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067A - 고추 고속분쇄기 - Google Patents

고추 고속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067A
KR20080086067A KR1020070027706A KR20070027706A KR20080086067A KR 20080086067 A KR20080086067 A KR 20080086067A KR 1020070027706 A KR1020070027706 A KR 1020070027706A KR 20070027706 A KR20070027706 A KR 20070027706A KR 20080086067 A KR20080086067 A KR 20080086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per
grinding
red pepper
powder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배 filed Critical 박영배
Priority to KR102007002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6067A/ko
Publication of KR2008008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를 분쇄하는 고추 고속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추를 삽입하는 호퍼와, 호퍼에 투입된 고추를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는 고추 이송부와, 고추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고추를 분쇄하는 고추 분쇄수단과, 고추 분쇄수단에서 분쇄된 고추가루를 수납 및 배출하는 배출부와, 고추 이송부 및 고추 분쇄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원부를 포함하는 고추 고속분쇄기에 있어서, 고추를 수용하는 공간이며 원형형태인 하우징과; 하우징에 삽입되어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우징에 수용된 고추를 분쇄하는 분쇄날부를 포함하는 고추 분쇄수단과; 분쇄날부와 접촉하여 고추가루가 마찰면에 의해 조밀하게 분쇄되어 배출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추가루 배출구멍이 형성된 고추가루 배출링과; 고추가루 배출링으로부터 배출된 고추가루를 다수개의 형성된 회전날개에 의해 고추가루의 뭉침을 해제하는 동시에 고추가루를 배출부로 이송하는 임펠러와; 가루 토출부를 덮는 하우징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추 고속분쇄기{HIGH-SPEED CRUSHER FOR RED PEPP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의 호퍼 및 고추 이송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의 고추 분쇄수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추 분쇄수단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날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호퍼(Hopper) 5 : 베이스(Base)
10 : 고추 투입구 15 : 고추 이송부
20 : 스크류 회전축 25 : 스크류 날
30 : 스크류 구동모터 35 : 주 구동모터
40 : 제 1구동 벨트 45 : 제 2구동 벨트
50 : 모터 풀리 55 : 제 1풀리
60 : 제 2풀리 65 : 제 3풀리
70 : 하우징(Housing) 75 : 하우징 덮개부
80 : 하우징 후면부 90 : 유입부
92 : 분쇄부 94 : 배출부
95 : 제 1분쇄날 100 : 제 2분쇄날
105 : 가루 토출부 110 : 가루 토출구
115 : 분쇄날부 116 : 회전샤프트
120 : 분리벽 125 : 제 1분리벽
130 : 제 2분리벽 135 : 제 3분리벽
140 : 분쇄 블레이드(Blade) 145 : 제 1분쇄 블레이드
150 : 제 2분쇄 블레이드 155 : 제 3분쇄 블레이드
157 : 분쇄날홈 160 : 돌출날부
165 : 홈 170 : 고추가루 배출링
175 : 고추가루 배출구멍 180 : 임펠러(Impellor)
185 : 회전날개 190 : 배출홈
195 : 교반날개 197 : 주 교반날개
199 : 보조 교반날개 200 : 튜브(Tube)
205 : 수집통 210 : 가루 유입구
215 : 고추가루 배출구 220 : 수집통 배출구
225 : 동력원부 230 : 조절판
본 발명은 고추를 분쇄하여 고추가루를 만드는 고추 고속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를 일정한 양을 투입하여 1차적으로 분쇄를 한 뒤, 분쇄된 고추가루의 입자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2차 분쇄공정을 거치는 고추 고속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분쇄기는, 고추 및 초벌된 고추가루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고추를 일정량을 공급 이송하는 고추 이송부와, 상기 고추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고추를 마찰력에 의해 분쇄하는 고추 분쇄수단과, 상기 고추 분쇄수단 및 고추 이송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인 동력원부와, 상기 고추 분쇄수단에 분쇄된 고추가루를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구조의 고추 분쇄기를 사용하여 고추를 분쇄함에 있어서, 소규모로 고추를 분쇄하는 곳일 경우에는, 양질의 고추가루를 얻기 위해 1차적으로 고추피와 고추씨를 분리하여 고추씨만 고추 분쇄기에 2~3번 정도 분쇄하여 가루를 만들어 놓은 뒤, 분쇄된 고추씨를 분쇄한 고추피와 섞어 다시 고추 분쇄기에 2차적으로 분쇄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고추씨를 잘게 분쇄하지 않으면 고추씨와 고추피를 서로 배합하였을 때, 고 추피의 물이 고추씨에 잘 들지 않아 색상이 좋지않게 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고추씨와 고추피를 분리하여 고추씨만 조밀하게 분쇄한 뒤, 이를 고추피와 배합하여 다시 분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하나 또는 소수개의 고추 분쇄기로 분쇄작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동력의 낭비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대규모로 고추를 분쇄하는 곳에서는 씨분리기와 혼합 분쇄기등을 합쳐 총 8세트 내지 12세트 정도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하나의 분쇄롤러를 조밀하게 조인 상태에서 고추피를 분쇄하게 되면 고추피의 입자가 너무 부드럽게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연속설비를 사용하여 분쇄작업을 하게되면 분쇄롤러를 조금 느슨하게 조여 여러 대로 분쇄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고추피의 입자를 적당한 크기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추씨에 붉은 물이 잘 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설치공간이 커지게 되어 비경제적이고, 전기소모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고추 분쇄기들은, 분쇄롤러를 통과하면서 압착분쇄된 고추가루가 단순히 자중 또는 이송수단에 의해 외부로 그대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고추가루가 서로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고추가루의 뭉침 현상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이 고추가루의 뭉침 부분을 풀어줘야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로 고추씨를 분쇄해야하는 불편함이 없이 한번의 공정으로 균일한 입자의 고추가루를 얻을 수 있는 고추 고속분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동력소비도 최소화하며, 고추 분쇄시 고추피의 물이 고추씨에 잘 들 수 있도록 양질의 고추 가루를 생산할 수 있는 고추 고속분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추를 삽입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고추를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는 고추 이송부와, 상기 고추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고추를 분쇄하는 고추 분쇄수단과, 상기 고추 분쇄수단에서 분쇄된 고추가루를 수납 및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고추 이송부 및 고추 분쇄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원부를 포함하는 고추 고속분쇄기에 있어서, 고추를 수용하는 공간이며 원형형태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고추를 분쇄하는 분쇄날부를 포함하는 고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날부와 접촉하여 고추가루가 마찰면에 의해 조밀하게 분쇄되어 배출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추가루 배출구멍이 형성된 고추가루 배출링과; 상기 고추가루 배출링으로부터 배출된 고추가루를 다수개의 형성된 회전날개에 의해 고추가루의 뭉침을 해제하는 동시에, 고추가루를 배출부로 이송하는 임펠러와; 상기 가루 토출부를 덮는 하우징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추 이송부로부터 고추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유입된 고추를 수용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날이 형성된 분쇄부와, 고추가루가 배출부로 이송되는 가루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쇄날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분쇄부에 유입된 고추를 순차적으로 분쇄하여 수용하도록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분리벽들과, 각각의 분리벽들의 사이에 형성되며 고추를 분쇄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쇄 블레이드와, 가루 토출부 측에 형성되며 분쇄된 고추가루를 균일하게 풀어주기 위한 돌출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날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추가 상기 분쇄부에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벽은, 제 1분리벽과, 상기 제 1분리벽보다 외경이 큰 제 2분리벽과, 상기 제 2분리벽보다 외경이 큰 제 3분리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 블레이드는, 제 1분쇄 블레이드와 제 2분쇄 블레이드 및 제 3분쇄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분쇄 블레이드와 제 2분쇄 블레이드, 제 3분쇄 블레이드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배열위치가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날부들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들의 중앙에 임펠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덮개부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제 2분쇄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는, 고추를 삽입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1)의 하부에 형성되어 투입된 고추를 일정한 양에 맞게 공급 이송하는 고추 이송부(15)를 구비한다.
상기 호퍼(1)와 고추 이송부(15)는, 하단을 지지하는 베이스(5)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고추 이송부(15)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회전축(20)에 다수개의 스크류 날(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 회전축(20)의 일측에는 제 2풀리(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스크류 구동모터(30)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 3풀리(65)와 벨트 체결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구동모터(30)가 작동함으로써 스크류 회전축(2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데, 스크류 회전축(20)에 형성된 스크류 날(25)은 상기 호퍼(1)의 고추 투입구(10)에 투입된 일정량의 고추를 후술하는 유입부(90)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스크류 구동모터(30)는 감속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추 고속분쇄기는 고추 이송부(15)로부터 이송된 고추를 분쇄하는 고추 분쇄수단를 구비한다. 상기 고추 분쇄수단는, 주몸체를 이루는 하우징(70)과, 상기 하우징(70)과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분쇄날부(115)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70)은, 상기 베이스(5)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고, 고추 이송부(15)와 연결되어 고추가 분쇄되기 전에 위치하는 공간인 유입부(90)와, 유입된 고추를 분쇄하는 공간인 분쇄부(92)와, 분쇄된 고추가루를 배출부(94)로 이송되는 부분인 가루 토출부(10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부(90)는, 상기 고추 이송부(15)로부터 이송된 고추가 분쇄되기 전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고추 분쇄시 분쇄부(92)측으로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쇄부(92)는, 고추가 1차적으로 분쇄되는 공간으로 그 내주면에는 고추가 분쇄되는 진행방향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날(9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분쇄날(95)은,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길이로 분쇄부(92)의 내주면을 둘러싼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제 1분쇄날(95)은, 상기 분쇄날부(115)와 제 1분쇄날(95)사이에 고추가 삽입될 때, 분쇄날부(115)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고추가 분쇄되도록 한다.
상기 가루 토출부(105)는, 분쇄된 고추가루를 2차적으로 분쇄하고 풀어준 뒤 뭉침 현상을 배출부(94)로 배출하는 공간으로서, 후술할 고추가루 배출링(170)과, 임펠러(18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루 토출부(105)의 개방된 부분에는 하우징 덮개부(75)가 결합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덮개부(75)는, 개폐된 하우징(70)을 밀폐하며, 고추 고속분쇄기의 내부를 정비하거나 기타 작업을 하고자 할 때, 상기 하우징 덮개부(75)를 열고 작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덮개부(75)의 일측에는 고추가루를 배출하는 가루 토출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쇄날부(115)는, 회전축인 회전샤프트(11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샤프트(116)의 중앙부분이 일정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분쇄부(92)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분쇄날부(115)에 형성된 회전샤프트(116)의 일측에는 제 1풀리(55)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하우징(70) 하단에 설치된 주 구동모터(35)에 결합된 모터 풀리(50)와 제 1구동 벨트(40)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 구동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제 1구동 벨트(40)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분쇄날부(115)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쇄날부(115)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유입부(90)측에 다수개의 교반날개(19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샤프트(116)의 중앙측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외경이 다른 분리벽(120)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분리벽(120)들 사이로 다수개의 분쇄 블레이드(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70)에 결합된 분쇄날부(115)의 가루 토출부(105)측에는, 방사형태로 돌출날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195)는, 상기 분리벽(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샤프트(116)의 중심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195)는 분리벽(120)에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크기가 큰 주 교반날개(195)가 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 교반날개(195)의 사이로 보조 교반날개(19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교반날개(195)는, 유입부(90)측에 유입되어 하우징(70)의 분쇄부(92)와 분쇄날부(115)의 사이에 균일하게 삽입된 고추를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우징(70)의 분쇄부(92)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샤프트(116)의 중앙 부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벽(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벽(120)이 제 1분리벽(120)과, 제 2분리벽(120), 제 3분리벽(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리벽(120)은, 가루 토출부(105)와 가까이 위치한 것일수록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분쇄부(92)의 내주면과 상기 분리벽(120) 사이의 거리가 좁혀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분리벽(120)보다 제 2분리벽(120)의 외경이 크고, 제 2분리벽(120)보다 제 3분리벽(120)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분리벽(120) 사이에는 다수개의 분쇄 블레이드(1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분쇄 블레이드(140)는, 제 1분쇄 블레이드(140)와 제 2분쇄 블레이드(140), 제 3분쇄 블레이드(14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분쇄 블레이드(14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벽(120)과 마찬가지로 가루 토출부(105)로 갈수록 분쇄부(92)의 내주면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140)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가루 토출부(105)쪽으로 갈수록 상기 분쇄부(92)의 내주면과 상기 분쇄날부(115)와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어, 고추가 분쇄부(9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분쇄부(92)와 회전하는 분리벽(120)과 분쇄 블레이드(140) 사이에 삽입되면 미세하게 분쇄된다.
또한, 고추가 균일한 입자로 분쇄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분쇄 블레이드(140)와 제 2분쇄 블레이드(140) 및 제 3분쇄 블레이드(140)의 배열은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벽(120)과 상기 분쇄 블레이드(140)는 회전샤프트(116)에 일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해 형성된 분쇄날홈(157)에 고추가 수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루 토출부(105)측으로 분쇄날부(115)의 일측에는 방사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날부(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날부(16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65)은 상기 돌출날부(16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고추가루 배출링(170)과 접촉함으로써 고추피의 물이 잘 나오게 하여 고추씨에 물이 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홈(165)이 형성된 상기 돌출날부(160)는, 후술할 고추가루 배출링(170)과 접촉되어 있어, 상기 분쇄날부(115)가 회전하게 되면 고추가루 배출링(170)과 돌출날부(160)의 마찰에 의해 뭉쳐진 고추 가루를 더욱 미세하게 갈아줌으로써, 고추피의 물이 고추씨에 잘들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곱게 갈아진 고추 가루는 상기 고추가루 배출링(170)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의 가루 토출부(105)측에는 고추가루 배출링(170)과 임펠러(18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를 하우징 덮개부(75)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고추가루 배출링(170)은, 상기 돌출날부(160)와 접촉되는 부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추가루 배출구멍(1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추가루 배출구멍(175)을 통해 돌출날부(160)에 의해 1차적으로 갈아진 고추가루가 임펠러(180)측으로 배출된다. 고추가루 배출링(170)의 외주면과 인접한 부분은 상기 하우징 덮개부(75)와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 임펠러(180)는, 중앙으로 경사진 형태의 다수개의 회전날개(18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날개(185)의 일측에는 배출홈(19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180)는 상기 고추가루 배출링(170)과 가까이 인접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고추가루 배출구멍(175)을 통해 배출된 고추 가루를 2차적으로 고추피의 물이 고추씨에 잘 들도록 한다.
상기 배출홈(190)은, 상기 회전날개(18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추가루 배출링(170)과 제 2분쇄부(92)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180)에 형성된 배출홈(190)은, 상기 제 2분쇄부(92)와 상기 임펠러(180) 사이에 삽입된 고추 가루를 비벼주어 2차적으로 고추씨에 물이 잘들게 하는 동시에, 배출부(94)측으로 고추가루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고추 가루는 상기 회전날개(185)의 배출홈(190)을 통해 상기 배출부(94)측으로 배 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추 고속분쇄기는 고추 이송부(15) 및 고추 분쇄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원부(225)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원부(225)는, 고추 이송부(15)의 동력을 전달하는 스크류 구동모터(30)와, 고추 분쇄수단의 동력을 전달하는 주 구동모터(3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구동모터(30)와 주 구동모터(35)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작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추 고속분쇄기는 분쇄된 고추가루를 수납 및 배출하는 배출부(94)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부(94)는, 임펠러(180)에 의해 가루 토출구(110)로 배출되는 고추가루를 수용하는 곳으로, 튜브(200)를 통해 가루 유입구(210)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부(94)는 하우징(7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절두원추형태의 수집통(205)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통(205)은, 상측에는 바람이 빠져나가는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고추가루가 배출되는 수집통 배출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집통 배출구(220)에는 고추가루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개폐할 수 있도록 끼움구(미도시)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고속분쇄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의 고추 투입구(10)측으로 고추가 투입된다. 이때, 상기 고추 투입구(10)에 투입된 고추는 회전하는 스크류 회전축(20)에 의해 일정한 양으로 이송되고, 상기 스크류 회전축(20)에 형성된 스크류 날(25)에 의해 단계적으로 일정량의 고추가 이송된다.
다음, 이송된 고추는 하우징(70)의 유입부(90)로 유입되고, 분쇄날부(115)에 형성된 교반날개(195)에 의해 하우징(70)의 분쇄부(92)와 분쇄날부(115)사이로 균일하게 삽입된다. 이때, 고추 가루는 가루 토출부(105)측에 설치된 임펠러(180)의 회전에 의해 빨려들어 간다.
또한, 제 1분쇄날(95)과 분쇄 블레이드(140) 사이에 삽입된 고추는, 회전샤프트(116)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분쇄날부(115)에 의해 마찰력이 가해져 제 1분리벽에서 제 3분리벽까지 순차적으로 미세분쇄된다.
이때, 고추는 회전하는 분쇄날부(115)의 분리벽(120)과 분쇄 블레이드(140)사이에 형성된 분쇄날홈(157)에 수용이 되며, 고추의 자중과 분쇄날부(115)의 회전에 의해 수용된 고추가 떨어지면서 순차적으로 균일하게 분쇄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180)의 회전으로 생기는 흡입력에 의해 가루 토출부(105)측으로 고추가 빨려들어가며, 상기 가루 토출부(105)측으로 갈수록 제 1분쇄날(95)과 상기 분쇄날부(115)의 간격이 좁아져 이들 사이에 끼인 고추가 미세분쇄된다.
한편, 분쇄된 고추 가루는 고추가루 배출링(170)에 형성된 고추가루 배출구멍(175)으로 배출 되며, 회전하는 분쇄날부(115)에 형성된 돌출날부(160)에 의해 고추가루 배출구멍(175)과 돌출날부(160) 사이에 수용되어 뭉쳐져 있는 고추 가루를 비벼주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날부(160)에 형성된 홈(165)들이 마찰에 의해 고추피의 물을 나오게 하여 고추씨에 물이 붉게 물들게 하도록 한다. 이는, 1차적으로 뭉쳐진 고추 가루를 풀어주는 동시에 고추씨의 물이 들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상기 고추가루 배출구멍(175)을 통해 배출된 고추가루는, 2차적으로 상기 고추가루 배출구멍(175)와 가깝게 인접하여 회전하는 임펠러(180)에 의해 고추물이 잘 들도록 비벼주게 되며, 상기 임펠러(180)를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 덮개부(75)의 제 2분쇄날(100)로 인하여 균일한 입자로 다져주는 동시에 고추씨의 물이 잘들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 임펠러(180)의 배출홈(190)을 통해 하우징 덮개부(75)에 형성된 가루 토출구(110)로 배출된다.
이때, 임펠러(180)의 고속 회전운동에 의해 가루 토출구(110)로 배출되는 고추 가루는, 튜브(200)로 이송되고, 이어서 수집통(205)에 형성된 가루 유입구(210)로 수집된다.
여기서 임펠러(180)의 회전에 의한 바람은 상단에 형성된 구멍(도시생략)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고추가루는 하단에 낙하하게 되며, 상황에 따라 하단에 설치된 조절판(230)을 개폐하여 고추가루를 배출 및 차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추 고속분쇄기는, 별도로 고추씨를 분리하여 분쇄한 뒤 다시 혼합하여 분쇄하는 이중 공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제 1분쇄날과 분쇄날부의 고속회전에 의한 마찰력으로 고추를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미세분쇄된 고추 가루를 1차적으로 돌출날부와 고추가루 배출링의 마찰에 의해 분쇄하는 동시에 고추피의 물이 고추씨에 잘 들게 함으로써, 붉은 빛깔의 고추가루가 생성되도록 하고, 다시 2차적으로 임펠러와 하우징 덮개부에 의해 다시 균일한 미세입자로 분쇄시켜 주기 때문에, 고추 가루의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동력소비도 최소화되며 높은 양질의 고추 가루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고추를 삽입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1)에 투입된 고추를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는 고추 이송부(15)와, 상기 고추 이송부(15)로부터 이송된 고추를 분쇄하는 고추 분쇄수단과, 상기 고추 분쇄수단에서 분쇄된 고추가루를 수납 및 배출하는 배출부(94)와, 상기 고추 이송부(15) 및 고추 분쇄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원부(225)를 포함하는 고추 고속분쇄기에 있어서,
    고추를 수용하는 공간이며 원형형태인 하우징(70)과, 상기 하우징(70)에 삽입되어 회전샤프트(116)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70)에 수용된 고추를 분쇄하는 분쇄날부(115)를 포함하는 고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날부(115)와 접촉하여 고추가루가 마찰면에 의해 조밀하게 분쇄되어 배출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추가루 배출구멍(175)이 형성된 고추가루 배출링(170)과;
    상기 고추가루 배출링(170)으로부터 배출된 고추가루를 다수개의 형성된 회전날개(185)에 의해 고추가루의 뭉침을 해제하는 동시에, 고추가루를 배출부(94)로 이송하는 임펠러(180)와;
    상기 가루 토출부(105)를 덮는 하우징 덮개부(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0)은,
    상기 고추 이송부(15)로부터 고추가 유입되는 유입부(90)와, 상기 유입부(90)에 유입된 고추를 수용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제 1분쇄날(95)이 형성된 분쇄부(92)와, 고추가루가 배출부(94)로 이송되는 가루 토출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부(115)는,
    상기 하우징(70)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분쇄부(92)에 유입된 고추를 순차적으로 분쇄하여 수용하도록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분리벽(120)들과, 각각의 분리벽(120)들의 사이에 형성되며 고추를 분쇄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쇄 블레이드(140)와, 가루 토출부(105) 측에 형성되며 분쇄된 고추가루를 균일하게 풀어주기 위한 돌출날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부(115)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추가 상기 분쇄부(92)에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교반날개(19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120)은,
    제 1분리벽(120)과;
    상기 제 1분리벽(120)보다 외경이 큰 제 2분리벽(120)과;
    상기 제 2분리벽(120)보다 외경이 큰 제 3분리벽(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블레이드(140)는, 제 1분쇄 블레이드(140)와 제 2분쇄 블레이드(140) 및 제 3분쇄 블레이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쇄 블레이드(140)와 제 2분쇄 블레이드(140) 및 제 3분쇄 블레이드(140)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배열위치가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날부(160)들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6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185)들의 중앙에 배출홈(19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부(75)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제 2분쇄날(1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고속분쇄기.
KR1020070027706A 2007-03-21 2007-03-21 고추 고속분쇄기 KR20080086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06A KR20080086067A (ko) 2007-03-21 2007-03-21 고추 고속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06A KR20080086067A (ko) 2007-03-21 2007-03-21 고추 고속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067A true KR20080086067A (ko) 2008-09-25

Family

ID=4002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706A KR20080086067A (ko) 2007-03-21 2007-03-21 고추 고속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60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794B1 (ko) * 2018-07-05 2019-02-21 남궁민우 조각목재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794B1 (ko) * 2018-07-05 2019-02-21 남궁민우 조각목재 가공장치
WO2020096179A1 (ko) * 2018-07-05 2020-05-14 남궁민우 조각목재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4023B1 (en) Circulation type media agitator mill
CN108097393B (zh) 一种利用离心作用的多重饲料粉碎机器
KR100783133B1 (ko) 고추씨 분리 겸용 고추 분쇄기
KR20080086067A (ko) 고추 고속분쇄기
CN207709139U (zh) 氢氧化钙制粉机
KR102287258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0525305B1 (ko) 교반분쇄기
CN208627462U (zh) 一种高效的粉碎机
CN211385339U (zh) 一种水产饲料加工用粉碎装置
CN209123989U (zh) 一种药材用胶磨机
KR200199341Y1 (ko) 고추의 분쇄와 씨 분리장치
KR100469759B1 (ko) 분쇄기
CN104998723A (zh) 离心式水磨机
KR20190081922A (ko) 두부콩 미세 분쇄장치
CN205233418U (zh) 新型饲料磨碎加工机
KR200252158Y1 (ko) 고추 분쇄 이송장치
CN208120286U (zh) 一种粉末物料进料机
CN114308269A (zh) 粉碎装置及粉碎机
CN116713089A (zh) 一种便于维护保养的磨粉机
KR200306710Y1 (ko) 고추 분쇄기
JPS6136460B2 (ko)
KR200171106Y1 (ko) 고추분쇄기
JP2002316061A (ja) 粉砕機
CN105768155A (zh) 新型滚切式饲料加工装置
KR100490976B1 (ko) 수직타입의 습식 무기물질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