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72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725A
KR20200130725A KR1020207029209A KR20207029209A KR20200130725A KR 20200130725 A KR20200130725 A KR 20200130725A KR 1020207029209 A KR1020207029209 A KR 1020207029209A KR 20207029209 A KR20207029209 A KR 20207029209A KR 20200130725 A KR20200130725 A KR 2020013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region
back sheet
adhesive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638B1 (ko
Inventor
사에코 마츠이
도시히사 하야시
나루미 야마모토
쇼헤이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2013/5147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the outer layer being adhesive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quantity or ratio of superabsorbent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키면서,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함으로써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과,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0)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적어도 펄프(31)와 고흡수성 폴리머(32)를 갖는 흡수체(30)와,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50)를 갖는다. 흡수체의 외연은,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흡수체의 외연과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RO)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와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P1)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팬티라이너, 경실금 패드 등, 속옷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속옷에 장착하여, 대하, 땀, 뇨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다. 특허문헌 1의 이면 시트는, 비통기성 또는 통기성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단락 0019).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54881호
특허문헌 1에는, 통기성의 필름에 의해 이면 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습기참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점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통기성의 이면 시트를 통해 습기가 점착부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부에 습기가 도달하면, 점착부의 점착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의도치 않게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대하여 틀어져,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할 수 없어, 체액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키면서,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함으로써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방향과,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외연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의 외연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와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B-B 단면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방향과,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외연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의 외연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와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고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체가 배치된 영역과, 외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를 넘어 뇨가 배출된 경우에도, 외측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뇨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가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뇨나 땀의 흡수시에 이면 시트를 통해 습기를 흡수성 물품 밖으로 배출하기 쉽다. 따라서,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측 영역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와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된 중첩부가 마련되어 있다. 중첩부에 체액이 도달하면,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체액을 유지하여, 상기 체액이 이면 시트에 도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중첩부에서의 점착부는, 이면 시트측으로부터의 습기가 도달하기 어려워,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할 수 있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및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배치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비배치부는, 고흡수성 폴리머 및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부분 및 점착부가 배치된 부분과 비교하여 높은 통기성을 갖는다. 상기 비배치부에 의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습기참을 보다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폴리머 배치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폴리머 배치부는, 점착부를 갖지 않으며, 속옷에 대하여 이동하기 쉬운 부분이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변형(팽윤)되기 쉽다. 상기 폴리머 배치부에 배치된 고흡수성 폴리머는, 중첩부에 배치된 고흡수성 폴리머와 비교하여 팽윤하기 쉬워 체액의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착 배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점착 배치부와 상기 폴리머 배치부는, 평면시(平面視)에서 인접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폴리머 배치부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상기 폴리머 배치부에 도달한 체액뿐만 아니라, 주변의 습기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배치부에 인접한 점착 배치부의 습기를 저감할 수 있다. 점착 배치부에서는, 습기를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투과시킬 수 있어, 점착부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은, 상기 흡수체측의 제1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측의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제1 영역은,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아, 흡수체가 다 유지할 수 없는 체액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배설부로부터 떨어진 땀을 흘리기 쉬운 영역에 접촉한다. 제2 영역에 의해 배설물보다 수분 배출량이 적은 땀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창했을 때의 요철에 의한 피부에 대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측 영역을 각지며,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는, 상기 표면측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친수도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친수도보다 높아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친수도가 높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배설된 체액을 신속하게 인입하고, 흡수체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체액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친수도가 낮기 때문에, 흡수체 내의 체액이 이면 시트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점착부에 체액의 수분이 도달하기 어려워지고, 수분의 도달에 의한 점착력의 저하를 억제하여, 흡수성 물품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아, 체액의 흡수시에 중앙 영역이 팽창하기 쉽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영역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낮아, 체액의 흡수시에 표면측 영역이 팽윤하기 어렵다. 표면측 영역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팽윤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나 이면 시트에 흡수체의 요철이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표면 시트나 이면 시트로 요철이 전달되는 것에 의한 장착시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는,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을 따라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압착부에 체액이 도달하더라도, 밀도가 높은 압착부 내에서 체액이 확산되어, 압착부보다 외측에 체액이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압착부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이면 시트 및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이면 시트, 표면 시트 및 점착부가 함께 압축됨으로써, 이면 시트와 점착부가 모두 압착부에 의한 오목부에 들어가기 때문에, 가령 습기가 점착부에 도달하여 점착성이 저하되더라도 점착부와 이면 시트가 박리되기 어렵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는 상기 표면 시트의 신장 강도보다 낮아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압착부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가 신장되기 어려워, 이면 시트가 얇아지기 어렵다. 따라서, 압착부를 통해 습기가 투과하기 어려워, 습기의 도달에 의한 점착부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가 낮기 때문에, 이면 시트측에서의 압착부에 의한 요철의 높이가 표면 시트측에서의 압착부에 의한 요철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속옷과 이면 시트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에 대한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비율은 0.7 이상 1.3 이하이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와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편차가 적어, 압착부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속옷과 이면 시트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신장 강도는, 모두 2.0 N/25 mm 이상이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 및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신장 강도가 속옷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박리할 때에 이면 시트에 가해지는 힘보다 강하여, 이면 시트가 의도치 않게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 영역과, 상기 제3 영역보다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4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폭방향의 최대폭은,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폭방향의 최대폭보다 길고,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상기 압착부보다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긴 광폭부를 갖고 있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최대폭의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제4 영역의 최대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외연은, 다리의 힘 등의 외력이 가해지기 쉽다. 상기 최대폭의 위치에 광폭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부의 광폭부에 의해 최대폭의 위치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광폭부와 중복되어도 좋다.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는, 신체나 속옷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르는 힘을 받기 쉽다. 상기 점착부가 폭방향에서 광폭부에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부의 광폭부에 의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광폭부와 중복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압착부의 광폭부에 의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서,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에는, 상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이면 시트측의 접착부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이면 시트에 접착된다. 이면 시트에 마련된 점착부에 체액이 도달하기 직전에 체액을 유지할 수 있어, 점착부의 점착력을 보다 유지하기 쉽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와 표면 시트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는 공간이 표면 시트측에 형성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기 쉬워진다.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영역에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표면 시트측의 접착부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표면 시트에 접착된다. 따라서, 표면 시트로부터 투과한 체액을 표면 시트측에서 즉시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와 이면 시트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는 공간이 이면 시트측에 형성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기 쉬워진다.
(2) 흡수성 물품의 전체 개략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속옷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이면 되며, 예컨대 경실금 패드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B-B 단면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을 갖는다. 길이 방향(L)은, 신체 전측과 신체 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바꿔 말하면, 길이 방향(L)은, 전개된 흡수성 물품(1)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과 폭방향(W)의 양방이 직교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두께 방향(T)은, 착용자측으로 향하는 피부 대향면측(T1)과, 피부 대향면측과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된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적어도 갖는다. 표면 시트(10)는, 예컨대 부직포나 개공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액투과성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0)는, 복수의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어도 좋고, 세컨드 시트를 가져도 좋다. 예컨대,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코튼 시트와, 레이온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시트의 적층에 의한 피부면측 시트에 의해 표면 시트(10)를 구성해도 좋고, 상기 피부면측 시트와,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한 세컨드 시트에 의해 표면 시트(10)를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0)는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시트(10)의 흡수체측의 면은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섬유 사이의 공극이 비교적 커서, 후술하는 흡수체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균일하게 배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 전체에 걸쳐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기 쉬워져,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면 시트(20)가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뇨나 땀의 흡수시에 이면 시트(20)를 통해 습기를 흡수성 물품 밖으로 배출하기 쉽다. 따라서,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는, 흡수성 물품의 외측연까지 도달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외측연은 폭방향(W)의 외측 단부이고, 전단연은 전측의 가장자리이고, 후단연은 후측의 가장자리이다. 또한, 외연은, 외측연, 전단연 및 후단연을 포함하는 외주 전체의 가장자리이다.
이면 시트(20)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장착하기 위한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다. 점착부(50)는, 폭방향(W)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점착부(50)는,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에 도달해도 좋다. 점착부(50)는, 길이 방향(L)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를 갖는다. 길이 방향(L)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는, 흡수성 물품(1)의 최대폭(PM)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이 흡수성 물품의 최대폭(PM)은 후술하는 제4 영역의 최대폭이다. 또, 변형예에서, 점착부(50)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도 좋다.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체(30)는, 적어도 펄프(31)와 고흡수성 폴리머(SAP)(32) 등의 흡수 재료를 갖는다. 흡수체가 펄프를 갖고 있고, 상기 펄프에 의해 대하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가 고흡수성 폴리머(32)를 갖고 있고,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뇨나 땀을 흡수할 수 있다. 흡수체(30)는, 시트형의 흡수체이어도 좋다. 흡수체(30)는, 흡수 재료를 둘러싸는 코어랩을 가져도 좋다. 흡수체(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RC)과, 중앙 영역(RC)보다 두께 방향(T)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측 영역(RS)을 갖는다. 표면측 영역(RS)은, 중앙 영역(RC)의 피부 대향면측(T1)과 피부 비대향면측(T2)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표면측 영역(RS)과 중앙 영역(RC)의 경계는,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삼등분하는 경계이다.
흡수체(30)의 외연(30E)은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즉, 흡수체(30)의 전단연(30F)은 흡수성 물품(1)의 전단연(1F)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흡수체(30)의 후단연(30R)은 흡수성 물품(1)의 후단연(1R)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흡수체(30)의 외측연(30S)은 흡수성 물품(1)의 외측연(1S)보다 폭방향(W)의 내측에 위치한다. 흡수체(30)의 외연(30E)과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 사이에는 외측 영역(RO)이 마련되어 있다. 외측 영역(RO)은, 도 1에서 사선을 부여한 영역이다. 외측 영역(RO)에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가 배치되어 있다. 외측 영역(RO)에는, 펄프(31)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32)는, 흡수체가 배치된 영역과, 외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를 넘어 뇨가 배출된 경우에도,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뇨 등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수분에 용해된 암모니아 성분이나 기체 암모니아를 흡착할 수 있어, 냄새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로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는 것이다. 펄프에 의해 대하나 땀 등의 체액을 흡수함과 더불어,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경실금에 의한 체액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대하뿐만 아니라 뇨를 흡수하더라도, 통기성의 이면 시트(20)에 의해 습기를 밖으로 밀어내어, 보송보송한 장착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외측 영역(RO)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외측 영역(RO)에는, 고흡수성 폴리머(32)와 점착부(50)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P1)가 마련되어 있다. 중첩부(P1)에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표면 시트(10), 고흡수성 폴리머(32), 이면 시트(20) 및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다. 중첩부(P1)에 체액이 도달하면,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체액을 유지하여, 상기 체액이 이면 시트(20)에 도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중첩부(P1)에서의 점착부(50)는, 이면 시트(20)측으로부터의 습기가 도달하고 어려워,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중첩부(P1)에서 점착부(50)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어, 의도치 않게 흡수성 물품(1)이 속옷에 대하여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할 수 있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키면서,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함으로써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외측 영역(RO)에는, 고흡수성 폴리머(32) 및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배치부(P2)가 마련되어도 좋다. 비배치부(P2)에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가 배치되어 있다. 비배치부(P2)는, 고흡수성 폴리머(32) 및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된 부분 및 점착부(50)가 배치된 부분과 비교하여 높은 통기성을 갖는다. 상기 비배치부(P2)에 의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습기참을 더욱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측 영역(RO)에는,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되고, 또한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폴리머 배치부(P3)가 마련되어도 좋다. 폴리머 배치부(P3)에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가 배치되어 있다. 폴리머 배치부(P3)는,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속옷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고 비교적 이동하기 쉬운 부분이며,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변형(팽윤)되기 쉽다. 상기 폴리머 배치부에 배치된 고흡수성 폴리머(32)는, 중첩부에 배치된 고흡수성 폴리머(32)와 비교하여 팽윤하기 쉬워, 체액의 흡수 성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외측 영역(RO)에는, 점착부(50)가 배치되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착 배치부(P4)가 마련되어도 좋다. 점착 배치부(P4)에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점착부(50)가 배치되어 있다. 폴리머 배치부(P3)는, 점착 배치부(P4)와 비배치부(P2) 중 적어도 한쪽과 평면시에서 인접해도 좋다. 폴리머 배치부(P3)의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상기 폴리머 배치부(P3)에 도달한 체액뿐만 아니라, 주변의 습기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배치부(P3)에 인접한 점착 배치부(P4)나 비배치부(P2)의 습기를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점착 배치부(P4)에서는, 습기를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투과시킬 수 있어, 점착부(50)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외측 영역(RO)에는,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를 두께 방향(T)으로 압축한 압착부(60)가 마련되어도 좋다. 압착부(60)는,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을 따라 마련되어도 좋다. 압착부(60)는,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보다 내측에서 복수 마련되며, 간격을 두고 외연(1E)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압착부(60)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외측 영역(RO)의 압착부(60)에 체액이 도달하더라도, 밀도가 높은 압착부(60) 내에서 체액이 확산되기 때문에, 압착부(60)보다 외측에 체액이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외측 영역(RO)의 비배치부 및 점착 배치부는,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압착부(60)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 등이 찢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속옷에 대한 점착성을 확보하거나, 시트의 찢어짐에 의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하거나 할 수 있다.
압착부(60)에서는,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점착부(50)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도 좋다. 이면 시트(20), 표면 시트(10) 및 점착부(50)가 함께 압축됨으로써, 이면 시트(20)와 함께 점착부(50)가 형성된 오목부에 들어가기 때문에, 가령 습기가 점착부(50)에 도달하여 점착성이 저하되더라도, 점착부(50)와 이면 시트(20)가 박리되기 어렵다.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는, 표면 시트(10)의 신장 강도보다 높아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는,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다른 자재(표면 시트, 흡수체 등)의 신장 강도보다 높아도 좋다. 여기서, 신장 강도는, 평면 방향의 시트의 신장 어려움을 지표하는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음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 인장 시험기 및 (2) 펀칭 틀(장방형 틀 길이 44 mmХ폭 25 mm)을 이용하여 행한다. 순서로는, 우선 시험편을 준비한다. 시험편은, 흡수성 물품을 톨루엔에 침지하여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로 나누고, 측정 대상인 시트를 45 mmХ25 mm의 치수로 펀칭 틀로 펀칭하여 작성한다. 시험편의 중앙에 척 간격 30 mm가 취해지도록, 시험편의 길이 방향(45 mm)의 양끝으로부터 7 mm까지의 길이의 부분에 각각 손잡이부를 마련한다. 손잡이부는, 길이 50 mm, 폭 30 mm의 알루미늄 테이프로 시험편을 양면 사이에 끼워 작성한다. 이어서, 척 간격 : 30 mm, 인장 속도 : 500 mm/min로 측정한다.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각각의 5% 신도일 때의 강도(N/25 mm)와 최대 신장 강도(N/25 mm)를 계측한다.
본 발명에서의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높고, 또한,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표면 시트(10)의 신장 강도가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한다. 한편,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높고, 또한,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낮은 경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낮고, 또한,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낮은 경우, 및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낮고, 또한,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가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5%의 신도 강도보다 높은 경우는, 모두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가 표면 시트(10)의 신장 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한다.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는 표면 시트(10)의 신장 강도보다 높기 때문에, 압착부(60)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20)가 신장되기 어려워, 이면 시트(20)가 얇아지기 어렵다. 따라서, 압착부(60)를 통해 습기가 투과하기 어려워, 습기의 도달에 의한 점착부(50)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20)의 신장 강도가 높아, 이면 시트가 신장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면 시트(20)측에서의 압착부에 의한 요철의 높이가 표면 시트(10)측에서의 압착부에 의한 요철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속옷과 이면 시트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는, 길이 방향 또는 폭방향의 한쪽으로만 연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면 시트는,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연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양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것에 의해 신장 강도가 낮아지기 쉽다.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에 대한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비율은, 0.7 이상 1.3 이하이어도 좋다. 보다 적합하게는, 상기 비율은 0.9 이상 1.1 이하이어도 좋다.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에 대한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비율은, 0.7 이상 1.3 이하인 것에 의해,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와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편차가 적어, 압착부의 형성시에 이면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속옷과 이면 시트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 및 이면 시트의 폭방향의 신장 강도는, 모두 2.0 N/25 mm 이상이어도 좋고, 보다 적합하게는 5.0 N/25 mm 이상이어도 좋다.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가 2.0 N/25 mm 이상인 것에 의해, 속옷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박리할 때에 이면 시트에 가해지는 힘보다 강하여, 이면 시트가 의도치 않게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외측 영역(RO)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0)측의 제1 영역(R1)과,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측의 제2 영역(R2)을 갖는다.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의 경계는, 흡수성 물품(1)의 외연(1E)과 흡수체(30)의 외연(30E)의 중심이다. 제1 영역(R1)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는, 제2 영역(R2)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제1 영역(R1)은,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가 높아, 흡수체(30)가 다 유지할 수 없는 체액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영역(R2)은, 배설부로부터 떨어진 땀을 흘리기 쉬운 영역에 접촉한다. 제2 영역(R2)에 의해 배설물보다 수분 배출량이 적은 땀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R2)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창했을 때의 요철에 의한 피부에 대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밀도의 측정 방법으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각각에서 동일한 면적의 시험편을 절취하고, 그 시험편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취출하여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흡수체(30)보다 폭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RO)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는, 흡수체(30)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RO) 제2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흡수체(30)보다 폭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RO)은, 착용자의 다리 밑동에 닿기 쉽다. 비교적 땀을 흘리기 쉬운 다리 밑동에 닿는 영역에서, 땀 등에 의한 습기를 흡수할 수 있다. 또, 상기 밀도의 측정 방법으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영역에서 동일한 면적의 시험편을 절취하고, 그 시험편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취출하여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흡수체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는, 일정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중앙 영역(RC)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는, 흡수체(30)의 표면측 영역(RS)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중앙 영역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체액의 흡수시에 중앙 영역(RC)이 팽창하기 쉽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영역(RS)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32)의 밀도가 낮아, 체액의 흡수시에 표면측 영역(RS)이 팽윤하기 어렵다. 표면측 영역(RS)에는, 고흡수성 폴리머(32)의 팽윤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10)나 이면 시트(20)에 흡수체의 요철이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표면 시트(10)나 이면 시트(20)에 요철이 전달되는 것에 의한 장착시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밀도의 측정 방법으로는, 흡수성 물품을 두께 방향을 따르는 단면으로 절단하고, 상기 단면을 전자 사진으로 촬영하고, 각 영역에서 동일한 면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갯수를 계측하여, 갯수가 많을수록 밀도가 높아지는 것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흡수체(30)의 피부 대향면측(T1)의 친수도는, 흡수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친수도보다 높아도 좋다. 여기서, 친수도란, 흡수체가 물을 끌어당기는 강도를 의미하며, 친수도가 높은 측에서는 친수도가 낮은 측에 비하여 액을 흡수하는 힘이 강해진다. 흡수체(30)의 피부 대향면측(T1)의 친수도가 높기 때문에, 표면 시트(10)에 배설된 체액을 신속하게 인입하고, 흡수체(30)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32)에 의해 체액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친수도가 낮기 때문에, 흡수체(30) 내의 체액이 이면 시트(20)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점착부(50)에 체액의 수분이 도달하기 어려워지고, 수분의 도달에 의한 점착력의 저하를 억제하여, 흡수성 물품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체의 친수도를 두께 방향으로 상이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흡수체를 피부 대향면측의 상층과, 피부 비대향면측의 하층의 2층으로 구성하고, 흡수 재료를 굳히기 위한 바인더의 친수도를 상층과 하층에 의해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상층의 바인더로서 친수제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고, 하층의 바인더로서 친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이용한다.
또한, 친수도는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 여과지를 5장 겹쳐 수평으로 놓고, 여과지의 위에 측정 대상인 시험편을 얹는다. (2)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각각에서 2 cm 간격으로 시험편에 표시를 한다. 피펫으로 인공뇨 1방울(약 0.05 g)을 20개소에 적하한다. 인공뇨의 적하는 1분 10초간 20곳에 행한다. (3) 20개소 적하 종료로부터 30초 방치한 후, 시험편에 흡수되어 있는 개소를 센다. 시험편의 흡수 개소가 많을수록 친수도가 높은 것으로 한다.
외측 영역(RO)에서, 이면 시트(20)의 피부 대향면에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70)가 마련되어도 좋다. 접착제로는, 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를 예시할 수 있다. 이면 시트측의 접착부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32)가 이면 시트(20)에 접착된다. 이면 시트(20)에 마련된 점착부(50)에 체액이 도달하기 직전에 체액을 유지할 수 있어, 점착부(50)의 점착력을 보다 유지하기 쉽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32)와 표면 시트(10)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윤하는 공간이 표면 시트(10)측에 형성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윤하기 쉬워진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 영역(R3)과, 제3 영역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4 영역(R4)을 갖는다. 제3 영역(R3)과 제4 영역(R4)의 경계는, 흡수성 물품을 길이 방향(L)으로 삼등분하는 경계이다. 제4 영역의 폭방향(W)의 최대폭은 제3 영역의 폭방향(W)의 최대폭보다 길다.
압착부(60)는, 제3 영역(R3)과 제4 영역(R4)에 걸쳐 마련되어도 좋다. 제4 영역(R4)의 압착부(60)는, 제3 영역(R3)에서의 압착부(60)보다 폭방향(W)의 길이가 긴 광폭부(61)를 갖고 있다. 광폭부(61)는, 도 2에서 사선을 부여한 영역이다. 제3 영역(R3)의 압착부(60) 및 제4 영역(R4)에서 광폭부(61)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하는 압착부(60)는, 복수의 원호가 이어진 선형의 압착부(65)와, 상기 선형의 압착부(65)보다 내측이자 상기 선형의 압착부(60)를 따라 배치된 점형의 압착부(6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2열의 압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광폭부(61)에서는, 복수의 원호가 이어진 선형의 압착부(65)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상기 선형의 압착부(65)를 따라 배치된 점형의 압착부(66)가 마련되어 있다. 즉, 3열의 압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광폭부(61)는, 제4 영역의 최대폭(PM)의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제4 영역의 최대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외연은, 다리의 힘 등의 외력이 가해지기 쉽다. 상기 최대폭의 위치에 광폭부(6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부(60)의 광폭부(61)에 의해 최대폭의 위치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폭부(61)는, 길이 방향(L)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와 폭방향(W)에서 중복되어도 좋다. 폭방향(W)으로 중복된 상태란, 광폭부(61)의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에 점착부(51)가 배치된 상태이다.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는, 신체나 속옷으로부터 길이 방향(L)을 따르는 힘을 받기 쉽다. 상기 점착부(51)가 폭방향(W)에서 광폭부(61)에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부(60)의 광폭부(61)에 의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적합하게는, 길이 방향(L)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1)는, 흡수성 물품의 외연(1E)에 도달하고, 또한 두께 방향(T)에서 광폭부(61)와 중복되어도 좋다. 압착부(60)의 광폭부(61)에 의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50)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거나, 속옷으로부터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변형예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외측 영역(RO)에서, 표면 시트(10)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10)측의 접착부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표면 시트(10)에 접착된다. 따라서, 표면 시트(10)로부터 투과한 체액을 표면 시트(10)측에서 즉시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고흡수성 폴리머(32)와 이면 시트(20)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윤하는 공간이 이면 시트(20)측에 형성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32)가 팽윤하기 쉬워진다. 또한, 표면 시트(10)의 피부 비대향면이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섬유 사이의 공극이 큰 부직포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32)가 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고흡수성 폴리머(32)의 이면 시트(20)측에 팽윤하기 위한 공간이 보다 생기기 쉬워져,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2018년 3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52339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습기참을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키면서, 신체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계속 장착함으로써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 흡수성 물품
10 : 표면 시트
20 : 이면 시트
30 : 흡수체
31 : 펄프
32 : 고흡수성 폴리머
50 : 점착부
51 :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부
60 : 압착부
61 : 광폭부
70 : 접착부
RO : 외측 영역
R1 : 제1 영역
R2 : 제2 영역
R3 : 제3 영역
R4 : 제4 영역
RC : 중앙 영역
RS : 표면측 영역
P1 : 중첩부
P2 : 비배치부
P3 : 폴리머 배치부
P4 : 점착 배치부
PM : 최대폭

Claims (17)

  1.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방향과,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통기성 및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배치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외연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의 외연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 사이의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와 상기 점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 중첩부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및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배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폴리머 배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에는, 상기 점착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착 배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점착 배치부와 상기 폴리머 배치부는, 평면시(平面視)에서 인접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은, 상기 흡수체측의 제1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측의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두께 방향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는, 상기 표면측 영역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친수도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친수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에는,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이면 시트 및 상기 점착부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의 신장 강도는, 상기 표면 시트의 신장 강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에 대한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신장 강도의 비율은, 0.7 이상 1.3 이하인 흡수성 물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장 강도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신장 강도는 모두 2.0 N/25 mm 이상인 흡수성 물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 영역과, 상기 제3 영역보다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4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폭방향의 최대폭은,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폭방향의 최대폭보다 길고,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상기 압착부보다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긴 광폭부를 갖고 있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최대폭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광폭부와 중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광폭부와 중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에서,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에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에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207029209A 2018-03-20 2018-03-20 흡수성 물품 KR102475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2339 2018-03-20
JP2018052339A JP6356369B1 (ja) 2018-03-20 2018-03-20 吸収性物品
PCT/JP2018/011079 WO2019180827A1 (ja) 2018-03-20 2018-03-2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725A true KR20200130725A (ko) 2020-11-19
KR102475638B1 KR102475638B1 (ko) 2022-12-08

Family

ID=6284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209A KR102475638B1 (ko) 2018-03-20 2018-03-2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56369B1 (ko)
KR (1) KR102475638B1 (ko)
CN (1) CN111867536B (ko)
TW (1) TWI798389B (ko)
WO (1) WO2019180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2481B2 (ja) * 2019-12-23 2022-08-19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6832024B1 (ja) * 2020-01-10 2021-02-24 Dsgジャパン株式会社 吸収体及び使い捨ておむつ
JP7344145B2 (ja) 2020-01-29 2023-09-13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4522026B (zh) * 2020-12-28 2023-09-1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7353528B1 (ja) 2022-07-28 2023-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6088A (ja) * 1997-12-20 2001-12-1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異なる接着剤区域に適用された構造接着剤を有する吸収体
JP2003144489A (ja) * 2001-11-09 2003-05-20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WO2006017721A1 (en) * 2004-08-05 2006-02-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improved edge barriers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KR100810830B1 (ko) * 2004-03-23 2008-03-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액체 흡수성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지 차단부를구비한 흡수용품
JP2008526088A (ja) * 2004-12-23 2008-07-17 ケィティ、コーポレーション 多重移動ルータを用いた携帯インターネットサービス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ルータの代替方法
JP2015154881A (ja) 2014-02-21 2015-08-2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7121U (ja) * 1983-12-10 1985-07-02 ライオン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S63182729U (ko) * 1987-05-15 1988-11-25
JP2585130Y2 (ja) * 1992-01-16 1998-11-1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1737B2 (ja) * 1999-01-21 2006-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JP5134299B2 (ja) * 2007-07-25 2013-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2010980A (ja) * 2010-06-30 2012-01-19 Uni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JP5693118B2 (ja) * 2010-09-29 2015-04-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当該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68110B2 (ja) * 2010-10-18 2016-02-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67340B2 (ja) * 2012-11-15 2017-01-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015095B1 (en) * 2013-06-28 2017-12-20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product
CN203634378U (zh) * 2013-12-30 2014-06-11 杭州豪悦实业有限公司 一种婴儿纸内裤
JP6353237B2 (ja) * 2014-02-10 2018-07-0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5931119B2 (ja) * 2014-05-07 2016-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796247A (zh) * 2016-04-14 2016-07-27 徐远洋 一种清爽透气的卫生巾
JP2017217465A (ja) * 2016-06-03 2017-12-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213232U (ja) * 2017-08-14 2017-10-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215313U (ja) * 2017-12-28 2018-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6088A (ja) * 1997-12-20 2001-12-1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異なる接着剤区域に適用された構造接着剤を有する吸収体
JP2003144489A (ja) * 2001-11-09 2003-05-20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KR100810830B1 (ko) * 2004-03-23 2008-03-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액체 흡수성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지 차단부를구비한 흡수용품
WO2006017721A1 (en) * 2004-08-05 2006-02-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improved edge barriers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JP2008526088A (ja) * 2004-12-23 2008-07-17 ケィティ、コーポレーション 多重移動ルータを用いた携帯インターネットサービス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ルータの代替方法
JP2015154881A (ja) 2014-02-21 2015-08-2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40144A (zh) 2019-10-16
CN111867536B (zh) 2022-04-08
WO2019180827A1 (ja) 2019-09-26
JP2019162298A (ja) 2019-09-26
CN111867536A (zh) 2020-10-30
TWI798389B (zh) 2023-04-11
JP6356369B1 (ja) 2018-07-11
KR102475638B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638B1 (ko) 흡수성 물품
TWI225784B (en) Absorbent article
JP5010479B2 (ja) 吸収性物品
TWI603722B (zh) Absorbent article
US9149395B2 (en) Liner for incontinence
JP2011015886A (ja) 吸収性物品
CN212166014U (zh) 短裤型尿布
EP2621435B1 (en) Absorbent article
KR20170018355A (ko) 사용중 제어된 변형을 나타내는 흡수 물품
EP2611402B1 (en) Incontinence liner
JP4979255B2 (ja) 使い捨ておむつ
US20050256472A1 (en) Absorbable product
KR20220030220A (ko) 흡수성 물품
JP6502077B2 (ja) 吸収性物品用シート部材および吸収性物品
AU2013390918B2 (en) Absorbent article
JP4854578B2 (ja) 吸収性物品
JP7079658B2 (ja) 吸収性物品
JP7037345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219089928U (zh) 吸收性物品
JP5540381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551454B (zh) 吸收性制品
JP4346335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19176927A (ja) 吸収性物品
JP2019176926A (ja) 吸収性物品
JP201917693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