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050A - 디스포저 - Google Patents

디스포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050A
KR20100036050A KR1020080095484A KR20080095484A KR20100036050A KR 20100036050 A KR20100036050 A KR 20100036050A KR 1020080095484 A KR1020080095484 A KR 1020080095484A KR 20080095484 A KR20080095484 A KR 20080095484A KR 20100036050 A KR20100036050 A KR 20100036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otating
rotary
disposer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374B1 (ko
Inventor
김숙자
Original Assignee
김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자 filed Critical 김숙자
Priority to KR102008009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3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20Sickle-shaped kniv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포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판과 모터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음식물 분쇄용 디스포저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 연장선상에서 상기 회전판의 상부로 돌출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칼날; 및, 상기 회전칼날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자유회전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동양인의 식생활 습관에 따라 섬유질을 다량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시에도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가 미세하게 분쇄되어질 수 있고, 따라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포저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포저, 자유회전칼날, 배출

Description

디스포저 {Disposer}
본 발명은 디스포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양인의 식생활 습관에 따라 섬유질을 다량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시에도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가 미세하게 분쇄되어질 수 있고, 따라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인 디스포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는데, 이렇게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는 쉽게 부패하여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발명되고 있다.
이 중의 한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거나, 여기에 추가적으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발효를 위한 미생물을 분무하여 배출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의 디스포저가 개발되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인 디스포저의 경우는, 서양에서 개발된 시스템임에 따라 서양인의 식생활에 맞게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갈아서 분쇄하 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적 식생활에서는 섬유질이 많은 음식물을 많이 섭취하는 관계로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도 섬유질을 포함하는 쓰레기가 많이 포함되어 배출되므로, 종래의 방식인 갈아서 분쇄하는 경우에 분쇄 후에도 섬유질이 끊어지지 않아 분쇄 효과가 떨어지고, 긴 섬유질이 배출관을 막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섬유질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도 이를 잘 분쇄하여 배출에 문제가 없도록 배출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디스포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동양인의 식생활 습관에 따라 섬유질을 다량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시에도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가 미세하게 분쇄되어질 수 있고, 따라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포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판과 모터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음식물 분쇄용 디스포저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 연장선상에서 상기 회전판의 상부로 돌출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칼날; 및,
상기 회전칼날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자유회전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스포저에 따르면, 회전칼날과 자유회전칼날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동양인의 식생활 습관에 따른 섬유질을 다량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시에도 섬유질이 잘게 절단되어 배출되므로 전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가 용이하고, 분쇄가 고르게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가 미세하게 분쇄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이 배출 배관에서 걸리거나, 배관을 막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포저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스포저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5) 배수구에 설치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판(20), 상기 회전판(20)을 구동하는 모터(30), 및 상기 회전판(20)과 모터(30)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구(40)를 포함하는 음식물 분쇄용 디스포저에 있어서, 상기 모터(30)의 구동축 연장선상에서 상기 회전판(20)의 상부로 돌출하는 회전축(50); 상기 회전축(50)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칼날(60); 및, 상기 회전칼날(60)과 회전판(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자유회전칼날(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디스포저는 도 1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는 디스포저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판(20), 상기 회전판(20)을 구동하는 모터(30), 및 상기 회전판(20)과 모터(30)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구(40)를 포함하는 것은 통상의 음식물 분쇄용 디스포저의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디스포저는 특히,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칼날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기는 하나 여기에 고정되지 않고 상시 회전축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자유회전칼날을 가지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상기 모터(30)의 구동축 연장선상에서 상기 회전판(20)의 상부로 돌출하는 회전축(50)과, 이러한 회전축(5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칼날(60) 및, 상기 회전칼날(60)과 회전판(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5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자유회전칼날(7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통하여 음식물 분쇄의 효과를 현격히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자가 다수의 칼날을 도입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된 것으로, 종래의 강제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칼날들에 의해서만 절단이나 분쇄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칼날 및 회전판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이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가 함께 회전하게 되면 더 이상의 절단이나 분쇄가 이루어지지 않아 미분쇄의 잔류 음식물이 존재하던 것이, 본 발명자가 자유회전칼날(70)을 상기 회전칼날(60)과 회전판(20)에 설치한 경우에는 회전축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하는 칼날이 존재함에 따라, 회전운동에 연동되지 않는 요소가 디스포저 내에 존재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함께 회전하는 경우에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회전운동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상기 자유회전칼날과 충돌 내지 절단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회전운동에 대한 연동이 흐트러지거나 깨져, 다시 분쇄 및 절단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미분쇄 잔류 음식물이 현격하게 줄어드는 결과를 얻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이러한 디스포저의 시스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이러한 디스포저의 회전판, 회전칼날, 자유회전칼날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자유회전칼날(7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2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의 블레이드로 이를 형성하는 것이 절단 및 분쇄의 적절성 측면에서 좋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칼날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자유회전칼날은 양 측면(여기서는 각 블레이드의 측면을 의미함.)에 모두 칼날이 있을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유회전칼날은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는 날이 서고, 다른 하나는 날이 없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하여 음식물과 충돌(날이 없는 측면) 및 이에 따라 역회전과 절단(날이 있는 측면)이 이루어져 회전에 따른 분쇄에 있어서 불규칙성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유회전칼날(70)은 상기 날의 형성 형태가 도 3의 (a)와 도 4의 (a)에 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50)을 기준으로 점대칭(양 측면에 엇갈려 날이 선 상태)이거나 도 3의 (b)와 도 4의 (b)에 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대칭(일 측면 전체에 거쳐 날이 선 상태)인 것이 상기 불규칙성 증가를 위하여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유회전칼날(70)은 끝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벽과 이격되는 반경(하우징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을 가지며, 바닥면에 요철무늬를 가지며, 측면의 어느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칼날의 날은 상면이 돌출하고 하면이 매몰된 형태의 날인 것이 좋다. 즉, 자유회전칼날(70)은 끝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벽과 이격되는 반경(하우징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을 가짐에 따라 1차적으로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칼날(60)에 의한 분쇄가 이루어지고, 2차적으로 자유회전칼날에 의한 분쇄가 이루어지고, 3차적으로는 원심력에 의하여 측면으로 밀려간 음식물은 측면에 형성된 칼날(이에 대해서는 통상의 디스포저가 하우징의 내면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 칼날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에 의하여 분쇄되어지는 3단계 분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유회전칼날의 날은 도 3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돌출하고 하면이 매몰된 형태의 날(바람직하게는 45 도 각도의)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에 따라 절단된 음식물을 바닥면(회전판)으로 밀어 넣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서 이후에 설명할 회전판의 관통공(22)(통상의 디스포저에 존재하는 구성임.)으로 음식물을 밀어 넣어 미절단된 음식물의 일부가 회전판에 고정되게 하여 이후에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관통공(22)에 의하여 절단 또는 분절되게 할 수 있으며, 여기에 바닥면에 요철무늬를 가지는 경우에는 자유회전칼날의 밑면이 맷돌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칼날 밑으로 들어온 음식물을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철무늬는 널링이나 깔쭉이 또는 빗살무늬 등 다양한 형태로 이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예 는 자유회전칼날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에 추가하여 상기 회전판(20)의 상면에도 요철무늬를 더 포함하도록 하면 분쇄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자유회전칼날의 절단 및 절단 이후의 음식물 배출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자유회전칼날의 측면의 어느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3의 (c)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판(20)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의 배출 및 회전 중의 고정 및 절단을 위하여 다수의 관통공(22)을 가지는데, 상기 관통공(22)은 도 2의 아래에 그 구체적인 예를 조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테이퍼가 지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관통공에 의한 음식물 절단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포저에 대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포저에 적용되는 회전판, 회전칼날, 자유회전칼날의 상대적 위치 및 구동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평면도 및 회전판의 일부 단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포저에 적용되는 자유회전칼날의 구체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포저에 적용되는 자유회전칼날의 구체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싱크대 10: 하우징
20: 회전판 22: 관통공
30: 모터 40: 배출구
50: 회전축 60: 회전칼날
70: 자유회전칼날

Claims (4)

  1.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판과 모터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음식물 분쇄용 디스포저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 연장선상에서 상기 회전판의 상부로 돌출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칼날; 및,
    상기 회전칼날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자유회전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회전칼날은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는 날이 서고, 다른 하나는 날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회전칼날은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이격되는 반경을 가지며, 바닥면에 요철무늬를 가지며, 측면의 어느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칼날의 날은 상면이 돌출하고 하면이 매몰된 형태의 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테이퍼가 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KR1020080095484A 2008-09-29 2008-09-29 디스포저 KR101047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484A KR101047374B1 (ko) 2008-09-29 2008-09-29 디스포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484A KR101047374B1 (ko) 2008-09-29 2008-09-29 디스포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050A true KR20100036050A (ko) 2010-04-07
KR101047374B1 KR101047374B1 (ko) 2011-07-07

Family

ID=4221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484A KR101047374B1 (ko) 2008-09-29 2008-09-29 디스포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3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251A (ko) 2014-06-23 2015-12-31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20160018150A (ko) 2014-08-08 2016-02-17 코웨이 주식회사 무전원 분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73218A (ko) 2014-12-16 2016-06-24 코웨이 주식회사 분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438B1 (ko) * 2015-08-12 2017-02-06 서춘동 농산물 분쇄장치
CN107716026A (zh) * 2017-10-31 2018-02-23 杨解定 一种餐厨垃圾粉碎装置
US20210120747A1 (en) * 2019-10-25 2021-04-29 Sesh Technologies Manufacturing Inc. d/b/a STM Canna Dual-blade agricultural grind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44Y1 (ko) * 1999-09-09 2000-02-15 한일전기주식회사 전기 믹서기의 회전날 조립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251A (ko) 2014-06-23 2015-12-31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20160018150A (ko) 2014-08-08 2016-02-17 코웨이 주식회사 무전원 분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73218A (ko) 2014-12-16 2016-06-24 코웨이 주식회사 분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438B1 (ko) * 2015-08-12 2017-02-06 서춘동 농산물 분쇄장치
CN107716026A (zh) * 2017-10-31 2018-02-23 杨解定 一种餐厨垃圾粉碎装置
US20210120747A1 (en) * 2019-10-25 2021-04-29 Sesh Technologies Manufacturing Inc. d/b/a STM Canna Dual-blade agricultural grinder
US11724263B2 (en) * 2019-10-25 2023-08-15 Sesh Technologies Manufacturing Inc. Dual-blade agricultural gr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374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74B1 (ko) 디스포저
CN201832834U (zh) 食物垃圾处理器系统
US7337996B2 (en) Food waste disposer grinding mechanism
KR20110029860A (ko) 멀티 고정 분쇄 칼날이 구비된 디스포저
KR20110029859A (ko) 다단의 분쇄 돌기가 구비된 디스포저
KR20150000356U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CN101653738B (zh) 粉碎机
KR1010051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3393802U (zh) 一种食物垃圾粉碎装置
KR101319883B1 (ko) 미세 분쇄를 위한 디스포저
KR100970930B1 (ko) 디스포저
KR10137990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101747946B1 (ko)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KR200453527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32622B1 (ko) 디스포저
KR101378156B1 (ko) 해머부재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20080003682U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를 위한 회전날
KR20110067499A (ko) 싱크대용 디스포저
JP2002001147A (ja) 粗砕刃とこれを用いた粉砕装置
KR102287258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1167482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1014138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58328B1 (ko) 저소음 회전날부를 이용한 디스포저
KR20130106040A (ko) 분쇄장치
KR2012005086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