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131B1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131B1
KR100829131B1 KR1020060134042A KR20060134042A KR100829131B1 KR 100829131 B1 KR100829131 B1 KR 100829131B1 KR 1020060134042 A KR1020060134042 A KR 1020060134042A KR 20060134042 A KR20060134042 A KR 20060134042A KR 100829131 B1 KR100829131 B1 KR 100829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storage
contain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2Removable lids or covers guided for removal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야채나 과일 등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용기체와,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개구단부를 따라 양측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뚜껑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뚜껑이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체 배면에는 가이드홈에 밀착되지 않은 가이드부를 포함한 뚜껑의 후부가 보관되는 보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상기 뚜껑은 용기체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에서 뚜껑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개의 굽힘홈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으로 용기체의 상부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되고, 용기체 상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 용기체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제어된다.
김치저장고, 야채용기, 저장용기, 뚜껑, 슬라이드, 보관부

Description

저장용기{Storage Recepta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용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용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저장용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a에 도시된 저장용기의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저장용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a에 도시된 저장용기의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저장용기
110: 용기체 111: 가이드홈
113: 결합홈 115: 제1안착부
120: 뚜껑 121: 가이드부 123: 결합부
125: 제2안착부 127: 제1손잡이 129: 굽힘홈
130: 보관부
140: 제1보관부 142: 회전축
150: 제2보관부 152: 곡면부 154: 힌지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저장용기의 뚜껑이 용기체의 개구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개구부가 부분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용기는 크게 상부가 개구된 용기체와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분된다.
용기체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뚜껑은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덮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저장용기는 통상 개구된 용기체의 개구단부를 따라 체결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에 대응하여 뚜껑의 가장자리가 오목하게 체결홈이 형성된다.
용기체의 저장공간에 야채나 과일 등을 넣고 뚜껑으로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덮어 용기체를 폐쇄한다.
다시 말해 체결부에 체결홈이 끼움 삽입되어 용기체의 상부를 뚜껑이 덮는다.
이러한 용기체는 개구된 상부가 뚜껑에 의해 전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따라서, 용기체 내에 보관된 야채나 과일 등을 꺼내기 위해서 뚜껑을 열면 용기체의 상부가 전체 개방되고 이곳을 통해 용기체 내로 다량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다량의 공기로 인하여 용기체 내에 보관 중인 야채 또는 과일 등의 산폐를 빨리 유도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에서 뚜껑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용기체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뚜껑을 개폐할 때,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가 개방되는 정도를 뚜껑으로 조절하여 다량의 공기가 용기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용기체와,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개구단부를 따라 양측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뚜껑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뚜껑이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체 배면에는 가이드홈에 밀착되지 않은 가이드부를 포함한 뚜껑의 후부가 보관되는 보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보관부는 용기체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에 뚜껑의 후단부터 롤 형태로 말아서 뚜껑을 보관하는 제1보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부는 용기체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의 빈 공간에 뚜껑의 후단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뚜껑을 보관하는 제2보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뚜껑의 후단이 용이하게 상기 제2보관부에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보관부의 상단이 둥글게 연장하여 용기체의 배면 상단에 결합되는 곡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곡면부는 겉면이 제2보관부의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상기 뚜껑은 용기체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에서 뚜껑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개의 굽힘홈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일 뿐, 여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중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 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용기체(110)와, 개구된 용기체(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뚜껑(120)으로 구분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저장용기(100)의 이동 및 수납작업이 용이하도록 용기체(11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용기체(110)는 개구단부를 따라 양측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111)이 형성되고, 전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11)과 결합홈(113)은 동일 평면상에서 연결되어 있다.
용기체(110) 배면의 개구단부는 양측면의 개구단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가이드홈(111)의 입구 하단면에 연결되는 제1안착부(115)가 형성된다.(도 2a참조)
뚜껑(120)은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단에 가이드부(121)가 형성되고, 선단에 결합부(123)가 형성된다.
뚜껑(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후단 저면에는 제1안착부(115)에 대응하는 제2안착부(125)가 형성된다.(도 2a, 도 2b참조)
뚜껑(12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뚜껑(120)의 상부면 선단 부위에는 제1손잡이(127)가 형성된다.
뚜껑(120)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굽힘 탄성을 갖을 수 있다.
또한, 뚜껑(12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굽힘홈(129)이 뚜껑(120)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형성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용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용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저장용기의 개폐방법을 설명한다.
저장용기(100)는 용기체(110)와 뚜껑(120)이 분리되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체(110)의 상부가 완전 개방된다.
개구된 용기체(110)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부(121) 선단부터 용기체(110)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1) 입구에 끼움 삽입된다.
그러면 뚜껑(120)은 제1손잡이(127)에 의해 가이드홈(111)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용기체(1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21)는 가이드홈(111)에 밀착되어 이동한다.
뚜껑(120)이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3)가 결합홈(113)에 끼움 삽입되면 용기체(110) 상부를 폐쇄한다.
결합부(123)가 결합홈(113)에 끼움 삽입되면, 결합부(123)와 결합홈(113)이 밀착되고, 동시에 제1안착부(115)와 제2안착부(125)가 밀착된다.
뚜껑(120)을 개폐할 때, 가이드홈(111)에 밀착되지 않는 가이드부(121)가 포함된 뚜껑(120)의 후부를 보관하기 위해 용기체(110)의 배면에는 보관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저장용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저장용기(100)는 용기체(110)와 뚜껑(120)으로 구분되며, 용기체(110)의 배면에는 뚜껑(120)의 후단부터 롤 형식으로 말아서 보관하기 위한 제1보관부(140)가 형성된다.
제1보관부(140)는 중앙에 회전축(142)이 형성된다.
제1보관부(140)는 용기체(110)의 배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제1보관부(140)와 용기체(110)의 결합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뚜껑(120)의 후단을 연장하여 회전축(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그 결합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뚜껑(120)은 용기체(1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 굽힘 탄성을 갖는다.
또한, 뚜껑(120)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뚜껑(120)의 굽힘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굽힘홈(129)이 형성될 수 있다.
굽힘홈(129)은 뚜껑(12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고 서로 평행을 이룬다.
뚜껑(120)은 회전축(142)에 감길 수 있고, 제1보관부(140)를 벗어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으면 충분하고, 뚜껑(120)의 재질이나 세부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회전축(142)은 뚜껑(12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힘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된 다.
첨부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a에 도시된 저장용기의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저장용기(100)는 용기체(110)와 뚜껑(120)과 제1보관부(140)로 분리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체(110)의 상부가 완전 개방된다.
개구된 용기체(110)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뚜껑(120)의 후단을 제1보관부(140)의 회전축(142)에 결합하고, 제1보관부(140) 내로 뚜껑(120)을 밀어 넣으면 뚜껑(12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제1보관부(140) 내에 수용된다.
이때 뚜껑(120)은 굽힘 탄성을 갖기 때문에 구부러져 용이하게 회전축(142)에 감겨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관부(140)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121) 선단부터 가이드홈(111)의 입구에 끼움 삽입한다.
이때 제1보관부(140)는 용기체(110)의 배면에 결합된다.
뚜껑(120)은 제1손잡이(127)에 의해 가이드홈(111)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용기체(1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21)는 가이드홈(111)에 밀착되어 이동한다.
뚜껑(120)이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3)가 결합홈(113)에 끼움 삽입되면 용기체(110) 상부를 폐쇄한다.
결합부(123)가 결합홈(113)에 끼움 삽입되면, 결합부(123)와 결합홈(113)이 밀착되고, 동시에 제1안착부(115)와 제2안착부(125)가 밀착된다.
뚜껑(120)이 용기체(110)의 상부를 폐쇄하여도 연장된 뚜껑(120)의 후단은 제1보관부(140)의 회전축(142)에 결합되어 있다.
첨부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저장용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저장용기(100)는 용기체(110)와 뚜껑(120)으로 구분되며, 용기체(110)의 배면에는 뚜껑(120)의 후부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보관하기 위한 제2보관부(150)가 형성된다.
제2보관부(150)는 용기체(110)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고, 제2보관부(150)의 상단이 둥글게 연장되어 용기체의 배면 상단에 결합되는 곡면부(152)가 형성된다.
그러면, 뚜껑(120)의 후단이 곡면부(152)를 따라 용이하게 제2보관부(150)에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즉, 곡면부(152)는 뚜껑(120)의 후부를 제2보관부(150)로 안내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곡면부(152)의 겉면은 제2보관부(150)의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154) 결합될 수 있다.
곡면부(152) 겉면은 제2보관부(150)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고, 곡면부(152) 겉면의 선단이 용기체(110)에 고정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곡면부(152) 겉면의 결합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뚜껑(120)은 용기체(1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 굽힘 탄성을 갖는 다.
또한, 뚜껑(120)의 상하면 중 어느 한 면에는 뚜껑(120)의 굽힘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굽힘홈(129)이 형성될 수 있다.
굽힘홈(129)은 뚜껑(12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뚜껑(120)은 굽힘 탄성에 의해 구부러져 제2보관부(150)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제2보관부(150)를 벗어나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으면 충분하고, 뚜껑의 재질이나 세부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a에 도시된 저장용기의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저장용기(100)는 용기체(110)와 뚜껑(120)으로 분리되고, 제2보관부(150)가 용기체(110)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체(110)의 상부가 완전 개방된다.
이때, 곡면부(152)의 겉면이 개방되어 있다.
개구된 용기체(110)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부(152) 겉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2보관부(150)의 내부 빈 공간에 뚜껑(120)의 후부부터 슬라이드 삽입한다.
뚜껑(120)의 후단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된 뚜껑(120)의 후단이 제2보관부(150) 저면에 닿으면 뚜껑(120)의 선단이 곡면부(152)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부(121) 선단을 가이드홈(111)의 입구에 삽입하고, 도 6c에 도시된 바 와 같이 곡면부(152)의 겉면과 용기체(110)를 결합한다.
뚜껑(120)은 제1손잡이(127)에 의해 제2보관부(150)와 곡면부(152)와 가이드홈(111)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용기체(1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21)는 가이드홈(111)에 밀착되어 이동한다.
뚜껑(120)이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3)가 결합홈(113)에 끼움 삽입되면 용기체(110) 상부를 폐쇄한다.
결합부(123)가 결합홈(113)에 끼움 삽입되면, 결합부(123)와 결합홈(113)이 밀착되고, 동시에 제1안착부(115)와 제2안착부(125)가 밀착된다.
뚜껑(120)이 용기체(110)의 상부를 폐쇄하면, 연장된 뚜껑(120)의 후단이 곡면부(152)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저장용기에 의하면, 뚜껑이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용기체의 상부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되고, 용기체 상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 용기체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제어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용기체와,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개구단부를 따라 양측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뚜껑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뚜껑이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개폐하고,
    상기 용기체 배면에는 가이드홈에 밀착되지 않은 가이드부를 포함한 뚜껑의 후부가 보관되는 보관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관부는 용기체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에 뚜껑의 후단부터 롤 형태로 말아서 뚜껑을 보관하는 제1보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삭제
  5. 삭제
  6.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용기체와,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개구단부를 따라 양측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뚜껑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뚜껑이 개구된 용기체의 상부를 개폐하고, 상기 용기체 배면에는 가이드홈에 밀착되지 않은 가이드부를 포함한 뚜껑의 후부가 보관되는 보관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관부는 용기체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의 빈 공간에 뚜껑의 후단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뚜껑을 보관하는 제2보관부이고,
    상기 뚜껑의 후단이 용이하게 상기 제2보관부에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보관부의 상단이 둥글게 연장하여 용기체의 배면 상단에 결합되는 곡면부가 더 형성되어지고,
    상기 곡면부는 겉면이 제2보관부의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7.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용기체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8.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용기체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굽힘 탄성을 갖고, 상기 뚜껑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개의 굽힘홈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KR1020060134042A 2006-12-26 2006-12-26 저장용기 KR100829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042A KR100829131B1 (ko) 2006-12-26 2006-12-26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042A KR100829131B1 (ko) 2006-12-26 2006-12-26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131B1 true KR100829131B1 (ko) 2008-05-13

Family

ID=3965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042A KR100829131B1 (ko) 2006-12-26 2006-12-26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8499A3 (de) * 2012-11-28 2017-10-04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Behäl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029A (ko) * 2001-07-31 2001-10-18 신승기 슬라이드식 다용도 도시락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029A (ko) * 2001-07-31 2001-10-18 신승기 슬라이드식 다용도 도시락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8499A3 (de) * 2012-11-28 2017-10-04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Behä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9789B1 (en) Cosmetics case with applicator holder
US20070182296A1 (e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shutting basket cover in refrigerator
CN103189695B (zh) 一种包括带旋转盖的可滑动的门搁架的冰箱
US20060289551A1 (en) Box
KR100829131B1 (ko) 저장용기
JP4431188B1 (ja) 化粧品用容器
USD974922S1 (en) Wipe dispenser with cover
JP6594314B2 (ja) 保存容器
KR20150047080A (ko) 수납용기
JP2016216099A5 (ko)
JP4485000B2 (ja) 2ピース振出容器用キャップ
KR200375840Y1 (ko)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
KR102504926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389159Y1 (ko) 립스틱 용기의 여닫이 구조
JP2009173308A (ja) 容器
KR100933928B1 (ko) 화장품 용기
JP6888208B2 (ja) 蓋付き収納ケース
KR20200005141A (ko) 수평회전 틸트 개방형 화장품 수납 용기
JP5210689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KR200287392Y1 (ko) 수납 바구니
KR100808542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KR100679653B1 (ko) 도어 수납부의 개폐장치
CN201294947Y (zh) 一种回形针等文具的收纳盒
US2066534A (en) Holder for cosmetics or the like
KR20100007245U (ko) 콤팩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