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02A -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02A
KR20210001402A KR1020190077450A KR20190077450A KR20210001402A KR 20210001402 A KR20210001402 A KR 20210001402A KR 1020190077450 A KR1020190077450 A KR 1020190077450A KR 20190077450 A KR20190077450 A KR 20190077450A KR 20210001402 A KR20210001402 A KR 20210001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uilding
wall
wind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동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날다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날다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날다팩토리
Priority to KR102019007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402A/ko
Publication of KR2021000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 또는 물건이 안착하는 이동 베드; 상기 이동 베드를 현수 지지하는 링커; 상기 링커의 좌우 양측을 각각 현수 지지하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각각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상기 이동 베드를 건물의 외벽을 따라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권취부 및 제2권취부; 건물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이동방향을 각각 전환하는 한 쌍의 전환 도르레; 이동 베드에 현수 지지되는 제3와이어; 및 상기 제3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상기 이동 베드를 건물의 외벽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WIRE SYSTEM FOR MOVING ALONG AN OUTER WAL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숙련된 작업자가 줄을 타고 건물의 외벽을 내려오면서 외벽에 묻은 먼지나 때를 걸레로 닦아내는 것으로 외벽 청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외벽 청소는 사람이 직접 줄에 매달린 채 이루어지므로, 청소 도중에 줄이 흔들릴 염려가 있어, 낙하 등의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또한, 외벽을 탈 수 있는 숙련된 작업자의 수가 부족한 실정이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청소의 완성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외벽을 따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건물 외벽과의 충돌없이 이동하여, 건물 유리창을 안정적으로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외벽을 안정적으로 보수할 수 있고, 또한 이삿짐 등과 같은 물건을 원하는 위치로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 또는 물건이 안착하는 이동 베드; 상기 이동 베드를 현수 지지하는 링커; 상기 링커의 좌우 양측을 각각 현수 지지하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각각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상기 이동 베드를 건물의 외벽을 따라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권취부 및 제2권취부; 건물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이동방향을 각각 전환하는 한 쌍의 전환 도르레; 이동 베드에 현수 지지되는 제3와이어; 및 상기 제3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상기 이동 베드를 건물의 외벽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권취부를 포함하는,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외벽을 따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건물 외벽과의 충돌없이 이동하여, 건물 유리창을 안정적으로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외벽을 안정적으로 보수할 수 있고, 또한 이삿짐 등과 같은 물건을 원하는 위치로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1)은 이동 베드(10)와, 링커(20)와, 제1와이어(30) 및 제2와이어(35)와, 제1권취부(40) 및 제2권취부(45)와, 한 쌍의 전환 도르레(50)와, 제3와이어(70)와, 제3권취부(75)를 포함한다.
이동 베드(10)는 사람이 탑승 또는 물건이 안착되도록 편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이동 베드(10)의 둘레에는 탑승한 사람 또는 안착된 물건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가드(15)가 마련될 수 있다.
링커(20)는 이동 베드(10)의 상방에 마련되어, 이동 베드(10)를 현수 지지한다. 링커(20)와 이동 베드(10)는 보조와이어(2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보조와이어(25)는 이동 베드(10)에 마련된 보호 가드(15)에 연결되어 있다.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5)는 각각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부가 링커(20)의 좌우 양측을 현수 지지한다.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5)의 타단부는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에 각각 지지된다.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는 링커(20)를 현수 지지하는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5)를 각각 권취 또는 권취해제한다.
제1권취부(40)는 제1와이어(3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1권취 드럼(41)과, 제1권취 드럼(41)을 정역회전시켜 제1와이어(30)를 제1권취 드럼(41)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시키는 제1권취부용 구동 모터(43)를 포함한다.
제2권취부(45)는 제2와이어(35)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2권취 드럼(46)과, 제2권취 드럼(46)을 정역회전시켜 제2와이어(35)를 제2권취 드럼(46)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시키는 제2권취부용 구동 모터(48)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가 이동 베드(10)와 링크를 사이에 두고 건물(100)의 정면 하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는 이동 베드(10)와 링크를 사이에 두고 건물(100)의 옥상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전환 도르레(50)는 각각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5)의 이동 경로상에 마련되어 예컨대, 건물(100)의 정면 상부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5)의 이동방향을 각각 전환한다.
각 전환 도르레(50)는 옥상의 외벽(110)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55)에 의해 자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전환 도르레(50)와 제1권취부(40) 및 제2권취부(45)에 의해, 한 쌍의 전환 도르레(50)와 제1권취부(40) 및 제2권취부(45)가 형성하는 건물(100)의 정면 외벽(110)에, 이동 베드(10)와 링커(2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5)는 링커(20)를 'Y'자형으로 현수 지지하게 된다.
제3와이어(7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부가 이동 베드(10)에 현수 지지되고, 차단부는 제3권취부(75)에 지지된다.
제3권취부(75)는 링커(20)를 현수 지지하는 제3와이어(7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한다.
제3권취부(75)는 제3와이어(7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3권취 드럼(76)과, 제3권취 드럼(76)을 정역회전시켜 제3와이어(70)를 제3권취 드럼(76)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시키는 제3권취부용 구동 모터(78)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3권취부(75)가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를 사이에 두고 건물(100)의 정면 하부 중앙 영역에 배치됨과 동시에, 이동 베드(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와이어(70)와 제3권취부(75)를 더 마련함으로써, 제3권취부(75)가 제3와이어(7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함에 따라 이동 베드(10)가 건물(100)의 외벽(1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동 베드(10)가 건물 외벽(11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동 베드(10)는 안정적으로 건물 외벽(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1)은 자이로 센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60)는 링커(20)에 마련되어, 링커(20)가 이동 베드(10)와 함께 건물 외벽(110)을 따라 이동시 수평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제1권취부(40) 및 제2권취부(45)로 전송하여, 제1권취부용 구동 모터(43)와 제2권취부용 구동 모터(48)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며, 이에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5)를 각각 제1권취 드럼(41) 및 제2권취 드럼(46)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링커(20) 및 베이스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1)은 거리 감지센서(65)와, 제3와이어(70)와, 제3권취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 감지센서(65)는 이동 베드(10)에 마련되어, 이동 베드(10)와 건물 외벽(110)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거리 감지센서(65)로서 4개의 초음파 센서가 마련될 수 있으며, 4개의 초음파 센서는 이동 베드(10)의 전후 및 좌우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 감지센서(65)를 더 마련함으로써, 링커(20)가 이동 베드(10)와 함께 건물 외벽(110)을 따라 이동시 이동 베드(10)와 건물 외벽(110)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제3권취부(75)로 전송하여, 제3권취부용 구동 모터(78)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며, 이에 제3와이어(70)를 제3권취 드럼(76)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이동 베드(10)가 건물 외벽(11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베드(10)에는 공기압 센서(80)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지면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센서(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지면으로부터 이동 베드(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1)은 건물(100)의 정면 좌우 양측에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를 배치하고,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 사이에 이동 베드(10)와 링크가 배치됨으로써,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5)가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에 각각 동시에 서로 동일한 속도 또는 서로 다른 속도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됨에 따라, 이동 베드(10)와 링커(20)는 건물(100) 정면의 외벽(110)을 따라 상하, 좌우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 베드(10)에 거리 감지센서(65)를 마련하고, 제3권취부(75)를 건물(100)의 정면 하부 중앙 영역에 배치됨과 동시에, 이동 베드(10)의 전방에 배치하여, 거리 감지센서(65)에 의해 이동 베드(10)와 건물 외벽(110)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3와이어(70)를 제3권취 드럼(76)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이동 베드(10)가 건물 외벽(11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동 베드(10)는 안정적으로 건물 외벽(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1)은 이동 베드(10)에 사람이 탑승한 상태에서 이동 베드(10)는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와, 제3권취부(75)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에 따라 건물 외벽(110)을 따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건물 외벽(110)과의 충돌없이 이동하여, 건물 유리창의 청소, 외벽 보수 등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1)은 이동 베드(10)에 물건이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 베드(10)는 제1권취부(40)와, 제2권취부(45)와, 제3권취부(75)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에 따라 건물 외벽(110)을 따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건물 외벽(110)과의 충돌없이 이동하여, 이동 베드(10)에 안착된 이삿짐 등과 같은 물건을 원하는 위치로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1: 와이어 시스템
10: 이동 베드
20: 링커
30: 제1와이어
35: 제2와이어
40: 제1권취부
45: 제2권취부
50: 전환 도르레

Claims (1)

  1. 사람 또는 물건이 안착하는 이동 베드;
    상기 이동 베드를 현수 지지하는 링커;
    상기 링커의 좌우 양측을 각각 현수 지지하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각각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상기 이동 베드를 건물의 외벽을 따라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권취부 및 제2권취부;
    건물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이동방향을 각각 전환하는 한 쌍의 전환 도르레;
    이동 베드에 현수 지지되는 제3와이어; 및
    상기 제3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여 상기 이동 베드를 건물의 외벽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권취부를 포함하는,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KR1020190077450A 2019-06-28 2019-06-28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KR20210001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50A KR20210001402A (ko) 2019-06-28 2019-06-28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50A KR20210001402A (ko) 2019-06-28 2019-06-28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02A true KR20210001402A (ko) 2021-01-06

Family

ID=7412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450A KR20210001402A (ko) 2019-06-28 2019-06-28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4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9168A (zh) * 2022-09-21 2022-12-06 北京史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并联绳索控制的幕墙清洗机器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9168A (zh) * 2022-09-21 2022-12-06 北京史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并联绳索控制的幕墙清洗机器人
CN115429168B (zh) * 2022-09-21 2024-02-27 北京史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并联绳索控制的幕墙清洗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8553A1 (en) Overhead traveling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overhead traveling vehicle system
CA2829811A1 (en) Overhead hazard warning systems
JP2010035773A (ja) 清掃ロボットのサイドブラシ支持装置
JPH0230851A (ja) 構造物壁面の工事装置
JP2017002494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210001402A (ko)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IT201900000271A1 (it)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di elementi lastriformi e metodo di movimentazione mediante un tale dispositivo
KR101663500B1 (ko) 소방 고가사다리차 안전장치
JPWO2004026749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690273B1 (ko)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JP2019018942A (ja) 作業用ゴンドラ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用車両
JP6909521B1 (ja) ゴンドラ装置
KR20130117219A (ko) 상하층 천장크레인 작업간섭 방지장치
JP2006169722A (ja) 立体駐車場の場内監視システム
JP2012166946A (ja) 高所作業車
JP2014151729A (ja) 洗車機
KR101903646B1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JP2015074520A (ja) 索状体の異常検出装置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JPH10169183A (ja) ゴンドラ装置のケージ吊り下げ支持機構
KR102390718B1 (ko) 고소 작업차
KR102437874B1 (ko) 고소 작업차량
JP6307790B2 (ja) 洗車機および昇降洗車具の駆動方法
KR102509735B1 (ko) 호이스트크레인
JP3190533B2 (ja) 車両の異常積載検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