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142A -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142A
KR20230027142A KR1020237000233A KR20237000233A KR20230027142A KR 20230027142 A KR20230027142 A KR 20230027142A KR 1020237000233 A KR1020237000233 A KR 1020237000233A KR 20237000233 A KR20237000233 A KR 20237000233A KR 20230027142 A KR20230027142 A KR 20230027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s
grinder
coffee
grind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지아드 유세프 아이트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02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4Automatic starting or stopping devices; War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8Methods of grind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08Adjus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10Grinding c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0Supplying devices, e.g. funnels; Supply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2043/0733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하나의 또는 상이한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3, 14),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3, 14)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 및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수용하기 위한 분쇄기(30)를 포함하는 기계(110)를 제공하는 단계 - 분쇄기(30)는 각각 상이한 분쇄도에 대해 상이한 분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됨 -; 분쇄기(30)가 특정 분쇄 위치에 있도록 분쇄기(30)를 설정하는 단계; 분쇄기(30)를 설정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를 이용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기(30)로 분배하는 단계; 및 분쇄기(30)로 상기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고, 그에 따라,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을 때까지, 그렇게 분쇄된 커피 콩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특히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전자동(full automatic) 음료 제조 기계에 사용된다. 전자동 기계는, 로스팅된(roasted) 커피 콩을 저장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커피 음료를 컵 내로 전달하는 것으로 종료되는 전자동 공정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커피 콩은 리셉터클(receptacle), 즉 캐니스터(canister)에 저장되고, 로스팅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제공되는 분쇄기와 직접 접촉한다. 따라서, 분쇄기는 커피 콩에 의해 잠기게 된다. 이어서, 분쇄된(그라인딩된) 커피의 전달은 시간에 의해 또는 분쇄기의 회전수에 의해 체적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2가지 주요 문제를 초래한다. 첫째, 리셉터클에 커피 콩을 저장하는 것은, 커피 콩이 노화되고 그에 따라 열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천연물로서의 커피 콩은 산화되기 쉽다. 산화된 커피 콩의 맛은 소비자에 의해 쉽게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내부 관능 연구에 따르면, 80 마이크로그램의 산소(O2)가 1 그램의 커피에 의해 흡수될 때 - 이는 체적비의 관점에서 3%의 산소/커피 또는 15%의 공기/커피로 이어짐 -, 이러한 산화된 맛이 검출될 수 있다. Specialty Coffee Association에서 발행한 Coffee Freshness 핸드북 초판에 따르면, 패키징된 커피에서, 매우 낮은 수준(2% 미만)에서도 산소가 커피로 이동하여 산화 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연구는, 커피 내의 소정 유형의 아로마 화합물이 거의 분쇄 직후 소멸되기 시작하고, 커피 보관의 첫 달에 최대 비율의 화학적 신선도 손실이 발생하며, 이는 커피 블렌드, 로스트 정도 또는 추출 기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산화탄소도 추출에 영향을 미치며: 커피가 얼마나 신선한지를 고려하기 위해 에스프레소(espresso) 추출 파라미터가 조정될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이 물 유동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고 추출 물과 커피 사이의 접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둘째, 특정 커피 음료에 대한 분쇄기 설정의 조정이 수행될 수 없거나 또는 적어도 수행되기 어렵다. 분쇄기 설정의 이러한 조정은, 특히, 전달된 분쇄된 커피 콩이 원하는 커피 음료에 의해 요구되는 분쇄도(즉, 입도, 조도 또는 입자 크기)를 갖도록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의 조정을 요구한다. 그러나, 분쇄기가 커피 콩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커피 콩은 특정 분쇄도로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의 조정을 위한 분쇄기의 이동을 차단한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동 기계는 리스트레토(ristretto), 에스프레소, 룽고(lungo)와 같은 상이한 음료에 대해 단지 하나의 분쇄 설정, 즉 단지 하나의 분쇄도로 분쇄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는, 상이한 커피 음료가, 무엇보다도, 상이한 입자 크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전달된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는 맛이 좋은 커피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룽고보다 더 작은 입자 크기 및 그에 따른 더 작은 분쇄도를 요구한다. 즉, 압력 추출 커피 기계(전자동 기계를 포함함)에서, 유량은 커피 분쇄(즉, 입자 크기 분포)에 의존하며: 음료의 크기에 맞는 적절한 양의 물질을 커피 베드(bed)로부터 추출하는 데 더 느린 유동을 필요로 하는 에스프레스 및 리스트레토에 대해 더 가는 입자가 요청된다. 반대로, 룽고 커피는 더 조대한 입자를 필요로 하여, 과다 추출을 초래하지 않고서 음료의 "더 긴" 크기에 맞는 적절한 양의 물질을 커피 베드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더 빠른 유동을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추출 수율은 맛이 좋은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조정되어야 하는 파라미터이다. 추출 수율은 브루잉된 커피(brewed coffee)에 용해되게 되는 커피 분쇄물의 질량 백분율이다. SCAE(Speciality Coffee Association - Europe)에 따르면, 관능적 관점에서 균형 잡힌 그리고 그에 따라 맛이 좋은 커피 음료를 얻기 위해서는 커피 베드의 18 내지 22%, 이상적으로는 20%의 추출 수율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리고 20%의 수율을 유지하기 위해, 바리스타(Barista)는 입자 크기, 즉 입도를 특정 커피 음료에 적응시킨다. 상기 권장 수율 미만의 값은 과소 추출로 간주되고, 상기 권장 수율 초과의 값은 과다 추출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을 극복하는, 분쇄된 커피를 음료 제조 기계 내로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분쇄된 커피를 음료 제조 기계 내로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유형의 커피 음료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상이한 유형의 커피 음료에 대해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개선된 자동 공정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의 설명을 읽을 시에 명백해지는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독립항의 요지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언급한다.
특히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은, 하나의 또는 상이한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우징(dosing) 장치, 및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분쇄하고 그렇게 분쇄된 커피 콩을 후속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상기 커피 콩을 수용하기 위한 분쇄기를 포함하며, 분쇄기는 각각 상이한 분쇄도에 대해 상이한 분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는,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가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내측에 커피 콩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즉,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과 분쇄기 사이에 배열된다. 그에 의해,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는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한 유지 요소로서 작용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는 유지 모드와 분배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유지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로서 작용하고(즉,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에 저장된 커피 콩은 분배되지 않고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 상에 놓이고/놓이거나 지지됨), 분배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는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도록 배열된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 및 분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어 유닛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이 분쇄기로 분배되도록, 그리고 분쇄기를 제어하여, 분쇄기가 상기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분쇄기에 커피 콩이 없어서, 분쇄기가 후속적으로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될 수 있게 할 때까지, 그렇게 분쇄된 커피 콩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정 양 또는 수량의 커피 콩이 분쇄기에 의해 분쇄되고 그에 따라 전달될 때, 분쇄기에는 항상 커피 콩이 없다. 따라서, 분쇄기에 커피 콩이 없는 분쇄기의 상태에서, 분쇄기는 분쇄된 커피를 소정 또는 원하는 유형의 커피 음료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공되는 입자 크기로 분배하기 위해 특정 분쇄도를 갖는 특정 분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및 특히 분쇄기는 분쇄된 커피의 단지 하나의 입자 크기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상이한 커피 음료를 위해 복수의 상이한 입자 크기(특히, 각각 상이한 체적 모멘트 평균(드 브뤼케르(De Brouckere) 평균 직경, D[4,3])을 갖는 분쇄된 커피 입자의 1회분(serving)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은 상이한 유형의 커피 음료들 사이에서 절충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스템은 커피 콩의 유형(원산지, 로스팅 수준 등), 분쇄된 커피의 특정 양, 특정 온도를 갖는 물의 특정 체적, 특정 압력(드립(drip), 압력 등), 및 추출 시간뿐만 아니라, 특정 분쇄도, 즉 분쇄된 커피의 특정 입자 크기가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사용자 요청에 기초하여, 또한, 요청된 분쇄된 커피로부터 제조될 커피 음료에 대해 적응되는 입자 크기의 분쇄된 커피를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분배된 분쇄된 커피로부터 제조될 커피 음료가 과소 추출 또는 과다 추출될 위험이 없거나 적어도 상당히 감소되어, 그에 의해 커피 음료의 품질을 개선한다.
분쇄기는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는 2개의 분쇄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분쇄 요소는 2개의 분쇄 요소들 사이에서 수용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서로(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2개의 분쇄 요소는, 커피 콩이 들어갈 수 있고 후속적으로 분쇄를 위해 수용될 수 있는 갭을 경계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콩의 매우 효율적인 분쇄가 달성된다. 2개의 분쇄 요소, 즉 갭은, 또한, 2개의 분쇄 요소들 사이의 공간 내로의 커피 콩의 진입을 위한 입구, 및 분쇄된 커피가 분쇄기에 의해 그를 통해 분배될 수 있는 출구를 경계설정할 수 있다. 2개의 분쇄 요소의 상대 이동, 예컨대 회전 이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이동을 위해, 분쇄 요소들 중 단지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이동할 수 있다.
분쇄기는 분쇄 요소 및 그에 따라 분쇄기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기는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즉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원하는 하나의 분쇄 위치로 매우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 중 각자의 도우징 장치에 연결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 각각 및 각자의 도우징 장치가 전체 유닛으로서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특히 용기에 저장된 커피 콩을 전체 유닛의 제거 동안 리셉터클 외측으로 보내지 않고서, 매우 용이하게 생성되고/되거나 매우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 유닛은 분배된 커피 콩의 측정된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커피 콩의 매우 정밀한 도우징을 위한 피드백 루프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유닛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의 일부이고/이거나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 내에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는, 또한, 측정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으며, 즉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는, 또한, 분배된 커피 콩의 양을 측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콩을 분배하는 것 및 분배된 커피 콩의 양을 측정하는 것 둘 모두를 위한 매우 콤팩트한 배열이 제공된다. 추가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 및 측정 유닛은 함께, 즉 전체 유닛으로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 및 측정 유닛의 조립 및 유지보수를 개선한다. 대안적으로, 측정 유닛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와는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측정 유닛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체적 및/또는 중량 및/또는 수를 측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은 커피 콩의 체적 및/또는 중량 및/또는 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시스템은 단지 하나의 분쇄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단지 하나의 분쇄기만이 복수의 도우징 장치 및/또는 복수의 리셉터클에 대해 제공될 때, 기계의 매우 간단하고 콤팩트한 설계가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복수의 분쇄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분쇄기는 도우징 장치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시스템은, 분쇄기, 특히 분쇄 요소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분쇄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분쇄기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분쇄기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구동 유닛, 및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분쇄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이 복수의 분쇄기를 포함하는 경우, 탈착가능 연결은, 각자의 다른 분쇄기로 커피 콩을 분쇄하는 공정이 유지되는 동안, 분쇄기들 중 하나가 각자의 구동 유닛으로부터 탈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동시에,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해 서비스되고 작동될 수 있다.
분쇄기는 원추형 버(conical burr) 유형의 것 또는 플랫 버(flat burr) 유형의 것일 수 있다.
분쇄기는 커피 콩을 일정한 속도 및/또는 가변 속도(예컨대, 회전 속도)로 분쇄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특히 커피 음료의 유형에 기초하여, 분쇄기는 분쇄를 위한 분쇄기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분쇄기는 상이한 유형의 커피 음료에 대한 커피 콩을 동일한 (일정한) 속도로 분쇄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시스템은 추가 유지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추가 유지 요소는, 분쇄기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이들 커피 콩을 분쇄기를 향해, 특히 2개의 분쇄 요소에 의해 경계설정된 갭 내로 밀어 넣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이러한 추가 유지 요소는 커피 콩이 분쇄기로부터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로, 추가 유지 요소는 특정 양의 커피 콩이 분쇄기에 의해 신속하게 분쇄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어 유닛은 분쇄기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존재 및 부재를 나타내는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분쇄기를 제어하여, 적어도 제어 유닛이 분쇄기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부재를 나타내는 존재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특히 2개의 분쇄 요소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쇄기가 분쇄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분쇄기에 커피 콩이 없는 분쇄기의 상태는 존재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존재 신호는 (예컨대, 분쇄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파라미터를 평가함으로써) 제어 유닛 자체에 의해 도출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유닛 이외의 수단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존재 센서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존재 신호는, 특히 분쇄 요소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쇄를 위해 분쇄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된 힘 및/또는 토크에 기초하며, 여기에서 제어 유닛은, 감지된 힘 및/또는 토크가 정의된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부재를 나타내는 존재 신호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서, 힘 및/또는 토크는 분쇄기에 의해 달성되는 분쇄 공정의 종료를 결정하기 위해 감지된다. 따라서, 특히 추가 센서를 요구하지 않고서, 존재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매우 낮은 비용의 해결책이 제공된다.
제어 유닛은 특정 제어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어 유닛은, 특정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해 분쇄기를 제어하도록, 그리고/또는 특정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해 도우징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시스템은 제어 입력의 각자의 요청에 특히 잘 맞춰진 분쇄된 커피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입력은 레시피(recipe), 특히 제조될 커피 음료에 대한 레시피일 수 있다. 시스템은 제어 입력을 입력하기 위해 제어 유닛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산소 장벽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 밀폐 용기일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에 저장된 커피 콩은 산화로 인한 열화가 방지된다.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 각각은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해 펌프 또는 역방향 펌프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는 커피 콩의 매우 정밀한 도우징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선택적으로, 커피 콩을 다시 각자의 리셉터클 내로 분배할 수 있다.
시스템은 칭량 유닛(weighing unit)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칭량 유닛은, 분쇄기에 의해 분쇄되고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배열되고, 칭량 유닛은 수용된 분쇄된 커피의 측정된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분쇄기를 제어하여, 적어도 칭량 유닛에 의해 측정된 분쇄된 커피의 중량이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커피 콩의 양에 대응할 때까지, 특히 2개의 분쇄 요소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쇄기가 분쇄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칭량 유닛은 분쇄기에 커피 콩이 없는(즉, 그의 잔류 또는 잔여물이 없는) 분쇄기의 상태를 식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시스템은, 분쇄기에 의해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 콩을 수용하여 그렇게 수용된 분쇄된 커피 콩으로 커피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브루잉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방법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본 방법은, 하나의 또는 상이한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에 저장된 콩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 및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수용하기 위한 분쇄기를 포함하는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에 따른) 기계를 제공하는 단계 - 분쇄기는 각각 상이한 분쇄도에 대해 상이한 분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됨 -; 분쇄기가 특정 분쇄 위치에 있도록 분쇄기를 설정하는 단계; 분쇄기를 설정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기로 분배하는 단계(즉, 분쇄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분배하는 단계 전에 수행됨); 및 분쇄기로 상기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고, 그에 따라, 분쇄기에 커피 콩이 없을 때까지, 그렇게 분쇄된 콩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분쇄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바람직하게는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닛으로, 분쇄기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분쇄기는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는 2개의 분쇄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분쇄 요소는 2개의 분쇄 요소들 사이에서 수용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방법은, 분쇄 요소 및 그에 따라 분쇄기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거리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계는 단지 하나의 분쇄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구동 유닛으로부터 분쇄기를 탈착시킴으로써, 분쇄기를 탈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분쇄기는 원추형 버 유형의 것 또는 플랫 버 유형의 것일 수 있다.
분쇄기는 커피 콩을 일정한 속도 및/또는 가변 속도로 분쇄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분쇄기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적어도 커피 콩의 존재를 감지하는 동안, 예컨대 분쇄기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부재가 감지될 때까지, 분쇄를 위해 분쇄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분쇄를 위해 분쇄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힘 및/또는 토크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힘 및/또는 토크가 정의된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분쇄를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특정 제어 입력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분쇄기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또는 도우징 장치들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특정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입력은 레시피, 특히 제조될 커피 음료에 대한 레시피일 수 있다. 기계는 제어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분쇄기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유지 요소로, 이들 커피 콩을 분쇄기를 향해, 특히 2개의 분쇄 요소에 의해 경계설정된 갭 내로 밀어 넣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 중 각자의 도우징 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 중 적어도 하나 및 각자의 도우징 장치를 전체 유닛으로서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산소 장벽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 밀폐 용기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 각각은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해 펌프 또는 역방향 펌프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을 측정 유닛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분배된 커피 콩의 측정된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측정 유닛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유닛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체적 및/또는 중량 및/또는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분쇄기에 의해 분쇄되고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의 중량을 칭량 유닛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수용된 분쇄된 커피의 측정된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칭량 유닛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방법은, 적어도 칭량 유닛에 의해 측정된 분쇄된 커피의 중량이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커피 콩의 양에 대응할 때까지, 특히 2개의 분쇄 요소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쇄를 위해 분쇄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분쇄기에 의해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 콩을 브루잉 유닛에 의해 수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동봉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커피 제어 브루잉 차트이다.
도 2는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으로 제조될 수 있는 상이한 커피 음료의 추출 수율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차트이다.
도 1에, 커피 제어 브루잉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y축은 강도를 나타내고, 커피 음료의 물에 얼마나 많은 커피 고형물이 용해되게 되는지를 의미한다. 강도는 총 용존 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s, TDS)로 표현되고, 굴절계로 측정될 수 있다. 강도의 수준은 선호도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립 커피는 강도, 즉 TDS의 수준이 이상적으로는 1.2% 내지 1.4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x축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고, 브루잉된 커피에 용해되게 되는 커피 분쇄물의 질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이상적으로는, 추출 수율은 18% 내지 22%의 범위 내에 있다. 추출 수율은, 특히, 커피의 유형(원산지, 로스팅 수준 등), 음료당 분쇄된 커피의 수량, 음료의 체적, 브루잉 물의 온도, 추출 기법(압력, 드립 등), 추출 시간, 및 분쇄된 커피의 분쇄 크기에 의존한다.
도 1에서, TDS의 이상적인 범위와 추출 수율의 이상적인 범위가 중첩되고, 차트의 중심에 있는 박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중앙 박스는 최적의 드립 커피 한 잔을 나타낼 수 있다. 선호도에 따라, 또한, 추출 수율의 이상적인 범위(18% 내지 22%) 내에 있지만 상기 이상적인 강도보다 높거나 낮은 강도(TDS)의 수준을 갖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추출 수율의 범위 내에 있고 약 5% 내지 8%의 범위 내에 있는 커피는 룽고이고, 이상적인 추출 수율의 범위 내에 있고 8%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는 커피는 에스프레소이며, 이상적인 추출 수율의 범위 내에 있고 12% 내지 18%의 범위 내에 있는 커피는 리스트레토이다.
도 1은, 또한, 1 리터당 그램 단위로 표현되는 일정한 브루잉 비율의 선을 도시한다. 즉, 각자의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분쇄된 커피의 중량 및 물의 양이 알려져 있는 경우, 차트에서 각자의 선을 찾을 수 있다. 그러면, TDS 및 추출 수율은 각자의 선 상의 어딘가에, 예컨대 이상적인 추출 수율 내에 또는 이상적인 추출 수율 밖에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주어진 브루잉 비율에 대해, 이상적인 추출 수율 미만인 커피 음료의 추출 수율이 달성된다. 동일한 브루잉 비율을 갖지만 이상적인 추출 수율 내에 있는 커피 음료를 달성하기 위해, 추출 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전의 (열등한) 커피 음료와 동일한 브루잉 비율, 즉 동일한 분쇄된 커피의 중량 및 물의 양을 분쇄된 커피가 더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TDS 및 추출 수율은 각자의 브루잉 비율 선을 따라 그리고 이상적인 추출 수율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피의 유형(원산지, 로스팅 수준 등), 브루잉 물의 온도, 추출 기법(압력, 드립 등) 및/또는 추출 시간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가 추출 수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커피 음료의 제조를 위한 시스템 또는 (전자동) 기계(100)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특히,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를 음료 제조 기계 내로 분배하도록 적응된다. 시스템(100)은 하나의 또는 상이한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하는 리셉터클(11, 12)을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분쇄기(10, 12)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에서 분쇄기(10)는 리셉터클(11)에 저장된 커피 콩을 수용하고 분쇄하도록 배열되고, 분쇄기(12)는 리셉터클(12)에 저장된 커피 콩을 수용하고 분쇄하도록 배열된다. 시스템(100)은 음료 제조 기계에서의 추가 처리를 위해 각자의 분쇄기(10, 12)에 의해 분쇄되는 분쇄된 커피를 안내하는 안내 요소(15, 16)를 추가로 포함한다. 음료 제조 기계로 보내지기 전에, 분쇄된 커피는 원하는 양의 분쇄된 커피 콩이 커피 음료의 제조를 위해 추출되는 것이 보장되도록 칭량 유닛(50)에 의해 칭량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분쇄기들(10, 12) 각각은 각자의 분쇄기(10, 12)가 커피 콩에 의해 잠기게 되는 방식으로 각자의 리셉터클(11, 12)에 연결된다. 즉, 리셉터클(11, 12)에 저장된 커피 콩은 항상 각자의 분쇄기(10, 12)와 직접 접촉한다. 분쇄기(10, 12)와 커피 콩의 이러한 직접 접촉으로 인해, 분쇄도를 조정하기 위해 각자의 분쇄기(10, 12)를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적어도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분쇄기들(10, 12) 각각에 의해 전달되는 분쇄된 커피는 항상 동일한 분쇄도를 갖는다. 따라서, 시스템(100)은 각각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갖는 분쇄된 커피를 전달할 수 없다. 입자 크기가 추출 수율 및 그에 따른, 각자의 분쇄된 커피로부터 제조되는 커피 음료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스템(100)은 양호한 품질을 갖기 위해 각각 이상적인 추출 수율 내에 있는 복수의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시스템(100)은, 상이한 커피 음료에 대한 상이한 입자 크기들 사이의 절충을 갖기 위해, 분쇄기들(10, 12) 각각이 각자의 분쇄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분쇄기(10)는 에스프레소에 대한 입자 크기와 같은 제1 입자 크기만을 갖는 분쇄된 커피를 전달하도록 적응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분쇄기(12)는 리스트레토에 대한 입자 크기와 같은 제2 입자 크기만을 갖는 분쇄된 커피를 전달하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시스템(100)이 상이한 커피 음료, 예컨대 룽고의 제조를 위해 분쇄된 커피를 전달하는 경우, 전달된 분쇄된 커피, 즉 제1 또는 제2 입자 크기를 갖는 분쇄된 커피는 요구되는 입자 크기보다 너무 조대한(큰) 또는 너무 작은 입자 크기를 가져, 그에 의해 과소 추출 또는 과다 추출 및 그에 따른 원하는 커피 음료의 열등한 품질을 초래할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분쇄기(10, 12)는 많은 공간과 고가의 생산을 요구하여, 열등한 품질을 갖는 커피 음료의 전달에 더하여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시스템을 초래한다.
시스템(100)의 이들 단점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10)으로 극복된다. 시스템(1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3 및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10)은, 예를 들어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를 (예를 들어, 음료 제조 기계 내로) 분배하도록 적응된다. 시스템(110)은 기계 또는 기계의 일부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기계는, 예를 들어, (전자동) 음료 제조 기계이다. 시스템(110) 또는 음료 제조 기계는,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커피 음료를 컵 내로 전달하는 것으로 종료되는 전자동 공정을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을 제외하고는, 로스팅된 커피 콩으로부터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든 공정 단계가 시스템(110) 또는 음료 제조 기계에 의해 자동화된다. 시스템(110)은, 특히, 시스템(110)이 포함하는 모든 부분이 전체 유닛으로서 변위될 수 있도록,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110)은, 특히 시스템(110)의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시스템(110)의 각자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10)은 가정 내에 그리고/또는 테이블 상판 상에 배치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시스템(11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즉 적어도 2개의 리셉터클(13, 14)을 포함한다. 즉, 리셉터클(13)은 제1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리셉터클(14)은 제2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할 수 있다. 각자의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은 소정 커피 음료에 의존하여 로스팅될 수 있고/있거나 특정 원산지의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110)은 복수의 리셉터클(13, 14)로 제한되지 않고, 단지 하나의 리셉터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수의 리셉터클(13, 14)에 대한 하기의 설명은 시스템(110)이 단지 하나의 리셉터클만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밀폐 용기일 수 있어서, 각자의 용기(13, 14)에 저장된 로스팅된 커피 콩이 기밀 환경에서 유지되게 한다. 밀폐 용기를 제공하기 위해,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각자의 뚜껑(2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21)은, 실질적으로 어떠한 공기 또는 산소도, 뚜껑(21)에 의해 폐쇄되는 각자의 리셉터클(13, 14)의 개구에 의해, 각자의 리셉터클(13, 14)의 체적부(22) - 이러한 체적부(22)에 커피 콩이 저장됨 - 내로 이동할 수 없도록 배열된다. 뚜껑(21)은 압력 밸브(26)를 포함할 수 있어서, 압력 밸브(26)에 의해, 공기가 리셉터클(13, 14)로부터, 특히 각자의 체적부(22)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리셉터클(13, 14)은 각자의 밸브(26)에 의해 기밀 상태이어서, 콩이 밀폐 분위기에서 저장되게 하여, 산화를 방지한다. 정상 조건에서, 밸브(26)는 폐쇄되고, 체적부(22) 내측의 내부 압력을 유지한다.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커피 콩이 내부에 저장된 체적 리셉터클(22)을 포함하는 가변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체적 리셉터클(22)은, 그가 각자의 리셉터클(13, 14) 내측에 저장된 커피 콩의 수량에 적응하는 방식으로 그의 체적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가변 체적 용기 및 체적 리셉터클(22)의 구성에 대해 상이한 가능성이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뚜껑(21)은, 커피 콩이 각자의 리셉터클(13, 14) 밖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수동 요소로서 작용하는 피스톤 요소일 수 있다. 이들 콩이 분배됨에 따라, 뚜껑(21)은, 공기에 의해 점유되고 전달된 콩에 의해 남겨진 헤드스페이스(headspace)를 제거하기 위해 수동적으로 하향으로 이동하여, 그에 따라 그의 체적을 각자의 리셉터클(13, 14) 내측의 나머지 콩에 의해 점유되는 체적에 적응시킨다. 뚜껑(21)은 커피 콩에 의해 남겨진 체적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그의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한다(이들 콩이 각자의 리셉터클(13, 14) 밖으로 전달되었음에 따라 체적이 감소함). 뚜껑(21)은, 커피 콩의 체적부와 외부 분위기 사이의 가스 교환(전형적으로 공기)을 가능한 한 많이 최소화하고 회피하기 위해, 뚜껑(21)이 하향으로 이동할 때, 각각 체적부(22)인 각자의 리셉터클(30, 40)의 내벽과 뚜껑(21) 사이에 배열되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콩은 산화가 방지된다.
뚜껑(21)이 피스톤 요소로서 설계되는 경우, 밸브(26)는 피스톤 요소의 중량과 동등한 임계 탈기 밸브일 수 있다. 이어서, 밸브(26)는 각자의 리셉터클(13, 14)이 콩으로 채워지게 될 때 작동하고, 커피 콩이 탈기될 때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 요소 형태의 뚜껑(21)은 밸브(26)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강하도록 배열되어, 그에 의해, 각자의 리셉터클(13, 14) 내측의 임의의 남아 있는 공기를 배출한다. 이와 같이, 각자의 리셉터클(30, 40), 즉 체적부(22)에서의 밀폐성은 각자의 리셉터클(13, 14)에 저장된 커피 콩의 분배가 일어나는 동안 유지된다.
정상 조건에서, 밸브(26)는 폐쇄되고, 체적부(22) 내측의 내부 압력을 유지한다. 로스팅된 커피 콩이 탈기되기 시작하고, 체적부(22) 내의 내부 압력이 뚜껑(21)의 중량보다 높아질 때, 밸브(26)가 개방되어, 내측의 압력을 해제하고, 피스톤 요소 형태의 뚜껑(21)이 내부 압력이 피스톤 요소의 중량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회피한다. 이러한 임계 압력 설정으로, 체적부(22) 내에 헤드스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 헤드스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이 보장되어서, 커피 콩이 외부 분위기(산소)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격리되게 하고, 그에 따라, 체적부(22) 내측의 콩 수량이 감소하는 경우 피스톤 요소(21)(뚜껑으로서 작용함)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회피된다.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의 각자의 체적부(22)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축(Z)에서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산소 장벽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수분 및 공기에 대해 밀폐성인 재료로 제조된다. 뚜껑(21)은 체적부(22)의 단면(횡단면)과 동일한 단면(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뚜껑(21)은 각자의 리셉터클(13, 14), 즉 체적부(22)의 상부 부분을 밀폐 방식으로 폐쇄한다. 뚜껑(21)에는 (상부)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는 각자의 리셉터클(13, 14)에, 즉 체적부(22) 내에 커피 콩을 추가하기 위해 각자의 리셉터클(13, 1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사셰(sachet) 또는 파우치(pouch)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셰 또는 파우치의 수축에 의해, 각자의 리셉터클(13, 14)은 그의 체적을 나머지 커피 콩에 의해 점유된 나머지 체적에 적응시킨다. 가요성 사셰 또는 파우치는 공기에 대해 밀폐성으로 제조되어서, 커피 콩이 그로부터 분배될 때, 공기가 그의 체적부 내측으로부터 흡입되게 하며, 따라서 가요성 재료가 나머지 점유된 체적에 적응할 것이다.
시스템(110)은 복수의 도우징 장치(60, 70)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에서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리셉터클(13, 14)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즉, 전달)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 수의 도우징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스템(110)은, 또한, 단지 하나의 리셉터클에만 또는 복수의 리셉터클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도록 배열되는 단지 하나의 도우징 장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이 단지 하나의 도우징 장치만을 포함하는 경우, 도우징 장치(60, 70)에 대한 설명은 단지 하나의 도우징 장치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는, 특히, 항상, 필요한 수량 또는 양의 커피 콩만이 분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특히, 요구되는 것보다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콩이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3, 14)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시스템(110)은, 도우징 장치(60, 70)가 리셉터클(13, 14)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할 수 있는 한, 도우징 장치(60, 70)의 특정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리셉터클들(13, 14) 중 각자의 하나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도우징 장치(60)는 리셉터클(13)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도우징 장치(70)는 리셉터클(14)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는,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가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3, 14) 내측에 커피 콩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리셉터클(13, 14)에 저장된 커피 콩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가 커피 콩을 분배하지 않는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는 리셉터클(13, 14)에 저장된 커피 콩이 리셉터클(13, 14)로부터 (중력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리셉터클들(13, 14) 중 각자의 하나의 리셉터클의 하단 부분 상에 그리고/또는 각자의 리셉터클(13, 14)의 출구에 배열된다. 따라서, 리셉터클들(13, 14) 각각에 저장된 커피 콩은 중력에 의해 각자의 도우징 장치(60, 7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항상 특정 또는 원하는(즉, 요청된) 양의 커피 콩만이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쇄기(30)로 분배되도록 커피 콩의 분배가 선택적으로 차단되거나 중단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로스팅된 커피 콩을 각자의 리셉터클(13, 14)로부터 부드럽게 도우징하거나 분배하도록 배열되어서, 커피 콩이 어떠한 손상도 받지 않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해 펌프 또는 역방향 펌프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2개의 상호 역회전 실린더들(61, 62, 71, 7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실린더들(61, 62, 71, 72) 사이에 있는 내부 중심을 향해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실린더(61, 62, 71, 72)는 커피 콩을 리셉터클(13, 14) 밖으로 꺼내기 위한 펌프로서 작용한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커피 콩을 다시 각자의 리셉터클(13, 14) 내로 분배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상호 역회전 실린더들(61, 62, 71, 72)을 각자의 리셉터클(13, 14)로부터 커피 콩을 제거하기 위한 회전 이동과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커피 콩을 다시 각자의 리셉터클(13, 14) 내로 분배하는 능력은 커피 콩의 매우 정밀한 도우징을 달성하여서, 예를 들어, 너무 많은 커피 콩이 각자의 리셉터클(13, 14)로부터 제거되지 않게 한다. 추가로, 커피 콩이 실린더들 사이에 남아 있어, 나머지 커피 콩의 열화(산화)를 초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실린더가 실린더들 사이에 장기간 동안 체류하는 커피 콩으로 인한 변형과 같은 마모를 겪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특히 커피 콩이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지 않는 단계(phase) 동안, 각자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리셉터클들(13, 14) 각각 내로 공기가 들어갈 수 없도록, 밀폐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의 밀폐성은 압축가능 재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들(61, 62, 71, 72) 각각은, 실리콘, 발포체 또는 다른 압축가능 재료와 같은 압축가능 및/또는 연질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가능 재료는 밀폐 출구를 제공하여, 그에 의해, 공기가 각자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각자의 리셉터클(13, 14)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실린더(61, 62, 71, 72)의 압축가능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분배될 커피 콩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기 때문에, 실린더(61, 62, 71, 72)가 분배될 커피 콩을 손상시키는 것이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커피 콩을 각자의 리셉터클(13, 14) 밖으로 그리고 그 내로 전달하기 위한 각자의 쌍의 상호맞물림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맞물림 기어들의 쌍들은 실린더(61, 62, 71, 72)와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실린더(61, 62, 71, 72)에 대한 위의 설명은 상호맞물림 기어들의 쌍들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다른 예에서,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린더와 유사하게 설계되는 단지 하나의 기어만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각자의 도우징 장치(60, 70)를 밀폐 상태로 만들기 위해 단지 하나의 기어와 협력하는 추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가변 속도로 커피 콩을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의 각자의 분배 공정은 시작 단계 및 마무리 단계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시작 단계에서 커피 콩을 제1 속도로 (빠르게) 분배하도록, 그리고 마무리 단계에서 커피 콩을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느리게)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한 매우 정밀한 도우징이 달성되어서, 도우징 장치(60, 70)로, 정확한 양/수량의 커피 콩이 분배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시작 단계에서, 실린더(61, 62, 71, 72)는 빠르게 회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마무리 단계에서, 실린더의 회전 속도는 정확한 양의 커피 콩을 전달하기 위해 감소된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이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때, 이들 설명은 유사하게 적용된다.
시스템(110)에서,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각각의 하나에 연결된다. 따라서, 리셉터클(13)은 도우징 장치(60)에 연결되고, 리셉터클(14)은 도우징 장치(70)에 연결된다.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과 각자의 리셉터클(13, 14) 사이의 연결은 연결 또는 체결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13, 14) 각각과 각자의 도우징 장치(60, 70)는 그들이 전체 유닛으로서 (시스템(110)으로부터, 즉 시스템(110)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시스템(110)은 효율적으로 생성되고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들(13, 14) 각각과 각자의 도우징 장치(60, 70)는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10)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수용하기 위한 분쇄기(3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110)은 복수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그리고 그에 따라 복수의 리셉터클(13, 14)의 커피 콩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단지 하나의 분쇄기만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시스템(110)은 또한 복수의 분쇄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분쇄기들(30) 각각은 리셉터클들(13, 14)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해 또는 복수의 리셉터클(13, 14)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분쇄기(30)는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각자의 리셉터클(13, 14)과 분쇄기(30) 사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분쇄기(30)는 도우징 장치(60, 70) 아래에 배열되어서,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이 중력에 의해 분쇄기(30) 내로 이동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분쇄기(30)의 입구 앞에 배열된다. 시스템(110)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이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들 커피 콩을 안내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요소(17, 18)(도관, 튜브, 레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요소(17)는, 도우징 장치(6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이 안내 요소(17)로 들어가고, 후속적으로, 안내 요소(17)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이 분쇄기(30) 내로 (직접) 떨어지는 방식으로 안내 요소(17)에 의해 안내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안내 요소(18)는, 도우징 장치(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이 안내 요소(18)로 들어가고, 후속적으로, 안내 요소(18)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이 분쇄기(30) 내로 (직접) 떨어지는 방식으로 안내 요소(18)에 의해 안내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안내 요소들(17, 18) 각각은 분쇄기(30)와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각각의 하나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분쇄기(30)는 분쇄기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을 분쇄하도록 배열 또는 구성된다. 추가로, 분쇄기(30)는 그렇게 분쇄된 커피를 후속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분쇄기(30)에 의한 분쇄된 커피 콩의 분배는 중력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기(30)는 분쇄된 커피의 원하는 입자 크기가 달성될 때에만 분쇄된 커피를 전달하도록 적응된다. 즉, 분쇄기(30)는 원하는 입자 크기 초과의 분쇄된 커피가 분쇄기(30)에 의해 전달될 수 없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기(30)는 2개의 분쇄 요소(31, 32)(즉, 제1 분쇄 요소(31) 및 제2 분쇄 요소(32), 예컨대, 각각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하며, 이들은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고, 2개의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에서 수용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분쇄 요소(32)와 같은 분쇄 요소들(31, 32) 중 하나는 정지되어 있을 수 있는 한편(즉, 스테이터), 분쇄 요소(31)와 같은 분쇄 요소들(31, 32) 중 각자의 다른 하나는 분쇄 요소들(31, 32) 중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그에 대해) 이동한다(즉, 분쇄 요소(31)는 로터임). 상대 이동은 회전 이동 및/또는 특정 (회전) 이동 축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분쇄 요소(31, 32)는,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하는 갭을 형성하거나 경계설정할 수 있다. 입구에 의해, (아직 분쇄되지 않은) 커피 콩은 갭으로 들어가, 분쇄를 위해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출구에 의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분쇄 요소들(31, 32)에 의해 분쇄되는 분쇄된 커피는 갭을 빠져나가, 분쇄기(30)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출구는 분쇄기(30)에 의해 전달될 분쇄된 커피의 원하는 입자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출구의 크기 초과의 입자 크기를 갖는 분쇄된 커피가 분쇄기(30)에 의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분쇄 요소(31, 31)에 의해 한정되는 갭은 갭의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테이퍼질 수 있다.
분쇄기(30)는, 각각 상이한 분쇄도에 대해 상이한 분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이한 분쇄 위치들 각각에서, 분쇄기(30)는 분쇄된 커피 콩을 각자의 입자 크기로 분배한다. 따라서, 분쇄기(30)는 상이한 커피 음료 유형 또는 레시피에 대해,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 리스트레토 및 로고에 대해 상이한 입자 크기의 분쇄된 커피를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다시 말해서, 커피 음료당 분쇄도(분쇄 크기)의 변화가 분쇄기(30)로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분쇄 위치들 각각은 각자의 분쇄도에 대응하여서, 분쇄기(30)가 분쇄된 커피를 50 μm 내지 1000 μm의 범위 내에 있는 2개 이상의 분쇄도 또는 입자 크기(분쇄기(30)에 의해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의 입자의 체적 모멘트 평균 직경 D[4,3]), 예를 들어 하기의 분쇄도(입자 크기): 100 μm (예컨대, 터키식 커피(
Figure pct00001
)), 200 μm(예컨대, 이탈리안 카페티에르(
Figure pct00002
)), 300 μm(예컨대, (기계) 에스프레소,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300 μm), 400 μm(예컨대, (기계) 에스프레소 도메스띠끄(espresso domestique)(바람직하게는 320 내지 360 μm 범위 내의 룽고)), 500 μm(예컨대, 드립 커피 "필터 커피(
Figure pct00003
)"), 600 μm(예컨대, 진공 베르(vacuum-verre)), 700 μm(예컨대, 금속 필터(filtres en metal)), 800 μm(예컨대, 프렌치 프레스 커피(french-press coffee)), 및 900 μm(예컨대, 퍼컬레이터(percolateur)의 경우)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분쇄기(30)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분쇄기(30)는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의 전술된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갭은 분쇄 요소(31)의 표면에 의해 그리고 분쇄 요소(32)의 표면에 의해 경계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분쇄 요소(31)의 표면을 분쇄 요소(32)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또는 그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분쇄 요소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분쇄기(30)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분쇄 요소들(31, 32)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거리를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분쇄 요소(31, 32)에 의해 형성된 갭을 조정하기 위해 특정 이동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특정 이동 축을 따른 이동은 병진 이동일 수 있고/있거나, 특정 이동 축은 2개의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에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2개의 분쇄 요소(31, 32)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이동 축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의 거리의 변화는, 동시에, 분쇄 요소(31, 32)에 의해 경계설정되는 갭의 출구의 크기가, 특히 각자의 분쇄 위치의 원하는 입자 크기 또는 분쇄도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조정/변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쇄기(30)는 원추형 버 유형의 것이다. 따라서, 분쇄 요소(31)는 실질적으로 원추의 형태이다. 따라서,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의 공간, 즉 갭은 분쇄 요소(31)의 원추형 표면과 바람직하게는 역시 원추의 형태인 분쇄 요소(32)의 표면에 의해 경계설정된다. 다른 예에서, 분쇄기(30)는 플랫 버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110)은, 분쇄기(30), 특히 분쇄 요소(31, 32)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분쇄기(30)를 작동시키기 위한, 특히 분쇄 요소들(31, 32)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닛은 분쇄기(3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특히 분쇄기(30)가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닛을 제거하지 않고서 제거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닛과 분쇄기(30) 사이의 탈착가능 연결은 신속 기계적 연결일 수 있으며, 이는 분쇄기(30)의 신속하고 용이한 탈착 및 그에 따른 플러깅해제(unplugging)를 허용한다. 분쇄기(30)는 커피 콩을 일정한 속도 및/또는 가변 속도로 분쇄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시스템(110)은, 선택적으로,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분쇄기(30)를 향해, 특히 2개의 분쇄 요소(31, 32)에 의해 경계설정된 갭 내로 밀어 넣도록 배열되는 유지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요소에 의해 분쇄기(30)를 향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갭 내로 밀어 넣어진 커피 콩은 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 요소는 커피 콩이 분쇄기(30)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커피 콩은 분쇄기(30)에 의해 효율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 유지 요소는, 커피 콩이 유지 요소의 중력에 의해 분쇄기(30)를 향해 밀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요소(30)는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유지 요소는 돔 형상일 수 있다.
시스템(110)은 분쇄기(30)에 의해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 콩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브루잉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브루잉 유닛은 그렇게 수용된 분쇄된 커피 콩으로 커피 음료를 브루잉하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브루잉 유닛은, 특히, 추출 유닛을 포함한다. 즉, 브루잉 유닛은, 분쇄기(30)에 의해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가 수용되고, 커피 음료의 제조를 위한 커피 추출을 달성하기 위해, 온수가, 특히 정의된 온도 및/또는 정의된 압력 및/또는 정의된 유량으로, 수용된 분쇄된 커피 콩과 접촉하도록 들어갈 수 있는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브루잉 유닛은 브루잉 유닛에 의해 수용된 분쇄된 커피로부터 제조되는 커피 음료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루잉 유닛은 커피 음료를 컵 내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브루잉 유닛은, 또한, 커피 추출 동안 분쇄된 커피로부터 물에 용해되는 가용성 향미제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브루잉 유닛은, 분쇄기(30)에 의해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가 중력에 의해 브루잉 유닛 내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분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루잉 유닛은 분쇄기(30) 아래에, 즉 그의 출구에 배열된다. 시스템(110)이 브루잉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시스템(110)은 음료 제조 기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10)은, 적어도 도우징 장치(60, 70) 및 분쇄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91)을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91)은, 적어도 도우징 장치(60, 70) 및 분쇄기(30)를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 그들과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유닛(91)은, 특히 데이터 캐리어,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유닛이다. 제어 유닛(91)은, 도우징 장치(60, 70)가 특정 양(예컨대, 중량)의 커피 콩을 분쇄기(30)로 분배하도록 도우징 장치(60, 7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91)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쇄기(30)로 분배될 커피 콩의 요구되는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도우징 장치(60, 7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91)은, 바람직하게는,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한 도우징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91)은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하나만을 제어할 수 있어서, 각자의 리셉터클(13, 14)만의 특정 양의 커피 콩이 분쇄기(30)로 분배되게 할 수 있다. 제어 유닛(91)은, 또한, 리셉터클(13, 14)로부터의 커피 콩의 특정 혼합물(즉, 블렌드)이 커피 콩의 특정 양이 커피 콩의 이러한 특정 혼합물에 대응하도록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쇄기(30)로 분배되는 방식으로 도우징 장치(60, 7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피 콩의 특정 혼합은 리셉터클들(13, 14) 중 하나로부터의 커피 콩 대 리셉터클들(13, 14) 중 각자의 다른 하나의 리셉터클의 커피 콩의 비일 수 있다.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한 도우징 장치(60, 70)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 시스템(110)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을 측정하도록 배열되는 측정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유닛(80)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와 분쇄기(30)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의 출구 및/또는 분쇄기(30)의 입구에 배열될 수 있다. 시스템(110)은 복수의 도우징 장치에 대해 단지 하나의 측정 유닛(8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스템(110)은, 또한, 복수의 측정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측정 유닛(80)은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각자의 하나에 대해 배열된다. 측정 유닛(80)은 측정 유닛(80)에 의해 측정된 분배된 커피 콩의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91)으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91)은 분배된 커피 콩의 측정된 양이 커피 콩의 특정(원하는) 양에 대응할 때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한 커피 콩의 분배를 중단하도록 도우징 장치(60, 70)를 제어할 수 있다.
측정 유닛(80)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유닛(80)은 칭량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다른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80)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 유닛(80)은 분배된 커피 콩의 측정된 체적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91)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어 유닛(91)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예컨대, 중량)을 계산하기 위해, 분배된 커피 콩의 이러한 체적을 특정 값(즉, 예컨대 체적당 그램 단위로 표현되는 상수)과 곱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측정 유닛(80)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80)은 회전 실린더(61, 62, 71, 72)의 회전수를 측정함으로써 커피 콩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측정 유닛(80)은 분배된 커피 콩의 측정된 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91)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어 유닛(91)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예컨대, 중량)을 계산하기 위해, 분배된 커피 콩의 이러한 수를 특정 값(즉, 예컨대 커피 콩당 그램 단위로 표현되는 상수)과 곱한다.
일반적으로, 측정 유닛(80)은 분배된 커피 콩의 양을 비접촉 또는 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 유닛(80)은, 기계적 및/또는 구동 수단으로, 특히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로,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또한, 측정 유닛(80)이 커피 콩의 양의 측정을 완료하였을 때 커피 콩을 분배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측정 유닛(80)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적 및/또는 광학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유닛(80)은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의 일부이고/이거나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 내에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에는 각자의 측정 유닛(80)이 일체로, 즉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다수의 기능, 즉 적어도 이중 기능, 즉 적어도 커피 콩을 분배하는 기능 및 분배된 커피 콩의 양(예컨대, 중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구성으로, 도우징 장치(60, 70) 및 측정 유닛(80)도 많은 공간을 요구하지 않고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예를 들어 각자의 도우징 장치로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한 기능성 부분들이 배열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각자의 측정 유닛(80)은 이러한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제어 유닛(91)은, 분쇄기(30)가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된 상기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도록 분쇄기(30)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후속적으로, 그렇게 분쇄된 커피 콩은 분쇄기(30)에 의해 분배된다. 즉, 제어 유닛(91)은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분쇄기(30)를 작동시키는 힘 및/또는 토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91)은 구동 유닛들 중 하나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분쇄를 위해 분쇄기(30), 특히 분쇄 요소(21, 32)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 및/또는 토크를 전달하도록 이러한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서, 특히 분쇄기(30)가 특정 (회전) 속도로 그리고/또는 특정 (회전) 속도 프로파일로 분쇄하게 한다.
제어 유닛(91)은, 분쇄기(30)가 상기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고 그에 따라,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을 때까지, 그렇게 분쇄된 콩을 분배하도록 분쇄기(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91)은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쇄기(30)로 분배되는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 유닛(91)에서 (예컨대, 룩업 테이블의) 커피 콩의 특정 양과 관련되고/되거나 커피 콩의 특정 양에 기초하는 특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이러한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도록 분쇄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특정 시간은, 적어도 각자의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기에 충분한 지속시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는 분쇄기(30)의 상태는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존재(즉, 커피 콩이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됨) 및 부재(즉, 커피 콩이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지 않음)를 나타내는 존재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91)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91)은 이들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이들 존재 신호에 기초하여 분쇄를 위해 작동하기 위해 분쇄기(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제어 유닛(91)은, 적어도 제어 유닛(91)이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부재를 나타내는 존재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분쇄기(30)가 분쇄하기 위해 작동하는(예컨대, 2개의 분쇄 요소(31, 32)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음) 방식으로 분쇄기(30)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제어 유닛(91)이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존재를 나타내는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한, 제어 유닛(91)은 분쇄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분쇄기(30)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91)은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부재를 나타내는 제1 존재 신호를 수신한 직후에 분쇄기의 분쇄하기 위한 작동을 중단하도록 분쇄기(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유닛(91)은, 또한, 분쇄기(30)가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부재를 나타내는 제1 존재 신호의 수신 후에 특정 시간 동안 분쇄하기 위한 작동을 유지하도록 분쇄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존재 신호는 분쇄를 위해 분쇄기(3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된 힘 및/또는 토크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기(30), 예를 들어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분쇄기(30)를 작동시키기 위한 그의 구동 유닛은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분쇄기(30)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실제 힘 및/또는 토크(예컨대, 제어 유닛(91)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힘 및/또는 토크 측정 장치에 의해 감지됨)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9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들 신호는, 특히 구동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해, 힘 및/또는 토크를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전류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힘 및/또는 토크는 분쇄기(30)와 분쇄할 커피 콩 사이의 마찰력, 즉 분쇄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러한 힘 및/또는 토크는 분쇄를 위해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존재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제어 유닛(91)은 정의된 임계 값을 포함할 수 있어서, 감지된 힘 및/또는 토크가 이러한 정의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제어 유닛(91)이 부재를 나타내는 존재 신호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유닛(91)은 감지된 힘 및/또는 토크가 정의된 임계 값 미만이라고 결정하기 때문에, 제어기(91)는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다고 결정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존재 신호는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존재 및 부재를 검출하도록 배열되는 존재 센서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 센서는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존재 및 부재를 검출하기 위해 기계적 및/또는 전자적 및/또는 광학적 수단을 포함한다.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을 때, 분쇄기(30)는 후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즉 특히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분쇄기(30)의 이러한 상태에서는, 분쇄기(30)를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한 분쇄기(3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커피 콩이 없다. 특히,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을 때,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전체 특정 양의 커피 콩이 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되고 전달된다. 따라서, 특히 2개의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에는 커피 콩이 없다. 따라서, 분쇄기(30)는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다른 분쇄 위치로 용이하게, 즉 어떠한 차단 없이 이동되어, 분쇄된 커피를 다른 분쇄도, 즉 다른 입자 크기로 전달할 수 있다. 분쇄기(30)가 다른 분쇄 위치로 이동될 때, 즉 분쇄기(30)가 이전 분쇄 위치로부터 다른 분쇄 위치로 이동하는 그의 이동을 완료하였을 때, 제어 유닛(91)은, 바람직하게는 분쇄기(30)가 다른 분쇄 위치에 도달한 직후에,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기(30)로 분배하도록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며, 이러한 양은 구체적으로 각자의 입자 크기에 대한 것이다(예컨대, 소정 유형 및 양(예컨대, 한 잔 이상)의 커피 음료는 특정 입자 크기 및 대응하는 양의 커피 콩 및 그에 따른 분쇄된 커피를 요구함).
예컨대 세정을 위해, 시스템(110)이 정지되거나 또는 분쇄기(30)가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될 때, 분쇄기(30)의 설정이 바람직하지 않게 변경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분쇄기(30)는, 분쇄기(30) 또는 시스템(110)의 설정의 각각의 변화 시에 그리고/또는 시스템(110)의 시작(전원 공급) 시에 그리고/또는 정기적인 시간에 설정되는 제로 값 초기화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어 유닛(91)은 시스템(110)이 전력 공급될 때 항상 분쇄기(30)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쇄기(30)는 제로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모든 분쇄 위치가 이러한 제로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분쇄기(30)는 분쇄 요소들(31, 32)이 서로 접촉할 때 제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때, 각각의 분쇄 위치는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의 특정 거리에 대응한다. 제로 위치는 분쇄하기 위해 작동되도록 분쇄기(30)에 인가되는 힘 및/또는 토크를, 예컨대 제어 유닛(91)으로, 측정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기(30)가 어떠한 커피 콩도 분쇄하지 않고 힘 및/또는 토크가 정의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제어 유닛(91)은 분쇄기(30)의 제로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분쇄를 위해 분쇄기(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분쇄를 위한 분쇄기(30)의 각자의 힘 및/또는 토크에 의존하기 때문에, 제어 유닛(91)은, 또한, 상기 전류가 정의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제로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제어 유닛(91)은, 예를 들어 분쇄 요소(31, 32)를 특정 거리만큼 분리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이러한 제로 위치에 기초하여 분쇄기(30)의 각자의 분쇄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10)은 칭량 유닛(50)(예컨대, 천칭(balance) 또는 저울(scal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칭량 유닛(50)은, 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되고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칭량 유닛(50)은, 분쇄기에 의해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가 (예컨대, 중력에 의해) 칭량 유닛(50)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브루잉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 칭량 유닛(50)은, 칭량 유닛(50)이 분쇄된 커피의 중량을 칭량 유닛(50)으로 측정하는 것에 후속하여 분쇄된 커피 콩을 (예컨대, 중력에 의해) 브루잉 유닛으로 분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칭량 유닛(50)은 분쇄기(30)와 브루잉 유닛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칭량 유닛(50)은, 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되고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예컨대, 리셉터클) 및/또는 전자적 및/또는 광학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칭량 유닛(50)은 칭량 유닛(50)에 의해 수용된 분쇄된 커피의 측정된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91)으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칭량 유닛(50)은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는 분쇄기(30)의 상태의 검출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91)은 칭량 유닛(50)에 의해 측정된 분쇄된 커피의 중량을 측정 유닛(80)에 의해 측정된 커피 콩의 중량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칭량 유닛(50)에 의해 측정된 분쇄된 커피의 중량이 측정 유닛(80)에 의해 측정된 커피 콩의 중량에 (예컨대, 1 내지 5%의 허용오차로)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경우, 제어 유닛(91)은 분쇄기(30)가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는,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된 실질적으로 전체 특정 양의 커피 콩이 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되고 분배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제어 유닛(91)은, 적어도 칭량 유닛에 의해 측정된 분쇄된 커피의 중량이 측정 유닛(80)에 의해 측정된 커피 콩의 양에 대응할 때까지 분쇄기(30)가 분쇄하기 위해 작동하도록(예컨대, 2개의 분쇄 요소(31, 32)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음) 분쇄기(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91)은, 예를 들어 레시피, 특히 제조될 소정 유형의 커피 음료에 대한 레시피, 및/또는 분쇄된 커피의 도우징 파라미터 또는 수량(예컨대, 중량), 및/또는 브루잉 파라미터, 및/또는 분쇄 사양(입자 크기, 조도 등)인 특정 제어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110)은 제어 입력을 입력하기 위해 제어 유닛(91)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HMI), 예컨대 터치스크린 및/또는 버튼과 같은 터치 감응형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입력은, 예를 들어 제어 입력이 각각 저장된 커피 콩에 기초하도록, 리셉터클(13, 14)로부터 전송 또는 도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제어 입력을 (전자적으로) 저장하는 식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91)은, 적어도 분쇄기(30) 및/또는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하나 이상을 특정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91)은, 특정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해 분쇄기(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에 의해 에스프레소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유닛(91)은, 후속적으로, 에스프레소를 제조하는 데 요구되는 분쇄된 커피의 입자 크기를 제공하기 위한 분쇄도를 제공하는 분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분쇄기(30)를 제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유닛(91)은,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해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입력은 에스프레소와 관련되며, 여기에서 제어 유닛(91)은, 이어서, 특정 양(예컨대, 중량) 및/또는 유형(예컨대, 로스팅 수준 및/또는 원산지) 및/또는 블렌드(예컨대, 리셉터클(13)의 커피 콩 대 리셉터클(14)의 커피 콩의 특정 비)의 커피 콩을 분쇄기(30)로 분배하도록 도우징 장치(60, 70)를 제어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91)은 데이터베이스(92)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92)는 상이한 유형(즉, 레시피)의 커피 음료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91)은 특정 유형의 커피 음료에 대해 데이터베이스(92)로부터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들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91)은, 이어서, 그에 따라, 시스템(110)의 구성요소, 특히 분쇄기(30) 및/또는 도우징 장치(60, 70)를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92)는 시스템 또는 기계(110)에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원격으로, 예컨대 서버 상에 그리고/또는 인터넷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상이한 커피 음료(x축 참조)에 대해 시스템(110)으로 달성될 수 있는 추출 수율(y축 참조)의 예시적인 차트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시스템(110), 즉 분쇄기(30)는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그리고 그에 따라, 적어도 상이한 분쇄 크기(또는 입자 크기)(G1, G2)의 분쇄된 커피를 제공하도록 적응되기 때문에, 시스템(110)은 상이한 유형의 음료에 대해 이상적인 추출 수율(도 5에서: 2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 크기(G2)만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은,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자가 20 mL의 음료, 예컨대 에스프레소를 요청하는 경우, 과소 추출(즉, 20%의 추출 수율 미만)되는 커피 음료를 전달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10)은, 요청된 유형의 커피 음료에 기초하여, 분쇄 크기가 적응되는 것, 즉 분쇄기(30)가 각자의 분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시스템(110)의 사용자가 20 mL의 음료를 요청하는 경우, 분쇄 크기(G2)를 제공하기 위한 단지 하나의 분쇄 위치에서만 유지되는 대신에, 시스템(110)의 분쇄기(30)는, 요구되는 양의 커피 콩이 분쇄기(30)로 분배되기 전에, 분쇄 크기(G2)에 대한 분쇄 위치로부터 분쇄 크기(G1)에 대한 분쇄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그러면, 그렇게 분배된 커피 음료는 이상적인 추출 수율(여기에서: 20%)을 가질 것이다.
유사하게, 분쇄기(30)가 분쇄된 커피를 분쇄 크기(G1)로 전달하기 위한 분쇄 위치에 있고, 시스템(110)의 사용자가 100 mL의 커피 음료, 예컨대 룽고를 요청하는 경우, 분쇄기(30)는, 분쇄 크기(G1)를 제공하기 위한 분쇄 위치에서 유지되는 대신에, 분쇄 크기(G2)를 분배하기 위한 분쇄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그러면, 그렇게 분배된 커피 음료도, 시스템이 분쇄 크기(G1)만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과다 추출되는 대신에, 이상적인 추출 수율(여기에서: 20%)을 가질 것이다.
제2 목적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히 분쇄된 커피로부터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또는 상이한 유형의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3, 14)(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13, 14)),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3, 14)에 저장된 콩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도우징 장치(60, 70)), 및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수용하기 위한 분쇄기(30)(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분쇄기(30))를 포함하는 기계(110)(예컨대, 기계로서의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110))를 제공하는 단계 - 분쇄기(30)는 각각 상이한 분쇄도에 대해 상이한 분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됨 -;
분쇄기(30)가 특정 분쇄 위치에 있도록 분쇄기(30)를 설정하는 단계;
분쇄기(30)를 설정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를 이용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기(30)로 분배하는 단계; 및
분쇄기(30)로 상기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고, 그에 따라,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을 때까지, 그렇게 분쇄된 콩을 분배하는 단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이지만, 시스템(110)의 다른 설계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여야 한다.

Claims (21)

  1.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의 또는 상이한 유형의 로스팅된(roasted) 커피 콩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receptacle)(13, 14), 상기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3, 14)에 저장된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우징(dosing) 장치(60, 7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을 수용하기 위한 분쇄기(30)를 포함하는 기계(110)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분쇄기(30)는 각각 상이한 분쇄도에 대해 상이한 분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됨 -;
    상기 분쇄기(30)가 특정 분쇄 위치에 있도록 상기 분쇄기(30)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분쇄기(30)를 설정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를 이용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을 상기 분쇄기(30)로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기(30)로 상기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쇄하고, 그에 따라, 상기 분쇄기(30)에 커피 콩이 없을 때까지, 상기 그렇게 분쇄된 커피 콩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바람직하게는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닛으로, 상기 분쇄기(30)를 상기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30)는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는 2개의 분쇄 요소(31, 32)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분쇄 요소는 상기 2개의 분쇄 요소들(31, 32) 사이에서 상기 수용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요소(31, 32) 및 그에 따라 상기 분쇄기(30)를 상기 상이한 분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거리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110)는 단지 하나의 분쇄기(30)만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 상기 분쇄기(30)를 탈착시킴으로써, 상기 분쇄기(30)를 탈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30)는 원추형 버(conical burr) 유형의 것 또는 플랫 버(flat burr) 유형의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30)는 상기 커피 콩을 일정한 속도 및/또는 가변 속도로 분쇄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커피 콩의 존재를 감지하는 동안, 예컨대 상기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되는 커피 콩의 부재가 감지될 때까지, 분쇄를 위해 상기 분쇄기(30)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분쇄를 위해 상기 분쇄기(30)를 작동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힘 및/또는 토크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힘 및/또는 토크가 정의된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분쇄를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 제어 입력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분쇄기(30)를 상기 상이한 분쇄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또는
    상기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특정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양의 커피 콩을 분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입력은 레시피(recipe), 특히 제조될 커피 음료에 대한 레시피인,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110)는 상기 제어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90)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3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유지 요소로, 이들 커피 콩을 상기 분쇄기(30)를 향해, 특히 2개의 분쇄 요소(31, 32)에 의해 경계설정된 갭 내로 밀어 넣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60, 70) 중 각자의 도우징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13, 14)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각자의 도우징 장치(60, 70)를 전체 유닛으로서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들(13, 14)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산소 장벽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 밀폐 용기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들(60, 70) 각각은 커피 콩을 분배하기 위해 펌프 또는 역방향 펌프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 콩의 양을 측정 유닛(80)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분배된 커피 콩의 상기 측정된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측정 유닛(80)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80)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우징 장치(60, 70)에 의해 분배되는 상기 커피 콩의 체적 및/또는 중량 및/또는 수를 측정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되고 분배되는 상기 분쇄된 커피의 중량을 칭량 유닛(weighing unit)(50)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수용된 분쇄된 커피의 상기 측정된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칭량 유닛(50)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칭량 유닛(5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분쇄된 커피의 중량이 상기 측정 유닛(8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커피 콩의 양에 대응할 때까지, 특히 상기 2개의 분쇄 요소(31, 32)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쇄를 위해 상기 분쇄기(30)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30)에 의해 분배되는 분쇄된 커피 콩을 브루잉 유닛(brewing unit)에 의해 수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00233A 2020-06-22 2021-05-11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KR20230027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1347.4 2020-06-22
EP20181347 2020-06-22
PCT/EP2021/062385 WO2021259548A1 (en) 2020-06-22 2021-05-11 Method for dispensing ground coff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142A true KR20230027142A (ko) 2023-02-27

Family

ID=7112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233A KR20230027142A (ko) 2020-06-22 2021-05-11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346166A1 (ko)
EP (1) EP4167805A1 (ko)
JP (1) JP2023529656A (ko)
KR (1) KR20230027142A (ko)
CN (1) CN115701924A (ko)
AU (1) AU2021295052A1 (ko)
BR (1) BR112022023789A2 (ko)
CA (1) CA3180129A1 (ko)
IL (1) IL297728A (ko)
MX (1) MX2022014831A (ko)
WO (1) WO2021259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1391A1 (it) * 2022-01-27 2023-07-27 De Longhi Appliances Srl Procedimento e macchina di preparazione di bevande al caff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4505B1 (en) * 2007-08-31 2011-01-25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Food grinder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grind settings, tooless disassembly
NZ591851A (en) * 2008-09-17 2013-10-25 Koninkl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ES2569715T3 (es) * 2011-04-05 2016-05-12 Mazzer Luigi S.P.A. Aparato de medición de café
RU2014125214A (ru) * 2011-11-23 2015-12-27 СТАРБАКС КОРПОРЕЙШН Ди/Би/Эй СТАРБАКС КОФЕ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CH713826A1 (de) * 2017-05-30 2018-11-30 Aequator Ag Dosiervorrichtung zum Dosieren von Kaffeebohnen und Kaffeemaschine.
CN117322765A (zh) * 2017-12-22 2024-01-02 科瑞特里克斯股份公司 用于定量配给咖啡豆的设备
TW202002866A (zh) * 2018-05-28 2020-01-16 義大利商辛巴利集團公司 用以依據給定配方將不同咖啡所組成且具有預定重量的劑量的研磨咖啡裝於濃縮咖啡機之過濾把手的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9548A1 (en) 2021-12-30
EP4167805A1 (en) 2023-04-26
MX2022014831A (es) 2023-01-16
CA3180129A1 (en) 2021-12-30
JP2023529656A (ja) 2023-07-11
CN115701924A (zh) 2023-02-14
IL297728A (en) 2022-12-01
AU2021295052A1 (en) 2022-11-24
US20230346166A1 (en) 2023-11-02
BR112022023789A2 (pt)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9613B1 (en) Process and double pist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EP2117393B1 (en)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the quantity of coffee and coffee machine using said method
KR20230027142A (ko)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KR20230027143A (ko)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AU2011203240B2 (en) Process and double pist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IL242467A (en) A versatile and fast scrolling system for the Sefer Torah
WO2023131984A1 (en)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correspo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