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710A - 분쇄기 - Google Patents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710A
KR20030073710A KR1020020013399A KR20020013399A KR20030073710A KR 20030073710 A KR20030073710 A KR 20030073710A KR 1020020013399 A KR1020020013399 A KR 1020020013399A KR 20020013399 A KR20020013399 A KR 20020013399A KR 20030073710 A KR20030073710 A KR 2003007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housing
grinding
ro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수곤
Original Assignee
진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수곤 filed Critical 진수곤
Priority to KR102002001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710A/ko
Publication of KR2003007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8Pestle and mort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 분쇄시키고자 하는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원료공급부로부터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분쇄시키기 위한 분쇄실을 가지며, 그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핀이 형성되고, 내부가 기밀되는 원통형상의 제 2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 1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병행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부에 임의로 설정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하우징의 분쇄실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주연에 상기 각각의 제 1분쇄핀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원료를 회전 원심력으로 충돌시켜 미립자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2분쇄핀을 갖는 로우터; 및 상기 제 2하우징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주연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분쇄핀들에 부딪히면서 분쇄된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를 갖는 원료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분쇄기{Mill}
본 발명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회전 원심력에 의한 충돌로 분쇄시킨 후, 분쇄된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배출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열에의해 원료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정한 크기의 원료를 사용처에 적합하도록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분쇄기는 통상 건식 분쇄기와 습식 분쇄기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건식 분쇄기는 고체상의 건조한 원료(예를 들면:곡물,광물)를 분쇄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습식 분쇄기는 물기를 포함하고 있는 원료(예를 들면:음식물,채소류)를 분쇄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건식 또는 습식 분쇄기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압착,충격 또는 회전타입 등으로 나누어져 원료를 사용처에 적합하도록 미립자로 분쇄하게 되는데, 이러한 여러 가지의 타입에 적용되는 분쇄방식을 보면, 통상적으로 볼(Ball),롤러(Roll),해머(Hammer),회전(Rotary)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압착,충격 또는 회전타입 등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분쇄할 경우, 상기 분쇄기를 통과한 미립자의 원료는 통상 하나의 분쇄기에 대해 한가지 타입의 크기를 갖도록 배출되는데, 이는 원료의 사용처에 따라 미립자의 크기를 각각 상이하게 적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분쇄기의 사용범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미립자로 분쇄되는 원료의 사용처에 따라 분쇄기를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분쇄기에 의해 미립자로 분쇄된 원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까지는 분쇄시키고자 하는 원료를 상기 분쇄기의 내부로 공급할 수 없으므로 인해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있었다.
또한, 상기 분쇄기의 분쇄실로 공급된 작은 크기의 원료를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분쇄실은 고속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데, 이는 상기 미립자로 분쇄된 원료에 상기 분쇄실의 상승된 온도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원료를 변질시킴에 따라 원료의 제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은 크기의 원료를 회전 원심력에 의한 충돌로 분쇄시킨 후,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배출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료를 분쇄하기 위한 회전시 마찰열에 의해 분쇄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냉각시켜 원료의 변질을 방지함에 따라 원료의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 분쇄시키고자 하는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원료공급부로부터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분쇄시키기 위한 분쇄실을 가지며, 그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핀이 형성되고, 내부가 기밀되는 원통형상의 제 2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 1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병행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부에 임의로 설정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하우징의 분쇄실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주연에 상기 각각의 제 1분쇄핀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원료를 회전 원심력으로 충돌시켜 미립자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2분쇄핀을 갖는 로우터; 및 상기 제 2하우징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주연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분쇄핀들에 부딪히면서 분쇄된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를 갖는 원료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분쇄기10 : 베이스
20 : 제 1하우징30 : 제 2하우징
40 : 회전축50 : 로우터
60 : 원료배출부70 : 도어
80 : 볼S1 : 제 1수조
S2 : 제 2수조S3 : 제 3수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은 분쇄기로써, 상기 분쇄기(1)는 베이스(10) 및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원통형상의 제 1하우징(20)이 설치되는데, 이 제 1하우징(20)의 소정 위치에는 분쇄시키고자 하는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부(22)가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원료공급부(22)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는 자중에 의해 공급되거나 별도의 펌프장치(미도시)에 의해 강제적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하우징(2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하우징(20)의 원료공급부(22)로부터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분쇄시키기 위한 분쇄실(31)을 가지면서, 그 내부가 기밀되는 원통형상의 제 2하우징(30)이 체결볼트(32)에 의해 연이어지도록 결합되는데,이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핀(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하우징(20)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 1하우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회전축(40)이 병행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축(40)의 일단부에는 임의로 설정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1)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42)가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44)이 설치되는데, 상기 동력전달수단(44)은 여러가지의 요소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5) 및 이 구동모터(45)의 구동축(46)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40)의 풀리(42)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47)로 구성함이 가장 좋을 것이다.
상기 회전축(4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1)에서 회전되도록 로우터(50)가 결합되는데, 상기 로우터(5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형성된 각각의 제 1분쇄핀(34)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원료를 회전 원심력으로 충돌시켜 미립자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2분쇄핀(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1)에서 분쇄된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제 2하우징(30)에 원료배출부(6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원료배출부(60)의 외주연에는 상기 로우터(50)의 회전시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분쇄핀(34)(52)에 부딪히면서 분쇄된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를 통과시키도록필터(6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원료배출부(60)에 설치되는 필터(62)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64)을 갖는다.
상기 체결수단(64)은 상기 원료배출부(60)의 일단에 제 1걸림턱(65)이 형성되고, 이 원료배출부(6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갖는 위치에 제 2걸림턱(66)이 형성된 고정부재(67)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걸림턱(65)(66)에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를 통과시키는 상기 필터(62)의 양단을 각각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67)와 상기 원료배출부(60)를 체결부재(68)로 결합하여 상기 필터(62)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하우징(30)에 형성된 분쇄실(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분쇄실(31)을 청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하우징(30)의 일측에 도어(70)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70)는 힌지축(7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하우징(30)에 형성된 분쇄실(31)을 폐쇄하기 위한 도어(70)의 잠금장치는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분쇄실(31)의 기밀성을 감안하여 다수개의 볼트(74)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70)의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볼(80)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 1통로(75)를 갖는 볼공급부(76)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 1통로(75)를 통해 공급된 다수개의 볼(80)은 상기 로우터(50)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 1분쇄핀(34)과 상기 로우터(50)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 2분쇄핀(52)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원료에 충돌되어 원료를 분쇄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볼공급부(76)의 타단에는 상기 제 1통로(75)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 1마개(77)가 제 1손잡이(78)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7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1)에 개재된 다수개의 볼(80)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2통로(75a)를 갖는 볼배출부(76a)가 설치되며, 상기 볼배출부(76a)의 타단에는 상기 제 2통로(75a)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 2마개(77a)가 제 2손잡이(78a)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우터(50)의 측벽(51)에는 상기 원료 및 상기 다수개의 볼(8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절결홈(54)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볼(80)은 상기 원료와 함께 상기 다수개의 절결홈(54)을 통과하면서 상기 원료와 상기 다수개의 볼(80)이 상호 부딪힘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원료를 분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료를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하기 위한 회전시 마찰열에 의해 상기 제 1하우징(20),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1) 및 원료배출부(6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냉각시켜 상기 원료의 변질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 1하우징(20)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부(24)를 갖는 격벽(2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6)에 대기중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풍공(28)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40)의 회전시 상기 제 1하우징(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30)의 외주연으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갖는 내부에 용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수조(S1)가 형성된 보조하우징(35)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하우징(35)의 상.하부에 상기 제 1수조(S1)로 용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 1유입관(36) 및 제 1유출관(37)이 각각 설치됨에 따라 상기 로우터(50)의 회전시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분쇄핀(34)이 상기 원료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열기를 상기 제 1수조(S1)의 용수로 냉각시켜 원료의 변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우터(50)의 내부에 용수를 수용하기 위한 제 2수조(S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40)의 내부에 상기 제 2수조(S2)로 용수를 순환시키도록 제 2유입관(48) 및 제 2유출관(49)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기 로우터(50)의 회전시 상기 로우터(5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분쇄핀(52)이 상기 원료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열기를 상기 제 2수조(S2)의 용수로 냉각시켜 원료의 변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0)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40)의 내부에 형성된 제 2유입관(48) 및 제 2유출관(49)으로 용수가 원활하게 순환되는 것은 상기 회전축(4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터리용 조인트(41)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원료배출부(60)에 일측이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기 필터(62)를 통과한 고온의 원료가 배출되도록 원료배출관(92)이 설치되며, 상기 원료배출관(92)을 통과하는 고온의 원료를 용수로 냉각시키기 위한 제 3수조(S3)를 갖는 케이싱(90)이 결합되는데, 여기서 상기 케이싱(90)의 일측에는 상기 제3수조(S3)로 용수를 순환시키도록 제 3유입관(94) 및 제 3유출관(96)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로우터(50)의 회전시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분쇄핀(34)(52) 및 다수개의 볼(80)에 의해 분쇄된 고온의 원료가 상기 필터(62)를 통과하여 원료배출관(92)으로 배출될 시 상기 제 3수조(S3)에 수용되어 있던 용수가 고온의 원료를 냉각시켜 원료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어(70)의 일측에 설치된 볼공급부(76)의 제 1손잡이(78)를 작동시켜 제 1마개(77)를 개방시킨 후, 상기 볼공급부(76)의 제 1통로(75)를 통해 다수개의 볼(80)을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1)로 공급한 다음 상기 제 1통로(75)를 폐쇄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 1하우징(20)의 원료공급부(22)를 통해 연속적으로 작은 크기의 원료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원료를 자중에 의해 공급하거나 펌프의 압력을 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원료공급부(22)를 통해 원료를 일정량으로 공급할 경우, 상기 베이스(10)상에 설치된 구동모터(45)에 전기적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모터(45)의 회전시 구동력은 구동축(46)을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재(47)로 전달되고, 이 동력전달부재(47)는 상기 회전축(40)의 일단에 결합된 풀리(42)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축(40)을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제 1하우징(20)의 격벽(26)에 개재된 베어링부(24)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활한 회전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40)의 타단에 결합된 로우터(50)는 상기 제 2하우징(30)의 분쇄실(31)에 개재된 상태에서 회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우터(5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분쇄핀(52)은 상기 제 2하우징(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분쇄핀(34)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고속 회전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로우터(50)의 고속회전에 의해 상기 분쇄실(31)에는 회전 원심력이 작용하여 상기 분쇄실(31)에 개재된 작은 크기의 원료 및 다수개의 볼(80)을 자유롭게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로우터(50)의 고속회전시 상기 원료는 다수개의 볼(80)과 함께 상기 분쇄실(31)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하면서 상호 충돌을 일으켜 미립자로 분쇄됨과 아울러, 상기 로우터(50)의 측벽(51)에 형성된 절결홈(54)과 상기 제 1 및 제 2분쇄핀(34)(52)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호 충돌을 일으켜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분쇄실(31)에 개재된 작은 크기의 원료가 상기 다수개의 볼(80)과 상기 제 1 및 제 2분쇄핀(34)(52)에 충돌되면서 미립자로 분쇄될 경우, 미립자로 분쇄된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로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는 상기 원료배출부(60)에 형성된 필터(62)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62)를 통과하지 못한 원료는 상기 필터(62)를 통과할 때 까지 상기 분쇄실(31)에서 계속적으로 충돌을 일으키면서 미립자로 분쇄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볼(80)은 상기 필터(62)를 통과하지 않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원료배출부(60)의 필터(62)를 통과한 미립자의 원료는 상기 원료배출부(60)의 내부에 개재된 케이싱(90)의 원료배출관(92)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원료배출관(92)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별도의 흡입장치, 예를 들면 흡입팬(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미립자의 원료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것이다. 물론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필터(62)를 통과한 미립자의 원료만을 흡입할 수 있도록 적정한 흡입력을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는 제 2하우징의 분쇄실에 다수개의 볼을 공급한 다음, 작은 크기의 원료를 분쇄실에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우터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원료 및 다수개의 볼이 제 1분쇄핀과 제 2분쇄핀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상호 충돌을 일으켜 분쇄된 미립자의 원료중 원료배출부에 개재된 필터를 통해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만을 통과시켜 배출시킴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크기의 원료를 미립자의 원료로 분쇄하기 위한 분쇄실의 주변에 제 1.제 2 및 제 3수조를 개별적으로 설치한 후, 로우터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분쇄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제 1.제 2 및 제 3수조로 용수가 순환하면서 냉각시켜 원료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 분쇄시키고자 하는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원료공급부로부터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분쇄시키기 위한 분쇄실을 가지며, 그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핀이 형성되고, 내부가 기밀되는 원통형상의 제 2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 1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병행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부에 임의로 설정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하우징의 분쇄실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주연에 상기 각각의 제 1분쇄핀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원료를 회전 원심력으로 충돌시켜 미립자로 분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2분쇄핀을 갖는 로우터; 및
    상기 제 2하우징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주연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분쇄핀들에 부딪히면서 분쇄된 원료중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를 갖는 원료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상기 제 1 및 제 2분쇄핀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원료를 분쇄시키는 다수개의 볼을 공급하기 위한 제 1통로를 갖는 볼공급부; 및
    상기 도어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 2하우징의 분쇄실에 개재된 다수개의 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2통로를 갖는 볼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의 측벽에 상기 다수개의 볼이 이동되면서 상기 원료를 분쇄시키도록 다수개의 절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배출부에 상기 필터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원료배출부의 일단에 제 1걸림턱을 형성하고, 이 원료배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갖는 위치에 제 2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걸림턱에 목적하고자 하는 크기의 원료를 통과시키는 상기 필터의 양단을 각각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와 원료배출부를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상기 필터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전기적신호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부를 갖는 격벽 및 상기 격벽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발생되는 열기를 대기중의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의 외주연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발생되는 상기 분쇄실의열기를 용수로 냉각시키기 위한 제 1수조를 갖는 보조하우징 및 상기 보조하우징의 상.하부에 상기 제 1수조로 용수를 순환시키도록 제 1유입관 및 제 1유출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의 내부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 발생되는 상기 분쇄실의 열기를 용수로 냉각시키기 위한 제 2수조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상기 제 2수조로 용수를 순환시키도록 제 2유입관 및 제 2유출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쇄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배출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고온의 원료를 배출시키도록 원료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원료배출관을 통과하는 고온의 원료를 용수로 냉각시키기 위한 제 3수조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상기 제 3수조로 용수를 순환시키도록 제 3유입관 및 제 3유출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KR1020020013399A 2002-03-13 2002-03-13 분쇄기 KR20030073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399A KR20030073710A (ko) 2002-03-13 2002-03-13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399A KR20030073710A (ko) 2002-03-13 2002-03-13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710A true KR20030073710A (ko) 2003-09-19

Family

ID=3222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399A KR20030073710A (ko) 2002-03-13 2002-03-13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7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49B1 (ko) * 2002-04-04 2006-06-07 진수곤 분쇄기
KR100694863B1 (ko) * 2005-06-27 2007-03-15 김승희 수중형 파쇄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4074A (en) * 1977-04-29 1979-11-13 Gebrueder Buehler Ag Ball mill
US4206879A (en) * 1978-08-10 1980-06-10 Gebrueder Buehler Ag Agitator mill
US4605175A (en) * 1984-09-10 1986-08-12 Webston, Inc. Precision coffee grinder
US4784336A (en) * 1987-03-10 1988-11-15 Lu Tsai Chuan Grinding machine for refining liquid material
JPH09122519A (ja) * 1995-10-31 1997-05-13 Mitsubishi Heavy Ind Ltd 横型湿式ミル
KR19980014312U (ko) * 1998-03-05 1998-06-05 최병석 볼밀교반장치
US5853132A (en) * 1996-03-06 1998-12-29 Fuji Photo Film Co., Ltd. Dispersing machi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4074A (en) * 1977-04-29 1979-11-13 Gebrueder Buehler Ag Ball mill
US4206879A (en) * 1978-08-10 1980-06-10 Gebrueder Buehler Ag Agitator mill
US4605175A (en) * 1984-09-10 1986-08-12 Webston, Inc. Precision coffee grinder
US4784336A (en) * 1987-03-10 1988-11-15 Lu Tsai Chuan Grinding machine for refining liquid material
JPH09122519A (ja) * 1995-10-31 1997-05-13 Mitsubishi Heavy Ind Ltd 横型湿式ミル
US5853132A (en) * 1996-03-06 1998-12-29 Fuji Photo Film Co., Ltd. Dispersing machine
KR19980014312U (ko) * 1998-03-05 1998-06-05 최병석 볼밀교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49B1 (ko) * 2002-04-04 2006-06-07 진수곤 분쇄기
KR100694863B1 (ko) * 2005-06-27 2007-03-15 김승희 수중형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328B1 (ko) 분쇄기
JP2944996B1 (ja) 解砕粉砕整粒装置
KR20100020406A (ko) 고춧가루의 철분제거장치
KR20040016047A (ko) 다축 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쇄장치
KR20030073710A (ko) 분쇄기
KR100586849B1 (ko) 분쇄기
JP6518607B2 (ja) 粉砕装置
KR100223070B1 (ko) 분체, 분쇄, 분급 겸용 건조기
KR100768541B1 (ko) 비누 분쇄기
KR100469759B1 (ko) 분쇄기
JPH0466132A (ja) 粉体機械
KR100545641B1 (ko) 분말 제조장치
US2838247A (en) Fine grain mill
KR20150003375U (ko) 농작물 복합분쇄로터
KR20190081922A (ko)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KR100464246B1 (ko) 미분쇄장치
KR200292631Y1 (ko) 미분쇄장치
KR20030096530A (ko) 미분쇄장치
CN216716839U (zh) 一种恶喹酸制备用成品烘干的搪瓷双锥干燥设备
KR200171148Y1 (ko) 곡물분쇄장치
KR20070014800A (ko) 분말 활성화장치
KR200210056Y1 (ko)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KR200219282Y1 (ko) 곡물 분쇄장치
JPH11300224A (ja) 粉砕機
KR20080086067A (ko) 고추 고속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