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39A -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 Google Patents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39A
KR20210000639A KR1020190150426A KR20190150426A KR20210000639A KR 20210000639 A KR20210000639 A KR 20210000639A KR 1020190150426 A KR1020190150426 A KR 1020190150426A KR 20190150426 A KR20190150426 A KR 20190150426A KR 20210000639 A KR20210000639 A KR 20210000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unit
grinding
control unit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252B1 (ko
Inventor
이인욱
Original Assignee
이인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욱 filed Critical 이인욱
Publication of KR2021000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one or a few disintegrating members arrang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05Monitoring devices for tumb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3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4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지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고 분쇄대상물이 수용되는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유닛과 상기 분쇄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쇄용기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부와 상기 분쇄용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에 형성되어 열을 가하는 가온부와 상기 제1모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모터부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부하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모터부와 상기 가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Motor Load Sensing Grinder}
개시된 내용은 카카오을 그라인딩하는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이 가능하여 용기내부의 원물을 일정하게 빼낼 수 있고 나아가 그라인딩 과정에서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초콜릿은 테오브로마 카카오(Theabroma cacao) 나무의 종실(種實)에서 얻은 카카오 씨앗을 가공한 제품(카카오버터, 카카오매스, 카카오분말 등)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정의된다.
초콜릿이 처음으로 식용품이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2,600여 년 전 중앙아메리카에서의 일이었다. 마야 문명에서 카카오 열매를 갈아 음료로 마셨던 것이 최초이다. 멕시코에서는 쓰고 매운 초콜릿 음료인 쇼콜라틀(xocolatl)을 마셨는데, 여기에는 바닐라, 칠리 등의 향료를 넣기도 하였다.
최근 들어 폭넓은 연령층에서 선호되고 있는 다크초콜릿은 카카오 페이스트를 포함한 카카오 가공품이 45%이상, 5% 이하의 분유를 함유한 초콜릿을 말한다.
한편, 인간은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산소를 이용하여 얻고 있으나 이런 산소의 일부는 유해한 활성산소가되어 여러가지 질병과 조직 손상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동맥경화, 당뇨병, 노화에 이르기까지 활성산소에 의한질병이 증가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산화방지물질 및 이런 성분이 함유된 항산화 식품에 대한 발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in D et al., 2000, Am J Clin Nutr 72(1): 30-35).다크초콜릿에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polyphen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풍부한데, 코코아의 항산화물질 함유량이 적포도주의 2배, 녹차의 3배, 홍차의 5배 이상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폴리페놀의 흡수율도 초콜릿이 적포도주보다 10배 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크초콜릿에 풍부하게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는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며 관상ㆍ동맥 질환의 상태호전에 효과가 있고 혈압을 낮추는 효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다크초콜릿은 섭취를 하면 혈중 HDL(high density lipid) 농도를 증가시키며 체내지방과 산화 예방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카카오를 초콜릿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여러과정이 필요하다.
우선, 카카오나무 열매 안에서 나온 카카오빈은 발효 및 건조과정을 거치고, 잘 말린 카카오빈을 골라내고 발효 및 건조과정을 마친 후에 카카오빈의 껍질을 제거하여 카카오닙스를 추출한다.
렇게 분리된 카카오닙스는 '그라인딩'과 '콘칭' 작업을 거쳐 액체 상태의 초콜릿이 되는데, 이 액체 상태의 초콜릿은 최종 제품을 생산하기 전 온도를 조절하는 기계에 들어가 초콜릿의 질감과 맛을 살리는 '템퍼링' 과정을 거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알맞은 형태의 지방결정을 만들어 광택이 나고 입안에서 부드럽게 녹는 상태의 초콜릿이 된다. 마지막으로, 템퍼링 과정이 완료된 액체 초콜릿을 틀에 넣은 뒤 낮은 온도에서 굳히는 몰딩 작업을 통해 초콜릿 가공이 완성된다.
이렇게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초콜릿과 더불어 이를 만드는 그라인더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지만 일반적인 곡물이나 향신료를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7769호에는 곡물분쇄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분쇄로울러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곡물에 포함된 수분으로 점성을 띄게 되어 덩어리로 되면 이를 으스러뜨려 재분쇄나 배출을 위한 공급이 원활하게 한 것으로, 홉퍼 아래에 감속모터와 연결된 한쌍의 분쇄로울러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는 본체의 하부 전방으로부터 홉퍼 사이에 설치된 이송스쿠류의 공급실이 위치하는 곡물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로울러와 같은 방향으로 한쌍의 맞물림 로울러를 설치하여 어느 한 분쇄로울러와 연결하여 줌으로서 분쇄로울러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맞물림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무수한 분쇄날에 의해 잘게 으스러지게 되는 곡물분쇄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액체상태로 분쇄되는 카카오는 그 제조과정이 다름에도 커피분쇄기나 곡물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함으로써 분쇄기에는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7769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쇄용기의 내부에 가온부를 구비하고 분쇄용기 하부에 부하감지센서와 속도조절부와 연결되는 제1모터부가 구비되어 제1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카카오가공시 모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부프레임이 틸팅이 가능하여 상부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는 분쇄용기 내부의 분쇄대상물을 외부로 쉽고 안전하게 빼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정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시된 내용은, 지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고 카카오, 곡물, 향신료등의 분쇄대상물이 수용되는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유닛과 상기 분쇄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쇄용기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부와 상기 분쇄용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에 형성되어 열을 가하는 가온부와 상기 제1모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모터부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부하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모터부와 상기 가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회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회동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회동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홀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홈에 일단이 결합되는 회동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2모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모터부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모터부는 일정한 각도로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 또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조절부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부하감지센서의 센서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는, 제1모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하감지센서와 속도제어기에 의해 초콜릿 가공시 제1모터부가 받게 되는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고, 분쇄용기의 일측에 가온부가 부착되어 카카오를 액상의 초콜릿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은 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기울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분쇄용기 내부의 분쇄대상물을 안전하게 외부로 빼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시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모식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200)이 형성된다.
하부프레임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내부에 분쇄용기(300)가 형성되야 하므로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지지대(310)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에는 롤러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이동용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프레임(200)의 재질이나 형상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은 하부프레임(200)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프레임(100)이 하부프레임(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방법은 다양하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회동홈(110)이 형성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일면에는 회동홀(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홈(110)과 회동홀(21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회동홈(110)에는 회동바(220)의 일단이 결합되어 상부프레임(100)을 틸팅하는 것으로 분쇄대상물이 수용된 상태의 상부프레임(100)의 중량을 고려할 때, 회동홈(110)의 형상은 모서리가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바(220)의 일단에 오링과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결합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회동홈(110)과는 다르게 회동홀(210)은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동홀(210)에 끼움결합되고 제2모터부(600)와 결합되는 회동바(220)가 회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회동홀(210)과 회동홈(110)에는 회동홀(2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회동홈(110)과 결합되는, 회동바(220)가 형성된다.
회동바(22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다각형의 회동홈(110)의 경우 이에 대응하여 회동바(220)의 일단도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프레임(100)의 회동구동을 위해 회동바(220)의 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상부프레임(100)을 회동시키는 제2모터부(600)가 형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2모터부(600)의 회전축은 다수개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나 감속기어 등에 결합되고 이러한 기어들의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홈이나 소기어에 회동바(220)의 타단이 결합된다.
또한 제2모터부(600)는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제2모터부(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부(700)를 제어하게 되면 제2모터부(600)가 회전 구동을 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구동력은 회동바(220)에 전달되어 상부프레임(100)이 회동구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2모터부(600)에 사용되는 모터의 종류는 AC모터, DC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사용자에게 사용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만 회동이 되는 서보모터 또는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용기(300)하부에 제1모터부(500)가 형성된다.
제1모터부(500)는 다양한 모터가 형성될 수 있고 감속기어를 사용하거나 비율이 다른 벨트를 사용하여 제1모터부(500)의 구동력을 분쇄용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감속기어로는 베벨기어나 스퍼기어, 헬리컬기어 등의 다양한 기어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부(500)의 제1회전축(510)은 분쇄용기(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부(32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모터부(500)는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제어부(700)를 통해 제1모터부(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모터부(500)의 구동에 의해 분쇄용기(300)는 회전을 하게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1)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에는 분쇄유닛(400)의 분쇄대(410)가 관통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대(410)의 양말단에는 분쇄롤부(4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쇄롤부(420)는 연마석 등이 사용된다.
즉, 제1모터부(500)가 회전구동을 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분쇄용기(30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분쇄대(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마석 등의 분쇄롤부(420)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분쇄대상물을 분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대상물이 수용되는 분쇄용기(300)는 상부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분쇄용기(300)의 형상은 원통형, 직육면체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용기(300)의 일측 또는 고정부(301)의 일측에는 카카오가공시 분쇄용기(300)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감지센서(800)가 형성된다.
또한, 근거리통신장비가 내장된 온도감지센서(8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감지센서(800)에 대한 원리 및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용기(3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온부(900)가 형성된다.
가온부(900)의 종류는 열선내장형, 적외선형 다양한 방식으로 열을 가하는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가온부(900)는 분쇄용기(300)에 열을 가해주는 것으로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감지센서(800) 또한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제어부(700)를 통해 카카오가공시 필요로 하는 온도를 입력할 수 있고, 온도감지센서(800)는 분쇄용기(300)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700)로 신호를 보내고 되고 측정 온도가 사용자가 입력한 값 보다 낮으면 가온부(900)를 가동시켜 열을 가하게 되고, 그반대의 경우에는 가온부(900)의 가동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온도감지센서(800), 가온부(900), 제어부(700)의 구성, 결합관계 및 전자회로는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부(500)의 일측에는 제1모터부(500)에 걸리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1000)가 형성된다.
과부하의 경우 제어부(700)는 부하감지센서(1000)의 신호를 받게 되고, 제어부(700) 내부에 구비되는 연산부(미도시)의 연산을 통해 속도조절부(1100)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70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속도조절부(1100)는 제1모터부(50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카카오분쇄공정 초기에는 분쇄대상이되는 카카오와 분쇄유닛(400)과의 마찰이 적어 제1모터부(500)의 회전이 빠르게 된다.
그러나 가온부(900)의 열에 의해 카카오가 점성을 갖는 액체가 되는 공정후기에는 분쇄유닛(400)과의 마찰이 증가하여 제1모터부(500)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결국 제1모터부(50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 경우 부하감지센서(1000)가 과부하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700)에 보내고 되고 제어부(700)의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전기적 신호를 속도조절부(1100)에 전달하게 되고 속도조절부(1100)는 공급되는 전류 값을 조절하여 제1모터부(5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분쇄용기(300)는 카카오 등 곡물의 그라인딩 초기에는 입자의 크기가 큼으로 분쇄용기(300)의 속도가 높을 경우 분쇄용기(300)의 진동에 의해 축의 내구성이나 기어, 모터 등의 내구성이 안 좋아질수 있다.
따라서 적정 입자의 크기에 따라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는 것은 내구성 부분이나, 효율적인 입자의 그라인딩에 꼭 필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부하감지센서(1000)와 속도조절부(1100)를 통해 모터에 걸리는 부하나 분쇄용기(300)의 진동 등을 센싱하여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초콜릿을 만드는 공정에서 초기와 똑같은 전류의 흐름에 의해 제1모터부(500)에 부하게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속도조절부(1100)는 제어부(700)에 일체로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700)와 분리되어 제1모터부(500)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하감지센서(1000)와 인버터로 불리는 속도조절부(1100)에 대한 구성 및 회로도는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상부프레임
110 : 회동홈
200 : 하부프레임
210 : 회동홀
220 : 회동바
300 : 분쇄용기
301 : 고정부
310 : 지지대
320 : 연결부
400 : 분쇄유닛
410 : 분쇄대
420 : 분쇄롤부
500 : 제1모터부
510 : 제1회전축
600 : 제2모터부
700 : 제어부
800 : 온도감지센서
900 : 가온부
1000 : 부하감지센서
1100 : 속도조절부

Claims (9)

  1. 지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고 분쇄대상물이 수용되는 분쇄용기;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유닛;
    상기 분쇄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쇄용기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부;
    상기 제1모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모터부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부하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모터부와 상기 가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에는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분쇄용기에 열을 가하는 가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온부는 상기 분쇄용기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조절부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결합 된 상기 부하감지센서의 센서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회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회동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회동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홀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홈에 일단이 결합되는 회동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제2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부에는 상기 회동바의 타단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부는 일정한 각도로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 또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KR1020190150426A 2019-06-25 2019-11-21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KR102343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5562 2019-06-25
KR1020190075562 2019-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39A true KR20210000639A (ko) 2021-01-05
KR102343252B1 KR102343252B1 (ko) 2021-12-27

Family

ID=7414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426A KR102343252B1 (ko) 2019-06-25 2019-11-21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2252A1 (en) * 2022-08-26 2024-02-29 Versuni Holding B.V. A wet grin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769Y1 (ko) 1999-07-30 2000-02-15 권호생 곡물분쇄기
KR20100109299A (ko) * 2009-03-31 2010-10-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도 및 부하 감지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처리기
JP2011147883A (ja) * 2010-01-21 2011-08-04 Shima Sangyo Kk ゴミ処理装置
KR200478084Y1 (ko) * 2015-04-14 2015-08-28 손제영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JP2016043316A (ja) * 2014-08-22 2016-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ウエットグラインダ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769Y1 (ko) 1999-07-30 2000-02-15 권호생 곡물분쇄기
KR20100109299A (ko) * 2009-03-31 2010-10-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도 및 부하 감지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처리기
JP2011147883A (ja) * 2010-01-21 2011-08-04 Shima Sangyo Kk ゴミ処理装置
JP2016043316A (ja) * 2014-08-22 2016-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ウエットグラインダー
KR200478084Y1 (ko) * 2015-04-14 2015-08-28 손제영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2252A1 (en) * 2022-08-26 2024-02-29 Versuni Holding B.V. A wet gr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252B1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2095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extract
US5436023A (en) Process for roasting food slurries
CN107088462B (zh) 冲泡材料磨碎机
US10278405B2 (en) Par-baked coffee bean compositions for use in antioxidant-containing products
KR102068124B1 (ko) 커피 원두 그라인더 장치
KR102343252B1 (ko)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CN107583712A (zh) 一种具有渐进式粉碎功能的豆腐加工用设备
KR101797875B1 (ko) 스마트 믹서기
CN109718895A (zh) 一种高效自动化磨粉装置
JP5472092B2 (ja) テアフラビン類を豊富に含む発酵茶飲料の製造方法
GB2452972A (en) Chocolate incorporating cryogenically milled cocoa beans
CN212213520U (zh) 一种电动咖啡豆研磨装置
KR101732792B1 (ko) 두부콩분쇄기
CN209661426U (zh) 一种咖啡豆研磨装置
JP2006020599A (ja) 芳香コーヒーオ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
JP2613174B2 (ja) 多機能ミル
KR20230027142A (ko)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CN1105823A (zh) 一种果、菜食品加工技术及其设备
KR20120054709A (ko) 침출차용 퍼핑 홍삼 조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656308B1 (ko) 망고쥬스 제조방법
CN214390548U (zh) 一种新型精磨精炼机组
CN111282654A (zh) 一种青南茶的生产工艺
JP2006067942A (ja) コーヒー風味強化用組成物
JP2008086213A (ja) ペ−スト状ごまの製造方法
CN213153804U (zh) 一种药食同源饮品加工的灭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