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307B1 -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307B1
KR102542307B1 KR1020220137002A KR20220137002A KR102542307B1 KR 102542307 B1 KR102542307 B1 KR 102542307B1 KR 1020220137002 A KR1020220137002 A KR 1020220137002A KR 20220137002 A KR20220137002 A KR 20220137002A KR 102542307 B1 KR102542307 B1 KR 10254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pace
styling
exper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라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라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라이크
Priority to KR102022013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chitectu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공간 정보를 기초로,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간에 포함된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제품 정보를 기초로, 제품에 대응하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고, 공간 정보 및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제품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고, 가상 제품이 배치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의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사용자와 매칭된 전문가의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출력하고, 가상 공간 및 가상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한다. 이 때, 가상 공간 및 가상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는 동작은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에 가상 제품을 표시하거나 비표시하는 동작,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제품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3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제품의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SPACE STYLING EXPERT AND USER MATCHING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
아래 실시예들은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를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와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에게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상 세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각광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메타버스의 핵심기술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아우르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기술이다.
메타버스와 관련된 서비스 및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메타버스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결합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시대의 도래와 함께 비대면 활동 수요가 급증하면서 원격 미팅 서비스, 원격 교육 서비스, 원격 의료 서비스, 원격 상거래 서비스 등의 현실 세계의 사회적 경제적 활동의 원격 서비스에 대한 연구 개발이 각광받고 있다.
3차원 가상공간에서는 사용자와 똑같은 실사 아바타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에서 상호 교감을 하는 듯한 현장감과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3차원 가상공간 서비스를 실현하는 핵심기술은 실사 아바타 생성기술이다. 그러나 메타버스 환경을 통한 공간 스타일링, 정리, 수납 아이템을 추천하는 시스템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공간 스타일링, 정리, 수납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부피가 큰 수납 제품을 메타버스를 통해 미리 사용자의 공간에 적용해보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46805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88944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9393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108914호
실시예들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사용자 및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에게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스타일링이 완료된 스타일링 공간을 NFT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NFT를 통해 사용자가 전문가에게 스타일링 비용 지불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를 매칭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간에 포함된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고, 상기 공간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제품을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제품이 배치된 상기 가상 공간을 상기 사용자의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사용자와 매칭된 전문가의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공간 및 상기 가상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 및 상기 가상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상기 가상 제품을 표시하거나 비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제품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3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제품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입력, 상기 제2 입력 및 상기 제3 입력을 통해 스타일링이 완료된 상기 가상 공간 및 상기 가상 제품을 스타일링 공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링 공간을 NFT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NFT의 지분을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문가에게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생성 및 지분 설정이 완료된 NFT를 블록체인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 및 상기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NFT를 통한 수익을 상기 전문가에게 지급하여 상기 스타일링에 대한 비용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NFT의 판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메인 화면에 상기 스타일링 공간을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가상 제품이 배치된 상기 가상 공간을 상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문가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문가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리 정돈, 가구 재배치, 위시 제품 배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목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니멀리즘, 맥시멀리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스타일링 목적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문가에 대응하는 포트폴리오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에 대응하는 후보 전문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후보 전문가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후보 전문가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상기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후보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로 상기 가상 공간을 스타일링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공간을 스타일링할 것이라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상기 후보 전문가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시 제품에 대응하는 가상 위시 제품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위시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위시 제품에 대응하는 추천 제품을 선정하여, 상기 추천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위시 제품에 대응하는 추천 제품을 선정하여, 상기 추천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시 제품의 제품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위시 제품의 판매 가격을 획득하고, 상기 위시 제품의 판매 가격을 기초로, 상기 추천 제품의 예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시 제품이 위치될 공간의 평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호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시 제품의 제품 카테고리 정보, 상기 추천 제품의 예산 정보, 상기 위시 제품이 위치될 공간의 평수 정보, 상기 선호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 중 추천 제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가상 공간의 개수가 하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미리 정의된 제1 기준 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공간 스타일링을 컨설팅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설팅 시간 중 상기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을 상기 하루 평균 소비 시간에 따라 높이는 단계; 및 상기 하루 평균 소비 시간에 따라 설정된 컨설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간의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가상 공간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하기 전의 가상 공간과 공간 스타일링을 한 후의 가상 공간을 비교하여, 변화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의 만족도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만족도 점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된다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의 평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의 평수를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공간을 기초로, 정리 전문가를 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NFT의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FT의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평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본 가격 정보를 제1 기본 점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스타일링 시간에 따라 제1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변화율에 따라 제2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기본 점수에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기본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을 통해 상기 전문가와 관련된 전문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문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가의 경력 기간이 길수록, 수상 경력이 많을수록 혹은 수행한 스타일링 공간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전문가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NFT의 판매량을 획득하고, 상기 판매량을 이용하여 판매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판매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본 점수, 상기 전문가 점수 및 상기 판매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스타일링 공간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미리 설정된 평가 점수에 따른 NFT 판매 가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NFT 판매 가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NFT 판매 가격을 상기 스타일링 공간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사용자 및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에게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스타일링이 완료된 스타일링 공간을 NFT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NFT를 통해 사용자가 전문가에게 스타일링 비용 지불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를 매칭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위시 제품이 있을 경우, 위시 제품을 가상 공간에 적용하여 위시 제품이 사용자의 공간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사용자의 공간에 적합한 위시 제품을 찾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 및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에게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스타일링이 완료된 스타일링 공간을 NFT로 생성하고, 생성된 NFT를 사용자 및 전문가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전문가를 매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위시 제품을 가상 공간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위시 제품을 기초로, 위시 제품에 대응하는 추천 제품을 선정하여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여러 개일 경우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스타일링 시간을 다르게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하여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링 공간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전문가 단말(310),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10)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로부터 사용자의 공간에 대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전문가 단말(310)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간 스타일링과 관련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은 장치(200)와 유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은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되거나,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을 각각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가상 공간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는 메타버스 환경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에 대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온라인 속 3차원 입체 가상 세계에서 캐릭터 내지 아바타의 모습으로 구현된 개인들이 서로 소통하여, 현실의 활동을 그대로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말한다. 이러한 메타버스 환경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을 아우르는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현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그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말하고, 증강 현실 또는 혼합 현실은 현실 세계 위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덧붙여 표현하는 기술, 즉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말하는데, 본 발명에서의 메타버스 환경은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및 혼합 현실 중 어느 하나의 환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는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VR/AR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현실감 있는 영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웨어러블 영상 출력 단말의 일종이며, 주로 헬멧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VR/AR 등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는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으며, 헤드 트렉킹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 이동에 따라 영상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는 사용자 머리의 회전 각도와 속도 등을 수치화하여, 사용자 머리의 움직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영상이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에서도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사용자의 머리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에서도 왼쪽으로 움직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는 전문가가 사용하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가상 공간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는 메타버스 환경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에 대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는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전문가에게 착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전문가의 머리 또는 눈 부분에 장착하여 전문가의 눈 앞에 직접 VR/AR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전문가가 현실감 있는 영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웨어러블 영상 출력 단말의 일종이며, 주로 헬멧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VR/AR 등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는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를 착용한 전문가의 머리 움직임을 통해 전문가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으며, 헤드 트렉킹을 통해 전문가의 시선 이동에 따라 영상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는 전문가 머리의 회전 각도와 속도 등을 수치화하여, 전문가 머리의 움직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영상이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의 머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에서도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전문가의 머리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에서도 왼쪽으로 움직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전문가 단말(31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고,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전문가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고,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의 화면을 제어할 때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에 출력되는 화면도 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의 화면을 제어할 때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에 출력되는 화면도 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장치(200)를 중심으로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는 서로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장치(200)는 사용자 및 전문가에게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공간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출력될 컨텐츠를 제어할 수도 있고, 공간 사용자와 전문가를 매칭할 수도 있고, NFT를 통한 스타일링 공간 거래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위한 다른 서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 및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에게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공간 정보는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에 대한 정보로, 공간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 공간에 대응하는 도면 정보, 공간에 대응하는 평수 정보, 공간에 대응하는 구조 정보, 공간에 포함된 제품 및 인테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공간의 위치 정보, 도면 정보, 평수 정보, 공간에 포함된 제품 및 인테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공간 정보를 기초로,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공간의 공간 정보를 기초로, 해당 공간의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공간에 포함된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품 정보는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에 포함된 제품에 대한 정보로, 제품의 명칭 정보, 제품의 용도 정보, 제품의 크기 정보, 제품의 부피 정보, 제품의 모양 정보, 제품의 질감 정보, 제품의 색상 정보 및 제품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공간에 포함된 제품의 명칭, 용도, 크기, 부피, 모양, 질감, 색상 및 위치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품 정보를 기초로, 제품에 대응하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고, 공간 정보 및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제품을 가상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를 기초로, 제품에 대응하는 가상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공간 정보 및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공간 속에서 가상 제품이 어디에 위치되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제품을 가상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제품이 배치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의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사용자와 매칭된 전문가의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상 제품이 배치된 가상 공간에 생성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사용자와 매칭된 전문가가 사용하는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 가상 제품이 배치된 가상 공간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가상 제품이 배치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의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사용자와 매칭된 전문가의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 출력하기 전에 사용자와 전문가를 매칭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와 전문가를 매칭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4를 통해 참조하기로 한다.
이로 인해, 장치(200)는 가상 공간 및 가상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고, 가상 공간 및 가상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는 동작은 S206 단계, S207 단계, 및 S208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에 가상 제품을 표시하거나 비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은 가상 공간에 가상 제품을 표시할 것인지, 가상 공간에 가상 제품을 비표시할 것인지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를 통해 제1 입력을 수신하거나, 전문가로부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를 통해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에 가상 제품을 표시하거나 비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를 통해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제1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가상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가상 제품을 비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제1 전문가로부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를 통해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부터 수신된 제1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가상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제2 가상 제품을 표시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제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입력은 가상 제품의 위치를 유지할 것인지, 가상 제품의 위치를 변경할 것인지에 대한 입력일 수 있고, 가상 제품의 위치를 변경할 것이라면, 가상 제품의 위치를 상, 하, 좌, 우 중 어디로 얼마만큼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를 통해 제2 입력을 수신하거나, 전문가로부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를 통해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제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를 통해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가상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제3 가상 제품의 위치를 오른쪽으로 30cm 이동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제1 전문가로부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를 통해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부터 수신된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가상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제4 가상 제품의 위치를 왼쪽으로 1m 이동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3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제품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입력은 가상 제품의 방향을 유지할 것인지, 가상 제품의 방향을 변경할 것인지에 대한 입력일 수 있고, 가상 제품의 방향을 변경할 것이라면, 가상 제품의 위치를 동, 서, 남, 북 중 어디로 변경시킬 것인지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를 통해 제3 입력을 수신하거나, 전문가로부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를 통해 제3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3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제품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를 통해 제3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제3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가상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제5 가상 제품의 방향이 동쪽을 향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제1 전문가로부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를 통해 제3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부터 수신된 제3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가상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제6 가상 제품의 방향이 북쪽을 향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한 공간 정보, 제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을 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과 동일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고, 해당 가상 공간에서 전문가와 사용자가 가상 환경 제공 기기를 통해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스타일링이 완료된 스타일링 공간을 NFT로 생성하고, 생성된 NFT를 사용자 및 전문가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입력, 제2 입력 및 제3 입력을 통해 스타일링이 완료된 가상 공간 및 가상 제품을 스타일링 공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입력, 제2 입력, 제3 입력을 통해 공간 스타일링이 완료된 가상 공간 및 가상 제품을 스타일링 공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스타일링 공간을 NFT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NFT를 통한 스타일링 공간 거래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플랫폼을 통해 스타일링 공간을 NFT화하고, NFT의 거래를 위한 마켓 플레이스를 제공하고, 스타일링 공간의 거래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플랫폼에 있어서, 각 노드들은 암호화된 P2P 네트워크로서 동작하며, 이른바 '블록'이라고 하는 각 자산들의 거래 기록들이 분산 원장에서의 암호화된 해시 함수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간 연결된 이른바 '블록체인'을 형성한다. 블록체인에 있어서의 각각의 블록은 각각의 거래의 유효성을 피어 장치들을 통해 인증된 디지털 자산의 거래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암호화되고 탈중앙화된 컴퓨팅 기술들이 자산의 거래에 대한 검증과 인증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플랫폼에 등록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들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인증된 소유자에게는 개인 키(private key)가 제공될 수 있고, 개인 키는 네트워크 상에서 자산이 위치한 곳을 가리키거나 파일이 해독 또는 재구성되는 방법을 지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호 화폐로 사용되고 있는 대체가능한 토큰(Fungible Token)은 하나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한 토큰을 말한다. 대체가능한 토큰은 매 토큰이 유일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체가능한 토큰의 상호간 호환이 된다. 현재 절대 다수의 암호 화폐는 거래, 계량 단위, 또는 가치 저장을 할 수 있도록 대체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의 ERC-20은 대체가능한 토큰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은 그 진위를 영구하게 기록하는 고유 비트로 인증된 디지털 자산으로서,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 화폐의 기반이 되는 분산 원장 시스템인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토큰화(또는 자산화)했다는 점에서는 대체가능한 암호 화폐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암호 화폐는 현실의 화폐처럼 누구나 통용할 수 있는 반면, NFT는 각각의 디지털 자산이 고유한 인식 값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체불가능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NFT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한 번 생성되면 삭제하거나 위조할 수가 없고 소유권과 거래 이력이 명시되므로 일종의 디지털 인증서 및 소유권 증명서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의 ERC-721은 대체불가능한 토큰(NFT)이다.
즉, 장치(200)는 NFT를 통한 스타일링 공간 거래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통해 거래될 스타일링 공간을 NFT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NFT를 생성하는 과정은 스타일링 공간인 가상 공간, 스타일링 공간에 대한 이미지, 스타일링 공간에 포함된 인테리어, 스타일링 공간에 포함된 제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타일링 공간과 관련하여 정보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것으로, NFT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NFT 발행을 위한 소정의 수수료가 청구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스타일링 공간의 NFT를 생성할 때, 스타일링 공간의 NFT를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생성은, 주소, 공개 키(public key) 및 개인 키(private key) 페어를 갖는, 암호화된 고유의 디지털 자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는, 이미지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한 번호인 식별자가 포함된다. 따라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이미지와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생성된 NFT의 지분을 사용자와 전문가에게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 비율은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로부터 NFT의 지분과 관련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NFT의 지분을 사용자와 전문가에게 각각 설정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생성 및 지분 설정이 완료된 NFT를 블록체인에 업로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생성 및 지분 설정이 완료된 NFT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고, NFT 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함으로써, 스타일링 공간의 NFT가 거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는 NFT 거래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결되어 있거나, NFT 거래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200)는 NFT 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을 통해 NFT가 거래될 때마다 거래된 NFT의 발급 정보에 대한 거래 히스토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의 입력 및 전문가 단말(310)의 입력에 기반하여, NFT를 통한 수익을 전문가에게 지급하여 스타일링에 대한 비용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을 통해 NFT를 통한 수익을 전문가에게 스타일링에 대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NFT를 통해 얻은 수익을 전문가에게 스타일링에 대한 비용으로 처리해도 된다는 사용자 단말(110) 및 전문가 단말(310)의 입력에 기반하여, NFT를 통한 수익을 전문가에게 지급하여 스타일링에 대한 비용을 처리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200)는 NFT의 판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것에 기반하여, 플랫폼 서비스의 메인 화면에 스타일링 공간을 게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NFT의 판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NFT의 판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것에 기반하여, NFT를 통한 스타일링 공간 거래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의 메인 화면에 스타일링 공간을 게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NFT의 판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플랫폼의 메인 화면에 해당 스타일링 공간을 게시하여 다른 사용자 및 다른 전문가에게 해당 스타일링 공간을 추천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전문가를 매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정리 정돈, 가구 재배치, 위시 제품 배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목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정리 정돈, 가구 재배치, 위시 제품 배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목적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전문가를 통해 공간 스타일링을 하고 싶은 목적이 사용자의 공간을 정리 정돈하는 것이 목적인지, 기존 가구를 재배치하여 인테리어를 하는 것이 목적인지, 위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여 위시 제품을 미리 사용자의 공간에 적용하는 것이 목적인지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미니멀리즘, 맥시멀리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미니멀리즘, 맥시멀리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추구하는 성향이 제품을 최소한으로 하여 단순함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인지, 제품을 최대한으로 하여 다양성을 추구하는 맥시멀리즘인지 확인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공간 스타일링 목적 정보,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공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가 가상 공간을 통해 공간 스타일링을 하고자 하는 목적인 공간 스타일링 목적 정보, 사용자가 추구하는 성향인 사용자의 성향 정보,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을 하고자 하는 공간의 평수 및 구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문가에 대응하는 포트폴리오를 기초로,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에 대응하는 후보 전문가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와 관련된 정보가 있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문가의 포트폴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200)는 획득한 전문가의 포트폴리오를 기초로,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에 대응하는 후보 전문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획득한 전문가의 포트폴리오를 기초로,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에 대응하는 후보 전문가를 추출하기 위해 전문가의 포트폴리오를 확인하여, 전문가가 가장 많이 수행하는 공간 스타일링이 정리 정돈, 가구 재배치, 위시 제품 배치 중 어떤 것인지, 전문가에 대응하는 고객의 성향이 미니멀리즘, 맥시멀리즘 중 어떤 성향의 고객이 더 많은지, 전문가가 가장 많이 수행한 공간의 평수가 몇 평인지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전문가의 포트폴리오를 기초로, 확인된 정보와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율이 기준보다 높은 전문가를 후보 전문가로 추출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전문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전문가의 정보는 후보 전문가와 관련된 정보, 후보 전문가의 단말과 관련된 정보,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전문가의 이름, 후보 전문가의 단말에 매칭된 정보,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에 매칭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200)는 후보 전문가의 정보를 기초로,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후보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10)로 가상 공간을 공간 스타일링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전문가와 관련된 정보, 후보 전문가의 단말과 관련된 정보,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전문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통해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후보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통해 후보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10)로 가상 공간을 공간 스타일링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후보 전문가가 가상 공간을 통해 공간 스타일링을 해야할 공간을 미리 보고 공간 스타일링을 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후보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10)로 가상 공간을 공간 스타일링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200)는 후보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10)로부터 가상 공간을 공간 스타일링할 것 이라는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와 후보 전문가를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보 전문가가 가상 공간을 확인하여, 해당 가상 공간을 스타일링 할 것이라는 입력이 후보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10)로부터 수신되면, 장치(200) 사용자와 후보 전문가를 매칭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위시 제품을 가상 공간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로, 제품의 명칭 정보, 제품의 용도 정보, 제품의 크기 정보, 제품의 부피 정보, 제품의 모양 정보, 제품의 질감 정보, 제품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인 위시 제품의 명칭, 용도, 크기, 부피, 모양, 질감, 색상을 포함하는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기초로, 위시 제품에 대응하는 가상 위시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기초로, 위시 제품에 대응하는 가상 위시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위시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상 위시 제품이 생성되면,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가상 위시 제품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제2 입력, 제3 입력 중 하나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입력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 가상 위시 제품의 존재 유무, 위치 변경, 방향 변경이 수행되어 가상 위시 제품을 통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위시 제품을 기초로, 위시 제품에 대응하는 추천 제품을 선정하여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위시 제품의 제품 정보를 기초로, 위시 제품의 제품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카테고리 정보는 냉장고, TV, 세탁기, 침대, 소파, 식탁, 책상, 옷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위시 제품의 판매 가격을 획득하고, 위시 제품의 판매 가격을 기초로, 추천 제품의 예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위시 제품의 판매 가격을 기초로, 판매 가격에 범위 비율을 적용하여 추천 제품의 예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범위 비율은 미리 설정된 비율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시 제품의 판매 가격이 1,000,000원이고, 범위 비율이 5%일 경우, 장치(200)는 위시 제품의 판매 가격인 1,000,000원에 범위 비율인 5%를 적용하여 생성된 950,000원에서 1,050,000원을 추천 제품의 예산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위시 제품이 위치될 공간의 평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200)는 위시 제품이 위치될 공간의 평수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따로 획득할 수도 있고, 미리 획득한 공간 스타일링을 하고자 하는 공간의 공간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선호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인테리어 스타일은 모던 스타일, 우드 스타일, 내추럴 스타일, 빈티지 스타일, 북유럽 스타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위시 제품의 제품 카테고리 정보, 추천 제품의 예산 정보, 위시 제품이 위치될 공간의 평수 정보, 선호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 중 추천 제품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쇼핑몰 데이터베이스 또는 라이프 스타일 제품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제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의 정보와 획득한 위시 제품의 제품 카테고리 정보, 추천 제품의 예산 정보, 위시 제품이 위치될 공간의 평수 정보, 선호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추천 제품으로 선정 및 추출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추천 제품을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여러 개일 경우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스타일링 시간을 다르게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공간의 개수가 하나보다 많은 것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의 개수가 하나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의 개수가 하나보다 많을 경우,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의 기준은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자고 있는 시간을 포함하여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을 획득할 수도 있고, 자고 있는 시간은 제외하고 실제 활동을 하고 있는 시간만 계산하여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을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이 거실, 부엌, 서재로 가상 공간의 개수가 3개일 경우, 장치(200)는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의 개수가 하나보다 많은 3개인 것에 기반하여, 거실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인 4시간, 부엌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인 1시간, 서재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인 6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제1 기준 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제1 기준 시간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공간 스타일링을 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설팅 시간 중 해당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을 기존 비율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에 비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이 거실, 부엌, 서재이고, 거실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4시간이고, 제1 기준 시간이 3시간인 경우, 장치(200)는 거실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인 4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인 3시간보다 크다고 판단하여 공간 스타일링을 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설팅 시간 중 거실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해당 가중치를 거실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인 4에 비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이 거실, 부엌, 서재이고, 서재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6시간이고, 제1 기준 시간이 3시간인 경우, 장치(200)는 서재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인 6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인 3시간보다 크다고 판단하여 공간 스타일링을 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설팅 시간 중 서재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해당 가중치를 서재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인 6에 비례하여 설정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제1 기준 시간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공간 스타일링을 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설팅 시간 중 해당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에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간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이 거실, 부엌, 서재이고, 부엌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1시간이고, 제1 기준 시간이 3시간인 경우, 장치(200)는 부엌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인 1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인 3시간보다 작다고 판단하여 공간 스타일링을 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설팅 시간 중 부엌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에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간의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이 거실, 부엌, 서재이고, 거실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4에 비례하여 설정되고, 서재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6에 비례하여 설정되고, 부엌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없고, 컨설팅 총 시간이 2시간일 경우, 장치(200)는 거실에 대응하는 가중치인 4를 적용하여 거실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으로 1.4A인 42분을 생성할 수 있고, 부엌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으로 1A인 30분을 생성할 수 있고, 서재에 대응하는 가중치인 6을 적용하여 서재에 대응하는 컨설팅 시간으로 1.6A인 48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하여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공간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과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한 후의 가상 공간을 비교하여 변화율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상 공간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과 공간 스타일링이 수행된 후의 가상 공간을 비교하여 변화율을 생성할 수 있는데, 변화율을 생성하기 위해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부터 수신한 입력의 횟수에 따라 변화율을 생성할 수도 있고,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의 이미지인 제1 이미지와, 공간 스타일링이 수행된 후의 가상 공간의 이미지인 제2 이미지를 촬영 및 획득하여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변화율을 생성할 수도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200)는 변화율이 기준 비율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의 만족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비율은 미리 설정된 비율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과 공간 스타일링이 수행된 후의 가상 공간을 비교하여 변화율을 생성할 수 있고,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여, 변화율이 기준 비율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의 만족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과 공간 스타일링이 수행된 후의 가상 공간을 비교하여 변화율이 75%이고, 기준 비율이 40%인 경우, 장치(200)는 변화율인 75%가 기준 비율인 40%보다 큰 것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10)로 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의 만족도 점수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10)로 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의 만족도 점수를 80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200)는 만족도 점수가 목표 값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과 공간 스타일링이 수행된 후의 가상 공간을 비교하여 변화율을 생성할 수 있고, 변화율이 기준 비율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의 만족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한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의 만족도 점수가 목표 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여, 만족도 점수가 목표 값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의 만족도 점수를 80점이고, 목표 값이 75점인 경우, 장치(200)는 만족도 점수인 80점이 목표 값인 75점보다 큰 것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10)로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된다는 입력이 수신되면,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정보를 기초로, 가상 공간의 평수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된다는 입력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을 실습 교안으로 사용해도 된다는 입력이 수신되면, 가상 공간에 대응하여 획득한 공간 정보를 기초로, 가상 공간의 평수를 추출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공간의 평수를 기초로, 가상 공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공간은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한 후의 가상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과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한 후의 가상 공간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공간을 기초로, 정리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학습자 단말 및 학습자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학습자는 정리 전문가가 되고자 하는 학습자이다.
즉,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공간을 학습자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학습자를 인도하는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출력하여, 가상 공간을 통해 정리 전문가가 양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200)는 메타버스를 이용하여 가상 공간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링 공간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평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정보를 기초로, 스타일링 공간의 평수를 확인할 수 있고, 평수에 따라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링 공간의 평수가 4평, 7평, 14평, 17평, 28평인 경우, 스타일링 공간의 평수에 따라 기본 가격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4평 20,000원, 7평 30,000원, 14평 50,000원, 17평 70,000원 및 28평 100,000원으로 미리 기본 가격이 설정된 경우,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스타일링 공간의 각 평수에 대응하는 기본 가격을 저장하고, 스타일링 공간의 평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링 공간의 평수가 14평인 경우, 장치(200)는 스타일링 공간의 기본 가격 정보를 50,000원으로 추출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기본 가격 정보를 제1 기본 점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정보를 기초로, 스타일링 공간의 평수를 확인할 수 있고, 평수에 따라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한 기본 가격 정보를 제1 기본 점수로 설정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기본 점수에 스타일링 시간에 따라 생성된 제1 가중치 및 변화율에 따라 생성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기본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전문가 단말(310)로부터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여 스타일링 시간이 얼마나 걸렸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타일링 시간을 획득할 수 있고, 스타일링 시간에 따라 제1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스타일링 시간이 길수록 제1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120) 및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320)로부터 수신한 입력의 횟수에 따라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전의 가상 공간과 공간 스타일링이 수행된 후의 가상 공간을 비교하여 변화율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변화율에 따라 제2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변화율이 클수록 제2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문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가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문가 단말(310)로부터 전문가의 이름, 전문가의 경력 기간, 전문가가 지금까지 수행한 스타일링 공간의 정보, 전문가의 주요 경력, 전문가의 수상 경력을 포함하는 전문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전문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가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문가 점수는 전문가의 경력 기간이 길수록, 수상 경력이 많을수록 혹은 수행한 스타일링 공간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NFT 판매량을 획득하여 판매량을 이용하여 판매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간은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해당 스타일링 공간의 NFT 판매량을 획득할 수 있고, 판매량을 이용하여 판매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판매 점수는 판매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S9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기본 점수, 전문가 점수 및 판매 점수를 합산하여, 스타일링 공간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S907 단계에서,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평가 점수에 따른 NFT 판매 가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NFT 판매 가격을 추출할 수 있다.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스타일링 공간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NTF 판매 가격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스타일링 공간의 평가 점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NFT 판매 가격을 추출할 수 있다.
S9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추출된 NFT 판매 가격을 스타일링 공간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간에 포함된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고, 상기 공간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제품을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제품이 배치된 상기 가상 공간을 상기 사용자의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사용자와 매칭된 전문가의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공간 및 상기 가상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 및 상기 가상 제품을 기초로, 공간 스타일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상기 가상 제품을 표시하거나 비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제품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제3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제품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상기 제2 입력 및 상기 제3 입력을 통해 스타일링이 완료된 상기 가상 공간 및 상기 가상 제품을 스타일링 공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링 공간을 NFT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NFT의 지분을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문가에게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생성 및 지분 설정이 완료된 NFT를 블록체인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 및 상기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NFT의 지분에 따라 발생한 수익을 상기 전문가에게 지급하여 상기 스타일링에 대한 비용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NFT의 판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메인 화면에 상기 스타일링 공간을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제품이 배치된 상기 가상 공간을 상기 제1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 상기 제2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문가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문가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리 정돈, 가구 재배치, 위시 제품 배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목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니멀리즘, 맥시멀리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스타일링 목적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공간 스타일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문가에 대응하는 포트폴리오를 기초로, 후보 전문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후보 전문가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후보 전문가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후보 전문가의 가상 환경 제공 기기로 상기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후보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로 상기 가상 공간을 스타일링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공간을 스타일링할 것이라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상기 후보 전문가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의 개수가 하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에 대응하는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미리 정의된 제1 기준 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하루 평균 소비 시간이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공간 스타일링을 컨설팅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설팅 시간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평균 소비 시간에 따라 설정된 컨설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간의 공간 스타일링 컨설팅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FT의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FT의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평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본 가격 정보를 제1 기본 점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스타일링 시간에 따라 제1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스타일링 공간에 대응하는 변화율에 따라 제2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기본 점수에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기본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을 통해 상기 전문가와 관련된 전문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문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가의 경력 기간이 길수록, 수상 경력이 많을수록 혹은 수행한 스타일링 공간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전문가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NFT의 판매량을 획득하고, 상기 판매량을 이용하여 판매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판매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본 점수, 상기 전문가 점수 및 상기 판매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스타일링 공간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평가 점수에 따른 NFT 판매 가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NFT 판매 가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NFT 판매 가격을 상기 스타일링 공간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137002A 2022-10-24 2022-10-24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002A KR102542307B1 (ko) 2022-10-24 2022-10-24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002A KR102542307B1 (ko) 2022-10-24 2022-10-24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307B1 true KR102542307B1 (ko) 2023-06-13

Family

ID=8676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002A KR102542307B1 (ko) 2022-10-24 2022-10-24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237B1 (ko) * 2024-01-05 2024-05-08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가상 공간을 활용한 가구 배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763B1 (ko) * 2016-06-02 2017-12-08 주식회사 리즈디자인 가상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193933B1 (ko) 2019-01-23 2020-12-22 엄기창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0388B1 (ko) * 2020-06-29 2021-06-29 윤태원 공간 디자인 코디네이팅 시스템, 공간 디자인 코디네이팅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72650B1 (ko)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50828A (ko) * 2020-06-04 2021-12-13 황은기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ar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369358B1 (ko) * 2021-08-10 2022-03-02 유한회사 모카홀딩스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28813A (ko) * 2020-08-31 2022-03-08 김의현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KR102372283B1 (ko) * 2021-07-27 2022-03-10 김준수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388944B1 (ko) 2021-11-30 2022-04-21 주식회사 안가본길 비대면 방식의 인테리어 리모델링 스타일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08914A (ko)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이안스페이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35521A (ko) * 2021-03-30 2022-10-07 정관선 투자가능한 유무형의 물품을 온라인으로 거래하는 방법
KR20220144289A (ko) * 2021-04-19 2022-10-26 박준호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763B1 (ko) * 2016-06-02 2017-12-08 주식회사 리즈디자인 가상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193933B1 (ko) 2019-01-23 2020-12-22 엄기창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50828A (ko) * 2020-06-04 2021-12-13 황은기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ar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270388B1 (ko) * 2020-06-29 2021-06-29 윤태원 공간 디자인 코디네이팅 시스템, 공간 디자인 코디네이팅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028813A (ko) * 2020-08-31 2022-03-08 김의현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KR102446805B1 (ko) 2020-08-31 2022-09-23 김의현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KR102272650B1 (ko)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08914A (ko)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이안스페이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35521A (ko) * 2021-03-30 2022-10-07 정관선 투자가능한 유무형의 물품을 온라인으로 거래하는 방법
KR20220144289A (ko) * 2021-04-19 2022-10-26 박준호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372283B1 (ko) * 2021-07-27 2022-03-10 김준수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369358B1 (ko) * 2021-08-10 2022-03-02 유한회사 모카홀딩스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88944B1 (ko) 2021-11-30 2022-04-21 주식회사 안가본길 비대면 방식의 인테리어 리모델링 스타일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237B1 (ko) * 2024-01-05 2024-05-08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가상 공간을 활용한 가구 배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656B1 (ko)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US20210279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 acquisition by selection of a virtual object placed in a digital environment
US10431003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10970934B2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US9098874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view information of an instance of an online game executed on an online game server
KR102432524B1 (ko) 메타버스 하이브리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7373B1 (ko)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2307B1 (ko)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9639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virtual environment
Ioannidis et al. Metaverse for tourists and tourism destinations
KR102479528B1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예술품 갤러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7408164A (zh) 云中内容资产的数字管理
US1011526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hance-based payment for items in a game
KR20230081559A (ko) 게놈 데이터를 활용한 nft 기반의 익명 채팅 데이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US20150310472A1 (en) Management of on-demand content
KR102566831B1 (ko) 게임 환경 내 nft 및 아이템의 교환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8587B1 (ko) 복수의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동되는 오픈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78227B1 (ko) 커스터마이징된 의류 디자인과 연동된 nft 발행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907509B1 (en) Disklink system
US202401935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rmalization of electronic message content representing pricing across different platforms
US20240127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ticketing platform
US20230419303A1 (en) Video data transmission method, 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video data transmission program
KR20230148979A (ko)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55615A (ko)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57005A (ko) 미러링 아바타를 구비한 메타버스 서버 연동의 의류 상품판매 시스템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