는 겔화제;를 포함하는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에 끓는 물을 첨가하여 70초 동안 교반하는 단계;
2) 상기 교반된 혼합액을 성형틀에 부어 상온에서 10 ~ 20분간 식히는 단계; 및
3) 상기 식힌 혼합액을 0 ~ 10 ℃의 냉장고에서 냉장보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총 30분 이내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은 젤리 총 중량 대비 0.8 ~ 1.0%로 첨가되고,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 상기 겔화제의 중량비는 0.4 - 0.6: 1인, 복숭아 젤리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물로 구성되는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복숭아 착즙액 분말; 및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및 잔탄검을 포함하는 겔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은 젤리 총 중량 대비 0.8 ~ 1.0%로 첨가되고, 상기 복숭아 착즙액 분말: 상기 겔화제의 중량비는 0.4 - 0.6: 1인,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의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및 잔탄검의 중량비는 1.9 - 2.1: 0.9 - 1.1: 0.9 -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는 젤리 총 중량 대비 23.4 ~ 23.6 %로 첨가되고, 물이 잔부로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젤리는 설탕 및 구연산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설탕은 젤리 총 중량 대비 20%로 첨가되고, 상기 구연산은 젤리 총 중량 대비 0.6%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5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숭아 젤리.
1) 복숭아 착즙액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액을 4 ~ 6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
3) 상기 가열한 혼합액에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잔탄검, 및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겔화제;를 포함하는 복숭아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를 녹이는 단계;
4) 상기 프리믹스를 녹인 혼합액을 성형틀에 부어 상온에서 10 ~ 20분간 식히는 단계; 및
5) 상기 식힌 혼합액을 0 ~ 10 ℃의 냉장고에서 냉장보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총 30분 이내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복숭아 착즙액: 상기 겔화제의 중량비는 15 - 20: 1인, 복숭아 젤리 제조 방법.
제7항에 있어서,
복숭아 착즙액, 복숭아 착즙액에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복숭아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 및 물로 구성되는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믹스는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잔탄검, 및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겔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숭아 착즙액: 상기 겔화제의 중량비는 15 - 20: 1인,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의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잔탄검, 및 덱스트린의 중량비는 1.9 - 2.1: 0.9 - 1.1: 0.9 - 1.1: 0.9 -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착즙액은 젤리 총 중량 대비 30%로 첨가되고, 상기 복숭아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는 젤리 총 중량 대비 7.9 ~ 8.4 %로 첨가되고, 물이 잔부로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젤리는 설탕 및 구연산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설탕은 젤리 총 중량 대비 6%로 첨가되고, 상기 구연산은 젤리 총 중량 대비 0.4%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젤리 제조방법.
제7항 내지 제1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숭아 젤리.
KR1020200184458A 2018-12-14 2020-12-28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6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58A KR102306294B1 (ko) 2018-12-14 2020-12-28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70A KR20200074378A (ko) 2018-12-14 2018-12-14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0184458A KR102306294B1 (ko) 2018-12-14 2020-12-28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470A Division KR20200074378A (ko) 2018-12-14 2018-12-14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53A true KR20210002353A (ko) 2021-01-07
KR102306294B1 KR102306294B1 (ko) 2021-09-30

Family

ID=7412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58A KR102306294B1 (ko) 2018-12-14 2020-12-28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669A (ko) 2021-12-24 2023-07-03 좋은영농조합법인 참바늘버섯과 석류를 포함한 액상젤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상젤리
KR102478219B1 (ko) 2022-09-26 2022-12-22 농업회사법인 새뜸 주식회사 복숭아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숭아 가공식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623B1 (ko) 2000-05-26 2002-08-24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디저트용 인스턴트 과일 젤리 믹스의 제조방법
KR100552996B1 (ko) * 2002-09-13 2006-02-16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젤리상 음식품
KR101130419B1 (ko) * 2004-12-24 2012-03-28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KR20150047740A (ko) * 2013-10-25 2015-05-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젤라틴을 이용한 복숭아 과즙 첨가 푸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623B1 (ko) 2000-05-26 2002-08-24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디저트용 인스턴트 과일 젤리 믹스의 제조방법
KR100552996B1 (ko) * 2002-09-13 2006-02-16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젤리상 음식품
KR101130419B1 (ko) * 2004-12-24 2012-03-28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KR20150047740A (ko) * 2013-10-25 2015-05-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젤라틴을 이용한 복숭아 과즙 첨가 푸딩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294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1556B (zh) 沙棘核桃乳及其生产方法
KR102306294B1 (ko)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48650A (zh) 一种配制型含乳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230056A (zh) 蜂蜜番茄汁及其制备方法
CN112514998A (zh) 一种斑斓椰浆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14568B1 (ko) 연근 발효음료 제조방법
CN101416763B (zh) 一种蜂花粉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454941A (zh) 一种猕猴桃、香蕉复合果汁
CN111493185A (zh) 一种浓缩冻干花果茶及其制备方法和饮用方法
CN104938735A (zh) 一种冻干水果茶及其饮用方法
CN103960450A (zh) 一种富含多酚的南酸枣皮营养软糖及其制备方法
CN102669399A (zh) 一种含有蓝莓的低脂冷冻饮品
KR20200074378A (ko)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431153B (zh) 一种冰糖橙冷冻饮品加工工艺
CN102370017A (zh) 一种青梅水果茶及其制备方法
CN102296019B (zh) 一种草莓果肉浊酒及其制备方法
KR102339451B1 (ko) 과채주스 및 그 제조방법
CN103981073A (zh) 一种沙棘配制酒及其制备方法
KR100207936B1 (ko) 천연 비타민이 함유된 마시는 젤리의 제조방법
CN105595255A (zh) 蓝莓果馅及其制备方法
KR20100130492A (ko) 자몽 원액 및 자몽 퓨레 제조방법
KR10093844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푸딩의 제조방법
KR101876042B1 (ko) 토마토조청 및 그 제조방법
CN110050868A (zh) 生产高端调味糖浆的方法及由其制备的高端调味糖浆
KR102546247B1 (ko) 자몽청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