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185A -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185A
KR20040036185A KR1020020065006A KR20020065006A KR20040036185A KR 20040036185 A KR20040036185 A KR 20040036185A KR 1020020065006 A KR1020020065006 A KR 1020020065006A KR 20020065006 A KR20020065006 A KR 20020065006A KR 20040036185 A KR20040036185 A KR 2004003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ver
filter assembly
cleaning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866B1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8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집진유니트는, 상단부가 개구된 원통형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커버(140)와; 상기 커버의 저면 중심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10)를 포함하는 원통형 필터어셈블리(F); 그리고 상기 커버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에서 필터어셈블리의 필터에 접촉하는 크리닝부(132)를 구비하는 크리닝부재(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필터어셈블리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필터크리닝장치{Device for cleaning filters for vacuum cleaners}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싸이클론방식의 집진과 필터에 의한 집진을 동시에 수행하는 집진유니트에서 필터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진공청소기의 본체에는, 청소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노즐(도시 생략)을 통하여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이렇게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10) 내부에서 필터링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의 필터링은, 상기 집진유니트(20)에서 진행된다. 즉, 상기 집진유니트(20)는,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에서, 싸이클론집진 방식에 의한 1차집진과,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22)에 의한 2차집진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2차집진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부(12)를 통하여 본체(10)에서 완전히 빠져나가게 된다.
다음에는 도 2를 참고하면서, 상기 집진유니트(2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집진유니트(20)는, 상단부가 개구된 원통상의 케이싱(24)과, 상기 케이싱(24)의 개구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커버(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케이싱(24)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면서 내부에서 형성되는 나선류에 의하여 1차적으로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을 수행한다. 이러한 싸이클론방식의 1차집진시,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은 상기 집진케이싱(24)의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6)의 하측면에는 원통상의 필터(2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22)는, 외부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미세한 먼지 등을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있다.
상기 케이싱(24)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필터(22)의 내부와 연통하면서 커버(26)의 상면에 형성된 출구(27)를 통하여 나오게 된다. 상기 출구(27)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경로를 따라서, 상술한 배기부(12)를 통하여 완전히 외부로 배기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체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22)의 외측면에는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필터(22)의 경우, 이와 같이 이물질이 표면에 쌓이게 되면, 공기를 통과시키는 힘이 미약해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진공청소기의 흡입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필터의 집진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필터(22)는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청소를 해주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필터(22)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6)에서 필터를 분리한 후에, 물 또는 에어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필터를 청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22)를 커버(26)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청소를 수행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유니트자체에서 필터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필터의 크리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필터의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내부에 장착된 필터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를 크리닝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진공청소기 자체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집진유니트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필터의 장착 및 분리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싱110 ..... 필터
112 ..... 상부프레임114 ..... 하부프레임
130 ..... 크리닝부재132 ..... 크리닝부
134 ...... 고정부140 ..... 커버
F ..... 필터어셈블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는, 상단부가 개구된 원통형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저면 중심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원통형 필터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커버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에서 필터어셈블리의 필터에 접촉하는 크리닝부를 구비하는 크리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필터어셈블리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커버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형상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링형상의 하부프레임, 그리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상의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이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재는 하나의 원통상으로 성형되거나, 상기 크리닝부재는, 필터에 접촉하는 크리닝부가 복수개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의 단면도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유니트는, 상단부가 개구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커버(14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40)의 중심부분 하부에는, 필터어셈블리(F)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어셈블리(F)는, 커버(140)의 중심 저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회동 가능한 각도는 제한될 수 없지만, 후술하는 크리닝부재(130)가 필터(110)의 전체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크리닝부재(130)가 180도 간격으로 설치된 크리닝부(132)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F)는 적어도 180도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어셈블리(F)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제한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상단부를 나사결합방식으로 커버(140)에 결합함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상단부가 커버(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F)는, 상단부를 형성하는 링형상의 상부프레임(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12)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고 하단부를 형성하는 링형상의 하부프레임(114),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4) 사이에 개재되는 원통상의 필터(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12,114)은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중간부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110)는,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상하부프레임(112,114) 사이에 원통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10)는, 외측에서 내부로 향하는 공기가 흐르게 되면,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110)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필터(110)는 원주방향으로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는 일정한 직선형상이 나타나도록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상부프레임(112)은, 커버(1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12)를 커버(1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에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커버(140)의 저면에는, 크리닝부재(130)이 설치된다. 상기 크리닝부재(130)는, 커버(140)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부(134)와, 상기 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후, 그 단부가 상기 필터(110)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크리닝부(1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34) 및 크리닝부(132)는,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상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로 구성하여 필터(110)의 외측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크리닝부(132)는, 필터(11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110)의 회전에 의하여 그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크리닝부(132)는, 단부에 복수개의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필터(110)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어떠한 부재 또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40)의 상면에는, 손잡이(1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16)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손잡이(116)의 회전에 의하여, 커버의 하부에 설치된 필터어셈블리(F)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16)는 필터어셈블리(F)의 상부프레임(112)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로 성형하고 상부프레임(112)와 연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결합구성을 가지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필터크리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진공청소기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상기 필터(110)의 외측면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붙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상기 필터(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경우 필터(110)에 의하여 걸러지는 이물질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물질이 일정 수준 이상 필터(110)의 외측면에 붙어 있으면,필터(110)를 청소해야 한다. 필터(110)의 청소를 위하여, 상기 커버(140)의 상면에 설치된 손잡이(116)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손잡이(116)의 회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필터(110)도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필터(110)가 회전하게 되면, 고정된 상태의 상기 크리닝부(132)는 필터(110)의 외측면과 접촉하면서, 그 외측면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110)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110)를 상기 커버(140)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털어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어셈블리(F)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크리닝부재를 이용하여 필터어셈블리를 분리하지 않고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어셈블리(F)를 커버(140)에서 분리하지 않고, 필터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진공청소기는, 필터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보다 편리하게 털어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어서, 사용상 더욱 편리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상단부가 개구된 원통형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커버(140)와;
    상기 커버의 저면 중심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10)를 포함하는 원통형 필터어셈블리(F); 그리고
    상기 커버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34)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에서 필터어셈블리의 필터에 접촉하는 크리닝부(132)를 구비하는 크리닝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필터어셈블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커버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형상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링형상의 하부프레임, 그리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상의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이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재(130)는 하나의 원통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재(130)는, 필터에 접촉하는 크리닝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20020065006A 2002-10-23 2002-10-23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57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006A KR100572866B1 (ko) 2002-10-23 2002-10-23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006A KR100572866B1 (ko) 2002-10-23 2002-10-23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185A true KR20040036185A (ko) 2004-04-30
KR100572866B1 KR100572866B1 (ko) 2006-04-24

Family

ID=3733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006A KR100572866B1 (ko) 2002-10-23 2002-10-23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33A1 (ko) * 2009-05-11 2010-11-1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874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3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013378B2 (en) 2018-04-20 2021-05-25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787457B1 (en) 2018-05-01 2023-03-01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AU2019306655A1 (en) 2018-07-20 2021-02-2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33A1 (ko) * 2009-05-11 2010-11-1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8763201B2 (en) 2009-05-11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dust-remo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2866B1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834B2 (en)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US6916351B2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RU2437611C2 (ru) Портативный чистящий прибор
EP1674022B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RU2314011C2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US11224321B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GB2398483A (en) Cyclone separator for vacuum cleaners with automatic filter cleaning
KR2006000836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6596047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20020085478A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장치
KR100572866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190063521A (ko) 방향성을 갖는 습식 공기청정기
WO2002078506A1 (en) Air cleaner with washable filter
KR100657923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식 집진유니트
KR100657922B1 (ko) 진공청소기
KR100582063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JPH08257336A (ja) 空気清浄装置
KR10063361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82047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KR10064789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메쉬 필터
JPH07124076A (ja) 無フィルター方式の液体濾過真空掃除機
KR2006000836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30094873A (ko)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20030017184A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
KR100657924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