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619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619A
KR20200139619A KR1020200018119A KR20200018119A KR20200139619A KR 20200139619 A KR20200139619 A KR 20200139619A KR 1020200018119 A KR1020200018119 A KR 1020200018119A KR 20200018119 A KR20200018119 A KR 20200018119A KR 20200139619 A KR20200139619 A KR 20200139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width
strip
piece
shap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시 이와타
유키 토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13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과제] 장대의 형상이나 강도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인다.
[해결 수단] 장대를 구비하고, 장대는, 복수의 띠 형상체(30)를 구비하고, 띠 형상체(30)는, 전편(前片)(31)과 후편(後片)(32)을 구비하고, 전편(31)은,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후방 폭협부(幅狹部)(35)를 가지고, 후편(32)은,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전방 폭협부(36)를 가지고, 후방 폭협부(35)의 적어도 일부와 전방 폭협부(36)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 있고, 전편(31)의 폭은, 후편(32)의 폭보다도 좁고, 전편(31)은, 제1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지고, 후편(32)은, 제1 프리프레그와는 다른 제2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프리프레그(prepreg)로부터 장대를 제조할 수 있다. 프리프레그는 예를 들어 장대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프리프레그는 맨드릴(mandrel)에 두 바퀴 이상 감긴다. 이와 같이 프리프레그가 두 바퀴 이상 주회(周回)된 구성에서는, 장대의 형상이나 강도에 제약이 생기기 쉽다.
한편, 하기 특허 문헌 1에서는, 장대의 일주분(一周分)의 층이, 4개의 분할편(分割片)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대의 직경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이어도, 그 변화에 대응하기 쉽다. 그렇지만, 장대의 형상이나 강도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8-7582호
본 발명은, 장대의 형상이나 강도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이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장대를 구비하고 있다. 장대는, 복수의 띠 형상체를 구비하고 있다. 띠 형상체는,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와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는, 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幅狹部)를 가지고 있다. 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는,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는, 장대 초리 쪽 폭협부를 가지고 있다. 장대 초리 쪽 폭협부는, 장대 초리 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와 장대 초리 쪽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의 폭은,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의 폭보다도 좁다.
바람직하게는, 장대는, 소경부(小徑部)와 대경부(大徑部)와 확경부(擴徑部)를 가지고 있다. 소경부는,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로 이루어진다. 대경부는,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로 이루어진다. 확경부는, 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와 장대 초리 쪽 폭협부가 겹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는, 제1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지고,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는, 제1 프리프레그와는 다른 제2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와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는, 모두 폭 방향으로 대칭 형상이고,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과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은, 장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장대의 형상이나 강도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要部)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동(同) 낚싯대의 장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a)는 동 장대의 횡단면도, (b)는 동 장대의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동 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 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 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a) 및 (b)는, 동 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장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동 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장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동 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관하여 도 1 ~ 도 7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장대 초리 쪽을 앞쪽으로 하고, 장대 손잡이 쪽을 뒤쪽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는, 도시하지 않는 릴을 취부(取付)하기 위한 릴 시트(2)를 구비한 것이다. 릴 시트(2)는, 파이프 시트라고도 칭하여지는 통상(筒狀)의 것이다. 릴 시트(2)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1)(블랭크(blank))에 외장되어 소정 위치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릴 시트(2)에 장대 본체(1)가 삽통(揷通)된다. 장대 본체(1)는 중공상(中空狀) 혹은 중실상(中實狀)이다. 릴 시트(2)는, 장대 본체(1)의 외주면(外周面)의 소정 위치에 접착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2)는, 스피닝 릴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릴 시트(2)는, 양 베어링 릴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대 본체(1)는, 앞쪽 장대(3)과 뒤쪽 장대(4)를 구비하고 있다. 뒤쪽 장대(4)는, 앞쪽 장대(3)의 뒤쪽에 위치한다. 뒤쪽 장대(4)는, 앞쪽 장대(3)의 뒤쪽에 접합되어 있다. 앞쪽 장대(3)와 뒤쪽 장대(4)가 내외 포개어 맞추어지는 것에 의하여, 소정 길이의 포개어 맞춤부(5)가 형성되어 있다. 앞쪽 장대(3)의 후부(後部)와 뒤쪽 장대(4)의 전부(前部)가 접합되어 있다. 앞쪽 장대(3)는, 릴 시트(2)보다도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뒤쪽 장대(4)는, 릴 시트(2)보다도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뒤쪽 장대(4)의 후단부(後端部)에는 뒷마개(6)가 장착되어 있다.
뒤쪽 장대(4)는, 리어 그립부(10)를 가지고 있다. 리어 그립부(10)는, 뒤쪽 장대(4)의 후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어 그립부(10)는, 뒤쪽 장대(4)의 후단부 측의 소정 길이 영역이 국소적으로 확경된 것이다. 리어 그립부(10)는 릴 시트(2)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있다. 리어 그립부(10)는, 뒤쪽 장대(4)의 최후부(最後部)에 위치하고 있다. 리어 그립부(10)에는, 낚싯대를 잡고 있는 손의 팔꿈치나 아래팔이 대어진다. 또한, 양손으로 캐스팅하는 경우에는, 리어 그립부(10)는, 릴 시트(2)를 잡는 손과는 반대측의 손으로 파지(把持)된다.
낚싯대의 종류는 임의이고, 꽂기 장대나 뽑이 장대 등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원피스 로드의 경우에는 앞쪽 장대(3)는 초리까지 연속한 한 개 구조이다. 투피스 로드의 경우에는, 낚싯대는, 초리 쪽의 1번 장대와 손잡이 쪽의 2번 장대로 구성된다. 2번 장대에 릴 시트(2)가 구비된다. 2번 장대는, 앞쪽 장대(3)와 뒤쪽 장대(4)로 구성된다.
앞쪽 장대(3)는, 중공상이지만, 중실상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중공상의 앞쪽 장대(3)는, 프리프레그를 맨드릴(도시 생략)에 권회(卷回)하여 가열 소성(燒成)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는, 예를 들어 카본 섬유나 유리 섬유이다. 뒤쪽 장대(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상이다. 다만, 뒤쪽 장대(4)는, 중실상이어도 무방하다. 뒤쪽 장대(4)는, 프리프레그를 맨드릴(100)(도 4 참조)에 권회하여 가열 소성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뒤쪽 장대(4)의 단체를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뒤쪽 장대(4)는, 소경부(11)와, 소경부(11)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급(急)확경부(12)(확경부)와, 급확경부(12)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대경부(13)를 가지고 있다. 소경부(11)는, 뒤쪽 장대(4)의 전부를 구성하고 있다. 급확경부(12)와 대경부(13)가, 리어 그립부(10)를 구성하고 있다. 소경부(11)는, 뒤쪽 장대(4)의 전단부(前端部)로부터 소정 길이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소경부(11)의 길이는, 뒤쪽 장대(4)의 전체 길이 중 반분 이상의 길이로 할 수 있다. 소경부(11)는, 뒤쪽 장대(4)의 주요 부분으로 할 수 있다. 소경부(11)는, 리어 그립부(10)보다 길다. 소경부(11)는, 내경(內徑)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로 되어 있지만, 구배가 있어도 무방하다. 소경부(11)에 릴 시트(2)가 장착되어 있다.
급확경부(12)는, 소경부(11)의 뒤쪽으로 연속하고 있다. 급확경부(12)는, 소경부(11)의 구배보다도 급한 구배로 뒤쪽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급확경부(12)는, 전후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급확경부(12)는, 앞쪽의 면부(12a)와 뒤쪽의 면부(12b)로 구분된다. 앞쪽의 면부(12a)는 뒤쪽의 면부(12b)에 비하여 구배가 급하다. 대경부(13)는, 급확경부(12)의 뒤쪽으로 연속하고 있다. 대경부(13)는, 소경부(11)보다도 대경이다. 대경부(13)는, 급확경부(12)의 후단부로부터 뒤쪽 장대(4)의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대경부(13)는, 소경부(11)와 마찬가지로, 내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이다. 소경부(11)는, 앞쪽의 스트레이트부이고, 대경부(13)는, 뒤쪽의 스트레이트부이다. 대경부(13)의 길이는, 예를 들어 급확경부(12)의 길이보다도 짧다. 덧붙여, 급확경부(12)의 형상은 여러 가지이어도 무방하고, 전후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뒤쪽 장대(4)의 층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뒤쪽 장대(4)의 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뒤쪽 장대(4)는,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통상의 메인(main)층(20)과, 통상의 서브(sub)층(21)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층(20)은, 뒤쪽 장대(4)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메인층(20)은, 강화 섬유를 가지는 섬유 강화 수지층이다. 메인층(20)은, 프리프레그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인층(20)은, 뒤쪽 장대(4)의 최내층(最內層)을 구성하고 있다.
<메인층(20)>
메인층(20)은, 복수의 띠 형상체(3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띠 형상체(30)는, 뒤쪽 장대(4)의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띠 형상체(30)의 양측 가장자리부끼리는 서로 중첩되어 있다. 띠 형상체(30)는, 뒤쪽 장대(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띠 형상체(30)의 길이는, 뒤쪽 장대(4)의 전체 길이에 대응한 길이이다. 띠 형상체(30)의 폭은, 뒤쪽 장대(4)의 일주분보다도 작다. 복수의 띠 형상체(30)는 모두 동일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띠 형상체(30)는, 프리프레그로 구성되어 있다. 띠 형상체(30)는, 강화 섬유를 구비한 섬유 강화 수지제이다. 강화 섬유는, 예를 들어, 카본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이고, 특히 카본 섬유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4개의 띠 형상체(30)를 1조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인층(20)은, 예를 들어 4개의 띠 형상체(30)로 구성되거나, 혹은, 합계 8개의 띠 형상체(30)로 구성되거나 한다. 4개 1조의 띠 형상체(30)는, 모두 같은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달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띠 형상체(30)는 서로 같은 구성이다. 띠 형상체(30)의 구성에 관하여 더 설명한다. 띠 형상체(30)는, 전후 2개의 편(片)으로 구성되어 있다. 띠 형상체(30)는, 전편(前片)(31)(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과, 전편(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하는 후편(後片)(32)(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로 구성되어 있다. 전편(31)의 전단부(31a)는, 띠 형상체(30)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즉, 전편(31)의 전단부(31a)는, 뒤쪽 장대(4)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전편(31)의 후단부(31b)는, 띠 형상체(30)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즉, 전편(31)의 후단부(31b)는, 뒤쪽 장대(4)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다만, 전편(31)의 후단부(31b)는 뒤쪽 장대(4)의 후단부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후편(32)의 전단부(32a)는, 뒤쪽 장대(4)의 중간부 근방에 위치한다. 후편(32)의 후단부(32b)는, 띠 형상체(30)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즉, 후편(32)의 후단부(32b)는, 뒤쪽 장대(4)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전편(31)의 형상과 후편(32)의 형상은, 서로 다르다. 전편(31)의 형상과 후편(32)의 형상은, 모두 여러 가지이어도 무방하다. 전편(31)과 후편(32)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폭 방향으로 대칭 형상이다. 전편(31)의 폭 방향의 중심선(33)과 후편(32)의 폭 방향의 중심선(34)은, 뒤쪽 장대(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편(31)은,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후방 폭협부(35)(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편(32)은,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전방 폭협부(36)(장대 초리 쪽 폭협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에 전편(31)과 후편(32)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전편(31)은, 띠 형상체(30)의 전체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전편(31)은, 뒤쪽 장대(4)의 전체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다만, 전편(31)의 길이는, 뒤쪽 장대(4)의 전체 길이보다도 짧아도 무방하다. 전편(31)은, 폭이 일정한 주부(37)와, 주부(37)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후방 폭협부(35)를 가지고 있다. 주부(37)는, 장방형이다. 주부(37)의 길이는, 장방형의 장변의 길이이다. 주부(37)의 폭은, 장방형의 단변의 길이이다. 주부(37)의 폭은, 뒤쪽 장대(4)의 소경부(11)의 일주분의 둘레 길이보다도 작다. 주부(37)의 폭은, 예를 들어, 뒤쪽 장대(4)의 소경부(11)의 일주분의 약 반분 정도이다. 후방 폭협부(35)는, 뒤쪽을 정부(頂部)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따라서, 전편(31)은, 전체적으로, 오각형이다.
후편(32)은, 그 전체가 전방 폭협부(36)이다. 후편(32)은, 전단부(32a)를 정부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후편(32)의 길이는, 예를 들어 전편(31)의 후방 폭협부(35)의 길이와 같다. 다만, 후편(32)의 길이는, 전편(31)의 후방 폭협부(35)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무방하고, 짧아도 무방하다. 후편(32)의 후단부(32b)의 폭은, 전편(31)의 주부(37)의 폭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후편(32)의 후단부(32b)의 폭은, 뒤쪽 장대(4)의 대경부(13)의 일주분의 둘레 길이보다도 작다. 후편(32)의 후단부(32b)의 폭은, 예를 들어, 뒤쪽 장대(4)의 대경부(13)의 일주분의 약 반분 정도이다.
도 5(b)와 같이, 전편(31)과 후편(32)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전편(31)과 후편(32) 중 어느 것이 외측에 위치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편(31)이 외측에 위치하고, 후편(32)이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중첩된 상태에 있어서, 전편(31)의 폭 방향의 중심선(33)과 후편(32)의 폭 방향의 중심선(34)은, 뒤쪽 장대(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후편(32)의 전단부(32a)는, 전편(31)의 주부(37)와 후방 폭협부(35)와의 경계부 혹은 경계부 근방에 위치한다. 전편(31)의 후단부(31b)는, 후편(32)의 후단부(32b)와 대략 일치한다. 전편(31)의 후방 폭협부(35)와 후편(32)의 전방 폭협부(36)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전편(31)과 후편(32)이 중첩된 부분을 종(縱)겹침부(38)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겹침부(38)는, 마름모형 혹은 연형이다. 이와 같이 띠 형상체(30)는, 전편(31)과 후편(32)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종겹침부(38)는, 뒤쪽 장대(4)의 적어도 급확경부(12)에 위치한다. 종겹침부(38)가 급확경부(12)에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전편(31)을 구성하는 제1 프리프레그와, 후편(32)을 구성하는 제2 프리프레그는, 서로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지만, 서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와 제2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의 종류를 바꿀 수 있다. 제1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와 제2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의 종류가 같아도, 예를 들어, 탄성률이 다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프리프레그의 수지 함유율에 대하여 제2 프리프레그의 수지 함유율을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의 방향과 제2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의 방향을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프리프레그를 예를 들어 2축인 것으로 하고, 제2 프리프레그를 예를 들어 4축인 것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제1 프리프레그의 두께와 제2 프리프레그의 두께를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리프레그의 사양과 제2 프리프레그의 사양을 다른 것으로 하는 것으로, 뒤쪽 장대(4)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 4 및 도 6과 같이, 뒤쪽 장대(4)는, 4개의 띠 형상체(30)를 맨드릴(100)에 붙여 가열 소성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맨드릴(100)의 형상은, 도 4와 같이, 뒤쪽 장대(4)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맨드릴(100)은, 앞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소경부(11)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영역(101)과, 급확경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영역(102)과, 대경부(13)를 형성하기 위한 제3 영역(103)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띠 형상체(30)를 맨드릴(100)에 붙일 때에는, 도 7(a)와 같이, 전편(31)과 후편(32)을 미리 포개어 맞춘 상태로 하여, 전편(31)과 후편(32)을 모아 맨드릴(100)에 붙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7(b)와 같이, 맨드릴(100)에 전편(31)과 후편(32)을 따로 따로 붙여도 무방하다. 즉, 전편(31)과 후편(32)을 분리한 상태로 개별적으로 맨드릴(100)에 붙여도 무방하다. 도 6과 같이, 4개의 띠 형상체(30)는, 서로 맨드릴(100)의 둘레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붙인다. 띠 형상체(30)의 종겹침부(38)는, 맨드릴(100)의 적어도 제2 영역(102)에 위치한다. 종겹침부(38)는, 맨드릴(100)의 제1 영역(101)에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종겹침부(38)는, 맨드릴(100)의 제3 영역(103)에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메인층(20)을 형성한다.
<서브층(21)>
서브층(21)은, 메인층(2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서브층(21)은, 뒤쪽 장대(4)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서브층(21)의 두께는 일정한다. 서브층(21)은, 나선 형상의 층이다. 서브층(21)은,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 장척체(長尺體)(2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장척체(22)는, 소정 폭의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다. 서브층(21)은,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를 일정한 피치로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피치는,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의 폭의 예를 들어 반분이다.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가 이웃하는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의 외측에 중첩되도록 하면서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다.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는 그 긴쪽 방향을 따라 카본 섬유 등의 강화 섬유가 끊기는 일 없이 연속한 것이다. 서브층(21)은, 둘레 방향을 따른 강화 섬유를 구비하고 있다.
서브층(21)은,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가 메인층(20)의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권회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서브층(21)은, 메인층(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메인층(20)의 외측에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가 전체 길이에 걸쳐 권회되는 것으로, 일정 두께의 서브층(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성형 테이프를 권회하여 가열 소성한 후, 성형 테이프를 제거하고, 맨드릴(100)을 탈심(脫芯)하고, 단부를 필요에 따라 커트 제거하여 뒤쪽 장대(4)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뒤쪽 장대(4)와 앞쪽 장대(3)가 접합 일체화되어 장대 본체(1)가 형성된다. 장대 본체(1)에 릴 시트(2)가 장착되어 낚싯대가 완성한다.
덧붙여, 후방 폭협부(35)나 전방 폭협부(36)의 형상은 여러 가지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이등변 삼각형 이외의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반원형, 반타원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전편(31)의 중심선과 후편(32)의 중심선이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나아가서는, 전편(31)이 좌우 비대칭 형상이거나, 후편(32)이 좌우 비대칭 형상이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뒤쪽 장대(4)가 급확경부(12)를 가지고 있었지만, 도 8과 같이 장대(50)가 축경부(縮徑部)(52)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장대(50)는, 대경부(51)와, 대경부(51)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축경부(52)와, 축경부(52)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소경부(53)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51)는, 내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소경부(53)는, 내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대경부(51)와 소경부(53)는, 모두 소정의 구배를 가져 뒤쪽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장대(50)의 메인층(20)의 띠 형상체(30)는, 상술한 것과 전후 반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띠 형상체(30)는, 예를 들어 도 9와 같은 전편(31)과 후편(32)으로 구성된다. 전편(31)은, 후단부(31b)를 정부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이고 그 전체가 후방 폭협부(54)(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이다. 후편(32)은, 전단부(32a)를 정부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전방 폭협부(55)(장대 초리 쪽 폭협부)와, 장방형상의 주부(56)를 가진다. 전편(31)과 후편(32)의 적어도 전방 폭협부(55)가 부분적으로 겹쳐 있다. 종겹침부(38)는 적어도 축경부(52)에 위치하고 있다. 종겹침부(38)가 축경부(52)에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주름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장대(60)는, 도 10과 같이, 전방 대경부(61)와, 전방 대경부(61)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축경부(62)와, 축경부(62)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소경부(63)와, 소경부(63)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급확경부(64)(확경부)와, 급확경부(64)의 뒤쪽으로 연속하는 후방 대경부(65)를 가지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전방 대경부(61)와 소경부(63)와 후방 대경부(65)는, 각각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대경부(61)와 소경부(63)와 후방 대경부(65)는, 소정의 구배를 가지고 뒤쪽을 향하여 확경하는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장대(60)의 메인층(20)의 띠 형상체(30)는,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은 전편(31)과 후편(3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전편(31)은, 후단부(31b)를 정부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이고 그 전체가 후방 폭협부(66)(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이다. 후편(32)은, 전편(31)과는 전후 대칭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후편(32)은, 전단부(32a)를 정부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이고 그 전체가 전방 폭협부(67)(장대 초리 쪽 폭협부)이다. 전편(31)과 후편(32)이 부분적으로 겹쳐 있다. 종겹침부(38)는, 적어도, 축경부(62)로부터 소경부(63)를 거쳐 급확경부(64)에 이르는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띠 형상체(30)를 도 12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전편(31)은, 장방형 혹은 정방형의 주부(68)와, 후단부를 정부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후방 폭협부(69)(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를 가진다. 후편(32)은, 전편(31)과는 전후 대칭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후편(32)은, 전단부를 정부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전방 폭협부(70)(장대 초리 쪽 폭협부)와, 장방형 혹은 정방형의 주부(71)를 가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전편(31)의 후방 폭협부(69)와 후편(32)의 전방 폭협부(70)가 부분적으로 겹쳐 있다. 종겹침부(38)는, 적어도, 축경부(62)로부터 소경부(63)를 거쳐 급확경부(64)에 이르는 영역에 위치한다. 종겹침부(38)가 축경부(62)로부터 소경부(63)를 거쳐 급확경부(64)에 이르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주름이 생기기 어렵다.
1: 장대 본체
2: 릴 시트
3: 앞쪽 장대
4: 뒤쪽 장대
5: 포개어 맞춤부
6: 뒷마개
10: 리어 그립부
11: 소경부
12: 급확경부(확경부)
12a: 앞쪽의 면부
12b: 뒤쪽의 면부
13: 대경부
20: 메인층
21: 서브층
22: 장척체
30: 띠 형상체
31: 전편(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
31a: 전단부
31b: 후단부
32: 후편(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
32a: 전단부
32b: 후단부
33: 전편의 중심선
34: 후편의 중심선
35: 후방 폭협부(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
36: 전방 폭협부(장대 초리 쪽 폭협부)
37: 주부
38: 종겹침부
50: 장대
51: 대경부
52: 축경부
53: 소경부
54: 후방 폭협부(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
55: 전방 폭협부(장대 초리 쪽 폭협부)
56: 주부
60: 장대
61: 전방 대경부
62: 축경부
63: 소경부
64: 급확경부(확경부)
65: 후방 대경부
66: 후방 폭협부(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
67: 전방 폭협부(장대 초리 쪽 폭협부)
68: 주부
69: 후방 폭협부(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
70: 전방 폭협부(장대 초리 쪽 폭협부)
71: 주부
100: 맨드릴
101: 제1 영역
102: 제2 영역
103: 제3 영역

Claims (5)

  1.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장대는, 복수의 띠 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체는,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幅狹部)를 가지는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와, 장대 초리 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장대 초리 쪽 폭협부를 가지는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장대 초리 쪽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 있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의 폭은, 상기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의 폭보다도 좁은, 낚싯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는, 상기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로 이루어지는 소경부(小徑部)와, 상기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로 이루어지는 대경부(大徑部)와, 상기 장대 손잡이 쪽 폭협부와 상기 장대 초리 쪽 폭협부가 겹치는 부분을 포함하는 확경부(擴徑部)를 가지는, 낚싯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는, 제1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는, 상기 제1 프리프레그와는 다른 제2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지는, 낚싯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와 상기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는, 모두 폭 방향으로 대칭 형상이고, 상기 장대 초리 띠 형상체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과 상기 장대 손잡이 띠 형상체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은, 상기 장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낚싯대.
KR1020200018119A 2019-06-04 2020-02-14 낚싯대 KR20200139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4393 2019-06-04
JP2019104393A JP7198727B2 (ja) 2019-06-04 2019-06-04 釣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619A true KR20200139619A (ko) 2020-12-14

Family

ID=7357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119A KR20200139619A (ko) 2019-06-04 2020-02-14 낚싯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37411B2 (ko)
JP (1) JP7198727B2 (ko)
KR (1) KR20200139619A (ko)
CN (1) CN112021269B (ko)
TW (1) TWI81043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7582A (ja) 2016-07-11 2018-01-18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34399A (fr) * 1962-06-22 1963-08-09 Procédé de fabrication de tubes en matière synthétique armée de fibres de verre, notamment pour cannes à pêche
US4043074A (en) * 1975-12-31 1977-08-23 Skyline Industries, Inc. Graphite fiber fishing rod
US4362418A (en) * 1980-12-22 1982-12-07 Loomis Gary A Ferrule joint
US4355061A (en) * 1981-08-13 1982-10-19 Shakespeare Company Composite tubular rod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601127A (en) * 1983-07-28 1986-07-22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o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4885865A (en) * 1986-07-31 1989-12-12 Berkley, Inc. Graphite fiber reinforced rod construction
US4860481A (en) * 1988-04-15 1989-08-29 Berkley, Inc. Solid graphite rod tip
US5317828A (en) * 1991-08-06 1994-06-07 Shimano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fishing rod
JP2545013B2 (ja) * 1992-06-10 1996-10-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3027318B2 (ja) * 1994-09-06 2000-04-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3235964B2 (ja) * 1996-06-14 2001-12-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管状体
EP0826481A3 (en) * 1996-08-27 1999-06-02 Daiwa Seiko Inc. Pipe-shaped body
JP3990023B2 (ja) * 1997-03-31 2007-10-1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H11289925A (ja) * 1998-04-10 1999-10-26 Shimano Inc 竿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18867A (ja) 2001-01-24 2002-08-06 Daiwa Seiko Inc 釣竿とその製造方法
JP2003009722A (ja) * 2001-06-29 2003-01-14 Shimano Inc 竿体の製造方法
TWI266607B (en) * 2002-05-01 2006-11-21 Shimano Kk Fishing rod
AU2003303781A1 (en) * 2003-01-24 2004-08-13 Shimano Inc. Method of manufacturing fishing rod
US20040200123A1 (en) * 2003-02-27 2004-10-14 Kenneth Whiting Two piece bonded fishing rod blank and fishing rod
US7305792B2 (en) * 2004-01-30 2007-12-11 Daiwa Seiko, Inc. Tip rod
JP4618711B2 (ja) 2004-09-07 2011-01-26 株式会社シマノ 伸縮式釣り竿
US7770321B2 (en) * 2007-03-19 2010-08-10 Ben Huang Fishing pole grip
US8001716B1 (en) * 2008-08-12 2011-08-23 The Orvis Company, Inc. Lightweight fishing rod and a method for making a lightweight fishing rod
US8424236B2 (en) * 2009-05-11 2013-04-23 Ben Huang Multi-layered grip for use with fishing poles
CN102802408B (zh) * 2009-06-23 2014-12-03 株式会社岛野 钓竿用竿体及钓竿
JP6164835B2 (ja) * 2012-12-25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並びに釣竿用竿体の製造方法
JP2014193133A (ja) * 2013-03-29 2014-10-09 Globeride Inc 釣竿
JP6282122B2 (ja) 2014-01-18 2018-02-21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7582A (ja) 2016-07-11 2018-01-18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21269A (zh) 2020-12-04
JP2020195341A (ja) 2020-12-10
JP7198727B2 (ja) 2023-01-04
CN112021269B (zh) 2023-09-15
US20200383305A1 (en) 2020-12-10
TW202044990A (zh) 2020-12-16
TWI810436B (zh) 2023-08-01
US11337411B2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8285B2 (ja) 釣竿
JP7239658B2 (ja) リアグリップ竿体
JP6282122B2 (ja)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
JP6691842B2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本体並びに釣竿
KR20200139619A (ko) 낚싯대
JP2010104263A (ja) 釣竿
JP2018007582A (ja) 釣竿
JP6433463B2 (ja) 釣竿
JP5199027B2 (ja) 釣竿
US10383319B2 (en)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JP7092657B2 (ja) 釣竿
JP6756856B2 (ja) 釣竿
JP2019213503A (ja) 穂先竿及び釣竿並びに釣竿用のソリッド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1136872A (ja) 釣 竿
JP7493434B2 (ja) 釣竿
US20220378028A1 (en) Fishing rod
JP2018134056A (ja) 釣竿
JP6345021B2 (ja) 並継ぎ竿
JP2020054272A (ja) 釣竿
JP2001061380A (ja) 竿体の嵌合構造
JP4007563B2 (ja) 竿体の連結構造
JP2000295946A (ja) 竿体の連結構造
JP2001061378A (ja) 継式釣竿
JP3942839B2 (ja) 釣竿
JP2001112381A (ja) 竿体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