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056Y1 -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056Y1
KR200210056Y1 KR2019980015355U KR19980015355U KR200210056Y1 KR 200210056 Y1 KR200210056 Y1 KR 200210056Y1 KR 2019980015355 U KR2019980015355 U KR 2019980015355U KR 19980015355 U KR19980015355 U KR 19980015355U KR 200210056 Y1 KR200210056 Y1 KR 200210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haft
double
attach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279U (ko
Inventor
한인열
Original Assignee
한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열 filed Critical 한인열
Priority to KR2019980015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5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2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시켜 분쇄공정과 발효공정, 건조공정 등을 한 공정에 의해 완제품이 완성되게 하여 단시간 내에 다량을 처리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측관(10b)과 외측관(10a)사이에 공간부(16)를 가진 이중관체(10)가 있고, 상기 이중관체의 내측관(10b)양측에는 좌/우축(30,31)이 고정되며 상기 우측의 축(31)은 축고정대(72)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풀리(75)가 있으며, 축(31)의 내부중앙으로 스팀주입로(33)가 있고, 좌측의 축(30)은 중앙으로 드레인관(32)이 끼워져 있고, 이중관체(10)의 외부로는 제2분쇄날(24)이 부착된 소정의 회전날(20)들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날(20)은 내부에 공간부(22)가 있고 저면으로 상기 제1고정관(12)과 제2고정관(14)이 연결되어 외측관(10a)에 고정이 되며, 이중관체(10)의 외통을 구성하는 몸체(40)는, 내부케이스(41)와 외부케이스(42)사이에 스팀이 주입되는 공간부(44)가 형성되며 양측면의 중앙에 베어링 하우징(60)이 부착되어 이중관체(10)의 양축(30,31)이 끼워지고 몸체(40)의 상측에는 가스배출구(52) 및 투입구(50), 스팀주입관(48)이 외부케이스(42)에 부측되고, 우측 하단에는 제1분쇄날(59)이 고정되고, 좌측 하단에는 자석(55)을 내장한 출구(54)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본 고안은 폐기물의 사료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시켜 분쇄공정과 발효공정, 건조공정 등을 한 공정에 의해 완제품이 완성되게 하고, 단시간 내에 다량을 처리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찌꺼기 및 도축장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사료화 시키기 위한 종래의 제품들은 수분제거기, 파쇄기, 발효기를 통과하면서 최종적으로 사료가 완성되는데 이는 각 처리상태에 따라 전문적인 차리기들을 구비하여야 하고 이러한 기계들간에 제품의 운반과 작동에 필요한 작업인원이 소모되며,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생산성이 저하됨으로서 폐기물의 처리비용이 높아 상기와 같은 유기성 페기물들은 재활용화 되지 못하고 자연홰손 및 공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일반 쓰레기로 처리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시켜 분쇄공정과 발효공정, 건조공정 등을 한 공정에 의해 완제품이 완성되게 하여 단시간 내에 다량을 처리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관(10b)과 외측관(10a) 사이에 공간부(16)를 가진 이중관체(10)가 있고, 상기 이중관체의 내측관(10b)양측에는 좌/우축(30,31)이 고정되며 상기 우측의 축(31)은 축고정대(72)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풀리(75)가 있으며, 축(31)의 내부 중앙으로 스팀주입로(33)가 있고, 좌측으로는 외부로 통하게 도며, 좌측의 축(30)은 중앙으로 드레인관(32)이 끼워져 있고, 이중관체(10)의 외부로는 제2분쇄날(24)이 부착된 소정의 회전날(20)들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날(20)은 내부에 공간부(22)가 있고 저면으로 상기 제1고정관(12)과 제2고정관(14)이 연결되어 외측관(10a)에 고정이 되며 상기 제1, 2고정관(12,14)들은 회전날(20)의 공간부(22)와 이중관체(10)의 공간부(16)를 통하게 되고, 상기 이중관체(10)의 외통을 구성하는 몸체(40)는, 내부케이스(41)와 외부케이스(42)사이에 스팀이 주입되는 공간부(44)가 형성되며 양측면의 중앙에 베어링 하우징(60)이 부착되어 이중관체(10)의 양축(30,31)이 끼워지고 몸체(40)의 상측에는 가스배출구(52) 및 투입구(50), 스팀주입관(48)이 외부케이스(42)에 부착되고, 우측 하단에는 제1분쇄날(59)이 고정되고, 좌측 하단에는 자석(55)을 내장한 출구(54)가 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처리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중관체 12 : 제 1고정관
14 : 제2고정관 20 : 회전날
24 : 제2분쇄날 24a : 제3분쇄날
30, 31 : 축 33 : 스팀주입로
40 : 몸체 41 : 내부케이스
42 : 외부케이스 44 : 공간부
46 : 드레인밸브 48 : 스팀주입관
52 : 가스배출구 59 : 제1분쇄날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처리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도를 참조하면, 회전날(20)을 고정하고 양측의 축(30,31)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며 외측관(10a)과 내측관(10b)이 이중으로 된 이중관체(10)와, 내부 케이스(40)와 외부케이스(42)가 역시 이중으로 형성되고 투입구(50), 공기주입관(56), 출구(54) 등이 부착된 몸체(40)와, 상기 이중관체(10)와 몸체(40)를 지지하는 양측의 축고정대(72)를 가진 프레임(70)으로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중관체(10)는 우측의 둘레면에 소정의 구멍(18)을 가진 내측관(10b)의 외부로 내측관(10b)보다 소정으로 직경이 큰 외측관(10a)을 위치시켜 내부로 공간부(10)가 형성되게 한 다음, 양측단을 용접 고정한다. 그리고 내측관(10b) 양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원형의 고정구(36)를 끼워 고정하되 외향으로 후술하는 축(30,31)의 단부가 상기 고정구(36)에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양축(30,31)은 프레임(70)에 고정된 축고정대(72)에 지지되며 구동벨트(76)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는 우측의 축(31)은 중앙으로 스팀주입로(33)가 있으며 상기 스팀주입로(33)는 우측으로 스팀주입관(35)과 연결되어 스팀이 주입되고 좌측단에서 외부로 통하게 된다. 상기 스팅주입관(35)을 통과한 스팀은 내측관(10b)에 형성된 구멍(18)을 통해 공간부(10)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좌측의 축(30)은 중앙으로 드레인관(32)이 끼워져 있고 상기 드레인관(32)은 그 단부가 내측으로 고정구(36)를 관통하며 직각으로 굴곡되어 내측관(10b)의 상면에 근접된다.
그리고 이중관체(10)의 외부로는 제1고정관(12)과 제2고정관(14)들에 의해 회전날(20)이 사방 연속적으로 부착되는데 상기 회전날(20)은 삼각형상으로 되고 내부가 공간부(22)로 되며 저면으로 상기 제1고정관(12)과 제2고정관(14)의 일측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제1, 2고정관(12,14)의 타측단은 이중관체(10)의 외측관(10a)에 고정이 되는데, 상기 제1, 2고정관(12,14)들은 회전날(20)의 공간부(22)와 이중관체(10)의 공간부(16)를 통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날(20)은 이중관체(10)의 중심축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이중관체(10)에 부착되는 제1 고정관(12)과 제2고정관(14)이 상호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20)의 일측면에는 단부가 요철로된 제2분쇄날(24)이 부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립된 이중관체(10)를 삽입시키는 몸체(40)는, 내부케이스(41)와 외부케이스(42)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공간부(44)가 형성되며, 양측면의 중앙에 베어링 하우징(60)에 고정되고 양축(30,31)이 끼워져 상기 이중관체(10)가 몸체(40)의 내부 중심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40)의 내부케이스(41) 내면을 따라 제2분쇄날(24)의 궤적과 동일한 위치상으로 제3분쇄날(24a)이 적정수 고정되고 상기 몸체(40)의 상측에는 공기정화기(도면에 미도시)로 연결되는 배출관(53)과 조립된 가스배출구(52) 및 투입구(50)가 몸체(40)의 내부와 통하게 되어 있고, 우측의 스팀주입관(48)은 외부케이스(42)에 부착되어 공간부(44)와 통한다. 그리고 우측 상단에는 수분감지장치(51)가 부착되어 몸체(40)내부의 수분을 측정하며, 우측 하단에는 모타(58)에 의해 회전되는 제1분쇄날(59)이 고정된다. 그리고 좌측상단에는 공기주입관(56)이 몸체(40)의 내부와 통하게 부착되고, 좌측하단에는 자석(55)을 내장한 개폐 구로서 출구(5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40)의 좌측 하부에는 공간부(44)와 통하는 드레인 밸브(40)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40)와 이중관체(10)가 체결되고 상기 양축(30,31)의 외부로 축고정대(72)가 끼워지며 상기 축고정대(72)는 프레임(70)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팀주입관(48)을 통해 고온의 스팀을 주입하면 몸체(40) 내부의 온도는 급상승하게 되고, 때에 따라 냉각시에는 냉각수를 주입하여 원하는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관(56)으로 공기를 주입시켜 내부의 폐기물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우측의 축(31)에 있어서, 스팀주입관(35)을 통해 스팀주입로(33) 내부로 이송된 고온의 스팀은 낸측관(10b)에 형성된 구멍(18)을 통과하며 이중관체(10)의 공간부(16)로 이송된 다음 제1고정관(12)을 통하여 회전날(20)의 공간부(22)를 거쳐 제2고정관(14)을 통해 다시 이중관체(10)의 공간부(16)로 순환되면서 내부의 온도를 높인다. 그리고 상기 이중관체(10)는 우측의 축(31)에 고정된 벨트풀리(75)에 구동모터(도면에 미도시)의 동력전달을 받아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날(20)에 부착된 제2분쇄날(24)과 내부케이스(41)의 제3분쇄날(24a)사이에서 투입된 폐기물은 분쇄된다. 또한 몸체(40)의 우측하방에 부착된 제1분쇄날은 투입된 폐기물을 1차적으로 분쇄를 시킨다.
그리고 좌측 하방의 출구(54)에는 자석을 내장하고 있어 파쇄된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쇳가루를 분리할 수 있고, 좌측의 축(30) 내부로 삽입된 드레인관(32)은 이중관체(10)내부에 온도차로 발생된 수분을 펌프(도면에 미도시)의 힘으로 인출시킨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기기에서 발생시킨 고온의 스팀을 우측의 축(31) 중앙의 스팀주입관(35) 내부로 주입시키면 스팀은 스팀주입로(33)와 내측관(10b)의 구멍(18)을 통해 공간부(44)로 이송된다. 상기 스팀은 제1고정관(12)을 통해 회전날(20)의 공간부(22)에서 회전날(20)과 제2분쇄날(24)에 열을 전달하고 제2고정관(14)을 통해 다시 공간부(16)로 이송되며 타 회전날로 순환된다.
이와 동시에 몸체(40) 상부에 있는 스팀주입관(48)으로 역시 고온의 스팀을 주입하면 내부케이스(41)와 외부케이스(42) 사이의 공간부(44)로 이송되고 몸체(40)내부의 온도를 높인다.
이와 같이 고온으로 예열된 이중관체(10)와 몸체(4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제1분쇄날(59)에 의해 1차적으로 분쇄가 되고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날의 제2분쇄날(24)과 내부케이스(41)에 부착된 제3분쇄날(24a) 사이에서 다시 분쇄되며 믹서가 된다.
소정의 입자크기로 분쇄가 완료되면 몸체의 공간부(44)에 있는 스팀은 드레인 밸브(40)로 배출되고 다시 스팀주입관(48)으로 냉각수가 투입되어 몸체 내부에서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적당한 온도까지 냉각을 시킨다.
다음, 투입구(50)를 통해 미생물을 투입시켜 폐기물이 발효시키고, 외부케이스(42) 공기주입관(56)으로 송풍을 해서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이 몸체의 투입구(50)로 투입된 폐기물을 분쇄와 믹서시키는 과정과, 내부의 온도를 높여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 그리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발효시키고 송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완제품인 사료가 출구(54)로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출구(54)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55)은 사료 내부에 포함된 쇳가루같은 철분들을 분리시키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가스는 몸체(40)의 상부에 있는 가스배출구(52)를 통해 배출되고, 우측의 수분감지장치(51)는 내부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여 각 작동부분에 제어함으로서 자동화 시킬 수 있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한도내에서 즉, 유기성 폐기물 사료처리를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여 분쇄하고 믹서하는 과정과, 이중의 케이스 내부로 고온의 스팀을 투입하여 폐기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과, 미생물을 투입시켜 발효를 시키고 송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과정들이 본 고안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완성되는 것인바, 고가의 각 장비들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단시간내로 많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대대적으로 반출되는 않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들을 자연을 오염시키지 않은 채 재활용하고, 고가의 사료를 구입하기 위한 외화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내측관(10b)과 외측관(10a)사이에 공간부(16)를 가진 이중관체(10)가 있고, 상기 이중관체의 내측관(10b)양측에는 좌/우 축(30,31)이 고정되며 상기 우측의 축(31)은 축고정대(72)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풀리(75)가 있으며, 축(31)의 내부중앙으로 스팀주입로(33)가 있고, 좌측의 축(30)은 중앙으로 드레인관(32)이 끼워져 있고, 이중관체(10)의 외부로는 제2분쇄날(24)이 부착된 소정의 회전날(20)들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날(20)은 내부에 공간부(22)가 있고 저면으로 상기 제1고정관(12)과 제2고정관(14)이 연결되어 외측관(10a)에 고정이 되며, 이중관체(10)의 외통을 구성하는 몸체(40)는, 내부케이스(41)와 외부케이스(42)사이에 스팀이 주입되는 공간부(44)가 형성되며 양측면의 중앙에 베어링 하우징(50)이 부착되어 이중관체(10)의 양축(30,31)이 끼워지고 몸체(40)의 상측에는 가스배출구(52) 및 투입구(50), 스팀주입관(48)이 외부케이스(42)에 부착되고, 우측 하단에는 제1분쇄날(59)이 고정되고, 좌측 하단에는 자석(55)을 내장한 출구(54)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KR2019980015355U 1998-08-12 1998-08-12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KR200210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55U KR200210056Y1 (ko) 1998-08-12 1998-08-12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55U KR200210056Y1 (ko) 1998-08-12 1998-08-12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79U KR19980065279U (ko) 1998-11-25
KR200210056Y1 true KR200210056Y1 (ko) 2001-04-02

Family

ID=6951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355U KR200210056Y1 (ko) 1998-08-12 1998-08-12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185A (ko) * 2019-08-13 2021-02-24 주식회사 스카이젠 유기성 폐기물 혼합 반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01B1 (ko) * 2001-06-28 2005-01-24 주식회사 월드코아 음식물 쓰레기처리기의 교반장치
KR102138422B1 (ko) * 2018-06-04 2020-07-28 형제산업 주식회사 가축 매몰지 발굴사체처리를 위한 렌더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185A (ko) * 2019-08-13 2021-02-24 주식회사 스카이젠 유기성 폐기물 혼합 반응장치
KR102248109B1 (ko) 2019-08-13 2021-05-06 주식회사 스카이젠 유기성 폐기물 혼합 반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79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986B1 (ko) 폐기물 건조장치
US6267497B1 (en) Device for producing feed stuff or organic fertilizer from edible waste material through low temperature, natural fermentation and drying process
KR200210056Y1 (ko) 유기성 폐기물의 사료처리기
JP2012166197A (ja) 飲食物処理システムの乾燥機
EP0641753A2 (en) Apparatus for fast fermentation treatment
JPH0724439U (ja) 粉砕機の構造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US4325515A (en) Mix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ensing, mixing and granulating thermoplastic materials
KR200254366Y1 (ko) 쓰레기 건조장치
KR20000010468A (ko) 경사진 스크루 컨베어를 이용하여 남은 음식물을 활용한 자동혼합, 파쇄, 발효, 살균, 건조기능을 가진 사료 배합기
KR100285197B1 (ko) 남은음식물사료화공정과그장치
KR1998006683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1490B1 (ko) 별도의 부산물 투입구를 구비한 폐동식물 및 음식물복합처리기
KR100401384B1 (ko) 쓰레기 건조장치
KR970020193A (ko) 분체 분쇄, 분급 겸용 건조기
KR20040044286A (ko)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201001168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2305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5310490A (ja) 発酵乾燥装置
KR100232367B1 (ko) 음식찌꺼기 처리용 교반장치
KR19980038000U (ko) 발효 분쇄 건조장치
KR0137473Y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용 발효처리기
KR200284246Y1 (ko) 다목적 분쇄장치
KR20000038202A (ko) 오니의 파쇄식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2636663B1 (ko) 유기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