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639A -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639A
KR20200091639A KR1020190008642A KR20190008642A KR20200091639A KR 20200091639 A KR20200091639 A KR 20200091639A KR 1020190008642 A KR1020190008642 A KR 1020190008642A KR 20190008642 A KR20190008642 A KR 20190008642A KR 20200091639 A KR20200091639 A KR 2020009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portfolio
user
company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933B1 (ko
Inventor
엄기창
Original Assignee
엄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창 filed Critical 엄기창
Priority to KR102019000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9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인테리어 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업체에서 촬영한 시공 사례 영상을 입력받고 3D VR(Virtual Reality) 영상 포트폴리오로 등록하는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 등록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가능 지역을 포함한 견적 및 상담 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시공 가능 지역을 기반으로 해당 지역내 등록 업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포트폴리오를 등록한 업체들을 복수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하고 이중 사용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업체를 사용자와 매칭시키는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로부터 견적서를 제공받고 추천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에 비교 견적을 제공하는 비교 견적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제작 및 업로드하여 업체 광고할 수 있고 지역 기반의 비교 견적을 통해 취향에 매칭되는 인테리어 업체와 사용자 양자간 연결을 통해 만족도 높은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INTERIOR BUSINESS MATCHING SERVICE BASED ON 3D VR PORTFOLIO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업체는 자신만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3D로 모델링된 인테리어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홍보하고 사용자는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업체를 선택하여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인테리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및 사무실 등과 같이 일정한 주거공간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들은 자신의 취향이나 주거공간의 특색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를 개보수하는 리모델링을 통해 주거 환경을 개선한다.
이러한 리모델링을 통해 인테리어 설계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내 인테리어 또는 리모델링을 수행하는 업체에 의뢰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실내 인테리어 또는 리모델링을 수행하는 업체를 직접 선정해야 하므로, 업체 간의 시공 능력 및 비용에 대한 정확한 비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의 방식은 인테리어 업체에서 인테리어 포트폴리오 및 사진을 고객에게 보여주거나, 인테리어 공간에 고객을 직접 데려가서 보여줌으로써, 고객에게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2D 자원인 인테리어 포트폴리오 및 사진을 고객에게 보여주기 때문에, 인테리어 디자인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인테리어 공간에 고객을 직접 데려가서 보여주기 때문에, 시간 및 공간 상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3D로 모델링된 인테리어 설계화면을 PC를 통하여 고객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사용자가 실제 느끼는 현실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7028(2011.08.02)호는 사용자가 직접 인테리어 설계 공간을 선택 및 편집하고 소품을 배치하여 가상으로 최적의 3차원 설계 공간을 미리 연출 및 체험함과 동시에, 최적의 인테리어 설계에 따른 견적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는 최적의 가상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가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테리어 설계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고, 가상 인테리어 설계 DB에 저장된 가상 인테리어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아파트 DB 및 부동산 연계 DB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계하기를 원하는 인테리어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3D 도면 정보파일 DB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3D 인테리어 공간을 설계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견적산출 DB를 이용하여 설계된 인테리어 견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7633(2017.03.10)호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인테리어 견적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모바일을 통한 접속과 인테리어 공급자들의 정보와 가격을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인테리어의 견적에 대해 소비자와 공급자가 연결되는 플랫폼을 형성하고 이에 대한 결과로 효율적인 거래가격이 형성되고 업체들이 소비자들의 평가를 좋게 얻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게 만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결합시키는 견적 플랫폼 시스템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7028(2011.08.0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7633(2017.03.1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테리어 업체는 자신만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3D로 모델링된 인테리어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홍보하고 사용자는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업체를 선택하여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인테리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공할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내 등록 업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3D VR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등록한 업체를 사용자와 매칭할 수 있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3D VR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등록한 복수의 업체들의 견적 비교를 통해 최종 업체를 선정하여 사용자와 매칭할 수 있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인테리어 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업체에서 촬영한 시공 사례 영상을 입력받고 3D VR(Virtual Reality) 영상 포트폴리오로 등록하는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 등록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가능 지역을 포함한 견적 및 상담 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시공 가능 지역을 기반으로 해당 지역내 등록 업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포트폴리오를 등록한 업체들을 복수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하고 이중 사용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업체를 사용자와 매칭시키는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로부터 견적서를 제공받고 추천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에 비교 견적을 제공하는 비교 견적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는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로부터 시공 가능 지역 및 3D 카메라로 촬영된 인테리어 시공 사례를 포함하는 3D VR 영상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등록받고 지역내 등록 업체 리스트 및 업체별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는 상기 업체별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에 인테리어 컨셉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시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유형, 지역, 면적 및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검색 조건의 시공 사례에 해당하는 등록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인테리어 컨셉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인테리어 컨셉을 포함하는 시공 가능 지역내 등록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등록한 시공 가능 지역내 등록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에 인테리어 상담 요청을 하여 수락 응답한 인테리어 업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견적부는 선정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견적 및 상담을 수행하는 메신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지역별 시공 가능 인테리어 업체 및 업체별 시공 사례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업체별 시공 사례를 3D VR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견적 및 상담 요청된 상기 3D VR 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인테리어 취향을 파악하고 사용자 인테리어 취향과 유사한 시공 사례를 등록한 시공할 지역내 시공 가능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의 견적을 비교하여 최종 업체를 선정하고 최종 선정된 인테리어 업체와 사용자를 연결하여 인테리어 시공하도록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인테리어 업체는 자신만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3D로 모델링된 인테리어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홍보할 수 있고 사용자는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업체를 선택하여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인테리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와 인테리어 업체 상호 간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인테리어 업체들은 자신만의 차별화된 인테리어 시공정보를 3D VR 영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어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지역 기반의 인테리어 업체를 소개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매칭율을 높일 수 있고 매칭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시스템(100)은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120)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게 된다.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 및 사용자 단말(13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3D VR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업체와 사용자를 매칭시켜주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120)로부터 인테리어 시공 사례를 포함하는 3D VR 영상으로 제작된 포트폴리오를 등록받고 사용자 단말(130)에 포트폴리오를 3D VR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인테리어 시공할 지역을 포함한 견적 요청을 입력받고 지역을 기반으로 견적 요청을 통해 선택된 3D VR 영상의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3D VR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등록한 지역내 등록된 업체들을 사용자 단말(130)에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추천한 복수의 업체들의 비교 견적을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종 선택되는 인테리어 업체를 사용자의 인테리어 시공 업체로 매칭시켜줄 수 있다.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시공할 지역을 입력받고 입력된 지역에 시공이 가능한 인테리어 업체들의 포트폴리오 등록된 3D VR 영상들만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시공할 지역을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등록된 인테리어 업체의 3D VR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시 시공 사례안에 들어간 관련 물품들에 대해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매칭된 인테리어 업체와 사용자 양자간에 상담 및 견적을 위한 메신저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120)은 자신들의 인테리어 시공 사례들에 대해 3D VR 영상으로 제작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은 시공 구분, 주소, 면적, 금액 등의 시공 정보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은 자신만의 인테리어 시공 사례에 대해 VR 영상으로 광고 홍보하여 사용자와의 매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서 제공하는 3D VR 포트폴리오를 검색하여 원하는 인테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원하는 견적 유형, 공사 지역, 면적 및 금액을 포함한 견적 내용을 입력하고 입력내용에 따른 3D VR 인테리어 영상들을 제공받아 시청한 후 맘에 드는 인테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또한, 메신저 기능을 통해 매칭된 인테리어 업체와 상담을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 데이터베이스(220),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230),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 비교 견적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120)과 네트워크 접속하여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로부터 인테리어 시공 사례를 포함한 3D VR 영상 기반의 포토폴리오를 업로드받아 업체 등록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업체 등록시에는 자신의 인테리어 시공 역량을 드러낼 수 있는 영상을 제작하여 업로드하고 이와 함께 시공 가능한 유형이나 지역 등을 포함한 시공 조건을 명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들은 업체 등록시 3D VR 포토폴리오를 등록하여 업체 광고 및 홍보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로부터 업로드된 3D VR 영상을 편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로부터 스틸 이미지 형태로 업로드된 경우에 실제 공간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지게 하는 파노라마방식으로 편집하여 등록할 수 있다. 물론,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로부터 파노라마 판형으로 촬영된 영상을 업로드 받을 수 있지만 이 경우 파노라마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 비율의 여러 장의 사진을 파노라마 비율로 크롭하거나 파노라마 로테이터 등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파노라마 사진을 360°VR 컨텐츠로 만들어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360°사진에서 장면과 장면을 연결하는 스티칭(stitching), 3D오브젝트 합성, 설명정보 태그 삽입 등의 3D VR 편집을 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360도 스틸이미지에 대한 동영상 삽입을 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촬영된 360도 스틸 이미지를 동영상 오브젝트로 삽입하여 데이터양을 줄일 수 있는 에디팅 및 뷰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다양한 태깅 기능을 통해 2D 이미지, 3D 오브젝트, 텍스트, 오디오, 영상 등 템플릿을 안정적으로 링크하여 입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촬영된 360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태깅을 부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설정 가능한 태깅에는 스티커, 링크, 설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3D VR 포트폴리오의 메타데이터에 인테리어 컨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최종 편집 완료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업체 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지역내 등록 업체 리스트 및 업체별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220)는 별도 구현하였지만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230)는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3D VR 포트폴리오 요청에 따라 등록 업체들의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3D VR 포트폴리오에는 인테리어 시공 사례 및 관련 물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시공 유형, 지역, 면적,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조건을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입력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시공 사례를 포함한 3D VR 포트폴리오들을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시청하고 맘에 드는 인테리어 시공사례가 포함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선택하여 견적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는 시공할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내 등록된 업체들 중 사용자가 견적 상담 요청한 3D VR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3D VR 포트폴리오를 등록한 복수의 업체들을 선정하고 선정한 지역내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을 사용자 단말(130)에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는 사용자가 선택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의 메타데이터(Metadata)로부터 해당 인테리어의 컨셉을 인식하고 인식된 인테리어 컨셉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의 메타데이터에 "현대적인 30대 여성 취향의 인테리어"라는 컨셉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는 사용자의 취향이 현대적인 30대 여성 취향으로 파악하고 같은 취향의 컨셉 정보를 포함하는 시공할 지역내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추천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 중 하나의 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업체를 사용자와 매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는 사용자가 3D VR 포트폴리오 영상들을 시청한 후 맘에 드는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선택한 경우에 선택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과 유사하게 제작되거나 동일 컨셉의 영상을 업로드한 시공할 지역에 시공 가능한 복수개의 업체 중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에 인테리어 상담 요청을 하고 수락 응답시 사용자 단말(130)에 인테리어 업체 매칭 통보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는 인테리어 상담 요청 불응시 사용자 단말(130)에 차선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VR 영상과 유사도가 높은 VR 영상 및 인테리어 업체를 추천할 수도 있다.
비교 견적부(25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추천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에 대해 비교 견적 요청에 따라 추천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120)로부터 견적서를 받아 비교 견적을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비교 견적부(250)는 추천된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과 사용자 단말(130) 사이의 메신저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인테리어 업체 간 상담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인테리어 업체 간에 원활한 의사교환을 나눌 수 있게 한다.
제어부(260)는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취향의 인테리어 시공 및 문의지역 시공가능 업체를 매칭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120)로부터 지역별 시공 가능 인테리어 업체 및 업체별 시공 사례를 등록받을 수 있다(단계 S310).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로부터 업체 등록 및 시공 사례에 해당하는 3D VR 영상으로 제작된 포트폴리오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210)는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로부터 360도의 스틸이미지를 입력받아 동영상을 삽입하거나 360동 영상 또는 동영상을 입력받아 사용자 태깅을 부착하거나 2D 혹은 3D 전환 가능하게 재편집할 수 있다. 즉, 인테리어 업체는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접속하여 자신이 촬영한 인테리어 시공 영상을 업로드하고 자유롭게 편집하여 자신만의 차별화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제작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30)에 인테리어 업체의 시공 사례를 포함한 포트폴리오를 3D VR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20). 여기에서,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130)의 포트폴리오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20)에 등록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130)에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고 견적 및 상담 요청을 받을 수 있다(단계 S330). 여기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시청한 후 맘에 드는 인테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3D VR 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인테리어 취향과 유사한 시공 사례를 등록한 문의지역 시공 가능 복수개의 업체들을 추천할 수 있다(단계 S340). 여기에서,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는 3D VR 영상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인테리어 컨셉으로부터 사용자의 인테리어 취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240)는 사용자의 시공 희망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지역내 등록 업체들 중 사용자의 인테리어 취향과 유사한 인테리어 컨셉의 시공 사례가 있는 업체들을 복수개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130)에 추천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선정한 복수개의 인테리어 업체들 중 비교 견적을 통해 최종 업체를 선정하여 사용자와 매칭시킨다(단계 S350). 여기에서, 비교 견적부(250)는 사용자 단말(130)과 선정된 인테리어 업체 단말(120) 간에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여 견적 및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최종 업체를 선정할 수 있게 한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인테리어 업체와 사용자 양자간 매칭이 되면 사용자가 인테리어 업체를 통해 시공받을 수 있게 한다(단계 S360).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사례를 포함한 3D VR 포트폴리오 영상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업체들은 자신의 시공 사례를 포함한 포트폴리오를 3D VR 영상으로 제작하여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업로드된 인테리어 업체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3D VR 영상으로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30)에는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이, 검색 조건 입력 항목 및 등록된 인테리어 업체들의 3D VR 포트폴리오 목록이 제공되게 된다. 여기에서, 검색 조건 입력 항목에는 주거공간, 상업공간 등을 구분하는 유형, 지역, 면적,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검색 조건에 맞는 시공 사례에 해당하는 3D VR 포트폴리오 영상을 검색하여 선택하거나 목록에 있는 영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30)에는 도 5에 보여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포트폴리오의 3D VR 영상이 제공되게 된다. 여기에서, 3D VR 영상 화면 상단부에는 시공업체, 시공구분, 시공주소, 시공면적, 시공금액이 안내되고, 하단부에는 시공 내용에 대한 설명을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3D VR 영상 화면에는 실제 공간에서 보는 듯한 느낌으로 인테리어를 구경할 수 있다. 3D VR 영상 화면에는 사용자 중심의 안내 가이드라인을 포함시켜 사용자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고, 인테리어 시공에 사용된 상품에 대해 설명 보기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는 인테리어 시공 사례를 포함한 인테리어 업체별 3D VR 영상을 시청한 후 맘에 드는 인테리어와 유사한 시공 사례가 있는 지역내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하여 비교 견적을 통해 인테리어 업체를 매칭받아 인테리어 시공을 할 수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인테리어 업체들중 저렴한 인테리어 업체를 소개받을 수 있고 인테리어 업체는 자신만의 특화된 광고 홍보를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시스템
110: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120: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
130: 사용자 단말
210: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
220: 데이터베이스
230: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
240: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
250: 비교 견적부
260: 제어부

Claims (8)

  1. 인테리어 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업체에서 촬영한 시공 사례 영상을 입력받고 3D VR(Virtual Reality) 영상 포트폴리오로 등록하는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
    등록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가능 지역을 포함한 견적 및 상담 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시공 가능 지역을 기반으로 해당 지역내 등록 업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포트폴리오를 등록한 업체들을 복수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하고 이중 사용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업체를 사용자와 매칭시키는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로부터 견적서를 제공받고 추천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에 비교 견적을 제공하는 비교 견적부를 포함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는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로부터 시공 가능 지역 및 3D 카메라로 촬영된 인테리어 시공 사례를 포함하는 3D VR 영상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등록받고 지역내 등록 업체 리스트 및 업체별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업체 등록부는
    상기 업체별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에 인테리어 컨셉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시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VR 포트폴리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유형, 지역, 면적 및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검색 조건의 시공 사례에 해당하는 등록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인테리어 컨셉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인테리어 컨셉을 포함하는 시공 가능 지역내 등록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업체-사용자 매칭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3D VR 영상 포트폴리오와 유사도가 높은 3D VR 영상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등록한 시공 가능 지역내 등록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에 인테리어 상담 요청을 하여 수락 응답한 인테리어 업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견적부는
    선정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견적 및 상담을 수행하는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8. 지역별 시공 가능 인테리어 업체 및 업체별 시공 사례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업체별 시공 사례를 3D VR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견적 및 상담 요청된 상기 3D VR 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인테리어 취향을 파악하고 사용자 인테리어 취향과 유사한 시공 사례를 등록한 시공할 지역내 시공 가능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들의 견적을 비교하여 최종 업체를 선정하고 최종 선정된 인테리어 업체와 사용자를 연결하여 인테리어 시공하도록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008642A 2019-01-23 2019-01-23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42A KR102193933B1 (ko) 2019-01-23 2019-01-23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42A KR102193933B1 (ko) 2019-01-23 2019-01-23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39A true KR20200091639A (ko) 2020-07-31
KR102193933B1 KR102193933B1 (ko) 2020-12-22

Family

ID=7183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42A KR102193933B1 (ko) 2019-01-23 2019-01-23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93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144A (ko) * 2020-09-22 2022-03-29 (주)에프엘씨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견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0645A (ko) * 2020-11-23 2022-05-31 한상훈 사용자 선호 사항을 반영한 업체 추천 시스템
KR20220070644A (ko) * 2020-11-23 2022-05-31 한상훈 기계 학습 기반 업체 추천 시스템
KR20220169385A (ko) * 2021-06-16 2022-12-27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552621B1 (ko) * 2022-01-19 2023-07-07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3d와 gan에 기반하여 인테리어를 커스터마이징 하기 위한 시공 및 분양 방법
KR102553041B1 (ko) * 2023-03-21 2023-07-07 주식회사 거기엔 인공지능 모델 기반 사용자 및 인테리어 공급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6610B1 (ko) * 2022-01-19 2023-07-19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3d 기반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방법
KR102585710B1 (ko) * 2023-03-10 2023-10-06 주식회사 더블유브이에스 디자인 업체 매칭 방법
KR102639531B1 (ko) * 2022-09-30 2024-02-22 주식회사 아울디자인 가상현실에 기반한 인테리어 체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31B1 (ko) * 2021-08-12 2022-02-08 주식회사 날아올라 창업지원 시스템
KR20230076479A (ko) * 2021-11-24 2023-05-31 농업회사법인일품주식회사 조경 설계 지원 시스템과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506320B1 (ko) 2022-09-21 2023-03-03 윤종민 인테리어 결과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542307B1 (ko) 2022-10-24 2023-06-13 주식회사 위드라이크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976A (ko) * 2000-10-20 2002-04-26 최덕기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모델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15439A (ko) * 2003-08-06 2005-02-21 이영미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정보 및 서비스 방법
KR20110087028A (ko)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앤디하우스 최적의 가상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100336A (ko) * 2014-02-25 2015-09-02 한용복 온라인 인테리어 공사 토탈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27633A (ko) 2015-09-02 2017-03-10 케이에프엠씨 주식회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인테리어 견적 플랫폼
KR101804763B1 (ko) * 2016-06-02 2017-12-08 주식회사 리즈디자인 가상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976A (ko) * 2000-10-20 2002-04-26 최덕기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모델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15439A (ko) * 2003-08-06 2005-02-21 이영미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정보 및 서비스 방법
KR20110087028A (ko)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앤디하우스 최적의 가상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100336A (ko) * 2014-02-25 2015-09-02 한용복 온라인 인테리어 공사 토탈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27633A (ko) 2015-09-02 2017-03-10 케이에프엠씨 주식회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인테리어 견적 플랫폼
KR101804763B1 (ko) * 2016-06-02 2017-12-08 주식회사 리즈디자인 가상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144A (ko) * 2020-09-22 2022-03-29 (주)에프엘씨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견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0645A (ko) * 2020-11-23 2022-05-31 한상훈 사용자 선호 사항을 반영한 업체 추천 시스템
KR20220070644A (ko) * 2020-11-23 2022-05-31 한상훈 기계 학습 기반 업체 추천 시스템
KR20220169385A (ko) * 2021-06-16 2022-12-27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552621B1 (ko) * 2022-01-19 2023-07-07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3d와 gan에 기반하여 인테리어를 커스터마이징 하기 위한 시공 및 분양 방법
KR102556610B1 (ko) * 2022-01-19 2023-07-19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3d 기반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방법
KR102639531B1 (ko) * 2022-09-30 2024-02-22 주식회사 아울디자인 가상현실에 기반한 인테리어 체험 시스템
KR102585710B1 (ko) * 2023-03-10 2023-10-06 주식회사 더블유브이에스 디자인 업체 매칭 방법
KR102553041B1 (ko) * 2023-03-21 2023-07-07 주식회사 거기엔 인공지능 모델 기반 사용자 및 인테리어 공급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933B1 (ko)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933B1 (ko)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8009871B (zh) 基于增强现实视点的产品推荐
CN112055225B (zh) 直播视频截取、商品信息生成、对象信息生成方法及装置
US10469912B2 (en) Visual hash tags via trending recognition activities, systems and methods
TWI660313B (zh) 圖像化交易方法及其交易系統
US20100023405A1 (en) Advertising by tagging predefined keywords or phrases onto content or media
US20150012394A1 (en) Virtual Shopping System
KR102320749B1 (ko)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하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3929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avigable path between pages of a network platform based on linking database entries of the network platform
US20190325497A1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4005911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TW201719518A (zh) 商品圖片搜尋方法及商品圖片搜尋系統
KR20210066495A (ko)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119171A (zh) 一种mr/ar/vr购物和检索场景控制方法、移动终端与可读存储介质
US20150074110A1 (en) Platform system for object tagging and method thereof
KR20140039508A (ko) 가상 코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55241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644247B1 (ko)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09202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10033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예상 수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US202103660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ersonalised look-book creation in real-time
JP2005222146A (ja) コーディネー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230050656A (ko) 적응형 아이템 소비 플랫폼, 그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210111117A (ko) 업로드된 미디어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기반의 상품 거래 시스템
CN117036075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