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438B1 - 농산물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438B1
KR101703438B1 KR1020150113554A KR20150113554A KR101703438B1 KR 101703438 B1 KR101703438 B1 KR 101703438B1 KR 1020150113554 A KR1020150113554 A KR 1020150113554A KR 20150113554 A KR20150113554 A KR 20150113554A KR 101703438 B1 KR101703438 B1 KR 10170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blade
shaft
blad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춘동
Original Assignee
서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춘동 filed Critical 서춘동
Priority to KR102015011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날 회전식 분쇄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농산물의 신속한 분쇄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한번의 분쇄로도 분쇄된 입자의 균일화를 가져오게 하며, 특히, 분쇄물의 배출력 향상에 따른 분쇄되는 농산물이 분쇄장치 내부에서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분쇄과정에서의 농산물 손실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 분쇄장치{Crushing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나 콩, 마늘 등의 농산물을 분쇄함에 있어, 신속한 분쇄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입자의 균일화 및 잔존하는 농산물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분쇄장치는 음식물을 조리시 입자화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고추나 콩, 마늘 등의 농산물을 분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입자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농산물을 분쇄하기 위한 통상의 분쇄장치는 서로 대항되게 설치되어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가지는 요철 또는 스크류가 형성된 한 쌍의 분쇄롤러로 구성되어 투입호퍼에 농산물을 투입시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 사이로 진입되게 되며, 이에, 분쇄롤러에서는 진입된 농산물을 가압 마찰에 의해 으깨어 분쇄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쇄장치는 농산물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저속 회전하는 특성상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입자의 균일화를 이루지 못하여 반복적으로 분쇄를 수행하여야 하였으며, 특히, 농산물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농산물이 분쇄롤러 요철에 끼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공개 제10-2000-00097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분쇄날 회전식 분쇄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농산물의 신속한 분쇄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한번의 분쇄로도 분쇄된 입자의 균일화를 가져오게 하며, 특히, 분쇄물의 배출력 향상에 따른 분쇄되는 농산물이 분쇄장치 내부에서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분쇄과정에서의 농산물 손실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농산물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다수의 지지각을 통해 높이를 이루며, 지지각의 하단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한 테이블;
테이블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모터축과 벨트 및 풀리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테이블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형 연동축으로 된 구동부;
테이블의 상부로 돌출된 연동축을 감싸는 연동축 하우징과, 연동축에 커플링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분쇄축으로 된 연결부;
바닥면 중앙에 분쇄축이 관통 및 돌출되고 내주면 상부에는 체결공을 갖는 다수의 타공판 결합편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측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관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분쇄 하우징과, 분쇄축이 관통되며 중간부에 분쇄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주연부에는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타공판 결합편에 볼트 결합되는 타공판과, 분쇄축의 관통 고정되며 타공판의 상부면을 블레이딩하는 타공판 블레이드와, 분쇄축이 관통 고정되며 타공판 블레이드 상부에 형성되어 농산물을 분쇄하는 분쇄날 유닛과, 타공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분쇄물을 배출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도부재로 된 분쇄부;
분쇄 하우징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호퍼와, 호퍼의 상부에서 내부와 연통 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공급 트레이로 된 공급부; 및
테이블의 상부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구동을 단속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는, 분쇄실의 바닥면에 분쇄된 농산물이 통과될 수 있는 타공판이 형성되고, 그 타공판의 상부에 회전식 분쇄날이 형성된 것인바, 분쇄날의 고속 회전을 통해 농산물의 분쇄가 가능하게 됨으로 신속한 분쇄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쇄된 입자가 타공판을 통해 통과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한번의 분쇄로도 원하는 입자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쇄실에서 분쇄되는 농산물을 타공판 블레이드를 통해 블레이딩 배출시킴으로 분쇄되는 과정에서 농산물이 잔존하는 것이 방지되는 등 분쇄과정에서의 농산물의 손실이 최소화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분쇄부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타공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타공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타공판 블레이드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타공판 블레이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볼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타공판 블레이드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분쇄날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분쇄날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분쇄날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분쇄날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배출 유도부재 다른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분쇄물 배출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1)는, 테이블(100)과, 구동부(200)와, 연결부(300)와, 분쇄부(400)와, 공급부(500)와, 컨트롤부(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100)은, 다수의 지지각(110)을 통해 일정한 높이를 이루며, 각각의 지지각(110)의 하단에는 바퀴(12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분쇄장치(1)의 분쇄력을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테이블(100)의 하부 일측에는 모터축(211)이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모터(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모터(210)의 일측에는 연동축(230)이 형성된 것으로, 연동축(230)은 테이블(100)의 하부에서 베어링(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자유 회전력을 가지게 축설되는 한편, 테이블(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211)과 연동축(230)은 서로 벨트(220)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이 연동축(230)으로 연동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상기 벨트(22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모터축(211)과 연동축(230)에는 풀리(221)(221')가 형성되어 벨트(220)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00)는, 테이블(100)의 상부에서 연동축(230)을 감싸 보호하는 한편, 하기하는 분쇄축(330)의 연결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테이블(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연동축(230)을 감싸는 연동축 하우징(310)이 형성된 것으로, 연동축 하우징(310)은 일측이 개방되어 연동축(230)의 노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동축(230)에는 분쇄축(330)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분쇄축(330)과의 연결은 통상의 축 이음에 적용되는 커플링(320)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되며, 이때 연결된 분쇄축(330)은 연동축 하우징(310)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분쇄부(40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농산물의 분쇄를 담당하게 구성된 것으로, 분쇄 하우징(410)과, 타공판(420)과, 타공판 블레이드(430)와, 분쇄날 유닛(4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쇄 하우징(410)은, 하부는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통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동축 하우징(310)의 상부에 플랜지(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연결되며, 그 바닥면에는 상기 분쇄축(330)이 관통 및 내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분쇄 하우징(410)의 내주면 중간부는 다수의 타공판 결합편(41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타공판 결합편(411)에는 체결공(4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쇄 하우징(410)의 외측 하부에는 내부의 바닥면과 연통되는 배출관(415)이 형성된 것으로, 이때, 배출관(415)는 분쇄 하우징(410)의 둘레 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 분쇄물에 원심력이 부여시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타공판(420)은, 중앙에 상기 분쇄축(330)이 관통되는 한편 타공판 결합편(411)에 안착되게 구성된 것으로, 분쇄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불규칙한 위치에 다수의 통공(421)(421')이 형성되고, 주연부에는 상기 타공판 결합편(411)의 체결공(411a)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볼트공(422)이 형성되어 그 볼트공(422)과 체결공(411a)을 통해 접시머리 볼트(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볼팅 체결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타공판(420)은, 도 5의 (a) 및 (b)의 도시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는 통공(421)(421')을 가지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분쇄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종류 또는 분쇄 입자의 크기의 선택을 위해 교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타공판(420)에 형성되는 통공(421)(421')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타공판(420)의 중심을 관통하는 분쇄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외둘레를 향하도록 하방 경사 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분쇄물에 원심력이 부여시 그 원심력 방향으로 형성되는 통공(421)(421')을 통해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타공판 블레이드(430)는, 상기 분쇄축(330)이 관통되는 한편, 분쇄축(330)에 고정되게 구성된 것으로, 분쇄축(33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서 타공판(420)의 상부면을 불레이딩하여 분쇄물을 타공판(420)의 통공(421)(421')으로 밀어낼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타공판 블레이드(430)는, 분쇄축(330)에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각홈 형태의 블레이드 축공(431a)이 형성된 블레이드 축설부(431)를 이룬다.
그리고, 블레이드 축설부(431)의 외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밀대(432)(432')가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밀대(432)(432') 사이에는 상,하 개방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밀대(432)(432')의 끝단은 테두리부(433)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되어 밀대(432)(432')의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공판 블레이드(430)를 구성함에 있어, 도 7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밀대(432)(432')의 회전방향 단부면이 상부로부터 하부로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434)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분쇄물이 경사면(434)을 타고 눌려 타공판(420)의 통공(421)(421')으로 원활하게 진입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경사면(434)을 구성함에 있어, 도 8의 도시와 같이 밀대(432)(432')의 단부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경사부재(435)를 볼팅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경사부재(435)에 상기 경사면(434)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밀대(432)(432')에 착탈 적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밀대(432)(432')를 구성함에 있어, 도 9의 도시와 같이 경사면(434)에 일정 간격으로 단면상 양측 하방 경사를 갖는 "∧" 형태의 가이드돌기(436)(436')가 전방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하되, 각각의 가이드돌기(436)(436')의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통되는 유도로(437)가 형성된다.
즉, 분쇄물이 상기 가이드돌기(436)(436')의 경사를 타로 유도로(437)를 통해 하부로 원활한 유도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분쇄날 유닛(440)은, 상기 분쇄축(330)이 관통되는 한편, 분쇄축(330)에 고정되게 구성된 것으로, 분쇄축(330)이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농산물의 분쇄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분쇄날 유닛(440)은, 하부의 제1 분쇄날(441)과, 그 제1 분쇄날(441)의 상부에 중첩되게 형성되는 제2 분쇄날(441')로 구성된다.
이때, 제1,2 분쇄날(441)(441')은, 분쇄축(330)에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각홈 형태의 분쇄날 축공(442a)이 형성된 분쇄날 축설부(442)를 이룬다.
이때, 상기와 같이 분쇄날 유닛(440)이 분쇄축(3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분쇄축(330)은 상부는 별도의 캡(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마감함으로 제1,2 분쇄날(441)(441')의 이탈이 방지되게 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분쇄날 축설부(442)의 외둘레에는 양측 대칭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칼날(443)(443')이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칼날(443)(443')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를 이루는 날부(444)가 형성되어 농산물의 분쇄와 동시에 경사를 통해 하부로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2 분쇄날(441)(441')을 중첩 형성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칼날(443)(443')이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교차되어 "+"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각각의 제1,2 분쇄날(441)(441')의 칼날(443)(443') 상부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로 삼각 형태를 이루는 다수열의 수직날(445)(445')이 더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제1,2 분쇄날(441)(441')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칼날(443)(443')을 통해 수평 분쇄되기에 앞서 수직날(445)(445')을 통해 수직분쇄가 가능하게 되는 등 농산물을 분쇄함에 있어 입체적인 분쇄가 가능하여 그 분쇄력의 향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열의 수직날(445)(445')을 구성함에 있어, 도 11의 도시와 같이 양 끝단으로부터 중간부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수직날(445)(445')의 단차를 통해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농산물의 순차적인 수직 분쇄가 가능하게 하여 그 분쇄력의 향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열의 수직날(445)(445')을 구성함에 있어, 도 12의 도시와 같이 상부로부터 하부로갈수록 칼날(443)(443')의 끝단부를 향하도록 경사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농산물이 수직날(445)(445')에 의해 분쇄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 하부로 유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직날(445)(445')을 칼날(443)(443')에 형성함에 있어, 도 13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칼날(443)(443')에 해당하는 수직날 결합판(446)을 구비하되, 각각의 수직날 결합판(446)에 수직날(445)(445')이 일체로 배열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수직날 결합판(446)을 칼날(443)(443')의 상부에 볼팅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도부재(450)는, 타공판(4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통공(421)(421')을 통해 배출되는 분쇄물을 배출관(415)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먼저, 분쇄축(330)의 하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한편, 가압볼트(452)를 통해 분쇄축(330)에 고정되는 결합관(451)을 이룬다.
그리고, 결합관(451)의 외측에는 분쇄축(330)이 회전시 분쇄 하우징(410)의 바닥면에 쌓여지는 분쇄물을 블레이딩하는 블레이드(453)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블레이드(453)는 수직 형태의 판체로 구성되어 바닥면의 분쇄물을 블레이딩하여 원심력에 의해 배출관(415)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배출 유도부재(450)를 구성함에 있어, 도 14의 도시와 같이 결합관(451)의 상부에서 연결대(458)를 통해 연결되며, 가압볼트(456)를 통해 분쇄축(330)에 고정되는 제2 결합관(455)을 형성하고, 그 제2 결합관(455)의 외측에는 타공판(420)의 저면을 블레이딩 하는 제2 블레이드(457)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점도를 가지는 분쇄물의 경우 타공판(420)의 저면에 점착될 수 있는 것인바, 이러한 분쇄물을 블레이딩하여 하부로 낙하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500)는, 분쇄 하우징(410)의 상부에 플랜지(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연결 형성되어 농산물의 투입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분쇄 하우징(4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상,하 관통형 관체 형태의 호퍼(510)가 구성되어 농산물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510)에는, 그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어 농산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공급 트레이(520)가 형성된 것으로, 공급 트레이(520)는 하방 경사 형태로 구성되어 농산물을 투입시 자연스럽게 호퍼(510)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부(600)는, 테이블(100)의 상부에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다수의 버튼(도면중 미도시함) 조작에 의해 구동부(200)의 구동을 단속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1)를 이용하여 고추나 콩, 마늘 등의 농산물을 분쇄하고자 할 시에는,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15의 도시와 같이 분쇄하고자 하는 농산물은 공급부(500)의 공급 트레이(520)로 투입시키면 되는 것으로, 투입된 농산물은 그 공급 트레이(520)의 경사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호퍼(510)로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농산물은 분쇄부(400)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컨트롤부(600)를 작동시켜 구동부(200)를 구동시키되, 구동모터(210)의 구동시 그 구동력은 벨트(220) 및 풀리(221)(221')를 통해 연동축(230)으로 전달되고, 또한, 연동축(230)에 커플링(320) 연결된 분쇄축(330)에 회전력이 부여되게 되고, 이에, 그 분쇄축(330)에 연결 고정된 타공판 블레이드(430) 및 분쇄날 유닛(440)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된다.
즉, 분쇄날 유닛(440)의 회전에 의해 분쇄부(400)로 유입된 농산물의 분쇄가 이루어지되, 이는 "+"자 형태를 이루는 제1,2 분쇄날(441)(441')의 칼날(443)(443')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칼날(443)(443') 단부에 형성된 경사형 날부(444)에 의해 절단 분쇄 및 분쇄물을 하부로 유도하게 된다.
또한, 10 내지 도 13의 도시와 같이 칼날(443)(443')의 상부에 수직날(445)(445')을 형성시에는 칼날(443)(443')에 의해 분쇄되기에 앞서 수직날(445)(445')을 통해 수직 분쇄가 가능한 것인바, 농산물의 입체적인 분쇄에 따른 분쇄시간의 단축 및 분쇄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직날(445)(445')의 작용은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분쇄물은 타공판(420)의 통공(421)(42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배출 과정에서 분쇄날 유닛(440)의 하부에 형성된 타공판 블레이드(430)는 타공판(420)의 상부면을 블레이딩하면서 분쇄물을 통공(421)(421')으로 밀어내게 된다.
즉, 도 7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이 밀대(432)(432')의 단부면에 형성된 경사면(434) 및 가이드돌기(436)(436')를 통해 분쇄물을 하부로 유도 및 가압력이 부여되어 신속하게 배출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면(434) 및 가이드돌기(436)(436')의 작용은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타공판(420)의 통공(421)(42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분쇄물은, 분쇄 하우징(41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는 것인바, 이렇게 쌓여지는 분쇄물은 도 16의 도시와 같이 배출 유도부재(450)를 통해 배출관(415)으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즉, 배출 유도부재(450)는, 그 블레이드(453)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분쇄 하우징(410)의 바닥면을 블레이딩하게 되는 것인바, 이렇게 회전 블레이딩 하는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 배출관(415)에 도달시 자연스럽게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출 유도부재(450)의 블레이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도 14의 도시와 같이 제2 블레이드(457)를 형성시에는 타공판(420)의 저면을 함께 블레이딩 하게 되는 것인바, 점도를 가지는 분쇄물이 타공판(420)에 저면에 점착시 이들을 블레이딩하여 하부로 낙하 유도하게 되는 것인바, 분쇄물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농산물을 분쇄시 그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분쇄 입자를 달리할 필요가 있는 것인바, 이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분쇄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분쇄입자의 크기에 따라 타공판(420)의 교체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농산물 분쇄장치는, 농산물을 분쇄함에 있어 고속 회전을 통해 분쇄가 가능한 것인바, 신속한 분쇄가 가능하면서도 한번의 분쇄로도 고른 입자로의 분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분쇄되는 농산물을 블레이딩 배출이 가능한 것인바, 분쇄하는 과정에서 분쇄물이 분쇄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테이블 110 : 지지각
120 : 바퀴
200 : 구동부 210 : 구동모터
211 : 모터축 220 : 벨트
221,221' : 풀리 230 : 연동축
300 : 연결부 310 : 연동축 하우징
320 : 커플링 330 : 분쇄축
400 : 분쇄부 410 : 분쇄 하우징
411 : 타공판 결합편 411a : 체결공
415 : 배출관 420 : 타공판
421,421' : 통공 422 : 볼트공
430 : 타공판 블레이드 431 : 블레이드 축설부
431a : 축공 432,432' : 밀대
433 : 테두리 434 : 경사면
435 : 경사부재 436,436' : 가이드돌기
437 : 유도로 440 : 분쇄날 유닛
441,441' : 제1,2 분쇄날 442 : 분쇄날 축설부
442a : 분쇄날 축공 443,443' : 칼날
444 : 날부 445,445' : 수직날
446 : 수직날 결합판 450 : 배출 유도부재
451 : 결합관 452 : 가압볼트
453 : 블레이드 455 : 제2 결합관
456 : 가압볼트 457 : 제2 블레이드
500 : 공급부 510 : 호퍼
520 : 공급 트레이 600 : 컨트롤부

Claims (14)

  1. 다수의 지지각(110)을 통해 높이를 이루며, 지지각(110)의 하단에는 바퀴(12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한 테이블(100);
    테이블(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축(211)을 갖는 구동모터(210)와, 모터축(211)과 벨트(220) 및 풀리(221)(221')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테이블(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형 연동축(230)으로 된 구동부(200);
    테이블(100)의 상부로 돌출된 연동축(230)을 감싸는 연동축 하우징(310)과, 연동축(230)에 커플링(320)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분쇄축(330)으로 된 연결부(300);
    바닥면 중앙에 분쇄축(330)이 관통 및 돌출되고 내주면에는 체결공(411a)을 갖는 다수의 타공판 결합편(411)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측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관(415)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분쇄 하우징(410)과, 분쇄축(330)이 관통되며 분쇄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421)(421')이 형성되고 주연부에는 상기 체결공(411a)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볼트공(422)이 형성되어 타공판 결합편(411)에 볼팅 결합되는 타공판(420)과, 분쇄축(330)이 관통 고정되며 타공판(420)의 상부면을 블레이딩하는 타공판 블레이드(430)와, 분쇄축(330)이 관통 고정되며 타공판 블레이드(430) 상부에 형성되어 농산물을 분쇄하는 분쇄날 유닛(440)과, 타공판(4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통공(421)(421')을 통해 배출되는 분쇄물을 배출관(415)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도부재(450)로 된 분쇄부(400);
    분쇄 하우징(4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호퍼(510)와, 호퍼(510)의 상부에서 내부와 연통 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공급 트레이(520)로 된 공급부(500); 및
    테이블(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구동부(200)의 구동을 단속하는 컨트롤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판(420)은,
    각각의 통공(421)(421')이 분쇄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외둘레를 향하도록 하방 경사 형태를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판 블레이드(430)는,
    분쇄축(330)에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각홈 형태의 블레이드 축공(431a)이 형성된 블레이드 축설부(431), 블레이드 축설부(431)의 외둘레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밀대(432)(432'), 및 다수의 밀대(432)(432')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테두리부(433),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밀대(432)(432')에는,
    회전방향 단부면이 상부로부터 하부로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434)을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밀대(432)(432')에 형성되는 경사면(434)에는,
    일정 간격으로 단면상 "∧"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돌기(436)(436') 돌출 형성되게 구성하되,
    각각의 가이드돌기(436)(436')의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통되는 유도로(437)를 이루게 구성되고,
    상기 분쇄날 유닛(440)은,
    하부의 제1 분쇄날(441)과, 제1 분쇄날(441)의 상부에 중첩되는 제2 분쇄날(441')로 구성하되,
    제1,2 분쇄날(441)(441')은,
    분쇄축(330)에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각홈 형태의 분쇄날 축공(442a)이 형성된 분쇄날 축설부(442), 및 분쇄날 축설부(442)의 외둘레에서 대칭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회전방향 단부면에 상부로부터 하부로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를 이루는 날부(444)를 갖는 한 쌍의 칼날(443)(443')로 구성하며, 상기 제1,2 분쇄날(441)(441')은, 칼날(443)(443')이 서로 교차되어 "+"자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제1,2 분쇄날(441)(441')의 칼날(443)(443')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삼각 형태를 이루는 다수열의 수직날(445)(445')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다수열의 수직날(445)(445')은,
    하나의 수직날 결합판(446)의 상부에 배열되게 구성하되, 상기 수직날 결합판(446)이 칼날(443)(443')의 상부에 볼팅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배출 유도부재(450)는,
    분쇄축(330)의 하부를 감싸며 결합되고 가압볼트(452)를 통해 분쇄축(330)에 고정되는 결합관(451), 및 결합관(45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분쇄축(330)이 회전시 분쇄 하우징(410)의 바닥면을 블레이딩 하는 블레이드(453)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관(451)의 상부에서 연결대(458)를 통해 연결되며, 가압볼트(456)를 통해 분쇄축(330)에 고정되는 제2 결합관(455), 및 제2 결합관(455)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분쇄축(330)이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제2 블레이드(45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타공판(420)은,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의 통공(421)(421')을 가지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밀대(432)(432')에는,
    회전방향 단부면에 경사부재(435)가 볼팅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되,
    경사부재(435)의 단부면에 경사면(434)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다수열의 수직날(445)(445')은,
    양 끝단으로부터 중간부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형태로 배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다수열의 수직날(445)(445')은,
    상부로부터 하부로갈수록 칼날(443)(443')의 끝단부를 향하도록 경사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13554A 2015-08-12 2015-08-12 농산물 분쇄장치 KR10170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554A KR101703438B1 (ko) 2015-08-12 2015-08-12 농산물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554A KR101703438B1 (ko) 2015-08-12 2015-08-12 농산물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438B1 true KR101703438B1 (ko) 2017-02-06

Family

ID=5810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554A KR101703438B1 (ko) 2015-08-12 2015-08-12 농산물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4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8675A (zh) * 2017-04-18 2017-06-20 石台县秋浦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富硒菜生产加工设备
CN107803252A (zh) * 2017-12-11 2018-03-16 江西省三抗保健品有限公司 一种保健食品材料研磨机
CN109513496A (zh) * 2018-12-18 2019-03-26 上海迎录机械设备有限公司 刀片式粉碎机
CN112294074A (zh) * 2020-07-10 2021-02-0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刀具、料理机及刀具制备方法
CN114704471A (zh) * 2022-04-25 2022-07-05 江苏创进泵阀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恒温防堵塞粉碎功能一体化智能自吸泵站及其安装方法
KR102428592B1 (ko) * 2021-12-23 2022-08-03 케이헬스푸드 주식회사 수삼칩을 첨가하여 식감을 향상시킨 고점도 액상의 홍삼제품 제조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점도 액상의 홍삼제품 제조방법
KR102527333B1 (ko) * 2023-01-20 2023-05-02 황현수 수평 및 수직 절단용 칼날을 가지는 믹서기용 커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61A (ko) 1998-07-28 2000-02-15 김몽필 농산물 분쇄장치
JP2003144956A (ja) * 2001-11-07 2003-05-20 Zojirushi Corp ミキサー用カッター
JP4226969B2 (ja) * 2003-07-15 2009-02-18 株式会社明和工業 破砕機
KR20100036050A (ko) * 2008-09-29 2010-04-07 김숙자 디스포저
KR101219753B1 (ko) * 2011-11-24 2013-01-09 박영근 음식물 믹서기용 커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61A (ko) 1998-07-28 2000-02-15 김몽필 농산물 분쇄장치
JP2003144956A (ja) * 2001-11-07 2003-05-20 Zojirushi Corp ミキサー用カッター
JP4226969B2 (ja) * 2003-07-15 2009-02-18 株式会社明和工業 破砕機
KR20100036050A (ko) * 2008-09-29 2010-04-07 김숙자 디스포저
KR101219753B1 (ko) * 2011-11-24 2013-01-09 박영근 음식물 믹서기용 커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8675A (zh) * 2017-04-18 2017-06-20 石台县秋浦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富硒菜生产加工设备
CN107803252A (zh) * 2017-12-11 2018-03-16 江西省三抗保健品有限公司 一种保健食品材料研磨机
CN109513496A (zh) * 2018-12-18 2019-03-26 上海迎录机械设备有限公司 刀片式粉碎机
CN112294074A (zh) * 2020-07-10 2021-02-0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刀具、料理机及刀具制备方法
WO2022007661A1 (en) * 2020-07-10 2022-01-13 Zhejiang Shaoxing Supor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Co., Ltd. Cutter, food processer and cutter manufacturing method
KR102428592B1 (ko) * 2021-12-23 2022-08-03 케이헬스푸드 주식회사 수삼칩을 첨가하여 식감을 향상시킨 고점도 액상의 홍삼제품 제조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점도 액상의 홍삼제품 제조방법
CN114704471A (zh) * 2022-04-25 2022-07-05 江苏创进泵阀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恒温防堵塞粉碎功能一体化智能自吸泵站及其安装方法
CN114704471B (zh) * 2022-04-25 2024-05-07 江苏创进泵阀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恒温防堵塞粉碎功能一体化智能自吸泵站及其安装方法
KR102527333B1 (ko) * 2023-01-20 2023-05-02 황현수 수평 및 수직 절단용 칼날을 가지는 믹서기용 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438B1 (ko) 농산물 분쇄장치
CN108348919B (zh) 粉碎装置和用于粉碎原材料的方法
JP5730761B2 (ja) 円錐形状衝撃式ミル
JP5756152B2 (ja) ミル装置
US3880367A (en) Grain mill
CN103586115A (zh) 一种搅拌粉碎一体化装置
JP2016016359A (ja) 砥石および磨砕装置
KR20120004004A (ko) 수직형 분쇄기
CN203002441U (zh) 一种粉碎机
CN206731217U (zh) 一种中药多级粉碎研磨装置
KR20120006052U (ko) 수평형 고추분쇄기
US2589307A (en) Grain cutter
KR101704258B1 (ko) 초미분 분쇄기
CN106085819A (zh) 一种高效捣碎型组织细胞匀浆机
CN207220083U (zh) 一种高效的食物制浆机
KR101335691B1 (ko) 고추 분쇄기
KR101327559B1 (ko) 식품분쇄장치
KR200242099Y1 (ko) 고추 분쇄기
KR200219303Y1 (ko) 고추 분쇄기
KR200444953Y1 (ko) 향신료 분쇄장치
KR101023269B1 (ko) 다용도 미분쇄 장치
KR101568259B1 (ko) 식품 분쇄기
KR100343939B1 (ko) 고추 분쇄기
KR200270660Y1 (ko) 분쇄기용 커터
US1392464A (en) Grinding-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