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206A -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206A
KR20200111206A KR1020207023771A KR20207023771A KR20200111206A KR 20200111206 A KR20200111206 A KR 20200111206A KR 1020207023771 A KR1020207023771 A KR 1020207023771A KR 20207023771 A KR20207023771 A KR 20207023771A KR 20200111206 A KR20200111206 A KR 20200111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on box
filter
dust collection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161B1 (ko
Inventor
웨이 후
시옌민 웨이
만즈 진
Original Assignee
지앙수 미디어 클리닝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앙수 미디어 클리닝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앙수 미디어 클리닝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11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63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 박스(10) 및 로봇 청소기(100)를 개시한다. 상기 집진 박스(10)는 로봇 청소기(100)에 사용된다. 상기 집진 박스(10)는 본체(12)와, 본체(12) 내부에 설치된 필터 브라켓(14)와, 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분리 구조(16)와, 필터 부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2)에는 공기 유입구(122) 및 공기 배출구(124)가 형성된다. 필터 브라켓(14)의 측면에는 구멍(142)이 형성된다. 분리 구조(16)는 본체(12) 내부에 설치되고 구멍(142)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한다. 필터 부재(18)는 필터 브라켓(14)에 설치되고 구멍(142)의 공기 배출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본 출원은 2018년03월30일에 중국국가지적재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1820465545.3인 특허 출원의 우선권 및 권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가전 제품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로봇 청소기가 작동할 때, 바닥의 먼지가 집진 박스로 흡입되고, 집진 박스로 유입된 공기는 헤파필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며, 먼지는 헤파필터에 의해 차단되어 집진 박스에 집진된다. 그러나, 집진 박스에서 공기와 먼지가 효과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배출되는 공기의 품질이 나빠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먼지가 집진 박스에 유입된 후 헤파필터에 직접 작용하여 헤파필터의 수명이 짧아지고 사용자가 자주 헤파필터를 교체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는 로봇 청소기에 사용되며, 상기 집진 박스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필터 브라켓;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하며, 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분리 구조; 및
상기 필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공기 배출측에 위치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는 먼저 분리 구조를 통해 대부분 먼지를 차단할 수 있고, 이어서 공기가 구멍을 통해 필터 부재로 유입되고, 다시 필터 부재에 의해 공기와 소량의 먼지로 분리되므로 배출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된다. 또한, 소량의 먼지 만이 필터 부재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부재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사용자는 필터 부재를 자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설치되는 집진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진 박스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필터 브라켓;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하며, 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분리 구조; 및
상기 필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공기 배출측에 위치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집진 박스는 먼저 분리 구조를 통해 대부분 먼지를 차단할 수 있고, 이어서 공기가 구멍을 통해 필터 부재로 유입되고, 다시 필터 부재에 의해 공기와 소량의 먼지로 분리되므로 배출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된다. 또한, 소량의 먼지 만이 필터 부재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부재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사용자는 필터 부재를 자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 장점은 다음의 설명과 더불어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알게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추가적인 측면 및 장점은 다음의 도면을 결부하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함과 더불어, 더욱 명백해지고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브라켓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브라켓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브라켓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조도이다.
[29]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 제시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30]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심”, “종 방향”, “횡 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위”, “아래”,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등 용어에 의해 지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기초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이며, 단지 본 발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장치 또는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가지거나 또는 특정된 방향에 따라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용어 “제1” 및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기술 특징의 수량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로 정의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을 명시 또는 암시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로 명시하거나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은 한, “복수”의 의미는 두개 이상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서, 명확하게 규정되거나 한정되지 않은 한, “설치”, “서로 연결” , “연결” 및 “고정” 등 용어는 광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바, 예를 들어,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고, 두 구성 요소 내부로 연통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의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10)는 로봇 청소기(100)에 사용된다. 집진 박스(10)는 본체(12)와, 본체(12) 내부에 설치된 필터 브라켓(14)와, 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분리 구조(16)와, 필터 부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2)에는 공기 유입구(122) 및 공기 배출구(124)가 형성된다. 필터 브라켓(14)의 측면에는 구멍(142)이 형성된다. 분리 구조(16)는 본체(12) 내부에 설치되고 구멍(142)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한다. 필터 부재(18)는 필터 브라켓(14)에 설치되고 구멍(142)의 공기 배출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10)는 먼저 분리 구조(16)를 통해 대부분 먼지를 차단할 수 있고, 이어서 공기가 구멍(142)을 통해 필터 부재(18)로 유입되고, 다시 필터 부재(18)에 의해 공기와 소량의 먼지로 분리되므로 배출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된다. 또한, 소량의 먼지 만이 필터 부재(18)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부재(18)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사용자는 필터 부재(18)를 자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로봇 청소기(100)가 작동할 때, 기계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내부와 외부 압력 차이의 작용에 의해, 먼지가 공기와 함께 공기 유입구(122)를 통해 본체(12) 내로 흡입된다. 먼지는 공기와 함께 본체(12)로 유입된 후, 대부분의 먼지, 특히 비교적 큰 먼지 입자는 분리 구조(16)에 의해 차단되어 본체(12)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소량의 미세 먼지 만이 공기와 함께 구멍(142)을 통해 필터 부재(18)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먼지가 필터 부재(18)에 의해 여과되고, 공기와 먼지가 효과적으로 분리되며, 배출되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된다. 따라서, 집진 박스(10)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품질이 나빠서 2차 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서, 집진 박스(10)의 화살표를 표시한 직선은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분리 구조(16)는 구멍(142)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하는데, 다시 말하면, 분리 구조(16)는 공기가 구멍(142)에 유입되기 전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구멍 (142)은 분리 구조(16)에 대해 집진 박스(10) 내 공기 흐름의 아래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공기가 구멍(142)으로 유입되기 전에, 먼저 분리 구조(16)를 만날 수 있도록 보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리 구조(16)는 필터 브라켓(14)의 밑부분의 경사면(141)이다.
분리 구조(16)는 필터 브라켓(14)의 밑부분의 경사면(141)인데, 다시 말하면, 분리 구조(16)와 필터 브라켓(14)은 동일한 본체이다. 따라서, 본체(12)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분리 구조(16)는 본체(12)의 밑부분을 향한 경사면(141)일 수 있고, 경사면(141)은 공기 유입구(122)와 반대편에 위치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 흐름에 대해 안내 효과를 가지며, 먼지가 본체(12)의 밑부분으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물론, 분리 구조(16)는 필터 브라켓(14)과 동일한 본체가 아닐 수 있고, 본체(12)의 다른 위치에 별도로 분리 구조(16)가 설치될 수 있다. 분리 구조(16)는 경사면, 구면, 비구면 등과 같은 안내면을 갖는 구조 부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부재(18)는 헤파필터, 필터 스폰지 및 활성탄 필터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헤파필터, 필터 스폰지 및 활성탄 필터는 모두 먼지를 여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터 부재(18)는 헤파필터, 필터 스폰지 또는 활성탄 필터일 수 있다. 물론, 필터 부재(18)는 헤파필터와 필터 스폰지의 조합, 헤파필터와 활성탄 필터의 조합 또는 필터 스폰지와 활성탄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부재(18)는 또한 헤파필터, 필터 스폰지 및 활성탄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부재(18)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고, 여과 요구 사항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브라켓(14)은 바닥판(144) 및 측면판(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면판(146)은 바닥판(144)에 연결되고 바닥판(144)과 함께 수용 공간(148)을 형성한다. 필터 부재(1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공간(148)에 위치한다. 바닥판(144)은 공기 유입구(122)와 반대되는 경사면(1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사면(141)은 분리 구조(16)를 형성하며, 구멍(142)의 공기 유입측의 뒷면이 공기 유입구(122)를 향한다.
공기 유입구(122)와 대향하는 경사면(141)은 분리 구조(16)를 형성하는데, 분리 구조(16)가 공기와 함께 본체(12)에 유입되는 대부분 먼지를 차단하기에 유리하며, 이와 동시에, 집진 박스(10) 내부의 구조 부재를 감소하여 집진 박스(10) 내부의 먼지 수집을 위한 공간을 최대화한다. 구멍(142)의 공기 유입측의 뒷면이 공기 유입구(122)를 향하며, 분리 구조(16)는 구멍(142)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한다. 구멍(142)이 공기 유입구(122)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설치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먼저 분리 구조(16)를 통과하여 분리 구조(16)에 의해 대부분의 먼지가 차단된 다음, 공기가 구멍(142)을 통과하고 다시 필터 부재(18)를 통과하여 필터 부재(18)에 의해 공기와 소량의 먼지가 분리됨으로써, 공기와 먼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되고 배출된 공기가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부재(18)는 기본적으로 수용 공간(148)에 위치하는데, 다시 말하면, 필터 부재(18)의 상부 표면이 필터 브라켓(14)의 상부 표면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데, 이는 필터 부재(18)와 필터 브라켓(14)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집진 박스(10)의 집진 공간을 보장함과 동시에, 집진 박스(10)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 부재(18)는 수용 공간(148)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데, 다시 말하면, 필터 부재(18)는 필터 브라켓(14)의 상부 표면에 대해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148)의 깊이가 더 작게 설계될 수 있거나 또는 돌출된 필터 부재(18)가 필터 부재(18) 또는 필터 브라켓(14) 상에 설치된 다른 구성 요소를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과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필터 부재(18)가 수용 공간(148)에 수용될 때, 필터 부재(18)가 필터 브라켓(14)에 더 잘 고정되도록, 필터 부재(18)의 일정한 변형이 허용된다. 물론, 패스너, 나사 등과 같은 보조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필터 부재(18)를 필터 브래킷(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브라켓(14)은 지지판(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판(143)은 수용 공간(148)에 위치하고 바닥판(144)과 측면판(146)을 연결하며, 필터 부재(18)는 지지판(143)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판(143)에 의해 필터 부재(18)가 지지되기에, 필터 부재(18)가 필터 브라켓(14) 상에 비교적 안정하게 배치될 수 있어 쉽게 편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구멍(142)을 통과한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하고, 먼지와 공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을 두고 수용 공간(148)에 설치된 복수개 지지판(143)을 포함하며, 필터 부재(18)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불균일한 힘으로 인한 필터 부재(18)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여 여과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122)와 공기 배출구(124)는 본체(12)의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122)는 공기 배출구(124)의 아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00)가 작동할 때, 공기 유입구(122)와 공기 배출구(124) 사이에 공기 흐름이 형성되어 먼지가 공기 흐름에 따라 공기 유입구(122)를 통해 본체(12)로 유입되고, 여과된 먼지는 공기 배출구(124)로의 유동이 차단되어 본체(12) 내에 남게 되며, 여과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된다. 물론, 공기 유입구(122)와 공기 배출구(124)는 본체(12)의 다른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22)와 공기 배출구(124)가 본체(12)의 동일한 측면에 설치될 때, 공기 배출구(124)는 또한 공기 유입구(122)의 아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12)의 밑부분에 먼지 배출구(126)가 형성된다. 집진 박스(10)는 본체(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먼지 배출구(126)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하부 커버(11)를 포함한다.
하부 커버(11)를 통해 본체(12) 밑부분의 먼지 배출구(126)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본체(12) 내 먼지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커버(11)는 대향하는 제1 측면부(112) 및 제2 측면부(114)를 포함한다. 제1 측면부(112)는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 커버(11)에 의해 먼지 배출구(126)가 폐쇄될 때, 제2 측면부(114)는 스냅 구조(13)를 통해 본체(12)에 스냅 핏 방식으로 연결된다.
스냅 구조(13)에 의해 하부 커버(11)를 통해 먼지 배출구(126)를 간편하게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하부 커버(11)에 의해 먼지 배출구(126)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제2 측면부(114)는 스냅 구조(13)를 통해 본체(12)에 스냅 핏 방식으로 더욱 신뢰성 있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로봇 청소기(10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할 때, 먼저 집진 박스(10)를 로봇 청소기(100)에서 꺼낸 후, 하부 커버(11)와 본체(12) 사이의 스냅 핏 연결을 해제하여 하부 커버(11)를 회전시켜 먼지 배출구(126)를 개방함으로써, 하부 커버(11)에 적재된 먼지가 하부 커버(11)의 회전에 따라 본체(12) 외부로 이동하게 하는데, 이와 같이 먼지를 제거할 때 본체(12) 내부의 필터 부재(18)와 필터 브라켓(14)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 청소 과정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제1 측면부(112)와 본체(12)의 회전 가능한 연결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부(112)에 회전축이 설치되고, 본체(12)에 스위칭 홀이 형성되며, 회전축이 스위칭 홀에 수용됨으로써, 제1 측면부(112)가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방향은 도 9에 도시된 아래 방향을 가리키고, 상부 방향은 도 9에 도시된 윗 방향을 가리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진 박스(10)는 버튼(15)을 포함한다. 버튼(15)은 회전축(152)을 포함하고 회전축(152)을 통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냅 구조(13)는 버튼(15)의 일단에 형성된 스냅 후크(132)와 제2 측면부(114)에 형성된 스냅부(134)를 포함한다. 버튼(15)은 본체(12)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윙한다.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하부 커버(11)가 먼지 배출구(126)를 폐쇄하도록, 스냅 후크(132)와 스냅부(134)는 스냅 핏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하부 커버(11)가 먼지 배출구(126)를 개방하도록, 스냅 후크(132)는 스냅부(134)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버튼(15)을 누른 후, 하부 커버(11)가 회전하여 먼지 배출구(126)를 개방하여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스냅 후크(132)와 스냅부(134)가 분리되며, 먼지 배출 방식이 간단하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후크(132)는 윗방향을 향한 스냅 체결 표면(1322)을 포함하고, 스냅부(134)는 스냅 스트립(1342)을 포함하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스냅 스트립(1342)이 스냅 체결 표면(1322)에 접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15)은 가압판(154)을 포함하고, 회전축(152)은 가압판(154)의 중앙 부분에 고정된다. 가압판(154)은 각각 회전축(152)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한 제1 스윙 단부(1542) 및 제2 스윙 단부(1544)를 포함한다. 스냅 후크(132)는 제1 스윙 단부(1542)에 형성되며, 제1 스윙 단부(1542)는 본체(12)와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스윙하고, 제2 스윙 단부(1544)는 본체(12)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스윙한다. 본체(12)에는 제2 스윙 단부(1544)가 스윙하기 위한 충돌 방지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스윙 단부(1542)가 본체(12)와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스윙할 때, 스냅 후크(132)가 스냅 스트립(1342)에서 분리되어 하부 커버(11)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충돌 방지 공간은 버튼(15)이 회전 과정에 본체(12)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판(154)과 본체(12)가 마주하는 표면에 탄성 부재(1546)가 설치되며, 정상 상태에서, 탄성 부재(1546)는 본체(12)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접촉하는 경우, 탄성 부재(1546)는 탄성을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탄성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탄력에 의해 제2 스윙 단부(1544)가 본체(12)와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구동되어 스냅 후크(132)와 하부 커버(11)의 스냅 핏 연결이 더욱 튼튼해진다.
제2 스윙 단부(1544)가 외력에 의해 본체(12)로 눌리워지는 경우, 탄성 부재(1546)가 압축되어 제1 스윙 단부(1542)가 본체(12)와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스윙하며, 스냅 후크(132)와 스냅 스트립(1342)이 분리되어 하부 커버(11)가 개방된다. 외력이 제거된 후, 탄성 부재(1546)가 제2 스윙 단부(1544)를 구동하여 본체(12)와 멀리 떨이진 방향으로 스윙하게 하며, 제1 스윙 단부(1542)가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546)는 가압판(154) 위의 탄성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546)는 스프링, 탄성 블록 등 다른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진 박스(10)는 본체(1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커버(17)를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 커버(17)를 분해한 후에 필터 브라켓(14), 분리 구조(16), 필터 부재(18) 등 구성 요소를 본체(12)에 넣거나 꺼내기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상부 커버(17)는 스냅 피팅, 스크류 연결 또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본체(12)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진 박스(10)는 집진 박스(10)의 부품 연결부에 설치되는 밀봉 부재(19)를 포함한다.
집진 박스(10) 내부의 부품 연결부의 기밀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부품 연결부에 밀봉 부재(19)를 설치하면 집진 박스(10)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로봇 청소기(100)의 집진에 유리하다. 밀봉 부재(19)는 밀봉 링 또는 밀봉 스트립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17)와 본체(12)의 상부 사이에 하나의 밀봉 링이 설치되고, 필터 브라켓(14)과 본체(12)의 내벽 사이에 하나의 밀봉 링이 설치되고, 하부 커버(11)와 본체(12)의 밑부분 사이에 하나의 밀봉 링이 설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기체(20)와, 기체(20)에 설치된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박스(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에서, 집진 박스(10)는 먼저 분리 구조(16)를 통해 대부분 먼지를 차단할 수 있고, 이어서 공기가 구멍(142)을 통해 필터 부재(18)로 유입되고, 다시 필터 부재(18)에 의해 공기와 소량의 먼지로 분리되므로 배출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된다. 또한, 소량의 먼지 만이 필터 부재(18)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부재(18)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사용자는 필터 부재(18)를 자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집진 박스(10)는 예컨대 스냅, 스크류, 접착제 등과 같은 방식으로 기체(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함은 제1 특징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되거나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위측” 및 “윗면”에 위치함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윗쪽, 경사지게 윗쪽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이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은 경우를 가리킬 수도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아래측” 및 “하면”에 위치함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측 또는 경사지게 아래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은 경우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이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상이한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특정 실시예의 구성 요소 및 설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이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예시에서 참조 번호 및/또는 참조 문자를 반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은 간략화 및 명확성을 위한 것이며, 그 자체는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설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된 공정 및 물질의 예를 제공하지만, 당업자는 다른 공정의 적용 및/또는 다른 물질의 사용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용어는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설명 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개략적인 표현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 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다양하게 변경, 수정, 교체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와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10 : 집진 박스; 12 : 본체;
122 : 공기 유입구; 124 : 공기 배출구;
126 : 먼지 배출구; 14 : 필터 브라켓;
142 : 구멍; 144 : 바닥판;
146 : 측면판; 148 : 수용 공간;
141 : 경사면; 143 : 지지판;
16 : 분리 구조; 18 : 필터 부재;
11 : 하부 커버; 112 : 제1 측면부;
114 : 제2 측면부; 13 : 스냅 구조;
132 : 스냅 후크; 1322 : 스냅 체결 표면;
134 : 스냅부; 1342 : 스냅 스트립;
15 : 버튼; 152 : 회전축;
154 : 가압판; 1542 : 제1 스윙 단부;
1544 : 제2 스윙 단부; 1546 : 탄성 부재;
17 : 상부 커버; 19 : 밀봉 부재;
100 : 로봇 청소기; 20 : 기체.

Claims (22)

  1. 로봇 청소기에 사용되는 집진 박스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박스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필터 브라켓;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하며, 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분리 구조; 및
    상기 필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공기 배출측에 위치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구조는 상기 필터 브라켓의 밑부분의 경사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헤파필터, 필터 스폰지 및 활성탄 필터 중의 임의의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은 바닥판과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판은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공기 유입구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의 공기 유입측의 뒷면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은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수용 공간에 위치하고 바닥판과 측면판을 연결하며, 상기 필터 부재가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공기 배출구의 아래측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밑부분에 먼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 박스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대향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 의해 상기 먼지 배출구가 폐쇄될 때, 상기 제2 측면부는 스냅 구조를 통해 상기 본체에 스냅 핏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박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냅 구조는 상기 버튼의 일단에 형성된 스냅 후크와 상기 제2 측면부에 형성된 스냅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본체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윙하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 커버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스냅 후크와 상기 스냅부는 스냅 핏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 커버가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스냅 후크는 상기 스냅부로부터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박스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박스는 상기 집진 박스의 부품 연결부에 설치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박스.
  12. 기체; 및
    상기 기체에 설치되는 집진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박스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필터 브라켓;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하며, 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분리 구조; 및
    상기 필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의 공기 배출측에 위치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구조는 상기 필터 브라켓의 밑부분의 경사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헤파필터, 필터 스폰지 및 활성탄 필터 중의 임의의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은 바닥판과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판은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공기 유입구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의 공기 유입측의 뒷면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은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수용 공간에 위치하고 바닥판과 측면판을 연결하며, 상기 필터 부재가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공기 배출구의 아래측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밑부분에 먼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 박스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대향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 의해 상기 먼지 배출구가 폐쇄될 때, 상기 제2 측면부는 스냅 구조를 통해 상기 본체에 스냅 핏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박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냅 구조는 상기 버튼의 일단에 형성된 스냅 후크와 상기 제2 측면부에 형성된 스냅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본체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윙하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 커버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스냅 후크와 상기 스냅부는 스냅 핏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 커버가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스냅 후크는 상기 스냅부로부터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박스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박스는 상기 집진 박스의 부품 연결부에 설치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207023771A 2018-03-30 2018-08-01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KR102391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465545.3 2018-03-30
CN201820465545.3U CN208659188U (zh) 2018-03-30 2018-03-30 集尘盒及扫地机器人
PCT/CN2018/098029 WO2019184173A1 (zh) 2018-03-30 2018-08-01 集尘盒及扫地机器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206A true KR20200111206A (ko) 2020-09-28
KR102391161B1 KR102391161B1 (ko) 2022-04-26

Family

ID=6582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771A KR102391161B1 (ko) 2018-03-30 2018-08-01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61289B2 (ko)
EP (1) EP3741280B1 (ko)
JP (1) JP7050943B2 (ko)
KR (1) KR102391161B1 (ko)
CN (1) CN208659188U (ko)
WO (1) WO2019184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008973U (zh) * 2019-05-20 2020-02-04 湖北滴水科技有限公司 一种自带毛刷与铲条的垃圾盒结构
CN214631951U (zh) * 2019-08-28 2021-11-09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用于机器人清洁器集尘杯的碎屑鳍片及集尘杯
CN110916568A (zh) * 2019-12-17 2020-03-27 上海高仙自动化科技发展有限公司 清洁装置和具有其的清洁机器人
WO2021189814A1 (zh) * 2020-03-25 2021-09-30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自移动清洁装置的集尘盒及具有其的自移动清洁装置
CN112246019B (zh) * 2020-08-28 2022-04-01 南京沃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设备生产用除尘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137510B (zh) * 2020-09-25 2022-04-26 苏州三六零机器人科技有限公司 集尘盒和扫地机器人
WO2022095935A1 (zh) * 2020-11-06 2022-05-12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用于扫地机器人的尘盒、扫地机器人及智能清洁系统
CN114271728B (zh) * 2021-12-31 2023-0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尘盒组件及清洁机器人
USD998271S1 (en) * 2022-02-09 2023-09-05 Beijing Roborock Technology Co., Ltd. Dust collecting box for a robotic vacuum cleaner
CN114747986A (zh) * 2022-05-11 2022-07-15 湖南炬神电子有限公司 一种双出尘口布局的吸尘盒
DE102022111867A1 (de) 2022-05-12 2023-11-16 Miele & Cie. Kg Staubbehälter, Saugroboter mit einem solchen Staubbehälter und Reinigungsstation für einen solchen Saugrobo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365A (ko) * 2001-12-28 2003-07-04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청소기용 집진장치 및 전기청소기
KR100818225B1 (ko) * 2006-12-22 2008-04-0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JP2015100513A (ja) * 2013-11-25 2015-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2015157138A (ja) * 2015-05-08 2015-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2017000252A (ja) * 2015-06-05 2017-01-05 株式会社マキタ 自走式集塵ロボ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6155A (en) * 1982-11-22 1984-08-21 Grave Dale L Recycling cleaning apparatus
JPH07265240A (ja) * 1994-03-31 1995-10-17 Hookii:Kk 床面掃除機における壁際用清掃体
KR200280377Y1 (ko) 1998-08-20 2002-11-23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용에어필터
US6599343B2 (en) * 2001-10-09 2003-07-29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 expandable and disposable media filter
JP2004141312A (ja) * 2002-10-23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GB2442211A (en) 2006-09-29 2008-04-02 Vax Ltd Cyclonic separator with dual dust receptacle arrangement
KR20080087596A (ko) *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EP1980188B1 (en) 2007-03-27 2012-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with improved dust collector
JP2011056156A (ja) * 2009-09-14 2011-03-24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JP5165095B2 (ja) 2011-08-15 2013-03-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080360B2 (ja) 2012-01-13 2017-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WO2013105431A1 (ja) * 2012-01-13 2013-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
CN203693491U (zh) * 2014-01-16 2014-07-09 湖南格兰博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吸尘器集尘过滤改良装置
CN204105894U (zh) * 2014-05-23 2015-01-21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吸尘器
JP2016073396A (ja) 2014-10-03 2016-05-12 株式会社マキタ 自走式集塵ロボット
CN204841212U (zh) * 2015-02-06 2015-12-09 杭州信多达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扫地机器人用集尘盒
CN105361819B (zh) * 2015-11-25 2018-07-31 福玛特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带空气净化功能的智能保洁机器人
CN206261556U (zh) * 2016-10-13 2017-06-20 傅丹 一种智能扫地机、智能吸尘器及其垃圾收集装置
KR102014140B1 (ko) * 2017-08-07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365A (ko) * 2001-12-28 2003-07-04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청소기용 집진장치 및 전기청소기
KR100818225B1 (ko) * 2006-12-22 2008-04-0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JP2015100513A (ja) * 2013-11-25 2015-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2015157138A (ja) * 2015-05-08 2015-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2017000252A (ja) * 2015-06-05 2017-01-05 株式会社マキタ 自走式集塵ロボ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3892A (ja) 2021-06-03
CN208659188U (zh) 2019-03-29
US10561289B2 (en) 2020-02-18
WO2019184173A1 (zh) 2019-10-03
US20190298127A1 (en) 2019-10-03
US11089929B2 (en) 2021-08-17
EP3741280A1 (en) 2020-11-25
US20200178743A1 (en) 2020-06-11
EP3741280B1 (en) 2023-07-05
KR102391161B1 (ko) 2022-04-26
EP3741280A4 (en) 2021-03-24
JP7050943B2 (ja)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1206A (ko)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KR102318259B1 (ko)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US10485394B2 (en) Dust collection box and robot vacuum cleaner
US7785381B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combined compacting and filter cleaning for a vacuum cleaner
US8424153B2 (en) Vacuum cleaner and filters therefor
US8951319B2 (en) Ai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119286A (ko)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JP4438723B2 (ja) エアクリーナ
JP4753847B2 (ja) 電気掃除機
RU25637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стельных принадлежностей
CN114587222A (zh) 尘盒组件及清洁机器人
JP2012050762A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US20050188497A1 (en) Air discharge structure for a vacuum cleaner
CN218044933U (zh) 清洁设备和清洁系统
CN215838709U (zh) 尘杯组件以及吸尘设备
JP2017189734A (ja) 清浄空間に用いるバキュームクリーナー
CN209808201U (zh) 手持式清洁设备
CN217330197U (zh) 出风装置及家用电器
CN115486747A (zh) 一种分离集尘装置及清洁装置
JP2016087490A (ja) 集塵機
CN115590405A (zh) 尘杯组件以及吸尘设备
CN115813283A (zh) 尘桶、集尘站及扫地机器人系统
KR20030048300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장착장치
JP200331049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