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849B1 - 분쇄기 - Google Patents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849B1
KR100586849B1 KR1020020018420A KR20020018420A KR100586849B1 KR 100586849 B1 KR100586849 B1 KR 100586849B1 KR 1020020018420 A KR1020020018420 A KR 1020020018420A KR 20020018420 A KR20020018420 A KR 20020018420A KR 100586849 B1 KR100586849 B1 KR 10058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housing
rotor
grinding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411A (ko
Inventor
진수곤
Original Assignee
진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수곤 filed Critical 진수곤
Priority to KR102002001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8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은 크기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분쇄실에 공급함과 동시에 원료를 회전 원심력에 의한 충돌로 분쇄시킨 후,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연속적으로 배출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속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분쇄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용수로 냉각시킴으로써 원료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쇄기{Mi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분쇄실에서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외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의 구성을 요부 발췌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20 : 제 1하우징
30 : 제 2하우징 32 : 원료공급부
40 : 회전축 50 : 동력전달수단
60 : 로우터 70 : 회전플랜지
80 : 원료배출부 90 : 볼
104 : 통풍공 120 : 보조하우징
S1 : 제 1수조 S2 : 제 2수조
본 발명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쇄실로 공급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회전 원심력에 의한 충돌로 분쇄시킨 후,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배출시킴과 아울러, 고속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원료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정한 크기의 원료를 사용처에 적합하도록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분쇄기는 통상 건식 분쇄기와 습식 분쇄기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건식 분쇄기는 고체상의 건조한 원료(예를 들면:곡물,광물)를 분쇄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습식 분쇄기는 물기를 포함하고 있는 원료(예를 들면:음식물,채소류)를 분쇄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건식 또는 습식 분쇄기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압착,충격 또는 회전타입 등으로 나누어져 원료를 사용처에 적합하도록 미립자로 분쇄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쇄방식으로는 볼(Ball),롤러(Roll),해머(Hammer),회전(Rotary)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압착,충격 또는 회전타입 등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미립자로 분쇄하고자 할 경우,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분쇄기에 대해 한가지 타입의 크기를 갖도록 배출되는데, 이는 원료의 사용목적에 따라 미립자의 크기가 각각 상이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분쇄기의 사용범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미립자로 분쇄되는 원료의 사용처에 따라 분쇄기를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 고 있었다.
또한, 상기 분쇄기에 의해 미립자로 분쇄된 원료를 분쇄실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전까지는 분쇄시키고자 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상기 분쇄기의 분쇄실로 공급할 수 없으므로 인해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분쇄기의 분쇄실로 공급된 작은 크기의 원료를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호 충돌시켜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시킬 경우, 상기 분쇄실은 고속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데, 이는 상기 분쇄실의 상승된 온도가 상기 미립자로 분쇄된 원료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면서 원료를 변질시킴에 따라 제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회전 원심력에 의한 충돌로 분쇄시킨 후,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배출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회전 원심력에 의한 충돌로 분쇄하기 위해 고속회전할 경우, 마찰열에 의해 분쇄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수냉식으로 냉각시켜 미립자의 크기로 분쇄되는 원료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적 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상부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에 분쇄시키고자 하는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부 및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분쇄시키기 위한 분쇄실을 가지며, 그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분쇄실을 거친 미립자의 원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공을 갖는 원통형상의 제 2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상부에 임의로 설정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하우징의 분쇄실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 2하우징의 제 1분쇄핀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원료를 회전 원심력으로 충돌시켜 미립자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2분쇄핀을 갖는 로우터; 상기 로우터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분쇄핀들에 부딪히면서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상기 제 2하우징의 통공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을 갖는 회전플랜지; 및 상기 제 2하우징의 통공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회전플랜지의 간격조절수단을 통과한 미립자의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갖는 원료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분쇄기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베이스로써,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적정한 높이를 갖도록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2)이 설치되고, 이 수직프레임(12)의 상부에 지지플레이트(14)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에는 원통형상의 제 1하우징(20) 상부가 체결볼트(2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1하우징(20)의 하부에는 원통형상의 제 2하우징(30)이 체결볼트(31)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2하우징(30)의 하부에는 분쇄시키고자 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부(32)가 체결볼트(33)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부에는 원료공급부(32)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미립자로 분쇄시킬 수 있도록 분쇄실(34)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원료공급부(32)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는 별도의 펌프장치(미도시)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핀(35)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실(34)을 거친 미립자의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2하우징(30)의 상부에 통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하우징(20)(30)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회전축(4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40)의 상부에는 임의로 설정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4)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4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40)의 풀리(42)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수단(50)이 지지플레이트(14)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동력전달수단(50)은 여러가지의 요소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4)의 임의 개소에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풀리(56)를 갖는 구동축(54) 및 이 구동축(54)에 결합된 풀리(5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40)의 풀리(42)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56)로 구성함이 가장 좋을 것이다.
상기 회전축(40)의 하부에는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4)에서 회전되도록 로우터(60)가 체결볼트(61)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로우터(6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형성된 각각의 제 1분쇄핀(35)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원료를 회전 원심력으로 충돌시켜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2분쇄핀(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우터(60)의 상단부에 회전플랜지(70)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플랜지(70)의 상부에는 상기 로우터(60)의 회전시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분쇄핀(35)(62)들에 부딪히면서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상기 제 2하우징(30)의 통공(36)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간격조절수단(72)을 갖는다.
즉, 상기 간격조절수단(72)은 여러가지의 요소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플랜지(70)의 상부측 외주연에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가 상기 제 2하우징(30)의 통공(36)으로 통과되도록 적정한 두께를 갖는 판재(74)가 체결부재(76)에 의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2하우징(30)에 형성된 통공(36)과 상기 회전플랜지(70)에 설치된 판재(74) 사이의 공간을 통해 분쇄된 원료가 배출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회전플랜지(70)에 설치되는 판재(74)의 두께에 의해 상기 통공(36)으로 배출되는 공간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분쇄실(34)에서 분쇄된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원료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30)의 통공(36)으로 원료배출부(80)가 설치되는데, 상기 원료배출부(80)의 내부에는 상기 통공(36)을 통과한 미립자의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로(8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하우징(30)의 상부에는 분쇄실(34)로 다수개의 볼(90)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볼공급부(91)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볼공급부(91)는 상기 제 2하우징(30)의 상부에 다수개의 볼(90)이 통과되도록 제 1통공(92)을 형성한 후, 이 제 1통공(9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 1체결볼트(93)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통공(92)을 통과한 다수개의 볼(90)은 상기 로우터(60)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 1분쇄핀(35)과 상기 로우터(60)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 2분쇄핀(62)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원료를 충돌시켜 분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하우징(30)의 하부에 상기 다수개의 볼(90)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볼배출부(94)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볼배출부(94)는 상기 다수개의 볼(90)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 2하우징(30)의 하부에 제 2통공(95)이 형성되고, 이 제 2통공(95)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 2체결볼트(96)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료를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하기 위한 회전축(40)의 회전시 상 기 회전축(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20)의 내부에 베어링부(102)를 갖는 격벽(10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20)의 측벽 및 상기 격벽(100)에는 회전축(40)의 고속회전시 마찰열에 의해 상기 제 1하우징(20)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대기중의 공기가 이동하면서 냉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풍공(10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30)의 외주연으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내부에 용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수조(S1)를 갖는 보조하우징(110)이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하우징(110)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 1수조(S1)로 용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 1유입관(112) 및 제 1유출관(11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로우터(60)의 회전시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분쇄핀(35)이 상기 원료와 충돌하면서 열기를 발생시킬 경우, 상기 제 1수조(S1)에 저장되어 있던 용수가 제 1분쇄핀(35)을 냉각시킴으로 인해 미립자로 분쇄되는 원료의 변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40)에 결합된 로우터(60)의 내부에는 용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제 2수조(S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 2수조(S2)는 상기 로우터(60)의 외주연에 형성된 각각의 제 2분쇄핀(62)과 접촉하면서 순환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1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2수조(S2)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40)의 내부에 제 2유입관(122) 및 제 2유출관(124)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 2유입관(122)은 회전축(40)의 하단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유출관(124)은 상기 로우터(60)의 상부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 2유입관(122)의 외측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우터(60)의 회전시 로우터(6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분쇄핀(62)이 상기 원료와 충돌하면서 열기를 발생시킬 경우, 상기 제 2수조(S2)에 저장된 용수가 각각의 제 2분쇄핀(62)을 냉각시킴으로 인해 미립자로 분쇄되는 원료의 변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0)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40)의 내부에 형성된 제 2유입관(122) 및 제 2유출관(124)으로 용수가 원활하게 순환되는 것은 상기 회전축(40)의 일단에 상기 제 2유입관(122) 및 제 2유출관(124)과 연결된 로터리용 조인트(12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 2하우징(3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통공(92)을 통해 다수개의 볼(90)을 분쇄실(34)로 공급한 후, 상기 제 1통공(92)을 제 1체결볼트(93)로 폐쇄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 2하우징(30)의 원료공급부(32)를 통해 분쇄시키고자 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별도의 펌프장치(미도시)의 압력을 이용하여 원료를 강제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원료공급부(32)를 통해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4)로 원료를 공급할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14)상에 설치된 구동모터(52)로 전기적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구동모터(52)의 회전에 따른 구동력이 구동축(54)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구동축(54)의 풀리(56)에 감겨 있는 동력전달부재(58)로 전달되 고, 이 동력전달부재(58)는 상기 회전축(40)의 일단에 결합된 풀리(42)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축(40)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제 1하우징(20)의 격벽(100)에 개재된 베어링부(102)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활한 회전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40)의 하부에 결합된 로우터(60)는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4)에서 고속회전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로우터(6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분쇄핀(62)은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분쇄핀(35)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고속 회전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로우터(60)의 고속회전시 상기 분쇄실(34)에는 회전 원심력이 작용하여 분쇄실(34)에 개재된 작은 크기의 원료 및 다수개의 볼(90)을 자유롭게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우터(60)의 고속회전시 작은 크기의 원료는 분쇄실(34)에서 다수개의 볼(90)과 함께 자유로운 이동을 하면서 상호 충돌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분쇄핀(35)(62)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호 충돌을 일으켜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쇄실(34)로 공급된 작은 크기의 원료가 다수개의 볼(90)과 제 1 및 제 2분쇄핀(35)(62)에 충돌되면서 미립자로 분쇄될 경우, 미립자로 분쇄된 원료는 자체적으로 중량이 가벼워짐으로 인해 상기 로우터(60)의 고속회전시 회전 원심력에 의해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4)내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분쇄실(34)의 상부에 도달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 기의 원료만이 상기 제 2하우징(30)에 형성된 통공(36)과 상기 회전플랜지(70)의 상부측 외주연에 설치된 판재(74)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통공(36)에 연결된 원료배출부(80)의 통로(8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는 원료배출부(80)와 연결된 별도의 흡입장치, 예를 들면 흡입팬(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미립자의 원료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통공(36)과 판재(74)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미립자의 원료만을 흡입할 수 있도록 적정한 흡입력을 갖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하우징(30)의 통공(36)과 회전플랜지(70)의 판재(7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지 못한 미립자의 원료는 자체적인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로 분쇄될 때까지 상기 다수개의 볼(90)과 제 1 및 제 2분쇄핀(35)(62)에 의해 계속적으로 충돌을 일으키면서 분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는 제 2하우징의 분쇄실로 작은 크기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작은 크기의 원료를 회전 원심력에 의한 충돌을 통해 미립자로 분쇄시킨 후,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연속적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회전 원심력에 의한 충돌로 분쇄하기 위해 고속회전시킬 경우, 마찰열에 의해 분쇄실의 온도 가 상승되는 것을 용수가 순환하면서 냉각시킴에 따라 원료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적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상부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에 분쇄시키고자 하는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부 및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분쇄시키기 위한 분쇄실을 가지며, 그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분쇄실을 거친 미립자의 원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공을 갖는 원통형상의 제 2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상부에 임의로 설정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하우징의 분쇄실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 2하우징의 제 1분쇄핀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원료를 회전 원심력으로 충돌시켜 미립자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2분쇄핀을 갖는 로우터;
    상기 로우터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분쇄핀들에 부딪히면서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상기 제 2하우징의 통공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을 갖는 회전플랜지; 및
    상기 제 2하우징의 통공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회전플랜지의 간격조절수단을 통과한 미립자의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갖는 원료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플랜지의 상부측 외주연에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가 상기 통공으로 통과되도록 적정한 두께를 갖는 판재를 체결부재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상기 제 1 및 제 2분쇄핀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원료를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볼공급부를 가지며, 상기 제 2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다수개의 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볼배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전기적신호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를 갖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고속회전시 발생되는 열기를 대기중의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하우징의 측벽 및 상기 격벽에 다수개의 통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의 외주연에 상기 로우터의 고속회전시 발생되는 상기 분쇄실의 열기를 용수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제 1수조를 갖는 보조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하우징의 제 1수조로 용수를 순환시키도록 제 1유입관 및 제 1유출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의 내부에 상기 로우터의 고속회전시 발생되는 상기 분쇄실의 열기를 용수로 냉각시키기 위한 제 2수조를 가지며, 상기 제 2수조로 용수를 순환시 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제 2유입관 및 제 2유출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쇄기.
KR1020020018420A 2002-04-04 2002-04-04 분쇄기 KR10058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420A KR100586849B1 (ko) 2002-04-04 2002-04-04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420A KR100586849B1 (ko) 2002-04-04 2002-04-04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411A KR20030079411A (ko) 2003-10-10
KR100586849B1 true KR100586849B1 (ko) 2006-06-07

Family

ID=3237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420A KR100586849B1 (ko) 2002-04-04 2002-04-04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8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53B1 (ko) * 2014-10-13 2015-07-15 주식회사 디엔텍 수평 배치형 건식 분산 분쇄기
KR200478084Y1 (ko) 2015-04-14 2015-08-28 손제영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00B1 (ko) * 2004-06-15 2006-09-20 주식회사 케이피알 햄머젯트기류를 이용한 미분분쇄기
KR100563946B1 (ko) * 2004-07-05 2006-03-29 나노인텍 주식회사 습식 분쇄 분산기의 미립자 분리장치
CN112892731A (zh) * 2019-11-19 2021-06-04 衡阳市朝阳重机有限公司 可调节甩锤安装位置的破碎制砂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6879A (en) * 1978-08-10 1980-06-10 Gebrueder Buehler Ag Agitator mill
KR950007586A (ko) * 1993-08-23 1995-03-21 배순훈 리모콘전압 검출표시장치
JPH1099703A (ja) * 1996-09-19 1998-04-21 Draiswerke Inc 撹拌破砕機
KR19980014312U (ko) * 1998-03-05 1998-06-05 최병석 볼밀교반장치
KR20030073710A (ko) * 2002-03-13 2003-09-19 진수곤 분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6879A (en) * 1978-08-10 1980-06-10 Gebrueder Buehler Ag Agitator mill
KR950007586A (ko) * 1993-08-23 1995-03-21 배순훈 리모콘전압 검출표시장치
JPH1099703A (ja) * 1996-09-19 1998-04-21 Draiswerke Inc 撹拌破砕機
KR19980014312U (ko) * 1998-03-05 1998-06-05 최병석 볼밀교반장치
KR20030073710A (ko) * 2002-03-13 2003-09-19 진수곤 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53B1 (ko) * 2014-10-13 2015-07-15 주식회사 디엔텍 수평 배치형 건식 분산 분쇄기
KR200478084Y1 (ko) 2015-04-14 2015-08-28 손제영 가죽스크랩 미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411A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8009B2 (ja) 乾燥粉砕機及び粉砕された材料の乾燥方法
US3955766A (en) Pulverizing mills
US5806772A (en) Conical gyratory grinding and crushing apparatus
KR101537053B1 (ko) 수평 배치형 건식 분산 분쇄기
JP2012217955A (ja) 粉砕機
KR100586849B1 (ko) 분쇄기
US4811909A (en) Ball mill
JP2003236399A (ja) 穀物の衝撃式粉砕装置
CN211601424U (zh) 一种强效加热旋风式闪蒸干燥机
KR20110109802A (ko) 기류식 분쇄기
KR101085543B1 (ko) 폐회로 분쇄 분급장치
JP4265807B2 (ja) 微粉砕機
KR100545641B1 (ko) 분말 제조장치
KR100339265B1 (ko) 극미세 분말 분쇄기
CN110152792A (zh) 一种高效的轴流式矿石粉碎机
KR200182514Y1 (ko) 분쇄기
JP2003181316A (ja) 媒体撹拌粉砕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有する粉砕処理システム
US3598326A (en) Ore grinding mechanism and method
KR102091099B1 (ko) 세퍼레이터 일체형 인라인 충격식 기류분급 분쇄장치
KR100469759B1 (ko) 분쇄기
KR20030073710A (ko) 분쇄기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
JPS60129144A (ja) 微粉砕機
KR20190081922A (ko)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JP2004330062A (ja) 微粉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