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750A - 비상용 휠 - Google Patents

비상용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750A
KR20200111750A KR1020207024216A KR20207024216A KR20200111750A KR 20200111750 A KR20200111750 A KR 20200111750A KR 1020207024216 A KR1020207024216 A KR 1020207024216A KR 20207024216 A KR20207024216 A KR 20207024216A KR 20200111750 A KR20200111750 A KR 2020011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attachment
vehicle wheel
initial mounting
de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313B1 (ko
Inventor
콘스탄틴 치베리디스
Original Assignee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1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10Emergenc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60B15/263Traction increasing surface being located axially beside t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5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6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clamping or wedging, e.g. by clamping inserts as 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7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removably mountable securing elements, e.g. cir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70Adaptation for
    • B60B2900/731Use in cases of damage, failure or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이 제한된 타이어로 주행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휠(1)용 부착물(14), 그리고 이러한 부착물(14)과 차량 휠(1)의 림(2)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 휠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주행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부착물과 차량 휠의 림을 포함하는 시스템에도 독립적으로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휠은 자동차의 차량 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의 주행 동작은, 타이어가 보통의 도로 조건 및 보통의 타이어 조건에서 주어진 특성으로 작동할 수 없을 때의 주행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바람 빠진 타이어로의 주행이나, 예를 들어 얼음이나 눈이 쌓여 있을 때의 차량의 작동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 분야는 바람 빠진 타이어를 가지고도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차량 휠에 부착되는 부착물의 경우, 본 명세서에서 축 방향은 차량 휠의 회전 축의 방향을 의미한다. 반경 방향은 차량 휠의 이러한 회전 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량의 림으로부터 보았을 때, 차량 휠의 타이어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반경 방향 내측에는, 예를 들어 차량 휠의 중앙 개구를 갖는 림의 볼트 패턴이 있고, 여기서 차량 휠의 볼트 패턴이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들을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림 내 홀들과 중앙 개구의 배열을 의미한다.
원주 방향은 차량 휠의 원주, 즉 차량 휠의 타이어 트레드(tread)를 따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조립될 수 있는 차량 휠용 부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부착물은 부정확한 조립을 방지해야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부착물과 림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림에 부착물을 단순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부착물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은 림을 포함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로, 기능이 저하된 타이어로 주행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부착물이고, 상기 부착물은 트레드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드 섹션은 부착물의 트레드를 포함하며, 부착물은 림의 섹션,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의 뒤쪽에 결합하도록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고, 부착물은 초기 장착 섹션을 포함하며, 트레드 섹션의 적어도 한 부분이 초기 장착 섹션으로부터 분리되게 설계되어 초기 장착 섹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초기 장착 섹션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계되며, 초기 장착 섹션은, 부착물이 차량 휠에 체결될 때, 트레드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된다.
부착물은, 초기 장착 섹션과 트레드 섹션, 즉 부착물 중 부착물의 트레드를 포함하는 부분이 별도로 설계되어 서로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트레드 섹션은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이으면(put together) 원형 트레드를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원주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 장치는 DIN 7817에 따라 표준화된 림 플랜지의 윤곽에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의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DIN 7817의 form J이다.
부착물은 정확하게 2개의 원주 세그먼트를 갖는 트레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2개의 원주 세그먼트는 모두 180°의 원주 방향 연장부를 구비하고, 특히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캐스팅(casting)으로서 형성되는 동일한 베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 선회 가능한 후크 요소들로서 설계되는 정확하게 2개의 클램핑 장치가 이러한 2개의 원주 세그먼트의 각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후크 요소들은 적어도 30mm, 바람직하게는 40mm, 특히 50mm의 원주 방향으로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 장치들은, 원주 세그먼트들의 베이스 요소들 위에 나사 고정되는 조립식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드 섹션이 다수의 원주 세그먼트로, 예를 들어 상기 제1 원주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원주 세그먼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로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한 접촉 표면에는 연결 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연결 장치는 예를 들어, 스프링을 통해 프리로드된 요소로, 하나의 원주 세그먼트에 배치되어 스프링 부하가 접촉 표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하는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원주 세그먼트에는 스프링-프리로드되는 요소가 결합할 수 있는 대응하는 오목부가 배치된다.
제1 원주 세그먼트가 초기 장착 섹션에 부착되고 나면, 예를 들어, 제2 원주 세그먼트가 축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두 접촉 표면이 서로의 위에 슬라이드할 때, 스프링-프리로드된 요소가 제1 원주 세그먼트 내로 원주 방향으로 끼워지고(thrust), 그 다음 제2 원주 세그먼트가 제공된 위치 내로 축 방향으로 완전히 가압될 때, 스프링-프리로드된 요소는 제2 원주 세그먼트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한다. 연결 장치는 트레드 섹션의 두 원주 세그먼트들을, 두 세그먼트의 서로에 대한 축 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 고정시킨다.
연결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요소, 특히 하나의 프리로드된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요소는 하나의 원주 세그먼트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부착물이 차량 휠에 체결될 때 또 다른 원주 세그먼트 내로 연장한다.
클램핑 장치의 후크 요소는 탄성 코팅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초기 장착 섹션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는 스트럿들의 형태, 예를 들어 3개의 스트럿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장착 섹션은 원형 또는 디스크-형상의 중앙 섹션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스트럿들은 이러한 중앙 섹션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장착 섹션은 트레드 섹션보다 먼저 차량 휠에 체결되도록 설계되는 부착물의 부품이다. 이 경우, 트레드 섹션은 초기 장착 섹션에 미리 연결될 수 있다. 부착물의 부착 시, 먼저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체결되고, 그 다음 트레드 섹션이 체결되거나, 또는 최종 위치에 놓여져서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로는, 초기 장착 섹션을 먼저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레드 섹션은 초기 장착 섹션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부착물은 먼저 초기 장착 섹션이 트레드 섹션 없이 차량 휠에 체결되고,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체결되고 난 다음에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을 갖는 차량 휠에 적용되어 체결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 섹션은 또한, 초기 장착 섹션에 이동 가능하게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연결, 특히 분리될 수 없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부착물은 제1 단계에서 초기 장착 섹션에 의해 조립 시 차량 휠의 림에 체결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초기 장착 섹션과 차량 휠 또는 차량 휠의 림에 부착물, 특히 트레드 섹션이 체결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의 및/또는 트레드 섹션의 체결은 각각의 섹션에 배치되는 클램핑 장치에 의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클램핑 장치는 트레드 섹션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드 섹션은 이로 인해 차량 휠에 특히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다. 특히, 클램핑 장치는 초기 장착 섹션에 배치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은 이로 인해 특히 안전하게 차량 휠에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클램핑 장치가 트레드 섹션과 초기 장착 섹션 모두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트레드 섹션과 초기 장착 섹션은, 림의 섹션,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 뒤쪽에 결합하는 클램핑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에 배치되는 이러한 클램핑 장치는, 초기 장착 섹션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 장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드 섹션이 원주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이 트레드의 원주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그먼트들은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고/또는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 및/또는 변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부착물은 차량 휠에 특히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세그먼트가 먼저 차량 휠에 체결될 수 있고, 이때 초기 장착 섹션은 펑크난 타이어를 가진 차량 휠이라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데, 이는 그 반경 방향 연장부가 트레드 섹션의 반경 방향 연장부보다 작기 때문이다. 그 다음, 트레드 섹션의 제1 세그먼트가 차량 휠에, 또는 초기 장착 섹션과 차량 휠에 체결될 수 있다. 그 다음, 차량 휠은 위에 위치되어 있는 초기 장착 섹션과 트레드 섹션의 제1 세그먼트와 함께 회전되어, 이미 차량 휠에 위치되어 있는 트레드 섹션의 세그먼트가 도로와 접촉한다. 그 다음, 트레드 섹션의 다른 세그먼트와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적용되어 체결될 수 있다. 그러면, 부착물이 완전히 조립되는데, 상기 조립은 카 잭(car jack)이나 리프팅 플랫폼 없이, 그리고 차량 휠이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제1 원주 세그먼트가 180°보다 큰, 특히 190°보다 큰 원주 연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180°보다 크거나 190°보다 큰 제1 원주 세그먼트의 원주 연장부는, 제1 원주 세그먼트가 원주 방향으로 부착물의 대부분(predominant part)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차량 휠에 용이하고, 안정적이며, 단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제1 원주 세그먼트는 원호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현(chord) 방식으로 연장하는 스트럿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높은 안정성 및 단순한 부착물의 차량으로의 부착이 제공된다. 제1 원주 세그먼트와 제2 원주 세그먼트를 갖는 이러한 종류의 부착물은 림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 섹션들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트레드 섹션이 180°의 원주 연장부를 갖는 2개의 원주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경우도 가능한데, 이로 인해 원주 세그먼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매우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 클램핑 장치는 후방 그립 섹션이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림 플랜지의 내측에 확실하게(positively) 안착한다. 클램핑 장치의 림 플랜지를 향하는 측에 있는 옵션적인 코팅(예를 들어, 고무 코팅)에 의해, 클램핑 장치와 림 플랜지 사이에 압축(코팅이 압축됨)이 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속 및 제동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원주 방향 힘이 특히 잘 가해질(taken up) 수 있다. 따라서, 스페어 휠과 차량 림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특히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크램핑 장치는 일반적으로 림 플랜지와 접촉하기 위한 마찰-강화 및/또는 압축 가능한 접촉 표면, 특히 코팅을 갖는 접촉 표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물은 일반적으로 접촉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 섹션은 클램핑 장치를 작동시키켜, 접촉 섹션이 작동되었을 때 특히 힘이 가해졌을 때 클램핑 장치가 림의 섹션,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의 뒤쪽에 결합하게 만들도록 설계되며, 접촉 섹션은 부착물이 차량 휠에 체결될 때, 차량 휠을 향하는 부착물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단순한 방식으로 부착물의 안전한 체결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접촉 섹션이 차량 휠을 향하는 부착물의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부착물이 차량 휠에 부착되어 접촉 섹션에 힘이 인가될 수 있을 때, 접촉 섹션이 림에 의해 사실상 자동으로 접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클램핑 장치가 림의 섹션,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의 뒤쪽에 결합된다. 접촉 섹션은, 작동을 위한 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주로 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및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섹션은 클램핑 장치 또는 장치들을 포함하는 부착물의 부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땠든, 트레드 섹션은 림 플랜지의 뒤쪽에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램핑 장치와 하나 이상의 접촉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장착 섹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클램핑 장치와, 가능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섹션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촉 섹션은 트레드 섹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레드 섹션이 차량 휠에 부착될 때, 차량 휠, 특히 차량 휠의 림이나 초기 장착 섹션이 접촉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계 및 배치된다. 접촉 섹션은 초기 장착 섹션에 배치되어,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부착될 때, 차량 휠, 특히 차량 휠의 림이 접촉 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계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섹션의 각각의 부분의 림 플랜지로의 자동적인 클램핑 체결은 실질적으로, 초기 장착 섹션과 트레드 섹션 또는 트레드 섹션의 부분이 차량 휠에 부착될 때에 실질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조립체는 매우 단순하고 신뢰성 있게 구성된다.
클램핑 장치는 후방 그립 섹션을 갖는 선회형 후크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방 그립 섹션은, 클램핑 장치가 림 플랜지의 뒤쪽에 결합할 때에 림의 림 플랜지 뒤쪽에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섹션이 후크 요소에 배치되며, 작동 섹션은 후방 그립 섹션에 단단하게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후방 그립 섹션과 일체로 설계된다. 작동 섹션은 후크 요소의 선회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림 플랜지의 뒤쪽에 결합하는 후방 그립 섹션은 후크 요소의 선회 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림 플랜지의 뒤쪽에 결합하는 후방 그립 섹션이 후크 요소의 선회 축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선회형 후크 요소는 특히 단단하고 제조하기 쉬운 클램핑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는 대응하는 부착물이 특히 생산하기에 경제적이고 특히 고장에 둔감하도록 만든다. 후크 요소는 예를 들어, 스프링을 통해 하나의 위치에 프리로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섹션은 후크 요소에 배치되고, 선회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표면의 거리가 선회 축에 대해 제2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섹션은, 후크 요소가 림 플랜지 뒤쪽에 결합하지 않는 상태인 후크 요소의 제1 선회 위치에서, 접촉 파트너(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될 림 또는 접촉 요소)를 향해 있는 작동 섹션의 제1 섹션이 선회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작동 섹션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 및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요소의 후방 그립 섹션이 림 플랜지의 뒤쪽에 결합된 상태인 후크 요소의 제2 선회 위치에서는, 접촉 파트너(예를 들어, 림 또는 접촉 요소)를 향해 있는 작동 섹션의 제2 섹션이 선회 축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작동 섹션의 부분을 형성한다.
부착물은 접촉 섹션이 배치되어 있는 접촉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 요소는 클램핑 장치와 분리되게 설계되고 부착물, 특히 트레드 섹션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또는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접촉 요소는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클램핑 장치 또는 후크 요소가 선회 가능하면서도 가능하게는 림의 손상이 방지된다. 후크 요소와 접촉 요소는 부착물이 림에 부착될 때 접촉 요소의 접촉 섹션이 림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 요소는 부착물에 대해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크 요소의 작동 섹션과 접촉하며, 후크 요소는 선회하여 후방 그립 섹션이 림의 림 플랜지 뒤쪽에 결합하도록 한다. 접촉 요소는 후크 요소가 림 플랜지 뒤에서 후방 그립 섹션과 이미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크 요소는 이러한 결합 위치로부터 선회 방식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잠금한다(latch). 후크 요소가 연장부는 접촉 요소에 있는 오목부와 결합하는 연장부의 형태인 작동 섹션을 구비하거나, 접촉 요소는 후크 요소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하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접촉 요소와 후크 요소는 서로로부터 분리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요소와 후크 요소는 치(teeth)가 없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가 없다는 것은, 이 경우, 두 요소가 치형 휠이나 치형 렉(rack)에서와 같은 치를 구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접촉 요와 후크 요소는 특히 단단하게 상호 작용하고, 단순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접촉 요소와 후크 요소는 서로에 대해 설계, 배치되어, 부착물이 힘과의 접촉에 의해 차량 휠에 부착될 때 접촉 요소의 병진 운동이 후크 요소의 선회 운동을 야기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커플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물은, 림 플랜지 뒤쪽에 결합되게 위치되었을 때 클램핑 장치, 특히 선회식 후크 요소를 잠금하도록 설계 및 배치되는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잠금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프리로드된 래칭 요소, 특히 스프링-프리로드된 래칭 요소를 포함한다. 잠금 메커니즘이 클램핑 장치를 잠금할 때에, 래칭 요소가 래칭 방식으로 후크 요소에 결합하거나, 후크 요소가 래칭 방식으로 래칭 요소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물의 림으로의 체결이 이로 인해 특히 안전해진다. 특히, 래칭 요소는 볼트, 특히 스프링을 통해 프리로드된 볼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선회식 후크 요소는, 후크 요소가 림의 뒤쪽의 결합 위치로 선회될 때, 예를 들어 프리로드된 볼트가 결합하여 잠금되는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러한 오목부는 래칭 요소를 지나 결합 위치로 선회하여 래칭 요소가 오목부에 진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잠금 메커니즘은 부착물이 차량 휠에 부착될 때 고정 섹션이 도로와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 휠이 회전되어 고정 섹션을 작동시키고, 특히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힘을 가하며, 잠금 메커니즘은, 고정 요소가 고정 섹션의 작동 시, 단단하게 유지되어 툴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고정 위치 내로 이동되도록 설계되고, 고정 위치에서 고정 요소는 클램핑 장치를 림 플랜지 뒤쪽의 결합 위치에 단단하게 잠금한다. 이로 인해, 차량 휠이 이동하면, 사실상 자동으로 클램핑 장치가 잠금되는 것이 보장된다.
클램핑 장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조립식 부품으로서 설계되며, 잠금 메커니즘 또한 케이싱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잠금 메커니즘과 클램핑 장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는 어쨌든 부분적으로 이러한 부품들을 위한 어떤 종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케이싱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 또는 이러한 하우징은 그 안에 위치되는 부품들과 개별적으로 조립될 수 있고, 그 다음 준비된-사전 조립된 유닛이 부착물에, 특히 트레드 섹션에 조립식 부품(part)으로서 장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메커니즘은 래칭 요소를 포함하되, 클림팽 장치의 후크 요소를 잠금한 상태에서 잠금 메커니즘의 케이싱에 완전히 진입해 있도록 구현되는 래칭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칭 요소는, 후크 요소가 림 플랜지 뒤쪽에 결합한 위치에 있지 않아서 후크가 래칭 요소에 의해 잠금되지 않았을 때, 케이싱으로부터 섹션이 돌출하도록 배치 및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칭 요소는 바 형태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형 래칭 요소가 후크 요소를 잠금하지 않을 때에는 일 단부가 후크 요소를 잠금하고, 그 반대쪽 단부는 가능한 경우에는 케이싱으로부터 돌출한다. 돌출하는 섹션은 단일 색상,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으로부터 돌출하는 섹션은 축 방향(A)으로 보았을 때 차량 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부착물의 측면으로부터 가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착물은 클램핑 장치가 림 플랜지 뒤쪽에서의 결합 상태로 완전히 선회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시각적인 확인을 포함한다.
초기 장착 섹션은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핀-형 안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레드 섹션은 안내 돌출부에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개구부를 포함하며,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이미 부착되어 있을 때, 트레드 섹션 또는 트레드 섹션의 부분이 초기 장착 섹션에 배치되는데, 안내 돌출부가 안내 개구부에 결합하고, 트레드 섹션의 초기 장착 섹션과 차량 휠에 대한 축 방향 조립 운동이 안내 돌출부의 안내 개구부로의 결합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초기 장착 섹션이 이미 차량 휠에 체결되어 있을 때, 트레드 섹션이 특히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차량 휠에 부착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이 하나 이상의 안내 개구부를 구비하고, 트레드 섹션이 안내 개구부에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되는 대응하는 핀-형 안내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안내 개구부와 안내 돌출부의 상호 보완적인 설계와 이들의 축 방향으로의 연장부 때문에, 트레드 섹션이 단순한 방식으로 이미 차량 휠에 체결되어 있는 초기 장착 섹션 위에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레드 섹션의 정확한 배향 및 정확한 조립 위치가 모두 사실상 사전 결정된다.
초기 장착 섹션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를 구비하고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스트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안내 돌출부들이 트레드 섹션의, 부착물을 위해 특히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트럿이 안내 돌출부 대신에, 트레드 섹션 상에 있는 안내 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안내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트레드 섹션은 체결 장치를 통해 특히 분리 가능하게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결 장치는,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될 때에 림을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 장치는 나사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어, 나사를 조일 때에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을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 장치는 전기적으로 및/또는 공압적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및/또는 프리로드, 특히 스프링 프리로드에 의해 축 방향으로 트레드 섹션의 이동을 적어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트레드 섹션은 정확하게 정의된 방식으로 초기 장착 섹션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트레드 섹션의 지지되는 이동에 의해, 조립체가 특히 단순해진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옵션적으로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의 림에 체결될 수 있고, 그 다음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드 섹션이 연결 섹션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결 섹션은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될 때 볼트 패턴의 영역 위에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연결 섹션은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초기 장착 섹션과 중첩되어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에 단순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체결 장치는, 트레드 장치가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될 때 림을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체결 장치는 웹-형 스트럿과 나사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는데, 이때 스트럿은 트레드 섹션에 제공되고, 예를 들어 초기 장착 섹션으로 나사 고정될 수 있는 나사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트레드 섹션은 초기 장착 섹션 위에 나사 고정될 수 있고, 나사를 조일 때에 트레드 섹션은 림을 향해 이동한다.
부착물에는 전기 모터로서 설계될 수 있는 구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배터리로서 구현될 수 있는 에너지 공급원(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는 초기 장착 섹션에 분리 불가능하게 통합되거나, 제거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에너지 공급원에 추가적으로 또는 에너지 공급원 대신에, 구동장치는 외부 전력 공급원, 예를 들어 차량의 시거 라이터(cigarette lighter)로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장치는 체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체결 장치를 작동시키면,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되면서 림을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나사 또는 체결 장치에 대해 플러그 가능하거나 또 다른 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기어 모터가 제공되거나, 또는 각각의 나사 또는 체결 장치에 대한 통합적인 기어 모터가 존재할 수 있다.
부착물은 각각이 체결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2개의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트레드 섹션의 각각의 원주 세그먼트가 초기 장착 섹션을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장치는 툴 부착 포인트(point)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구동장치는 에너지 공급원이 없을 때에 예를 들어 스패너를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체결 장치는 토크 리미터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체결 장치가 나사 연결부로서 설계되고, 나사 연결부는 정의된 토크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체결 장치에 통합되는 구동장치는 구동장치의 강한 자체-잠금을 통해 나사 연결부가 헐거워지지 않도록 추가적인 안전성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예를 들어, 시가 라이터)를 통해서 또는 적절한 외부 전류 공급원(예를 들어, 외부 배터리)을 통해 전압 공급이 제공될 수 있다.
트레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갭 만큼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스포크-형 스트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갭은 적어도 차량 휠의 회전 축에 대한 반경에 대해 원주 연장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원주 연장부는 스트럿들의 원주 연장부보다 길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배만큼 길다. 이러한 점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은 특히 가볍고, 재료-절약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은 차량 휠에 그립핑 장치의 확실한 후방 그립핑을 통해 및/또는 볼트 패턴의 영역에 배치되는 림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개구와 그립핑 장치의 마찰 결합을 통해 차량 휠에 체결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구는 림에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홀들로부터 거리가 있도록 림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개구는 림에 있는 중앙 개구이거나 림의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립핑 장치의 적어도 한 부분이 초기 장착 섹션에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장착 섹션은 이로 인해 차량 휠에 특히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특히, 볼트 패턴의 영역에 있는 개구는 소위 폴리-제어 홀인 것이 유리하다. 적절하게 설계된 부착물의 초기 장착 섹션은 이러한 개구들에 거의(quasi) 삽입되고, 그 다음 트레드 섹션이 초기 장착 섹션에 부착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은 림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개구에 마찰 결합하도록 설계되는 그립핑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는 볼트 패턴의 영역에 배치되고, 폴리-제어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립핑 장치는 직경이 확장될 수 있는 핀-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핀-형 요소는 특히,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폴리-제어 홀 내에서 끝나, 상기 홀을 완전히 지나서 연장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립핑 장치가 볼트 패턴의 영역에 있는 개구 뒤쪽에 결합하도록 바람직하게설계되는 확장 가능한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그립핑 장치는, 볼트 패턴의 영역에 있는 개구를 지나 압축된 상태로 안내되고, 개구를 지나 안내되면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확장하도록 설계되는 압축 가능한 섹션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확장 가능한 섹션은 예를 들어, 펼치는 스프레딩(spreading) 요소의 도입에 의해 스프레드 가능한(spreadable) 슬리브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그립핑 장치가 예를 들어 초기 장치 섹션에 배치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에 부착될 때, 스프레드 가능한 슬리브 형태의 그립핑 장치가 예를 들어 폴리-제어 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그 다음 스프레딩 요소가 스프레드 가능한 요소 내로 삽입되어 슬리브를 펼쳐서 폴리-제어 개구 뒤쪽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그립핑 장치가 압축 가능한 섹션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폴리-제어 홀 내로 도입될 때에 압축되어, 폴리-제어 홀을 지나 유도되고 나면 자동으로 확장하여, 그 뒤쪽에 결합한다. 방금 설명한 변형예는 체결을 위한 초기 장착 섹션의 단순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부착물의 조립체가 단순화된다.
이 경우, "볼트 패턴의 영역에 배치된다"는 것은 적어도 림의 스포크들 사이의 갭과는 다른 개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개구는 특히 소위 폴리-제어 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핑 장치는 특히 림의 중앙 개구에 결합하도록 설계되는 경우, 스플릿 슬리브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가변의 반경 크기(extension)를 갖는 요소, 특히 원뿔형 요소가 스플릿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스플릿 슬리브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요소의 축 방향 이동에 의해, 스플릿 요소가 스프레드되어, 개구 또는 중앙 개구에 마찰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는 예를 들어 나사를 통해 스플릿 슬리브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스프레드 가능한 암들이 스플릿 슬리브에 의해 의도되어질 수 있다.
그립핑 장치는 옵션적으로 초기 장착 섹션의 일부로서 설계된다. 환언하면, 이는 초기 장착 섹션에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립핑 장치는 특히 후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바-형 연장부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후크 영역은 예를 들어 개구를 통해 유도될 때 림의 뒤쪽에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 또는 스프레딩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후크 영역도 압축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면, 후크 영역은 개구를 통해 유도될 때에 직겨이 감소하고 개구를 통해 유도되고 나면 자체적으로 확장하여, 실제로 자동으로 림 뒤쪽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크 영역은 예를 들어 역으로 압축 간능하게, 탄성적으로 및/또는 스프링-장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장치는 볼트 패턴의 영역에 있는 개구 뒤쪽에 결합하도록 설계되는 확장 가능한 섹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확장 가능한 섹션은 예를 들어, 스프레딩 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후크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핑 장치는 2개의 후크 암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후크 암은 예를 들어 스프레딩 요소(예를 들어, 나사)에 나사 조임함으로써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스프레드될 수 있다.
그립핑 장치는 특히 중공 핀 방식으로도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내부에 스프레딩 요소, 특히 확장 핀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스프레딩 요소는 축 방향 이동에 의해 확장 가능한 섹션을 넓힌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그립핑 장치가 초기 장착 섹션에 배치된다. 그립핑 장치가 전술한 것과 같은 중공 핀의 방식으로 설계되는 경우, 예를 들어 확장 핀들 또는 아마도 존재하는 스프레딩 요소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나사로서 설계되는 작동 유닛에 의해 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은 특히, 전술한 림의 개구(특히, 폴리-제어 홀)에 삽입될 수 있는 압축 가능한 플러그-인 요소들을 초기 장착 섹션의 직경에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압축 가능한 플러그-인 요소들은 삽입될 때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플러그-인 요소들은 개구 뒤쪽에 결합하거나 개구 내에 마찰식으로 결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은, 플러그-인 요소들 내에 삽입될 때에 플러그-인 요소들을 벌어지게 하거나 및/또는 이들의 직경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레딩 요소를 구비한다. 후자의 변형예는 특히, 폴리-제어 홀내에 삽입 될 때 플러그-인들의 직경이 감소하고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넓어져서 폴리-제어 홀 또는 개구 뒤쪽에 결합하도록 설계될 때 특히 실용적이다.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단일체로 부착될 수 있고 플러그-인 요소들이 개구, 특히 폴리-제어 홀들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스프레딩 요소들이 초기 장착 섹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스프레딩 요소들은 플러그-인 요소들에 아직 삽입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삽입되지는 않았다. 스프레딩 요소들은 초기 장착 섹션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해제 시, 플러그-인 요소들을 개구들 내에 능동 후방 결합 또는 마찰 결합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초기 장착 섹션으로의 추가적인 압력에 의해 초기 장착 섹션의 한 부분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되지 않은 스프레딩 요소들을 플러그-인 요소들에 완전히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장착 섹션은 특히, 림의 전술한 개구(들)(특히, 폴리-제어 홀)에 삽입될 수 있는 그립핑 장치로서 압축 가능한 플러그-인 요소들로, 삽입 시에 직경이 감소할 수 있는, 압축 가능한 플러그-인 요소들을 초기 장착 섹션의 직경에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플러그-인 요소들은 개구의 뒤쪽에 결합하도록 또는 개구에 마찰식으로 결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은 스프레딩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프레딩 요소는 플러그-인 요소들에 삽입될 때 플러그-인 요소들을 벌어지게 하거나 및/또는 이들의 직경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자의 변형예는, 플러그-인 요소들이 폴리-제어 홀 내로 삽입될 때에는 직경이 감소하고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넓어져서 폴리-제어 홀 또는 개구 뒤쪽에 결합하도록 설계될 때 특히 실용적이다.
스프레딩 요소들은 초기 장착 섹션에 부착되되,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단일체로 장착될 수 있고, 플러그-인 요소들이 림의 개구들, 특히 폴리-제어 홀들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스프레딩 요소들은 플러그-인 요소들 내에 삽입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다. 스프레딩 요소들은 초기 장착 섹션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되며, 예를 들어 잠금 장치를 통해 잠금된다.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할 때에는, 개구들에 플러그-인 요소들을 능동 후방 결합 또는 마찰 결합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특히 초기 장착 섹션으로의 추가적인 압력에 의해, 초기 장착 섹션의 한 부분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되지 않은 스프레딩 요소들을 플러그-인 요소들 내에 완전히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장착 섹션은 제1 축 방향(axial) 부분과 제2 축 방향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인 요소들은 제1 축 방향 부분에 배치되고, 스프레딩 요소들은 제2 축 방향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축 방향 부분은 처음에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러한 이격된 위치에서 잠금 장치를 통해 잠금된다. 그 다음, 2개의 축 방향 부분을 갖는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플러그-인 요소들은 개구들에 삽입된다. 그 다음 잠금 장치가 해제되고, 플러그-인 요소들을 개구들에 능동 후방 결합 또는 마찰 결합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초기 장착 섹션을 더 가압함으로써, 제2 축 방향 부분이 제1 축 방향 부분을 향해 이동하고, 스트레딩 요소들이 플러그-인 요소들에 진입한다. 하지만, 스프레딩 요소들의 삽입은 또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 제1 축 방향 부분은 축 방향으로 차량 휠과 제2 축 방향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장착 섹션은, 플러그-인 요소들과 스프레딩 요소들을 갖는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러그-인 요소들은 개구들에 삽입되고, 플러그-인 요소들을 능동 후방 결합 또는 마찰 결합에 의해 개구들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2 단계에서 스프레딩 요소들이 적절한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되어 플러그-인 요소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플러그-인 요소들과 스프레딩 요소들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초기 장착 섹션은 림 플랜지 뒤에 결합하도록 설계되는 클램핑 장치를 통해 림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램핑 장치들은 슬라이딩 요소들에서 용이하게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후크 요소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후크 요소들은 슬라이딩 요소들에 단단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요소들은 후크 요소들이 선회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되는 핀-형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요소들 자체는 반경 방향으로 병진 운동 방식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초기 장착 섹션의 횡단 구조체(crosswise structure)에 부착될 수 있다. 횡단 구조체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스트럿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럿은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요소들 또는 슬라이딩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나사로서 설계되는 고정 수단에 의해 횡단 구조체 또는 스트럿들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이 차량 휠에 체결되고 나면, 트레드 섹션 또는 원주 세그먼트가 다양한 방식으로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전술한 것과 같은 체결 장치를 통한 다양한 종류의 체결이 고려될 수 있다.
슬라이딩 요소들의 이동은 각도 구동장치에 의해 또는 클램핑 레버에 의해 또는 또 다른 견인 장치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장착 섹션은 다양한 위치에서 슬라이딩 요소들을 정지시킴으로써, 다양한 림 직경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초기 장착 섹션의 경우, 트레드 섹션이 자체적으로 클램핑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자체적인 클램핑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먼저 초기 장착 섹션이 예를 들어 아래에 놓여진 클램핑 장치들에 의해 림 플랜지 뒤쪽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아래에 놓이는 클램핑 장치들은 스트럿들에 대해 이미 제자리에 정지되어 있다. 그 다음, 예를 들어 초기 장착 섹션의 위를 향하는 스트럿이 마찬가지로 림에 배치되어, 상측 클램핑 장치가 상기 상측 클램핑 장치가 체결되어 있는 대응하는 슬라이딩 요소와 함께 견인 장치에 의해 단순한 방식으로 림 플랜지를 향해 이동되어, 림 플랜지 뒤쪽에 결합할 수 있다. 그 다음, 슬라이딩 요소 또는 클램핑 장치는 고정 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스트럿에 대해 정지된다.
그 다음, 트레드 섹션의 제1 원주 세그먼트가 먼저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된다. 그 다음, 차량 휠이 회전하여, 트레드 섹션의 제1 원주 세그먼트가 도로와 접촉된다. 마지막 단계에서, 트레드 섹션의 제2 원주 세그먼트가 초기 장착 섹션에 부착된다.
예컨대 전술한 것과 같은 초기 장착 섹션의 경우, 먼저 초기 장착 섹션을 차량 휠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단계에서, 손상된 차량 휠로 작은 쐐기-형 램프 위로 운전하여, 펑크난 타이어를 갖는 차량 휠이 토로로부터 들어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은, 차량이 이미 램프 위에 올려졌을 때에 체결될 수도 있다. 원주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설계되는 트레드 섹션이라도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차량 휠 또는 림에 고정된(braced) 초기 장착 섹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드 섹션은 옵션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계되는 내측 방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 섹션은 외측 섹션의 반경 방향 내부에 놓이도록 배치되고, 외측 섹션은 원주 방향으로 갭이 있도록 설계되며, 외측 섹션은 부착물이 차량에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외측 방향이 폐쇄된 원형 트레드를 가지도록 갭에 수용되는 삽입 섹션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외측 섹션은 원주 방향으로 갭을 구비하기 때문에, 차량으로부터 차량 휠을 제거하거나 잭을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초기 장착 섹션과 삽입 섹션이 없는 트레드 섹션을 차량 휠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초기 장착 섹션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차량 휠에 체결될 수 있다. 그 다음, 트레드 섹션의 외측 섹션에 있는 갭은 지면과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되는 트레드 섹션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초기 장착 섹션과 트레드 섹션이 차량 휠에 부착될 때, 차량이 약간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차량 휠의 회전에 의해 갭이 지면을 향한 배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차량 휠의 반바퀴 만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러면 갭이 이제 더 이상 도로를 향해 배향되지 않고, 위쪽을 향한다. 이제, 삽입 섹션이 갭으로 삽입되어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taken up). 그러면, 부착물은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 원주 트레드를 구비한다. 그러면, 부착물의 조립이 완성되거나, 부착물이 추가적인 수단(예를 들어, 클램핑 장치)에 의해 차량 휠에 체결될 수 있다.
트레드 섹션은 환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형 부분은 외측 반경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부분들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존재할 수 있는 트레드 섹션의 원주 세그먼트들에 대응하게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부분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부분은 축 방향으로 트레드 섹션의 메인 부분에 부착되되, 부착물의 트레드를 형성하는 트레드 코팅이 트레드 섹션의 메인 부분과 환형 부분 사이에 마찰식으로 및/또는 능동적으로 유지되도록 부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 섹션은 캐스트(cast) 트레드, 바람직하게는 주조 가능한(castable) 폴리머로된 캐스트 트레드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트레드는 트레드 섹션 위에 주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는 트레드 섹션에 클램프-부착될 수도 있다. 클램핑은 정상적인 주행 작동에서 트레드와 트레드 섹션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 상대적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클램핑은 극단적인 가속 또는 극단적인 제동 작동에서는 트레드와 트레드 섹션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 상대적 이동이 발생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물은 옵션적으로, 부착물을 부착할 때 및/또는 트레드 섹션을 초기 장착 섹션에 체결할 때 및/또는 클램핑 장치를 작동시킬 때, 타이어를 림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도록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는 타이어 변위 장치를 포함한다.
타이어 변위 장치는 옵션적으로 클램핑 장치로부터 별도로 설계된다. 타이어 변위 장치가 클램핑 장치에 의해 또는 클램핑 장치의 하나의 섹션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은 옵션적으로,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로 이동될 때 추가적으로 림의 섹션 뒤쪽에 결합되어 있는 클램핑 장치의 후방 그립 섹션을 림의 섹션에 대항하여 추가적으로 고정(brace)하도록 설계된다.
고정 요소는 이동 가능한 클램핑 표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동 가능한 클램핑 표면은 돌출부, 특히 핀-형의 돌출부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설계되는 클램핑 장치의 섹션의 뒤쪽에 결합하도록, 그리고 상기 돌출부에 힘을 가하여 클램핑 장치의 후방 그립 섹션이 차량 휠의 림의 섹션 뒤쪽의 결합 위치로 가압되고 잠금 메커니즘이 고정 위치로 전환될 때 이러한 후방 결합에 고정(brace)되도록 설계 및 배치된다.
트레드를 갖는 기초 본체를 구비하는 부착물 또한 독립적인 발명이며, 이때 기초 본체는 전술한 트레드 섹션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이 전술한 클램핑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바람직하게는 잠금 메커니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착물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초기 장착 섹션은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부착물과 차량 휠의 시스템은 본 발명의 독립적인 양태이며, 부착물은 전술 및 후술하는 특징들을 가지거나, 전술 및 후술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설계될 수 있으며, 림은 림의 볼트 패턴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들로부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림의 중앙 개구로부터 거리가 있도록 바람직하게 이격되거나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설명된 개구는 폴리-제어 홀일 수 있지만, 부착물을 체결을 위해 특별히 제공되는 다른 개구일 수도 있다.
개구들의 중앙 지점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들의 중앙 지점을 지나 연장하는 원까지 거리가 있게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거리가 있게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개구들의 중앙 지점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모든 홀들에 외접하는 가장 작은 원을 형성하는 원에 거리가 있게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거리가 있게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른 부착물과 드라이브-온 요소(drive-on element)의 세트 또한 본 발명의 일부분이다. 드라이브-온 요소는 램프 방식, 특히 높고 평탄한 섹션(plateau section)을 갖는 램프 방식으로 설계되어, 차량 운전자가 펑크난 타이어로 상기 드라이브-온 요소 위로 운전하여 높고 평탄한 섹션에 도달하고, 여기서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는 여기서 상기 세트의 부착물을 차량 휠에 단순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적용 옵션들, 및 이점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유래하며, 특징들은 다시 한번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아도 독단적으로 그리고 다양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본질적일 수 있다.
도 1은 축 방향에서 본 차량 휠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차량 휠의 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다른 묘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의 부착물의 초기 장착 섹션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대안적인 초기 장착 섹션을 나타낸다.
도 10은 트레드 섹션의 두 원주 세그먼트 사이에 있는 접촉 표면 주위 영역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부착물의 다양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그립핑 장치를 나타낸다.
도 14는 또 다른 그립핑 장치를 나타낸다.
도 15는 조립식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클램핑 장치가 림 플랜지(림 플랜지는 도시되지 않음) 뒤쪽에 결합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7은 트레드 섹션을 초기 장착 섹션을 향해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갖는 부착물을 나타낸다.
이하의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품과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명확성을 위해 모든 도면부호가 모든 도면에 반복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차량 휠(1)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차량 휠(1)은 림(2)과, 림(2)에 장착되는 타이어(3)를 포함한다. 림(2)은 타이어(3) 없이 개별적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원주 방향(U)이 도면부호가 “U”인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축 방향(A)은 도면부호가 “A”인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도 2). 반경 방향(R)은 도면부호가 “R”인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림(2)은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차량 휠(1)의 볼트 패턴(4)을 포함한다. 볼트 패턴(3)의 중심에는 축 방향(A)을 따라 연장하는 차량 휠(1)의 회전 축(5) 둘레에 소위 중앙 개구(6)가 배치되며, 이는 일부 경우에는 허브 보어 또는 중앙 홀 센터링으로서도 지칭된다.
이때, 볼트 패턴(4)은 5개의 스크류 홀(7)을 포함하며, 이중 2개에 도면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휠(1)에서는, 5개의 스포크(8)가 볼트 패턴(4)의 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림(2)은 림 베드(rim bed)(9)와 림 플랜지(10)를 포함하고, 중앙 개구(6)는 오목한 원주 방향 홈(12)을 구비한다.
림(2)은 볼트 패턴(3)의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개구(13)를 구비한다. 개구(13)들은 림(2)에서, 홀(7)들이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도록 스크류 홀(7)에 대해 거리가 있도록, 그리고 림(2)의 중앙 개구(6)에 대해 거리가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개구(13)들은 폴리-컨트롤 홀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를 통해 차량 휠(1)의 축의 축방향 느슨해짐(axial play)을 측정할 수 있다.
차량 휠(1)의 타이어(3)에 구멍이 생긴 경우, 타이어 내 공기가 빠져나가 차량 휠(1)의 타이어 기능이 제한된다. 이러한 경우에 계속해서 주행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4)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물의 하나의 예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부착물(14)은 부착물(14)의 트레드(18)를 포함하는 트레드 섹션(16)과, 부착물(14)의 조립체 상에서 트레드(18)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초기 장착 섹션(20)을 갖도록 설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트레드 섹션(16)은 초기 장착 섹션(20)과 별개로, 초기 장착 섹션(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초기 장착 섹션(20)은 차량 휠(1)의 림(2)의 볼트 패턴(4)의 영역에서 차량 휠(1)에 체결되도록, 특히 핌(2)의 볼트 패턴(4)의 영역에서 능동-후방 결합 및/또는 마찰 연결을 통해 체결되도록 설계된다.
본 예시에서, 능동 후방 결합은 하나 이상의 그립핑 장치(22)에 의해 실현된다. 본 예시에서 그립핑 장치(22)는 확장 가능한(expandable) 섹션(24)을 포함한다. 그리핑 장치(22)는 본 예시에서 볼트 방식으로 또는 스프레드 가능한 슬리브(26)의 형태로 설계된다. 스프레드 가능한 슬리브로서 설계된 그칩핑 장치(22)는 차량 휠(1)의 림(2)에 있는 개구(13) 내로 삽입되도록 설계 및 배치된다.
트레드 섹션(16)은 원주 방향(U)으로 다수의 부품으로 설계되며, 여기서 트래드 섹션(16)은 제1 원주 세그먼트(32)와 제2 원주 세그먼트(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물(14)은 추가적으로 림(2)의 섹션,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10)의 뒤쪽에 결합(engage)하는 클램핑 장치(38)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도 4b 내지 도 4d). 본 예시에서, 클램핑 장치(38)는 트레드 섹션(16) 상에 배치된다.
초기 장착 섹션(20)은 제1 축 방향 부분(40)과 제2 축 방향 부분(42)을 구비한다. 초기 장착 섹션(20)이 서로의 안으로 또는 위로 가압되었을 때, 그립핑 장치(22)들은 제1 축 방향 부분(40)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축 방향 부분(42)에는 스프레드 가능한 슬리브(26)들 내에 삽입되는 핀-형 확장부(43)가 부착된다.
차량 휠(1)에 부착물(14)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프레드 가능한 슬리브(26)를 갖는 제1 축 방향 부분(40)이 개구(13)들 내에 삽입된다. 다음 단계에서, 핀-형 확장부(43)가 이미 개구(13)내에 위치되어 있는 스프레드 가능한 슬리브(26) 내로 도입되도록, 제2 축 방향 부분(42)이 제1 축 방향 부분(40) 위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스프레드 가능한 슬리브(26)들이 펼쳐져서, 개구(13)들의 뒤쪽에 능동(positive) 결합한다. 그립핑 장치(22)들이 차량 휠의 폴리-제어 홀들 뒤에 결합하면서, 초기 장착 섹션(20)이 능동 후방 결합에 의해 차량에 체결된다.
그 다음, 제1 원주 세그먼트(32)가 초기 장착 섹션(20)에 적용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38)는 각각, 림 플랜지(10)의 뒤쪽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인 제1 위치에서 버티고 있는(brace) 선회형 후크 요소(44)에 의해 형성된다.
후크 요소(44)는 후방 그립 섹션(46)을 구비하는데, 이는 림 플랜지(10)와의 후방 결합을 실현하도록 설계된다. 후크 요소(44)는 추가적으로, 후방 그립 섹션(46)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작동 섹션(48)을 포함한다. 후방 그립 섹션(46)은 선회 축(50)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된다. 작동 섹션(48)은 선회 축(50)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된다.
부착물(14)은 트레드 섹션(16) 상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는 접촉 요소(5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는 접촉 요소(52)들의 선회 가능성은 이들의 탄성 변형 가능성에 의해 제공된다. 접촉 요소(52)들은 림(2)을 보호하기 위해 축 방향(A)으로 차량 휠(1)을 향하는 측에 고무 코팅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접촉 요소(52)들은 차량 휠(1) 상의 부착물(14)의 조립체, 차량 휠(1)의 림(2)에 접촉하도록 설계 및 배치된다. 이들은 또한, 림(2)과 접촉할 때 후크 요소(44)들의 작동 섹션(48)과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접촉 요소(52)들의 각각은 접촉 섹션(54)을 구비하는데, 접촉 섹션은 트레드 섹션(16)이 차량 휠에 고정되었을 때, 차량 휠(1), 특히 차량 휠(1)의 림(2)이 접촉되어 접촉 섹션에 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설계 및 배치된다. 접촉 섹션의 작동에 의해, 후크 요소 상의 작동 섹션이 차례로 작동되어, 후크 요소(44)가 선회 축(50)에 대해 선회되고, 후방 그립 섹션(46)이 림(2)의 림 플랜지(10) 뒤쪽에 결합한다.
부착물(14)은 잠금 메커니즘(56)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잠금 메커니즘(56)은 래칭(latching) 요소(58)를 포함한다. 본 예시에서, 래칭 요소(58)는 스프링-사전 부하된 볼트(59)로서 구현된다. 클램핑 장치 또는 클램핑 장치의 후크 요소(44)가 후방 그립 섹션(46)이 림 플랜지 뒤쪽에 결합하고 있는 위치에 있을 경우, 래칭 요소(58)는 후크 요소(44) 상의 대응하는 오목부(60)와 결합한다. 후크 요소(44)에 의한 림 플랜지(10) 뒤쪽으로의 결합은 도 4에 다시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후크 요소(44)가 도 4e에 개별적으로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4e는 도 4d에서 하측에 도시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 섹션(48)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작동 섹션(48)은 본 후크 요소(44) 상에 배치되어, 제2 반경 방향(R2)으로의 표면의 거리가 선회 축(50)에서 보았을 때 선회 축(50)을 중심으로 제2 원주 방향(U2)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도록 설계된다.
도 4에 도시된 버전에서와 같이, 작동 섹션(48)은, 후크 요소(44)의 제1 선회 위치(S1)(도 4d의 상측)에서, 접촉 파트너를 향하는 작동 섹션(48)의 제1 섹션(62)이 선회 축(50)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작동 섹션 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 및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요소(44)의 제1 스윙(swing) 위치에서, 후크 요소(44)는 후방 그립 섹션(46)이 림 플랜지(10) 뒤쪽에 결합하지 않는다.
도 4의 예시에서, 접촉 파트너는 접촉 요소(52)로, 이는 탄력성 있게 설계되는 플레이트이다. 하지만, 접촉 파트너는 림이거나, 예를 들어 다르게 구성되는 접촉 요소(52)일 수도 있다.
후크 요소(44)의 제2 선회 위치(S2)(도 4d의 하측)에서, 후크 요소(44)는 후방 그립 섹션(46)이 림 플랜지(10) 뒤쪽에 결합한다. 이 위치에서 접촉 파트너를 향하는 작동 섹션(48)의 제2 섹션(64)은, 이 위치에서 선회 축(50)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작동 섹션(48)의 부분을 형성한다.
작동 섹션(48)은 제1 섹션(62)으로부터 제2 섹션(64)까지 연장하고, 후크 요소(44) 상에서 접촉 파트너를 향하는 면을 나타내거나, 접촉 파트너와의 접촉으로 인해 선회할 때 예를 들어 접촉 요소(52) 또는 림(2)에 접촉한다. 작동 섹션의 표면의 선회 축(50)까지의 거리는, 제1 섹션(52)으로부터 제2 섹션(53)으로 가면서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거리의 연속적인 감소로 인해, 접촉 요소(52)의 축 방향(A)으로의 운동이 후크(44)의 선회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후방 그립 섹션(46)은 선회 축(50)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작동 섹션(48)은 선회 축(50)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도 5는 작동 섹션(48)과 후방 그립 섹션(46)이 모두 선회 축(5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때, 상기 도면은 후방 그립 섹션(46)이 림 플랜지(10)와 후방 결합하는 제2 선회 위치(S2)를 도시한다.
도 5의 부착물(14)은 잠금 메커니즘(56)도 포함한다. 잠금 메커니즘(56)은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칭 요소(58)를 포함한다.
도 5의 잠금 메커니즘(56)은 또한, 부착물(14)이 차량 휠(1)에 부착되었을 때 고정 섹션(66)이 도로와 접촉하여, 이로 인해 차량 휠(1)이 회전할 때 고정 섹션(66)이 작동하도록, 특히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설계된다. 이때, 고정 섹션(66)은 트레드(18)에 배치된다.
잠금 메커니즘(56)은, 고정 섹셔(66)의 작동 시에, 고정 요소(68)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 위치(SP)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고정 위치에서 고정요소(원문에서는 'it'으로 표현되어 있음)는 단단하게(positively) 고정되는데, 이는 도 5의 경우 플레이트(72)와 적절하게 만들어진(executed) 개구(74)에 의해 안내되는 리브형(ribbed) 표면(70)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리브형 표면(70)은 비대칭으로 설계된 장치로, 개구(74)를 통해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가압되지 않도록 구현된다. 고정 요소(68)는 툴을 사용해야지만 고정 위시(SP)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위치(SP)에서, 고정 요소(68)는 클램핑 장치(38)를 림 플랜지(10)와의 후방 그립 위치에 단단하게 잠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계되는 접촉 요소(52)를 포함한다.
접촉 요소(52)는 클램핑 장치(38)로부터 분리되도록 설계되고, 부착물(14) 상에서, 특히 트레드 섹션(16) 상에서 축 방향(A)으로 변위 가능하게 또는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후크 요소(44)는 연장부(extension)(76)의 형태인 작동 섹션(48)을 포함한다. 연장부(76)는 접촉 요소(52)에 있는 오목부(78)에 결합한다. 이로 인해, 접촉 요소(52)의 축 방향(A)으로의 직선 운동이 후크 요소(44)의 선회 축(50)에 대한 선회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의 부착물(14)은 잠금 메커니즘(56)도 포함ㅎ나다. 잠금 메커니즘(56)은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칭 요소(58)를 포함하지만, 여기서 래칭 요소(58)는 클램핑 장치(38)랑만 상호작용하여 간접적으로 잠금한다. 잠금은, 래칭 요소(58)가 접촉 요소(52)를 블록킹 방식으로 잠금하고, 차례로 클램핑 장치(58)의 연장부(76)를 잠금하도록 수행된다.
접촉 요소(52)는 고무 코팅(82)으로서 만들어진 접촉 보호부(8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접촉 보호부는, 예를 들어 클램핑 장치(38) 자체가 접촉 섹션(54)을 포함할 때, 클램핑 장치(38) 상에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52)는 후크 요소(44)의 작동 섹션(48)과 상호 작용하는 서서히 변하는(graduated) 커플링 표면(82)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축 방향(A)을 향하는 접촉 요소(52)의 병진 운동이 후크 요소(44)의 선회 축(50)에 대한 선회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도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래칭 요소(58)가 간접적으로만 클램핑 장치(38)를 잠금한다.
도 7d는 차량 휠(1)과 림(2)에 부착된 상태에 있는 부착물(14)을 분명하게 도시한다.
도 8에는, 도 1의 초기 장착 섹션(20)이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초기 장착 섹션(20)은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안내 돌출부(84), 바람직하게는 핀-형 돌출부(84)를 구비한다.
트레드 섹션(16)은 안내 돌출부(84)의 각각에 대응하는 안내 개구(86)를 구비한다. 각각의 안내 개구(86)는 안내 돌출부(84)에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되어, 초기 장착 섹션(20)이 차량 휠(1)에 부착되었을 때, 트레드 섹션(16) 또는 트레드 섹션(16)의 일부분 또는 세그먼트(32, 34)가 초기 장착 섹션(20) 위에 배치되되, 각각의 안내 돌출부(84)가 안내 개구(86)에 결합하고, 트레드 섹션(16)의 초기 장착 섹션(20)과 차량 휠(1)에 대한 축 방향 조립 운동이 안내 돌출부(84)의 안내 개구(86)로의 결합에 의해 안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20)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84)를 구비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스트럿(strut)(88)을 구비한다.
도 4의 예시에서, 트레드 섹션(16)이 체결 장치(90)를 통해 초기 장착 섹션(2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체결 장치(90)는 초기 장착 섹션(20)에 체결될 때, 트레드 섹션(16)이 림(2)을 향해 축 방향(A)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예시에서는 체결 장치(90)가 나사 연결(92)로서 설계된다. 나사 연결을 조일 때, 트레트 섹션(16)은, 그립핑 장치(22)를 통해 차량 휠에 이미 체결되어 있는 초기 장착 섹션(20)을 향해 축 방향(A)으로 이동된다. 체결 장치(90)는 적어도 트레드 섹션(16)의 축 방향(A)으로의 이동을 전기적 및/또는 공압적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및/또는 프리로드, 특히 스프링 프리로드에 의해 지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나사 또는 체결 장치(90)에 대해 또 다른 방식으로 플러그 가능하거나 사용 가능한 기어 모터 또는 각각의 나사 또는 체결 장치(90)에 대한 통합형 기어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예시에서 전기 모터로서 설계되는 구동장치(15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장치(150)는 배터리로서 구현되는 에너지원(152)을 포함한다. 구동장치(150)는 초기 장착 섹션(20) 내에 분리 불가능하게 통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에너지원(152) 이외에도 또는 그 대신에, 구동장치는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의 연결부(154), 예를 들어 차량의 라이터(cigarette lighter)도 포함한다.
구동장치(150)는 체결 장치(9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결 장치(90)의 작동 시, 트레드 섹션(16)은 초기 장착 섹션(20)에 체결될 때 림(2)을 향해 축 방향(A)으로 이동한다.
부착물(14)은 각각 체결 장치(90)를 작동시킬 수 있는 2개의 구동장치(1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동장치에 의해 트레드 섹션(16)의 각각의 원주 세그먼트(32, 34)가 초기 장착 섹션(20)을 향해 축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동장치(150)는 툴 어플리케이션 지점(156)을 구비하는데, 이를 통해 에너지 공급원이 없을 때에 구동장치는 예를 들어 스패너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레드 섹션(16)은 다수의 스포크-형 스트럿(9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포크-형 스트럿은 반경 방향(R)으로 연장하고 갭(94)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갭(94)은 적어도 반경(98)에 대해 원주 연장부(1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주 연장부(100)는 스트럿(96)의 원주 연장부(102)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배는 크다.
도 9a는 초기 장착 섹션(2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9의 초기 장착 섹션(20)은 림 플랜지(10) 뒤쪽에 결합하도록 설계되는 클램핑 장치(38)를 통해 림(2)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예시의 경우, 클램핑 장치(38)는 슬라이딩 요소(104)에 선회 가능하게 용이하게 배치되는 후크 요소(44)들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후크 요소(44)들은 슬라이딩 요소(104)에 단단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요소(104)는 핀-형 돌출부(106)를 구비하는데, 여기에 후크 요소(44)가 선회 방식으로 부착된다. 슬라이딩 요소(104)들은 초기 장착 섹션(20)의 횡단(crosswise) 구조체(108)에 부착되되, 반경 방향(R)으로 병진 방식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횡단 구조체(108)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3개의 스트럿(109)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요소(104)들은 나사로서 설계되는 고정 수단(110)을 통해 횡단 구조체(108)와 스트럿(109)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20)이 차량 휠(1)에 체결되었을 때, 트레드 섹션(16) 또는 원주 세그먼트(32, 34)는 다른 방식으로 초기 장착 섹션(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체결이 전술한 체결 장치(90)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체결을 고려할 수 있다.
슬라이딩 요소(104)들의 이동은 각도 구동장치(angle drive)를 통해 또는 클램핑 레버를 이용하여 또는 또 다른 견인 구동장치(160)에 의해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9의 초기 장착 섹션(20)은 다양한 위치에서 슬라이딩 요소(104)들을 정지시킴으로써 다양한 림 직경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9b에서, 도 9a의 초기 장착 섹션(20)과 상기 초기 장착 섹션(20)에 특수하게 조정된 트레드 섹션(16)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트레드 섹션(16)은 자체적인 클램핑 장치(38)를 구비하지 않지만, 추가적으로 자체적인 클램핑 장치(38)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시된 변형예에서, 먼저 초기 장착 섹션(20)이 도 9b에서 아래에 놓여있는 클램핑 장치(38)와 림 플랜지(10) 뒤에서 후크될 수 있다. 이때, 아래에 놓여있는 2개의 클램핑 장치(38)는 스트럿(109)에 대해 제 자리에서 이미 정지되어 있다. 그 다음, 도 9b에서 위쪽을 향하는 초기 장착 섹션(20)의 스트럿(109)이 유사하게 림(2) 위에 놓여지고, 이로 인해 타이어가 단단한 연장부로서 설계되는 타이어 변위 구동장치(165)를 통해 림 플랜지(10)로부터 들어올려지고, 상측 클램핑 장치(38)와 상기 클램핑 장치가 체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104)가 견인 장치(160)를 통해 림 플랜지(10)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그 뒤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슬라이딩 요소(104)와 클램핑 장치(38)가 고정 수단(110)을 나타내는 나사(170)에 의해 대응하는 스트럿(109)에 대해 정지된다.
그 다음, 트레드 섹션(16)의 제1 원주 세그먼트(32)가 먼저 초기 장착 섹션(20)에 체결된다. 그 다음, 차량 휠이 회전되어, 트레드 섹션의 제1 원주 세그먼트(32)가 도로에 접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 트레드 섹션(16)의 제2 원주 세그먼트(34)가 초기 장착 섹션(20)에 부착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초기 장착 섹션(20)의 경우, 초기 장착 섹션(20)을 먼저 차량 휠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다음 단계에서, 손상된 차량 휠(1)로 작은 쐐기-모양 램프(ramp) 위까지 운전하여 바람빠진 타이어(3)를 갖는 차량 휠(1)이 도로로부터 들어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원주 방향(U)으로 일체형으로 설계되는 트레드 섹션(16)이 단순하게 차량 휠(1) 또는 림(2)에 고정된(braced) 초기 장착 섹션(20) 위에 매우 단순하게 놓여질 수 있다.
트레드 섹션(16)이 다수의 원주 세그먼트, 예를 들어 제1 원주 세그먼트(32) 및 제2 원주 세그먼트(34)를 구비하는 경우, 연결 장치(114)가 서로의 접촉면(112)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 장치(114)는 예를 들어, 스프링(115)을 통해 프리로드되어 있는 요소(116)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요소는 원주 세그먼트들 중 하나에 배치되어 접촉 면(112)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스프링-부하되어 돌출한다. 다른 원주 세그먼트에는 대응하는 오목부(118)가 배치되며, 스프링-프리로드된 요소(116)가 이러한 오목부 내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원주 세그먼트(32)가 초기 장착 섹션(20)에 체결되고 나면, 제2 원주 세그먼트(34)가 축 방향(A)으로 가압될 수 있다. 두 접촉면(112)들이 서로의 위에 슬라이드할 때, 스프링-프리로드된 요소((116)가 원주 방향(U)으로 제1 원주 세그먼트(32) 내로 가압되고, 제2 원주 세그먼트(34)가 축 방향(A)으로 제공된 위치 내로 완전히 가압될 때, 스프링-프리로드된 요소(116)가 제2 원주 세그먼트(34)에 있는 오목부(118)에 결합한다.
부착물(14)의 유리한 변형예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부착물(14)은 정확하게 2개의 원주 세그먼트(32, 34), 트레드 섹션(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두 원주 세그먼트 모두 180°의 원주 연장부를 갖는다. 원주 세그먼트(32, 3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 원주 세그먼트(32, 34)는 동일한 베이스 요소(1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요소(120)들은 캐스팅(122)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두 원주 세그먼트의 각각에, 각각 선회 가능한 후크 요소(44)로서 설계되는 정확하게 2개의 클램핑 장치(38)가 배치된다.
클램핑 장치(38)들은 원주 세그먼트(32, 34)의 베이스 요소(120)들 위에 나사 고정되는 조립식(prefabricated) 부품(123)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5 및 도 16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접촉 요소(52)가 조립식 부품(123)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 요소(120)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후크 요소들의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30mm, 바람직하게는 40mm, 특히 5mm인 연장부(12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메커니즘(56)이 도 11c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잠금 메커니즘(56)은, 도 11c에 도시되어 있는 후크 요소(44)에 잠금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126)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구현된다. 후크 요소(44)가 림 플랜지(10) 뒤쪽에서 결합하는 위치로 가기 전에는 래칭 요소(58)가 후크 요소(44)를 잠금하지 않고, 케이싱(126)으로부터 후방 섹션(128)으로 돌출한다. 후방 섹션(128)은 단일 색상,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26)으로부터 돌출하는 후방 섹션(128)은 축 방향(A)으로 보았을 때, 차량 휠(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부착물의 측면으로부터 가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착물(14)은 클램핑 장치(38) 또는 후크 요소들이 림 플랜지(10)와의 후방 결합으로 완전히 선회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시각적 체크를 포함한다. 이는 도 15에도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도 11의 부착물을 다시 한번 다양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초기 장착 섹션(20)은 초기 장착 섹션의 직경에 그립핑 장치(22)로서 압축 가능한 플러그-인 요소(130)들을 포함하도록 설계되며, 그립핑 장치(22)들은 림(2)의 전술한 개구(13), 특히 폴리-제어 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인 요소(130)들은 개구(13)의 뒤에 결합하도록, 또는 마찰방식으로 결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확실한 후방 결합 버전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초기 장착 섹션(20)은 스프레딩 요소(13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플러그-인 요소들을 펼치거나 또는 플러그-인 요소들에 삽입되었을 때 직경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자의 변형예는 특히 플러그-인 요소들이 폴리-제어 홀에 플러그될 때 직경이 감소되고, 완전히 플러그인 된 상태에서는 확장되어 폴리-제어 홀 또는 개구의 뒤쪽에 결합하도록 설계되는 경우에 말이 된다.
스프레딩 요소(132)는, 초기 장착 섹션(20)이 차량 휠(1)에 안전하게(in one piece) 부착되고 플러그-인 요소(132)가 림(2)의 개구(13), 특히 폴리-제어 홀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초기 장착 섹션(2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스프레딩 요소(132)는 아직 플러그-인 요소(130) 내로 삽입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다. 스프레딩 요소(132)들은 예를 들어 잠금 장치(134)를 통해 초기 장착 섹션(20)에 완전히 도입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장치(134)에 의한 장치의 해제에 이어서, 특히 초기 장착 섹션(20)으로의 추가적인 압력에 의해 초기 장착 섹션(20)의 일부분(138)을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A)으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잠금되지 않은 스프레딩 요소(132)를 플러그-인 요소(130)들 내로 완전히 도입시켜, 확실한 후방 결합 또는 마찰 결합에 의해 플러그-인 요소(130)들을 개구(13)에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초기 장착 섹션(20)은 제1 축 방향 부분(140) 및 제2 축 방향 부분(14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인 요소(130)들은 제1 축 방향 부분(140)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프레딩 요소(132)들은 제2 축 방향 부분(142)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축 방향 부분(140, 142)은 처음에는 서로로부터 거리가 있도록 이격되어 있고, 이러한 이격된 위치에서 잠금 장치(134)에 의해 잠금된다. 그 다음, 두 축 방향 부분(140, 142)을 갖는 초기 장착 섹션(20)이 차량 휠에 부착될 수 있고, 플러그-인 요소(130)들이 개구(13)들 내로 도입된다. 그 다음, 잠금 장치(134)가 잠금 해제되고, 초기 장착 섹션(20)을 더 가압함으로써 제2 축 방향 부분(142)이 제1 축 방향 부분(140)을 향해 이동되고, 스프레딩 요소(132)들이 플러그-인 요소(130)들 내로 진입하여, 확실한 후방 결합(도 14) 또는 마찰 결합(도 13)에 의해 플러그-인 요소(130)들을 개구(13)내에 단단하게 고정한다. 하지만, 스프레딩 요소(132)들의 삽입은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초기 장착 섹션(20)은, 초기 장착 섹션이 플러그-인 요소(130)들과 스프레딩 요소(132)들을 갖는 차량 휠(1)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러그-인 요소(130)들은 개구(13)들에 도입되고, 제2 단계에서 스프레딩 요소(132)들이 대응하는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되고, 대응하는 작동 메커니즘은 초기 장착 섹션(20)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작동 레버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확실한 후방 결합 또는 마찰 결합에 의해 플러그-인 요소(130)들을 개구(13)들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플러그-인 요소(130)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Claims (22)

  1.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주행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림(2)을 포함하는 차량 휠(1)용 부착물(14)로서, 부착물(14)은 상기 부착물(14)의 트레드(18)를 포함하는 트레드 섹션(16)을 구비하고, 림(2)의 섹션,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10)의 뒤쪽에 결합하도록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장치(38)를 포함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14)에 있어서,
    부착물(14)은 초기 장착 섹션(20)을 포함하고, 트레드 섹션(16)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초기 장착 섹션(20)과는 별도의 것으로 초기 장착 섹션에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설계되거나, 초기 장착 섹션(20)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설계되며, 초기 장착 섹션(20)은 부착물(14)이 차량 휠(1)에 체결될 때, 트레드(18)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놓이는 장치를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2.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38)가 트레드 섹션(1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38)가 초기 장착 섹션(2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섹션은 원주 방향(U)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32, 34)를 구비하며, 각각의 세그먼트는 트레드(18)의 원주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세그먼트들은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거나, 서로에 대해 선회 또는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물(14)은 접촉 섹션(54)을 포함하고, 접촉 섹션은 작동되었을 때, 특히 힘이 적용되었을 때, 클램핑 장치(38)를 작동시켜 클램핑 장치(38)를 림(2)의 섹션(10, 11),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10)에 후방 결합시키도록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부착물(14)이 차량 휠(1)에 체결될 때, 접촉 섹션(54)이 부착물(14)의 차량 휠(1)을 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섹션(16)은 정확하게 2개의 원주 세그먼트(32, 34)를 갖도록 설계되고, 특히 2개의 원주 세그먼트는 모두 180°의 원주 연장부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원주 세그먼트(32, 34)들은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원주 세그먼트(32, 34)들은 동일한 베이스 요소(120)들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요소(12)들이 캐스팅(casting)(122)으로서 설계되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원주 세그먼트(32, 34)의 각각에는 정확하게 2개의 클램핑 장치(38)가 배치되고, 각각의 클램핑 장치는 선회 가능한 후크 요소(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38)는 조립식 부품(prefabricated part)(123)으로서 설계되고, 바람직하게는 조립식 부품(123)이 원주 세그먼트(32, 34)들의 베이스 요소(120)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나사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52)가 조립식 부품(123) 상에 배치, 바람직하게는 조립식 부품에 볼트 고정(bolted)되고, 조립식 부품(123)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베이스 요소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잠금 메커니즘(56)이 조립식 부품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잠금 메커니즘(56)이 래칭 요소(58)를 포함하되, 래칭 요소는 클램핑 장치(38), 특히 후크 요소(44)를 잠금한 상태에서는 케이싱(126)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래핑 요소(58)가 후크 요소(44)를 잠금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케이싱(126)으로부터 섹션(128)만큼 돌출되도록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래칭 요소(58)의 케이싱(126)으로부터 돌출하는 섹션(128)이 축 방향(A)에서 보았을 때 부착물(14)의 차량 휠(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으로부터 가시적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섹션(128)이 신호(signal) 색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8.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조립식 부품(123)은 접촉 섹션(54)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조립식 부품(123)이 후크 요소로부터 분리되도록 설계되는 접촉 요소(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섹션(54)은 트레드 섹션(16) 상에 배치되어, 트레드 섹션(16)이 차량 휠(1)에 부착될 때, 차량 휠(1), 특히 차량 휠(1)의 림(2) 또는 초기 장착 섹션(20)에 접촉하고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작동되도록 설계 및 배치되거나, 또는 접촉 섹션(54)은 초기 장착 섹션(20) 상에 배치되어, 초기 장착 섹션(20)이 차량 휠(1)에 부착될 때, 차량 휠(1), 특히 차량 휠(1)의 림(2)에 접촉하고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작동되도록 설계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38)가 후방 그립 섹션(46)을 갖는 선회식 후크 요소(44)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 그립 섹션(46)은, 클램핑 장치(38)가 림 플랜지(10)와의 후방 결합에 있을 때, 림(2)의 림 플랜지(10) 뒤쪽에 결합하고, 바람직하게는 후크 요소에는 후방 그립 섹션(46)과 단단하게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후방 그립 섹션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작동 섹션(48)이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작동 섹션(48)이 후크 요소(44)의 선회 축(5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고, 특히 림 플랜지(10) 뒤쪽에 결합하는 후방 그립 섹션(46)은 후크 요소(44)의 선회 축(5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물(14)은 접촉 섹션(54)이 배치되어 있는 접촉 요소(52)를 구비하고, 접촉 요소(52)는 클램핑 장치(48)로부터 별도로 설계되며, 부착물(14)에서, 특히 트레드 섹션(16)에서 축 방향(A)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또는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물(14)은 잠금 메커니즘(56)을 포함하고, 잠금 메커니즘은 클램핑 장치(38)가 림 플랜지(10)와의 후방 결합에 있을 때, 클램핑 장치(38)를 잠금하도록, 특히 선회식 후크 요소(44)를 잠금하도록 설계 및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잠금 메커니즘(56)은 바람직하게는 프리로드된, 특히 스프링-프리로드된 래칭 요소(58)를 포함하고, 래칭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후크 요소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함으로써 후크 요소를 잠금하도록 설계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3.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잠금 메커니즘(56)은, 부착물(14)이 차량 휠(1)에 부착되었을 때, 그리고 차량 휠(1)이 회전하여 고정 섹션(66)을 작동시킬 때, 특히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힘으로 작용할 때, 고정 섹션(66)과 도로가 접촉하도록 설계되고, 잠금 메커니즘(56)은 고정 요소(68)가 고정 섹션(66)의 작동 시에 고정 위치(SP)로 이동되도록 설계되고, 고정 위치에서 고정 요소는 확실하게(positively) 유지되어 툴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요소(68)는 잠금 위치(SP)에서 클램핑 장치(48)를 림 플랜지(10)와 후방 결합 위치에 단단하게 잠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장착 섹션(20)은 축 방향(A)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핀-형인 안내 돌출부(84)를 포함하고, 트레드 섹션(16)은 안내 돌출부(84)와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개구(86)를 포함하여, 초기 장착 섹션(20)이 차량 휠(1)에 이미 부착되어있을 때, 트레드 섹션(16)이나 트레드 섹션(16)의 일부분이 초기 장착 섹션(20) 위에 배치되되, 안내 돌출부(84)가 안내 개구(86)에 결합하고, 트레드 섹션(16)의 초기 장착 섹션(20)과 차량 휠(1) 에 대한 축방향 조립 이동이 안내 돌출부(84)의 안내 개구(86)로의 결합에 의해 안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장착 섹션(20)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84)를 구비하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스트럿(8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6.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트레드 섹션(16)은 체결 장치(90)를 통해 초기 장착 섹션(20)에 특히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체결 장치(90)가, 트레드 섹션(16)이 초기 장착 섹션(20)에 체결될 때 림(2)을 향해 축 방향(A)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체결 장치(90)가 나사 연결을 포함하여, 나사가 조여질 때 트레드 섹션(16)이 초기 장착 섹션(20)을 향해 축 방향(A)으로 이동하며, 바람직하게는 체결 장치(90)가 전기적 및/또는 공압적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및/또는 프리로드, 특히 스프링-프리로드에 의해 트레드 섹션(16)의 축 방향(A)으로의 이동을 적어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섹션(16)이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R)으로 연장하고 갭(94)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스포크-형 스트럿(96)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갭(94)이 적어도 스트럿(96)의 원주 방향 연장부(102)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배 큰 반경(98)에 대해 원주 방향 연장부(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장착 섹션(20)은, 볼트 패턴(4)의 영역에 배치되는 림(2)의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개구(13)와의 그립핑 장치(22)의 확실한 후방 결합 및/또는 그립핑 장치(22)의 마찰 결합을 통해 차량 휠에 체결되도록 설계되고, 개구(13)는 림(2)에서, 림(2)에 있는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7)들과 거리가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림(2)의 중앙 개구(6)이거나, 림(2)의 회전 축(5)에 대해 거리가 있도록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그립핑 장치(22)의 적어도 일부분이 초기 장착 섹션(20)에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립핑 장치(22)는 확장 가능한 섹션(24)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확장 가능한 섹션은 볼트 패턴(4)의 영역에 있는 개구(13)의 뒤쪽에 결합되도록 설계되고, 및/또는 그립핑 장치(22)가 압축 가능한 섹션을 포함하고, 압축 가능한 섹션은 압축된 상태로 볼트 패턴(4)의 영역에 있는 개구(13)를 통해 안내되어, 개구(13)를 통해 안내되면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확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2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장착 섹션(20)은, 플러그-인 요소(130)들과 스프레딩 요소(132)들에 의해 차량 휠(1)에 부착되도록 설계되고, 플러그-인 요소(130)들은 개구(13)들 내로 도입되고 제2 단계에서 스프레딩 요소(132)들이 초기 장착 섹션(20)에 배치되는 대응하는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될 수 있고, 플러그-인 요소(130)들을 개구(13)에 확실한 후방 결합 또는 마찰 결합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플러그-인 요소(130)들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2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장착 섹션(20)은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U)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클램핑 장치(38)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초기 장착 섹션(20)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스트럿(109)을 갖는 횡단(crosswise) 구조체(108)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38)들 중 적어도 하나가 초기 장착 섹션(20)에 반경 방향(R)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R)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2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들은 부착물 상에서, 특히 트레드 섹션(16) 또는 초기 장착 섹션(20) 상에서, 서로 반경 방향으로 거리가 있도록 이격되어 있는 다양한 위치 단계에 고정되되, 각각이 다양한 림 직경으로 조정되는 다양한 위치 단계에 고정될 수 있고, 특히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장치(38)는 위치 단계들에서 반경 방향(R)으로 이동 가능,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가능하되, 서로로부터 거리가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위치 단계들이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보다 적게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KR1020207024216A 2018-01-22 2019-01-18 비상용 휠 KR102640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1355 2018-01-22
DE102018101355.8 2018-01-22
PCT/EP2019/051264 WO2019141816A1 (de) 2018-01-22 2019-01-18 Notlaufr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750A true KR20200111750A (ko) 2020-09-29
KR102640313B1 KR102640313B1 (ko) 2024-02-23

Family

ID=6540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216A KR102640313B1 (ko) 2018-01-22 2019-01-18 비상용 휠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2005732B2 (ko)
EP (2) EP3743289B1 (ko)
JP (2) JP7245264B2 (ko)
KR (1) KR102640313B1 (ko)
CN (2) CN111886140B (ko)
AU (1) AU2019209624B2 (ko)
BR (1) BR112020014615B1 (ko)
CA (1) CA3088230A1 (ko)
DE (1) DE102018111492A1 (ko)
ES (2) ES2918424T3 (ko)
MX (2) MX2020007747A (ko)
RU (1) RU2770715C2 (ko)
WO (2) WO2019141816A1 (ko)
ZA (1) ZA2020044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5182A1 (de) * 2017-07-06 2019-01-10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mit Montageelement
DE102017115184A1 (de) * 2017-07-06 2019-01-10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mit Selbstverspannung
DE102017123513A1 (de) * 2017-10-10 2019-04-11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DE102018111492A1 (de) * 2018-01-22 2019-07-25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DE102018010081A1 (de) * 2018-12-20 2020-06-25 Juliane Tsiberidou Notrad
DE112020005934A5 (de) 2019-12-03 2022-10-20 Helmut Schlitz Notlaufrad für ein fahrzeugrad
DE102020001324A1 (de) * 2020-02-28 2021-09-02 Gv Engineering Gmbh Notrad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20110141A1 (de) 2020-04-14 2021-10-14 Helmut Schlitz Notlaufrad für ein Fahrzeugra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9347A (en) * 1958-04-26 1961-06-20 Porsche Kg Auxiliary vehicle supporting device
JPS63134301A (ja) * 1986-11-27 1988-06-06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応急用タイヤ
EP2662222A1 (en) * 2011-01-06 2013-11-13 Lixin Zhou Auxiliary wheel, unassisted lifting jack and apparatus for unlocking and locking self-locking device of auxiliary wheel
US20200223252A1 (en) * 2017-07-06 2020-07-16 Gv Engineering Gmbh Self-bracing emergency wheel
US20210053391A1 (en) * 2018-01-22 2021-02-25 Gv Engineering Gmbh Emergency wheel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372A (en) 1909-05-17 1913-03-11 Alexander Turnbull Tire-armor.
GB219909A (en) * 1924-04-10 1924-08-07 Herbert Cromarty Banks Wigh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tachable treads for the wheels of agricultural tractors
US2454923A (en) * 1946-02-20 1948-11-30 Jr Alleyne C Howell Emergency wheel
FR1043038A (fr) 1951-05-30 1953-11-05 Roue de dépannage immédiat, sans cric, pour automobiles
GB857897A (en) * 1958-04-26 1961-01-04 Porsche Ferdinand 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xiliary supports for motor vehicles
US3112784A (en) 1960-09-19 1963-12-03 Montenare Anthony Demountable traction device for automobile wheels
US3112138A (en) * 1962-05-10 1963-11-26 Kauer John Anti-skid attachment for a vehicle wheel
DE1240430B (de) * 1962-11-16 1967-05-11 Continental Gummi Werke Ag Notlaufrad
US3679267A (en) * 1970-08-14 1972-07-25 Octave B Zachmann Spare wheel for automobile
GB1535272A (en) * 1976-01-10 1978-12-13 Nielsen K Coupling device for twin wheels
US4666216A (en) * 1985-08-16 1987-05-19 Irving Smith Emergency wheel mountable on vehicle wheel and method of use
JPS62216806A (ja) * 1986-03-17 1987-09-24 Miyoki Ara ワンタツチタイヤ防滑器
IL104368A (en) 1993-01-12 1996-03-31 Feldman Joseph Accessory for car wheels
US6068346A (en) * 1996-05-28 2000-05-30 Pender; David R. Add-on spare tir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6217125B1 (en) 1999-02-16 2001-04-17 Louis Raymond Tubetto Safety wheel assembly
JP2001071722A (ja) * 1999-09-03 2001-03-21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用外輪
WO2001038106A1 (de) * 1999-11-24 2001-05-31 Ats Plus Janus Gbr Notlauf-system mit aufrollprofil für kraftfahrzeuge
GB0213667D0 (en) * 2002-06-14 2002-07-24 Metcalfe Richard A Trim for a wheel rim
FR2885844B1 (fr) 2005-05-17 2007-07-27 Philippe Biesse Jante anti-enlisement
CN2846178Y (zh) * 2005-12-14 2006-12-13 毛登科 汽车爆胎后能维持其临时继续使用的车轮辅助装置
CN200942681Y (zh) * 2006-06-12 2007-09-05 何荣森 应急辅助轮装置
ES2378088T3 (es) * 2007-10-10 2012-04-04 King Saud University Sistema de rueda complementaria y/o de recambio para automóvil y procedimiento de elevación de un automóvil en el área de una rueda
US7731299B2 (en) * 2008-04-28 2010-06-08 Torek Thompkins Spare tire assembly
SE535226C2 (sv) * 2010-10-05 2012-05-29 Granstroem Konsult Ab T Anordning för att motverka ett hjulförsett fordons slirande
CN102555665A (zh) * 2012-02-16 2012-07-11 杜增辉 汽车冬季行车防滑方法及所用充气式外置防滑车轮
CN103129309A (zh) * 2013-03-11 2013-06-05 陇东学院 防汽车爆胎冰雪路行车安全助理
FR3053633A3 (fr) * 2016-07-08 2018-01-12 Michelin & Cie Enjoliveur flexible pour roue de vehicule a siege flottant, et roue a siege flottant equipee d'un enjoliveur flexible
DE102017101664A1 (de) * 2017-01-27 2018-08-02 Gv Engineering Gmbh 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17103101A1 (de) * 2017-02-15 2018-08-16 Gv Engineering Gmbh Notlauf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17115182A1 (de) * 2017-07-06 2019-01-10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mit Montageelement
DE102017123513A1 (de) * 2017-10-10 2019-04-11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DE102018010081A1 (de) * 2018-12-20 2020-06-25 Juliane Tsiberidou Notrad
DE102020001324A1 (de) * 2020-02-28 2021-09-02 Gv Engineering Gmbh Notradaufsatz für ein Fahrzeugra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9347A (en) * 1958-04-26 1961-06-20 Porsche Kg Auxiliary vehicle supporting device
JPS63134301A (ja) * 1986-11-27 1988-06-06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応急用タイヤ
EP2662222A1 (en) * 2011-01-06 2013-11-13 Lixin Zhou Auxiliary wheel, unassisted lifting jack and apparatus for unlocking and locking self-locking device of auxiliary wheel
US20200223252A1 (en) * 2017-07-06 2020-07-16 Gv Engineering Gmbh Self-bracing emergency wheel
US20210053391A1 (en) * 2018-01-22 2021-02-25 Gv Engineering Gmbh Emergency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3391A1 (en) 2021-02-25
JP7245264B2 (ja) 2023-03-23
MX2020007747A (es) 2020-09-25
WO2019141816A1 (de) 2019-07-25
ES2918424T3 (es) 2022-07-15
RU2770715C2 (ru) 2022-04-21
EP3743289B1 (de) 2023-06-21
AU2019209624B2 (en) 2024-04-11
JP2021512016A (ja) 2021-05-13
RU2020126303A3 (ko) 2022-02-28
AU2019209624A1 (en) 2020-07-30
DE102018111492A1 (de) 2019-07-25
BR112020014615A2 (pt) 2020-12-08
BR112020014736A2 (pt) 2020-12-08
JP7282102B2 (ja) 2023-05-26
KR102640313B1 (ko) 2024-02-23
WO2019141817A1 (de) 2019-07-25
ES2954471T3 (es) 2023-11-22
CN111918777A (zh) 2020-11-10
ZA202004498B (en) 2021-07-28
EP3743291A1 (de) 2020-12-02
US12005732B2 (en) 2024-06-11
CA3088230A1 (en) 2019-07-25
MX2020007749A (es) 2020-12-07
BR112020014615B1 (pt) 2023-11-21
RU2020126303A (ru) 2022-02-24
US11878550B2 (en) 2024-01-23
CN111886140B (zh) 2021-08-10
EP3743291B1 (de) 2022-05-04
EP3743289A1 (de) 2020-12-02
CN111886140A (zh) 2020-11-03
US20220348038A1 (en) 2022-11-03
CN111918777B (zh) 2021-11-23
JP2021512015A (ja)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313B1 (ko) 비상용 휠
JP7351965B2 (ja) 車両ホイールの緊急操作用アタッチメント
US11794514B2 (en) Emergency wheel with mounting element
KR102588558B1 (ko) 비상용 휠
US7426949B2 (en) Tool-free tire traction device
US11712923B2 (en) Self-bracing emergency wheel
CN110621511A (zh) 用于车轮的附接件
FR2759025A1 (fr) Systeme de montage/demontage d'une roue de vehic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