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161B1 - 식품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161B1
KR101580161B1 KR1020100003697A KR20100003697A KR101580161B1 KR 101580161 B1 KR101580161 B1 KR 101580161B1 KR 1020100003697 A KR1020100003697 A KR 1020100003697A KR 20100003697 A KR20100003697 A KR 20100003697A KR 101580161 B1 KR101580161 B1 KR 10158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fixing members
main body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787A (ko
Inventor
박규태
권홍식
조경철
유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161B1/ko
Priority to US13/521,194 priority patent/US8684478B2/en
Priority to PCT/KR2011/000259 priority patent/WO2011087302A2/en
Publication of KR2011008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에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를 양쪽으로 벌림에 따라 커버의 고정부재가 동시에 열리도록 할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용기는, 상측으로 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 일측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의 모서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 상기 커버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외측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커버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부재를 동시에 밀어주어 상기 고정부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손잡이의 측면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품 보관 용기{CONTAINER FOR KEEPING FOOD}
본 발명은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에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를 양쪽으로 벌림에 따라 커버의 고정부재가 동시에 열리도록 할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은 다양한 그릇이나 용기에 담아 보관된다. 이렇게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는 다양한 형태의 접시나 그릇 또는 통이나 용기에 담아 보관된다.
식품을 비교적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뚜껑이 있는 용기에 담아 뚜껑을 닫고 밀폐된 상태에서 냉장고에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도 한다.
특히, 김치냉장고에 사용되는 김치 보관 용기의 경우 숙성 보관을 위해 비교적 큰 용기를 사용하여 김치를 보관한다.
상기 식품 보관 용기는 보통 상면이 개구된 용기와 그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이 뚜껑을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비교적 큰 용기의 경우 식품이 들어있는 용기를 들고 이동하기가 무겁고 불편하기 때문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식품 보관 용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뚜껑 또는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어 뚜껑을 본체에 서로 밀봉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식품 보관 용기가 네 개의 고정부재를 용기의 네 측면에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뚜껑을 개폐할 때 네 개의 고정부재를 일일이 손으로 분리하여야 한다. 특히, 김치 보관 용기의 경우 김치를 소량이라도 꺼낼 경우 냉장고에서 무거운 용기를 냉장고에서 꺼내야 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를 손으로 일일이 풀어서 뚜껑을 열고 꺼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식품 보관 용기의 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를 양쪽으로 벌림으로써 복수의 고정수단을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용기는, 상측으로 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 일측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의 모서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 상기 커버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외측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커버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부재를 동시에 밀어주어 상기 고정부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손잡이의 측면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의 상부에 상기 커버의 상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장공형의 축공에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이 회동 및 좌우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는, 그 상단 모서리에 상기 손잡이의 돌기부에 의해 각각 밀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공은 상기 커버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전체적으로 2개의 단변과 2개의 장변을 가진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의 단변 모서리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커버의 장변 모서리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 중 상기 커버의 장변 모서리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의 돌기에는, 상기 손잡이의 돌기부가 접촉되는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 단부 모서리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의 힌지축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용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식품 보관 용기의 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를 양쪽으로 벌림으로써 복수의 고정수단을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용기를 들어올릴 때에는 손잡이의 회동축이 자연스럽게 이동하기 때문에 손잡이에 의해 고정수단이 분리되어 커버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이 용기 본체의 측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식품 보관 용기를 냉장고 내부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커버를 열고 내용물을 꺼낼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냉장고의 저장실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 보관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식품 보관 용기에서 복수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품 보관 용기의 일측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식품 보관 용기에서 손잡이에 마련된 돌기부에 의해 복수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의 손잡이 장착리브에 손잡이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손잡이가 외측으로 밀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손잡이가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손잡이가 더 회동되어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품 보관 용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용기(10)는, 상측으로 입구가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30); 일측이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30)의 모서리부(3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30)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70); 상기 커버(3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손잡이(40); 및 상기 손잡이(40)를 외측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커버(30)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부재(70)를 동시에 밀어주어 상기 고정부재(70)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손잡이(40)의 측면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45, 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품 보관 용기(10)의 본체(20)는 전체적으로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직육면체의 각 모서리부는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상단 테두리부(22)는 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테두리부(22)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부(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0)의 상단 테두리부(22) 상에 상기 커버(30)의 모서리부(32)가 놓여 장착된다. 상기 커버(30)의 하면 테두리부에는 상기 돌출부(23)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70)는 상기 본체(20)의 측면 상단부에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70)는 한 쌍의 단변측 고정부재(50)와 한 쌍의 장변측 고정부재(6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70)가 본체(20)에서 분리되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상기 한 쌍의 단변측 고정부재(50)는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22) 단변측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2개의 힌지축 장착부(25)에 단변측 고정부재(50)의 힌지축(미도시)이 장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장변측 고정부재(60)도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22) 장변측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2개의 힌지축 장착부(26)에 장변측 고정부재(60)의 힌지축(미도시)이 장착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50, 60)는 그 종단면이 전체적으로 "ㄱ"자 모양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 고정부재(50, 60)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본체(20)의 상단 테두리부(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0, 60)의 "ㄱ"자 모양 상단부 하면이 상기 커버(30)의 모서리부 상면에 걸리게 되어 커버(30)를 본체(20)에 밀착한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30)의 상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40)가 소정 범위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커버(30)의 장변측 모서리 가까이에는 상기 손잡이(40)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 장착리브(80)가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 장착리브(80)의 양 단부는 커버의 장변측 외측방으로 절개되어 두께가 반 정도로 줄어 있고, 여기에 장공형의 축공(8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커버(30)의 상부에 상기 커버(30)의 상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장공형의 축공(84)에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축(48)이 회동 및 좌우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40)는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는 단부 내측으로 회동축(48)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0)에서 상기 회동축(48)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손잡이 장착리브(8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대응하여 "ㄷ"자 모양의 손잡이(40)의 양 단부 내측 부분도 절개되어 반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한 쌍의 회동축(48)은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손잡이 장착리브(8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축공(84)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손잡이(40)의 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부(45, 46)가 외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45, 46)는 "ㄷ"자 모양의 손잡이(40) 측면에 단변측 방향으로 2개의 돌기부(45)가 형성되고 장변측 외측 방향으로 한 쌍의 돌기부(4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70)는, 그 상단 모서리에 상기 손잡이(40)의 돌기부(45, 46)에 의해 각각 밀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52, 6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70) 중 단변측 고정부재(50)에는 이 고정부재(50)를 상기 커버(30)의 모서리부에 결합하여 커버를 고정했을 때 상기 손잡이(40)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45)와 각각 마주보도록 2개의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변측 고정부재(60)에도 한 쌍의 돌기(62)가 형성되는데, 이 돌기(62)는 한 쌍의 손잡이(40)의 장변측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46)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상기 돌기(62)는 한 쌍의 손잡이(40)를 양쪽으로 이동시켜 벌렸을 때 상기 돌기부(46)에 의해 밀리게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70) 중 상기 커버(30)의 장변 모서리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60)의 돌기(62)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돌기부(46)가 접촉되는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40)의 돌기부(46)가 움직이는 방향과 상기 돌기(62)가 이동하는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상기 장변측 고정부재(60)는 그 힌지축이 상기 힌지축 장착부(26)에 장착되어 회동은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제한된다.
그래서, 상기 돌기(62)의 경사면은, 상기 손잡이(40)의 돌기부(46)가 상기 장변측 고정부재(60)의 돌기(62)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밀어주면, 상기 돌기(62)가 자연스럽게 회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40)를 외측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그 복수의 돌기부(45, 46)가 상기 커버(30)에 결합된 단변측 고정부재(50)와 장변측 고정부재(60)를 동시에 밀어주어 분리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 2의 식품 보관 용기(10)에서 복수의 고정부재(50, 60)가 분리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50, 60)가 상기 커버(30)를 본체(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를 각각 위와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손잡이(40)의 각 돌기부(45, 46)가 두 쌍의 고정부재(50, 60)를 동시에 밀어 분리하게 되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의 테두리부의 상면에는 단변측과 장변측에 각각 홈부(35, 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홈부(35, 36)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재(50, 60)의 "ㄱ"자 모양 상단부 하면에 돌기 또는 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30)의 중앙부에는 사각형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커버(90)가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커버(90)의 힌지 반대측 모서리에는 손잡이(95)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보조커버(9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30) 자체를 열지 않고도 상기 보조커버(90)만을 열고서 내용물을 확인하거나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9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보조커버(90)를 열지 않고도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용기의 구성과 작동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식품 보관 용기의 일측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식품 보관 용기에서 손잡이에 마련된 돌기부에 의해 복수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변측 고정부재(5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힌지 연장부(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 연장부(57)는 그 단부에 힌지축(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힌지축이 상기한 힌지축 장착부(2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장변측 고정부재(60)에도 마찬가지로 힌지 연장부와 힌지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것이나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50, 60)가 상기 커버(30)를 본체(20)에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커버(3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축(48)은 상기 축공(84)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양쪽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고정부재(50, 60)가 상기 커버(30)의 홈부(35, 36)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커버(3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축(48)은 상기 축공(84)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 60)의 하측 단부 모서리부는, 상기 고정부재(50, 60)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50, 60)의 힌지축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단변측 고정부재(50)가 상기 커버(30)에 결합했을 때 상기 힌지 연장부(57)는 수평으로 되고 그 단부에 있는 힌지축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0)의 수직면을 이루는 부분의 하단은 상기 힌지 연장부(57)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려온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장변측 고정부재(60)도 마찬가지로 힌지 연장부와 힌지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변측 고정부재(50)에서 상기 힌지 연장부(57)보다 더 내려오는 길이는 고정부재(50)와 힌지축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고정부재(50)의 회동각도를 소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적절히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회동각도를 소정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장변측 고정부재(6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용기가 냉장고의 서랍칸 내부의 좁은 저장실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부재(50, 60)를 열고 상기 커버(30)를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부재(50, 60)의 회동각도는 상기 커버(30)를 상기 본체(2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 60)가 분리되어 회동되면, 고정부재(50, 60)의 하단 모서리부가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각 고정부재(50, 60)는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최대로 회동된 상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고정부재(50, 60)는 상기 커버(30)를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벌어진 상태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커버(30)를 사용자가 들어올려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상단 테두리부(22)는 그 폭이 넓어지도록 연장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 돌출부(23)가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상단 테두리부(22)와 돌출부(23)는 상기 커버의 테두리부 하면과 결합함으로써 식품 보관 용기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손잡이(40)의 슬라이딩과 회동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편의상 상기 보조커버(70)를 분리하여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 7에서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축(48)은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장착리브(8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장공형의 축공(84) 중 좌측에 있는 두 축공(84)에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0)를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축(48)은 상기 장공형의 축공(84)에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축공(84)은 상기 커버(30)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40)의 양 단부의 표면은 상기 회동축(48)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지름을 가진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곡률반경이 변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손잡이(40)의 양 단부의 표면은 상기 회동축(48)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최대로 커지는 지점이 존재하며, 그 지점을 단부 최원(最遠) 지점(43)이라 명명한다. 상기 회동축(48)의 중심에서 상기 단부 최원 지점(43)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동축(48)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커버(30)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소정 거리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0)가 예각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도 상기 축공(84)의 우측에 위치하는 회동축(48)은 도 7과 같이 축공(84)의 우하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손잡이(40)가 90° 가까이로 더 회동되면 상기 손잡이(40)의 단부 최원 지점(43)이 상기 커버(30)의 상면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회동축(48)이 상기 축공(84)에서 크기가 최대인 우측에서 위로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된다.
그래서, 상기 손잡이(40)가 90°로 회동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48)이 상기 축공(48)의 우상부에 밀착하여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0)를 들어올리면 상기 회동축(48)이 상기 축공(48)의 우측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커버(30)와 이에 고정부재(50, 60)를 통해 고정된 본체(20)까지 식품 보관 용기(10)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장공형의 축공(84)이 상기 커버(30)의 단변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그 크기, 특히 상하 방향 높이가 점점 커지게 형성함으로써, 커버(30)를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0)를 회동시킬 때 의도하지 않게 손잡이(4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50, 60)가 분리되어 커버(3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축(48)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공(84)의 우측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0)를 회동시킬 경우에도, 손잡이(40)가 회동되면서 그 양 단부면에 의해 상기 회동축(48)이 자연스럽게 우측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용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식품 보관 용기의 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를 양쪽으로 벌림으로써 복수의 고정수단을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식품보관용기
20: 본체
22: 상단 테두리부
23: 돌출부
25: 단변측 고정부재 힌지축 장착부
26: 장변측 고정부재 힌지축 장착부
30: 커버
32: 모서리부
35: 단변측 홈부
36: 장변측 홈부
40: 손잡이
43: 단부 최원 지점
45: 돌기
46: 돌기
48: 회동축
50: 단변측 고정부재
52: 돌기
55: 손잡이부
57: 힌지 연장부
60: 장변측 고정부재
62: 돌기
65: 손잡이부
70: 고정부재
80: 손잡이 장착리브
84: 축공
90: 보조커버
95: 손잡이

Claims (6)

  1. 상측으로 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
    일측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의 모서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
    상기 커버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외측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커버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부재를 동시에 밀어주어 상기 고정부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손잡이의 측면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보관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의 상부에 상기 커버의 상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장공형의 축공에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이 회동 및 좌우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는, 그 상단 모서리에 상기 손잡이의 돌기부에 의해 각각 밀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공은 상기 커버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전체적으로 2개의 단변과 2개의 장변을 가진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의 단변 모서리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커버의 장변 모서리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 중 상기 커버의 장변 모서리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의 돌기에는, 상기 손잡이의 돌기부가 접촉되는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 단부 모서리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의 힌지축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KR1020100003697A 2010-01-15 2010-01-15 식품 보관 용기 KR10158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697A KR101580161B1 (ko) 2010-01-15 2010-01-15 식품 보관 용기
US13/521,194 US8684478B2 (en) 2010-01-15 2011-01-13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CT/KR2011/000259 WO2011087302A2 (en) 2010-01-15 2011-01-13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697A KR101580161B1 (ko) 2010-01-15 2010-01-15 식품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787A KR20110083787A (ko) 2011-07-21
KR101580161B1 true KR101580161B1 (ko) 2015-12-24

Family

ID=4492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697A KR101580161B1 (ko) 2010-01-15 2010-01-15 식품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246A (ko) 2017-06-16 2018-12-27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WO2020262760A1 (ko) 2019-06-28 2020-12-30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1010B2 (ja) 1998-03-23 2004-08-04 凸版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
KR100733299B1 (ko) 2004-12-01 200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용 김치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589B2 (ja) * 1991-07-16 1998-11-25 日立電線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20070109516A (ko) * 2006-05-11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1010B2 (ja) 1998-03-23 2004-08-04 凸版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
KR100733299B1 (ko) 2004-12-01 200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용 김치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246A (ko) 2017-06-16 2018-12-27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WO2020262760A1 (ko) 2019-06-28 2020-12-30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KR20210001471A (ko) 2019-06-28 2021-01-06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787A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2847B2 (en) Refrigerator having vegetable storage container
US20140103033A1 (en) Food container
US5975298A (en) Video cassette container
KR20070101643A (ko) 저장용기
US10351312B2 (en) Storage container
US8684478B2 (en)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580161B1 (ko) 식품 보관 용기
KR101294301B1 (ko) 냉장고
KR101589086B1 (ko) 수납용기
KR100920982B1 (ko) 냉장고
US20040112896A1 (en) Container with rotating hinged lid
EP3138664B1 (en) Tool organiser
US9074807B2 (en) Reclosable compartment for refrigerator
KR100452886B1 (ko) 안전손잡이가 달린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1528420B1 (ko) 용기 내부 누름장치
KR20110083786A (ko) 김치 냉장고용 음식물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398353Y1 (ko) 보관함
KR100828048B1 (ko)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000961A (ko) 식품용기 및 식품용기의 덮개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200336428Y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이중 개폐구조
KR102327436B1 (ko)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
KR200380070Y1 (ko)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KR200483477Y1 (ko) 김치용 밀폐용기
KR20170036220A (ko)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