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897A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897A
KR20200136897A KR1020207025478A KR20207025478A KR20200136897A KR 20200136897 A KR20200136897 A KR 20200136897A KR 1020207025478 A KR1020207025478 A KR 1020207025478A KR 20207025478 A KR20207025478 A KR 20207025478A KR 20200136897 A KR20200136897 A KR 2020013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opening
household foil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코 츠지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4Devices for retaining in ope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65D2251/1058Latch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 (P) 가 수납되는 용기 본체 (1) 를 구비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로서, 용기 본체 (1) 는, 용기 본체 (1) 의 상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1) 의 하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하부 (12) 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 상부 (11) 는,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는 취출공 (112) 을 가지며, 취출공 (112) 을 폐색하는 개폐 덮개 (2) 가 구비되고, 용기 본체 상부 (11) 는, 용기 본체 하부 (12) 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접속되고,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개방 제한 수단 (14) 을 구비한다. 이로써, 용기를 재치한 상태 그대로,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쉽게 다시 채워 넣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본 발명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웨트 티슈 등의 가정용 박엽지의 수납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다시 채워 넣을 수 있는 것이 필수이지만, 이를 위한 기구로는, 용기 본체의 바닥 덮개를 분리 가능하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72581호
이와 같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다시 채워 넣을 때에는, 용기를 들어 올려 뒤집고, 바닥 덮개를 떼어내어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채워 넣은 후, 덮개체를 장착하여 용기를 다시 뒤집을 필요가 있어, 다시 채워 넣는 데에 상당히 수고가 들었다.
그래서, 용기 본체를 상부와 하부로 분할하고, 이들이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도록 하면, 용기를 테이블 등의 위에 재치 (載置) 한 상태로 용기 본체 상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용기 내부의 공간을 개방하고, 가정용 박엽지를 다시 채워 넣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용기 본체의 상부가, 용기 본체의 하부와의 접속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180˚회전하면, 용기 상면과,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가 재치된 재치면 사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는 스페이스가 없어져, 이것을 다시 닫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용기를 재치한 상태 그대로,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쉽게 다시 채워 넣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가 수납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는, 가정용 박엽지를 취출하는 취출공 (取出孔) 을 가지며, 당해 취출공을 폐색하는 개폐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접속되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개방 제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재치한 상태 그대로,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쉽게 다시 채워 넣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 제한 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개방 각도를, 60˚이상 160˚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다시 채워 넣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하부는, 상기 용기 본체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를 전도되기 어렵게 하는 추부 (錘部)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전도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상기 용기 본체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가 접속된 측과 대향하는 측의 단부 근방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욱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전도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4 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하면부에,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하면부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전도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 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하면부의 외면측에 상기 탄성 재료가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미끄러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하면부의 외면측의 전체면에 형성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미끄러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 제한 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용기 본체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접속 부분의 하방에 구비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재치한 상태 그대로,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쉽게 다시 채워 넣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9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 제한 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상기 용기 본체 하부와의 접속 부분의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상기 용기 본체 상부와의 접속 부분의 하부를 연결하는,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접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재치한 상태 그대로,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쉽게 다시 채워 넣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재치한 상태 그대로,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쉽게 다시 채워 넣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해칭 부분은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다. 이 점은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Y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개폐 덮개가 폐색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3 과 동일한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용기 본체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3 과 동일한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용기 본체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변형예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은, 변형예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Y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용기 본체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변형예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도 8 과 동일한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구체적인 양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축, Y 축 및 Z 축 그리고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정하여 설명한다. 즉,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개폐 덮개 (2) 가 구비된 측을 「상」, 그 반대측을 「하」, 용기 본체 (1) 와 개폐 덮개 (2) 가 접속되어 있는 측을 「후」, 그 반대측을 「전」, 후측을 향한 상태에 있어서의 우측을 「우」, 후측을 향한 상태에 있어서의 좌측을 「좌」로 하고, 전후 방향을 따른 축을 X 축, 좌우 방향을 따른 축을 Y 축, 상하 방향을 따른 축을 Z 축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구성]
{전체 구성}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취출하는 취출공 (112) 을 구비한 용기 본체 (1) 와, 취출공 (112) 을 덮도록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용기 본체 (1) 에 접속된 개폐 덮개 (2) 와, 용기 본체 (1) 로부터 개폐 덮개 (2) 로 연장되고, 개폐 덮개 (2) 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을 구비하고, 용기 본체 (1) 의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 (P) 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 (S)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 본체 (1) 와, 개폐 덮개 (2) 는,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가정용 박엽지}
가정용 박엽지 (P) 로는, 예를 들어 소형의 웨트 시트, 웨트 티슈 등이 교대로 접혀 겹쳐진 상태로 적층되고, 1 장의 웨트 시트, 웨트 티슈 등을 꺼냈을 때에 다음의 웨트 시트, 웨트 티슈 등도 꺼내지도록 형성된, 소위 팝업식 시트가 사용된다. 그 외에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절취선이 형성된 장대한 웨트 시트, 웨트 티슈 등이 롤상으로 감기고, 절취선을 따라 잘라내어 사용하는 롤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
용기 본체 (1)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X 방향 및 Z 방향에 비해서 Y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고, 이것이 Z 방향 중앙부 부근에 있어서 상하로 이분되고, 용기 본체 (1) 의 상측을 구성하는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1) 의 하측을 구성하는 용기 본체 하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는 용기 본체 (1) 의 후측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는,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접속된 후측에는,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과,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개방 제한 수단 (14) 이 구비되어 있다.
용기 본체 (1) 는, 전체가 X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00 ㎜, Y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 ㎜ 내지 165 ㎜, Z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70 ㎜ 의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3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2 ㎜ 이다.
이 크기 및 두께이면, 성형 효율이 높고, 또한 실사용에 문제 없는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 (1) 는, 사용자에 의해 후술하는 제 2 걸림 수단 (122) 이 조작되고,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걸림이 해제되면,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의 탄성력에 의해, 용기 본체 상부 (11) 가,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접속된 후측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의 수납 공간 (S) 이 외부에 개방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수납 공간 (S) 을 덮을 때에는, 사용자는,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상기와는 반대로 회전시킨 후, 다시 제 2 걸림 수단 (122) 에 의해,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를 걸면 된다.
용기 본체 (1) 후측의,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접속 부분이,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1) 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접속 부분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후면이 구부러지기 쉬워지고, 용기 본체 상부 (11) 를, 당해 접속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하여 회동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생산성은 저하되지만,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를 별체로 하여 형성한 후, 이들을 힌지 등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 (1) 가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로 이분되는 위치는, 도 1 내지 도 5 에 있어서는, Z 방향 중앙부 부근으로 한 경우에 대해 도시했지만, Z 방향 중앙부보다 상부여도 된다. 이 경우, 수납된 가정용 박엽지 (P) 가 소정의 포장체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용기 본체 (1) 내에 수납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의 폐색시에 포장체의 엔드 시일부 등을 끼워 넣을 우려를 저감할 수 있어, 가정용 박엽지 (P) 를 다시 채워 넣기가 더욱 쉬워진다.
(용기 본체 상부)
용기 본체 상부 (11) 는,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부가 된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하방으로 오목상이 되는 오목부 (111)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111) 에는, 중앙부에 수납 공간 (S) 의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는 취출공 (112) 이 구비되고, 취출공 (112) 을 둘러싸도록 하여, 본체측 밀폐 환부 (環部) (113)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의 전측에는, 개폐 덮개 (2) 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걸림 수단 (114) 이 형성되고, 후측에는 개방시의 개폐 덮개 (2) 를 안정시키기 위한 상부 미끄럼 방지부 (115)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면의 개구부 주위에는, 후술하는 용기 본체 하부 (12) 의 하부 끼워 맞춤부 (121) 와 끼워 맞춰지는 상부 끼워 맞춤부 (116) 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공)
취출공 (112) 은, 용기 본체 상부의 상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수납 공간 (S) 에 연결되는 구멍부이다.
도 1 에 있어서는, 십자형으로 2 개의 절입을 넣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절입의 개수는 이것보다 다수여도 되고, 또 예를 들어 직각 삼각형의 중심점과 각 정점을 연결하도록, 3 개의 절입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취출공 (112)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주위가 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가정용 박엽지 (P) 에 대하여 적절한 저항을 가함으로써, 수납 공간 (S) 에 수납된 가정용 박엽지 (P) 가 꺼내진 후에,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 (P) 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가정용 박엽지 (P) 가 롤 시트인 경우에 있어서, 가정용 박엽지 (P) 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용 절취선에서, 이것을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체측 밀폐 환부)
본체측 밀폐 환부 (113)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공 (112) 을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이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주측의 면이 후술하는 개폐 덮개 (2) 에 형성된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의 내주측의 면과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걸림 수단)
제 1 걸림 수단 (114)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측 클로부 (1141) 를 구비하는 버튼상으로 형성되고, 본체측 클로부 (1141) 가 후술하는 개폐 덮개 (2) 에 형성되는 개폐 덮개측 클로부 (21) 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이것을 폐색 상태에서 걺과 함께, 사용자가 제 1 걸림 수단 (114) 을 가압했을 때에는, 본체측 클로부 (1141) 와 개폐 덮개측 클로부 (21) 의 걸어 맞춤이 풀려, 개폐 덮개 (2) 가 개방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미끄럼 방지부)
상부 미끄럼 방지부 (115)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상면의, 개폐 덮개 (2) 와의 접속 부분 후방에 형성된, 개방시의 개폐 덮개 (2) 를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기 위한 부분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덮개체와의 사이의 마찰 저항을 높여, 그 흔들림을 방지한다.
(상부 끼워 맞춤부)
상부 끼워 맞춤부 (116) 는,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하부의 개구부의 주위에,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접속된 후측을 제외하고 형성되며, 하단부가 외주측만 돌출되어, 상부 돌출부 (1161) 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돌출부 (1161) 의 내주측의 면이, 후술하는 용기 본체 하부 (12) 에 형성되는 하부 끼워 맞춤부 (121) 의 하부 돌출부 (1211) 의 외주측의 면과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끼워 맞춤부 (116) 는, 상부 돌출부 (1161) 가, 상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3 ㎜ 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걸어 맞춤 오목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전면 (前面) 의 내면측에는,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오목상이 되는 걸어 맞춤 오목부 (117)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 오목부 (117) 는, 후술하는 용기 본체 하부 (12) 에 형성된 제 2 걸림 수단 (122) 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 맞춤 볼록부 (1221) 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수납 공간 (S) 이 폐색된 상태에서 걺과 함께, 사용자가 제 2 걸림 수단 (122) 을 가압했을 때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 (117) 와 걸어 맞춤 볼록부 (1221) 의 걸어 맞춤이 풀려, 수납 공간 (S) 이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상부의 재질)
용기 본체 상부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의 본체측 밀폐 환부 (113) 및 오목부 (111) 내에 있어서의 본체측 밀폐 환부 (113) 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나, 스티렌-부타디엔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우레탄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 (이하, 「탄성 재료」라고 한다.)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탄성 재료의 성질로는, 경도가 2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경도는, JIS K 6253 (타입 A 듀로미터) 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또한, 용기 본체 상부 (11) 중, 후술하는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및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을 형성하는 부분, 상부 미끄럼 방지부 (115), 상부 끼워 맞춤부 (116) 도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상부의 그 밖의 부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 재료의 경도가 상기보다 낮아지면, 지나치게 부드러워서 성형이 어렵고, 성형 효율이 나빠진다. 또한,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이 개폐 덮개 (2) 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힘 및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이 용기 본체 상부 (11) 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또, 경도가 상기보다 높아지면, 취출공 (112) 주변이 단단해지고, 저항이 지나치게 가해져, 시트가 1 장씩 취출되기 어려워지고, 또한 시트를 끄집어낼 때에 용기 내부까지 손가락을 넣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이 개폐 덮개 (2) 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힘 및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이 용기 본체 상부 (11) 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힘이 지나치게 강해진다.
따라서, 탄성 재료의 경도는,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 하부)
용기 본체 하부 (12) 는,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부가 된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개구부 주위에는,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상부 끼워 맞춤부 (116) 와 끼워 맞춰지는 하부 끼워 맞춤부 (12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면에는, 용기 본체 (1) 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 2 걸림 수단 (122) 이 구비되고, 하면에는 추부 (123) 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 끼워 맞춤부)
하부 끼워 맞춤부 (121) 는,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하부 (12) 상부의 개구부 주위에, 용기 본체 하부 (12) 와 용기 본체 상부 (11) 가 접속된 후측을 제외하고 형성되며, 상단부가 내주측만 돌출되어, 하부 돌출부 (1211) 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돌출부 (1211) 의 외주측의 면이, 용기 본체 상부 (11) 에 형성되는 상부 끼워 맞춤부 (116) 의 상부 돌출부 (1161) 의 내주측의 면과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끼워 맞춤부 (121) 는, 하부 돌출부 (1211) 가, 상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3 ㎜ 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 끼워 맞춤부 (116) 의 상부 돌출부 (1161) 가, 내주측만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끼워 맞춤부 (121) 의 하부 돌출부 (1211) 가, 외주측만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돌출부 (1161) 의 외주측의 면과, 하부 돌출부 (1211) 의 내주측의 면이 끼워 맞춰지도록 해도 된다.
또, 상부 돌출부 (1161) 가, 내주측과 외주측 사이의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돌출부 (1211) 가, 내주측과 외주측의 양측에 있어서 돌출되고, 사이에 오목부가 생기도록 형성되고, 상부 돌출부 (1161) 와, 하부 돌출부 (1211) 사이의 오목부가 끼워 맞춰지도록 해도 된다. 반대로, 상부 돌출부 (1161) 가, 내주측과 외주측의 양측에 있어서 돌출되고, 사이에 오목부가 생기도록 형성되고, 하부 돌출부 (1211) 가, 내주측과 외주측 사이의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돌출부 (1211) 와, 상부 돌출부 (1161) 의 사이의 오목부가 끼워 맞춰지도록 해도 된다.
(제 2 걸림 수단)
제 2 걸림 수단 (122) 은, 도 1 및 도 3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볼록부 (1221) 를 구비하는 버튼상으로 형성되고, 걸어 맞춤 볼록부 (1221) 가, 용기 본체 상부 (11) 에 형성되는 걸어 맞춤 오목부 (117) 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수납 공간 (S) 이 폐색된 상태에서 걺과 함께, 사용자가 제 2 걸림 수단 (122) 을 가압했을 때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 (117) 와 걸어 맞춤 볼록부 (1221) 의 걸어 맞춤이 풀려, 수납 공간 (S) 이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제 2 걸림 수단 (122) 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용기 본체 상부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들이 걸어 맞춰지도록 해도 된다.
(추부)
추부 (123) 는, 도 3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하부 (12) 하면의 전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 하부 (12) 하면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두꺼워진 부분이다. 도 3 내지 도 6 에 있어서는, 추부 (123) 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전면과 접하고, 용기 본체 하부 (12) 내부의 Y 방향의 전체에 걸친 직방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경우에 대해 도시했지만, 구체적인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할 때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Y 방향으로 길고, X 방향으로 짧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추부 (123)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를 개방시켰을 때에,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인 바, 이와 같은 효과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접속된 용기 본체 (1) 의 후방에서 먼 위치, 즉,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의, 전방 3 분의 1 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부 (123) 는, 용기 본체 상부 (11), 용기 본체 하부 (12) 및 개폐 덮개 (2) 의 중량이나, 용기 본체 상부 (11) 가 개방되었을 때의, 후술하는 개방 제한 수단 (14) 에 의해 정해지는 개방 각도 등에 대응하여,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 상부 (11) 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후방으로 넘어지지 않는 중량을 가질 필요가 있다.
추부 (123) 를 형성하는 재료로는, 용기 본체 (1) 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보다 밀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도가 1.0 g/㎤ 이상, 2.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추부 (123) 를 그다지 크게 하지 않아도, 충분한 중량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과도하게 무거워지지도 않는다. 또, 밀도가 1.1 g/㎤ 이상, 1.9 g/㎤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ABS 수지나, 폴리염화비닐, PVA 수지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폴리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추부 (123) 의 재료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취출공 (112) 주변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탄성 재료가 동일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추부 (123) 를 형성하는 재료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다른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과 통일되므로, 추부 (123) 를 포함하여,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추부 (123) 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생산성은 저하되지만, 추부 (123) 는, 이와 같이 일체적으로 형성하지 않고, 별도 형성한 후, 소정의 접착제로 접착하는 등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추부 (123) 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다른 부분과 통일할 필요가 없어지고, 추부 (123) 에 사용하는 재료의 선택지를 넓힐 수 있다.
또,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부 (123) 를 상기의 탄성 재료로 형성하면서, 이것이 용기 본체 하부 (12) 의 하면측에 노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기 본체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와 비교하여 마찰력이 큰 탄성 재료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하면측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재치했을 때에 이것을 미끄러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용기 본체 하부의 재질)
용기 본체 하부 (12) 는, 하부 끼워 맞춤부 (121) 가, 용기 본체 상부 (11) 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을 형성하는 부분도,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추부 (123) 도,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 하부 (12) 의 그 밖의 부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탄성 지지 수단)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은,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사용자가 제 2 걸림 수단 (122) 을 가압하고, 걸어 맞춤 볼록부 (1221) 와, 걸어 맞춤 오목부 (117) 의 걸어 맞춤이 풀렸을 때에, 용기 본체 상부 (11) 를, 후방의 용기 본체 하부 (12) 와의 접속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수납 공간 (S) 을 개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후면측의 하부와, 용기 본체 하부 (12) 후면측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하여, 용기 본체 상부 (11) 및 용기 본체 하부 (12) 에,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띠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은, 용기 본체 상부 (11) 및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매립되도록 하여, 이들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는,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이 2 개 지점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은, 이것보다 다수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1 개 지점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본체측 밀폐 환부 (113) 로 둘러싸인 부분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실리콘 고무나, 스티렌-부타디엔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우레탄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형성시에 있어서, 용기 본체 (1) 를,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개방된 상태에서 형성하고,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이, 아무런 힘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후방으로 접힌 형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닫히고,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이 신장되었을 때에,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오려고 하는 힘이 생기도록 한다. 이로써,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후방의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접속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개방 제한 수단)
개방 제한 수단 (14) 은, 용기 본체 (1) 의 개방시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 가,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며, 도 2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1) 후면의,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접속 부분의 하방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있어서는 2 개의 돌기가 구비된 경우에 대해 도시했지만, 구체적인 형성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것보다 다수여도 되고, 1 개만이어도 된다.
개방 제한 수단 (14) 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개방 각도 (용기 본체 상부 (11) 가,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최대까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 의 폐색시에 있어서의 하단부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상단부가 이루는 각도, 즉 도 5 에 있어서의 θ 를 말한다.) 가, 60˚이상, 180˚미만이 되도록,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개방을 제한한다. 개방 각도가 60˚미만이 되면, 개방된 간극이 지나치게 좁아서 가정용 박엽지 (P) 를 다시 채워 넣기에 지장이 생기고, 180˚가 되면, 개방된 용기 본체 상부 (11) 상면과,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재치된 재치면 (T) 사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는 스페이스가 없어져, 이것을 닫기 어려워진다.
또한, 가정용 박엽지 (P) 를 다시 채워 넣기 쉽게 하면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후방으로 넘어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 개방 각도는, 60˚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내지 15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개폐 덮개}
개폐 덮개 (2) 는,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오목부 (111) 후방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접속된 편평한 대략 사각형상의 부재이며, 전측에 개폐 덮개측 클로부 (21) 를 구비하고, 하면측에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를 구비한다.
개폐 덮개 (2) 는,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시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오목부 (111) 를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폐색시에 있어서, 오목부 (111) 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측 클로부)
개폐 덮개측 클로부 (21) 는,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클로부이고,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제 1 걸림 수단 (114) 에 형성되는 본체측 클로부 (1141) 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개폐 덮개를 폐색 상태에서 걺과 함께, 사용자가 제 1 걸림 수단 (114) 을 가압했을 때에는, 본체측 클로부 (1141) 와 개폐 덮개측 클로부 (21) 의 걸어 맞춤이 풀려, 후술하는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에 의해, 개폐 덮개 (2) 가 개방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의 폐색시에 있어서의 하면측 중앙부에 형성된, 하방으로 환상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이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주측의 면이, 용기 본체 상부 (11) 에 형성된 본체측 밀폐 환부 (113) 의 외주측의 면과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의 재질)
개폐 덮개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및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에 둘러싸인 부분이, 용기 본체 상부 (11)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을 형성하는 부분도,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 지지 수단}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은, 개폐 덮개 (2) 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사용자가 제 1 걸림 수단 (114) 을 가압하고, 본체측 클로부 (1141) 와, 개폐 덮개측 클로부 (21) 의 걸어 맞춤이 풀렸을 때에, 개폐 덮개 (2) 를 후방의 용기 본체 상부 (11) 와의 접속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개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은,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본체측 밀폐 환부 (113) 의 후방과, 개폐 덮개 (2) 의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의 개폐 덮개 (2) 가 폐색된 상태에 있어서의 후방을 연결하도록 하여, 용기 본체 상부 (11) 및 개폐 덮개 (2) 에,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과, 개폐 덮개 (2) 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연결하도록 하여, 용기 본체 상부 (11) 및 개폐 덮개 (2) 에 매립되도록 하여, 이들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본체측 밀폐 환부 (113) 로 둘러싸인 부분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실리콘 고무나, 스티렌-부타디엔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우레탄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은, 폭이 바람직하게는 2 ㎜ ∼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 10 ㎜,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5 ㎜ ∼ 3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 2 ㎜ 의 띠상이 되도록, 용기 본체 상부 (11) 및 개폐 덮개 (2) 에 형성된다.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이 이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 (2) 를 무리없이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개폐 덮개 (2) 의 폐색시에 있어서, 오목부 (111) 내에서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을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다.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의 폐색시에 있어서, 이것이 개폐 덮개 (2) 가 붙어 있는 부분에서 절첩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1 걸림 수단 (114) 을 가압하고, 본체측 클로부 (1141) 와, 개폐 덮개측 클로부 (21) 의 걸어 맞춤이 풀렸을 때에는, 절첩된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이 신장하려고 하는 힘에 의해, 개폐 덮개 (2) 가 개방되며,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또, 사용자가 개폐 덮개 (2) 를 폐색할 때에는, 개폐 덮개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면,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이 절첩되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형성시에 있어서, 용기 본체 (1) 및 개폐 덮개 (2) 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가 개방된 상태에서 형성하고,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이,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개폐 덮개 (2) 가 닫히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이 절첩되었을 때에,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오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로써, 개폐 덮개 (2) 를, 용기 본체 상부 (11) 에 대해, 후방의 개폐 덮개 (2) 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접속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의 효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 의하면, 용기 본체 (1) 가,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이 후면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으므로, 용기를 테이블 등 상에 재치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 상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수납 공간 (S) 을 개방하고, 가정용 박엽지 (P) 를 다시 채워 넣을 수 있다.
따라서, 가정용 박엽지 (P) 를 다시 채워 넣을 때에,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들어 올리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테이블 등에 재치한 상태 그대로, 다시 채워 넣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는, 후면에서 접속되어 있으므로, 가정용 박엽지 (P) 를 다시 채워 넣은 후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위치를 하나하나 맞추지 않고, 용이하게 이들을 끼워 맞춰 용기 본체 (1) 를 닫은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 의하면, 개방 제한 수단 (14) 에 의해,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한 개방 각도가 제한된다. 이로써, 용기 본체 (1) 의 개방시에, 개방된 용기 본체 상부 (11) 상면과,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재치된 재치면 (T) 사이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는 스페이스가 남겨지므로, 이것을 다시 닫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 경우,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시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상면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재치된 재치면 (T) 에 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것이 고정되게 되지만, 이 경우, 특히 개방 각도가 90˚이상이 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 에 의해, 무게 중심이 후방이 되므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후방으로 넘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용기 본체 하부 (12) 에, 추부 (123) 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후방으로 넘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추부 (123) 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효율적으로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가정용 박엽지 (P) 의 취출시에, 취출공 (112) 에 있어서 가정용 박엽지 (P) 에 저항이 가해지는 바,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 (P) 가 감소하고, 용기의 중량이 가벼워지면, 취출공 (112) 의 저항에 의해 용기 자체가 들려서,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 의하면, 추부 (123) 에 의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무거워지므로,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 (P) 가 감소한 경우에 있어서도, 이것이 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추부 (123) 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다른 부분에 있어서도 사용되는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추부 (123) 를 포함하여,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부품 점수도 증가하지 않으므로, 추부 (123) 를 구비함으로써,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또한,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부 (123) 가 탄성 재료에 의해, 용기 본체 하부 (12) 의 하면측에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재치했을 때에 이것을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 1 걸림 수단 (114) 을 조작하고, 개폐 덮개 (2) 의 걸림이 풀리면,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에 의해, 개폐 덮개 (2) 가 자동적으로 튕겨 올려지므로, 가정용 박엽지 사용시의 개폐 덮개 (2) 의 개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걸림 수단 (122) 을 조작하고,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한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걸림이 풀리면,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에 의해, 용기 본체 상부 (11) 가 자동적으로 튕겨 올려지므로, 가정용 박엽지 (P) 를 다시 채워 넣을 때의, 용기 본체 (1) 의 개방이 용이해진다.
또,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은, 용기 본체 상부 (11) 및 개폐 덮개 (2) 에 있어서, 취출공 (112) 주변 등의, 다른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부분과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용기 본체 (1) 및 개폐 덮개 (2) 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은, 용기 본체 상부 (11) 및 용기 본체 하부 (12) 에 있어서, 다른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과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용기 본체 (1) 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도 증가하지 않으므로,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및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을 구비함으로써,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특히,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취출공 (112) 주변은, 가정용 박엽지 (P) 에 대하여 적절한 저항을 가하기 위해서도,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취출공 (112) 주변으로부터 연속되는 형태로,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을 형성할 수 있고, 취출공 (112) 주변과 별도로 탄성 재료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 에 탄성 재료에 의해 본체측 밀폐 환부 (113) 가 형성되고, 개폐 덮개 (2) 에 탄성 재료에 의해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가 구비되고, 이들이 개폐 덮개 (2) 의 폐색시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취출공 (112), 나아가서는 용기 본체 (1) 내부의 수납 공간 (S) 의 기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본체측 밀폐 환부 (113) 및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의 쌍방이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특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 (1) 상면의, 개폐 덮개 (2) 의 후방에, 탄성 재료에 의해 상부 미끄럼 방지부 (115)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방시의 개폐 덮개 (2) 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 에 탄성 재료에 의해 상부 끼워 맞춤부 (116) 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 하부 (12) 에 탄성 재료에 의해 하부 끼워 맞춤부 (121) 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 (1) 의 폐색시에, 이들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용기 본체 (1) 의 기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상부 끼워 맞춤부 (116) 및 하부 끼워 맞춤부 (121) 의 쌍방이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특히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는, 전체를 2 종류의 수지 소재 (실리콘 고무나, 스티렌-부타디엔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우레탄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비교적 경질인 재료) 에 의해 형성하고,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이것을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도 우수하다.
[변형예]
추부의 형상 및 배치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하부 (12A) 의 하면의 전체면에,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추부 (123A) 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추부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전방에 집중적으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많은 탄성 재료가 필요해지고, 생산성은 저하되지만, 용기 본체 하부 (12A) 의 하면의 전체면이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방지로서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개방 제한 수단의 구체적 구성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개방 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면 되고,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의 후방의 내면측에 있어서, 탄성 재료에 의해, 용기 본체 상부와 용기 본체 하부를 연결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B) 의 후방의 내면측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부 (118) 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 하부 (12B) 의 후방의 내면측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부 (124) 를 구비한다.
그리고, 탄성 재료에 의해 띠상으로 형성된 개방 제한 수단 (14A) 을, 제 1 돌기부 (118) 와, 제 2 돌기부 (124) 를 연결하도록 구비하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B) 가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개방 제한 수단 (14A) 이 절첩되고, 이것이 용기 본체 상부 (11B) 가 개방됨에 따라서 신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제한 수단 (14A) 이 Y 방향에서 보아 대략 직선상이 되면, 더 이상은 개방 제한 수단 (14A) 이 신장하지 않게 되므로, 당해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B) 의 개방이 제한되게 된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B) 를 닫으면, 다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제한 수단 (14A) 이 절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탄성 재료에 의해 띠상으로 형성된 개방 제한 수단 (14A) 에 의해, 용기 본체 상부 (11B) 에 구비된 제 1 돌기부 (118) 와, 용기 본체 하부 (12B) 에 구비된 제 2 돌기부 (124) 를 연결함으로써, 용기 본체 상부 (11B) 의 개방을 제한할 수 있다.
또, 개방 제한 수단 (14A) 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용기 본체 상부 (11B) 의 개방 각도 (θ) 를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방 제한 수단 (14A) 에 의하면, 용기 본체 (1B) 의 내면측에 구비되므로, 외면측에 돌기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B) 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는다.
또, 개방 제한 수단 (14A) 은, 상기와 같이,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일단부가 용기 본체 상부 (11B) 에 구비된 제 1 돌기부 (118) 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용기 본체 하부 (12B) 에 구비된 제 2 돌기부 (124) 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이것이 용기 본체 상부 (11B) 의 폐색시에 절곡되게 된다.
따라서, 개방 제한 수단 (14A) 에 대해,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이것이 Y 방향에서 보아 대략 직선상의 도 9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도록 형성해 두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B) 와 용기 본체 하부 (12B) 가 닫히고, 개방 제한 수단 (14A) 이 절첩되었을 때에, 도 9 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오려고 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로써, 용기 본체 상부 (11B) 를, 용기 본체 하부 (12B) 에 대해, 후방의 용기 본체 상부 (11B) 와 용기 본체 하부 (12B) 의 접속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개방 제한 수단 (14A) 은, 용기 본체 상부 (11B) 를 용기 본체 하부 (12B) 에 대해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 수단으로도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을 구비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제 2 걸림 수단 (122) 을 가압하고, 걸어 맞춤 볼록부 (1221) 와, 걸어 맞춤 오목부 (117) 의 걸어 맞춤이 풀렸을 때에, 용기 본체 상부 (11B) 를, 후방의 용기 본체 하부 (12B) 와의 접속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수납 공간 (S) 을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8 및 도 9 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 (1B) 후방의, Y 방향 중앙부 부근에 개방 제한 수단 (14A) 이 구비된 경우에 대해 도시했지만, 구체적인 형성 위치, 형성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Y 방향에 있어서 복수 지점에 개방 제한 수단 (14A) 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그 밖에,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추부 및 개방 제한 수단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낸 용기 본체 (1A) 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A) 와 용기 본체 하부 (12A) 가, X 방향에 있어서 전측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경사진 분할선에 있어서 분할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 (1A) 를 개방한 경우의, 용기 본체 하부 (12A) 의 상면의 개구부가 넓어지고, 가정용 박엽지 (P) 를 다시 채워 넣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는, 반드시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에 의해, 용기 본체 상부 (11) 가 탄성 지지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특히 제 2 탄성 지지 수단 (13) 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하나하나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잡고 개폐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용기 본체 상부의 개폐 덮개 (2) 의 구조는, 도시한 개폐 덮개 (2) 가 제 1 탄성 지지 수단 (3) 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취출공 (112) 을 개폐할 수 있으면 임의의 구조를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히 탄성 지지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하나하나 개폐 덮개 (2) 를 잡고 개폐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대해,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개방시에 있어서,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시험을 실시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
이하의 실시예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전후 방향 130 ㎜, 좌우 방향 150 ㎜, 높이 70 ㎜ 로 형성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이며, 상하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로 분할되어 있다.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재료로는, 탄성 재료로서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고, 다른 부분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각 부분의 중량은, 용기 본체 상부 (11) 와, 개폐 덮개 (2) 를 합한 중량이 45.5 g, 용기 본체 하부 (12) 중, 추부 (123) 를 제외한 부분이 31.0 g 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추부 (123) 는, 점토 (성분 : 소맥분, 물, 식염) 를 사용하여, 전후 방향 10 ㎜, 좌우 방향 110 ㎜, 높이 25 ㎜ 의 직방체상으로 형성하였다. 중량은 20 g 이다.
또한, 본래 추부 (123) 는, 용기 본체 하부 (12) 의 다른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는, 별체로서 형성 후, 이것을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는 형태로 하였다.
추부 (123) 는,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전측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또, 개방 제한 수단 (14) 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개방 각도가 160˚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앙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후방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4)
추부 (123) 를, 전후 방향 20 ㎜, 좌우 방향 110 ㎜, 높이 30 ㎜ 의 직방체상으로 형성하였다. 중량은 30 g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5)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앙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4 와 동일하다.
(실시예 6)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후방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4 와 동일하다.
(실시예 7)
추부 (123) 를, 전후 방향 25 ㎜, 좌우 방향 110 ㎜, 높이 20 ㎜ 의 직방체상으로 형성하였다. 중량은 40 g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8)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앙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7 과 동일하다.
(실시예 9)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후방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7 과 동일하다.
(실시예 10)
추부 (123) 를, 전후 방향 30 ㎜, 좌우 방향 110 ㎜, 높이 15 ㎜ 의 직방체상으로 형성하였다. 중량은 67.5 g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11)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앙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0 과 동일하다.
(실시예 12)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후방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0 과 동일하다.
(실시예 13)
추부 (123) 를, 전후 방향 35 ㎜, 좌우 방향 110 ㎜, 높이 35 ㎜ 의 직방체상으로 형성하였다. 중량은 140 g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14)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앙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3 과 동일하다.
(실시예 15)
추부 (123) 를,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전후 방향으로 3 등분한 경우에 있어서의, 후방의 3 분의 1 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3 과 동일하다.
[시험 방법]
실시예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상면이 수평면이 된 받침대 위에 용기 본체 하부 (12) 의 바닥면 전체가 접하도록 재치한 상태에서, 제 2 걸림 수단 (122) 의 걸림을 해제하여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최대 (개방 각도 160˚) 까지 개방시키고,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가 후방으로 넘어지는지의 여부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고, 넘어지지 않았던 경우를 ○, 넘어진 경우를 × 로 하였다. 또한, 용기 본체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평가)
상기 각 실시예의 비교에 의해, 추부를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전방에 형성할수록, 가벼운 중량의 추부에 의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0, 100A, 100B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1A, 1B : 용기 본체
11, 11A, 11B : 용기 본체 상부
12, 12A, 12B : 용기 본체 하부
123, 123A : 추부
14, 14A : 개방 제한 수단
2 : 개폐 덮개
P : 가정용 박엽지

Claims (9)

  1.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가 수납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는, 가정용 박엽지를 취출하는 취출공을 가지며, 당해 취출공을 폐색하는 개폐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접속되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개방 제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제한 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개방 각도를, 60˚이상 160˚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하부는, 상기 용기 본체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를 전도되기 어렵게 하는 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상기 용기 본체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가 접속된 측과 대향하는 측의 단부 근방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하면부에,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하면부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하면부의 외면측에 상기 탄성 재료가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하면부의 외면측의 전체면에 형성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제한 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용기 본체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접속 부분의 하방에 구비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제한 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상기 용기 본체 하부와의 접속 부분의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상기 용기 본체 상부와의 접속 부분의 하부를 연결하는,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접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1020207025478A 2018-03-29 2019-03-27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202001368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3947A JP6975670B2 (ja) 2018-03-29 2018-03-29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JP-P-2018-063947 2018-03-29
PCT/JP2019/013167 WO2019189351A1 (ja) 2018-03-29 2019-03-27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897A true KR20200136897A (ko) 2020-12-08

Family

ID=6806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478A KR20200136897A (ko) 2018-03-29 2019-03-27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94752A1 (ko)
EP (1) EP3747799A4 (ko)
JP (1) JP6975670B2 (ko)
KR (1) KR20200136897A (ko)
CN (1) CN111867944B (ko)
WO (1) WO2019189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5875B2 (ja) * 2019-11-29 2023-10-20 大王製紙株式会社 薄葉紙収納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2581A (ja) 2015-03-18 2016-09-29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3642U (ko) * 1984-11-02 1986-06-02
JPS61132256U (ko) * 1985-02-06 1986-08-18
JPH0317040U (ko) * 1989-06-30 1991-02-20
JPH03126840U (ko) * 1990-03-30 1991-12-20
EP0680888B1 (en) * 1994-05-04 2000-0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containing a stack of wet wipes comprising a hinging cover
JPH1149210A (ja) * 1997-07-31 1999-02-23 Pigeon Corp 容 器
JP3746901B2 (ja) * 1997-10-15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EP0953313A1 (en) * 1998-04-28 1999-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container
JP2000142744A (ja) * 1998-11-13 2000-05-23 Dainippon Printing Co Ltd 蓋装置および密封容器
JP2001072105A (ja) * 1999-09-07 2001-03-21 Toppan Printing Co Ltd ワンタッチオープン蓋構造
JP3931522B2 (ja) * 2000-02-29 2007-06-20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構造
JP2002053157A (ja) * 2000-08-10 2002-02-19 Kamaya Kagaku Kogyo Co Ltd 密閉蓋容器
JP3465167B2 (ja) * 2000-12-22 2003-11-10 株式会社ホギメディカル 蓋体の後端で開閉操作をしてなる容器
JP4299486B2 (ja) * 2002-03-14 2009-07-22 藤森工業株式会社 消毒材料包装体
JP4253468B2 (ja) * 2002-05-28 2009-04-1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4219205B2 (ja) * 2003-04-09 2009-02-04 森永乳業株式会社 蓋付き容器
JP4658507B2 (ja) * 2004-03-31 2011-03-23 竹本容器株式会社 自開式キャップ機構
US7530472B2 (en) * 2004-06-16 2009-05-12 The Clorox Company Wipes dispensing system
JP4875341B2 (ja) * 2005-10-18 2012-02-15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紙収納容器
JP2007204131A (ja) * 2006-02-03 2007-08-16 Kao Corp シート収用容器
JP4833811B2 (ja) * 2006-11-30 2011-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GB2443893B (en) * 2007-03-19 2009-06-24 Donald Dallas A dispensing mechanism
JP5236997B2 (ja) * 2008-05-29 2013-07-17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280140B2 (ja) * 2008-09-26 2013-09-04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867135B2 (ja) * 2012-02-13 2016-02-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蓋付容器
JP2013165858A (ja) * 2012-02-16 2013-08-29 Sharp Corp 炊飯器
CN103835603A (zh) * 2014-02-25 2014-06-04 伍志勇 可限制家具门打开角度的铰链
KR20170039123A (ko) * 2014-07-30 2017-04-10 이와사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보존용기
JP6210960B2 (ja) * 2014-09-30 2017-10-1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16141409A (ja) * 2015-01-30 2016-08-08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ウェットワイパー収納容器
EP3254591A1 (de) * 2016-06-09 2017-12-13 Arno Schöler Einrichtung für die entnahme von feuchttüchern
CN206926996U (zh) * 2017-06-23 2018-01-26 傅朝霞 防止物品倒置的包装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2581A (ja) 2015-03-18 2016-09-29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20131814A (ru) 2022-03-29
JP6975670B2 (ja) 2021-12-01
EP3747799A1 (en) 2020-12-09
RU2020131814A3 (ko) 2022-03-29
EP3747799A4 (en) 2021-10-27
WO2019189351A1 (ja) 2019-10-03
US20210094752A1 (en) 2021-04-01
CN111867944B (zh) 2022-05-24
CN111867944A (zh) 2020-10-30
JP2019172331A (ja)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3791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US11261020B2 (en) Container for housing household tissue paper
KR20210036339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20200136897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JP7241607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206068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300837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11432689B2 (en) Home tissue paper accommodation container
US20220135284A1 (en) Household tissue paper container
WO2020246308A1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20196515A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20196514A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638884B2 (ja) リフィル皿保護容器
JP2020050421A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