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247B1 -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247B1
KR100364247B1 KR1019990054919A KR19990054919A KR100364247B1 KR 100364247 B1 KR100364247 B1 KR 100364247B1 KR 1019990054919 A KR1019990054919 A KR 1019990054919A KR 19990054919 A KR19990054919 A KR 19990054919A KR 100364247 B1 KR100364247 B1 KR 10036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pulverized
powder
pipe
ho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230A (ko
Inventor
김승학
Original Assignee
김승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학 filed Critical 김승학
Priority to KR2019990027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276Y1/ko
Priority to KR1019990054919A priority patent/KR1003642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4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쇄물을 하나의 분쇄장치에서 별도의 운반작업 없이 필요로 하는 입도까지 연속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이송시킴은 물론 배출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구성을 분쇄기로 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필요로 하는 입자까지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분쇄할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의 하부에 분쇄기로 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공급받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수용부재와 이 수용부재의 일면으로 설치되는 송풍기로 구성되는 공급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타면으로 설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분쇄기의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기의 투입호퍼로 공급받은 분쇄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측에 수용호퍼부가, 그 하부에는 연통된 공급호퍼부를 설치하되, 상기 공급호퍼부의 하부에는 밑면으로 배출관과 투입공이 형성되고 작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가 내장된 안내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an apparatus for feeding the grain powder}
본 발명은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쇄물을 하나의 분쇄장치에서 별도의 운반작업 없이 필요로 하는 입도까지 연속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이송시킴은 물론 배출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가루, 쌀가루, 미수가루 및 이유식 등의 식품은 그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입도를 가질 수 있도록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반복하면서 분쇄작업을 함에 따라 필요한 입도의 분말가루를 얻을 수 있었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곡물을 반속하여 분쇄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계속하여 운반 및 공급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분쇄물을 운반하고 공급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가장 널리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분쇄기의 하부에 용기를 재치시키고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된 분쇄물이 적재되면 다시 용기에 수용된 분쇄물을 분쇄기로 공급하는 방식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야 분쇄기의 하부로 횡방향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시킨 후 그 측으로 설치된 종방향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분쇄물을 분쇄기로 공급하는 방식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에 있어서는 그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의 제조단가가 비싸고, 횡방향 이송스크류와 종방향 이송스크류의 교차점에서의 문제가 많아 설치가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이송과정에서 이송스크류의 마모에 의한 철분이 분쇄물에 함유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 98-40949호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를 안출한 바,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종래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 내부에 플렉시블 와이어(220)에 다수의 이송편(240)이 설치된 이송부재(200)가 내장되어 배출가이드부(120)와 유입가이드부(140) 및 개방공(160)이 형성된 안내관부재(100)와; 상기 개방공(160)으로 다수의 지지편(320)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동력원(P)에 설치된 회전부재(30)로 구성되어 진다.
이같이 구성된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은 있었으나, 안내관부재(100)의 내주면과 이송편(240)의 외주면 사이로 분쇄물이 삽입되어 이송부재(200)를 원활하게 이송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음은 물론 이송편(240)이 마모되어 분쇄물의 원만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점성을 갖는 고추가루와 같은 곡물을 이송시에는 상기한 문제점이 더욱 크게 발생되어 결국에는 이송부재(200)가 구동되지 않는 문제점 및 동력원에 많은 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분쇄물을 하나의 분쇄장치에서 별도의 운반작업 없이 필요로 하는 입도까지 연속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이송시킴은 물론 배출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과정에서 분쇄물을 한번 더 미립화시켜 보다 균일한 분쇄물을 얻을 수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쇄기로 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필요로 하는 입자까지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분쇄할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의 하부에 분쇄기로 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공급받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수용부재와 이 수용부재의 일면으로 설치되는 송풍기로 구성되는 공급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타면으로 설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분쇄기의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기의 투입호퍼로 공급받은 분쇄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측에 수용호퍼부가, 그 하부에는 연통된 공급호퍼부를 설치하되, 상기 공급호퍼부의 하부에는 밑면으로 배출관과 투입공이 형성되고 작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가 내장된 안내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재는 상측에 인입호퍼가 형성되고 하측 일면에는 상기 송풍기의 송풍관이 설치되며 타면으로는 상기 이송관이 연결되게 형성된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다수의 격판이 설치되어 형성된 다수의 포집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 이송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호퍼부로 연결되는 이송관은 그 수용호퍼부의 상단 외주면으로 부터 달팽이관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용호퍼부의 상면 중앙에는 배기관을 설치하되, 그 배기관의 밑단은 상기 수용호퍼부에 연결된 이송관의 위치 보다 낮은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호퍼부에는 그 공급호퍼부의 중앙으로 관통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다수의 누름막대가 설치된 누름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내관의 배출관에는 배출되는 분쇄물을 재차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미립화분쇄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립화분쇄부는 상기 배출관이 일측으로 설치되는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외주연 측으로 다수의 분쇄날이 설치된 분쇄회전판과, 상기 상부케이스로 고정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의 내부로 고정되어 상기 분쇄회전판이 내접되도록 내주면으로 다수의 분쇄날부가 형성된 고정파쇄링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쇄회전판의 상면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폭이 넓어 지도록 다수의 가이드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관에 설치되는 미립화분쇄부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종래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를 나태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쇄기 10 : 공급부
10a : 송풍기 11 : 수용부재
11' : 몸체케이스 12 : 인입호퍼
13 : 격판 14 : 포집수용부
16 : 이송공간부 20 : 이송관
22 : 배기관 25 : 수용호퍼부
26 : 누름막대 27 : 누름축부
30 : 공급호퍼부 40 : 이송관
41 : 배출관 42 : 투입공
45 : 이송스크류 50 : 미립화분쇄부
50a : 상부케이스 50b : 하부케이스
51 : 배출부 52 : 분쇄회전판
52a : 분쇄날 53 : 가이드편
54 : 고정파쇄링부 54a : 분쇄날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로, 일반적인 분쇄기(1)로 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필요로 하는 입자까지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분쇄할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에 있어, 상기 분쇄기(1)의 하부에 분쇄기(1)로 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공급받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수용부재(11)와 이 수용부재(11)의 일면으로 설치되는 송풍기(10a)로 구성되는 공급부(10)와;
상기 수용부재(11)의 타면으로 상기 송풍기(10a)의 송풍력에 의해 분쇄물을 후술하는 수용호퍼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게 설치되는 이송관(20)과;
상기 이송관(20)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분쇄기(1)의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기의 투입호퍼로 공급받은 분쇄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측에 수용호퍼부(25)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수용호퍼부(25)로 공급된 분쇄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연통된 공급호퍼부(30)를 설치하되, 상기 공급호퍼부(30)의 하부에는 공급호퍼부(30)로 부터 공급된 분쇄물이 적재되어 필요에 따라 다시 분쇄기(1)의 투입호퍼로 아니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밑면으로 배출관(41)과 투입공(42)이 형성되고,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작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45)가 내장된 안내관(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수용부재(11)는 상측에 분쇄기(1)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인입호퍼(12)가 형성되고, 하측 일면에는 상기 송풍기(10a)의 송풍관이 설치되며, 타면으로는 상기 이송관(20)이 연결되게 형성된 몸체케이스(11')와, 상기 몸체케이스(11') 내부로 상기 인입호퍼(12)로 부터 공급받은 일정량의 분쇄물이 적재되어 질 수 있게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다수의 격판(13)이 설치되어 형성된 다수의 포집수용부(14)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 상기 각 포집수용부(14)에 적재되었던 분쇄물이 순차적으로 낙하되어 질 수 있는 이송공간부(16)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10a)의 송풍력으로 인해 이송관(20)을 통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호퍼부(25)로 연결되는 이송관(20)은 그 수용호퍼부(25)의 상단 외주면으로 부터 달팽이관 형상으로 설치되어 송풍력으로 공급되는 분쇄물이 수용호퍼부(25) 내에서 일방향으로 순환되면서 충돌없이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용호퍼부(25)의 상면 중앙에는 배기관(22)을 설치하되, 그 배기관(22)의 밑단은 상기 수용호퍼부(25)에 연결된 이송관(20)의 위치 보다 낮은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분쇄물은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공기는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호퍼부(30)에는 그 공급호퍼부(30)의 중앙으로 관통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다수의 누름막대(26)가 설치된 누름축부(27)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호퍼부(25)로 부터 공급된 분쇄물을 하측의 이송관(40)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누름막대(26)를 자성체로 설치하게 되면 분쇄물에 함유된 철분성분 또한 검출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 분쇄하고자 하는 분쇄물을 분쇄기(1)의 투입호퍼에 투입한 후 분쇄기(1)를 작동시켜 분쇄시키게 되면 그 분쇄된 분쇄물은 하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공급부(10)인 수용부재(11)의 인입호퍼(12)로 공급되어 지고, 그 공급된 분쇄물은 다시 인입호퍼(12)를 통하여 몸체케이스(11') 내의 격판(13)에 의해 형성된 각 포집수용부(14)로 투입되어 진다.
이렇게, 포집수용부(14)로 공급되어 진 분쇄물은 상기 포집수용부(14)가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그 하부의 이송공간부(16)로 각 포집수용부(14)로 적재되어던 양만큼만 낙하되어 지고, 그 분쇄물이 낙하됨과 동시에 송풍기(10a)로 부터 송풍되는 공기로 인하여 이송관(20)을 통하여 수용호퍼부(25)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상기 수용호퍼부(25)의 상단으로 연결된 이송관(20)은 외주면으로 부터 달팽이관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수용호퍼부(25) 내로 유입된 분쇄물과 공기는 일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는 조건과 좁은 공간에서 넓은 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급격한 압력저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용호퍼부(25) 내로 유입되어 진 분쇄물은 압력저하로 인한 그 질량으로 인해 하부측으로 낙하됨과 아울러 공기는 수용호퍼부(25)에 상기 이송관(20)의 연결부위 보다 낮은 위치로 위치하게 설치된 배기관(22)을 통하여 배기되어 지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수용호퍼부(25)에서 낙하되어 진 분쇄물은 다시 공급호퍼부(30)에 포집되어 지고, 그 포집된 분쇄물은 다시 공급호퍼부(30)를 통하여 안내관(40)으로 공급되어 지는 데, 이때, 상기 공급호퍼부(30) 내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누름축부(27)의 누름막대(26)에 의해 공급호퍼부(30)에 포집된 분쇄물을 안내관(40)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안내관(40)으로 공급되어 진 분쇄물은 다시 그 내부로 작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45)의 회전방향에 따라 즉, 분쇄물을 재차 분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정회전시켜 안내관(40)의 투입공(42)을 통하여 다시 분쇄기(1)로 배출하여 상기한 분쇄과정 및 이송과정을 재차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고, 분쇄가 완료되면 역회전시켜 안내관(40)의 배출관(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면 분쇄과정이 완료되어 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관에 설치되는 미립화분쇄부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로, 상기한 바와 같이 분쇄가 완료되어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안내관의 배출관(41)에는 배출되는 분쇄물을 재차 미립화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미립화분쇄부(50)가 설치되는 데, 상기 미립화분쇄부(50)는 상기 배출관(41)이 일측으로 설치되는 상부케이스(50a)의 내부로 구동모터(도 5참조)의 구동에 따라 통상적인 동력전달수단인 풀리등으로 연결되어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외주연 측으로 다수의 분쇄날(52a)이 설치된 분쇄회전판(52)과, 상기 상부케이스(50a)와 일반적인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는 배출부(51)가 형성된 하부케이스(50b)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분쇄회전판(52)이 내접되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분쇄날부(54a)가 형성된 고정파쇄링부(54)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 상기 분쇄회전판(52)의 상면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폭이 넓어 지도록 다수의 가이드편(53)이 설치되어 배출관(41)으로 부터 공급된 분쇄물이 외측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로,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 및 분쇄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송관(40)의 배출관(41)으로 배출된 분쇄물은 다시 미립화분쇄부(50)로 인입되어 진다. 다시말해서, 배출관(41)을 통하여 낙하된 분쇄물은 상부케이스(50a)에 내장되어 설치된 분쇄회전판(52)의 상면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이 분쇄회전판(52)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관계로, 그 원심력에 의해 낙하된 분쇄물을 외측으로 비산시키고 이때, 상기 분쇄회전판(52)의 상면으로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편(53)에 의해 분쇄물을 보다 균일하게 외측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이렇게, 외측으로 공급된 분쇄물은 하부케이스(50b)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파쇄링부(54)와 내접되게 설치된 분쇄회전판(52)의 분쇄날(52a)과 고정파쇄링부(54)의 분쇄날부(54a) 사이로 인입되면서 재차 미립화되도록 분쇄되면서 하부의 배출부(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즉, 상기 미립화분쇄부(50)는 곡물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고추가루와 같이 분쇄된 상태에서 점성이 큰 가루등이 상호 응집되어 지는 것을 과립형태로 형성시켜 응집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다시 한번 분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미세한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작동되고 하는 것은 도시되지 않은 컨트럴부에 의해 일반적인 컨트방식에 의해 작동되어 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곡물등의 분쇄물을 하나의 분쇄장치에서 별도의 운반작업 없이 필요로 하는 입도까지 연속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이송시킴은 물론배출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져 간편하게 작업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배출과정에서 분쇄물을 한번 더 미립화시켜 점성이 큰 분쇄물이라도 응집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보다 균일한 분쇄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7)

  1. 분쇄기로 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필요로 하는 입자까지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분쇄할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1)의 하부에 분쇄기(1)로 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공급받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수용부재(11)와 이 수용부재(11)의 일면으로 설치되는 송풍기(10a)로 구성되는 공급부(10)와; 상기 수용부재(11)의 타면으로 설치되는 이송관(20)과; 상기 이송관(20)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분쇄기(1)의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기(1)의 투입호퍼로 공급받은 분쇄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측에 수용호퍼부(25)가, 그 하부에는 연통된 공급호퍼부(30)를 설치하되, 상기 공급호퍼부(30)의 하부에는 밑면으로 배출관(41)과 투입공(42)이 형성되고 작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45)가 내장된 안내관(4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11)는 상측에 인입호퍼(12)가 형성되고 하측 일면에는 상기 송풍기(10a)의 송풍관이 설치되며 타면으로는 상기 이송관(20)이 연결되게 형성된 몸체케이스(11')와, 상기 몸체케이스(11') 내부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다수의 격판()13이 설치되어 형성된 다수의 포집수용부(14)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 이송공간부(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호퍼부(25)로 연결되는 이송관(20)은 그 수용호퍼부(25)의 상단 외주면으로 부터 달팽이관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용호퍼부(25)의 상면 중앙에는 배기관(22)을 설치하되, 그 배기관(22)의 밑단은 상기 수용호퍼부(25)에 연결된 이송관(20)의 위치 보다 낮은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퍼부(30)에는 그 공급호퍼부(30)의 중앙으로 관통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다수의 누름막대(26)가 설치된 누름축부(2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40)의 배출관(41)에는 배출되는 분쇄물을 재차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미립화분쇄부(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화분쇄부(50)는 상기 배출관(41)이 일측으로 설치되는 상부케이스(50a)의 내부로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외주연 측으로 다수의 분쇄날(52a)이 설치된 분쇄회전판(52)과, 상기 상부케이스(50a)로 고정되는 배출부(51)가 형성된 하부케이스(50b)의 내부로 고정되어 상기 분쇄회전판(52)이 내접되도록 내주면으로 다수의 분쇄날부(54a)가 형성된 고정파쇄링부(5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회전판(52)의 상면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폭이 넓어 지도록 다수의 가이드편(5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KR1019990054919A 1999-12-03 1999-12-03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KR10036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057U KR200181276Y1 (ko) 1999-12-03 1999-12-03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KR1019990054919A KR100364247B1 (ko) 1999-12-03 1999-12-03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919A KR100364247B1 (ko) 1999-12-03 1999-12-03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057U Division KR200181276Y1 (ko) 1999-12-03 1999-12-03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30A KR20010054230A (ko) 2001-07-02
KR100364247B1 true KR100364247B1 (ko) 2002-12-26

Family

ID=196235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919A KR100364247B1 (ko) 1999-12-03 1999-12-03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KR2019990027057U KR200181276Y1 (ko) 1999-12-03 1999-12-03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057U KR200181276Y1 (ko) 1999-12-03 1999-12-03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64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028B1 (ko) 2020-06-09 2021-05-14 박지현 저동력 분말 공급장치
KR102514634B1 (ko) 2020-12-28 2023-03-27 박지현 휴대용 분말 펌프
KR102486842B1 (ko) 2022-11-15 2023-01-09 선인재 2중스크류 공급부를 포함하는 식품 이송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30A (ko) 2001-07-02
KR200181276Y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5993B2 (ja) 撹拌ボールミル及び撹拌ボールミルの作動方法
US7624936B2 (en) Granular material grinder and method of use
KR101586464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JP3173062B2 (ja) 分級装置及び該分級装置を備えた粉砕設備
KR100364247B1 (ko)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JP2750325B2 (ja) 解砕・整粒機
KR20180003078U (ko) 곡물 분쇄장치
JPH029852B2 (ko)
US4487371A (en) Comminution apparatus
CN213254958U (zh) 一种超微粉碎生产线
JP3146307B1 (ja) 籾殻粉砕装置
JPH05277389A (ja) 竪形ローラミル
KR950012298B1 (ko) 로우터리(rotary) 분쇄기
KR20000051936A (ko) 왕겨팽연화기
CN213590699U (zh) 一种饲料制作加工用粉碎机
KR20030080461A (ko) 미분체의 분쇄 및 정제장치
KR102235160B1 (ko) 고춧가루 제조장치
JPH01135547A (ja) 材料加工処理装置
KR20060097090A (ko) 에어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추분쇄기
KR200357651Y1 (ko) 분쇄기
WO2020241463A1 (ja) 粉砕装置
KR930004128Y1 (ko) 분쇄기
KR20030061662A (ko) 분쇄기
KR19990064745A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2316061A (ja) 粉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