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922A -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922A
KR20190081922A KR1020170184787A KR20170184787A KR20190081922A KR 20190081922 A KR20190081922 A KR 20190081922A KR 1020170184787 A KR1020170184787 A KR 1020170184787A KR 20170184787 A KR20170184787 A KR 20170184787A KR 20190081922 A KR20190081922 A KR 20190081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tofu
grinding
bean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식
이강삼
Original Assignee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7018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922A/ko
Publication of KR2019008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과정에서 유분 발생으로 인해 미세 분쇄가 어려운 두부콩을 미세 분말상태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타입의 프레임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프레임에 구동샤프트가 축설되는 로터블럭이 형성되고, 구동샤프트를 고속회전시키도록 벨트풀리로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로터블럭의 전단으로 결합플랜지에 의해 구동샤프트의 전단이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두부콩이 수용되는 밀폐된 분쇄실을 형성하고 전방으로 개폐커버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 및 배출안내구가 형성된 분쇄드럼과, 분쇄실에 설치되어 두부콩을 분쇄하도록 분쇄수단과, 구동부 상부에 설치되어 두부콩을 저장 및 분쇄드럼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수단은 분쇄실 내주면에 파쇄링이 결합되고, 결합플랜지의 전단에 고정파쇄판이 결합되며, 개폐커버의 후단에 커버파쇄판이 결합되고, 구동샤프트의 전단에 고속회전하는 파쇄날개가 결합 구성함으로써, 두부콩을 회전 원심력에 의해 600메쉬의 미세 입자로 신속한 분쇄가 가능하고, 분쇄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유분에 의한 산패가 일어나거나 콩가루가 유분과 혼합됨에 따른 응착으로 분쇄수단의 마모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하면서 건조 분쇄가 가능하여 두부콩의 분쇄성능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Tofu beans, fine grinding equipment}
본 발명은 분쇄과정에서 유분 발생으로 인해 미세 분쇄가 어려운 두부콩을 미세 분말상태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최고의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골밀도 증강, 유방암 발병률 감소, 혈관 보호 효과 등을 제공하기 때문에, 콩을 이용한 건강식품들이 많이 가공생산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건강식품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두부이며, 상기 두부를 가공생산하기 위해서 콩을 분쇄하는 각종 기기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콩을 사용하여 두유나 두부 등을 가공생산하기 위해서 콩을 분쇄해야 하며, 종래의 콩 분쇄기는 맷돌조립체를 금속제로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중량이 매우 무겁고 제조비용이 많이들뿐만 아니라 사용과정에서 금속표면이 부식되어 녹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매우 비위생적이며, 맺돌조립체에 의한 두부콩을 분쇄하는 경우 미세한 분말상태로 만드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두부콩 분쇄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두부콩은 마른콩을 분쇄하더라도 분쇄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油分)으로 인해 건조분쇄가 어려웠다. 이러한 유분발생을 방지토록 분쇄실의 온도유지를 위해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액화질소가 사용되는데, 이로 인한 표면의 경화로 분쇄기의 칼날의 마모 및 분쇄기의 내구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732792호(선행문헌1)에 의하면, 고정분쇄석과 회전분쇄석이 상호 작용함으로 콩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각의 분쇄석에 텐션기능을 부여하는 텐션수단을 연결설치함으로써, 각각의 분쇄석이 일정한 힘으로 콩을 가압하여 분쇄함으로써,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게 콩을 골고루 분쇄하는 두부콩분쇄기를 공지한 바 있으나, 선행문헌1의 기술 또한 두부콩을 미세입자의 분말상태로 분쇄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또 마른콩을 분쇄하면서 발생되는 유분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 건조분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B1) 10-1732792 (2017. 05. 08.)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두부콩을 회전 원심력에 의해 600메쉬의 미세 입자로 신속한 분쇄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액화질소의 사용없이 분쇄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유분에 의한 산패가 일어나거나 콩가루가 유분과 혼합됨에 따른 응착으로 분쇄수단의 마모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하면서 건조 분쇄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두부콩의 분쇄성능이 극대화된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케이스 타입의 프레임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프레임에 구동사프트가 축설되는 로터블럭이 형성되고, 구동샤프트를 고속회전시키도록 벨트풀리로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로터블럭의 전단으로 결합플랜지에 의해 구동샤프트의 전단이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두부콩이 수용되는 밀폐된 분쇄실을 형성하고 전방으로 개폐커버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 및 배출안내구가 형성된 분쇄드럼과, 분쇄실에 설치되어 두부콩을 분쇄하도록 분쇄수단과, 구동부 상부에 설치되어 두부콩을 저장 및 분쇄드럼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수단은 분쇄실 내주면에 파쇄링이 결합되고, 결합플랜지의 전단에 고정파쇄판이 결합되며, 개폐커버의 후단에 커버파쇄판이 결합되고, 구동샤프트의 전단에 고속회전하는 파쇄날개가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쇄드럼은 분쇄실을 냉각하여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두부콩의 분쇄과정에서 열로 인한 유분발생을 방지토록 하기 위해 분쇄실의 내주면과 분쇄드럼 외주면 사이로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가 순환하는 냉각순환홀이 형성되고, 냉각순환홀을 연통하는 인입구 및 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분쇄드럼으로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쇄수단의 파쇄링은 톱니가 원통형상을 따라 배열된 세레이션 타입으로 구성되고, 고정파쇄판 및 커버파쇄판은 톱니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세레이션 타입으로 구성되며, 상기 파쇄날개는 다수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상되고, 날개의 단부에 파쇄날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쇄링의 하부에 분쇄된 두부콩이 배출구로 배출시 분쇄 기준에 부합한 입자로 배출을 제한하도록 미세통공이 형성된 거름망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수단은 로터블럭의 상부측에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저장조가 형성되고, 개폐커버의 외측에 투입공과 연통되는 인입호퍼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조로부터 인입호퍼로 두부콩을 안내 투입하도록 저장조 하부측과 인입호퍼 상부측 사이로 가이드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에 의하면, 분쇄드럼 내측으로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분쇄실의 적정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분쇄함에 따라 두부콩의 유분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분쇄날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고속 회전에 의한 분쇄작용으로 보다 미세한 입자로 건조 분쇄가 신속히 이루어져 분쇄성능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 파쇄날개의 고속회전과 분쇄실을 톱니형상의 세레이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600메쉬 입자의 미세분쇄가 가능하고, 분쇄 기준에 부합한 입자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쇄물의 균일한 제공으로 후속 제조공정에서 두부 제품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의 구성중 구동부와 분쇄드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쇄드럼을 일부 절취하여 분쇄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절취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쇄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절취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의 구성중 분쇄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의 구성중 구동부와 분쇄드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분쇄드럼을 일부 절취하여 분쇄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절취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전방에 설치되며 두부콩을 수용하는 밀폐된 분쇄실(31)을 형성하는 분쇄드럼(30)과, 상기 분쇄실(31)의 두부콩을 분쇄하도록 형성되는 분쇄수단(40)과, 상기 구동부(20) 상부에 설치되어 두부콩을 저장 및 분쇄드럼(3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50)과, 상기 분쇄드럼(30)으로 냉각매체를 순환시키도록 하여 분쇄실(31)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두부콩의 유분발생을 방지토록 하여 건조분쇄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냉각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베이스플레이트(11) 저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캐스터(12)가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에 적재공간이 층층으로 형성된 케이스 타입의 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0)는 프레임(12) 상단에 로터블럭(21)이 설치되고, 상기 로터블럭(21)의 상부측 전후방향으로 구동샤프트(22)가 축설되며,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측 적재공간으로 구동모터(23)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샤프트(22)의 후단과 구동모터(23)는 벨트풀리(24)로 연결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3)는 고속 회전이 가능하도록 인버터모터로 구비되며, 두부콩을 분쇄시 고속회전에 의한 미세 분쇄가 용이하도록 10000~14000rpm의 회전속도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분쇄드럼(30)은 원통 형상으로 분쇄실(31)이 형성되고, 후방에 결합플랜지(32)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플랜지(32)의 중앙에 구동샤프트(22)의 전단부가 관통되도록 로터블럭(21)에 고정 설치되며, 전방은 일측방향으로 개폐하도록 일측이 힌지구(33a)로 체결되고 타측으로 록킹수단(33b)이 구비된 개폐커버(33)가 형성되며, 하부측에 분쇄된 두부콩을 배출하도록 내외를 관통하는 배출구(3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쇄드럼(30)의 하부 외부측에서 배출구(34)와 연통하는 배출안내구(35)가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분쇄된 두부콩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드럼(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실(31)을 냉각하여 일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분쇄실(31)의 내주면과 분쇄드럼(30) 외주면 사이로 냉각매체가 순환하는 냉각순환홀(36)이 형성되고 외주면과 냉각순환홀(36)을 연통하는 인입구(37) 및 인출구(38)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37) 및 인출구(38)로 외부에 별도 구비되는 냉각수단(60)과 연결하여 냉각매체를 순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커버(33)는 중앙에 관통하는 투입공(33c)이 형성되어 공급수단(40)에 의한 두부콩을 분쇄실(31)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분쇄수단(40)은 분쇄실(31) 내주면으로 톱니가 원통형상을 따라 배열된 세레이션 타입의 파쇄링(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랜지(32)의 전단에 톱니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세레이션 타입의 고정파쇄판(42)이 형성되며, 개폐커버(33)의 후단에 톱니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세레이션 타입의 커버파쇄판(4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랜지(32)를 관통하는 구동샤프트(22)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파쇄날개(44)로 구성된다.
상기 파쇄날개(44)는 다수의 날개(44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날개(44a)의 단부에 파쇄날(44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파쇄판(43)의 중앙에는 분쇄실(31)에 두부콩이 삽입되기 위한 개폐커버(33)의 투입공(33c)과 연통하기 위한 관통공(4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쇄수단(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날개(44)의 고속 회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두부콩을 회전 분쇄함과 동시에 두부콩이 분쇄실(31)의 파쇄링(41)과 전후단으로 형성된 커버파쇄판(43) 및 고정파쇄판(42)으로 형성된 세레이션으로 강하게 충돌하여 파쇄되면서 미세입자로 분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수단(40)의 파쇄링(41)의 하부측은 분쇄된 두부콩이 배출구(34)로 배출시 분쇄 기준에 부합한 입자로 배출을 제한하도록 미세통공(45a)이 형성된 거름망(45)이 설치된다.
상기 거름망(45)의 미세통공은 600메쉬의 분쇄입자만을 통과시키도록 그에 부합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급수단(50)은 로터블럭(21)의 상부측에 지지대(51)에 의해 지지되는 저장조(52)가 형성되고, 개폐커버(33)의 외측에 투입공(33c)과 연통되는 인입호퍼(53)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조(52)로부터 인입호퍼(53)로 두부콩을 안내 투입하도록 저장조(52) 하부측과 인입호퍼(53) 상부측 사이로 가이드구(54)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단(60)은 분쇄드럼(30)의 냉각순환홀(36)에 냉각매체를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분쇄드럼(30)의 인입구(37) 및 인출구(38)와 연결하여 냉각매체를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수단(60)에 의한 냉각매체는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를 분쇄드럼(30)의 냉각순환홀(36)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면서 분쇄실(31)의 온도를 40℃이하로 유지하도록 하여 두부콩의 분쇄과정에서 유분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냉각수단(6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기술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는 조작 및 제어를 위한 조작부(70)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부(70)는 전원 온/오프와 구동모터(2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원을 인가하여 분쇄드럼(30)의 분쇄실(31)에 설치된 분쇄수단(40)을 회전 구동하도록 한 상태에서 공급수단(50)을 통해 두부콩을 분쇄실(31)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공급수단(50)은 저장조(52)에 두부콩을 채우면, 저장조(52) 하부측으로 두부콩이 배출되어 가이드구(54)를 통해 분쇄드럼(30)의 전단부 개폐커버(33)에 설치된 인입호퍼(53)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인입호퍼(53)를 통해 분쇄드럼(30)의 분쇄실(31)로 두부콩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분쇄수단(40)은 구동모터(23)에 의해 구동샤프트(22) 및 구동샤프트(22)의 전단에 축설된 파쇄날개(44)가 10000~14000rpm으로 고속 회전하게 된다.
상기 두부콩이 분쇄실(31)로 투입되게 되면, 고속 회전하는 파쇄날개(44)의 파쇄날(44b)에 의해 파쇄됨과 동시에 분쇄실(31)의 내주면 및 전후측으로 형성된 파쇄링(41)과 고정파쇄판(42) 및 커버파쇄판(43)으로 두부콩이 강하게 충돌하여 마찰되면서 분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쇄작용은 파쇄날(44b)과 파쇄링(41) 및 고정파쇄판(42), 커버파쇄판(43)의 이격된 간격이 두부콩의 크기 정도로 이격된 구조이고 파쇄링(41) 및 고정파쇄판(42), 커버파쇄판(43)의 구조가 톱니형상 세레이션 타입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따라 파쇄날개(44)의 고속회전하는 원심력으로 강하게 충돌시에 두부콩이 부서지는 작용과 동시에 파쇄날(44b)과 파쇄링(41) 및 고정파쇄판(42), 커버파쇄판(43) 사이로 두부콩이 마찰되면서 550~600메쉬의 미세한 입자상태로 고르게 분쇄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분쇄드럼(30)의 냉각순환홀(36)에 냉각수단(60)에 의한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를 공급 및 순환시키게 되어 분쇄실(31)의 온도를 40℃이하로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파쇄날개(44)의 고속회전에 의한 두부콩의 분쇄시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그에 따른 두부콩의 분쇄과정에서 열에 의한 유분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어 건조분쇄작용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600메쉬의 미세한 입자상태로 분쇄된 두부콩은 파쇄링(41)의 하부측에 설치된 거름망(45)을 통과하여 배출구(34) 및 배출안내구(3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거름망(45)은 600메쉬의 입자만 제한 통과시키는 미세통공(45a)이 형성되어 있어 통과 기준이 미달된 두부콩은 기준이 부합한 입자상태가 되기까지 연속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는 분쇄드럼(30) 내측으로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분쇄실(31)의 적정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분쇄함에 따라 두부콩의 유분발생을 방지하게 되고, 그에 따른 분쇄수단(40)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보다 미세한 입자로 건조 분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 파쇄날개(44)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분쇄실(31)을 톱니형상의 세레이션 구조로 구성에 의해 미세분쇄가 신속히 이루어지고 배출 기준에 부합하도록 분쇄한 두부콩만 배출하는 구성으로 인해 균일한 분쇄물만 제공수 있어 후속공정에서 제품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베이스부 11:베이스플레이트 12:캐스터 13:프레임
20:구동부 21:로터블럭 22:구동샤프트 23:구동모터
25:벨트풀리
30:분쇄드럼 31:분쇄실 32:결합플랜지 33:개폐커버
33a:힌지구 33b:록킹수단 33c:투입공
34:배출구 35:배출안내구 36:냉각순환홀 37:인입구
38:인출구
40:분쇄수단 41:파쇄링 42:고정파쇄판 43:커버파쇄판
43a:관통공 44:파쇄날개 44a:날개 44b:파쇄날
45:거름망 45a:미세통공
50:공급수단 51:지지대 52:저장조 53:인입호퍼
54:가이드구
60:냉각수단 70:조작부

Claims (5)

  1. 케이스 타입의 프레임(13)이 형성된 베이스부(10)와,
    프레임(12)에 구동샤프트(22)가 축설되는 로터블럭(21)이 형성되고, 구동샤프트(22)를 고속회전시키도록 벨트풀리(24)로 연결되는 구동모터(23)로 이루어진 구동부(20)와,
    로터블럭(21)의 전단으로 결합플랜지(32)에 의해 구동샤프트(22)의 전단이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두부콩이 수용되는 밀폐된 분쇄실(31)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폐커버(33)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34) 및 배출안내구(35)가 형성된 분쇄드럼(30)과,
    분쇄실(31)에 두부콩을 분쇄하도록 형성되는 분쇄수단(40)과,
    구동부(20) 상부에 설치되어 두부콩을 저장 및 분쇄드럼(3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수단(40)은 분쇄실(31) 내주면에 파쇄링(41)이 결합되고, 결합플랜지(32)의 전단에 고정파쇄판(42)이 결합되며, 개폐커버(33)의 후단에 커버파쇄판(43)이 결합되고, 구동샤프트(22)의 전단에 고속회전하는 파쇄날개(44)가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쇄드럼(30)은 분쇄실(31)을 냉각하여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두부콩의 분쇄과정에서 열로 인한 유분발생을 방지토록 하기 위해 분쇄실(31)의 내주면과 분쇄드럼(30) 외주면 사이로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가 순환하는 냉각순환홀(36)이 형성되고, 냉각순환홀(36)을 연통하는 인입구(37) 및 인출구(38)가 형성되며,
    상기 분쇄드럼(30)으로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수단(6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쇄수단(40)의 파쇄링(41)은 톱니가 원통형상을 따라 배열된 세레이션 타입으로 구성되고, 고정파쇄판(42) 및 커버파쇄판(43)은 톱니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세레이션 타입으로 구성되며,
    상기 파쇄날개(44)는 다수의 날개(44a)가 방사상으로 형상되고, 날개(44a)의 단부에 파쇄날(44b)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파쇄링(41)의 하부에 분쇄된 두부콩이 배출구(34)로 배출시 분쇄 기준에 부합한 입자로 배출을 제한하도록 미세통공(45a)이 형성된 거름망(45)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수단(50)은 로터블럭(21)의 상부측에 지지대(51)에 의해 지지되는 저장조(52)가 형성되고,
    개폐커버(33)의 외측에 투입공(33c)과 연통되는 인입호퍼(53)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조(52)로부터 인입호퍼(53)로 두부콩을 안내 투입하도록 저장조(52) 하부측과 인입호퍼(53) 상부측 사이로 가이드구(54)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KR1020170184787A 2017-12-29 2017-12-29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KR20190081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87A KR20190081922A (ko) 2017-12-29 2017-12-29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87A KR20190081922A (ko) 2017-12-29 2017-12-29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922A true KR20190081922A (ko) 2019-07-09

Family

ID=6726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787A KR20190081922A (ko) 2017-12-29 2017-12-29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9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0960A (zh) * 2021-10-22 2022-08-09 武冈市林峰豆制品设备有限公司 一种豆制品煮桨加工用滤渣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792B1 (ko) 2015-05-11 2017-05-08 마자레도벨렌마나익 두부콩분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792B1 (ko) 2015-05-11 2017-05-08 마자레도벨렌마나익 두부콩분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0960A (zh) * 2021-10-22 2022-08-09 武冈市林峰豆制品设备有限公司 一种豆制品煮桨加工用滤渣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116B2 (en) Circulation type media agitator mill
KR101743381B1 (ko) 매체교반형 분쇄기
KR20190081922A (ko)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KR101164513B1 (ko) 식품 건조 및 분쇄장치
KR0168131B1 (ko) 분쇄기
KR101085543B1 (ko) 폐회로 분쇄 분급장치
KR102308958B1 (ko) 분쇄교반압축및건조음식물처리장치
JP3400087B2 (ja) 微粉末粉砕用攪拌ミル
KR101914139B1 (ko) 균질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균질화 설비
KR101619359B1 (ko) 다목적 분쇄장치
KR20190081924A (ko)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JP2003047867A (ja) 製粉機
CN209123989U (zh) 一种药材用胶磨机
JP4241908B2 (ja) 固形物の粉砕設備
US8893996B1 (en) Mill
CN207446366U (zh) 一种用于豆浆制造的研磨装置
JP3802951B2 (ja) 粉砕機
KR200448700Y1 (ko) 곡물 분쇄기
KR101644308B1 (ko) 분쇄장치
JP3246973B2 (ja) 攪拌ミルを有する粉砕装置
JPS6136460B2 (ko)
KR20030079411A (ko) 분쇄기
KR1023089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분쇄링과 그에 결부된 분쇄판
KR20080086067A (ko) 고추 고속분쇄기
JP5970514B2 (ja) 乾式粉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