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991A - 허니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하우징 - Google Patents

허니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991A
KR20200127991A KR1020207022894A KR20207022894A KR20200127991A KR 20200127991 A KR20200127991 A KR 20200127991A KR 1020207022894 A KR1020207022894 A KR 1020207022894A KR 20207022894 A KR20207022894 A KR 20207022894A KR 20200127991 A KR20200127991 A KR 2020012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re
honeycomb
flange portion
honeycomb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게 다카히라
슈야 마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07Spot ar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hereby one or more of the layers is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2Honeycomb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4Honeycom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artial melting of at least on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표면(10A) 및 이면(10B)을 가지는 허니콤 코어(10)와, 허니콤 코어(10)의 표면(10A)에 마련되는 제1 판재(11)를 구비하는 허니콤 패널(1)에 있어서, 허니콤 코어(10)를 형성하는 복수의 코어 스트립(100)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제1 판재(11)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셀(10S)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111)를 마련한다. 제1 판재(11)는, 제1 플랜지부(111)와 서로 겹치는 관통공(121)을 가지고, 관통공(121)을 통해 외부 측을 향하는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이 용접됨으로써, 허니콤 코어(10)와 결합한다.

Description

허니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하우징
본 발명은, 구조체의 벽부 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허니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허니콤 패널을 구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육각형 모양의 복수의 셀을 빈틈없이 깔도록 하여 형성된 심재(芯材)(이하, '허니콤 코어'라고 함)와, 허니콤 코어의 표리면을 덮는 한 쌍의 판재(板材)를 구비하는 허니콤 패널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JP2544849B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허니콤 패널이 개시되고, 이 허니콤 패널에서는, 허니콤 코어와 판재가 용접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다. 허니콤 코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을 교호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어 스트립을 구비하고, 각 코어 스트립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병렬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복수의 코어 스트립을 배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코어 스트립의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꼭대기부끼리를 맞대고 또한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허니콤 코어 상에 허니콤 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JP2544849B의 허니콤 패널에서는, 판재에 면(面)하게 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꼭대기부 단부 가장자리에 셀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플랜지부와 판재가 용접에 의해서 결합된다. 한 쌍의 판재는 순서대로 허니콤 코어에 결합되어 있고, 일방의 판재가 해당 판재에 면하는 측의 플랜지부에 결합된 후, 타방의 판재가 해당 판재에 면하는 측의 플랜지부에 결합됨으로써, 허니콤 코어와 한 쌍의 판재와의 결합 작업이 완료된다.
플랜지부와 판재와의 용접 형태로서는, 서로 이웃하는 코어 스트립에서 협동하여 셀을 형성하는 일방의 코어 스트립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 및 타방의 코어 스트립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 중 일방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꼭대기부 단부 가장자리만으로부터 플랜지부가 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1개의 셀의 내측에서 1개의 플랜지부가 판재에 용접되는 형태와, 양쪽 모두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각 꼭대기부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플랜지부가 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1개의 셀의 내측에서 2개의 플랜지부가 판재에 용접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처음의 판재(상기의 일방의 판재)와 허니콤 코어를 용접할 때, 해당 판재 측과는 반대측의 셀의 단부에서는, 플랜지부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플랜지부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용접을 위한 레이저 빔의 통과를 저해하지 않도록, 플랜지부의 돌출량이 억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기술에서는, 허니콤 코어와 판재와의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JP2544849B의 허니콤 패널에서는, 1매째의 판재를 레이저 빔에 의한 용접에 의해 허니콤 코어에 결합한 후, 2매째의 판재를 허니콤 코어에 결합한다. 이 때, 허니콤 코어 상에 2매째의 판재를 얹은 후, 상부로부터 판재를 통해서 플랜지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플랜지부와 판재가 용접된다. 또, 허니콤 코어에 대해서 판재의 일부를 들어 올리고, 플랜지부와 판재와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플랜지부와 해당 플랜지부에 접촉하는 판재의 내면에, 경사진 상부로부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수법도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판재를 통해서 플랜지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수법에서는, 플랜지부의 위치를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레이저 빔을 플랜지부에 조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위치 맞춤에 시간이 걸린다. 또, 판재의 일부를 들어 올리고 경사진 상부로부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수법에서는, 레이저 빔의 구성이 번잡화되고, 또 조사 위치의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판재가 만곡 가능한 재질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재료의 선택 자유도가 제약된다.
이러한 JP2544849B의 기술에서는, 허니콤 코어에 대한 한 쌍의 판재의 용접 상태를 균일하게 하는 것을 고려하여 허니콤 코어와 각 판재와의 용접 수법을 동일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실제상의 허니콤 패널을 적용할 때에는, 양측의 판재의 용접 상태가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소망되는 사양을 만족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본 건 발명자는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허니콤 코어와 각 판재와의 용접 상태를 균일하게 한다고 하는 개념에 얽매이지 않으면, 보다 효율적으로 허니콤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시행 착오를 행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허니콤 코어와 판재를 간이하게 또한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허니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허니콤 패널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허니콤 패널은,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허니콤 코어와, 상기 허니콤 코어의 상기 표면에 마련되는 제1 판재(板材)를 구비하고, 상기 허니콤 코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을 교호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어 스트립(strip)을 가지고, 각 상기 코어 스트립은, 상기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병렬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코어 스트립의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꼭대기부끼리를 맞대고 또한 결합함으로써, 상기 표면 및 상기 이면으로 개방되는 육각형 모양의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허니콤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1개 이상의 상기 코어 스트립의 일부 또는 전부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상기 제1 판재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기 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판재는, 1개 이상의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서로 겹치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 측을 향하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이 용접, 용착 또는 접착됨으로써, 상기 제1 판재와 상기 허니콤 코어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이다.
상기 허니콤 코어 및 상기 제1 판재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이 아크 용접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용접 금속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관한 허니콤 패널은, 상기 허니콤 코어의 상기 이면에 마련되는 제2 판재를 더 구비하고, 1개 이상의 상기 코어 스트립의 일부 또는 전부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상기 제2 판재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기 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판재는, 1개 이상의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상기 제2 판재 측을 향하는 외면과 면접촉하는 1개 이상의 면접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면접촉 영역이 용접 또는 용착됨으로써, 상기 제2 판재와 상기 허니콤 코어가 결합해도 괜찮다.
상기 허니콤 코어 및 상기 제2 판재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면접촉 영역이 스폿 용접되어도 괜찮다.
복수의 상기 셀 중 적어도 일부의 셀의 내측에, 2개의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판재는, 일부의 상기 셀의 내측에서 2개의 상기 제2 플랜지부와 결합해도 괜찮다.
2개의 상기 제2 플랜지부가 1개의 상기 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허니콤 코어는, 이 셀의 내측에 상기 제1 플랜지부를 위치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괜찮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은,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허니콤 코어와, 상기 허니콤 코어의 상기 표면에 마련되는 제1 판재를 구비하는 허니콤 패널로서, 상기 허니콤 코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을 교호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어 스트립을 가지고, 각 상기 코어 스트립은, 상기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병렬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코어 스트립의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꼭대기부끼리를 맞대고 또한 결합함으로써, 상기 표면 및 상기 이면으로 개방되는 육각형 모양의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허니콤 패턴을 형성하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1개 이상의 상기 코어 스트립의 일부 또는 전부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상기 제1 판재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기 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된 상기 허니콤 코어를 준비하는 공정과, 1개 이상의 관통공을 가지는 상기 제1 판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관통공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서로 겹치도록 상기 제1 판재를 상기 허니콤 코어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 측을 향하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용접, 용착 또는 접착함으로써, 상기 제1 판재와 상기 허니콤 코어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허니콤 코어 및 상기 제1 판재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아크 용접해도 괜찮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하우징은, 상기 허니콤 패널을 벽부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허니콤 코어와 판재를 간이하게 또한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허니콤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허니콤 패널의 허니콤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화살표 IV의 방향으로 허니콤 코어를 본 도면이다.
도 4b는 도 1에 나타내는 허니콤 패널에서의 허니콤 코어와 제1 판재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C-C선을 따른 허니콤 코어 및 제1 판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의 허니콤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허니콤 패널(1)의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허니콤 패널(1)의 허니콤 코어(10)의 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의 화살표 IV의 방향으로 허니콤 코어(10)를 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1)은, 표면(10A) 및 이면(10B)을 가지는 허니콤 코어(10)와, 허니콤 코어(10)의 표면(10A)에 마련되는 제1 판재(11)와, 허니콤 코어(10)의 이면(10B)에 마련되는 제2 판재(12)와, 제1 판재(11)의 표면 상에 겹쳐 마련되는 제3 판재(13)와, 허니콤 코어(10)의 표면(10A) 및 이면(1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을 둘러싸는 프레임 부재(14)와, 프레임 부재(14)를 둘러싸는 측판(15)을 구비하고 있다.
허니콤 코어(10)를 구성하는 상기 각 구성 부재는,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들 각 구성 부재는 수지로 형성되어도 괜찮고, 일부가 금속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부가 수지로 형성되어도 괜찮다.
허니콤 코어(10)는 표면(10A) 및 이면(10B)의 양측으로 개방되는 육각형 모양의 복수의 셀(10S)을 빈틈없이 깔도록 배치함으로써 허니콤 패턴을 형성하는 판 모양 부재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형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허니콤 코어(10)는 복수의 코어 스트립(100)을 가지고, 코어 스트립(10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과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을 교호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띠 모양의 부재이다.
도 3 및 도 4a에는,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과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과의 경계를 나타내는 기준선(SL)이 2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선(SL)에 대해서 도 4a의 지면 하측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을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으로 정의하고, 기준선(SL)에 대해서 도 4a의 지면 상측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을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으로 정의한다.
복수의 코어 스트립(100)은, 각각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이 늘어서는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코어 스트립(100)의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및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꼭대기부끼리가 맞대어지고 또한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허니콤 코어(10)는 표면(10A) 및 이면(10B)으로 개방되는 육각형 모양의 복수의 셀(10S)로 이루어지는 허니콤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및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꼭대기부끼리가 스폿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지만, 이들은 접착에 의해서 결합되어도 괜찮다. 다만, 스폿 용접에 의해 결합된 경우에는, 접착제의 경우보다도 고온 환경하에서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과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과의 결합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 노출되는 사용이 상정(想定)되는 경우에는, 스폿 용접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제1 판재(11)에 의해서 덮여지는 허니콤 코어(10)의 표면(10A)을 상부로부터 내려다본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3 및 도 4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어 스트립(100) 중 적어도 일부의 코어 스트립(100)의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및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제1 판재(11)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셀(10S)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111)가 마련되고, 복수의 코어 스트립(100) 중 적어도 일부의 코어 스트립(100)의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및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제2 판재(12)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셀(10S)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플랜지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각 제1 플랜지부(111)는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의 꼭대기부(101A) 또는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꼭대기부(102A)의 제1 판재(11)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고, 각 제2 플랜지부(112)는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의 꼭대기부(101A) 또는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꼭대기부(102A)의 제2 판재(12)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판재(11) 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플랜지부(111)는, 일부의 셀(10S)에 관해서, 1개의 셀(10S)의 내측에 2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1개의 셀(10S)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플랜지부(111) 중 일방은, 서로 이웃하는 코어 스트립(100)에서 셀(10S)을 형성하는 일방의 코어 스트립(100)의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의 제1 판재(11)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상기 2개의 제1 플랜지부(111) 중 타방은, 서로 이웃하는 코어 스트립(100)에서 셀(10S)을 형성하는 타방의 코어 스트립(100)의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제1 판재(11)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
1개의 셀(10S)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플랜지부(111)는, 각각의 선단을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접촉시키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1개의 셀(10S)의 내측에 2개의 제1 플랜지부(111)가 위치하는 경우, 허니콤 코어(10)는, 이 셀(10S)에 제2 플랜지부(112)를 위치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판재(12) 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플랜지부(112)도, 일부의 셀(10S)에 관해서, 1개의 셀(10S)의 내측에 2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1개의 셀(10S)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플랜지부(112) 중 일방은, 서로 이웃하는 코어 스트립(100)에서 셀(10S)을 형성하는 일방의 코어 스트립(100)의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의 제2 판재(12)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상기 2개의 제2 플랜지부(112) 중 타방은, 서로 이웃하는 코어 스트립(100)에서 셀(10S)을 형성하는 타방의 코어 스트립(100)의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제2 판재(12)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개의 셀(10S)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플랜지부(112)는, 각각의 선단을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접촉시키고 있다. 또, 제2 판재(12) 측에서 1개의 셀(10S)의 내측에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위치하는 경우, 허니콤 코어(10)는, 이 셀(10S)의 제1 판재(11) 측에 제 1 플랜지부(111)를 위치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허니콤 코어(10) 상에서, 1개의 셀(10S)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플랜지부(111)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반복) 배열됨과 아울러, 1개의 셀(10S)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반복)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셀(10S) 내의 2개의 제1 플랜지부(111)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열과, 1개의 셀(10S) 내의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병렬 방향에서 교호로 늘어서도록 제1 플랜지부(111)와 제2 플랜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평면에서 본다는 것은 판 모양의 코어 스트립(100)의 표리면(10A, 10B)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코어 스트립(100)을 보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개의 셀(10S) 내의 2개의 제1 플랜지부(111)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열과, 1개의 셀(10S) 내의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교호로 늘어서는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코어 스트립(100)의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의 제1 판재(11)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1 플랜지부(111)와,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제2 판재(12)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2 플랜지부(112)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서 교호로 형성되는 제1 타입의 코어 스트립(100)과, 코어 스트립(100)의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의 제2 판재(12)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2 플랜지부(112)와,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제1 판재(11)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제1 플랜지부(111)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에서 교호로 형성되는 제2 타입의 코어 스트립(100)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2종의 코어 스트립(100)은, 일방을 반전시키면 타방의 양태가 된다. 이러한 코어 스트립(100)은, 타발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플랜지부(111, 112)를 타발 가공 후에 만곡시켜 형성하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2종의 코어 스트립(100)의 두께는 서로 달라도 괜찮고, 일방의 두께가, 타방의 두께의 1/5~1/2가 되도록 한 경우에는, 용접시에 생길 수 있는 코어 스트립(100)의 변형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 제1 플랜지부(111) 및 제2 플랜지부(112)의 형성 양태는 상기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동일한 셀(10S)의 내측에 1개 이상의 제1 플랜지부(111)가 위치함과 아울러 1개 이상의 제2 플랜지부(112)가 위치하도록, 제1 플랜지부(111) 및 제2 플랜지부(112)가 형성되어도 괜찮다.
이어서, 제1 판재(11) 및 제2 판재(12)와 허니콤 코어(10)와의 결합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제1 판재(11)는 제1 플랜지부(111)를 사이에 두고 허니콤 코어(10)에 결합되고, 제2 판재(12)는 제2 플랜지부(112)를 사이에 두고 허니콤 코어(10)에 결합되어 있다. 도 4b는, 허니콤 패널(1)에서의 허니콤 코어(10)와 제1 판재(11)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1 판재(11)의 판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따라서 제1 판재(11)를 본 도면이고, 도 4c는, 도 4b의 C-C선을 따른 허니콤 코어(10) 및 제1 판재(11)의 단면도이다.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판재(11)는, 1개 이상(본 예에서는 복수)의 제1 플랜지부(111)와 서로 겹치는 1개 이상(본 예에서는 복수)의 관통공(121)을 가지고, 관통공(121)을 통해 외부 측을 향하는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이 용접됨으로써, 제1 판재(11)가 허니콤 코어(10)와결합되어 있다. 관통공(121)은, 1개의 제1 플랜지부(111)에 대해서 1개 마련되어 있고, 1개의 셀(10S) 내에서는, 제1 판재(11)와 허니콤 코어(10)가 2개소에서 결합되게 된다. 관통공(121)의 형상은 원형이지만, 직사각형 모양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이 아크 용접되고,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용접 금속부(131)가 마련된다. 아크 용접은, 관통공(121)의 외부로부터 관통공(121)과 제1 플랜지부(111)와의 경계에 액세스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을 용이하게 용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크 용접의 타입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TIG 용접, 아르곤 용접 등의 여러 가지의 수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과의 용접은 아크 용접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저항 용접이나, 납땜에 의해 행해져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이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지만, 이들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서 결합되어도 좋다. 또, 제1 플랜지부(111)와 제1 판재(11)가 수지인 경우에는, 이들이 가열에 의해서 용착되어도 괜찮다.
한편, 제2 판재(12)는 복수의 제2 플랜지부(112)의 제2 판재(12) 측을 향하는 외면과 면접촉하는 복수의 면접촉 영역(122)(도 3 및 도 4a 참조)을 가지고, 제2 플랜지부(112)의 외면과 면접촉 영역(122)이 용접됨으로써, 허니콤 코어(10)와 결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셀(10S) 내에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위치함으로써 1개의 셀(10S) 내에서 제2 판재(12)와 허니콤 코어(10)가 2개소에서 결합된다. 여기서, 제2 판재(12)는 개구가 없는 판재로서 구성되어 있어, 허니콤 코어(10)에 대한 기밀성을 바람직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플랜지부(112)의 외면과 제2 판재(12)의 면접촉 영역(122)이 스폿 용접됨으로써, 제2 판재(12)가 허니콤 코어(10)와 결합되어 있고, 도 4a에서의 부호 132는 스폿 용접 흔적을 나타내고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판재(11)보다도 먼저 제2 판재(12)가 허니콤 코어(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 판재(12)와 허니콤 코어(10)의 이면(10B)을 겹쳤을 때에,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내측에 위치하는 셀(10S)에서는, 표면(10A) 측의 개방 부분이 제1 플랜지부(111)에 의해서 덮이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셀(10S)의 내부에 전극을 삽입하고, 해당 전극을 제2 플랜지부(112)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폿 용접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플랜지부(112)의 외면과 제2 판재(12)의 면접촉 영역(122)이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지만, 이들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서 결합되어도 괜찮다. 또, 제2 플랜지부(112)와 제2 판재(12)가 수지인 경우에는, 이들이 가열에 의해서 용착되어도 괜찮다.
도 1 및 도 2를 재차 참조하면, 프레임 부재(14)는 허니콤 코어(10)의 측면을 둘러쌈과 아울러, 제1 판재(11)와 제2 판재(12)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14)는, 허니콤 코어(10), 제1 판재(11) 및 제2 판재(12)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 측판(15)은 프레임 부재(14)의 측면을 둘러싸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판재(12)가 프레임 부재(14)로부터 측부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 부분에 측판(15)이 얹어져 있다. 한편, 제1 판재(11)는 프레임 부재(14)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2 판재(12)에 얹어진 측판(15)이, 프레임 부재(14) 및 제1 판재(1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측판(15)은, 제2 판재(12), 프레임 부재(14) 및 제1 판재(11)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제3 판재(13)는, 제1 판재(11)로부터 돌출된 측판(15)의 내측에 끼워넣어지도록 배치되어 측판(15)에 용접됨으로써 제1 판재(11)를 폐쇄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1)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허니콤 코어(10)의 표리면(10A, 10B)에 대한 법선 방향을 따라서 코어 스트립(100)을 본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9는, 허니콤 코어(10)의 표리면(10A, 10B)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평행한 면에서 허니콤 코어(10)의 적소(適所)를 절단한 경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먼저 복수의 코어 스트립(100)이 준비된다. 각 코어 스트립(100)은,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102)의 병렬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이 때, 서로 이웃하는 코어 스트립(100)의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101) 및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102)의 꼭대기부끼리가 맞대어져, 그 후, 결합된다. 꼭대기부끼리의 결합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폿 용접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표면(10A) 및 이면(10B)으로 개방되는 육각형 모양의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허니콤 패턴을 형성하는 허니콤 코어(10)가 형성된다.
그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2 판재(12)와 허니콤 코어(10)의 이면(10B)을 겹치고, 이들을 결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플랜지부(112)의 외면과 제2 판재(12)의 면접촉 영역(122)이 스폿 용접됨으로써, 제2 판재(12)와 허니콤 코어(10)가 결합된다.
여기서,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내측에 위치하는 셀(10S)에서는, 표면(10A) 측의 개방 부분이 제1 플랜지부(111)에 의해서 덮이지 않기 때문에, 셀(10S)의 내부에 전극(E1)을 삽입하고, 해당 전극(E1)을 제2 플랜지부(112)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극(E1)과 이것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극(E2)에 의해, 제2 플랜지부(112)와 제2 판재(12)를 끼워 넣어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것에 의해, 제2 판재(12)와 허니콤 코어(10)가 결합된다. 도 6에서의 대향하는 한 쌍의 화살표 사이에 둔 개소는, 스폿 용접되는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그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4)가 허니콤 코어(10) 및 제2 판재(12)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도 7에서의 화살표는, 프레임 부재(14)와 그 주변의 부재와의 용접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아크 용접에 의해 프레임 부재(14)와 그 주변의 부재를 용접하지만, 아크 용접을 대신하여 전기 저항 용접을 채용해도 괜찮다.
그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판재(11)와 허니콤 코어(10)의 표면(10A)을 겹치고, 이들을 결합한다. 제1 판재(11)는 복수의 제1 플랜지부(111)와 서로 겹치는 복수의 관통공(121)을 가지고, 복수의 관통공(121)이 허니콤 코어(10)의 복수의 제1 플랜지부(111)와 서로 겹치도록 허니콤 코어(1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관통공(121)을 통해 외부 측을 향하는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을 용접함으로써, 제1 판재(11)와 허니콤 코어(10)가 결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이 아크 용접되어 있다. 아크 용접은, 관통공(121)의 외부로부터 관통공(121)과 제1 플랜지부(111)와의 경계에 액세스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후,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측판(15)이 허니콤 코어(10)의 주위에 결합되고, 제3 판재(13)이 제1 판재(11) 상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도 9에서의 화살표는, 측판(15) 또는 제3 판재(13)와 그 주변의 부재와의 용접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아크 용접에 의해 측판(15) 및 제3 판재(13)와 주변의 부재를 용접하지만, 아크 용접을 대신하여 전기 저항 용접을 채용해도 괜찮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1)에서는, 제1 판재(11)가 허니콤 코어(10)에 마련된 복수의 제1 플랜지부(111)와 서로 겹치는 복수의 관통공(121)을 가지고, 관통공(121)을 통해 외부 측을 향하는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이 용접됨으로써, 제1 판재(11)와 허니콤 코어(10)가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을 육안에 의해 확인하면서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허니콤 코어(10)와 제1 판재(11)를 간이하게 또한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제1 판재(11)의 관통공(121)의 내주면이 아크 용접되고,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용접 금속부(131)가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관통공(121)의 외부로부터 관통공(121)과 제1 플랜지부(111)와의 경계에 액세스하여 아크 용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관통공(121)의 내주면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용접 금속부(131)의 상태를 시인(視認)함으로써 제1 플랜지부(111)의 외면과 제1 판재(11)의 관통공(121)의 내주면과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보수를 행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허니콤 패널(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판재(12)는 허니콤 코어(10)에 마련된 복수의 제2 플랜지부(112)의 제2 판재(12) 측을 향하는 외면과 면접촉하는 복수의 면접촉 영역(122)을 가지고, 제2 플랜지부(112)의 외면과 면접촉 영역(122)이 용접됨으로써, 허니콤 코어(10)와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판재(12)는 제1 판재(11)에 마련되는 관통공(121)을 필요로 하지 않고 허니콤 코어(10)에 결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허니콤 코어(10)에 대한 기밀성을 바람직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제2 플랜지부(112)의 외면과 면접촉 영역(122)이 스폿 용접되어 있음으로써, 아크 용접의 경우와 비교하여 금속 산화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러한 금속 산화물에 기인한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내부가 밀폐되는 하우징의 벽부의 일부로서 허니콤 패널(1)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금속 산화물에 기인하는 가스의 하우징 내부에서의 발생이 원해지지 않은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스폿 용접에 의한 결합은 특히 유용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허니콤 패널(1)에서의 복수의 셀(10S) 중 적어도 일부의 셀(10S)의 내측의 각각에,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위치하고 있고, 제2 판재(12)가, 일부의 셀(10S)의 내측에서 2개의 제2 플랜지부(112)와 결합하고 있다. 이 경우, 제2 판재(12)와 제2 플랜지부(112)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1개의 셀(10S)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허니콤 코어(10)는, 이 셀(10S)의 내측에 제1 플랜지부(111)를 위치시키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셀(10S)의 내부에 전극(E1) 등의 용접용 부재를 삽입하고, 제2 플랜지부(112)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허니콤 패널(1)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 중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과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셀(10S)의 내측에 2개의 제1 플랜지부(111)가 위치하는 경우, 이들 2개의 제1 플랜지부(111)는, 각각의 선단을 서로 접촉시키고 있다. 또, 1개의 셀(10S)의 내측에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들 2개의 제2 플랜지부(112)는, 각각의 선단을 서로 접촉시키고 있다.
이것을 대신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1개의 셀(10S)의 내측에 2개의 제1 플랜지부(111)가 위치하는 경우에, 이들 2개의 제1 플랜지부(111)는, 각각의 선단을 서로 이간시킨다. 또, 1개의 셀(10S)의 내측에 2개의 제2 플랜지부(112)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들 2개의 제2 플랜지부(112)는, 각각의 선단을 서로 이간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허니콤 패널이 열변형되기 쉬워지는 환경에서 사용될 때에 바람직하다. 즉, 열변형에 의해서 플랜지부끼리가 서로 밀어, 원하지 않은 응력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제2 실시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플랜지부의 선단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구성은, 결합된 판재가 떨어지려고 할 때에 플랜지부의 접촉 영역에서 마찰이 생기기 때문에, 허니콤 패널의 판재에 대한 유지력의 확보가 요구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허니콤 패널을 설치할 수 있는 하우징>
도 11a~도 11c는,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은, 도 11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벽부의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이 되는 하우징(201), 도 11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벽부의 단면이 원형 모양이 되는 하우징(202), 또는 도 11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벽부의 단면이 한 쌍의 만곡부와 한 쌍의 직선부를 가지는 레이스 트랙 형상이 되는 하우징(203)에 대해서 적용되어, 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해도 괜찮다.
상술과 같은 하우징(201~203)이, 예를 들면 진공 증착용의 챔버 등의 내부가 고온 또한 진공 상태가 되는 하우징인 경우에는, 제2 판재(12)를 내부 측을 향하게 하고, 제1 판재(11)를 외부 측을 향하게 하여, 허니콤 패널에 의해서 하우징의 벽부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제2 판재(12)는 허니콤 코어(10)와의 사이에 바람직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면 1개의 셀(10S)당 2개의 제2 플랜지부(112)와 결합함으로써, 진공으로 흡인된 상황에 대한 저항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1 판재(11)는 관통공(121)을 가지지만, 간이하게 또한 강고하게 제1 판재(11)와 결합되기 때문에, 진공에 노출되지 않는 측에서 요구되는 사양을 충분히 만족시키면서, 허니콤 패널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을 하우징에 적용한 경우에는, 경량화의 실현은 물론, 하우징에 소망되는 사양을 충분히 만족시키면서, 하우징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코스트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에서 여러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하우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허니콤 패널은, 전철, 자동차, 항공기, 로켓, 셸터(shelter) 등의 벽부로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종의 변경이 행해져도 괜찮다.
예를 들면 상술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플랜지부(111) 및 제2 플랜지부(112)가 코어 스트립(100)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꼭대기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한 쌍의 측부의 양쪽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 제1 플랜지부(111) 또는 제2 플랜지부(112)가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1 - 허니콤 패널 10 - 허니콤 코어
10A - 표면 10B - 이면
10S - 셀 11 - 제1 판재
12 - 제2 판재 13 - 제3 판재
14 - 프레임 부재 15 - 측판
100 - 코어 스트립 101 - 제1 사다리꼴 모양 부분
101A - 꼭대기부 102 - 제2 사다리꼴 모양 부분
102A - 꼭대기부 111 - 제1 플랜지부
112 - 제2 플랜지부 121 - 관통공
122 - 면접촉 영역 131 - 용접 금속부
201~203 - 하우징

Claims (9)

  1.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허니콤 코어와,
    상기 허니콤 코어의 상기 표면에 마련되는 제1 판재(板材)를 구비하고,
    상기 허니콤 코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을 교호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어 스트립(strip)을 가지고,
    각 상기 코어 스트립은, 상기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병렬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코어 스트립의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꼭대기부끼리를 맞대고 또한 결합함으로써, 상기 표면 및 상기 이면으로 개방되는 육각형 모양의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허니콤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1개 이상의 상기 코어 스트립의 일부 또는 전부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상기 제1 판재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기 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판재는, 1개 이상의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서로 겹치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 측을 향하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이 용접, 용착 또는 접착됨으로써, 상기 제1 판재와 상기 허니콤 코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 코어 및 상기 제1 판재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이 아크 용접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용접 금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 코어의 상기 이면에 마련되는 제2 판재를 더 구비하고,
    1개 이상의 상기 코어 스트립의 일부 또는 전부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상기 제2 판재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기 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판재는, 1개 이상의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상기 제2 판재 측을 향하는 외면과 면접촉하는 1개 이상의 면접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면접촉 영역이 용접 또는 용착됨으로써, 상기 제2 판재와 상기 허니콤 코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 코어 및 상기 제2 판재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면접촉 영역이 스폿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셀 중 적어도 일부의 셀의 내측에, 2개의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판재는, 일부의 상기 셀의 내측에서 2개의 상기 제2 플랜지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
  6. 청구항 5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2 플랜지부가 1개의 상기 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허니콤 코어는, 상기 셀의 내측에 상기 제1 플랜지부를 위치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
  7.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허니콤 코어와, 상기 허니콤 코어의 상기 표면에 마련되는 제1 판재를 구비하는 허니콤 패널로서, 상기 허니콤 코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을 교호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어 스트립을 가지고, 각 상기 코어 스트립은, 상기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병렬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코어 스트립의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꼭대기부끼리를 맞대고 또한 결합함으로써, 상기 표면 및 상기 이면으로 개방되는 육각형 모양의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허니콤 패턴을 형성하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1개 이상의 상기 코어 스트립의 일부 또는 전부의 사다리꼴 모양 부분의 상기 제1 판재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상기 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된 상기 허니콤 코어를 준비하는 공정과,
    1개 이상의 관통공을 가지는 상기 제1 판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관통공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서로 겹치도록 상기 제1 판재를 상기 허니콤 코어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 측을 향하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용접, 용착 또는 접착함으로써, 상기 제1 판재와 상기 허니콤 코어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 코어 및 상기 제1 판재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아크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패널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기재된 허니콤 패널을 벽부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KR1020207022894A 2018-03-05 2019-03-01 허니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하우징 KR20200127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38873 2018-03-05
JP2018038873A JP6976572B2 (ja) 2018-03-05 2018-03-05 ハニカム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筐体
PCT/JP2019/008143 WO2019172128A1 (ja) 2018-03-05 2019-03-01 ハニカム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筐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991A true KR20200127991A (ko) 2020-11-11

Family

ID=6784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894A KR20200127991A (ko) 2018-03-05 2019-03-01 허니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98519A1 (ko)
JP (1) JP6976572B2 (ko)
KR (1) KR20200127991A (ko)
CN (1) CN111819073B (ko)
TW (1) TWI787474B (ko)
WO (1) WO2019172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6307B1 (fr) * 2015-05-22 2017-06-02 Halcyon Procede ameliore de fabrication d'une piece metallique du type sandwich presentant une forme non-developpable
CN111649221B (zh) * 2020-05-25 2023-08-01 湖南省冶金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内嵌式纬向增强型金属蜂窝结构及其制作方法
CN113895098B (zh) * 2020-06-22 2023-08-29 中国航发商用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声衬件、制造方法、动力推进系统以及蜂窝芯
CN113182630A (zh) * 2021-03-30 2021-07-30 厦门美乐镁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铝复合蜂窝板的焊接工艺
CN113478083B (zh) * 2021-07-23 2023-03-14 马鞍山安达泰克科技有限公司 蜂窝芯材
CN117900347B (zh) * 2024-03-15 2024-05-24 常州弘建新材料有限公司 一种蜂窝铝板边角压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231A (en) * 1973-10-31 1979-07-17 Rolls-Royce Limited Metal cavitated sandwich structures
US4471013A (en) * 1983-10-28 1984-09-11 Tre Corporation Core strip for honeycomb core panels
JPS60227971A (ja) * 1984-01-31 1985-11-13 Honda Motor Co Ltd 自動ア−ク溶接方式
US4832999A (en) * 1987-10-27 1989-05-23 Avco Lycoming/Textron Honeycomb structure assemblies
JP2674714B2 (ja) * 1990-04-13 1997-11-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ハニカムコアおよびハニカムコアと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
JP2530775B2 (ja) * 1991-07-30 1996-09-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ハニカムパネル及び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
JP2544849B2 (ja) * 1991-07-30 1996-10-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ハニカムパネル及び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
JP3107940B2 (ja) * 1993-01-12 2000-11-13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ハニカム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68677A (ja) * 1993-09-07 1995-03-14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ろう付けハニカム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56629B1 (ko) * 2007-02-27 2007-09-07 문광선 하니콤 코아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CN101032876A (zh) * 2007-04-10 2007-09-12 南京工业大学 点阵增强型复合材料夹层结构
CN201835400U (zh) * 2010-09-30 2011-05-18 广东杭萧钢构有限公司 一种混凝土钢板剪力墙
CN103437545A (zh) * 2013-09-09 2013-12-11 姜立平 一种新型复合建筑模板及其制造方法
CN103786372A (zh) * 2014-03-03 2014-05-14 江苏德兴数码科技有限公司 铝蜂窝吸气平台及生产方法
CN106458123B (zh) * 2014-03-12 2020-02-07 特瑞斯有限责任公司 车辆用聚合物冲击吸收部件以及纵向侧构件
GB2550966A (en) * 2016-06-03 2017-12-06 The Welding Inst Joining method using in-situ formed fasteners
JP2018034166A (ja) * 2016-08-29 2018-03-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異材接合用アークスポット溶接法、接合補助部材、及び、異材溶接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98519A1 (en) 2020-12-24
JP2019151047A (ja) 2019-09-12
CN111819073B (zh) 2022-12-20
TW201938358A (zh) 2019-10-01
WO2019172128A1 (ja) 2019-09-12
CN111819073A (zh) 2020-10-23
TWI787474B (zh) 2022-12-21
JP6976572B2 (ja)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7991A (ko) 허니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하우징
JP5080199B2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6183555B2 (ja) 組電池のタブ溶接方法
JP5237355B2 (ja) パネル構造体の製造方法
US9487244B2 (en) Structural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component
JP5282112B2 (ja) 冷却板アセンブリ、および冷却板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2001093505A5 (ko)
WO2014024802A1 (ja) 蓄電装置の製造方法、超音波溶接用の補助板及び蓄電装置
WO2014083617A1 (ja) レーザ接合構造及びレーザ接合方法
TW201836092A (zh) 蒸氣室
JP5326582B2 (ja) レーザー溶接とスポット溶接を併用した車体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6579023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7242362A (ja)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93188B2 (ja) 電池の製造方法
KR20110093163A (ko) 전극단자의 레이저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JPH0531589A (ja) ハニカムパネル及び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
JP5941837B2 (ja) 鉄道車両構体、鉄道車両構体の製造方法
JP6033728B2 (ja) 保持部材
JP6030467B2 (ja) 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39710B1 (ko) 이종 다판 접합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H0359790B2 (ko)
JP2024053888A (ja) 電池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13737B2 (ja) ヘミング構造
JPH06316009A (ja) ハニカムパネル及び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
JPH08126290A (ja) ヨーク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