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123A - 보존용기 - Google Patents

보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123A
KR20170039123A KR1020177001085A KR20177001085A KR20170039123A KR 20170039123 A KR20170039123 A KR 20170039123A KR 1020177001085 A KR1020177001085 A KR 1020177001085A KR 20177001085 A KR20177001085 A KR 20177001085A KR 20170039123 A KR20170039123 A KR 20170039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uter frame
storage container
door cover
doo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이와사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사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사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개폐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도어덮개를 가져, 여러 가지 방향으로 출입구에 접근할 수 있는 보존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보존용기는 용기몸체와 도어덮개를 구비한다. 용기몸체는 출입구를 규정하는 외주 틀을 갖는다. 도어덮개는, 상기 외주 틀에 부착시킬 수 있고, 상기 출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외주 틀은, 상기 외주 틀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피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도어덮개는, 임의의 상기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피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임의의 상기 피연결부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덮개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외주 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보존용기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 등을 보존해 두기 위한 보존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식품 등을 보존해 두기 위한 보존용기로서, 개폐식의 도어덮개가 설치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어덮개의 개폐 형태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면, 회동식의 것이나, 슬라이드식의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회동식 도어덮개의 경우, 보존용기 내에 보존되어 있는 물품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덮개가 해당 출입구를 규정하는 외주 틀에 대해서 회동한다. 이런 종류의 보존용기는, 개폐가 용이하고, 예를 들면, 라이스 스토커나 팻 푸드 스토커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11-29022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회동식의 도어덮개는, 회동축이 고정되어 있어 한 방향으로 개폐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개폐방향이 고정되어 있는 도어덮개의 경우, 출입구를 통하여 보존용기 내에 접근하려고 할 때, 열린 상태의 도어덮개가 방해가 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출입구의 우측으로 도어덮개의 회동축선이 존재하는 경우에, 보존용기의 우측에서 출입구에 액세스 하려고 하면, 도어덮개가 출입구의 앞쪽에 세워져 있어 장벽이 된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출입구에 대해서 평상시 접근하는 쪽과는 반대쪽에 회동축이 위치하도록 보존용기를 배치하면 되지만, 설치공간의 관계상, 보존용기를 반드시 그와 같이 배치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도어덮개를 가져, 여러 가지 방향에서 출입구에 접근할 수 있는 보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용기몸체와 도어덮개를 구비한다. 용기몸체는, 출입구를 규정하는 외주 틀을 갖는다. 도어덮개는, 상기 외주 틀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출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외주 틀은, 상기 외주 틀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피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도어덮개는, 임의의 상기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피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임의의 상기 피연결부에 연결한 상태로, 상기 도어덮개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외주 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보존용기 출입구의 외주 틀에, 외주 틀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피연결부가 설치되는 한편, 도어덮개에, 외주 틀의 임의의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부를 임의의 피연결부에 연결한 상태에서는, 도어덮개가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외주 틀에 대해서 회동한다. 따라서, 도어덮개의 연결부를 여러 가지 피연결부에 부착시킴으로써, 도어덮개를 여러 가지 방향에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어덮개의 개폐방향을 선택할 수 있어 여러 가지 방향에서 출입구에 접근할 수 있는 보존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제1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로서, 상기 외주 틀은, 상기 외주 틀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3개의 상기 피연결부를 갖는다. 따라서, 도어덮개의 개폐방향을 적어도 3개의 방향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로서, 상기 도어덮개는, 평면도에 있어서 대체로 회전 대칭인 형상이다. 즉, 도어덮개는, 예를 들면, 평면도에 있어서 대략 정사각형, 대략 직사각형, 대략 원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제3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로서, 상기 도어덮개는, 평면도에 있어서 대체로 정다각형이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제4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로서, 상기 도어덮개는, 평면도에 있어서 대체로 정사각형이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제1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존용기로서, 상기 복수의 피연결부 중 하나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였을 경우의 상기 외주 틀에 대한 상기 도어덮개의 회동축선과, 상기 복수의 피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였을 경우의 상기 외주 틀에 대한 상기 도어덮개의 회동축선은, 대체로 90도의 각도를 이룬다.
여기에서는, 도어덮개의 연결부를 외주 틀의 복수의 피연결부 중에서 바꿔 부착시킴으로써, 도어덮개를 대체로 90도 상이한 방향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대체로 90도 상이한 방향으로 출입구에 접근할 수 있는 보존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제1 관점 내지 제6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존용기로서, 상기 복수의 피연결부 중 하나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였을 경우의 상기 외주 틀에 대한 상기 도어덮개의 회동축선과, 상기 복수의 피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였을 경우의 상기 외주 틀에 대한 상기 도어덮개의 회동축선은, 대체로 평행하다.
여기에서는, 도어덮개의 연결부를 외주 틀의 복수의 피연결부 중에서 바꿔 부착시킴으로써, 도어덮개를 대체로 180도 상이한 방향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대체로 180도 상이한 방향으로 출입구에 접근할 수 있는 보존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제1 관점 내지 제7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존용기로서, 상기 연결부는, 개구를 규정하는 부위 및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삽입부 중 하나이며, 상기 피연결부는 다른 하나이다.
여기에서는, 연결부와 피연결부가, 개구를 규정하는 부위와 해당 개구에 삽입되는 삽입부의 형태로 실현된다. 따라서,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피연결부를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따른 보존용기는, 제1 관점 내지 제8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존용기로서, 상기 용기몸체는, 상기 외주 틀이 설치된 상면부를 갖는다. 상기 외주 틀은, 상기 상면부에 있어서 편심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출입구가 보존용기의 상면부에 있어서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설치공간에 대한 출입구의 위치는, 상면부가 배치되는 방향에 의존하게 된다. 그렇다면, 상면부의 방향을 출입구가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결정했을 때, 만일 상면부에 있어서의 도어덮개의 개폐방향을 선택할 수 없으면, 도어덮개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상면부에 대한 도어덮개의 개폐방향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출입구의 위치 및 도어덮개의 개폐방향을 어느 쪽이든지 원하는 대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덮개의 연결부를 여러 가지 피연결부에 부착시킴으로써, 도어덮개를 여러 방향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어덮개의 개폐방향을 선택할 수 있어, 여러 방향으로 출입구에 접근할 수 있는 보존용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존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보존용기의 평면도, (B)는 보존용기의 장변측의 측면도, (C)는 보존용기의 단변측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어덮개가 여러 가지 방향으로 열리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박스의 평면도, (B)는 박스의 장변측의 측면도, (C)는 박스의 단변측의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상면부의 평면도, (B)는 상면부의 출입구에 가까운 단변측의 측면도, (C)는 상면부의 출입구에서 먼 단변측의 측면도, (D)는 상면부의 장변측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면부의 저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어덮개의 평면도, (B)는 도어덮개의 손잡이에 가까운 쪽의 측면도, (C)는 도어덮개의 회동축에 가까운 쪽의 측면도, (D)는 도어덮개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어덮개의 저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존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 1. 보존용기의 전체 구성 >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존용기(1)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보존용기(1)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서처럼 상하방향, 단변방향 및 장변방향을 정의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도면의 설명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위쪽을 상면측, 아래쪽을 저면측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존용기(1)는, 상부에 출입구(S1)(도 3 참조)를 가지는 용기몸체(3)와, 이 출입구(S1)를 개폐하는 도어덮개(2)를 구비한다. 보존용기(1)는,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밀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식품의 보존에 최적이고, 예를 들면, 라이스 스토커나 팻 푸드 스토커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존용기(1)의 뛰어난 특징으로서, 도어덮개(2)는 용기몸체(3)에 대한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보존용기(1)의 설치장소에 따라, 도어덮개(2)의 개폐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 각부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 2. 각부 구성 >
< 2-1. 용기몸체 >
용기몸체(3)는, 상면 측에 개구(S2)(도 4 참조)를 가지는 박스(30)와, 이 개구(S2)를 폐쇄하도록 박스(3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면부(40)를 갖는다. 도 4는 박스(30) 단품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30)는, 사각형의 바닥부(31)와, 바닥부(31)의 4개의 변을 따라서 4개의 변으로부터 세워지는 측벽부(32~35)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컨테이너이다. 측벽부(32~35) 중에서, 단변방향을 따르는 것이 측벽부(32, 34)이며, 장변방향을 따르는 것이 측벽부(33, 35)이다.
도 5는 상면부(40) 단품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40)는, 사각형의 상면판(41)과, 상면판(41)의 4개의 변을 따라서 해당 4개의 변으로부터 약간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측벽부(42~45)를 갖는다. 상면판(41)에는, 출입구(S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출입구(S1)는, 상면부(40)를 박스(30)에 부착시킴으로써 박스(30)의 개구(S2)를 폐쇄시켰을 때에, 해당 개구(S2)를 대신하여 용기몸체(3)의 내부공간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이다. 출입구(S1)는, 외주 틀(41a)에 의해 규정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사각형이다. 또한, 외주 틀(41a)은, 상면판(41)의 일부이지만, 반드시 상면판(41)에 있어서의 그 밖의 부위와 명확하게 구별되는 부위는 아니다. 상면판(41)에 있어서의 외주 틀(41a)과 그 밖의 부위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별개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입구(S1)는, 상면판(4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변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판(41)의 측벽부(42~45) 중에서, 단변방향을 따르는 것을 측벽부(42, 44)라고 하고, 특히 출입구(S1)에 더욱 가까운 것을 측벽부(42)라고 하고, 더욱 먼 것을 측벽부(44)라고 한다(도 1 및 도 5 참조). 또, 나머지 장변방향을 따르는 측벽부(43, 45) 중에서, 측벽부(42)가 왼쪽에 오도록 배치했을 때에 앞쪽에 있는 것을 측벽부(43)라고 하고, 뒤쪽에 있는 것을 측벽부(45)라고 한다(도 1 및 도 5 참조).
외주 틀(41a)에는, 외주 틀(41a)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홈(53~55)이 형성되어 있다. 홈(53, 55)은 외주 틀(41a)의 장변방향을 따르는 부위에 형성되며, 특히 홈(53)은 측벽부(43)에 더욱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고, 홈(55)은 측벽부(45)에 더욱 가까운 부위에 배치된다. 또, 홈(54)은 외주 틀(41a)의 단변방향을 따르는 부위에서, 측벽부(42)로부터 더욱 먼 부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홈(53~55) 내지는 이들 홈(53~55)을 규정하는 부위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도어덮개(2)에 형성되어 있는 후술하는 회동축(10)은, 이들 홈(53~55) 중에서 임의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도어덮개(2)의 개폐방향을 3방향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부(42~45)의 외주면은, 측벽부(42)의 중앙 부근을 제외하고, 전체 주위 방향을 따라서 평탄하다. 측벽부(42)의 중앙 부근의 부위(이하, 돌출부(42a)라고 한다)의 외주면은, 그 밖의 부위의 외주면보다 약간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42a)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S3)은, 대체로 사람의 손가락 끝이 들어가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해당 공간(S3)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위쪽을 향해 힘을 가함으로써, 상면부(40)를 용이하게 박스(30)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은 상면부(40)의 저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면판(41)의 하면에는, 상면판(41)의 외주방향을 따라서 패킹(60)이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면판(41)의 하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상면부(40)의 외주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2개의 가이드 레일(6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2개의 가이드 레일(61) 사이에 패킹(60)이 배치되어 있다. 패킹(60)은, 착탈식의 것이어도, 가이드 레일(61) 및 상면판(41)에 간극 없이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패킹(60)은, 상면부(40)를 박스(30)에 부착시켰을 때에, 박스(30)의 측벽부(32~35)의 상단의 플랜지 부분(36)(도 4 참조)에 외주방향 전체에 걸쳐 접촉되어 밀착된다. 따라서, 이 패킹(60)에 의해서, 박스(30)와 상면부(40)의 연결부분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기밀성이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보존용기(1) 중 패킹(패킹(60)에 더하여, 후술하는 패킹(28)도 포함한다) 이외의 부위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포화 폴리에스테르 등의 경질의 수지재료에 의해 성형할 수 있고, 패킹은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재료(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리콘)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다시 참조한다. 박스(30)의 측벽부(32, 34)의 상단 부근의 중앙 근방에는, 측벽부(32, 34)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파지부(32a, 34a)가 배치된다. 파지부(32a, 34a)에는, 하부가 개방된 공간(S4)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S4)은 사람의 손가락 끝이 들어갈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여기에 손가락을 걺으로써, 박스(30) 혹은 보존용기(1) 전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박스(30)는, 박스(30)의 장변방향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면(A1)(도 4 참조) 및 단변방향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면(A2)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상면부(40)와 박스(30)는, 측벽부(32)를 측벽부(42, 44)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다.
< 2-2. 도어덮개 >
이하, 상면부(40)의 출입구(S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덮개(2)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어덮개(2) 단품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어덮개(2)는, 정사각형 판형상의 도어본체(21)와, 도어본체(21)의 4개의 변을 따라서 해당 4개의 변으로부터 약간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2~25)를 갖는다. 도어본체(21)는 출입구(S1)보다 약간 큰 판형상의 부재이다.
도어본체(21)의 외주부 중에서, 소정의 하나의 변을 따른 부분의 중앙 근방의 부위(이하, 함몰부(21a))는, 그 밖의 부위보다 약간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다. 또한, 도어덮개(2)의 측벽부(22~25) 중에서, 함몰부(21a)에 대응하는 변을 따르는 것이 측벽부(22)이며, 이것에 대향하는 변을 따르는 것이 측벽부(24)이다. 또, 나머지 2개의 변을 따르는 측벽부(23, 25) 중에서, 측벽부(22)가 우측에 오도록 배치했을 때에 뒤쪽에 있는 것을 측벽부(23)라고 하고, 앞쪽에 있는 것을 측벽부(25)라고 한다. 또, 측벽부(22)는, 외주방향을 따라서 함몰부(2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절결되어 있다.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1a)는, 도어본체(21)의 그 밖의 부위에 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그 결과, 함몰부(21a)의 아래쪽에는, 사람의 손가락 끝이 들어갈 정도의 공간(S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공간(S5)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위쪽을 향해 힘을 가함으로써, 도어본체(21)를 후술하는 회동축(10)을 따라서 용이하게 회동시켜, 이것에 의해, 출입구(S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의미로, 함몰부(21a)는 손잡이(21a)라고 부를 수 있다.
도어덮개(2)를 회동시키는 회동축(10)은, 측벽부(24)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10)은 기다란 원기둥 형상이다. 측벽부(24)는, 이 회동축(10)에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또, 상술한 상면부(40)의 홈(53~55)을 규정하는 부위에는, 홈(53~55)의 양단에 축받이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부(48)는 회동축(10)을 회동 가능하게 받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홈(53~55)의 양단의 축받이부(48)는, 해당 홈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해당 홈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면(A3)(도 5 참조)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축받이부(48)는, 회동축(10)의 단면 형상보다 조금 큰 원형구멍을 가지는 부재를, 해당 원형구멍의 측벽부분에 있어서 해당 원형구멍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절결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해당 연통구(H1)를 통하여, 회동축(10)을 원형구멍에 삽입할 수 있다(다만, 상기한 절결에 의해, 여기서 말하는 원형구멍은 완전한 원형은 아니게 된다). 도 8의 단면도에 있어서, 이 원형구멍은, 원래의 원의 중심(P1)과 연통구(H1)의 양단(P2, P3)을 잇는 2개의 선이 이루는 각도(θ)는, 180도보다 작다. 즉, 연통구(H1)의 폭은 회동축(10)의 직경보다 좁다. 그렇지만, 회동축(10)을 축받이부(48)의 연통구(H1)에 가압하면, 축받이부(48) 및 회동축(10)이 탄성변형하고, 회동축(10)은 연통구(H1)를 통하여 축받이부(48)의 원형구멍에 삽입된다. 또한, 연통구(H1)는 위쪽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어느 하나의 홈(53~55)에 대응하는 한 쌍의 축받이부(48)에 회동축(10)을 연결하면, 도어덮개(2) 전체가 회동축(1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해진다. 회동축(10)은, 축받이부(48)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부착시와 마찬가지로, 축받이부(48) 및 회동축(10)이 탄성변형함으로써, 축받이부(48)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따라서, 보존용기(1)의 배치가 바뀌어, 그에 따라 도어덮개(2)의 상면부(40)에 대한 개폐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는, 적절히 개폐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도어덮개(2)의 저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덮개(2)에는 패킹(28)이 부착되어 있다. 그 결과, 도어덮개(2)가 상면부(40)의 외주 틀(41a)에 접하고 있는 상태, 즉, 도어덮개(2)가 출입구(S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덮개(2)와 상면부(40)의 연결부분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기밀성이 유지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킹(28)은, 도어본체(21)의 하부면에 있어서, 도어본체(21)의 외주방향을 따라서 부착되어 있다. 도어본체(21)의 하부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도어덮개(2)의 외주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2개의 가이드 레일(29)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2개의 가이드 레일(29) k이에 패킹(28)이 배치되어 있다. 패킹(28)은, 패킹(60)과 마찬가지로, 착탈식이어도 좋고, 가이드 레일(29) 및 도어본체(21)에 간극 없이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패킹(28)은, 도어덮개(2)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면부(40)의 외주 틀(41a)에 외주방향 전체에 걸쳐서 접촉되어, 밀착된다.
< 3. 보존용기의 사용 방법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덮개(2)의 회동축(10)은, 용기몸체(3)의 3개의 홈(53~55)의 축받이부(48)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존용기(1)의 설치장소나 사용상태에 알맞은 개폐방향을 선택하고, 해당 개폐방향에 대응하는 홈(53~55)의 축받이부(48)에 도어덮개(2)를 부착시킨다. 또, 설치 장소나 사용상태가 바뀌면, 도어덮개(2)를 떼어내 다른 홈(53~55)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보존용기(1)의 내부공간에 피수납물을 수납할 때에는, 출입구(S1)를 통하여 수납할 수도 있지만, 박스(30)의 개구(S2)를 통하여 수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면부(40)를 박스(30)로부터 제거하여 개구(S2)를 개방시키고, 이곳으로부터 피수납물을 수납한 후, 재차 상면부(40)를 닫으면 된다. 피수납물을 보존용기(1)의 내부공간에 수납한 다음에는, 손잡이(21a)를 잡고 도어덮개(2)를 회동축(10) 주위에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출입구(S1)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해당 출입구(S1)를 통하여 피수용물을 꺼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덮개(2)는, 출입구(S1)를 닫은 상태로부터 90도 이상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출입구(S1)를 닫은 상태로부터 90도 이상 회동시킨 후, 손잡이(21a)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그대로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그 결과, 출입구(S1)를 통한 피수납물의 출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 4. 변형예 >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이하의 변형예의 요지는,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 4-1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주 틀(41a)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3개의 피연결부(홈(53~55) 및 각각에 대응하는 축받이부(48))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어덮개(2)의 연결부(회동축(10))를 연결하는 피연결부의 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홈(53~55) 및 축받이부(48)와 동일한 구조가 외주 틀(41a)의 4개의 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2개의 변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외주 틀(41a)의 2개의 변에 홈 및 축받이부(48)가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홈(53~55) 중에서 임의의 홈 및 이것에 대응하는 축받이부(48)를 생략할 수 있다.
< 4-2 >
도어덮개(2)의 형상 및 출입구(S1)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정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도어덮개(2)의 개폐방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하기 위해서는, 도어덮개(2)는 대체로 회전 대칭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원형이나 정다각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어덮개(2) 및 출입구(S1)는 정사각형이며, 피연결부(홈(53~55)) 중 하나에 연결부(회동축(10))를 연결했을 경우의 외주 틀(41a)에 대한 도어덮개(2)의 회동축선과, 피연결부(홈(53~55)) 중 다른 하나에 연결부(회동축(10))를 연결했을 경우의 외주 틀(41a)에 대한 도어덮개(2)의 회동축선과는, 대체로 90도 또는 대체로 180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도어덮개(2) 및 출입구(S1)가 정다각형이면, 예를 들어, 출입구(S1)의 각 변을 따라서 피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와 피연결부를 바꿔 붙이는 것에 의해, 내각ㅧ정수의 각도만큼 도어덮개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원형의 경우에도, 피연결부끼리가 이루는 각도만큼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 4-3 >
도어덮개(2)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동축(10)이 상면부(40) 측에 복수개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회동축(1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홈 및 축받이부(48)가 도어덮개(2)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회동축(10) 및 상면부(40)에, 회동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발톱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도어덮개(2)를 도어 틀인 외주 틀(41a)에 대해 회동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한, 도어덮개(2)와 상면부(40)의 연결구조는 임의의 형태로 할 수 있다.
1: 보존용기
2: 도어덮개
3: 용기몸체
10: 회동축(연결부)
30: 박스
40: 상면부
41a: 외주 틀
48: 축받이부(피연결부)
53~55: 홈(피연결부)
S1: 출입구

Claims (9)

  1. 출입구를 규정하는 외주 틀을 가지는 용기몸체와,
    상기 외주 틀에 설치 가능하고,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덮개
    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 틀은, 상기 외주 틀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피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도어덮개는, 임의의 상기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피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임의의 상기 피연결부에 연결한 상태로, 상기 도어덮개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외주 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존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주 틀은, 상기 외주 틀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3개의 상기 피연결부를 가지는,
    보존용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덮개는, 평면도에 있어서 대체로 회전 대칭인 형상인,
    보존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덮개는, 평면도에 있어서 대체로 정다각형인,
    보존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덮개는, 평면도에 있어서 대체로 정사각형인,
    보존용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연결부 중 하나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했을 경우의 상기 외주 틀에 대한 상기 도어덮개의 회동축선과, 상기 복수의 피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했을 경우의 상기 외주 틀에 대한 상기 도어덮개의 회동축선과는, 대체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보존용기.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연결부 중 하나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했을 경우의 상기 외주 틀에 대한 상기 도어덮개의 회동축선과, 상기 복수의 피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했을 경우의 상기 외주 틀에 대한 상기 도어덮개의 회동축선과는, 대체로 평행인,
    보존용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개구를 규정하는 부위 및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삽입부 중 하나이며, 상기 피연결부는 다른 하나인,
    보존용기.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상기 외주 틀이 설치된 상면부를 가지며,
    상기 외주 틀은 상기 상면부에 있어서 편심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보존용기.
KR1020177001085A 2014-07-30 2015-07-29 보존용기 KR201700391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5315 2014-07-30
JPJP-P-2014-155315 2014-07-30
PCT/JP2015/071435 WO2016017662A1 (ja) 2014-07-30 2015-07-29 保存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123A true KR20170039123A (ko) 2017-04-10

Family

ID=5521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085A KR20170039123A (ko) 2014-07-30 2015-07-29 보존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1312B2 (ko)
EP (1) EP3176107A4 (ko)
JP (1) JP6594314B2 (ko)
KR (1) KR20170039123A (ko)
CN (1) CN106660666A (ko)
WO (1) WO20160176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214A1 (ko) * 2021-02-08 2022-08-11 김상훈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10543A1 (en) 2010-05-18 2019-01-10 Natera, Inc. Methods for simultaneous amplification of target loci
JP6654988B2 (ja) * 2016-09-09 2020-02-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保冷箱
JP6975670B2 (ja) * 2018-03-29 2021-1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CN113562323A (zh) * 2021-08-25 2021-10-29 蔡佳倩 一种便于取粮的储粮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228A (ja) 1998-04-14 1999-10-26 Aramikku:Kk 米び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5848A (en) * 1922-03-02 1925-12-15 Liquid Carbonic Company Hinge
US2520508A (en) 1948-09-03 1950-08-29 William Haines Inc Hinge construction for receptacles and the like
JPS5320241Y2 (ko) * 1973-02-07 1978-05-29
DE3211840A1 (de) * 1982-03-31 1983-10-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packungsbehaelter mit wiederverschlusseinrichtung
US5577628A (en) 1995-09-13 1996-11-26 Tucker Housewares Hamper with bi-directional opening lid
JP3338291B2 (ja) * 1996-05-24 2002-10-28 三洋電機株式会社 調理鍋
JPH10250778A (ja) 1997-03-13 1998-09-22 I Beam:Kk 携帯用容器
JP3875376B2 (ja) * 1997-10-15 2007-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装置
JP2889560B1 (ja) 1998-04-08 1999-05-10 日東工業株式会社 電気機器収納用箱
US6176746B1 (en) 1999-04-29 2001-01-2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ith multi functional cover
JP3645167B2 (ja) * 2000-10-13 2005-05-1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親子蓋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製ごみ箱
JP4837881B2 (ja) * 2003-01-14 2011-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DE20318469U1 (de) * 2003-11-26 2004-03-11 Rotho Kunststoff Ag Behälter aus Kunststoff
JP4858873B2 (ja) * 2007-05-07 2012-01-18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筐体
DE102011116696B3 (de) * 2011-10-24 2012-12-20 Bopla Gehäuse Systeme GmbH Gehäuse mit einem Unterteil und einem Deckel
KR101367326B1 (ko) * 2011-12-22 2014-02-27 (주)펀트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228A (ja) 1998-04-14 1999-10-26 Aramikku:Kk 米び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214A1 (ko) * 2021-02-08 2022-08-11 김상훈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6107A4 (en) 2018-03-21
EP3176107A1 (en) 2017-06-07
JPWO2016017662A1 (ja) 2017-04-27
CN106660666A (zh) 2017-05-10
WO2016017662A1 (ja) 2016-02-04
JP6594314B2 (ja) 2019-10-23
US10351312B2 (en) 2019-07-16
US20170210515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9123A (ko) 보존용기
USD588915S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
JP6782823B2 (ja) 化粧用品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容器
US20040238553A1 (en) Container with hinged cover
US8602254B2 (en) Swivel compact container
USD752374S1 (en) Keg dispenser housing
KR20210008438A (ko) 멀티 용기 화장품 액세서리
KR20170078280A (ko)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식 콤팩트 용기
MX2011010577A (es) Cierre surtidor de disco completamente abierto.
USD850912S1 (en) Three door container lid
KR101367326B1 (ko)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EP2815989A1 (en) Package for a smokeless tobacco product and method
US20090113926A1 (en) Refrigerator
USD631340S1 (en) Flexible hinge food service container
WO2014109141A1 (ja) 冷蔵庫
KR102089282B1 (ko) 듀얼 화장품 용기
KR20120002477U (ko)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용기
KR200455160Y1 (ko) 화장품용 스파출러 보관함
CA2881496C (en) Hinged insulated container lid
KR101580161B1 (ko) 식품 보관 용기
USD659647S1 (en) Secure wall cable box
KR101839611B1 (ko) 원터치캡
GB2577712A (en) Case for headphones
KR100829131B1 (ko) 저장용기
KR20160004455U (ko) 수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