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672A -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 Google Patents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672A
KR20200101672A KR1020190019819A KR20190019819A KR20200101672A KR 20200101672 A KR20200101672 A KR 20200101672A KR 1020190019819 A KR1020190019819 A KR 1020190019819A KR 20190019819 A KR20190019819 A KR 20190019819A KR 20200101672 A KR20200101672 A KR 20200101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uct
undercover
body por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914B1 (ko
Inventor
박남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914B1/ko
Priority to DE102019217285.7A priority patent/DE102019217285A1/de
Priority to CN201911132268.XA priority patent/CN111591359B/zh
Priority to US16/691,349 priority patent/US11136076B2/en
Publication of KR2020010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2Streamlining the under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및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하면에 장착되는 면체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하며, 바디부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디부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바디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주행 중 관통구멍에 발생된 정압력 변화에 의해 바디부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디부 하부로 이동되고, 관통구멍을 통해 언더커버 상부에 위치하는 열교환장치에 존재하던 공기가 언더커버 하부로 이동하게되므로, 프론트 그릴을 통해 열교환장치에 공급되었던 공기가 쉽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및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Air amplification undercover}
본 발명은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 그릴을 통해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대시키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면부에는 야간 주행시 점등되는 전조등, 코너 진입시 점등되는 방향지시기 등의 광발생 장치와, 냉매의 열을 공기중으로 발산시키는 라디에이터 등의 열교환장치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부 중심에 프론트 그릴이 위치되고, 프론트 그릴 좌우에 광발생 장치가 대칭적으로 위치되고, 열교환장치는 프론트 그릴 후위에 위치된다.
한편, 주행시 대기에 의한 공기저항이 자동차의 구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동력 장치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공기저항으로 손실되는 바, 동력 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공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자동차 외관이 디자인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전면부, 본넷트, 윈드실드, A필러, 루프, 트렁크는 각진 형태가 배제되고, 곡선형태로 디자인되고 있다. 자동차 상면에 해당하는 각 부위가 곡선형태로 제작되는 바, 주행 시 주행 방향에 존재하는 공기들이 자동차 표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공기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자동차 상면 외에도 자동차 하면 형태에 따라 공기저항이 증대될 수 있다. 자동차 하면에는 엔진을 지지하는 서포터, 서스펜션, 유니버셜 조인트, 트렌스 미션 및 각종 브라켓이 존재하는 바, 주행 중 자동차 하면에 유동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킬 여지가 높다. 더욱이, 자동차 하면에 해당하는 각 부위가 연속된 공기의 흐름을 끊고 유동 공기와 직접 대면해 공기 저항을 크게 상승시킬 여지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자동차 하면 중 지면과 접하는 타이어 외에는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언더커버가 장착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부 프론트 그릴을 통해 열교환장치로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자동차 상면은 공기저항을 낮출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자동차 하면에는 공기저항을 낮출수 있도록 언더커버가 장착되고 있다.
따라서, 프론트 그릴을 통해서 열교환장치로 유입된 공기는 엔진룸에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는 한, 열교환장치로부터 자동차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교환기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9266호(2018.06.25.)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장치로 유입된 공기가 언더커버를 통해 자동차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함으로써, 열교환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는, 자동차 하면에 장착되는 면체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하며, 바디부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디부 하부로 이동하도록 바디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에 저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덕트가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관통구멍은 덕트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은, 덕트의 폭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고, 덕트는, 관통구멍에 의해 자동차 진행 방향측 제1 몸체부와 자동차 반 진행 방향측 제2 몸체부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는, 관통구멍으로부터 자동차 진행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몸체부는 관통구멍으로부터 자동차 반진행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과 인접한 제1 몸체부의 단부의 높이가 관통구멍과 인접한 제2 몸체부의 단부 높이에 비해 작을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과 대칭을 이루도록 덕트 하부에 가이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덕트의 넓이가 가이드의 넓이에 비해 클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자동차 주행 중 바디부 하부에 유동하는 공기를 덕트로 유도하는 진입부와, 진입부로부터 바디부와 수평하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입부는, 연장부와의 경계지점으로부터 자동차가 주행 중인 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입부와 연장부의 경계 지점이 제1 몸체부와 관통구멍의 경계지점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에 관통구멍 및 덕트가 1개 이상 구비되고, 바디부 좌우측에 가까운 사이드 덕트의 높이가 바디부 중심에 위치된 센터 덕트의 높이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덕트에 구비된 관통구멍의 폭이 센터 덕트에 구비된 관통구멍의 폭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는, 자동차 하면에 장착되는 면체 형상의 바디부와, 자동차 주행 중 바디부 하부에 유동하는 공기를 바디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바디부에 바디부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가이드에 의해 상기 바디부 하부로 유도된 공기에 의해 상기 바디부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바디부 하부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에 저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덕트가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관통구멍은 덕트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은, 덕트의 폭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고, 덕트는, 관통구멍에 의해 자동차 진행 방향측 제1 몸체부와 자동차 반 진행 방향측 제2 몸체부로 구획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는, 자동차 하면에 장착돼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언더커버에 있어서, 프론트 그릴을 통해 엔진룸으로 유입된 공기를 자동차가 주행 중인 지면으로 이동시켜 프론트 그릴 후위에 위치된 라디에이터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엔진룸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면이 유선형인 박스형태의 덕트가 구비되고, 자동차 하면에 유동하는 공기가 덕트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덕트로 자동차 하면에 유동하는 공기를 유도하는 가이드가 장착되고, 덕트에 엔진룸과 자동차 하부를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증대됨에 따라 관통구멍 및 덕트 내측의 정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은, 덕트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의 폭은 덕트의 폭과 동일하고, 가이드의 길이는 덕트 길이에 비해 짧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는, 자동차 하면에 장착되는 면체 형상의 바디부와, 바디부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디부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바디부에 형성된 유동유도부를 포함하며, 주행 중 유동유도부에 발생된 정압력 변화에 의해 바디부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디부 하부로 이동된다.
또한, 유동유도부는, 바디부에 형성된 배출구멍과, 배출구멍을 바디부 상부를 향해 개구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배출구멍을 덮도록 바디부에 장착된 덕트와, 바디부 하부에 유동하는 공기를 덕트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배출구멍에 장착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덕트는, 가이드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덕트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면이 유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관통구멍은, 가이드를 통해 덕트로 이동된 공기가 바디부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덕트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덕트는, 관통구멍에 의해 차량 전면부 방향인 제1 몸체부와 차량 후면부 방향인 제2 몸체부로 구획되고, 관통구멍과 인접한 제1 몸체부의 단부 높이가 관통구멍과 인접한 제2 몸체부의 단부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제1 몸체부는 절곡부로부터 제1 몸체부의 단부까지의 구간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자동차 주행 중 바디부 하부에 유동하는 공기를 덕트로 유도하는 진입부와, 진입부로부터 바디부와 수평하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입부는 제1 몸체부 아래에 위치되고, 연장부는 배출구멍과 제2 몸체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진입부는 연장부와의 경계지점으로부터 자동차가 주행중인 지면을 향해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의 길이는 덕트의 제2 몸체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에 따르면, 관통구멍을 통해 언더커버 상부에 위치하는 열교환장치에 존재하던 공기가 언더커버 하부로 이동하게되므로, 프론트 그릴을 통해 열교환장치에 공급되었던 공기가 쉽게 배출된다.
특히, 열교환장치에 공급되고 배출되는 공기 유량이 증대되므로,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더라도 동일한 열교환 성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열교환장치의 크기가 감소되므로, 제작 비용이 감소되고, 차량 경량화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풍량이 증촉되는 언더커버가 장착된 차량의 하면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의 제작방법의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는, 자동차 하면에 장착되는 면체 형상의 바디부(100)와, 바디부(100)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디부(100)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바디부(100)에 형성된 관통구멍(200)을 포함하며, 주행 중 관통구멍(200)에 발생된 정압력 변화에 의해 바디부(100)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디부(100) 하부로 이동된다.
바디부(100)는, 차량 전면부 하단에 위치되고, 폭방향 양단이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 전면하단부(110)와, 조향휠에 장착된 타이어 일측에 위치되도록 전면하단부(110)에서 연장된 타이어측면부(120)를 포함한다. 전면하단부(110)와 타이어측면부(120)는 지면을 향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디부(100)는 차체와 연결되는 고정부가 복수개 구비된다. 고정부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관통구멍(200)은, 바디부(100)의 타이어측면부(120)에 복수개 형성된다. 바디부(100)에 저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덕트(210)가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관통구멍(200)은 덕트(210) 상면에 위치된다. 관통구멍(200)은, 덕트의 폭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덕트(210)는, 관통구멍(200)에 의해 자동차 진행 방향측 제1 몸체부(211)와 자동차 반 진행 방향측 제2 몸체부(212)로 구획될 수 있다.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유체의 유속이 높은 곳에서 정압력은 감소되고, 유체의 유속이 없는 곳에서 정압력은 최대가 된다. 덕트(210)에 유속이 자동차 하부 유동 공기가 유동하게 되므로,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관통구멍(200)의 정압력이 낮아진다. 관통구멍(200)에 발생된 정압력 감소에 의해 타이어측면부(120) 상부에 위치된 열교환장치 후단(B)에 정체된 공기가 관통구멍(200)으로 유도된다. 관통구멍(200)으로 이동된 열교환장치 후단(B)에 정체된 공기는 관통구멍(200)을 통해 덕트(210)로 유입되고, 제2 몸체부(212)을 통해 자동차 하부로 배출된다.
일예에 따르면, 바디부(100)에 배출구멍(300)이 형성되고, 관통구멍(200)이 상면에 형성된 덕트(210)이 배출구멍(300)을 덮도록 바디부(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배출구멍(300) 및 관통구멍(200)의 형태에 따라, 덕트(210) 내부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기량이 변경될 수 있고, 덕트(210)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덕트(210)와 대칭을 이루도록 관통구멍(200) 하부에 가이드(220)가 장착된다. 덕트(210)는, 가이드(220)를 통해 덕트(210) 내측으로 이동된 공기가 덕트(22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며 유속이 상승하도록 상면이 유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가이드(220)를 통해 덕트(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선형인 덕트(220)의 내부면을 따라 유동할 경우, 비행기 날개에 양력이 발생되듯, 공기의 이동 거리가 증대되 유속이 증대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210) 내부 및 관통구멍(200)의 정압력이 감소된다.
관통구멍(200)은, 가이드(220)를 통해 덕트(210)로 이동된 공기가 바디부(100)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덕트(210) 상면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덕트(210)의 상면은, 관통구멍(200)을 기준으로 차량 전면부 방향인 제1 몸체부(211)와 차량 후면부 방향인 제2 몸체부(212)으로 구획된다. 관통구멍(200)을 기준으로 제1 몸체부(211)의 높이가 제2 몸체부(212)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다. 바디부(100) 하부에 유동하던 공기가 덕트(210)에 유입되고 제1 몸체부(211)에서 제2 몸체부(212)로 유동한다 하더라도, 제2 몸체부(212)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바디부(100) 상부에 유동하던 공기가 유입될 공간이 제2 몸체부(212)에 확보된다. 바디부(100) 상부에 유동하던 공기가 제2 몸체부(212)에 유입되더라도 제2 몸체부(212)가 제1 몸체부(211) 보다 높이가 높아 단면적이 넓기 때문에, 제2 몸체부(212)와 가이드(220) 사이에 유동하는 유량이 제1 몸체부(211)와 가이드(220) 사이에 유동하는 유량에 비해 증대된다 하더라도 유속 덕트(210)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 변화가 방지된다.
관통구멍(200)과 접하는 제1 몸체부(211)의 단부가 상향 경사지도록 제1 몸체부(211)에 절곡부(213)가 형성된다. 제1 몸체부(211)의 단부가 상향 경사지므로, 제1 몸체부(21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관통구멍(200)으로 집약된다. 따라서, 제1 몸체부(211) 및 관통구멍(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동압 상승은 크게 유지되고 정압력 감소는 극대화 된다.
가이드(220)는 덕트(210) 하부에 위치하도록 바디부(100) 하면에 장착된다. 가이드(220)는, 덕트(210)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로 형성된다. 가이드(220)는 덕트(210)와 동일한 폭을 가지지만, 덕트(210)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다.
가이드(220)는, 자동차 주행 중 바디부(100) 하부에 유동하는 공기를 덕트(210) 하부로 유도하는 진입부(221)와, 진입부(221)로부터 바디부(100)와 수평하도록 연장된 연장부(222)를 포함한다. 진입부(221)는, 연장부(222)와의 경계지점으로부터 자동차가 주행 중인 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진입부(221)와 연장부(222)의 경계 지점은 제1 몸체부(211)와 관통구멍(200)의 경계지점 하부에 위치된다.
바디부(100)에 관통구멍(200) 및 덕트(210)가 1개 이상 구비된다. 바디부(100) 좌우측에 가까운 사이드 덕트(210A)의 높이가 바디부(100) 중심에 위치된 센터 덕트(220B)의 높이에 비해 낮다. 사이드 덕트(210A)에 위치된 관통구멍(200)의 폭이 센터 덕트(210A)에 위치된 관통구멍(200)의 폭에 비해 작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제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의 제작방법은, 자동차 하면에 장착돼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언더커버 제작 방법에 있어서,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덕트(210)가 돌출 형성되도록, 자동차 하부에 부착되는 면체 형상의 바디부(100)가 형성되는 단계(S100)와, 덕트(210) 하부에 위치하도록 바디부(100)에 가이드(220)가 장착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바디부(100)가 형성되는 단계(S100)에서, 바디부(100)는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사출성형을 통해 바디부(100)의 외형이 형성된다. 사출성형 후, 바디부(100) 표면에 복수개의 탄소섬유층이 추가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0)에 구비된 덕트(210)를 절개해 관통구멍(200)을 형성한다. 관통구멍(200) 형성 후에 바디부(100)의 표면이 연마처리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220)가 바디부(100) 형성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20)는,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사출성형을 통해 가이드(220)의 외형이 형성된다. 가이드(220)의 표면에 복수개의 탄소섬유층이 추가적으로 증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220)의 표면은 연마처리될 수 있다.
바디부(100)에 가이드(220)가 장착되는 단계(S200)에서, 가이드(220)는 바디부(100)에 접착된다. 가이드(220)는 체결볼트를 통해 바디부(100)에 체결될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및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관통구멍(200)을 통해 언더커버 상부에 위치하는 열교환장치에 존재하던 공기가 언더커버 하부로 이동하게되므로, 프론트 그릴을 통해 열교환장치에 공급되었던 공기가 쉽게 배출된다.
특히, 열교환장치에 공급되고 배출되는 공기 유량이 증대되므로,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더라도 동일한 열교환 성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열교환장치의 크기가 감소되므로, 제작 비용이 감소되고, 차량 경량화에 도움이 된다.
100: 바디부 110: 전면하단부
120: 타이어측면부 200: 관통구멍
210: 덕트 211: 제1 몸체부
212: 제2 몸체부 213: 절곡부
220: 가이드 221: 진입부
222: 연장부 300: 배출구멍

Claims (16)

  1. 자동차 하면에 장착되는 면체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바디부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저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덕트가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덕트 상면에 위치된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덕트의 폭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관통구멍에 의해 상기 자동차 진행 방향측 제1 몸체부와 상기 자동차 반 진행 방향측 제2 몸체부로 구획되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자동차 진행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자동차 반진행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과 인접한 상기 제1 몸체부의 단부의 높이가 상기 관통구멍과 인접한 상기 제2 몸체부의 단부 높이에 비해 작은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과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덕트 하부에 가이드가 장착된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넓이가 상기 가이드의 넓이에 비해 큰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자동차 주행 중 상기 바디부 하부에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덕트로 유도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로부터 상기 바디부와 수평하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상기 연장부와의 경계지점으로부터 상기 자동차가 주행 중인 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와 상기 연장부의 경계 지점이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관통구멍의 경계지점 하부에 위치되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상기 관통구멍 및 상기 덕트가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 좌우측에 가까운 사이드 덕트의 높이가 상기 바디부 중심에 위치된 센터 덕트의 높이에 비해 낮은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덕트에 위치된 관통구멍의 폭이 상기 센터 덕트에 위치된 관통구멍의 폭에 비해 작은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13. 자동차 하면에 장착되는 면체 형상의 바디부;
    상기 자동차 주행 중 상기 바디부 하부에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바디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상기 바디부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바디부 하부로 유도된 공기에 의해 상기 바디부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바디부 하부로 유도되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저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덕트가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덕트 상면에 위치된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덕트의 폭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관통구멍에 의해 상기 자동차 진행 방향측 제1 몸체부와 상기 자동차 반 진행 방향측 제2 몸체부로 구획되는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KR1020190019819A 2019-02-20 2019-02-20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KR102621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19A KR102621914B1 (ko) 2019-02-20 2019-02-20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DE102019217285.7A DE102019217285A1 (de) 2019-02-20 2019-11-08 Unterbodenstruktur für ein Fahrzeug zur Führung eines Luftstroms
CN201911132268.XA CN111591359B (zh) 2019-02-20 2019-11-19 车辆的用于引导气流的下护板结构
US16/691,349 US11136076B2 (en) 2019-02-20 2019-11-21 Undercover structure for vehicle for guiding air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19A KR102621914B1 (ko) 2019-02-20 2019-02-20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72A true KR20200101672A (ko) 2020-08-28
KR102621914B1 KR102621914B1 (ko) 2024-01-05

Family

ID=7184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819A KR102621914B1 (ko) 2019-02-20 2019-02-20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36076B2 (ko)
KR (1) KR102621914B1 (ko)
CN (1) CN111591359B (ko)
DE (1) DE102019217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98858A1 (en) * 2022-06-10 2023-12-14 Honda Motor Co., Ltd. Air guide duct with splitter and underbody tr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337A (ja) * 2004-08-02 2006-02-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冷却装置
JP2013180609A (ja) * 2012-02-29 2013-09-12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KR20180069266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언더커버 정비홀 강도 보강구조 및 정비홀 강도가 보강된 언더커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1794B2 (ja) * 1993-08-23 1998-05-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アンダーフロア構造
JPH09193839A (ja) * 1995-11-17 1997-07-2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アンダーフロア構造
DE19645091A1 (de) * 1996-11-01 1998-05-07 Behr Gmbh & Co Wärmeübertra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KR20090056425A (ko) * 2007-11-30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룸의 언더커버 시스템
CN102822041B (zh) * 2010-04-08 2016-03-16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地板下构造
CN103842198B (zh) * 2011-10-12 2015-05-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前部结构
US20140299396A1 (en) * 2011-12-16 2014-10-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JP2014058178A (ja) * 2012-09-14 2014-04-03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エンジンアンダーカバー
EP3006249B1 (en) * 2014-10-06 2016-10-05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An under-body aerodynamic device for a motor-vehicle
JP6490496B2 (ja) * 2015-06-01 2019-03-27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アンダーカバー及び車両のエンジンルームの排熱構造
US9926022B1 (en) * 2016-11-28 2018-03-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flow management cover
JP7031336B2 (ja) * 2018-02-01 2022-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337A (ja) * 2004-08-02 2006-02-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冷却装置
JP2013180609A (ja) * 2012-02-29 2013-09-12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KR20180069266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언더커버 정비홀 강도 보강구조 및 정비홀 강도가 보강된 언더커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914B1 (ko) 2024-01-05
DE102019217285A1 (de) 2020-08-20
CN111591359A (zh) 2020-08-28
US20200262494A1 (en) 2020-08-20
CN111591359B (zh) 2024-05-07
US11136076B2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254B2 (ja) 自動車のためのフロント部分
US4772060A (en) Air guide arrangement for the underside of a vehicle
US20110181075A1 (en) Airflow control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0050051372A1 (en) Aerodynamically constructed covering part for the underside of a motor vehicle
JPS6253287A (ja) 空気案内装置を車体側に設けた自動車
KR20090056425A (ko) 자동차 엔진룸의 언더커버 시스템
EP2489537B1 (en) Front part of a vehicle body
JP2006505439A (ja) 自動車のシャシ及び/又は支持構造
JP2007090976A (ja) タイヤデフレクタ装置
JP2016074294A (ja) 車体側部構造
US8132850B2 (en) Motor vehicle rear end and associated rear light
JP4563869B2 (ja) 自動車の吸気構造
CN109952244B (zh) 用于在机动车的底侧上应用的空气引导装置和机动车
JP7155880B2 (ja) 自動車のデフレクタ構造
KR20200101672A (ko)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JP2015209121A (ja) 自動車の走行風ガイド構造
JP2016055751A (ja) 車両のアンダカバー構造
US20190152540A1 (en) Flow Straightener of Vehicle
JP2002308154A (ja) 車両のフロント下部構造
JP2010149623A (ja) ラジエータ冷却風巻返し防止構造
CN210063154U (zh) 汽车轮罩及车辆
CN211442209U (zh) 前保险杠蒙皮及车辆
JP2019064315A (ja) 車体下部構造
CN110893765A (zh) 车辆前部构造
JP2010158922A (ja) 車両の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