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397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397A
KR20200095397A KR1020200009627A KR20200009627A KR20200095397A KR 20200095397 A KR20200095397 A KR 20200095397A KR 1020200009627 A KR1020200009627 A KR 1020200009627A KR 20200009627 A KR20200009627 A KR 20200009627A KR 20200095397 A KR20200095397 A KR 20200095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der
terminal
segment
lock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855B1 (ko
Inventor
얀 티안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9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 하우징 및 홀더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도성 단자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단자 수용 홈, 및 하우징의 상단 표면에 형성되는 로킹 구조물을 갖는다. 홀더는 하우징에 제공되며, 홀더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프레임 부분, 횡방향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단자 수용 홈 내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위치설정 아암, 및 횡방향 프레임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하우징의 상단 표면 위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을 갖고, 위치설정 아암은 각각 단자 수용 홈 내측에 경사부를 따라서 전도성 단자를 위치시키고, 로크 플레이트 부분에는 하우징의 로킹 구조물과 로킹되는 로크 구조물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더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5,458,511호(이하, 제1 종래 기술로 지칭됨)는 금속 단자 상에 형성된 단자 보유 부분을 개시하며, 단자 리테이너는 상향으로 돌출되고 접촉 부분의 후방 측부에 제공된다. 맞물림 돌기부가 삽입되는 맞물림 구멍이 접촉 부분의 하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의 보유 피스(piece)의 전방 단부는 단자 보유 부분의 상부 부분의 후방 에지에 맞닿는다. 맞물림 피스는 리테이너의 몸체의 서로 반대편인 단부들에 각각 형성되고, 보유 피스 및 안내 피스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하우징의 측부 표면 상의 돌기부와 접촉하기 위한 2개의 맞물림 구멍이 맞물림 피스 내에 형성되는데, 여기서 하나의 맞물림 구멍은 리테이너가 임시로 로킹(locking)된 위치에 보유되게 하고, 다른 맞물림 구멍은 리테이너가 완전히 로킹된 위치에 보유되게 한다.
중국 특허 출원 공개 공보 CN104638417B호(이하, 제2 종래 기술로 지칭됨)는 접촉 실린더 부분의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전방 로킹 부분 뒤에 위치된 후방 로킹 부분(이는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돌출 부분임)을 개시한다. 홀더가 제2 하우징에 장착될 때, 홀더의 로킹 아암의 전방 단부 부분이 후방 로킹 부분을 로킹하여, 제2 하우징에 장착된 제2 단자가 후방으로부터 당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홀더가 제2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부 안내 리브 및 하부 안내 리브는 홀더의 활주 플레이트 부분의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를 안내한다. 로크(lock) 돌출 부분이 활주 플레이트 부분에 형성되는 로크 리세스형 부분을 로킹한다.
그러나, (맞물림 피스들을 사용하는) 제1 종래 기술 및 (활주 플레이트 부분을 사용하는) 제2 종래 기술 둘 모두는 직선으로 이동하고 맞물림을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그러한 방식은 전도성 와이어와 플라스틱 하우징 사이에 충분한 갭이 존재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갭이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에는 리테이너(또는 홀더)가 삽입되기 쉽지 않다. 제1 종래 기술 및 제2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전도성 와이어의 직경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리테이너(또는 홀더)가 삽입되기 위해 전도성 와이어와 플라스틱 하우징 사이에 충분한 갭이 존재하지만, 전도성 와이어의 직경이 증가할 때(예를 들어, 직경이 16AWG인 경우), 전도성 와이어와 플라스틱 하우징 사이의 갭은 충분히 크지 않아서, 리테이너(또는 홀더)가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게 한다. 더욱이, 제1 종래 기술의 맞물림 피스 및 제2 종래 기술의 활주 플레이트 부분은, 소형화에 유익한 커넥터의 횡방향 폭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전도성 단자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적용될 때, 중간에 위치된 전도성 단자의 보유력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선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 하우징 및 홀더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도성 단자는 케이블과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은 절연 부분 및 전도성 와이어 부분을 포함하고, 절연 부분은 전방 단부 면을 갖고, 전도성 와이어 부분은 전방 단부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전도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은 복수의 단자 수용 홈 및 로킹 구조물을 갖고, 복수의 단자 수용 홈은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도성 단자를 각각 수용하며, 로킹 구조물은 하우징의 상단 표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 수용 홈은 상부 내부 벽 면, 하부 내부 벽 면, 상부 내부 벽 면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하부 내부 벽 면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 리세스형 부분을 갖는다. 홀더는 하우징에 제공되며, 홀더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프레임 부분, 횡방향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단자 수용 홈 내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위치설정 아암, 및 횡방향 프레임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하우징의 상단 표면 위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을 갖는다. 각각의 위치설정 아암은 횡방향 프레임 부분에 가까운 제1 경사 세그먼트 및 제1 경사 세그먼트에 연결되고 횡방향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2 경사 세그먼트를 갖고, 제2 경사 세그먼트의 경사도의 각도는 제1 경사 세그먼트의 경사도의 각도보다 크고, 대응하는 경사부는 제2 경사 세그먼트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위치설정하게 하도록 위치설정 아암을 안내하고, 대응하는 케이블의 절연 부분의 전방 단부 면은 제1 경사 세그먼트에 위치되고, 로크 플레이트 부분에는 하우징의 로킹 구조물과 로킹되는 로크 구조물이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자 수용 홈들은 일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고, 횡방향 프레임 부분은 그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자 수용 홈은 복수의 제1 단자 수용 홈이고, 로킹 구조물은 제1 로킹 구조물이고, 하우징은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고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1 단자 수용 홈 아래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단자 수용 홈 및 하우징의 하단 표면에 형성되는 제2 로킹 구조물을 추가로 갖고, 제1 단자 수용 홈은 전도성 단자의 일 부분을 수용하고, 제2 단자 수용 홈은 전도성 단자의 다른 부분을 수용하고, 각각의 제2 단자 수용 홈은 하부 내부 벽 면, 상부 내부 벽 면, 하부 내부 벽 면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 및 상부 내부 벽 면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 리세스형 부분을 갖고, 전기 커넥터는 다른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고, 다른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은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2 단자 수용 홈 내로 각각 삽입되며, 다른 홀더의 로크 플레이트 부분은 하우징의 하단 표면 아래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가지며, 제2 단자 수용 홈의 대응하는 경사부는 다른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의 제2 경사 세그먼트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위치설정하게 하도록 다른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을 안내하고, 대응하는 케이블의 절연 부분의 전방 단부 면은 다른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의 제1 경사 세그먼트에 위치되고, 다른 로크 플레이트 부분의 로크 구조물이 제2 로킹 구조물과 로킹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크 플레이트 부분의 로크 구조물과 하우징의 로킹 구조물은 요철형 끼워맞춤으로 서로 로킹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로킹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래치(latch) 돌출 블록을 포함하고, 홀더의 로크 플레이트 부분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로크 플레이트 부분의 로크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래치 돌출 블록과 래칭되는(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구멍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래치 구멍은 로크 플레이트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홀더는 위치설정 아암에 각각 형성되고 전도성 단자를 각각 향하는 복수의 내향 리세스형 면을 추가로 갖고, 내향 리세스형 면은 각각 전도성 단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내향으로 리세스되는 아치형 표면이고, 내향 리세스형 면은 각각 위치설정 아암으로부터 횡방향 프레임 부분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도성 단자에는 위치설정 돌출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 수용 홈은 정지 면을 추가로 갖고, 위치설정 아암의 제2 경사 세그먼트의 전방 단부는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의 위치설정 돌출부를 대응하는 정지 면으로 전방으로 밀어서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위치설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홀더의 횡방향 프레임 부분의 전방 단부 면이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에 맞닿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블의 절연 부분의 전방 단부 면은 각각 제1 경사 세그먼트에 맞닿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도성 단자는 대응하는 케이블의 절연 부분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 부분 및 케이블의 전도성 와이어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도성 와이어 부분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의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탄성을 갖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에 의해, 이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이 홀더가 하우징에 조립되는 공정에서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이 단자 수용 홈 내로 삽입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방지하며, 더 작은 각도의 경사도를 갖는 제1 경사 세그먼트 및 더 큰 각도의 경사도를 갖는 제2 경사 세그먼트에 의해, 이는 삽입 동안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의 변형량을 감소시켜서, 삽입 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우징의 공간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전기 커넥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홀더가 횡방향 프레임 부분에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에 의해 하우징의 상단 표면에 로킹되기 때문에, 전도성 단자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홀더가 적용될 때, 중간에 위치된 전도성 단자는 여전히 홀더에 의해 제공되는 충분한 보유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효과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도 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홀더가 생략된, 제1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홀더의 하단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도 11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 내의 도면 부호는 하기와 같이 표시된다:
10 전기 커넥터
1 전도성 단자
11 정합 세그먼트
12 미부 세그먼트
121 제1 클램핑 부분
122 제2 클램핑 부분
13 연결 세그먼트
131 위치설정 돌출부
2 하우징
21 후방 단부 면
22 단자 수용 홈
22 제1 단자 수용 홈
22' 제2 단자 수용 홈
221 상부 내부 벽 면
221' 상부 내부 벽 면
222 하부 내부 벽 면
222' 하부 내부 벽 면
223 경사부
223' 경사부
224 수용 리세스형 부분
224' 수용 리세스형 부분
225 정지 면
23 상단 표면
24 로킹 구조물
24 제1 로킹 구조물
24' 제2 로킹 구조물
241 래치 돌출 블록
25 전방 단부 면
26 정합 컬럼
27 래칭 구조물
28 하단 표면
3 홀더
3' 홀더
31 횡방향 프레임 부분
31' 횡방향 프레임 부분
311 전방 단부 면
32 위치설정 아암
32' 위치설정 아암
321 제1 경사 세그먼트
321' 제1 경사 세그먼트
322 제2 경사 세그먼트
322' 제2 경사 세그먼트
33 로크 플레이트 부분
33' 로크 플레이트 부분
331 로크 구조물
331' 로크 구조물
331a 래치 구멍
34 내향 리세스형 면
4 케이블
41 절연 부분
411 전방 단부 면
42 전도성 와이어 부분
D 폭 방향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기 전에, 유사한 요소가 하기의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0)의 제1 실시예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1), 하우징(2), 및 홀더(3)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도성 단자(1)는 케이블(4)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4)은 절연 부분(41) 및 전도성 와이어 부분(42)을 포함하고, 절연 부분(41)은 전방 단부 면(411)을 갖고, 전도성 와이어 부분(42)은 전방 단부 면(411) 외부로 연장되고 전도성 단자(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도성 단자(1)는 전방 측부 상에 위치된 정합 세그먼트(11), 후방 측부 상에 위치된 미부 세그먼트(12), 및 정합 세그먼트(11)와 미부 세그먼트(12) 사이에 연결된 연결 세그먼트(13)를 갖는다. 미부 세그먼트(12)는 대응하는 케이블(4)의 절연 부분(41)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 부분(121), 및 케이블(4)의 전도성 와이어 부분(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도성 와이어 부분(42)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 부분(122)을 갖는다.
도 1,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2)은 하우징(2)의 후방 단부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도성 단자(1)를 수용하는 복수의 단자 수용 홈(22), 및 하우징(2)의 상단 표면(23)에 형성되는 로킹 구조물(24)을 갖고, 하우징(2)의 재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일 수 있다. 각각의 단자 수용 홈(22)은 상부 내부 벽 면(221), 하부 내부 벽 면(222), 상부 내부 벽 면(221)에 형성되고 하우징(2)의 후방 단부 면(21)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23), 및 하부 내부 벽 면(222)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1)를 수용하는 수용 리세스형 부분(224)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은 하우징(2)의 전방 단부 면(25)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단자 수용 홈(22)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정합 컬럼(26)을 추가로 갖고, 단자 수용 홈(22)은 하우징(2)의 후방 단부 면(2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정합 컬럼(26)을 관통하고, 전방 측부 상에 위치된 전도성 단자(1)의 정합 세그먼트(11)가 정합 컬럼(26)의 전방 단부 상에 위치된 단자 수용 홈(22)의 개구에 노출되도록 허용한다. 더욱이, 제1 실시예에서, 하우징(2)은 하우징(2)의 상단 표면(23)으로부터 연장되고 전기 커넥터(10)와 정합할 수 있는 정합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래칭하는 데 사용되는 래칭 구조물(27)을 추가로 갖는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홀더(3)는 하우징(2)에 제공되고, 홀더(3)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프레임 부분(31),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으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단자 수용 홈(22) 내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위치설정 아암(32), 및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의 상단으로부터 하우징(2)의 상단 표면(23) 위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을 갖고, 홀더(3)의 재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단자 수용 홈(22)은 하우징(2)의 폭 방향(D)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고,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은 하우징(2)의 폭 방향(D)을 따라 연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위치설정 아암(32)은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에 가까운 제1 경사 세그먼트(321) 및 제1 경사 세그먼트(321)에 연결되고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2 경사 세그먼트(322)를 갖고, 제2 경사 세그먼트(322)의 경사도의 경사 각도는 제1 경사 세그먼트(321)의 경사도의 각도보다 크고, 대응하는 경사부(223)는 제2 경사 세그먼트(322)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1)를 위치설정하게 하도록 위치설정 아암(32)을 안내하고, 대응하는 케이블(4)의 절연 부분(4)의 전방 단부 면(411)은 제1 경사 세그먼트(321)에 위치되고, 제1 경사 세그먼트(321)의 경사도의 각도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경사부(223)와 매칭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도성 단자(1)의 연결 세그먼트(13)에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향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경사부(223)의 2개의 측부에 위치되는 2개의 위치설정 돌출부(131)가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 수용 홈(22)은 하우징(2)의 후방 단부 면(21)을 향하는 정지 면(225)을 추가로 갖고, 위치설정 아암(32)의 제2 경사 세그먼트(322)의 전방 단부는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1)의 위치설정 돌출부(131)를 대응하는 정지 면(225)으로 전방으로 밀어서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1)를 위치설정하고, 제2 경사 세그먼트(322)의 경사도의 각도가 제1 경사 세그먼트(321)의 각도보다 크기 때문에, 제2 경사 세그먼트(322)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출부(131)의 하부 측을 밀게 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전도성 단자(1)는 더 양호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더 작은 각도의 경사도를 갖는 제1 경사 세그먼트(321)는 케이블(4)을 피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제1 실시예에서, 케이블(4)의 절연 부분(41)의 전방 단부 면(411)은 각각 제1 경사 세그먼트(321)에 맞닿아서, 그에 의해 케이블(4)에 대한 보유력을 증가시키지만,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케이블(4)의 절연 부분(41)의 전방 단부 면(411)이 또한 각각 제1 경사 세그먼트(321)에 맞닿지 않을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작은 각도의 경사도를 갖는 제1 경사 세그먼트(321) 및 더 큰 각도의 경사도를 갖는 제2 경사 세그먼트(322)에 의해, 이는 삽입 동안 홀더(3)의 위치설정 아암(32)의 변형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삽입 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고, 이는 하우징(2)의 공간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전기 커넥터(10)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홀더(3)는 위치설정 아암(32)에 각각 형성되고 전도성 단자(1)를 각각 향하는 복수의 내향 리세스형 면(34)을 추가로 갖고, 내향 리세스형 면(34)은 각각 전도성 단자(1) 및 전도성 와이어 부분(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내향으로 리세스된 아치형 표면이며, 내향 리세스형 면(34)은 위치설정 아암(32)으로부터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으로 각각 연장되어, 전도성 단자(1) 및 케이블(4)에 대한 홀더(3)의 보유력을 증가시키고 홀더(3)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킨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에는 하우징(2)의 로킹 구조물(24)과 로킹되는 로크 구조물(331)이 형성되고,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의 로크 구조물(331)과 하우징(2)의 로킹 구조물(24)이 서로 로킹될 때, 홀더(3)의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의 전방 단부 면(311)이 하우징(2)의 후방 단부 면(21)에 맞닿아, 홀더(3)가 하우징(2)에 더 안정적으로 제공되게 한다. 제1 실시예에서, 홀더(3)의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이 하우징(2)의 폭 방향(D)을 따라서 연장되고, 하우징(2)의 로킹 구조물(24)은 하우징(2)의 폭 방향(D)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2개의 래치 돌출 블록(241)을 포함하고,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의 로크 구조물(331)은 래치 돌출 블록(241)과 대응하게 래칭되고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2개의 래치 구멍(331a)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래치 구멍(331a)은 또한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을 관통하는 대신에 막힌 구멍일 수 있고, 래치 돌출 블록(241) 및 래치 구멍(331a) 각각은 또한 개수가 하나 또는 셋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변형된 실시예에서, 하우징(2)의 로킹 구조물(24)은 또한 래치 구멍(331a)을 포함할 수 있지만,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의 로크 구조물(331)은 래치 돌출 블록(241)을 갖는데, 다시 말해서, 상기 실시예에서,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의 로크 구조물(331)과 하우징(2)의 로킹 구조물(24)은 요철형 끼워맞춤으로 서로 로킹되지만, 추가로, 하우징(2)의 로킹 구조물(24)과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의 로크 구조물(331)은 또한 요철형 끼워맞춤을 사용하는 대신에 서로 로킹될 수 있는 다른 기존의 구조물일 수 있고, 제1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설명되어야 한다. 탄성을 갖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에 의해, 이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이 홀더(3)가 하우징(2)에 조립되는 공정에서 홀더(3)의 위치설정 아암(32)이 단자 수용 홈(22) 내로 삽입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방지하고, 요철형 끼워맞춤으로 서로 로킹되는 하우징(2)의 로킹 구조물(24)과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의 로크 구조물(331)에 의해, 이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의 이동 경로가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이 하우징(2)에 로킹되는 공정에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홀더(3)의 위치설정 아암(32)이 단자 수용 홈(22) 내로 삽입되는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홀더(3)가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에 연결되고 하우징(2)의 폭 방향(D)을 따라서 연장되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을 사용함으로써 하우징(2)의 상단 표면(23)에 로킹되기 때문에, 전도성 단자(1)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홀더(3)가 적용될 때, 중간에 위치된 전도성 단자(1)는 여전히 홀더(3)에 의해 제공되는 충분한 보유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0)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 단자 수용 홈(22)은 복수의 제1 단자 수용 홈(22)이고, 로킹 구조물(24)은 제1 로킹 구조물(24)이다. 하우징(2)은, 하우징(2)의 폭 방향(D)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고 하우징(2)의 후방 단부 면(2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1 단자 수용 홈(22) 아래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단자 수용 홈(22'), 및 하우징(2)의 하단 표면(28)에 형성된 제2 로킹 구조물(24')을 추가로 갖는다. 제2 실시예에서, 전도성 단자(1)의 개수는 제1 실시예의 개수의 2 배이고, 제1 단자 수용 홈(22)은 전도성 단자(1)의 일 부분을 수용하고, 제2 단자 수용 홈(22')은 전도성 단자(1)의 다른 부분을 수용하고, 전도성 단자(1)의 다른 부분은 상하 전도된(upside down) 방식으로 배향된다. 각각의 제2 단자 수용 홈(22')은 하부 내부 벽 면(222'), 상부 내부 벽 면(221'), 하부 내부 벽 면(222')에 형성되고 하우징(2)의 후방 단부 면(21)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223'), 및 상부 내부 벽 면(221')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1)를 수용하는 수용 리세스형 부분(224')을 갖고, 전기 커넥터(10)는 다른 홀더(3')를 추가로 포함하고, 홀더(3')의 위치설정 아암(32')은 각각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2 단자 수용 홈(22') 내로 삽입되며, 홀더(3')의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은 하우징(2)의 하단 표면(28) 아래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가지며, 대응하는 경사부(223')는 제2 경사 세그먼트(322')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1)를 위치설정하게 하도록 위치설정 아암(32')을 안내하고, 대응하는 케이블(4)의 절연 부분(41)의 전방 단부 면(411)은 제1 경사 세그먼트(321')에 위치되고,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의 로크 구조물(331')은 제2 로킹 구조물(24')과 로킹된다. 추가로, 제2 실시예에서, 제2 단자 수용 홈(22') 및 제1 단자 수용 홈(22)은 상하 거울상으로 구성되고, 제2 로킹 구조물(24') 및 제1 로킹 구조물(24)도 또한 상하 거울상으로 구성되며, 홀더(3) 및 홀더(3')의 구조물들은 단지 상하 전도된 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하여, 추가 설명이 여기에서 주어지지 않을 것이지만, 변형된 실시예에서, 제1 단자 수용 홈(22)과 제2 단자 수용 홈(22') 사이의, 제1 로킹 구조물(24)과 제2 로킹 구조물(24') 사이의, 그리고 홀더(3)와 홀더(3') 사이의 일부 구조에 일부 차이가 여전히 있을 수 있고, 제2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0)에서, 탄성을 갖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에 의해, 이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이 홀더(3)가 하우징(2)에 조립되는 공정에서 홀더(3)의 위치설정 아암(32)이 단자 수용 홈(22) 내로 삽입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방지하며, 더 작은 각도의 경사도를 갖는 제1 경사 세그먼트(321) 및 더 큰 각도의 경사도를 갖는 제2 경사 세그먼트(322)에 의해, 이는 삽입 동안 홀더(3)의 위치설정 아암(32)의 변형량을 감소시켜서, 삽입 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우징(2)의 공간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전기 커넥터(10)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홀더(3)가 횡방향 프레임 부분(31)에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크 플레이트 부분(33)에 의해 하우징(2)의 상단 표면(23)에 로킹되기 때문에, 전도성 단자(1)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홀더(3)가 적용될 때, 중간에 위치된 전도성 단자(1)는 여전히 홀더(3)에 의해 제공되는 충분한 보유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구현 범주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의 범주에 따르는 모든 간단한 등가의 변경예 및 변형예는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Claims (11)

  1. 전기 커넥터로서,
    복수의 전도성 단자 - 각각의 전도성 단자는 케이블과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은 절연 부분 및 전도성 와이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분은 전방 단부 면을 갖고, 상기 전도성 와이어 부분은 상기 전방 단부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도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 -;
    복수의 단자 수용 홈 및 로킹(locking) 구조물을 갖는 하우징 -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 홈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도성 단자를 각각 수용하며, 상기 로킹 구조물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 표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 수용 홈은 상부 내부 벽 면, 하부 내부 벽 면, 상기 상부 내부 벽 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하부 내부 벽 면에 형성되고 상기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 리세스형 부분을 가짐 -; 및
    상기 하우징에 제공된 홀더 - 상기 홀더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프레임 부분,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단자 수용 홈 내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위치설정 아암, 및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단 표면 위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로크(lock) 플레이트 부분을 갖고, 각각의 위치설정 아암은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분에 가까운 제1 경사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경사 세그먼트에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2 경사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제2 경사 세그먼트의 경사도의 각도는 상기 제1 경사 세그먼트의 경사도의 각도보다 크고, 상기 대응하는 경사부는 상기 제2 경사 세그먼트의 전방 단부가 상기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위치설정하게 하도록 상기 위치설정 아암을 안내하고, 상기 대응하는 케이블의 절연 부분의 전방 단부 면은 상기 제1 경사 세그먼트에 위치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의 로킹 구조물과 로킹되는 로크 구조물이 형성됨 -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 홈은 일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분은 상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 홈은 복수의 제1 단자 수용 홈이고, 상기 로킹 구조물은 제1 로킹 구조물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단자 수용 홈 아래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단자 수용 홈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 표면에 형성되는 제2 로킹 구조물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제1 단자 수용 홈은 상기 전도성 단자의 일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2 단자 수용 홈은 상기 전도성 단자의 다른 부분을 수용하고, 각각의 제2 단자 수용 홈은 하부 내부 벽 면, 상부 내부 벽 면, 상기 하부 내부 벽 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 및 상기 상부 내부 벽 면에 형성되고 상기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 리세스형 부분을 갖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다른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른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은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단자 수용 홈 내로 각각 삽입되며, 상기 다른 홀더의 로크 플레이트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 표면 아래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2 단자 수용 홈의 대응하는 경사부는 상기 다른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의 제2 경사 세그먼트의 전방 단부가 상기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위치설정하게 하도록 상기 다른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을 안내하고, 상기 대응하는 케이블의 절연 부분의 전방 단부 면은 상기 다른 홀더의 위치설정 아암의 제1 경사 세그먼트에 위치되고, 상기 다른 로크 플레이트 부분의 로크 구조물이 상기 제2 로킹 구조물과 로킹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 부분의 로크 구조물과 상기 하우징의 로킹 구조물은 요철형 끼워맞춤으로 서로 로킹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로킹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래치(latch) 돌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로크 플레이트 부분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 부분의 로크 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 돌출 블록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구멍을 갖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 구멍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위치설정 아암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단자를 각각 향하는 복수의 내향 리세스형 면을 추가로 갖고, 상기 내향 리세스형 면은 각각 상기 전도성 단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내향으로 리세스되는 아치형 표면이고, 상기 내향 리세스형 면은 각각 상기 위치설정 아암으로부터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분으로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도성 단자에는 위치설정 돌출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 수용 홈은 정지 면을 추가로 갖고, 상기 위치설정 아암의 제2 경사 세그먼트의 전방 단부는 상기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의 위치설정 돌출부를 상기 대응하는 정지 면으로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대응하는 전도성 단자를 위치설정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횡방향 프레임 부분의 전방 단부 면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 면에 맞닿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절연 부분의 전방 단부 면은 각각 상기 제1 경사 세그먼트에 맞닿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도성 단자는 상기 대응하는 케이블의 절연 부분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 부분 및 상기 케이블의 전도성 와이어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도성 와이어 부분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 부분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1020200009627A 2019-01-31 2020-01-28 전기 커넥터 KR102269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176573.8U CN209217300U (zh) 2019-01-31 2019-01-31 电连接器
CN201920176573.8 2019-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397A true KR20200095397A (ko) 2020-08-10
KR102269855B1 KR102269855B1 (ko) 2021-06-28

Family

ID=6746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627A KR102269855B1 (ko) 2019-01-31 2020-01-28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05210B2 (ko)
JP (1) JP6840874B2 (ko)
KR (1) KR102269855B1 (ko)
CN (1) CN209217300U (ko)
TW (1) TWM58455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202846S (zh) * 2019-01-31 2020-02-21 美商莫仕有限公司 電連接器之部分
USD906982S1 (en) * 2019-02-28 2021-01-05 Molex, Llc Connector
USD925456S1 (en) * 2019-02-28 2021-07-20 Molex, Llc Connector
USD975024S1 (en) * 2019-04-12 2023-01-10 Fci Connectors Dongguan Ltd. Electrical connector
TWI710178B (zh) * 2019-11-04 2020-11-11 大陸商東莞訊滔電子有限公司 電連接器
JP2021193657A (ja) * 2020-06-08 2021-12-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及びリテーナ
JP2021193658A (ja) * 2020-06-08 2021-12-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ケーブル端子及びコネクタ
USD1022911S1 (en) 2020-07-06 2024-04-16 Molex, Llc Housing of connector
JP2023167841A (ja) * 2022-05-13 2023-11-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810A (ko) * 2017-02-14 2018-08-22 델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단자 위치 확인 장치를 가진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968U (ja) * 1984-05-29 1985-12-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192773U (ko) * 1987-12-14 1989-06-19
US5292261A (en) * 1988-08-30 1994-03-08 Yazaki Corporation Terminal retainer for connector
JP2807252B2 (ja) * 1989-03-05 1998-10-08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H0740307Y2 (ja) * 1990-02-21 1995-09-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係止具
JPH081571Y2 (ja) * 1990-03-05 1996-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2522596B2 (ja) * 1990-08-01 1996-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US5439397A (en) * 1990-10-01 1995-08-08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US5322456A (en) * 1991-08-14 1994-06-21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er
JP2578282B2 (ja) * 1992-02-04 1997-02-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2574771Y2 (ja) * 1992-10-07 199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6809A (ja) * 1993-06-18 1995-01-10 Yazaki Corp 端子係止具付きコネクタ
JP3100927B2 (ja) * 1997-08-25 2000-10-23 日本端子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用リテイナ
US5890935A (en) * 1997-12-10 1999-04-0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000200649A (ja) * 1999-01-07 2000-07-1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用中継コネクタ
US6290539B1 (en) * 1999-04-30 2001-09-18 Cardel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wo-piece socket portion
JP2001291547A (ja) * 2000-04-07 2001-10-19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6203606B2 (ja) 2013-11-13 2017-09-2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445376B2 (ja) * 2015-04-01 2018-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D187629S (zh) 2017-03-14 2018-01-01 蔡宗彥 Power supply plug (1)
CN111262077B (zh) * 2017-06-23 2022-01-1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源连接器
TWD188868S (zh) 2017-09-11 2018-03-01 正崴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插頭連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810A (ko) * 2017-02-14 2018-08-22 델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단자 위치 확인 장치를 가진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0874B2 (ja) 2021-03-10
KR102269855B1 (ko) 2021-06-28
US11005210B2 (en) 2021-05-11
US20200251846A1 (en) 2020-08-06
CN209217300U (zh) 2019-08-06
JP2020126832A (ja) 2020-08-20
TWM584553U (zh)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5397A (ko) 전기 커넥터
US999163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housing side wall with resilient inner arm and stationary outer arm
US10170857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4894026A (en) Miniature circular DIN connector
US735766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member
US4778403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726757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mechanism
US10135172B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7112089B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676723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tention system for mounting onto a printed circuit board
US9608353B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886640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US7074074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KR20100129304A (ko) 로우 프로파일 단자 위치 확정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US112117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1755905B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US6682367B2 (en) Holder-equipped connector
US1173586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portions
US708689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60223382A1 (en) Pick & place electrical connector
US20020039860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ale connector used in the same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US7470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I661624B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