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660Y1 - 분쇄기용 커터 - Google Patents

분쇄기용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660Y1
KR200270660Y1 KR2020010040016U KR20010040016U KR200270660Y1 KR 200270660 Y1 KR200270660 Y1 KR 200270660Y1 KR 2020010040016 U KR2020010040016 U KR 2020010040016U KR 20010040016 U KR20010040016 U KR 20010040016U KR 200270660 Y1 KR200270660 Y1 KR 200270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grinding
grinder
siz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활
Original Assignee
이근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활 filed Critical 이근활
Priority to KR2020010040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66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 콩을 포함하는 콩 류 및 각종 곡물류의 분쇄기용 분쇄커터에 관한 것으로써 ,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기의 분쇄를 위한 두 개의 분쇄커터를 양쪽을 서로 바라보게 설치하고 두 개의 커터면의 커터의 산(山)의 수와 각도를 효율적으로 접목시켜서 분쇄의 시간을 줄이면서도 매우 고른 분쇄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용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이로 인해, 분쇄의 시간을 최대로 단축 할 수가 있음은 물론 분쇄입자의 크기도 매우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커터의 간격을 조정함에 따라 분쇄입자의 크기도 임의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고안은 커피 콩을 포함하는 콩 류 및 각종 곡물류의 분쇄용에만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제품의 분쇄에 폭 넓게 사용 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쇄기용 커터 {CUTTER FOR MILLERS}
주지된 바와 같이 각종 분쇄기의 형태는 바람개비 형태를 이용하여 분쇄물을 부수는 형태로 하여 분쇄된 분쇄물을 바람개비의 날개를 이용하여 원심력 등으로 외부로 토출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고속회전이 가능한 경우에 국한되며 따라서 과다한 소음이나 진동을 수반하게 되며 또한 분쇄물의 비산이 심하여 별도의 비산방지 장치 등을 통해서 분쇄물을 받아내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 지며 분쇄물의 크기도 고르지 못하고 분쇄물의 입자의 크기도 한 종류로 밖에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두 개의 칼날을 서로 마주 보게하는 방식 등도 있으나 칼날 면을 단순하게 돌출가공을 하거나 돌기를 형성하여 두 개의 칼날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고정시켜 놓음으로 인해서 분쇄의 시간이 길어지고 분쇄입자의 크기도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써, 분쇄용 커터면을 수개로 등분하고 등분된 커터의 면을 수개의 산(山)을 형성시키고 분쇄물을 투입하고 커터가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을 할때, 원심력에 의하여 외부로 잘 토출이 되도록 각 산(山)은 개별적으로 각도를 주어서 단순히 돌기를 준다거나 돌기형태로 가공을 한다거나 하는 데서 오는 분쇄물 투입의 문제나 배출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고속회전용 교류전동기를 채용하는 분쇄기에서나 저속형 직류전동기를 채용하는 분쇄기를 막론하고 적용을 할 수가 있으며 가장 짧은 시간내에, 그리고 매우 일정한 크기로 분쇄를 할 수 있는 각종 분쇄기의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있다.
도 1.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분쇄기용 커터의 사시도
도 2.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용 커터의 평면도
도 3.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용 커터의 적용 실시예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쇄기용 커터에 있어서 분쇄용 커터면을 수개로 등분하고 등분된 커터의 면을 수개의 산(山)을 형성시키서 커터의 한쪽은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은 전동기로 회전을 시킬 때 가장 짧은 시간내에, 그리고 매우 일정한 크기로 분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용 커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용 커터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용 커터의 적용 실시예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의 원주를 n개로 등분을 한 후 n개의 개별 등분된 각 면에 대하여 다시 m개의 산(山)으로 나누고 이 m개로 나누어 진 것은 개별적으로 각도를 각각 달리하여 줌으로써 커터가 회전을 할 때 분쇄물이 이 m개의 산의 각도에 따라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분쇄가 되게 하므로 짧은 시간내에 분쇄가 가능하게 되고 분쇄의 입자크기도 일정하게 확보 할 수가 있다. 여기서 n과 m의 수는 균등한 분배를 위하여 짝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과 도2는 커터의 원주면을 6개로 나누고 각 면을 다시 6개의 개별 산(山)으로 분할 하여 각 산(山)의 각도를 달리한 실시예이다.
여기서 각 n개의 원주면에 대한 m개의 산(山)을 분할 할 때 도 2와 같이 4가지의 요소를 고려하며 이 4가지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h1,h2,h3,h4,h5,h6)과 같은 각 산(山)의 높이이고 둘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의 길이(a,b,c,d,e,f)이고 셋째는, 커터의 분쇄면의 면적을 결정하는 (1,2,3,4,5,6)의 길이이고 넷째는, (θ 1,θ 2,θ 3,θ 4,θ 5,θ 6)와 같은 각 산(山)의 각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1과 같이 분쇄물이 커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배출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되도록 하는 것에 국한하지는 않으며 평면부의 면적 (1,2,3,4,5,6)를 외측에 두지 않고 내측에 두어 분쇄물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배출이 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목적하는 바와 같이 짧은 시간내에 분쇄가 가능하게 하고 매우 고른 분쇄효과를 얻기 위해서 상기의 4가지 요소는 커터의 크기나 내,외경의 크기에 따라 각기 일정한 비율로 그 크기를 달리 하여 커터가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내부에서 외부로혹은 외부에서 내부로 분쇄가 이루어지고 분쇄된 입자는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3의 (b)와 같이 반대편 다른 쪽의 커터와 마주보게 설치될 때 내부 또는 외부의 분쇄물의 투입되는 입구의 공간이 크게 확보되어 분쇄물의 투입이 용이하게 되며 커터의 전 원주에 걸쳐서 일정한 등 간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분쇄가 일정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분쇄기용 커터는 최종적인 분쇄기의 형상에 따라 한쪽 커터면을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을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제작을 할 경우는 분쇄입자의 크기도 자유자재로 선택하여 분쇄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두 개의 커터면을 커터의 크기에 따라 수개로 등분을 한 후 개개의 커터면에 분쇄물의 투입부분과 토출부분에 따라 투입과 토출이 용이하도록 개별적으로 각도를 준 후 분쇄를 위한 두 개의 커터를 양쪽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한쪽은 고정시키고 한쪽커터를 회전시키면 분쇄의 시간을 최대로 줄이면서도 매우 고른 분쇄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분쇄기 외부에서 한쪽커터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두 개의 커터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면 분쇄입자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임의로 선택해서 분쇄를 할 수가 있으며 또한 고속형 교류전동기를 채용하는 분쇄기에서도 분쇄물이 두 개의 커터면 내에서 분쇄되고 토출이 이루어 지므로 분쇄물의 비산을 막을 수 있어 분쇄물 비산방지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어지게 되며 저속형 직류 전동기를 채용하는 분쇄기의 경우에서도 고속회전의 경우의 이상으로 빠른 시간내에 분쇄를 할 수가 있어 장시간 회전에 따르는 소음이나 진동, 그리고 전동기 자체의 발열이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일거에 개선을 할 수가 있고 또한 단순한 분쇄칼날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비교할 수 없는 분쇄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궁극적으로는 전동기의 고속회전이나 장시간 운전에 따르는 여러 가지 형태의 불량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분쇄입자의 크기를 조절 할 수가 있어 상품의 다양한 수요를 창출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두 개의 커터면을 커터의 크기에 따라 수개로 등분을 한 후 개개의 커터면에 분쇄물의 투입부분과 토출부분에 따라 투입과 토출이 용이하도록 개별적으로 각도를 준 분쇄용 커터
  2. 분쇄기의 외부에서 한쪽 커터는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 커터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쇄 입자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분쇄기 본체의 고정부와 회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분쇄기용 커터
KR2020010040016U 2001-12-24 2001-12-24 분쇄기용 커터 KR200270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016U KR200270660Y1 (ko) 2001-12-24 2001-12-24 분쇄기용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016U KR200270660Y1 (ko) 2001-12-24 2001-12-24 분쇄기용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660Y1 true KR200270660Y1 (ko) 2002-04-03

Family

ID=7311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016U KR200270660Y1 (ko) 2001-12-24 2001-12-24 분쇄기용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6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114A (ko) * 2002-09-18 2004-02-14 한규봉 커피 분쇄기의 분쇄날 구조 및 그 분쇄날을 제조하기 위한금형장치
KR102610418B1 (ko) 2022-10-17 2023-12-05 우성환 2단 절단형 분쇄 공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114A (ko) * 2002-09-18 2004-02-14 한규봉 커피 분쇄기의 분쇄날 구조 및 그 분쇄날을 제조하기 위한금형장치
KR102610418B1 (ko) 2022-10-17 2023-12-05 우성환 2단 절단형 분쇄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1835B2 (ja) 粉砕物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KR101703438B1 (ko) 농산물 분쇄장치
WO2016006639A1 (ja) 砥石および磨砕装置
KR970025715A (ko) 기계식 분쇄 장치
US4502643A (en) Household grist mill
KR200270660Y1 (ko) 분쇄기용 커터
JP3154692B2 (ja) 微粉砕装置
JP3762257B2 (ja) 粉体、粒状体等の原料粉砕方法
JP3503000B2 (ja) 粉砕機
CN105536929A (zh) 用于食品研磨加工的陶瓷磨盘
KR100356701B1 (ko) 분쇄기
KR101907137B1 (ko) 곡물분쇄기의 내부분쇄망 및 분쇄칼날 구조
KR20130119054A (ko) 고추 분쇄기
KR101932391B1 (ko) 커피 원두 분쇄장치
JP6472501B2 (ja) 砥石および磨砕装置
JPH11179222A (ja) 粉砕装置
JP2004330072A (ja) 乾式粉砕装置
JP2003001127A (ja) 粉砕機
KR200444953Y1 (ko) 향신료 분쇄장치
KR200204228Y1 (ko) 고추 분쇄기
JPH07185372A (ja) 高速粉砕方法および装置
WO2023153449A1 (ja) 粉砕機
KR100265695B1 (ko) 비접촉 분쇄로울러구조를 갖는 분쇄기
KR102000091B1 (ko) 분쇄 디스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분쇄 장치
KR20110079130A (ko)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