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644A -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644A
KR20200097644A KR1020200011721A KR20200011721A KR20200097644A KR 20200097644 A KR20200097644 A KR 20200097644A KR 1020200011721 A KR1020200011721 A KR 1020200011721A KR 20200011721 A KR20200011721 A KR 20200011721A KR 20200097644 A KR20200097644 A KR 20200097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gear
shaf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도다카
다쿠히로 가리노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CPOSITIVE-DISPLACEMENT ENGINES DRIVEN BY LIQUIDS
    • F03C1/00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 F03C1/02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with multiple-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3C1/06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with multiple-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with cylinder axes generally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3C1/0636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with multiple-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with cylinder axes generally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3C1/0644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Mechanical transmission, e.g. clutches,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CPOSITIVE-DISPLACEMENT ENGINES DRIVEN BY LIQUIDS
    • F03C1/00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 F03C1/02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with multiple-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3C1/06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with multiple-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with cylinder axes generally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3C1/0678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Hydraulic Motor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있어서의 모터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와,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모터 사이를 시일하는 모터측 시일부와, 상기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감속기 사이를 시일하는 감속기측 시일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MOTOR WITH REDUCER, AND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중에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탑재되어, 주행용이나 선회체(캡)의 선회용으로서 사용되는 유압 모터와, 유압 모터에 있어서의 모터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를 구비한 것이 있다. 유압 모터는,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축을 회전시킨다. 감속기는, 복수의 치차를 갖고, 맞물리는 각 치차의 잇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모터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에 출력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건설 기계에서는, 센서에 의해 선회체 그 자체의 회전이나 감속기의 출력축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선회체의 선회 속도나 선회 각도 등(이하, 회전 속도나 회전각 등을 총칭하여 회전이라고 함)의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다. 유압 모터의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고자 하면, 작동유나 작동유에 포함되는 철분 등에 의해, 센서의 수명을 확보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거나, 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곤란하거나 한다. 감속기의 치차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기어유나 철분 등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3-120550호 공보
그런데 근년, 건설 기계 등의 자동 운전화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망에 따르기 위해, 선회체의 회전을 고정밀도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센서에 의해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부터 센서에 의해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여,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를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감속기의 출력축의 회전을 검출하고, 이 회전에 기초하여 모터축의 회전을 고정밀도로 검출하고자 하면, 감속되고 있는 만큼,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서의 분해능이 필요하게 되고, 센서의 비용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있어서의 모터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와,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모터 사이를 시일하는 모터측 시일부와, 상기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감속기 사이를 시일하는 감속기측 시일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모터와 감속기 사이에 회전 검출 유닛을 마련함으로써, 회전 검출 유닛에 의해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모터측 시일부에 의해, 회전 검출 유닛에 모터측으로부터 작동유나 철분 등이 침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속기측 시일부에 의해, 회전 검출 유닛에 감속기측으로부터 철분 등이 침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축의 회전을 직접 검출할 수 있으므로, 감속기의 출력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서의 분해능을 낮게 할 수 있다. 그 만큼, 센서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이며,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는, 기어 케이스와, 상기 기어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적어도 상기 모터축의 회전이 입력되는 입력 치차, 및 상기 입력 치차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출력 치차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검출 유닛은, 상기 모터 케이스와 상기 기어 케이스에 끼움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양단이 상기 모터축과 상기 입력 치차에 연결되는 검출축과, 상기 검출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모터 및 감속기로부터 회전 검출 유닛을 완전히 분단할 수 있다. 그 만큼, 모터측 시일부나 감속기측 시일부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 케이스 내와 상기 기어 케이스 내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관통 구멍을 통해 모터나 감속기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에 의해 하우징에 대한 냉각 성능도 높아지므로, 센서로의 열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통 구멍에 감속기의 윤활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기어유를 주입함으로써, 이 기어유가 냉매로 되어서 모터, 감속기 및 회전 검출 유닛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이며, 상기 모터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 오목부와, 상기 모터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제1 볼록부와, 상기 기어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2 오목부와, 상기 기어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제2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모터 케이스와 하우징의 모터축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케이스와 하우징의 모터축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이며, 상기 모터 케이스에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케이스에 상기 제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회전 검출 유닛을 분리하여 모터 케이스와 기어 케이스를 끼워 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양에 따라서 사용하기 좋은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축의 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하우징 내에 용이하게 센서를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의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상기에 기재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와, 상기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가 탑재된 차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는,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건설 기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확대한 측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건설 기계)
도 1은, 건설 기계(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 기계(100)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이다. 건설 기계(100)는, 선회체(청구항의 차체에 상당)(101)와, 주행체(청구항의 차체에 상당)(102)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체(101)는, 주행체(102)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선회체(101)에는, 유압 펌프(107)가 마련되어 있다.
선회체(101)는, 조작자가 탑승 가능한 캡(103)과, 캡(103)에 일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붐(104)과, 붐(104)의 캡(103)과는 반대측의 타단(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암(105)과, 암(105)의 붐(104)과는 반대측의 타단(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버킷(10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캡(103) 내에는, 유압 펌프(10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건설 기계(100)에는, 선회체(101)나 주행체(102)를 구동하기 위한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감속기를 구비한 모터)가 마련되어 있다.
유압 펌프(107)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나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가 구동된다. 도시하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붐(104), 암(105) 및 버킷(106) 등이 구동된다.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에 의해, 캡(103)이 선회하거나, 주행체(102)의 도시하지 않은 차축이 회전하거나 한다.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
도 2는,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도 3은,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의 일부를 분해하여 확대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의 일부(회전 검출 유닛(5))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는, 유압 모터(청구항의 모터에 상당)(2)와, 유압 모터(2)에 있어서의 모터축(3)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4)와, 유압 모터(2)와 감속기(4) 사이에 마련되어, 모터축(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유닛(회전 검출 기구라고도 함)(5)을 구비하고 있다. 유압 모터(2), 회전 검출 유닛(5) 및 감속기(4)는, 모터축(3)의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터축(3)의 축 방향을 단순히 축 방향, 모터축(3)의 직경 방향을 단순히 직경 방향, 모터축(3)의 회전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유압 모터)
유압 모터(2)는, 모터 케이스(6)를 갖고 있다. 모터 케이스(6)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6a)를 회전 검출 유닛(5)측에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모터 케이스(6)의 개구부(6a)측에는, 원통 형상의 베어링 보유 지지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베어링 보유 지지부(12)에, 모터축(3)의 회전 검출 유닛(5)측의 단부(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보유 지지부(12)에, 모터 케이스(6)와 모터축(3)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하는 오일 시일(청구항의 모터측 시일부에 상당)(1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모터 케이스(6)의 개구부(6a)측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플랜지부(8)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외플랜지부(8)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볼트 삽입 구멍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구멍에, 회전 검출 유닛(5)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볼트(10)를 삽입하고, 이 볼트(10)를 회전 검출 유닛(5)을 통해 감속기(4)에 체결함으로써, 유압 모터(2), 회전 검출 유닛(5) 및 감속기(4)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모터 케이스(6)의 개구부(6a)측에는, 직경 방향 중앙의 대부분에, 모터 오목부(청구항의 제1 오목부에 상당)(9)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오목부(9)는, 회전 검출 유닛(5)에 끼워 합쳐지고, 모터 케이스(6)와 회전 검출 유닛(5)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모터 케이스(6)의 개구부(6a)측의 단부면에서 모터 오목부(9) 이외의 외주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모터 케이스(6)의 개구부(6a)측에 있어서의 단부면의 외주부는, 모터 케이스(6)와 회전 검출 유닛(5)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면(11)으로 된다.
모터 케이스(6)의 주위벽(6b)에는, 외플랜지부(8) 가까이에 급유 포트(45)가 마련되어 있다. 급유 포트(45)는, 회전 검출 유닛(5)의 후술하는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 및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을 통해 감속기(4)에 통하고 있다. 급유 포트(45)는, 감속기(4)에 기어유를 주입하기 위한 포트이다.
또한, 모터 케이스(6)의 주위벽(6b)에는, 저부(6c) 가까이에 도시하지 않은 공급 포트 및 배출 포트가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공급 포트 및 배출 포트를 통해 유압 펌프(107)로부터의 작동유가 모터 케이스(6) 내에 급배된다.
모터 케이스(6)의 저부(6c)에는, 모터축(3)에 있어서의 모터 케이스(6)의 저부(6c)측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이 마련되어 있다.
모터 케이스(6) 내에는, 경사판, 실린더 블록, 피스톤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내에 피스톤이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실린더 블록에는, 모터축(3)이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은, 도시하지 않은 급배 포트를 통해 급배되는 작동유에 의해, 실린더 블록 내를 왕복 이동함과 함께, 경사판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경사판을 따라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하면, 실린더 블록이 회전한다. 이 실린더 블록과 일체로 되어서 모터축(3)이 회전한다.
모터축(3)의 회전 검출 유닛(5)측의 단부(3a)는, 모터 케이스(6)의 베어링 보유 지지부(12)를 통해 회전 검출 유닛(5)측에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개소의 외주면에, 스플라인(14)이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14)에 의해, 모터축(3)과 회전 검출 유닛(5)의 후술하는 검출축(16)이 상대 회전 불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검출 유닛)
회전 검출 유닛(5)은, 모터 케이스(6)와 감속기(4)의 후술하는 기어 케이스(71)에 끼움 지지되는 하우징(15)과, 하우징(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검출축(16)과, 검출축(16)의 회전을 검출하는 센서(17)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5)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5)은, 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제1 하우징(18)과 제2 하우징(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18)은, 유압 모터(2)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하우징(18)의 유압 모터(2)측의 단부면(18a)에는, 직경 방향 중앙의 대부분에, 제1 하우징 볼록부(청구항의 제1 볼록부에 상당)(21)가 모터 케이스(6)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 볼록부(21)의 직경은, 모터 오목부(9)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정도이다. 제1 하우징 볼록부(21)가, 모터 케이스(6)의 모터 오목부(9)에 끼워 합쳐짐으로써, 모터 케이스(6)와 제1 하우징(18)(회전 검출 유닛(5))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제1 하우징(18)의 단부면(18a)에서 제1 하우징 볼록부(21) 이외의 외주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면(18a)의 외주부는, 모터 케이스(6)의 시일면(11)에 맞닿아져, 모터 케이스(6)와 제1 하우징(18) 사이를 시일하는 모터측 시일면(22)으로 된다. 이들 시일면(11)과 모터측 시일면(22) 사이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시일재가 도포 또는 배치된다. 이에 의해, 시일면(11)과 모터측 시일면(22) 사이가 확실하게 시일된다.
제1 하우징(18)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검출축(16)을 삽입 가능한 제1 축 삽입 구멍(23)이 제1 하우징(18)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모터측 시일면(22)에는, 제1 축 삽입 구멍(2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O링 홈(40)이 형성되어 있다. O링 홈(40)은, 제1 축 삽입 구멍(2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O링 홈(40)에는, O링(청구항의 모터측 시일부에 상당)(20)이 장착된다. O링(20)은, O링 홈(40)과 모터 케이스(6)의 베어링 보유 지지부(12)에 의해 약간 압축된 상태에서 끼움 지지된다. 이 O링(20)에 의해, 유압 모터(2)측으로부터 제1 축 삽입 구멍(23) 내에 작동유나 철분 등이 누출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제1 하우징(18)의 감속기(4)측의 단부면(18b)에는, 직경 방향 중앙의 대부분에, 제1 하우징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 오목부(24)는, 제2 하우징(19)에 끼워 합쳐지고, 제1 하우징(18)과 제2 하우징(19)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제1 하우징 오목부(24)의 직경은, 제1 하우징 볼록부(21)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제1 하우징(18)의 단부면(18b)에서 제1 하우징 오목부(24) 이외의 외주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면(18b)의 외주부는, 제1 하우징(18)과 제2 하우징(19)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면(29)으로 된다.
제1 하우징 오목부(24)에는, 제1 축 삽입 구멍(2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센서 배치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배치 오목부(25)는, 제1 축 삽입 구멍(23)에 통하고 있다. 센서 배치 오목부(25)에는, 센서(17)가 배치된다. 또한, 제1 하우징 오목부(24) 및 제1 하우징(18)의 단부면(18b)에는, 센서 배치 오목부(25)의 일부로부터 제1 하우징(18)의 외주면(18c)에 이르는 사이에,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센서 선 수납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 선 수납 홈(26)에는, 센서(17)의 후술하는 센서 선(62)이 수납된다. 센서 선 수납 홈(26)을 통해, 하우징(15)의 직경 방향 외측에 센서 선(62)이 인출된다.
제1 하우징(18) 중, 제1 하우징 볼록부(21) 및 제1 하우징 오목부(24)의 외주 가까이에는, 제1 기어유 유입 구멍(청구항의 관통 구멍에 상당)(35)이 제1 하우징(18)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은, 모터 케이스(6) 내를 통해 이 모터 케이스(6)에 마련된 급유 포트(45)에 통하고 있다.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은, 급유 포트(45)로부터 주입되는 기어유를 감속기(4)로 보내기 위한 중간 유로이다. 또한,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은, 제1 하우징(18)이나 센서(17)에 대한 냉각 성능을 높이기 위한 구멍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제1 하우징 오목부(24)에는,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제1 O링 홈(4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O링 홈(47)은,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1 O링 홈(47)에는, O링(48)이 장착된다. O링(48)은, 제1 O링 홈(47)과 후술하는 제2 O링 홈(49)에 의해 약간 압축된 상태에서 끼움 지지된다. O링(48)에 의해,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 및 후술하는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으로부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19) 사이를 통해 기어유가 외부로 유출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제1 하우징(18)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 볼록부(21) 및 제1 하우징 오목부(24)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는, 제1 하우징(18)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삽입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구멍(27)은, 모터 케이스(6)의 도시하지 않은 볼트 삽입 구멍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볼트 삽입 구멍(27)에는, 볼트(10)가 삽입된다.
제2 하우징(19)은, 감속기(4)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19)의 제1 하우징(18)측의 단부면(19a)에는, 직경 방향 중앙의 대부분에, 제2 하우징 볼록부(28)가 제1 하우징(18)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 볼록부(28)의 직경은, 제1 하우징 오목부(2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정도이다. 제2 하우징 볼록부(28)가, 제1 하우징 오목부(24)에 끼워 합쳐짐으로써, 제1 하우징(18)과 제2 하우징(19)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제2 하우징(19)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검출축(16)을 삽입 가능한 제2 축 삽입 구멍(31)이 제2 하우징(19)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19)의 제2 하우징 볼록부(28)측에는, 베어링 수납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 오목부(32)에, 검출축(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3)이 마련되어 있다. 베어링(33)으로서는, 예를 들어 내륜(33a), 외륜(33b) 및 내륜(33a)과 외륜(33b) 사이에 마련되는 전동체로 되는 볼(33c)에 의해 구성되는 볼 베어링이 사용된다. 베어링(33)의 외륜(33b)은, 예를 들어 베어링 수납 오목부(32)에 경 압입된다. 또한, 베어링(33)은, 볼 베어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끄럼 베어링 등, 다양한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9)의 감속기(4)측의 단부면(19b)에는, 직경 방향 중앙의 대부분에 제2 하우징 오목부(청구항의 제2 오목부에 상당)(3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 오목부(34)의 직경은, 제2 하우징 볼록부(28)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제2 하우징 오목부(34)는, 감속기(4)에 끼워 합쳐진다. 제2 하우징 오목부(34)는, 감속기(4)에 끼워 합쳐지고, 제2 하우징(19)과 감속기(4)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제2 하우징 오목부(34)를 제외하는 제2 하우징(19)의 감속기(4)측의 단부면(19b)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면(19b)은, 제2 하우징(19)과 감속기(4) 사이를 시일하는 감속기측 시일면(70)으로 된다.
제2 하우징(19)의 감속기측 시일면(70)으로 된 개소에는, 제2 하우징(19)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삽입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구멍(39)은, 제1 하우징(18)의 볼트 삽입 구멍(27)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볼트 삽입 구멍(39)에는, 볼트(10)가 삽입된다.
또한, 제2 하우징(19)에는, 제1 하우징(18)의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과 동축 상에, 제2 기어유 유입 구멍(청구항의 관통 구멍에 상당)(4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은,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 및 감속기(4)에 통하고 있다.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은, 급유 포트(45)로부터 주입되는 기어유를 감속기(4)로 보내기 위한 중간 유로이다. 또한,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은, 제2 하우징(19)이나 센서(17)에 대한 냉각 성능을 높이기 위한 구멍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제2 하우징 볼록부(28)의 단부면(28a)에는,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제2 O링 홈(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O링 홈(49)과 제1 하우징 오목부(24)의 제1 O링 홈(47)에 O링(48)이 장착된다. 또한 O링(48)은, 제1 O링 홈(47)과 제2 O링 홈(49)에 의해 약간 압축된다.
제2 하우징 오목부(34)에는, 제2 축 삽입 구멍(3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시일 수납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시일 수납 오목부(36)에는, 제2 하우징(19)과 검출축(16)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하는 오일 시일(청구항의 감속기측 시일부에 상당)(37)이 수납되어 있다. 이 오일 시일(37)에 의해, 감속기(4)로부터 하우징(15) 내에 기어유나 철분 등이 침입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시일 수납 오목부(36)에는, 오일 시일(37)의 시일 수납 오목부(36)로부터의 빠짐을 규제하기 위한 리테이닝 링(38)이 마련되어 있다.
검출축(16)은, 모터축(3)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검출축(16)은, 유압 모터(2)측으로부터 단차를 통해 서서히 축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출축(16)은, 유압 모터(2)측에 배치된 대경의 입력축부(51)와, 입력축부(51)의 감속기(4)측에 일체 형성되고, 입력축부(51)의 축 직경보다도 단차부(51a)를 통해 축 직경이 작게 형성된 베어링부(52)와, 베어링부(52)의 감속기(4)측에 일체 성형되고, 베어링부(52)의 축 직경보다도 단차부(52a)를 통해 축 직경이 작게 형성된 출력축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축부(51)는, 제1 하우징(18)의 제1 축 삽입 구멍(2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축 삽입 구멍(23)의 구멍 직경은, 입력축부(51)의 축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입력축부(51)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유압 모터(2)측이 개구된 축 삽입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축 삽입 오목부(54)에는, 모터축(3)의 단부(3a)가 삽입된다. 축 삽입 오목부(54)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5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플라인(55)과 모터축(3)의 스플라인(14)에 의해, 검출축(16)과 모터축(3)이 상대 회전 불능하게 연결된다.
입력축부(51)의 단차부(51a)는, 베어링(33)에 있어서의 내륜(33a)의 축 방향 단부면에 맞닿아져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5)에 대한 검출축(16)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베어링부(52)는, 제2 하우징(19)에 베어링(3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부(52)는, 예를 들어 베어링(33)의 내륜(33a)에 압입되어 있다.
출력축부(53)는, 제2 하우징(19)의 제2 축 삽입 구멍(31)을 통해 감속기(4)측에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부(53)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19)로부터 돌출된 단부(53a)에는, 스플라인(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플라인(5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베어링부(52)측인 뿌리측이, 제2 하우징(19)에 마련된 오일 시일(37)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출력축부(53)에 형성된 스플라인(56)은, 출력축부(53)와 감속기(4)의 후술하는 선기어(75)를 상대 회전 불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출력축부(53)의 스플라인(56)이 형성되어 있는 뿌리부분에는, 리테이닝 링(57)이 마련되어 있다. 이 리테이닝 링(57)은, 후술하는 선기어(75)의 회전 검출 유닛(5)측으로의 빠짐을 규제한다.
센서(17)는, 링 형상의 센서 본체(61)와, 센서 본체(61)로부터 연장하는 센서 선(6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하우징(18)의 센서 배치 오목부(25)에는, 센서 본체(61)가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우징(18)의 센서 배치 오목부(25)에, 센서 본체(61)가 배치됨과 함께, 제2 하우징(19)의 베어링 수납 오목부(32)에 베어링(33)이 배치된다. 이에 의해, 센서(17)는, 베어링(33)의 내륜(33a)과 외륜(33b) 사이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센서 본체(61)는, 검출축(16)에 있어서의 입력축부(5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입력축부(51)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센서 본체(61)는, 입력축부(51)의 회전을 검출하고 있다. 검출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검출축(16)의 회전각, 회전 속도 등의 정보(회전 정보)이다.
입력축부(51)의 회전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입력축부(51)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도시하지 않은 마그네트를 마련하고, 이 마그네트의 자속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검출축(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3)의 내륜(33a)과 외륜(33b)의 상대 회전량을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축부(51)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도시하지 않은 광학 패턴을 형성하고, 이 광학 패턴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검출축(16)의 회전을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검출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 선(62)은 센서 선 수납 홈(26)에 수납되어, 이 센서 선 수납 홈(2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있다. 센서 선(62)은,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제어 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센서 본체(61)에 의해 검출된 결과는, 신호로서 센서 선(62)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제어 기기에 출력된다.
회전 검출 유닛(5)의 조립 방법으로서는, 제1 하우징(18) 제2 하우징(19)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8)의 센서 배치 오목부(25)에 센서 본체(61)를 배치한다. 또한, 제1 하우징(18)의 센서 선 수납 홈(26)에 센서 선(62)을 수납한다. 이 후, 제1 하우징(18)의 제1 하우징 오목부(24)와 제2 하우징(19)의 제2 하우징 볼록부(28)를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회전 검출 유닛(5)의 조립이 완료된다.
(감속기)
감속기(4)는, 기어 케이스(71)와, 기어 케이스(71) 내에 수납된 유성기어 감속 기구(72)를 갖고 있다.
기어 케이스(71)는,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가 회전 검출 유닛(5)측을 향하도록 기어 케이스(71)는 배치되어 있다. 이 기어 케이스(71) 내와 제2 하우징(19)의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이 통하고 있다.
기어 케이스(71)의 개구부측에는, 직경 방향 중앙의 대부분에, 기어 케이스 볼록부(청구항의 제2 볼록부에 상당)(73)가 제2 하우징(19)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기어 케이스 볼록부(73)의 직경은, 제2 하우징 오목부(3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정도이다. 기어 케이스 볼록부(73)가 제2 하우징 오목부(34)에 끼워 합쳐짐으로써, 제2 하우징(19)과 기어 케이스(71)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기어 케이스 볼록부(73)를 제외한 기어 케이스(71)의 제2 하우징(19)측의 단부면(71a)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면(71a)에, 제2 하우징(19)의 감속기측 시일면(70)이 맞닿아진다. 즉, 단부면(71a)은, 제2 하우징(19)과 기어 케이스(71)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면(74)으로 된다. 이들 시일면(74)과 감속기측 시일면(70) 사이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시일재가 도포 또는 배치된다. 이에 의해, 시일면(74)과 감속기측 시일면(70) 사이가 확실하게 시일된다.
또한, 기어 케이스 볼록부(73)를 제외한 기어 케이스(71)의 제2 하우징(19)측의 단부면(71a)에는,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에, 모터 케이스(6)의 외플랜지부(8)측으로부터 삽입된 볼트(10)가 체결된다. 이에 의해, 모터 케이스(6), 하우징(15) 및 기어 케이스(71)가 일체화된다.
여기서, 제2 하우징(19)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 오목부(34)의 깊이는, 기어 케이스 볼록부(73)의 돌출 높이보다도 깊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어 케이스(71)의 시일면(74)과 제2 하우징(19)의 감속기측 시일면(70)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는, 제2 하우징 오목부(34)의 저면(34a)과 기어 케이스 볼록부(73)의 단부면(73a) 사이에 간극 S가 형성된다. 이 간극 S에, 유성기어 감속 기구(72)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간극 S는, 이 간극 S에 기어유를 충전하는 기어유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유성기어 감속 기구(72)는, 검출축(16)이 연결되어서 이 검출축(16)의 회전이 입력되는 선기어(청구항의 입력 치차에 상당)(75)와, 선기어(75)에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기어(76)와, 선기어(75)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유성기어(76)에 맞물리는 도시하지 않은 외륜 치차와, 복수의 유성기어(7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성 캐리어(82)와, 유성 캐리어(82)에 맞물리는 출력 치차(7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선기어(75)의 일부가, 제2 하우징 오목부(34)의 저면(34a)과 기어 케이스 볼록부(73)의 단부면(73a) 사이의 간극 S에 배치되어 있다.
선기어(75)는, 검출축(16)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선기어(75)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축 삽입 구멍(78)이 형성되어 있다. 축 삽입 구멍(78)에는, 검출축(16)에 있어서의 출력축부(53)의 단부(53a)가 삽입된다. 축 삽입 구멍(78)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7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플라인(79)과 검출축(16)의 스플라인(56)에 의해, 검출축(16)과 선기어(75)가 상대 회전 불능하게 연결된다. 선기어(75)의 축 삽입 구멍(78)에 검출축(16)의 출력축부(53)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선기어(75)의 회전 검출 유닛(5)측의 단부(75a)에, 출력축부(53)에 마련된 리테이닝 링(57)이 맞닿아진다. 이에 의해, 선기어(75)의 회전 검출 유닛(5)측으로의 빠짐이 규제된다.
출력 치차(77)는, 도시하지 않은 2단째의(또는 추가의) 유성기어 감속 기구의 선기어로 된다. 출력 치차(77)의 회전이, 기어 케이스(71)를 통해 회전 검출 유닛(5)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연결축(81)에 전달된다. 이 연결축(81)의 외주면에도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치차가 형성된 연결축(81)이, 캡(103)이나 주행체(102)의 도시하지 않은 차축(도 1 참조)에 연결된다.
또한, 기어 케이스(71)의 회전 검출 유닛(5)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을 통해 연결축(81)이 기어 케이스(7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축(81)과 기어 케이스(71)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일 시일이 마련되어 있고, 기어 케이스(71)의 외부로부터 기어 케이스(71)의 내부에 진애 등이 침입해 버리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의 동작)
이어서,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압 펌프(107)로부터의 작동유가 급배 포트(7)에 공급되면,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이 실린더 블록 내에서 왕복 이동된다. 이때, 피스톤이 경사판을 압박한다. 경사판이 회전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피스톤의 압박력이 회전력으로 변환되어서 실린더 블록이 회전한다. 이 실린더 블록과 일체로 되어서 모터축(3)이 회전한다.
모터축(3)이 회전하면, 이 모터축(3)에 연결되어 있는 검출축(16) 및 검출축(16)에 연결되어 있는 선기어(75)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한다. 선기어(75)의 회전에 의해, 이 선기어(75)와 외륜 치차에 맞물리는 유성기어(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선기어(75) 둘레로 자전하면서 공전한다. 이에 의해 유성 캐리어(82)가 회전하고, 또한 출력 치차(77)가 회전한다. 출력 치차(77)가 회전하면, 2단째의(또는 추가의) 유성기어 감속 기구를 통해서 이 출력 치차(77)의 회전이 감속된다. 또한, 출력 치차(77)의 회전이 연결축(81)에 전달되어, 캡(103)이나 주행체(102)가 구동한다.
여기서, 검출축(16)의 회전은, 센서(17)의 센서 본체(61)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축(16)은 모터축(3)과 일체로 회전하므로, 검출축(16)의 회전은 모터축(3)의 회전과 같은 의미이다. 센서(17)에 의해 검출된 결과는, 신호로서 센서 선(62)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제어 기기에 출력된다. 외부 제어 기기는, 유압 펌프(107)에도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제어 기기는, 센서(17)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유압 펌프(107)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모터(2)와 감속기(4) 사이에 회전 검출 유닛(5)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압 모터(2)나 감속기(4)와는 다른 회전 검출 유닛(5)에 의해 검출축(16)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모터축(3)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모터축(3)의 회전을 직접 검출하므로, 이 모터축(3)을 감속시키는 유성기어 감속 기구(72)의 출력축(예를 들어 출력 치차(77)나 연결축(81) 등)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보다도 센서(17)의 분해능을 낮게 할 수 있다. 그 만큼, 센서(17)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는, 모터 케이스(6)의 베어링 보유 지지부(12)에 마련되어, 모터 케이스(6)와 모터축(3)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하는 오일 시일(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는, O링(20)을 구비하고 있다. O링(20)은, 모터 케이스(6)와 하우징(15)(제1 하우징(18))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모터 케이스(6)와 하우징(15) 사이에서 센서(17)의 시일성을 확보한다. 또한,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는, 하우징(15)(제2 하우징(19))에 마련되어, 하우징(15)과 검출축(16) 사이에서 센서(17)의 시일성을 확보하는 오일 시일(37)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압 모터(2)로부터의 작동유나 철분 등의 하우징(15) 내로의 침입, 및 감속기(4)로부터의 기어유나 철분 등의 하우징(15) 내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센서(17)를 안정 동작시킬 수 있고,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검출 유닛(5)에, 모터축(3)이나 유성기어 감속 기구(72)와 분단된 검출축(16)을 마련함으로써, 유압 모터(2) 및 감속기(4)로부터 회전 검출 유닛(5)을 완전히 분단할 수 있다. 그 만큼, 오일 시일(13, 37) 및 O링(20)에 의한 유압 모터(2)와 회전 검출 유닛(5)의 시일성의 효과, 및 회전 검출 유닛(5)과 감속기(4)의 시일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모터 케이스(6)의 개구부(6a)측의 단부면에서 모터 오목부(9) 이외의 외주부를, 평탄한 시일면(11)으로 하고, 제1 하우징(18)의 단부면(18a)에서 제1 하우징 볼록부(21) 이외의 외주부를, 평탄한 모터측 시일면(22)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시일면(11)과 모터측 시일면(22)을 접촉시킴으로써, 모터 케이스(6)와 제1 하우징(18) 사이의 시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9)의 제2 하우징 오목부(34)를 제외한 감속기(4)측의 단부면(19b)을 평탄한 감속기측 시일면(70)으로 하고, 기어 케이스(71)에 있어서의 기어 케이스 볼록부(73)를 제외한 제2 하우징(19)측의 단부면(71a)을 평탄한 시일면(74)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감속기측 시일면(70)과 시일면(74)을 접촉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제2 하우징(19)과 기어 케이스(71) 사이를 통해 내부에 진애 등이 침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5)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18)에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2 하우징(19)에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 및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을 통해, 유압 모터(2)의 급유 포트(45)와 감속기(4)의 기어 케이스(71) 안이 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를 조립한 후에, 급유 포트(45)로부터 기어유를 주입하여, 감속기(4)에 있어서의 기어 케이스(71) 내의 유성기어 감속 기구(72)에 기어유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5)에 제1 기어유 유입 구멍(35) 및 제2 기어유 유입 구멍(41)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기어유 유입 구멍(35, 41)을 통해 유압 모터(2)나 감속기(4)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다. 각 기어유 유입 구멍(35, 41)에 기어유가 흐름으로써 이 기어유를 냉매로서 기능시켜, 하우징(15)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각 기어유 유입 구멍(35, 41)은, 센서(17)의 센서 본체(61)에 근접 배치되어 있으므로, 센서(17)에 대한 냉각 성능도 높아진다. 이 때문에, 센서(17)로의 열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센서(17)의 검출 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 케이스(6)에 모터 오목부(9)를 형성함과 함께, 하우징(15)의 제1 하우징(18)에 제1 하우징 볼록부(2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모터 오목부(9)와 제1 하우징 볼록부(21)를 끼워 맞춤으로써, 모터 케이스(6)에 제1 하우징(18)을 설치한다. 이 때문에, 모터 케이스(6)와 제1 하우징(18)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9)에 제2 하우징 오목부(34)를 형성함과 함께, 기어 케이스(71)에 기어 케이스 볼록부(73)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2 하우징 오목부(34)와 기어 케이스 볼록부(73)를 끼워 맞춤으로써, 기어 케이스(71)에 제2 하우징(19)을 설치한다. 이 때문에, 기어 케이스(71)와 제2 하우징(19)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 모터(2), 감속기(4) 및 회전 검출 유닛(5)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모터 케이스(6)에 모터 오목부(9)를 형성함과 함께 기어 케이스(71)에 기어 케이스 볼록부(73)를 형성하고, 이들 모터 오목부(9) 및 기어 케이스 볼록부(73)에 대응하도록, 하우징(15)에 제1 하우징 볼록부(21) 및 제2 하우징 오목부(3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1 하우징 볼록부(21)의 직경은, 모터 오목부(9)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정도이다. 제1 하우징 오목부(24)의 직경은, 제1 하우징 볼록부(21)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제2 하우징 볼록부(28)의 직경은, 제1 하우징 오목부(2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정도이다. 제2 하우징 오목부(34)의 직경은, 제2 하우징 볼록부(28)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기어 케이스 볼록부(73)의 직경은, 제2 하우징 오목부(3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정도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회전 검출 유닛(5)을 분리하고, 모터 케이스(6)의 모터 오목부(9)에 기어 케이스(71)의 기어 케이스 볼록부(73)를 끼워 맞출 수 있다. 이때, 모터 케이스(6)와 기어 케이스(71)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양에 따라서 사용하기 좋은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를 제공할 수 있다. 회전 검출 유닛(5)을 분리하여 유압 모터(2)와 감속기(4)를 직접 연결한 경우에도, 모터 케이스(6)에 급유 포트(4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유 포트(45)로부터 기어 케이스(71) 내에 기어유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5)은, 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제1 하우징(18)과 제2 하우징(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하우징(18)에 센서 배치 오목부(25)나 센서 선 수납 홈(26)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하우징(15) 내에 센서(17)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의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8)에 형성된 제1 하우징 오목부(24)의 저면(24a)과, 제2 하우징 볼록부(28)의 단부면(28a) 사이에서, 또한 각 기어유 유입 구멍(35, 41)의 주위에 O링(48)을 개재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기어유 유입 구멍(35, 41)으로부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19) 사이를 통해 기어유가 외부로 유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여러가지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모터(2)를 구비한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1)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압 모터(2) 대신에 전동 모터로 해도 된다. 유압 모터(2)의 경우, 전동 모터와 상이하게 작동유를 필요로 하는 만큼,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회전 검출 유닛(5)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모터(2)와 회전 검출 유닛(5)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베어링 보유 지지부(12)에, 모터 케이스(6)와 모터축(3)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하는 오일 시일(13)을 마련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제1 하우징(18)의 모터측 시일면(22)에, O링(20)을 마련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압 모터(2)와 회전 검출 유닛(5)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모터 케이스(6)의 시일면(11) 및 하우징(15)의 모터측 시일면(22) 만으로 유압 모터(2)와 회전 검출 유닛(5)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해도 된다. 또한, 모터 케이스(6)의 시일면(11)과 하우징(15)의 모터측 시일면(22) 사이에 패킹 등을 마련하여, 유압 모터(2)와 회전 검출 유닛(5)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검출 유닛(5)에 모터축(3) 및 선기어(75)에 연결되는 검출축(16)을 마련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축(3)의 회전을 센서(17)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예를 들어, 검출축(16)을 폐지하여 모터축(3)을 연장 돌출시켜도 된다. 이 경우, 모터축(3)은, 베어링(33)을 통해 선기어(75)에 이르기까지 연장 돌출된다. 그리고, 선기어(75)에 직접 모터축(3)이 연결된다. 센서(17)는, 직접 모터축(3)의 회전을 검출한다.
또한, 예를 들어 검출축(16)을 폐지하여 선기어(75)로부터 모터축(3)에 연결되는 도시하지 않은 축을 마련해도 된다. 그리고, 이 축의 회전을 센서(17)에 의해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하우징(18)의 센서 배치 오목부(25)에, 센서 본체(61)가 배치됨과 함께, 제2 하우징(19)의 베어링 수납 오목부(32)에 베어링(33)이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의해, 센서(17)는, 베어링(33)의 내륜(33a)과 외륜(33b) 사이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축(3)의 회전을 센서(17)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센서(17)가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감속기(4)를 구성하는 감속 기구로서 유성기어 감속 기구(72)를 마련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성기어 감속 기구(72) 대신에 다양한 감속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케이스(6)에 모터 오목부(9)를 형성함과 함께, 하우징(15)의 제1 하우징(18)에 제1 하우징 볼록부(21)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 케이스(6)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제1 하우징(18)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 볼록부와 오목부를 끼워 맞추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하우징(19)에 제2 하우징 오목부(34)를 형성함과 함께, 기어 케이스(71)에 기어 케이스 볼록부(73)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하우징(19)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기어 케이스(71)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 볼록부와 오목부를 끼워 맞추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하우징(18)에 제1 하우징 오목부(24)를 형성하고, 제2 하우징(19)에 제2 하우징 볼록부(28)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하우징(18)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제2 하우징(19)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 볼록부와 오목부를 끼워 맞추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5)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18)의 제1 하우징 오목부(24)에 제1 O링 홈(47)을 형성하고, 제2 하우징(19)의 제2 하우징 볼록부(28)에 제2 O링 홈(49)을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각 O링 홈(47, 49)에, O링(48)을 장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O링 홈(47) 또는 제2 O링 홈(49)의 어느 한쪽만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제1 O링 홈(47) 또는 제2 O링 홈(49) 중 어느 한쪽에만 O링(48)을 장착해도 된다.
1: 감속기를 구비한 유압 모터(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2: 유압 모터(모터), 3: 모터축, 4: 감속기, 5: 회전 검출 유닛, 6: 모터 케이스, 9: 모터 오목부(제1 오목부), 13: 오일 시일(모터측 시일부), 15: 하우징, 16: 검출축, 17: 센서, 18: 제1 하우징(하우징), 19: 제2 하우징(하우징), 20: O링(모터측 시일부), 21: 제1 하우징 볼록부(제1 볼록부), 34: 제2 하우징 오목부(제2 오목부), 35: 제1 기어유 유입 구멍(관통 구멍), 37: 오일 시일(감속기측 시일부), 41: 제2 기어유 유입 구멍(관통 구멍), 51: 입력축부(검출축), 52: 베어링부(검출축), 53: 출력축부, 71: 기어 케이스, 73: 기어 케이스 볼록부(제2 볼록부), 75: 선기어(입력 치차), 77: 출력 치차, 100: 건설 기계, 101: 선회체(차체), 102: 주행체(차체)

Claims (9)

  1. 모터와,
    상기 모터에 있어서의 모터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와,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모터 사이를 시일하는 모터측 시일부와,
    상기 회전 검출 유닛과 상기 감속기 사이를 시일하는 감속기측 시일부를 구비하고 있는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는,
    기어 케이스와,
    상기 기어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적어도 상기 모터축의 회전이 입력되는 입력 치차 및 상기 입력 치차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출력 치차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검출 유닛은,
    상기 모터 케이스와 상기 기어 케이스에 끼움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양단이 상기 모터축과 상기 입력 치차에 연결되는 검출축과,
    상기 검출 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 케이스 내와 상기 기어 케이스 내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 오목부와,
    상기 모터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제1 볼록부와,
    상기 기어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2 오목부와,
    상기 기어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제2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에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케이스에 상기 제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축의 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축의 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축의 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9. 제1항에 기재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와,
    상기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가 탑재된 차체를
    구비하고 있는 건설 기계.
KR1020200011721A 2019-02-08 2020-01-31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 KR20200097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1722 2019-02-08
JP2019021722A JP7343279B2 (ja) 2019-02-08 2019-02-08 減速機付きモータ及び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644A true KR20200097644A (ko) 2020-08-19

Family

ID=7199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721A KR20200097644A (ko) 2019-02-08 2020-01-31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43279B2 (ko)
KR (1) KR20200097644A (ko)
CN (1) CN1115498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722B1 (ko) * 2023-11-21 2024-04-02 에스아이이(주) 구동기구의 모터 하우징 커버 및 그가 이용된 구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66391A1 (ja) * 2023-02-10 2024-08-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0550A (ja) 1986-11-08 1988-05-24 Fujitsu Ltd Dチヤンネル折り返し試験方式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4105B2 (ja) 1999-07-23 2007-08-2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回転検出器付減速機
JP4744748B2 (ja) 2001-09-14 2011-08-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駆動減速機
JP5669559B2 (ja) * 2010-12-17 2015-02-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2016063599A (ja) * 2014-09-17 2016-04-2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減速機付モータ
JP6601127B2 (ja) * 2015-10-08 2019-11-06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JP6849653B2 (ja) 2016-02-25 2021-03-24 株式会社ダイヘン 駆動装置
KR101837863B1 (ko) * 2016-12-02 2018-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트랙션 모터 모듈 및 전동 자전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0550A (ja) 1986-11-08 1988-05-24 Fujitsu Ltd Dチヤンネル折り返し試験方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722B1 (ko) * 2023-11-21 2024-04-02 에스아이이(주) 구동기구의 모터 하우징 커버 및 그가 이용된 구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49850A (zh) 2020-08-18
JP2020128651A (ja) 2020-08-27
JP7343279B2 (ja) 2023-09-12
CN111549850B (zh)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6587B1 (en) Wet brake device
JP5341856B2 (ja) 湿式ブレーキ装置
US9074345B2 (en) Sw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4238894B2 (ja) 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ホイールモータ構造
JP3686739B2 (ja) クローラ駆動ユニット
US20120309577A1 (en) Revolv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KR20200097644A (ko)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 및 건설 기계
CN103807362A (zh) 车轮驱动装置
JP5980711B2 (ja) ショベル
US6205779B1 (en) Integral hub driven gears
CN214367677U (zh) 行走驱动装置及工程机械
JP6055393B2 (ja) 単純遊星減速装置
JPH09177931A (ja) クローラ駆動ユニット
JP6057467B2 (ja) 変速機
WO2018079410A1 (ja) 変速機及び変速機を備えた駆動装置
JP7498609B2 (ja) 変速機付モータ
CN111577524B (zh) 液压马达
CN213469602U (zh) 一种精密加工伺服刀塔
JP3880755B2 (ja) 電気油圧サーボモータ
KR20220167030A (ko) 전기자동차용 오일펌프
CN203421066U (zh) 齿轮马达用传动座及安装该传动座的齿轮马达
CN201027961Y (zh) 一种锥齿轮传动箱
CN109854443A (zh) 一种耐压高扭矩液压马达
JP2003139101A (ja) サーボシリンダ
JPH11182403A (ja) 減速機付液圧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