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084Y1 -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 Google Patents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084Y1
KR200478084Y1 KR2020150002373U KR20150002373U KR200478084Y1 KR 200478084 Y1 KR200478084 Y1 KR 200478084Y1 KR 2020150002373 U KR2020150002373 U KR 2020150002373U KR 20150002373 U KR20150002373 U KR 20150002373U KR 200478084 Y1 KR200478084 Y1 KR 200478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ing
housing
cylinder
wat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제영
Original Assignee
손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제영 filed Critical 손제영
Priority to KR2020150002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0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놓이는 함체; 함체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 받침대에 고정 설치되는 분쇄통; 분쇄통의 개구된 윗면에 설치되는 덮개; 함체의 상면과 분쇄통의 바닥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회전축; 회전축과 분쇄통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재; 분쇄통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분쇄날;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함체의 내부에서 회전축의 타단과 구동모터의 모터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브이벨트부재; 회전축의 타단과 모터축에 각각 설치되는 벨트풀리부재; 함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어수단; 회전축을 감싸는 수냉통체; 분쇄통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분쇄통의 외벽을 감싸 설치되어 수냉공간을 형성하는 수냉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LEATHER SCRAP GRINDING APPARATUS}
본 고안은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을 효과적으로 미분쇄하는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죽스크랩의 분쇄방법은 건식분쇄방법과 콜라겐화로 녹여서 미세분쇄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건식으로 분쇄하면 마찰열에 의한 단백질 섬유가 분쇄가 되지 않고 서로간에 뭉쳐서 덩어리가 형성되어 미분쇄가 불가능하여 조분쇄 정도로 진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후자는 반응기에 녹여서 콜라겐화 분쇄하는 방법으로 미분쇄가 가능하나 그 공정 비용이 많고 마지막 중화작업까지 해서 견뢰도의 등급(grade)을 올리려면 생산의 경쟁력이 없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7-008349호 "분쇄장치"가 있다. 선행기술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의해 평행하게 지지되는 두개 이상의 회전가능한 축과, 상기 축에 고정된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 둘레에 설치된 다수개의 팁 피스로 분할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 브레이드를 포함하는 분쇄장치로서, 상기 팁 피스를 상기 팁 피스의 외부 둘레 반경 방향으로 볼트를 사용해서 마운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팁 피스와 마운트를 평면 접합시킨 것이다.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7-008349호 "분쇄장치"
본 고안은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미분쇄할 수 있는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바닥에 놓이는 함체(10); 상기 함체(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20);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상기 받침대(2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함체(10)에 고정되며,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을 수용하여 미분쇄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분쇄통(30); 상기 분쇄통(30)의 개구된 윗면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통(30)의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덮개(40); 상기 함체(10)의 상면과 상기 분쇄통(30)의 바닥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분쇄통(3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50); 상기 회전축(50)과 상기 분쇄통(30)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성을 부여하는 씰링부재(55); 제1 및 제2 칼날(61)(62)이 상기 분쇄통(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50)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칼날(61)과 상기 제2 칼날(62)이 서로 어긋나게 결합되어 십(十)자 모양을 이루어 상기 회전축(50)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분쇄통(30)에 수용된 가죽스크랩을 미분쇄하는 분쇄날(60); 상기 분쇄통(30)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함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축(71)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70); 상기 함체(1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50)의 타단과 상기 구동모터(70)의 모터축(71)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50)에 전달하는 브이벨트부재(80); 상기 회전축(50)의 타단과 상기 모터축(7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브이벨트부재(80)를 걸어 가이드하는 벨트풀리부재(90); 상기 함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 상기 함체(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50)을 감싸 미분쇄시 가죽스크랩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여 상기 씰링부재(55)의 손상을 방지하는 수냉통체(110); 및 상기 분쇄통(30)에 설치되며, 상기 분쇄통(3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0)에 전송하는 온도센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온도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온도가 설정온도이면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분쇄날(60)의 회전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분쇄통의 온도를 감온하되 감온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온도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온도가 감온온도가 될때까지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저속, 중속, 고속, 중속 순으로 상기 구동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되, 5분 동안 100rpm 저속으로 1차 분쇄한 후 10분 동안 1000rpm 중속으로 2차 분쇄하고, 20분 동안 4500rpm 고속으로 3차 분쇄한 다음 5분 동안 1000rpm 중속으로 4차 분쇄하여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을 미분쇄하며,
상기 분쇄통(30)의 외벽을 감싸 설치되어 상기 분쇄통(30)과의 사이에 수냉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로 미분쇄시 가죽스크랩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분쇄통(30)의 열을 냉각하는 수냉벽(130)을 더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냉통체(110)의 중앙에는 상기 수냉통체(1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관통공(111)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 칼날(62)은 상기 제1 칼날(61)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칼날(61)은 하면의 끝부위를 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 모양의 날부(61a)를 갖는 단면날 형태이고, 상기 제2 칼날(62)은 상면의 끝부위를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상면의 끝부위와 대응하는 하면의 끝부위를 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 모양의 날부(62a)를 갖는 양면날 형태이고,
상기 분쇄통(30)은 미분쇄된 가죽을 빼내기 위해 외주연의 일부가 회전되게 개폐되고,
상기 함체(10)에는 팬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함체(10)의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게 미분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죽스크랩과 재생섬유를 이용한 신발중창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어수단이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분쇄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는 함체(10)를 포함한다. 함체(10)는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며, 바닥에 놓여 구성요소들의 설치장소를 마련한다.
함체(10)의 상면에는 받침대(20)가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면, 받침대(20)는 2개가 한쌍을 이루어 서로 거리를 두고 ?트 등을 통하여 함체(10)의 상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20)에는 분쇄통(30)이 견고히 설치된다. 분쇄통(30)은 받침대(2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함체(10)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분쇄통(30)은 받침대(20)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탈착되게 설치됨으로써 함체(10)의 상면에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분쇄통(30)은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로서 가죽을 수용하여 미분쇄하는 장소를 마련한다. 이때, 가죽은 재단 스크랩, 퍼핑가루, 가죽신발 스크랩 등의 가죽스크랩으로서 일반적인 스크루형 건식분쇄장치로 10mm 이하로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쇄통(30)은 미분쇄된 가죽을 외부로 빼내기 위해 외주연의 일부가 회전되게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쇄통(30)은 외주연 일부를 절개하고 그 절개된 일부를 경첩 등과 같은 힌지를 사용하여 회전되게 결합하여 미분쇄된 가죽을 빼내기 위해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쇄통(30)의 개구된 윗면에는 덮개(40)가 설치된다. 덮개(40)는 분쇄통(30)의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여, 고속회전 미분쇄시 분쇄통(30)의 개구된 윗면을 통해 투입된 가죽스크랩이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방지한다.
분쇄통(30)에는 회전축(50)이 설치된다. 회전축(50)은 함체(10)의 상면과 분쇄통(30)의 바닥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단은 분쇄통(3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한다.
회전축(50)과 분쇄통(30) 사이에는 씰링부재(55)가 설치된다. 씰링부재(55)는 리테이너로서 회전축(50)과 분쇄통(30)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여 가죽스크랩 미분쇄를 위해 투입되는 분쇄액이 회전축(50)으로 흘러 내려오지 않도록 방지한다.
분쇄통(3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50)의 일단에는 분쇄날(60)이 설치된다. 분쇄날(60)은 제1 및 제2 칼날(61)(62)로 이루어지며, 제1 칼날(61)과 제2 칼날(62)이 회전축(50)의 일단에 서로 어긋나게 결합되어 십(十)자 모양을 이룬다. 이러한 분쇄날(60)은 회전축(50)을 따라 회전하며 분쇄통(30)에 수용된 가죽스크랩을 효과적으로 미분쇄한다.
이때, 제2 칼날(62)은 제1 칼날(61)의 아래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칼날(61)은 하면의 끝 20mm 폭 정도의 부위를 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 모양의 날부(61a)를 갖는 단면날 형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칼날(62)은 상면의 끝 20mm 폭 정도의 부위를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상면의 끝부위와 대응하는 하면의 끝 20mm 폭 정도의 부위를 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 모양의 날부(62a)를 갖는 양면날 형태이다.
제1 칼날(61)은 고속회전시 분쇄되는 가죽스크랩을 아래방향으로 이동시켜 아래쪽에 위치한 제2 칼날(62)이 재 분쇄가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가죽스크랩이 분쇄통(30)의 내벽면을 따라 밀려 올라가도록 하여 대류현상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칼날(62)은 제1 칼날(61)로부터 분쇄되어 내려온 가죽스크랩을 더 많이 분쇄되도록 하면서 날부(62a)의 윗면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져 대류현상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날부(62a)의 아래면은 가죽스크랩을 아래로 밀어내어 분쇄통(30)의 내벽면을 따라 상승시켜 대류현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은 제1 및 제2 칼날(61)(62)의 이와 같은 구조 및 기능에 의해서 매우 효과적으로 미분쇄된다.
함체(10)의 상면에는 분쇄통(30)과는 거리를 두고 구동모터(70)가 설치된다. 구동모터(70)는 거꾸로 설치되어 모터축(71)이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한다. 구동모터(70)는 분쇄날(60)이 고속회전하며 가죽스크랩을 미분쇄할 수 있도록 회전축(50)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함체(10)의 내부에는 브이벨트(V-벨트)부재(80)가 설치된다. 브이벨트부재(80)는 회전축(50)의 타단과 구동모터(70)의 모터축(71)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을 회전축(50)에 전달한다.
회전축(50)의 타단과 모터축(71)에는 각각 벨트풀리부재(90)가 설치된다. 벨트풀리부재(90)는 브이벨트부재(80)를 삽입하여 거는 홈이 형성되고, 브이벨트부재(80)를 걸어 가이드하여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이 회전축(50)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함체(10)의 상면에는 제어수단(100)이 설치된다. 제어수단(100)은 지지봉을 통해 함체(10)로부터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제어수단(100)은 구동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며, 구동모터(70)의 rpm 등을 계측할 수 있는 계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분쇄통(30)에는 온도센서(120)가 설치된다. 온도센서(120)는 분쇄통(30)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100)에 전송한다. 분쇄통(30)은 분쇄날(60)이 가죽스크랩과의 분쇄 중에 마찰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며 100℃ 이상일 수 있다. 고열의 분쇄통(30)은 작업자가 화상 등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수단(100)은 온도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온도를 체크하여 설정온도이면 구동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분쇄통(30)의 온도를 감온시킨다. 이때, 제어수단(100)은 온도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온도가 감온온도가 될 때까지 구동모터(70)의 회전을 감속시킨다.
예를 들면, 제어수단(100)에는 설정온도가 100℃로 설정되고 감온온도가 80℃로 설정되면, 제어수단(100)은 온도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온도가 100℃이면 구동모터(70)의 회전을 감속시켜 분쇄날(60)의 회전속도를 줄임으로써 분쇄통(30)의 온도를 감온하되 온도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온도가 80℃가 될때까지 구동모터(70)의 회전을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100)은 저속, 중속, 고속, 중속 순으로 구동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여 가죽스크랩을 효과적으로 미분쇄한다. 즉, 제어수단(100)은 5분 동안 100rpm 저속으로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여 1차 분쇄한 후 10분 동안 1000rpm 중속으로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여 2차 분쇄하고, 20분 동안 4500rpm 고속으로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여 3차 분쇄한 다음 5분 동안 1000rpm 중속으로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여 4차 분쇄함으로써 가죽스크랩을 효과적으로 미분쇄한다.
구동모터(70)의 저속 구동이 완료되면, 가죽스크랩은 팽윤(swelling)되어 딱딱함이 없어지고, 고속후 구동모터(70)의 중속 구동은 분쇄액을 안정화시켜 가죽스크랩 미분말과 분쇄액이 잘 혼합되도록 한다.
회전축(50)의 중간에는 수냉통체(110)가 설치된다. 수냉통체(110)는 함체(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회전축(50)의 중간을 감싼다. 수냉통체(110)는 가죽스크랩의 미분쇄시 가죽스크랩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한다.
즉, 분쇄날(60)이 가죽스크랩을 미분쇄하는 동안 마찰력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그 열은 외부와 접한 회전축(50)의 일단에 모인다. 수냉통체(110)는 회전축(50)의 일단에 모인 열을 회전축(50)으로부터 흡수하여 분쇄날(60)의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며, 이로 인해 씰링부재(55)의 열 손상이 방지된다. 씰링부재(55)가 열 손상되면 수밀성이 깨져 분쇄액이 회전축(50)을 타고 흘러 내려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냉통체(110)는 중앙에 수냉통체(1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회전축(50)은 관통공(111)에 삽입 설치되어 냉각된다. 수냉통체(110)는 입수 파이프와 배수 파이프를 각각 설치하여 데워진 물은 배수하고 외부의 차가운 물을 입수하여 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파이프 중간에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차가운 물과 데워진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통(30)의 외벽에는 분쇄통(30)과의 사이에 수냉공간을 형성하는 수냉벽(130)이 감싸 설치된다. 수냉벽(130)이 형성하는 수냉공간에는 냉각수가 통수되며, 냉각수는 제어수단(100)의 제어로 미분쇄시 가죽스크랩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분쇄통(30)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킨다. 수냉공간을 형성하는 수냉벽(130)은 제어수단(100)의 구동모터(70) 제어와 더불어 분쇄통(30)의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수냉벽(130)에는 입수 파이프와 배수 파이프를 각각 설치하여 데워진 물은 배수하고 외부의 차가운 물을 입수하여 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파이프 중간에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차가운 물과 데워진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함체(10)에는 모터와 팬으로 이루어진 팬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팬수단은 함체(10)의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수냉통체(110)에서 방열되는 열과 기기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식혀 수냉통체(110)의 냉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110)는 분쇄통(30) 대신 수냉벽(130)에 설치되어 수냉벽(130)의 온도를 제어수단(100)에 전송할 수 있다. 수냉벽(130)이 형성하는 수냉공간이 냉각기능을 상실하거나 가죽스크랩 분쇄시 발생하는 마찰열의 이상과열로 수냉벽(130)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그러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수단(100)은 온도센서(110)에서 전송되는 수냉벽(13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70)의 작동을 감온온도가 될 때까지 제어하여 수냉벽(130)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아예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냉벽(13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가죽 미분쇄장치는 분쇄통(30)에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을 투입한다. 이후, 분쇄통(30)에 물, 알코올, 증점제 등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분쇄액을 투입하고 가죽스크랩이 그 분쇄액을 흡수하도록 10분 정도 디핑(dipping)한다. 디핑이 완료되면, 구동모터(70)를 서서히 작동시켜 분쇄날(60)을 회전시키고 약 40분간 습식 분쇄한다. 분쇄가 완료되면, 가죽스크랩은 매우 곱게 미분쇄된다.
상기의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함체 20: 받침대
30: 분쇄통 40: 덮개
50: 회전축 60: 분쇄날
61: 제1 칼날 62: 제2 칼날
70: 구동모터 71: 모터축
80: 브이벨트부재 90: 벨트풀리부재
100: 제어수단 110: 수냉통체
111: 관통공 120: 온도센서

Claims (2)

  1.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바닥에 놓이는 함체(10);
    상기 함체(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20);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상기 받침대(2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함체(10)에 고정되며,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을 수용하여 미분쇄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분쇄통(30);
    상기 분쇄통(30)의 개구된 윗면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통(30)의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덮개(40);
    상기 함체(10)의 상면과 상기 분쇄통(30)의 바닥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분쇄통(3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50);
    상기 회전축(50)과 상기 분쇄통(30)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성을 부여하는 씰링부재(55);
    제1 및 제2 칼날(61)(62)이 상기 분쇄통(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50)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칼날(61)과 상기 제2 칼날(62)이 서로 어긋나게 결합되어 십(十)자 모양을 이루어 상기 회전축(50)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분쇄통(30)에 수용된 가죽스크랩을 미분쇄하는 분쇄날(60);
    상기 분쇄통(30)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함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축(71)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70);
    상기 함체(1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50)의 타단과 상기 구동모터(70)의 모터축(71)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50)에 전달하는 브이벨트부재(80);
    상기 회전축(50)의 타단과 상기 모터축(7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브이벨트부재(80)를 걸어 가이드하는 벨트풀리부재(90);
    상기 함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
    상기 함체(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50)을 감싸 미분쇄시 가죽스크랩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여 상기 씰링부재(55)의 손상을 방지하는 수냉통체(110); 및
    상기 분쇄통(30)에 설치되며, 상기 분쇄통(3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0)에 전송하는 온도센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온도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온도가 설정온도이면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분쇄날(60)의 회전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분쇄통의 온도를 감온하되 감온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온도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온도가 감온온도가 될때까지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저속, 중속, 고속, 중속 순으로 상기 구동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되, 5분 동안 100rpm 저속으로 1차 분쇄한 후 10분 동안 1000rpm 중속으로 2차 분쇄하고, 20분 동안 4500rpm 고속으로 3차 분쇄한 다음 5분 동안 1000rpm 중속으로 4차 분쇄하여 조분쇄된 가죽스크랩을 미분쇄하며,
    상기 분쇄통(30)의 외벽을 감싸 설치되어 상기 분쇄통(30)과의 사이에 수냉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로 미분쇄시 가죽스크랩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분쇄통(30)의 열을 냉각하는 수냉벽(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냉통체(110)의 중앙에는 상기 수냉통체(1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관통공(111)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 칼날(62)은 상기 제1 칼날(61)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칼날(61)은 하면의 끝부위를 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 모양의 날부(61a)를 갖는 단면날 형태이고, 상기 제2 칼날(62)은 상면의 끝부위를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상면의 끝부위와 대응하는 하면의 끝부위를 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 모양의 날부(62a)를 갖는 양면날 형태이고,
    상기 분쇄통(30)은 미분쇄된 가죽을 빼내기 위해 외주연의 일부가 회전되게 개폐되고,
    상기 함체(10)에는 팬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함체(10)의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2. 삭제
KR2020150002373U 2015-04-14 2015-04-14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KR200478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73U KR200478084Y1 (ko) 2015-04-14 2015-04-14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73U KR200478084Y1 (ko) 2015-04-14 2015-04-14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084Y1 true KR200478084Y1 (ko) 2015-08-28

Family

ID=5433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373U KR200478084Y1 (ko) 2015-04-14 2015-04-14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08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04U (ko) * 2018-10-31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곡물 분쇄장치
KR20210000639A (ko) * 2019-06-25 2021-01-05 이인욱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KR102285618B1 (ko) 2021-04-15 2021-08-03 길양배 구조 개선된 유기성물질 분쇄용 분쇄기
KR102528660B1 (ko) 2022-09-08 2023-05-04 (주)영창에코 스크랩 분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49B1 (ko) 2002-04-04 2006-06-07 진수곤 분쇄기
JP2014176829A (ja) 2013-03-15 2014-09-25 Ricoh Co Ltd 機械式粉砕機、トナー製造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49B1 (ko) 2002-04-04 2006-06-07 진수곤 분쇄기
JP2014176829A (ja) 2013-03-15 2014-09-25 Ricoh Co Ltd 機械式粉砕機、トナー製造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04U (ko) * 2018-10-31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곡물 분쇄장치
KR200492151Y1 (ko) * 2018-10-31 2020-08-20 대한민국 곡물 분쇄장치
KR20210000639A (ko) * 2019-06-25 2021-01-05 이인욱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KR102343252B1 (ko) * 2019-06-25 2021-12-27 이인욱 모터부하 감지형 그라인더
KR102285618B1 (ko) 2021-04-15 2021-08-03 길양배 구조 개선된 유기성물질 분쇄용 분쇄기
KR102528660B1 (ko) 2022-09-08 2023-05-04 (주)영창에코 스크랩 분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084Y1 (ko)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BRPI0807356A2 (pt) Mancal para um eixo de triturador giratório e método de ajuste da largura de espaçamento do triturador
JP2014176829A5 (ko)
US20110214577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y
KR100697328B1 (ko) 분쇄기
BR112014030495B1 (pt) Geladeira
CN214026574U (zh) 一种便于粉碎的塑料桶加工用原料熔融装置
KR101347241B1 (ko) 회전식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밀 장치 및 그의 냉각방법
KR20120026719A (ko) 금속이 포함된 폐자재로부터 금속을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CN201441934U (zh) 双冷却防爆粉碎机
KR20110031935A (ko) 저품온 기류식 미분쇄기
KR200210056Y1 (ko)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KR20130061630A (ko) 분체 열처리장치
KR101169634B1 (ko) 스팀 가열 교반 장치
KR20100082632A (ko) 유성볼밀의 냉각시스템
ES2955548T3 (es) Aparato de molienda por inmersión
CN205111590U (zh) 一种镜面研磨抛光机的防护结构
CN212856022U (zh) 一种卧式砂磨机
CN214439564U (zh) 一种三七粉碎机
KR100265695B1 (ko)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KR950010831A (ko) 전자동 커피메이커
CN219898491U (zh) 一种动力电池防爆自冷磨粉机
KR20130066322A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더스트 파쇄장치
CN214234292U (zh) 一种适用于培养基干粉生产的球磨机
CN220480248U (zh) 一种金属粉末原料冷却切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