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876A - 전사자국 방지를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사자국 방지를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876A
KR20200129876A KR1020190054924A KR20190054924A KR20200129876A KR 20200129876 A KR20200129876 A KR 20200129876A KR 1020190054924 A KR1020190054924 A KR 1020190054924A KR 20190054924 A KR20190054924 A KR 20190054924A KR 20200129876 A KR20200129876 A KR 2020012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ube
adhesive member
photocurable resi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중기
이혁
김대현
주현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프엠 filed Critical (주)케이에프엠
Priority to KR102019005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876A/ko
Publication of KR2020012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7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arrangements for securing leading edge to core, e.g.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부재에 의해 원통형의 관과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공간에 광경화성 수지를 구비함으로써 전사자국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포함하는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사자국 방지를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A film roll equipped with film winding tube structures for preventing wrinkles}
본 발명은 전사자국을 방지하기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을 권취하는 지관에 전사자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구조를 부가함으로써 부가하여 필름 롤 형상으로 권취되었을 때 전사자국이 최소화된 필름 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제공되는 배경기술은 기술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소정의 용도에 따라 인쇄, 절단 등의 가공을 수행하기 이전에 롤(roll)의 형태로 필름 가공 업체에 공급된다. 롤의 형태로 필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통상 지관을 사용한다. 지관은 종이류나 수지 필름 등을 롤(roll) 상태로 감기 위한 원통 형태의 관으로서, 관의 외주면에 일정량의 필름을 권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관의 외주면에 필름의 선단부를 접착하고 관을 회전시켜 관 외주면에 필름을 촘촘하게 권취한다.
필름 롤의 권취를 시작하는 방법으로는, 지관 외주면에 필름 고정용 양면테이프의 일면을 접착하고 상기 필름 고정용 양면테이프의 타면에 필름 선단부를 접착하여 필름을 고정시킨 후 지관을 회전시킴으로써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며 필름을 권취하거나, 또는 지관 외주면에 골고루 물기를 머금게 하고 필름을 접합하여 고정시킨 후 지관을 회전시킴으로써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필름을 권취하는 일명 쵸핑방식에 의한 권취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 지관 외주면에 권취되는 필름은 필름 고정용 양면테이프 및 필름자체의 두께에 의해 필름이 1회 권취되는 부위인 선단부에서 지관 외주면과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지관에 권취되는 필름 롤에 대한 초기 외주면의 진원도가 불균일해지고, 양면테이프 위쪽에 권취된 필름이 볼록해져 이후 권취되는 필름에 부분적으로 전사자국(주름)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관(10)의 표면에 필름(100)의 시작단(始作端)을 접착시켜주는 양면테이프(20)의 두께(높이)로 인하여, 특히 20㎛ 이하의 얇은 두께의 필름인 경우에는 권취된 필름에 전사자국(주름)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어 필름이 손상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결국 초기에 권취된 일정 길이량의 필름은 사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폐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쵸핑 방식은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방식에 비하여 전사자국이 덜 발생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10)의 표면에 필름(100)의 시작단 부분이 압착된 후, 다시 시작단 위쪽으로 필름이 계속해서 권취되면, 시작단 부위의 바로 위에 적층되는 필름층이 볼록해지는 전사자국(주름)이 여전히 발생한다.
이에 따라 지관에 권취되는 필름에 전사 자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는 많은 노력 들이 시도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9796호(2009.11.20) "필름 권취용 지관"에는, 관에 탄성부재를 복수층 또는 3층 구조로 채택하여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양면테이프 또는 필름 시작단이 외지의 내측으로 제대로 인입되지 못하여 필름에 전사자국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6298호(2009.10.8) "필름권취용 소프트 코아" 에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골지 구조의 탄성부재를 적층되게 접착하여 탄성층을 형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필름에 전사자국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관 외주면에 삽입되어 탄성층을 형성하는 탄성부재가 관(管) 형상으로 되어 있어 지관 외주면에 삽입하는 삽입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관계로 필름 권취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9796호(2009.11.20)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6298호(2009.10.8)
본 발명은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 권취의 시작단을 관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상쇄시킴으로써 필름 권취 시 전사자국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 선단부를 관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상쇄시킴으로써 필름 권취 시 전사 자국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 시작단을 관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상쇄시킴으로써 필름 권취 시 전사 자국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 권취용 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원통형의 관; 상기 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재; 일단이 상기 접착부재 상에 접착되어 상기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필름 선단부; 및 상기 관 및 상기 필름 선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롤을 제공한다.
상기 일 구현예에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관 및 상기 필름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단차공간은 접착부재 높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제1 단차공간 및 접착부재와 필름 선단부의 총 높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제2 단차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단차공간 및 상기 제2 단차공간은 상기 관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상기 필름 선단부가 1회를 초과하여 권취됨으로써 접하는 필름 사이공간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사이공간은 상기 제2 단차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 사이공간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전부 또는 일부가 경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필름 롤은 상기 일 구현예에서 정의한 필름 사이 공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필름 선단부의 말단 또는 말단에 인접하여 추가로 권취되는 필름이 제2접착 부재에 의해 부착된 것인 필름 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원통형 관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부재를 제외한 원통형 관의 외주면에 광경화성 수지를 로딩(loading)하는 단계; 상기 접착부재에 필름을 접착하고 상기 원통형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함으로써 선단부를 형성하여 및 상기 원통형 관과 선단부의 필름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광경화성 수지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원통형 관 및 상기 필름 선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i) 원통형의 관; (ii) 상기 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재; (iii) 일단이 상기 접착부재 상에 접착되어 상기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필름을 포함하는 선단부재; 및 (iv) 상기 관 및 필름 선단부재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권취용 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 시작단을 원통형 관에 부착하기 위한 양면테이프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없앰으로써 필름 권취 시 전사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관의 형태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도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권취되는 필름의 두께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필름 권취 형태 및 이에 따른 전사자국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쵸핑방식에 따른 필름 권취 형태 및 이에 따른 전사자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 롤에 있어서 권취용 관, 광경화성 수지 및 선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관에 필름이 권취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름을 롤의 형태로 권취할 때 이용하는 원통형의 관에 전자사국 방지를 위한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재에 의해 원통형의 관과 상기 원통형의 관에 초기 권취된 선단부의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공간에 광경화성 수지를 구비함으로써 전사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해당하는 필름 롤에 구비되는 필름 권취용 관의 구조(1)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통형의 관(10), 상기 관(10)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재(20), 일단이 상기 접착부재(20) 상에 접착되어 상기 관(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필름 선단부(30) 및 상기 관(10) 및 상기 필름 선단부(30)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40)를 포함한다.
상기 관(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이며, 내부 직경을 갖는 중공 형태이거나 내부 직경을 갖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관(10)은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스티렌계 수지 등의 합성수지나 이들 수지를 성분으로 하는 복합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10)의 길이, 두께, 내경 및 외경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20)는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부재(20)는 상기 관(10)의 일 지점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필름 선단부(30)가 관(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관(10)의 길이 전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 선단부(30)는 권취용 관에 권취되는 필름의 시작단이 상기 접착부재(20) 상에 접착되어 상기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필름 롤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선단부재(30′)가 미리 지관에 부착된 필름 권취용 관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선단부재(30′)의 두께는 상기 선단부재(30′) 이후에 권취될 필름(200)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필름 사이공간에 광경화성 수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필름 선단부재(30′)의 두께는 선단부재 이후에 권취될 필름(200)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필름 두께의 ±20% 이내)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필름 사이공간에 광경화성 수지가 구비되는 경우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두께와 필름 선단부의 총 두께가 선단부 이후에 권취될 필름(200)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필름 두께의 ±20% 이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4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착부재(20)에 의해 상기 관(10) 및 상기 필름 선단부(3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공간(400)에 구비되며, 상기 단차공간(400)은 접착부재(20) 높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h1)를 포함하는 제1 단차공간(410) 및 접착부재(20)와 필름 선단부(30)의 총 높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h2)를 포함하는 제2 단차공간(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차공간(410) 및 제2 단차공간(42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관(10)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단차공간과 제2 단차공간은 연결된 하나의 단차공간(400)일 수 있다. 단차공간(400)은 제1 단차공간과 제2 단차공간이 단차없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40)는 광경화성 모노머, 광경화성 올리고머, 광개시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폭시계,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및 실리콘계 UV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 통상의 기술자는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조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1603호(2014.09.19) 등에 개시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4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필름 선단부(30)가 1회를 초과하여 권취됨으로써 접하는 필름 사이공간(430)에 더 구비되고, 필름 사이공간(430)은 상기 제2 단차공간(420)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단차공간, 제2 단차공간 및 필름 사이공간이 모두 연결된 하나의 공간일 수 있으며 모든 공간이 단차없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필름 사이공간(430)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40)는 전부 또는 일부가 경화될 수 있다. 예를 들여, 필름 사이공간(430)에 전부가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41)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 7에 나타내었으며, 일부가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41)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도 7의 경우와 같이 필름 사이공간(430)에 전부가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41)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선단부(30)가 1회를 초과하여 권취되기 시작하는 지점부터 선단부(30)가 종료되는 지점까지 광경화성 수지(41)의 두께가 서서히 감소될 수 있다. 선단부(30)가 종료되는 지점의 광경화성 수지(41)의 두께는 이론적으로 0 ㎛이지만, 실질적으로 광경화성 수지(41)의 두께가 2~5 ㎛ 되는 지점을 선단부(30)의 종료지점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필름 사이공간(430)의 상기 광경화성 수지(41)의 두께를 서서히 감소시킬 경우 지관전사가 매우 양호한 것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는데, 이는 필름 선단부(30)가 형성하는 원의 진원도가 향상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가 종료되는 지점에서 선단부 이후에 권취될 필름은 조성 또는 물성의 측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선단부가 종료되는 지점과 선단부 이후에 권취될 필름은 별도의 접착부재(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 롤에 포함되는 선단부까지의 구조는 별도의 필름 권취용 관으로서 독립적으로 거래가 가능한 물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의 (i) 내지 (iv)를 포함하는 필름 권취용 관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이다:
(i) 원통형의 관; (ii) 상기 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재; (iii) 일단이 상기 접착부재 상에 접착되어 상기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필름의 선단부재; 및 (iv) 상기 관 및 필름 선단부재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원통형의 관(10) 및 선단부재(30′)를 포함한 필름 권취용 관을 이용하여 필름(200)을 권취하는 경우 h1(제1 접착부재(20′)의 높이)에 해당하는 단차 및 h2(제1 접착부재(20′)의 높이 + 선단부재 필름의 높이)에 해당하는 단차가 전사자국에 미치는 영향이 이미 상쇄되고, 제2 접착부재(21)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만이 존재하므로 전체 필름 롤에 있어서 전사자국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제조되는 필름 롤의 전사자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2 접착부재의 두께(높이)가 얇을수록 좋은데, 예를 들어 1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권취용 관을 이용할 경우, 권취하고자 하는 필름(200)의 두께에 따라 필름 선단부재(30′) 또는 광경화성 수지(41)의 두께를 조절하여 다양한 두께의 필름을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원통형의 관(10), 상기 관(10)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재(20), 일단이 상기 접착부재(20) 상에 접착되어 상기 관(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필름 선단부(30) 및 상기 관(10) 및 상기 필름 선단부(30)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40)를 포함하는 필름 권취용 관의 구조(1)를 구비하여 전사자국이 최소화된 필름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 롤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관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부재를 제외한 원통형 관의 외주면에 광경화성 수지를 로딩(loading)하는 단계;
상기 접착부재에 필름을 접착하고 상기 원통형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하여 선단부를 형성하고 및 상기 원통형 관과 선단부의 필름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광경화성 수지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원통형 관 및 상기 필름 선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로딩하는 단계는 접착부재의 인접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광경화성 수지를 토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로 하면, 필름 권취 초기에 접착부재(2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단차(h1) 및 제2 단차(h2)를 상쇄할 수 있도록 접착부재(20)의 좌측 및 우측에 접착부재와 평행하게 원통형 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광경화성 수지를 소정량 로딩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로딩하는 단계에서 광경화성 수지의 도출량은 필름의 두께 및 접착부재의 두께 등에 따라 정하여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형화성 수지의 점도는 50 ~ 2,000 cps일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가 접착부재에 의해 원통형의 관과 상기 원통형의 관에 권취된 선단부의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공간을 신속하게 채워주기 위한 흐름성의 측면에서 광경화성 수지의 점도는 100 ~ 300 cps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선단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필름의 권취 속도는 선단부와 원통형 관 사이에 광경화성 수지층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력을 부과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필름의 권취속도는 0.1 ~ 5 m/min일 수 있다. 선단부를 형성한 후 추가 5회전 시킬 동안의 권취 속도 또한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에 필요한 광의 조사량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0.1 ~ 5 m/min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장치는 광조사 장치, 구체적으로 자외선 조사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ED를 이용한 자외선 조사장치일 수 있다.
상기 선단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 단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원통 단면의 외경이 180mm이고 길이가 1.2m인 중공형 지관에 지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 전체에 양면테이프(폭 3cm, 두께 20 ㎛)를 부착시키고, 제1 단차(양면테이프의 높이)가 형성되는 지점 및 제2 단차(양면테이프의 높이 + 권취되는 필름의 높이)가 형성될 영역에 상기 양면테이프와 인접하여 자외선 경화수지를 각각 0.8mg/cm2 및 2.8mg/cm2 양으로 로딩(loading)하였다. 상기 자외선 경화수지의 로딩은 양면테이프가 접착된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토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했다.
상기 지관과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부착면의 대향면에 존재한 양면테이프의 이형지를 제거하고, 두께가 50 ㎛인 PET 필름의 시작단을 양면테이프에 부착하였다. 필름의 권취방향으로 지관을 정속(0.5m/min)으로 회전시키면서 지관을 1회 권취하여 선단부를 형성하고, 선단부가 형성된 후 지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자외선 LED 램프를 점등하였다. 상기 LED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수지를 경화시켰다. 필름이 권취되기 시작하여 선단부가 형성되는 초기 1회 및 5회전 시킬 동안의 회전속도는 0.5m/min으로 유지하였다. 5회전 이후에는 속도를 높여 필름을 권취하여 총 권취길이 2,000m의 필름 롤을 제조하였고, 필름 롤 제조 후 상대습도 8%, 50℃ 분위기에서, 24시간 동안 필름 롤을 숙성하였다. 자외선 경화수지를 포함한 전사자국 방지 구조는 도 4의 형태로 완성되었다.
이용한 자외선 경화수지의 조성은 표 1과 같으며, 점도는 250 cps 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외선 경화수지 조성물
첨가량(중량부) 비고
SR259 30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
SR348OPNS 30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
SR351 NS 10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
SR506 NS 25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
IRGACURE 184 3 광중합 개시제
IRGACURE TPO 2 광중합 개시제
100
상기 표 1에서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는 Satomer社로부터 입수 가능하고, 광중합 개시제는 Ciba社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비교예
지관에 자외선 경화수지를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총 권취길이 2,000m의 필름 롤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 롤은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숙성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필름 롤을 펼쳐 전사자국이 발생한 필름의 장척 길이(전사장)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필름 롤 총 권취길이(m) 전사장(m)
실시예 2,000 32
비교예 2,000 248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지관과 선단부의 단차를 채우는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 롤의 경우 종래의 기술보다 전사장의 길이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원통형의 관;
    상기 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재;
    일단이 상기 접착부재 상에 접착되어 상기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필름 선단부; 및
    상기 관 및 상기 필름 선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관 및 상기 필름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단차공간은 접착부재 높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제1 단차공간 및 접착부재와 필름 선단부의 총 높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제2 단차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필름 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공간 및 제2 단차공간은 상기 관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되는 것인 필름 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상기 필름 선단부가 1회를 초과하여 권취됨으로써 접하는 필름 사이공간에 더 구비되고,
    상기 필름 사이공간은 상기 제2 단차공간과 연결되는 것인 필름 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사이공간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경화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사이 공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필름 선단부의 말단 또는 말단에 인접하여, 추가로 권취되는 필름이 제2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된 것인 필름 롤.
  7. 원통형 관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부재를 제외한 원통형 관의 외주면에 광경화성 수지를 로딩(loading)하는 단계;
    상기 접착부재에 필름을 접착하고 상기 원통형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함으로써 선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원통형 관과 선단부의 필름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광경화성 수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관 및 상기 필름 선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 롤의 제조방법
  8. (i) 원통형의 관; (ii) 상기 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재; (iii) 일단이 상기 접착부재 상에 접착되어 상기 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필름을 포함하는 선단부재; 및 (iv) 상기 관 및 필름 선단부재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권취용 관.
KR1020190054924A 2019-05-10 2019-05-10 전사자국 방지를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29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24A KR20200129876A (ko) 2019-05-10 2019-05-10 전사자국 방지를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24A KR20200129876A (ko) 2019-05-10 2019-05-10 전사자국 방지를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76A true KR20200129876A (ko) 2020-11-18

Family

ID=7369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924A KR20200129876A (ko) 2019-05-10 2019-05-10 전사자국 방지를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8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298A (ko) 2008-04-04 2009-10-08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필름 권취용 소프트 코아
KR20090119796A (ko) 2008-04-04 2009-11-20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필름 권취용 소프트 코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298A (ko) 2008-04-04 2009-10-08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필름 권취용 소프트 코아
KR20090119796A (ko) 2008-04-04 2009-11-20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필름 권취용 소프트 코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6206B (zh) 成圈堆疊薄膜卷芯
US9151040B2 (en) Tape material and roll compris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KR20180100244A (ko) 인쇄가능한 접착제 조성물에 의한 웨브 에지 처리를 갖는 웨브-권취 롤
JP4933835B2 (ja) フィルム付き物品の製造方法
WO2016181831A1 (ja) 凹凸パターン形成体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及びシール
TWI271311B (en) Laminate sheet and producing methods therefor
JP2014071190A (ja)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08735A (ko) 필름 권취용 지관
JP4785616B2 (ja) 熱収縮性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付き物品
KR20200129876A (ko) 전사자국 방지를 위한 필름 권취용 관 구조를 구비한 필름 롤 및 이의 제조방법
JP6872485B2 (ja) マイクロスフェア処理した縁部を有するウェブ巻取りロール及びその作製方法
JP5284844B2 (ja) ロール状金型を用いた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4693177B2 (ja) ロール状シートの製造方法
JP5929207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197467A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85303A (ja) 巻芯、巻芯の製造方法及び巻芯の再生方法
JP2006341468A (ja) 改良されたフレキソ印刷用シームレススリーブ構成体
KR101541767B1 (ko) 웹 권취용 코어
JP3912088B2 (ja) 巻回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63834A (ja) シートロール、シートロールの製造方法、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4071209A (ja)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の製造方法
JP3715939B2 (ja) 粘着テープ
WO2022025289A1 (ja) ロール体
WO2014065591A1 (ko) 표면에 수지층을 가지는 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복층 지관
JPH0525444A (ja) 巻芯のない粘着テープ捲重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