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695B1 -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 Google Patents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695B1
KR100265695B1 KR1019980030408A KR19980030408A KR100265695B1 KR 100265695 B1 KR100265695 B1 KR 100265695B1 KR 1019980030408 A KR1019980030408 A KR 1019980030408A KR 19980030408 A KR19980030408 A KR 19980030408A KR 100265695 B1 KR100265695 B1 KR 10026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roller
rollers
grinding roll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773A (ko
Inventor
이봉근
Original Assignee
이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근 filed Critical 이봉근
Priority to KR101998003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6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7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several driv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나 각종곡물등의 피분쇄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에 다수 설치사용되고 있는 분쇄로울러의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 유출되면서 순환되게 하여 분쇄로울러의 발생열을 냉각시켜 피분쇄물을 물성변화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한쌍단위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양분쇄로울러가 서로 접촉되지않은채 일정간격을 두고 중첩된 상태에서 피분쇄물을 순차적으로 분쇄토록 함으로써 분쇄 완료된 분쇄물에 쇳가루 등의 이물질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기대(1)일측에 기어모터(21)의 구동력을 벨트(23)에 의해 전달받는 감속기(22)로 되는 구동수단(2)을 설치하고, 상기 기대(1)의 구동수단(2)일측에는 분쇄부(3)를 설치하여서 되는 분쇄기(A)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3)는 상부에 투입로울러(31)를 설치하고, 그 하측으로는 외면에 다수의 분쇄날(32a)이 일정피치간격으로 형성된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를 상기 분쇄날(32a)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첩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각 단마다의 분쇄로울러(32)(32)일측에는 별도의 냉각수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공지의 로터리조인트(5)의 급수관(51)이 분쇄로울러(32)내부로 일정길이 유입되도록 체결하고, 상기 각각 한쌍으로 되는 다단의 분쇄로울러(32)(32)의 피치간격을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분쇄로울러 구조를 갖는 분쇄기이다.

Description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본 발명은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나 각종 곡물등의 피분쇄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에 다수 설치 사용되고 있는 분쇄로울러의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 유출되면서 순환되게 하여 분쇄로울러의 발생열을 냉각시켜 피분쇄물의 물성변화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한쌍 단위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양 분쇄로울러가 서로 접촉되지 않은 채 일정간격을 두고 중첩된 상태에서 피분쇄물을 순차적으로 분쇄토록 함으로써 분쇄 완료된 분쇄물에 쇳가루등의 이물질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각종 곡물등의 피분쇄물을 고운입자로 분쇄시키기 위해서는 두개의 분쇄로울러가 서로 맞닿은 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한 상태에서 이 양 분쇄로울러 사이로 피분쇄물을 반복 통과시켜 분쇄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 분쇄완료된 목적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쇄기에 설치 사용되고 있는 분쇄로울러의 경우 서로 맞닿은채 한쌍의 분쇄로울러가 회전되게 됨에 따라 이들 분쇄로울러를 통과하여 분쇄완료된 목적물에는 분쇄로울러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쇳가루가 포함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사회문제화될 뿐만아니라, 서로 맞닿아 회전되는 분쇄로울러에 대한 어떠한 냉각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분쇄물은 가열된 분쇄로울러에 접촉되면서 분쇄되는 목적물의 색깔 및 물성이 순간적으로 변화하여 피분쇄물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게 되며, 특히 피분쇄물이 고추일 경우에는 분쇄로울러의 마찰열로 인해 분쇄된 고추가루의 고유의 색깔이 나타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고추고유의 영양소인 함유수분을 없애는 현상까지도 나타나게 되는 것이었다.
근래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찰열에 의해 가열되는 분쇄로울러를 냉각하기 위한 기술로서 실용신안공고 제90-6094호의 분쇄기가 안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실용신안공고 제90-6094호에서 채용하고 있는 분쇄기에 대한 분쇄로울러의 냉각방식이 분쇄커버와 유도함을 공기순환관으로 연결하여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분쇄커버내의 발생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인바, 이는 분쇄로울러에 대한 직접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아닌 간접 냉각방식일 뿐만 아니라 공냉식인 것으로, 그 냉각효과도 미미하여 가열된 분쇄로울러를 냉각시키기에는 역부족이어서 어쩔 수 없이 피분쇄물이 분쇄과정에서 일으키는 물성의 변화를 완벽하게 막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마찰에 의해 쇳가루가 발생되며 또한 마찰열의 냉각이 용이하지 못한 분쇄로울러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분쇄기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쇄로울러의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 순환되도록 하여 분쇄로울러를 항상 적정온도 이하로 냉각되게 함으로써 피분쇄물이 열에 의해 물성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막고 분쇄날 부분이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맛물린 상태로 회전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피분쇄물에 대한 분쇄과정에서 쇳가루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에 의해 분쇄된 목적물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부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의 설치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에 대한 로터리 조인트의 설치 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에 대한스크래퍼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구동수단
3 : 분쇄부 5 : 로터리 조인트
31 : 투입로울러 32 : 분쇄로울러
32a : 분쇄날 51 : 급수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는, 기대(1)일측에 기어모터(21)의 구동력을 벨트(23)에 의해 전달받는 감속기(22)로 되는 구동수단(2)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기대(1)의 구동수단(2)일측에는 분쇄부(3)를 설치하여서 되는 분쇄기(A)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3)는 상부에 투입로울러(31)를 설치하고, 그 하측으로는 외면에 다수의 분쇄날(32a)이 일정 피치간격으로 형성된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를, 상기 분쇄날(32a)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첩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각단마다의 분쇄로울러(32)(32)일측에는 별도의 냉각수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공지의 로터리조인트(5)의 급수관(51)이 분쇄로울러(32)내부로 일정길이 유입되도록 체결하고, 각 분쇄로울러(32)가 설치되는 케이싱(33)가 설치되는 케이싱(33)내부에는 상기 분쇄날(32a)과 동일 형상의 톱날부(35a)를 갖는 스크래퍼(35)를 상기 톱날부(35a)가 상기 분쇄날(32a)에 대해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중첩설치하여 상기 각각 한쌍으로 되는 다단이 분쇄로울러(32)(32)에 형성된 분쇄날(32a)의 피치간격을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구성요부인 분쇄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쇄부를 이루는 분쇄로울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의 단면도이고, 도 6의(a)(b)(c)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에 대한 로터리 조인트의 설치 상태로서 그 구성은, 크게 기대(1)와, 구동수단(2) 및 분쇄부(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대(1)은 그 저부에 분쇄기(A)의 높이 조절가능한 다수의 받침다리(11)와, 분쇄기(A)전체의 이동이 간편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캐스터(12)가 각각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각각 구동수단(2)과 분쇄부(3)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2)은 구동원으로서의 기어모터(21)와 이 기어모터(21)의 구동력을 벨트(23)를 개재하여 전달받는 감속기(22)로 구성된다.
상기 분쇄부(3)는 상기 구동수단(2)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투입호퍼(33a)를 설치한 케이싱(33)내부에 투입로울러(31)와 각각의 분쇄로울러(32)가 순차적층설치되어 구동축(31a)(32b)이 다수의 풀리(41) 및 벨트(42)로서 상기 구동수단(2)의 감속기(22)에 연결되는 것으로, 분쇄부(3)의 최상측에 설치되는 투입로울러(31)는 외면에 다수의 교반구(31b)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분쇄부(3)의 구성요부인 분쇄로울러(32)는 외면에 일정피치간격으로 다수의 분쇄날(32a)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구동축(32b)을 돌출설치하고 타측에는 분쇄로울러(32)내부와 연통되는 냉각수유입구(32b')를 돌출 형성하여 이 냉각수유입구(32b')에 공지의 로터리조인트(5)의 일측이 체결 부착되게 한 것으로, 이때 상기 로터리조인트(5)는 별도의 냉각수공급장치(도시생략)로 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그 일측에 분쇄로울러(32)내부로 일정길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급수관(51)을 통해 분쇄로울러(32)내부로 냉각수를 공급되게 하여 분쇄로울러(32)의 냉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공급되는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32b')와 상기 급수관(51)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로터리조인트(5)내부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면서 반복적으로 순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쇄로울러(32)는 그 길이방향으로 전길이에 걸쳐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분쇄날(32a)에 대해 서로 대향되게 예각형태의 파쇄부(32c)를 일정깊이 절취 형성함으로써 분쇄날(32a)과 함께 파쇄부(32c)가 피분쇄물을 보다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게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분쇄로울러(32)는 다수의 분쇄날(32a)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서로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중첩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의 크기는 최상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간의 간격이 가장 넓고, 최하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간의 간격이 가장 좁게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를 한조로 하여 다단으로 설치되는 상기 각단의 분쇄로울러(32)(32)에 대한 분쇄날(32a)(32a)의 피치간격은 하측에 설치되는 분쇄로울러(32)의 분쇄날(32a)의 피치 간격이 가장 치밀하고(좁고)최상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의 분쇄날(32a)(32a)의 피치간격이 가장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투입호퍼(33a)를 통해 투입되는 피분쇄물은 중첩상태로 또한 다단으로 설치되는 분쇄날(32a)(32a) 및 분쇄로울러(32)외면에 분쇄날(32a)에 대해 분쇄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 예각형태로 절취 형성되는 파쇄부(32c)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한조를 이루는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간의 중첩간격은 케이싱(33)외부에 설치되는 핸들(36)의 조작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되며, 상기 케이싱(33)의 최하측 분쇄로울러(32)(32)하부에는 배출구(34)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33)의 분쇄로울러(32)설치측 일측에는 피분쇄물의 역류를 막고 분쇄날(32a)사이에 피분쇄물이 끼이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분쇄로울러(32)의 분쇄날(32a)의 형상과 동일형상의 톱날부(35a)를 갖는 스크래퍼(35)를 설치하되, 상기 톱날부(35a)와 분쇄날(32a)이 서로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치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쇄기(A)에 설치되는 모든 풀리(41)와 벨트(23)(42)는 타이밍 풀리와 타이밍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분쇄기를 작동시키게되면 기대(1)상에 설치된 구동수단(2)을 이루는 기어모터(21)가 구동하게 됨에 따라 그 구동력은 벨트(23)를 개재하여 감속기(22)로 전달되고 감속기(22)의 구동력은 다시 이 감속기(22)에 다수의 풀리(41) 및 벨트(42)에 의해 연결된 분쇄부(3)의 투입 로울러(31)와 분쇄로울러(32)의 구동축(31a)(32b)에 각각 전달되게 되어 투입로울러(31)와 다수의 분쇄로울러(32)는 회전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쇄부(3)를 이루는 투입로울러(31)와 분쇄로울러(32)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케이싱(33)상부의 투입호퍼(33a)를 통해 고추나 곡물 등의 피분쇄물을 투입하게 되면 투입되는 피분쇄물은 투입로울러(31)외면에 부착 설치된 다수의 교반구(31b)에 의해 뒤적거려지면서 한군데로 몰리지 않고 분쇄날(32a)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피치간격을 두고 중첩 회전되는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사이를 골고루 통과하면서 회전되는 양분쇄날(32a) 및 파쇄부(32c)에 의해 일차적으로 큰입자로 분쇄되게 된다.
이렇게 분쇄부(3)의 최상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굵은입자로 분쇄된 내용물은 다시 그 하부의 또다른 분쇄로울러(32)(32)사이를 통과하면서 재차분쇄되게 되는 것인데, 이때의 양분쇄로울러(32)(32)역시 양분쇄날(32a)(32a)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간격을 두고 중첩 회전되는 것으로, 이때의 간격은 최상측의 양분쇄로울러(32)(32)간의 피치간격보다 좁게 설치되기 때문에 다소 거친입자로 분쇄되어 공급되는 내용물은 두번째의 분쇄로울러(32)(32)사이를 통과하면서 앞서와 같이 다수의 분쇄날(32a) 및 파쇄부(32c)에 의해 좀더 미세하게 분쇄되어 최종적으로 그 하부의 분쇄로울러(32)(32)로 보내져 마지막으로 분쇄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역시도 양분쇄로울러(32)(32)는 양분쇄날(32a)(32a)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간격을 두고 중첩회전되는 것인바, 이때의 간격은 두 번째의 양분쇄로울러(32)(32)간의 간격보다 더 좁게 설치되기 때문에 두 번째의 양로울러(32)(32)를 통과하면서 어느 정도 미세한 입자로 분쇄되어 공급되는 내용물은 마지막 분쇄로울러(32)(32)사이를 통과하면서 앞서와 같이 다수의 분쇄날(32a)(32a) 및 파쇄부(32c)에 의해 아주 미세하게 분쇄된 상태에서 케이싱(33)저부의 배출구(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목적한 고운입자의 내용물을 얻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쇄로울러(32)의 분쇄날(32a)의 피치간격은 최상부에 설치되는 분쇄로울러가 가장넓은 피치간격을 갖게 하고, 하부로 갈수록 좁은피치간격의 분쇄날(32a)을 갖도록 하여 최하측에 설치되는 분쇄로울러(32)의 분쇄날(32a)의 피치간격이 가장좁게(치밀하게)형성되어 있다.
이때 구동부(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분쇄부(3)의 각 분쇄로울러(32)는 그 타측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냉각수 유입구(32b')를 각각 형성하고, 이 냉각수 유입구(32b')에는 별도의 냉각수 공급장치(도시생략)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받는 공지의 로터리조인트(5)의 일측이 체결되게 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로터리조인트(5)에는 상기 분쇄로울러(32)내부로 일정길이 삽입되는 급수관(51)이 설치되어 냉각수공급장치로부터의 냉각수는 공지의 로터리조인트(5)를 거친후 다시 이 로터리조인트(5)내부에 설치되는 급수관(51)을 통해 분쇄로울러(32)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고 냉각수는 분쇄로울러(32)내부와 연통상태인 로터리조인트(5)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식으로 지속적으로 냉각수가 순환되게하는것에 의해 분쇄로울러(32)가 가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여, 피분쇄물이 분쇄로울러(32)에 의해 분쇄되는 과정에서 물성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33)의 전면부는 투명창으로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쇄로울러(32)의 구동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되며, 또한 케이싱(33)전면에 다수 설치되는 핸들(35)의 조작에 의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채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회전되는 양 분쇄로울러(32)간의 간격이 크기를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종류의 피분쇄물을 무리 없이 분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 분쇄로울러(32)를 한쌍단위로 3단으로 하여 분쇄부(3)를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단수를 증감하여 다단의 분쇄로울러(32)로 구성할수도 있는 것이며, 분쇄로울러(32)의 분쇄날(32a)에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파쇄부(32c)의 수도 증감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분쇄로울러(32)마다 그 일측에 설치되는 공지의 로터리조인트(5)도 전 분쇄로울러(32)모두가 아닌 설치되는 분쇄로울러(32)에 대해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 등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비접촉분쇄로울러 구조를 갖는 분쇄기에 의하면, 다단으로 설치되는 양분쇄로울러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중첩설치하되, 각단을 이루는 양분쇄로울러에 대한 분쇄날의 피치간격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피치간격을 갖도록 하고 분쇄날에는 서로 대향되게 예각으로 절취한 파쇄부를 형성함으로써 양분쇄로울러가 비접촉상태에서도 고효율의 분쇄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각각의 분쇄로울러에는 일측에 냉각수유입구를 형성하여 공지의 로터리 조인트를 연결하여 분쇄로울러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분쇄로울러의 가열을 막아 피분쇄물이 분쇄되는 과정에서 물성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분쇄로울러가 비접촉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분쇄완료된 내용물에 쇳가루가 포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게된다.

Claims (2)

  1. 기대(1)일측에 기어모터(21)의 구동력을 벨트(23)에 의해 전달받는 감속기(22)로 되는 구동수단(2)을 설치하고, 상기 기대(1)의 구동수단(2)일측에는 분쇄부(3)를 설치하면서 되는 분쇄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3)는 상부에 투입로울러(31)를 설치하고, 그 하측으로는 외면에 다수의 분쇄날(32a)이 일정 피치간격으로 형성된 한쌍의 분쇄로울러(32)(32)를, 상기 분쇄날(32a)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첩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각단마다의 분쇄로울러(32)(32)일측에는 별도의 냉각수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공지의 로터리조인트(5)의 급수관(51)이 분쇄로울러(32)내부로 일정길이 유입되도록 체결하고, 상기 각각의 한쌍으로 되는 다단의 분쇄로울러(32)(32)의 피치간격은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분쇄로울러 구조를 갖는 분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로울러(32)의 분쇄날(32)에는 전길이에 걸쳐 예각형태로 일정깊이 절취한 다수의 파쇄부(32c)를 대향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분쇄로울러 구조를 갖는 분쇄기.
KR1019980030408A 1998-07-28 1998-07-28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KR10026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408A KR100265695B1 (ko) 1998-07-28 1998-07-28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408A KR100265695B1 (ko) 1998-07-28 1998-07-28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73A KR20000009773A (ko) 2000-02-15
KR100265695B1 true KR100265695B1 (ko) 2000-09-15

Family

ID=1954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408A KR100265695B1 (ko) 1998-07-28 1998-07-28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515B1 (ko) 2007-12-27 2008-03-31 김성대 분체분말화 미분쇄장치
KR100875516B1 (ko) * 2007-05-14 2008-12-24 백성기 고추꼭지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16B1 (ko) * 2007-05-14 2008-12-24 백성기 고추꼭지 제거장치
KR100818515B1 (ko) 2007-12-27 2008-03-31 김성대 분체분말화 미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73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438B1 (ko) 농산물 분쇄장치
JP6449574B2 (ja) 砥石および磨砕装置
US20070029423A1 (en) Crusher
US3880367A (en) Grain mill
KR20090031028A (ko) 콤팩트한 구조의 분쇄기
PL175066B1 (pl) Urządzenie do krajania produktów spożywczych, zwłaszcza kawałków zamrożonego mięsa
DE10222814A1 (de) Messermühle zur Zerkleinerung von Kunststoffmaterial und Verfahren zum Betrieb
US3605836A (en) Grinder with temperature regulation and stirring means
KR100265695B1 (ko)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KR100872540B1 (ko) 연속식 혼합기
KR200242099Y1 (ko) 고추 분쇄기
KR100401212B1 (ko) 패각류 분쇄기
KR100343939B1 (ko) 고추 분쇄기
KR200270660Y1 (ko) 분쇄기용 커터
JP3755948B2 (ja) 粉砕,混合および混練を行う処理装置
KR101706715B1 (ko) 분쇄 장치
KR100444145B1 (ko) 고추분쇄장치
KR200258550Y1 (ko) 곡물 분말기
CN213835324U (zh) 一种侧孢芽孢杆菌破碎机
KR200210710Y1 (ko) 패각류 분쇄기
KR900006093Y1 (ko) 분쇄기
KR101023269B1 (ko) 다용도 미분쇄 장치
KR20190073641A (ko) 육류용 잡뼈 분쇄기
RU2196639C2 (ru) Измельчитель
US517311A (en) Machine for crushing and grinding asphalt r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