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973A -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및 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및 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973A
KR20200135973A KR1020207028208A KR20207028208A KR20200135973A KR 20200135973 A KR20200135973 A KR 20200135973A KR 1020207028208 A KR1020207028208 A KR 1020207028208A KR 20207028208 A KR20207028208 A KR 20207028208A KR 20200135973 A KR20200135973 A KR 2020013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dot
curable composition
carboxylic acid
dot phospho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야 야하타
타카노리 카지모토
쿠니히로 키리가야
마사토 후쿠이
코우헤이 무카이가이토
Original Assignee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6Filters comprising particles embedded in a solid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2Esters of phenols or saturated alcohols
    • C08F222/2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6Pretreated ingredients and ingredients covered by the main groups C08K3/00 - C08K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8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elenium, tellurium or unspecified chalcogen elements
    • C09K11/881Chalcogenides
    • C09K11/883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6Wavelength selective element, sheet or layer, e.g. filter or g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4Illuminating devices using photoluminescence, e.g. phosphors illuminated by UV or blue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6Micro- or nano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양자 도트 형광체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갖는 파장 변환 부재.

Description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및 경화성 조성물
[0001] 본 발명은,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및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0002] 최근,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분야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色再現性)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색재현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13-544018호 및 국제 공개 제2016/05262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자 도트(quantum dot) 형광체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가 주목을 모으고 있다.
[0003]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는,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유닛에 배치된다. 적색광을 발광(發光)하는 양자 도트 형광체 및 녹색광을 발광하는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파장 변환 부재에 대해 여기광(勵起光)으로서의 청색광을 조사(照射)하면, 양자 도트 형광체로부터 발광된 적색광 및 녹색광과, 파장 변환 부재를 투과한 청색광에 의해,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의 개발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은, 종래의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ittee)비 72%에서 NTSC비 100%로 확대되었다.
[0004]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는, 통상,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을 갖는다. 경화성 조성물로서는 열경화형 및 광경화형이 있으며, 생산성의 관점에서 보면 광경화형의 경화성 조성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13-544018호 국제 공개 제2016/052625호
[0005] 그런데,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에서는, 광이나 열 등의 환경하에서도 양자 도트 형광체의 열화(劣化)를 억제하고, 안정된 퍼포먼스를 발휘시키기 위해,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에 이용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첨가제를 넣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올레산 등의 양자 도트 형광체와 배위(配位)하기 쉬운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가 있다.
[0006] 그러나, 올레산은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배위력이 낮아, 외부로부터 열이나 광 등의 에너지를 파장 변환 부재에 부여한 경우에, 양자 도트 형광체에 배위한 올레산이 이탈함으로써, 양자 도트 형광체가 열화되어 발광 강도가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외부로부터 열이나 광 등의 에너지를 파장 변환 부재에 부여한 경우에 양자 도트 형광체가 쉽게 열화되지 않게 되는 첨가제를 경화성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7] 본 개시(開示)는,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며, 내습열성(耐濕熱性) 및 내광성(耐光性)이 우수한 파장 변환 부재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며,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8]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양자 도트 형광체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갖는 파장 변환 부재.
<2> 상기 경화물의 골격 중에 지환식(脂環式) 구조를 갖는, <1>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3> 상기 지환식 구조는 이소보닐 골격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4> 상기 지환식 구조는 트리시클로데칸 골격을 포함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5> 상기 경화물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6> 상기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粒子徑)이 0.1㎛∼1.0㎛인, <5>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7>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가 Cd 및 In 중 적어도 하나(一方)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갖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8> 상기 경화물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재(被覆材)를 추가로 갖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9> 상기 피복재가,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barrier property)을 갖는, <8>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10> 상기 카르복실산은, 아세트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11>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06∼6.5인,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12> 상기 카르복실산은 아세트산이며,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5∼6.5인,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13> 상기 카르복실산은 메르캅토프로피온산이며,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06∼6.5인,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14> 상기 경화성 조성물 중의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의 함유율은, 상기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全量)에 대해 0.15질량%∼0.3질량%인, <1>∼<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
[0009] <15>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와, 광원을 구비하는 백 라이트 유닛.
[0010] <16> <15>에 기재된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0011] <17> 양자 도트 형광체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8>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06∼6.5인, <17>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19> 상기 카르복실산은 아세트산이며,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5∼6.5인, <17>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20> 상기 카르복실산은 메르캅토프로피온산이며,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06∼6.5인, <17>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21> 상기 경화성 조성물 중의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의 함유율은, 상기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0.15질량%∼0.3질량%인, <17>∼<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22>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17>∼<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23> 상기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트리시클로데칸 골격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22>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24> 알킬렌옥시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다관능 티올 화합물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17>∼<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25> 백색 안료를 더 포함하는, <17>∼<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26>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17>∼<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0012] 본 개시에 의하면,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며,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파장 변환 부재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며,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파장 변환 부재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백 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0014]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구성 요소(요소 스텝 등도 포함함)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수치 및 그 범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진 수치 범위에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가 각각 최소치 및 최대치로서 포함된다.
본 개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하나의 수치 범위로 기재된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각 성분은 해당하는 물질을 복수 종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종 존재하는 경우, 각 성분의 함유율 또는 함유량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해당 복수 종의 물질의 합계의 함유율 또는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각 성분에 해당하는 입자는 복수 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입자가 복수 종 존재하는 경우, 각 성분의 입자직경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해당 복수 종의 입자의 혼합물에 대한 값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층」 또는 「막」이라는 말에는, 해당 층 또는 막이 존재하는 영역을 관찰하였을 때, 해당 영역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영역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적층」이라는 말은, 층을 겹쳐 쌓는 것을 나타내며, 2 이상의 층이 결합되어 있어도 되고, 2 이상의 층이 탈부착(着脫) 가능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 중 적어도 하나(一方)를 의미하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며, 「(메타)알릴」은 알릴 및 메틸알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티올기 및 알킬렌옥시기를 둘 다 포함하는 화합물은, 티올 화합물로 분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알킬렌옥시기 및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로 분류하는 것으로 한다.
[0015] <파장 변환 부재>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양자 도트 형광체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갖는다.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피복재 등의 기타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경화물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화상 표시용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0016]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양자 도트 형광체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이하, 「특정 카르복실산」이라고도 칭함)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갖기 때문에, 고온고습한 환경이나 광 환경 등에 방치한 경우에 있어서, 양자 도트 형광체가 열화되기 어렵도록 발광 강도의 저하가 억제되고 있어,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7 이하인 카르복실산은, 올레산에 비해 탄소수가 적기 때문에, 입체 장해(立體障害, steric hindrance) 등이 생기기 어려워, 카르복시기가 양자 도트 형광체에 배위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특정 카르복실산을 이용함으로써, 올레산을 이용한 경우보다 양자 도트 형광체에 배위자가 많이 배위하는 경향이 있어, 고온고습한 환경이나 광 환경 등에 방치한 경우에 있어서, 양자 도트 형광체가 쉽게 열화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0017] 또한,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에서는, 양자 도트 형광체의 열화가 적절하게 억제되고 있기 때문에, 경화물 중의 양자 도트 형광체의 함유량을 종래보다 적게 하더라도 양호한 발광 강도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0018] 또한, 경화물은, 지환식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지환식 구조는, 예컨대,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에 유래해도 된다.
[0019] 경화물에 포함될 수 있는 지환식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환식 구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시클로데칸 골격, 시클로헥산 골격, 1,3-아다만탄 골격, 수소 첨가 비스페놀A 골격, 수소 첨가 비스페놀F 골격, 수소 첨가 비스페놀S 골격, 이소보닐 골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시클로데칸 골격 또는 이소보닐 골격인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시클로데칸 골격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20] 경화물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는, 1 종류 단독이어도 되고, 적어도 2 종류여도 된다.
적어도 2 종류의 지환식 구조가 경화물에 포함되는 경우, 지환식 구조의 조합으로서는, 트리시클로데칸 골격 및 이소보닐 골격의 조합, 수소 첨가 비스페놀A 골격 및 이소보닐 골격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시클로데칸 골격 및 이소보닐 골격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0021] 경화물은, 알킬렌옥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경화물이 알킬렌옥시 구조를 가짐으로써, 경화물의 극성(極性) 향상에 기여하여, 비(非)극성인 산소가 경화물 중의 성분에 용해되기 어려워져, 양자 도트 형광체의 산화 열화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알킬렌옥시 구조는, 예컨대,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에 있어서의 알킬렌옥시기에 유래해도 된다.
[0022] 또한, 경화물은, 설파이드(sulfide)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경화물이 설파이드 구조를 가짐으로써, 경화물의 극성 향상에 기여하여, 비극성인 산소가 경화물 중의 성분에 용해되기 어려워져, 양자 도트 형광체의 산화 열화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설파이드 구조는, 예컨대,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관능 티올 화합물에 있어서의 티올기와, 탄소-탄소 이중결합 등의 중합성 반응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예컨대, 후술하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및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있어서의 중합성 반응기와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0023] 고온 환경하에서의 내광성의 관점에서 보면, 경화물은, 2개의 탄소 원자와 결합하는 설파이드 구조를 가지며, 설파이드 구조와 결합하는 탄소 원자가 2개 모두 제1급 탄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0024] 또한, 경화물은, 에스테르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에스테르 구조는, 예컨대,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중의 에스테르 구조에 유래해도 된다.
[0025] 경화물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경화물에 포함되는 백색 안료에 대한 상세(詳細)는,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항(項)에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경화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경화성 조성물 중의 특정 카르복실산 및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세도,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0026] 파장 변환 부재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름 형상, 렌즈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를 후술하는 백 라이트 유닛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파장 변환 부재는 필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027] 경화물이 필름 형상인 경우, 경화물의 평균 두께는, 예컨대, 50㎛∼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1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1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두께가 50㎛ 이상이면, 파장 변환 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고, 평균 두께가 200㎛ 이하이면, 후술하는 백 라이트 유닛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백 라이트 유닛을 보다 박형화(薄型化)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필름 형상의 경화물의 평균 두께는, 예컨대, 마이크로미터(micrometer)를 이용하거나, 혹은, SEM(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경화물의 단면(斷面)을 관찰하고, 측정한 임의의 3군데의 두께의 산술평균치로서 구해진다.
또한, 필름 형상이며 복수 층인 파장 변환 부재로부터 경화물의 평균 두께를 구하는 경우, 파장 변환 부재의 평균 두께 및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의 경화물 이외의 평균 두께(예컨대, 피복재의 평균 두께)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구하고, 파장 변환 부재의 평균 두께로부터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의 경화물 이외의 평균 두께를 빼도 된다.
또한, 필름 형상이며 복수 층인 파장 변환 부재로부터 경화물의 평균 두께를 구하는 경우, 경화물의 평균 두께는, 반사 분광 막후계(反射分光膜厚計)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SEM(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경화물의 단면을 관찰하고, 측정한 임의의 3군데의 두께의 산술평균치로서 구해진다.
[0028] 파장 변환 부재는, 1 종류의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것이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것이어도 된다. 예컨대, 파장 변환 부재가 필름 형상인 경우, 파장 변환 부재는, 제1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제1 경화물과, 제1 양자 도트 형광체와는 발광 특성이 상이한 제2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제2 경화물이 적층된 것이어도 된다.
[0029] 파장 변환 부재는, 경화성 조성물의 도막(塗膜), 성형체 등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 처리를 행한 후,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파장 및 조사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는, 280㎚∼400㎚의 파장인 자외선을 100mJ/㎠ ∼5000mJ/㎠의 조사량으로 조사한다. 자외선원(源)으로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등을 들 수 있다.
[0030] 파장 변환 부재가 갖는 경화물은,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주파수 10Hz 및 온도 25℃인 조건에서 측정한 손실 탄젠트(tanδ)가 0.4∼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4∼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4∼0.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물의 손실 탄젠트(tanδ)는,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예컨대, Rheometric Scientific사(社), Solid Analyzer RSA-III)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0031] 또한, 경화물은, 밀착성,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유리 전이 온도(Tg)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예컨대, Rheometric Scientific사, Solid Analyzer RSA-III)를 이용하여, 주파수 10Hz인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0032] 또한, 경화물은, 밀착성 및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주파수 10Hz 및 온도 25℃인 조건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貯藏彈性率)이 1×107Pa∼1×1010Pa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7Pa∼1×1010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107Pa∼5×109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물의 저장탄성률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예컨대, Rheometric Scientific사, Solid Analyzer RSA-III)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0033]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경화물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재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예컨대, 경화물이 필름 형상인 경우, 필름 형상의 경화물의 한쪽 면 또는 양면이 필름 형상의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0034] 피복재는, 양자 도트 형광체의 발광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보면,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0035] 또한,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예컨대, 경화물이 알킬렌옥시 구조를 갖는 등의 이유로 극성이 높은 경우, 비극성인 산소가 경화물 중의 성분(예컨대, 수지 성분)에 용해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무기층을 갖는 배리어 필름보다도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이 낮은 피복재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0036] 파장 변환 부재가 피복재를 갖는 경우, 피복재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수지를 들 수 있다.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피복재는, 배리어 기능을 높이기 위한 배리어층을 구비한 것(배리어 필름)이어도 된다. 배리어층으로서는,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무기층을 들 수 있다.
[0037] 피복재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복층 구조여도 된다. 복층 구조인 경우는, 재질이 상이한 2 이상의 층의 조합이어도 된다.
[0038] 피복재가 필름 형상인 경우, 피복재의 평균 두께는, 예컨대, 8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1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두께가 80㎛ 이상이면, 배리어성 등의 기능이 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평균 두께가 150㎛ 이하이면, 광투과율의 저하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필름 형상의 피복재의 평균 두께는, 필름 형상의 파장 변환 부재의 평균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구해진다.
[0039] 파장 변환 부재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보면, 피복재는 EVO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VOH를 포함하는 피복재는, 수지 기재(基材)와 무기층으로 이루어진 배리어 필름보다도 물(水) 배리어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수지 중에서도 산소 투과율이 특히 낮기 때문에, 양자 도트 형광체의 열화를 억제하는 데 충분한 산소 배리어성을 갖는다.
[0040] EVOH에 있어서의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에틸렌 함유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파장 변환 부재의 원하는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산소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보면, 에틸렌 함유율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강도 및 내수성의 관점에서 보면, 에틸렌 함유율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EVOH에 있어서의 에틸렌 함유율은 20몰%∼5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25몰%∼45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몰%∼40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041] EVOH를 포함하는 피복재의 평균 두께는, 예컨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두께가 20㎛ 이상이면, 배리어성 등의 기능이 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EVOH를 포함하는 피복재의 평균 두께는, 예컨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두께가 150㎛ 이하이면, 광투과율의 저하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0042] 피복재의 산소 투과율은, 예컨대, 0.5㎤/(㎡·day·at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day·at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day·at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043] 피복재의 산소 투과율은, 산소 투과율 측정 장치(예컨대, MOCON사(社), OX-TRAN)를 이용하여, 20℃, 상대습도 65%인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0044] 피복재의 수증기 투과율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10-1g/(㎡·day) 이하여도 된다.
[0045] 피복재의 수증기 투과율은, 수증기 투과율 측정 장치(예컨대, MOCON사, AQUATRAN)를 이용하여 40℃, 상대습도 90%인 환경하에서 측정할 수 있다.
[0046]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광의 이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전광선(全光線) 투과율이 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파장 변환 부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 K 7136:2000의 측정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0047] 또한,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광의 이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헤이즈(haze)가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9%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파장 변환 부재의 헤이즈는, JIS K 7136:2000의 측정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0048] 파장 변환 부재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단,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는 도 1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경화물 및 피복재의 크기는 개념적인 것이며,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0049] 도 1에 나타낸 파장 변환 부재(10)는, 필름 형상의 경화물인 경화물(11)과, 경화물(11)의 양면에 설치된 필름 형상의 피복재(12A 및 12B)를 갖는다. 피복재(12A) 및 피복재(12B)의 종류 및 평균 두께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0050]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파장 변환 부재는, 예컨대, 이하와 같은 공지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0051] 우선, 연속적으로 반송(搬送)되는 필름 형상의 피복재(이하, 「제1 피복재」라고도 함.)의 표면에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부여하여, 도막(塗膜)을 형성한다. 경화성 조성물의 부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이 코팅법, 커튼 코팅법, 압출 코팅(extrusion coating)법, 로드 코팅법, 롤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0052] 이어서, 경화성 조성물의 도막 상에,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필름 형상의 피복재(이하, 「제2 피복재」라고도 함.)를 접합한다.
[0053] 이어서, 제1 피복재 및 제2 피복재 중 활성 에너지선의 투과가 가능한 피복재측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照射)함으로써, 도막을 경화시켜, 경화물을 형성한다. 이후, 규정된 사이즈로 잘라냄으로써,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파장 변환 부재를 얻을 수 있다.
[0054] 또한, 제1 피복재 및 제2 피복재 모두 활성 에너지선의 투과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피복재를 접합하기 전에 도막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물을 형성해도 된다.
[0055] <백 라이트 유닛>
본 개시의 백 라이트 유닛은, 상술한 본 개시의 파장 변환 부재와, 광원을 구비한다.
[0056] 백 라이트 유닛으로서는, 색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다파장 광원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로서는, 430㎚∼480㎚의 파장역에 발광 중심 파장을 가지며, 반치폭(半値幅)이 100㎚ 이하인 발광 강도 피크를 갖는 청색광과, 520㎚∼560㎚의 파장역에 발광 중심 파장을 가지며, 반치폭이 100㎚ 이하인 발광 강도 피크를 갖는 녹색광과, 600㎚∼680㎚의 파장역에 발광 중심 파장을 가지며, 반치폭이 100㎚ 이하인 발광 강도 피크를 갖는 적색광을 발광하는 백 라이트 유닛을 들 수 있다. 또한, 발광 강도 피크의 반치폭이란, 피크 높이의 1/2의 높이에 있어서의 피크폭이며 반치전폭(半値全幅,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의미한다.
[0057] 색재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백 라이트 유닛이 발광하는 청색광의 발광 중심 파장은, 440㎚∼47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백 라이트 유닛이 발광하는 녹색광의 발광 중심 파장은, 520㎚∼54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백 라이트 유닛이 발광하는 적색광의 발광 중심 파장은, 610㎚∼64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58] 또한, 색재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백 라이트 유닛이 발광하는 청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의 각 발광 강도 피크의 반치폭은, 모두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25㎚ 이하인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0059] 백 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430㎚∼480㎚의 파장역에 발광 중심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이용할 수 있다.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 및 레이저를 들 수 있다. 청색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 파장 변환 부재는, 적어도, 적색광을 발광하는 양자 도트 형광체R 및 녹색광을 발광하는 양자 도트 형광체G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파장 변환 부재로부터 발광되는 적색광 및 녹색광과, 파장 변환 부재를 투과한 청색광에 의해,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0060] 또한, 백 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300㎚∼430㎚의 파장역에 발광 중심 파장을 갖는 자외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LED 및 레이저를 들 수 있다. 자외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 파장 변환 부재는, 양자 도트 형광체R 및 양자 도트 형광체G와 함께, 여기광에 의해 여기되어 청색광을 발광하는 양자 도트 형광체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파장 변환 부재로부터 발광되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에 의해,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0061] 본 개시의 백 라이트 유닛은, 에지 라이트(edge light) 방식이어도 되고 직하형(直下型) 방식이어도 된다.
[0062]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 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단, 본 개시의 백 라이트 유닛은, 도 2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의 부재의 크기는 개념적인 것이며, 부재 간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0063] 도 2에 나타낸 백 라이트 유닛(20)은, 청색광(LB)을 출사(出射)하는 광원(21)과, 광원(21)으로부터 출사된 청색광(LB)을 도광(導光)하여 출사시키는 도광판(22)과, 도광판(22)과 대향(對向) 배치되는 파장 변환 부재(10)와, 파장 변환 부재(10)를 통해 도광판(22)과 대향 배치되는 재귀반사성(再歸反射性) 부재(23)와, 도광판(22)을 통해 파장 변환 부재(10)와 대향 배치되는 반사판(24)을 구비한다. 파장 변환 부재(10)는, 청색광(LB)의 일부를 여기광으로 하여 적색광(LR) 및 녹색광(LG)을 발광하고, 적색광(LR) 및 녹색광(LG)과, 여기광이 되지 않은 청색광(LB)을 출사한다. 이 적색광(LR), 녹색광(LG), 및 청색광(LB)에 의해, 재귀반사성 부재(23)로부터 백색광(LW)이 출사된다.
[0064] <화상 표시 장치>
본 개시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술한 본 개시의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0065]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단, 본 개시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3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부재의 크기는 개념적인 것이며, 부재 간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0066] 도 3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30)는, 백 라이트 유닛(20)과, 백 라이트 유닛(20)과 대향 배치되는 액정 셀 유닛(31)을 구비한다. 액정 셀 유닛(31)은, 액정 셀(32)이 편광판(33A)과 편광판(33B) 사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0067] 액정 셀(32)의 구동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TN(Twisted Nematic) 방식, STN(Super Twisted Nematic) 방식, VA(Vertical Alig㎚ent) 방식, IPS(In-Plane-Switching) 방식,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0068] <경화성 조성물>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양자 도트 형광체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가 가능하면 되며, 예컨대,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069]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0070] (양자 도트 형광체)
경화성 조성물은, 양자 도트 형광체를 포함한다. 양자 도트 형광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II-VI족 화합물, III-V족 화합물, IV-VI족 화합물, 및 IV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발광 효율의 관점에서 보면, 양자 도트 형광체는, Cd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71] II-VI족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CdSe, CdTe, CdS, ZnS, ZnSe, ZnTe, ZnO, HgS, HgSe, HgTe, CdSeS, CdSeTe, CdSTe, ZnSeS, ZnSeTe, ZnSTe, HgSeS, HgSeTe, HgSTe, CdZnS, CdZnSe, CdZnTe, CdHgS, CdHgSe, CdHgTe, HgZnS, HgZnSe, HgZnTe, CdZnSeS, CdZnSeTe, CdZnSTe, CdHgSeS, CdHgSeTe, CdHgSTe, HgZnSeS, HgZnSeTe, HgZnSTe 등을 들 수 있다.
III-V족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GaN, GaP, GaAs, GaSb, AlN, AlP, AlAs, AlSb, InN, InP, InAs, InSb, GaNP, GaNAs, GaNSb, GaPAs, GaPSb, AlNP, AlNAs, AlNSb, AlPAs, AlPSb, InNP, InNAs, InNSb, InPAs, InPSb, GaAlNP, GaAlNAs, GaAlNSb, GaAlPAs, GaAlPSb, GaInNP, GaInNAs, GaInNSb, GaInPAs, GaInPSb, InAlNP, InAlNAs, InAlNSb, InAlPAs, InAlPSb 등을 들 수 있다.
IV-VI족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SnS, SnSe, SnTe, PbS, PbSe, PbTe, SnSeS, SnSeTe, SnSTe, PbSeS, PbSeTe, PbSTe, SnPbS, SnPbSe, SnPbTe, SnPbSSe, SnPbSeTe, SnPbSTe 등을 들 수 있다.
IV족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Si, Ge, SiC, SiGe 등을 들 수 있다.
[0072] 양자 도트 형광체로서는, 코어-쉘 구조(core-shell structure)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밴드 갭보다도 쉘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밴드 갭을 넓게 함으로써, 양자 도트 형광체의 양자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코어 및 쉘의 조합(코어/쉘)으로서는, CdSe/ZnS, InP/ZnS, PbSe/PbS, CdSe/CdS, CdTe/CdS, CdTe/ZnS 등을 들 수 있다.
[0073] 또한, 양자 도트 형광체로서는, 쉘이 다층 구조인, 이른바 코어-멀티 쉘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밴드 갭이 넓은 코어에 밴드 갭이 좁은 쉘을 1층 또는 2층 이상 적층하고, 나아가 이 쉘 상에 밴드 갭이 넓은 쉘을 적층함으로써, 양자 도트 형광체의 양자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74] 경화성 조성물은, 1 종류의 양자 도트 형광체를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양자 도트 형광체를 조합하여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 종류 이상의 양자 도트 형광체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양태로서는, 예컨대, 성분은 다르지만 평균 입자직경이 동일한 양자 도트 형광체를 2 종류 이상 포함하는 양태, 평균 입자직경은 다르지만 성분이 동일한 양자 도트 형광체를 2 종류 이상 포함하는 양태, 그리고 성분 및 평균 입자직경이 다른 양자 도트 형광체를 2 종류 이상 포함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양자 도트 형광체의 성분 및 평균 입자직경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양자 도트 형광체의 발광 중심 파장을 변경할 수 있다.
[0075] 예컨대, 경화성 조성물은, 520㎚∼560㎚의 녹색 파장역에 발광 중심 파장을 갖는 양자 도트 형광체G와, 600㎚∼680㎚의 적색 파장역에 발광 중심 파장을 갖는 양자 도트 형광체R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양자 도트 형광체G와 양자 도트 형광체R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에 대해 430㎚∼480㎚의 청색 파장역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양자 도트 형광체G 및 양자 도트 형광체R로부터 각각 녹색광 및 적색광이 발광된다. 그 결과, 양자 도트 형광체G 및 양자 도트 형광체R로부터 발광되는 녹색광 및 적색광과, 경화물을 투과하는 청색광에 의해,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0076] 양자 도트 형광체는, 분산 매체에 분산된 양자 도트 형광체 분산액의 상태로 이용해도 된다. 양자 도트 형광체를 분산시키는 분산 매체로서는, 물, 각종 유기 용제 및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분산 매체로서 사용 가능한 유기 용제로서는,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n-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분산 매체로서 사용 가능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실온(25℃)에서 액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분산 매체로서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할 때 분산 매체를 휘발시키는 공정이 불필요해진다는 관점에서 보면,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077] 분산 매체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또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의 합계의 질량 기준의 함유 비율(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또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합계)은, 0.01∼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0.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078] 양자 도트 형광체 분산액에 차지하는 양자 도트 형광체의 질량 기준의 비율은, 1질량%∼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79] 경화성 조성물 중의 양자 도트 형광체 분산액의 함유율은, 양자 도트 형광체 분산액에 차지하는 양자 도트 형광체의 질량 기준의 비율이 1질량%∼20질량%인 경우,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0.5질량%∼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8질량%∼7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6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질량%∼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성 조성물 중의 양자 도트 형광체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0.005질량%∼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질량%∼0.7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0.6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5질량%∼0.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보면, 0.15질량%∼0.3질량%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양자 도트 형광체의 함유율이 0.005질량% 이상이면, 경화물에 여기광을 조사할 때 충분한 발광 강도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고, 양자 도트 형광체의 함유율이 1.0질량% 이하이면, 양자 도트 형광체의 응집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0080]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특정 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특정 카르복실산은, 경화물 표면으로 스며나오기 어렵고, 경화물의 신뢰성이 우수하다는 관점, 및 입체 장해가 적고, 양자 도트 형광체에 배위하기 쉬워진다는 관점에서 보면, 탄소수 2∼12인 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10인 카르복실산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3∼8인 카르복실산이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3∼6인 카르복실산이 특히 바람직하며, 탄소수 3∼5인 카르복실산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복시기의 탄소는, 특정 카르복실산 중의 탄소수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0081] 특정 카르복실산으로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이어도 되고, 포화 카르복실산이어도 된다.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 중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이 다관능 티올 화합물 중의 티올기와 반응함으로써, 경화물 표면으로 특정 카르복실산이 스며나오기 어려워져, 경화물의 신뢰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보면, 불포화 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0082] 특정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카르복시기를 1개 이상 갖는 카르복실산이어도 되고, 카르복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카르복실산이어도 된다.
[0083] 특정 카르복실산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서, 구체적으로는, 티올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실기, 설폰산기, 아릴기, 할로겐 원자, 메타크릴기, 아크릴기 등을 들 수 있다. 특정 카르복실산에 있어서의 탄소수에는, 치환기 중의 탄소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0084] 특정 카르복실산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펠라곤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산, 메르캅토아세트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메르캅토부티르산, 메르캅토발레르산, 락트산, 사과산, 구연산, 안식향산, 페닐아세트산, 페닐프로피온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살리실산, ε-아미노카프로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정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아세트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카르복실산으로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0085] 또한,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특정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특정 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은, 경화물의 신뢰성 및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배위성의 관점에서 보면, 0.06∼6.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6.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8∼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9∼5.3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086] 특정 카르복실산이 아세트산인 경우, 특정 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는,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보면, 0.5∼6.5가 바람직하고, 4.0∼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6.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7∼6.3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정 카르복실산이 메르캅토프로피온산인 경우, 특정 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는,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보면, 0.06∼6.5가 바람직하고, 0.06∼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3∼0.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087] 또한,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올레산 등의 탄소수 18 이상인 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0088]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골격에 지환식 구조를 가지며,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아다만탄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A (폴리)에톡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A (폴리)프로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F (폴리)에톡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F (폴리)프로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S (폴리)에톡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S (폴리)프로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보면,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가 트리시클로데칸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가 트리시클로데칸 골격을 포함하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0089] 경화성 조성물이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경화성 조성물 중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40질량%∼8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8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질량%∼8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유율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경화물의 내열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0090] 경화성 조성물은,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1 종류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2 종류 이상 조합하여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091] (다관능 티올 화합물)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다관능 티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이 다관능 티올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할 때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과 다관능 티올 화합물 사이에 엔티올(enethiol) 반응이 진행되어, 경화물의 내열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경화성 조성물이 다관능 티올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경화물의 광학 특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다관능 티올 화합물로서는,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되며, 1 분자 중에 3개 또는 4개의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0092] 고온 환경하에서의 내광성의 관점에서 보면, 다관능 티올 화합물은, 제1급 탄소 원자가 결합한 티올기를 적어도 1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0093] 경화성 조성물은, 제1급 탄소 원자가 결합한 티올기를 적어도 1개 갖는 티올 화합물, 및, 제2급 탄소 원자 또는 제3급 탄소 원자가 결합한 티올기를 적어도 1개 갖는 티올 화합물을 둘 다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094] 다관능 티올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부티레이트), 1,4-부탄디올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부탄디올비스(3-메르캅토부티레이트), 1,8-옥탄디올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8-옥탄디올비스(3-메르캅토부티레이트), 헥산디올비스티오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부티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이소부티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메르캅토이소부티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스(3-메르캅토부티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부티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이소부티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이소부티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2-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3-메르캅토부티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3-메르캅토이소부티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2-메르캅토이소부티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티오글리콜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티오글리콜레이트, 1,4-비스(3-메르캅토부티릴옥시)부탄 등을 들 수 있다.
[0095]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1 분자 중에 1개의 티올기를 갖는 단관능 티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096] 단관능 티올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헥산티올, 1-헵탄티올, 1-옥탄티올, 1-노난티올, 1-데칸티올,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메틸, 메르캅토프로피온산메톡시부틸, 메르캅토프로피온산옥틸, 메르캅토프로피온산트리데실, 2-에틸헥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n-옥틸-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0097] 경화성 조성물이 전술한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경화성 조성물 중의 티올 화합물(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단관능 티올 화합물의 합계, 바람직하게는 다관능 티올 화합물)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5질량%∼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4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3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질량%∼2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의 엔티올 반응에 의해, 경화물이 더욱 치밀한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내습열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0098] 경화성 조성물이 후술하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경화성 조성물 중의 티올 화합물(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단관능 티올 화합물의 합계, 바람직하게는 다관능 티올 화합물)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15질량%∼7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6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6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질량%∼5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양자 도트 형광체의 산화 열화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경화물의 형상이 적합하게 유지되어, 경화물의 강도가 우수한 경향이 있다.
[0099] 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단관능 티올 화합물의 합계에 차지하는 다관능 티올 화합물의 질량 기준의 비율은, 60질량%∼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질량%∼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100]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의 중합성 반응기의 합계수에 대한 티올 화합물(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단관능 티올 화합물의 합계, 바람직하게는 다관능 티올 화합물) 중의 티올기의 합계수의 비율(티올기의 합계수/중합성 반응기의 합계수)은, 0.5∼4.0인 것이 바람직하고, 0.6∼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7∼1.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101]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중의 중합성 반응기의 합계수에 대한 티올 화합물(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단관능 티올 화합물의 합계, 바람직하게는 다관능 티올 화합물) 중의 티올기의 합계수의 비율(티올기의 합계수/중합성 반응기의 합계수)은, 0.5∼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8∼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2∼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102] (광중합 개시제)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래디칼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0103]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벤조페논, N,N'-테트라알킬-4,4'-디아미노벤조페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온-1,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미힐러케톤(Michler's ketone)」이라고도 일컬어진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메톡시-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의 방향족 케톤 화합물; 알킬안트라퀴논, 페난트렌퀴논 등의 퀴논 화합물; 벤조인, 알킬벤조인 등의 벤조인 화합물; 벤조인알킬에테르, 벤조인페닐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 화합물;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질 유도체; 2-(o-클로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클로로페닐)-4,5-디(m-메톡시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플루오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4-디(p-메톡시페닐)-5-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2,4-디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등의 2,4,5-트리아릴이미다졸 이량체; 9-페닐아크리딘, 1,7-(9,9'-아크리딘일)헵탄 등의 아크리딘 유도체; 1,2-옥탄디온1-[4-(페닐티오)-2-(O-벤조일옥심)], 에탄온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등의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 등의 쿠마린 화합물; 2,4-디에틸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에톡시-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1 종류의 광중합 개시제를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광중합 개시제를 조합하여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104]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경화성의 관점에서 보면,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방향족 케톤 화합물, 및 옥심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및 방향족 케톤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며,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0105] 경화성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0.1질량%∼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질량%∼1.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율이 0.1질량% 이상이면, 경화성 조성물의 감도가 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율이 5질량% 이하이면, 경화성 조성물의 색상에 대한 영향 및 보존 안정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0106]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알킬렌옥시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본 개시에서는, 간단히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이라고도 칭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07]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은, 중합성 반응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온 환경하에서의 내습열성의 관점에서 보면, 중합성 반응기를 2개∼5개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중합성 반응기를 2개∼4개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중합성 반응기를 2개 또는 3개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중합성 반응기를 2개 갖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중합성 반응기를 2개 이상 가짐으로써, 피복재에 대한 경화물의 밀착성 및 내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중합성 반응기로서는, 에틸렌성 이중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을 들 수 있다.
[0108] 알킬렌옥시기로서는, 예컨대, 탄소수가 2∼4인 알킬렌옥시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2 또는 3인 알킬렌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가 2인 알킬렌옥시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은, 1종의 알킬렌옥시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알킬렌옥시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0109]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은, 복수 개의 알킬렌옥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옥시기를 갖는 폴리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이어도 된다.
[0110]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은, 2개∼30개의 알킬렌옥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20개의 알킬렌옥시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개∼10개의 알킬렌옥시기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개∼5개의 알킬렌옥시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111]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은, 비스페놀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내광성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비스페놀 구조로서는, 예컨대, 비스페놀A 구조 및 비스페놀F 구조를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비스페놀A 구조가 바람직하다.
[0112]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노나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아릴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헤테로 고리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톡시화 비스페놀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비스페놀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에톡시화 비스페놀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비스페놀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그 중에서도, 에톡시화 비스페놀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비스페놀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폭시화 에톡시화 비스페놀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에톡시화 비스페놀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0113] 경화성 조성물이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경화성 조성물 중의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30질량%∼7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질량%∼6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질량%∼6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경화물의 형상이 적합하게 유지되어, 경화물의 강도가 우수한 경향이 있고, 또한 양자 도트 형광체의 산화 열화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0114] (액상 매체)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액상 매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액상 매체란, 실온(25℃)에서 액체 상태인 매체를 말한다.
[0115] 액상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n-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n-펜틸케톤, 메틸-n-헥실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디이소부틸케톤, 트리메틸노난온, 시클로헥산온, 시클로펜탄온, 메틸시클로헥산온, 2,4-펜탄디온, 아세토닐아세톤 등의 케톤 용제; 디에틸에테르, 메틸에틸에테르, 메틸-n-프로필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틸디옥산,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n-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n-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n-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n-헥실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n-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n-헥실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메틸-n-부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메틸-n-헥실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n-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n-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n-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n-헥실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n-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n-헥실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메틸-n-부틸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메틸-n-헥실에테르 등의 에테르 용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용제;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sec-부틸, 아세트산n-펜틸, 아세트산sec-펜틸, 아세트산3-메톡시부틸, 아세트산메틸펜틸, 아세트산2-에틸부틸, 아세트산2-에틸헥실, 아세트산2-(2-부톡시에톡시)에틸, 아세트산벤질, 아세트산시클로헥실, 아세트산메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노닐,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트산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아세트산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아세트산글리콜, 아세트산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n-부틸, 프로피온산이소아밀, 옥살산디에틸, 옥살산디-n-부틸,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락트산n-부틸, 락트산n-아밀,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등의 에스테르 용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디논, N-에틸피롤리디논, N-프로필피롤리디논, N-부틸피롤리디논, N-헥실피롤리디논, N-시클로헥실피롤리디논,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등의 비(非)프로톤성 극성 용제;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 n-펜탄올, 이소펜탄올, 2-메틸부탄올, sec-펜탄올, t-펜탄올, 3-메톡시부탄올, n-헥산올, 2-메틸펜탄올, sec-헥산올, 2-에틸부탄올, sec-헵탄올, n-옥탄올, 2-에틸헥산올, sec-옥탄올, n-노닐알코올, n-데칸올, sec-운데실알코올, 트리메틸노닐알코올, sec-테트라데실알코올, sec-헵타데실알코올, 시클로헥산올, 메틸시클로헥산올, 벤질알코올,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 용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헥실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모노에테르 용제; 테르피넨, 테르피네올, 미르센, 알로오시멘, 리모넨, 디펜텐, 피넨, 카르본, 오시멘, 펠란드렌 등의 테르펜 용제; 디메틸실리콘 오일, 메틸페닐실리콘 오일, 메틸하이드로겐실리콘 오일 등의 스트레이트 실리콘 오일; 아미노 변성 실리콘 오일,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오일,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오일, 메르캅토 변성 실리콘 오일, 이종(異種) 관능기 변성 실리콘 오일,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메틸스티릴 변성 실리콘 오일, 친수성 특수 변성 실리콘 오일,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오일,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오일, 불소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의 변성 실리콘 오일; 부탄산,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운데칸산, 도데칸산, 트리데칸산, 테트라데칸산, 펜타데칸산, 헥사데칸산, 헵타데칸산, 옥타데칸산, 노나데칸산, 이코산산, 에이코센산 등의 탄소수 4 이상인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리놀산, 팔미톨레산 등의 탄소수 8 이상인 불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이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경우, 1 종류의 액상 매체를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액상 매체를 조합하여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116] 경화성 조성물이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경우, 경화성 조성물 중의 액상 매체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1질량%∼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질량%∼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질량%∼7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117] (백색 안료)
본 개시의 경화성 조성물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백색 안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산화티탄, 황산바륨, 산화아연,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광산란 효율의 관점에서 보면 산화티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조성물이 백색 안료로서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경우, 산화티탄으로서는, 루틸형(Rutil Type) 산화티탄이어도 되고 아나타제형(Anatase Type) 산화티탄이어도 되며, 루틸형 산화티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18]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은, 0.1㎛∼1㎛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추출한 백색 안료를,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정제수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는다. 이 분산액을 이용하여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예컨대, Shimadzu Corporation, SALD-3000J)에 의해 측정되는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소직경(小徑)측으로부터의 적산(積算)이 50%가 될 때의 값(메디안 지름(D50))을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으로 한다.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백색 안료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경화성 조성물을 액상 매체로 희석하고, 원심분리 처리 등에 의해 백색 안료를 침전시켜 분리 수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경화물 중에 포함되는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은,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입자의 관찰에 의해, 50개의 입자에 대해 등가 원 직경(圓相當徑, equivalent circle diameter)(장경(長徑)과 단경(短徑)의 기하 평균)을 산출하여, 그 산술평균치로서 구할 수 있다.
[0119] 경화성 조성물이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 경화성 조성물 중에서 백색 안료가 응집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보면, 백색 입자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물층에 포함되는 유기물로서는, 유기 실란, 유기 실록산(organosiloxane), 플루오로실란, 유기 포스포네이트, 유기 인산 화합물, 유기 포스피네이트, 유기 설폰산 화합물,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아미드, 탄화수소 왁스,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의 코폴리머, 폴리올, 폴리올의 유도체, 알칸올아민, 알칸올아민의 유도체, 유기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물층에 포함되는 유기물은, 폴리올, 유기 실란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 또는 유기 실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실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노닐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에톡시실란, 도데실트리에톡시실란, 트리데실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데실트리에톡시실란, 펜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실록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메틸실릴 관능기로 종단(終端)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메틸히드로실록산(PMHS), PMHS의 올레핀에 의한 관능화(히드로실릴화에 의한)에 의해 유도되는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포스포네이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n-옥틸포스폰산 및 그 에스테르, n-데실포스폰산 및 그 에스테르, 2-에틸헥실포스폰산 및 그 에스테르 그리고 캄필(camphyl)포스폰산 및 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유기 인산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유기 산성 포스페이트, 유기 피로포스페이트, 유기 폴리포스페이트, 유기 메타포스페이트, 이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포스피네이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n-헥실포스핀산 및 그 에스테르, n-옥틸포스핀산 및 그 에스테르, 디-n-헥실포스핀산 및 그 에스테르 그리고 디-n-옥틸포스핀산 및 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유기 설폰산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헥실설폰산, 옥틸설폰산, 2-에틸헥실설폰산 등의 알킬설폰산, 이들 알킬설폰산과,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탄 등의 금속 이온, 암모늄 이온,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암모늄 이온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안식향산, 프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기 카르복실산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롤, 헥산트리올, 에리트리톨, 만니톨, 소르비톨, 펜타에리트리톨, 비스페놀A, 히드로퀴논, 플로로글루시놀 등의 히드록시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스테르 및 부분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아미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스테아르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및 그 코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틸렌, 아세트산비닐,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글리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알칸올아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산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구연산,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雙性), 비이온성 등의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 유기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백색 안료의 응집이 억제되면, 경화물 중에 있어서의 백색 안료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0120] 백색 안료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금속 산화물층에 포함되는 금속 산화물로서는,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지르코니아, 포스포리아(phosphoria), 보리아(boria)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층은 1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백색 안료가 2층의 금속 산화물층을 갖는 경우,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1 금속 산화물층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제2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안료가 금속 산화물층을 가짐으로써, 지환식 구조와 설파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경화물 중에 있어서의 백색 안료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0121] 백색 안료는, 유기물층과 금속 산화물층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백색 안료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층 및 유기물층이, 금속 산화물층 및 유기물층의 순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안료가 유기물층과 2층의 금속 산화물층을 갖는 것인 경우, 백색 안료의 표면에,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1 금속 산화물층,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제2 금속 산화물층 및 유기물층이, 제1 금속 산화물층, 제2 금속 산화물층 및 유기물층의 순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22] 경화성 조성물이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 경화성 조성물 중의 백색 안료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예컨대, 0.05질량%∼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질량%∼0.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123] (기타의 성분)
경화성 조성물은, 중합 금지제, 실란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밀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등의 기타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기타의 성분의 각각에 대해, 1 종류를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경화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메타)알릴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124] (경화성 조성물의 조제 방법)
경화성 조성물은, 예컨대, 양자 도트 형광체, 특정 카르복실산,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다관능 티올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필요에 따라 전술한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양자 도트 형광체는, 분산 매체에 분산시킨 상태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25] (경화성 조성물의 용도)
경화성 조성물은, 필름 형성에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경화성 조성물은, 파장 변환 부재의 형성에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
[012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127]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경화성 조성물의 조제)
표 1에 나타낸 각 성분을 해당 표에 나타낸 배합량(단위:질량부)으로 혼합함으로써,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경화성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였다. 표 1 중의 「-」은 미(未)배합을 의미한다.
또한,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SHIN-NAKAMURA CHEMICAL CO., LTD., A-DCP)를 이용하였다.
또한, 다관능 티올 화합물로서,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SC ORGANIC CHEMICAL CO., LTD., PEMP)를 이용하였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BASF사, IRGACURE TPO)를 이용하였다.
또한, 카르복실산으로서, 아세트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SC ORGANIC CHEMICAL CO., LTD.), 메타크릴산(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및 올레산(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을 이용하였다.
또한, 양자 도트 형광체 IBOA(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분산액으로서, CdSe/ZnS(코어/쉘) 분산액(Nanosys사, Gen3.5 QD Concentrate)를 이용하였다. 이 CdSe/ZnS(코어/쉘) 분산액의 분산 매체로서는,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CdSe/ZnS(코어/쉘) 분산액 중에,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가 약 90질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백색 안료로서, 산화티탄(Chemours사, Ti-Pure R-706, 입자직경 0.36㎛)을 이용하였다. 산화티탄의 표면에는, 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1 금속 산화물층,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제2 금속 산화물층 및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이, 제1 금속 산화물층, 제2 금속 산화물층 및 유기물층의 순으로 설치되어 있다.
[0128] [표 1]
Figure pct00001
[0129]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각 경화성 조성물을 평균 두께 120㎛인 배리어 필름(Dai Nippon Printing Co., Ltd.)(피복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도막 상에 두께 120㎛인 배리어 필름(Dai Nippon Printing Co., Ltd.)(피복재)을 접합하고, 자외선 조사 장치(EYE GRAPHICS CO., LTD.)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조사량:1000mJ/㎠)함으로써, 파장 변환 부재용 수지 경화물을 포함하는 경화물의 양면에 피복재가 배치된 파장 변환 부재를 각각 얻었다.
[0130] <평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파장 변환 부재를 이용하여, 이하의 각 평가 항목을 측정 및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0131] (내습열성)
상기에서 얻어진 각 파장 변환 부재를, 폭 100㎜, 길이 100㎜의 사이즈로 재단한 후, 65℃, 95%RH(상대습도)의 항온항습조에 투입하여 480시간 동안 정치(靜置)하고, 하기의 식에 따라 파장 변환 부재의 상대 발광 강도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상대 발광 강도 유지율:(RLb1/RLa)×100
RLa:초기 상대 발광 강도
RLb1:65℃, 95%RH×480시간 후의 상대 발광 강도
[0132] (내광성)
상기에서 얻어진 각 파장 변환 부재를, 직경 28㎜의 사이즈로 재단하여, 평가용 샘플을 준비하였다. 평가용 샘플에 대해 파이버 멀티 채널 분광기(Ocean Photonics, OceanView)에 의해 초기의 발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평가용 샘플을 고휘도 시험기 Light BOX(Nanosys사)(LED 피크 파장 448㎚)에 설치하고, 조도(照度) 150mW/㎠, 항온조 85℃ 환경하에서 시험을 행하였다. 24시간 후에 평가용 샘플을 꺼내, 하기 식에 따라 파장 변환 부재의 상대 발광 강도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상대 발광 강도 유지율:(RLb2/RLa)×100
RLa:초기 상대 발광 강도
RLb2:150mW/㎠, 85℃×24시간 후의 상대 발광 강도
또한, 상대 발광 강도 유지율의 수치가 높을수록 파장 변환 부재는 내광성이 우수하다.
[0133] [표 2]
Figure pct00002
[0134]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올레산을 이용한 비교예 1에 비해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에 해당하는 아세트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이용한 실시예 1∼3에서는, 파장 변환 부재는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였다.
[0135] <실시예 4∼9 및 비교예 2>
(경화성 조성물의 조제)
표 3에 나타낸 각 성분을 해당 표에 나타낸 배합량(단위:질량부)으로 혼합함으로써, 실시예 4∼9 및 비교예 2의 경화성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였다. 표 3 중의 「-」은 미(未)배합을 의미한다.
또한, 표 3에서는, 비교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대해서도 게재하고 있다.
표 3에서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대해, 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의 질량비를 게재하고 있다. 고형분(固形分)인 양자 도트 형광체가 양자 도트 형광체 분산액에 10질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식에 근거하여, 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의 질량비를 산출하였다.
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의 질량비=카르복실산(질량부)/[양자 도트 형광체 분산액(질량부)×0.1]
[0136]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그리고 내습열성 및 내광성의 평가)
실시예 4∼9 및 비교예 2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파장 변환 부재를 제조하고, 얻어진 파장 변환 부재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내습열성 및 내광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0137] [표 3]
Figure pct00003
[0138]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올레산을 이용한 비교예 1 및 카르복실산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2에 비해,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에 해당하는 아세트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이용한 실시예 1∼9에서는, 파장 변환 부재는 내습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였다.
[0139] 2018년 3월 27일에 출원된 PCT/JP2018/012584의 개시(開示)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각각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포함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각각에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26)

  1. 양자 도트 형광체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갖는 파장 변환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의 골격 중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파장 변환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식 구조는 이소보닐 골격을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식 구조는 트리시클로데칸 골격을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이 0.1㎛∼1.0㎛인, 파장 변환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가 Cd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갖는, 파장 변환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재를 추가로 갖는, 파장 변환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가,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barrier property)을 갖는, 파장 변환 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은, 아세트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06∼6.5인, 파장 변환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은 아세트산이며,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5∼6.5인, 파장 변환 부재.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은 메르캅토프로피온산이며,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06∼6.5인, 파장 변환 부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중의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의 함유율은, 상기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全量)에 대해 0.15질량%∼0.3질량%인, 파장 변환 부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와, 광원을 구비하는 백 라이트 유닛.
  16. 제15항에 기재된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7. 양자 도트 형광체와, 탄소수 1∼17인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06∼6.5인, 경화성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은 아세트산이며,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5∼6.5인, 경화성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은 메르캅토프로피온산이며,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에 대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질량 기준으로의 함유 비율(카르복실산/양자 도트 형광체)이 0.06∼6.5인, 경화성 조성물.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중의 상기 양자 도트 형광체의 함유율은, 상기 경화성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0.15질량%∼0.3질량%인, 경화성 조성물.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식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트리시클로데칸 골격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경화성 조성물.
  24.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렌옥시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알킬렌옥시기 함유 화합물, 다관능 티올 화합물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색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KR1020207028208A 2018-03-27 2019-03-27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및 경화성 조성물 KR20200135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2584 WO2019186729A1 (ja) 2018-03-27 2018-03-27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及び硬化性組成物
JPPCT/JP2018/012584 2018-03-27
PCT/JP2019/013416 WO2019189495A1 (ja) 2018-03-27 2019-03-27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及び硬化性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973A true KR20200135973A (ko) 2020-12-04

Family

ID=6805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208A KR20200135973A (ko) 2018-03-27 2019-03-27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및 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40383A1 (ko)
EP (1) EP3767345A4 (ko)
JP (1) JPWO2019189495A1 (ko)
KR (1) KR20200135973A (ko)
CN (1) CN111971591A (ko)
TW (1) TW201942331A (ko)
WO (2) WO2019186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4603A1 (ja) * 2019-10-29 2021-05-06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波長変換用樹脂組成物、波長変換用樹脂硬化物、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7569213B2 (ja) * 2019-12-26 2024-10-17 住友化学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
JP7406983B2 (ja) * 2019-12-26 2023-12-28 住友化学株式会社 組成物および表示装置
KR20210109112A (ko) * 2020-02-26 2021-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
JP2021161393A (ja) * 2020-03-31 2021-10-11 住友化学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表示装置
JP7351001B2 (ja) * 2020-04-28 2023-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量子ドット含有重合性組成物、硬化物、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7351000B2 (ja) * 2020-04-28 2023-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量子ドット含有重合性組成物、硬化物、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4018A (ja) 2010-11-10 2013-12-09 ナノシス・インク. 量子ドットフィルム、照明装置、および照明方法
WO2016052625A1 (ja) 2014-09-30 2016-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波長変換部材、および光硬化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9148131A1 (ja) * 2008-06-06 2011-11-0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波長変換組成物及び波長変換組成物からなる層を備えた光起電装置
WO2011155614A1 (ja) * 2010-06-11 2011-12-15 旭硝子株式会社 透光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835925B2 (ja) * 2011-04-08 2015-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波長変換ナノ粒子の製造方法
TWI531094B (zh) * 2013-05-17 2016-04-21 Daxin Materials Corp And a light-emitting device for a light-emitting device
KR102309892B1 (ko) * 2014-07-01 202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폴리머 복합체
KR20170086566A (ko) * 2014-11-17 2017-07-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티올-알켄 매트릭스를 갖는 양자점 물품
JP2016118584A (ja) * 2014-12-18 2016-06-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再帰性反射シート及びライセンスプレート、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116971B1 (ko) * 2015-01-23 2020-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표시장치
WO2016151933A1 (ja) * 2015-03-23 2016-09-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光学機能性膜
US10233387B2 (en) * 2015-04-16 2019-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Quantum dot article with thiol-alkene-epoxy matrix
KR101878421B1 (ko) * 2015-07-07 2018-07-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양자점 분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발광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102030491B1 (ko) * 2015-08-10 2019-10-1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형광체 함유 필름 및 백라이트 유닛
JP2017078120A (ja) * 2015-10-20 2017-04-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重合物、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8291138B (zh) * 2015-11-18 2021-03-26 3M创新有限公司 用于纳米粒子的共聚稳定载体流体
JP6825208B2 (ja) * 2016-02-05 2021-0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波長変換組成物、波長変換部材、光波長変換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77101B2 (ja) * 2016-07-22 2021-05-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波長変換粒子の製造方法、光波長変換粒子、光波長変換粒子含有組成物、光波長変換部材、光波長変換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9690367A (zh) * 2016-09-07 2019-04-26 住友化学株式会社 波长转换片材、层叠体及发光装置、以及波长转换片材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4018A (ja) 2010-11-10 2013-12-09 ナノシス・インク. 量子ドットフィルム、照明装置、および照明方法
WO2016052625A1 (ja) 2014-09-30 2016-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波長変換部材、および光硬化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89495A1 (ja) 2021-04-01
EP3767345A4 (en) 2021-04-14
WO2019189495A1 (ja) 2019-10-03
EP3767345A1 (en) 2021-01-20
US20210040383A1 (en) 2021-02-11
TW201942331A (zh) 2019-11-01
WO2019186729A1 (ja) 2019-10-03
CN111971591A (zh)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0509B2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波長変換用樹脂組成物及び波長変換用樹脂硬化物
KR20200135973A (ko)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및 경화성 조성물
KR102225709B1 (ko) 파장 변환 부재, 백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파장 변환용 수지 조성물 및 파장 변환용 수지 경화물
KR20200138248A (ko)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화상 표시 장치, 경화성 조성물 및 경화물
KR20200135974A (ko) 파장 변환 부재, 백 라이트 유닛,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9174562A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6658990B1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及び硬化性組成物
JP6702515B2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及び硬化性組成物
JP6658991B1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及び硬化性組成物
WO2019186735A1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及び硬化性組成物
WO2022208663A1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及び硬化性組成物
WO2021152739A1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9186730A1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及び硬化性組成物
WO2020250414A1 (ja) 波長変換部材及びその使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21015284A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波長変換用樹脂組成物及び波長変換用樹脂硬化物
TW202130000A (zh) 波長變換構件、背光單元以及圖像顯示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